KR100873515B1 -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515B1
KR100873515B1 KR1020070084011A KR20070084011A KR100873515B1 KR 100873515 B1 KR100873515 B1 KR 100873515B1 KR 1020070084011 A KR1020070084011 A KR 1020070084011A KR 20070084011 A KR20070084011 A KR 20070084011A KR 100873515 B1 KR100873515 B1 KR 100873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weight
formwork
performanc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윤국
이영호
권태규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84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 대용으로 사용가능하며, 내진 성능 향상(연성 향상) 시킬 수 있고, 내부 콘크리트와의 일체거동 확보 용이하여(내부 돌기 제작 간편), FRP+콘크리트 이질재료에서 발생하는 문제없고, 추가적인 연구 없이 현장 적용 가능(현행 시방서 및 설계지침 적용이 가능하므로)한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인성, 거푸집, 일체화

Description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CONCRET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HIGH-TOUGHNESS CONCRETE MOLD}
본 발명은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합판, 강재 거푸집과 같은 재사용이 가능한 거푸집 대신 고인성 콘크리트로 제작된 거푸집을 이용하여 그 내부에 통상의 콘크리트를 그대로 타설함으로서 원하는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하는 구조물 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구조물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할 경우 합판 및 강재거푸집을 사용하므로 서로 다른 이질재료를 사용하여 탈형 시 그 경계면에 자국이 남는 등 면 마감 처리에 문제가 있을 수 있었다.
도 1a는 종래의 거푸집의 외벽(10)으로, 외벽은 1개 또는 복수개의 섬유보강 고인성 보드(11)를 조립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보드(11)는 시멘트계 성분으로 만들어지므로서 충전재로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경우, 기존의 공법과 같이 외벽을 제거하는 단계가 필요 없게 된다.
이러한 외벽(10)은 다른 외벽과 같이 사용되어 거푸집을 만들거나, 보수, 보 강 대상이 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측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이때 외벽의 형상은 필요에 의해 굴곡 시켜 제조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터널 내벽과 같은 구조물의 보수 공법 시에는 외벽을 구성하는 보드를 반원형으로 굴곡시킴으로서, 터널 내벽의 곡률에 대응한 외벽을 조립할 수 있다.
도 1b는 도 1a 내측에 강화섬유 격자형 보강재(12)를 외벽(10)에 고정구(13)로 고정시킨 거푸집의 단면도이다.
즉, 기존의 콘크리트 대신 강화섬유로 제조된 격자형 보강재(12)를 사용하는 데, 이러한 보강재(12)는 고정구(13)를 통하여 보드(11)에 고정된다.
고정구(13)는 보강재(12)가 삽입되는 삽입구로서 홈이 형성되는데, 이 삽입홈(13a)은 고정구(13)의 일측에서 소정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강화섬유 격자형 보강재(12)가 삽입된 고정구(13)를 보드(11)에 부착하는 경우,
보강재(12)는 고정구(13)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는데, 이 사이로 충전재가 매입되므로 보강재(12) 전체를 충전재가 감싸게 된다. 이로 인해 시공 후 구조물의 강성을 한층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보강재(12)의 강화섬유로는 탄소, 유리, PVA, 아라미드, PBO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고정하는 고정구(13)로서는 시멘트계, 금속, 플라스틱, 세라믹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충전재로서는 시멘트계, 콘크리트, 수지 등이 사용된다.
또한, 고정구(13)를 보드(11)에 부착하기 위해, 고정구(13) 일측에 접착제를 사용하거나,
고정구(13)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구멍(13b)을 형성하여, 이 관통구멍(13b)에 앵커(확장형, 볼트형, 리벳형), 콘크리트 못등의 고정용 핀을 사용하게 된다.
도 1c는 종래 거푸집의 사시도이다. 보드(11)의 내측에 고정구(13)를 부착시키고 강화섬유 격자형 보강재(12)를 고정구(13)의 삽입홈(13a)에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보드(11)는 구조물 또는 또 다른 보드(11)와 간격유지구(14)를 통해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간격유지구(14)는 양측에 보드(11)의 내측에 접촉하여 보드(11)를 지지하는 콘이 배치되고 이 콘을 관통하는 일자형 봉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본 실시예의 콘은 시멘트계 성분으로 이루어져 충전재로 콘크리트를 매설하는 경우, 양생 후 별도로 제거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콘은 이외에도 세라믹이나 금속으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도 1d는 고인성 시멘트계 보드(11)를 조립한 두개의 보드(11)를 소정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만든 거푸집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강화섬유 격자형 보강재(12)를 고정구(13)를 통해 보드(11)에 고정하고, 이러한 보드(11) 두개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여 거푸집을 만든다.
이때 보드(11)사이에는 간격유지구(14)를 삽입하여 두 보드(11)의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하지만 위에서 살펴본 모든 시멘트계 보드(11) 또는 이를 이용한 거푸집의 경우 그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일체성 확보에 대한 검증이 어려워 현실적으로 적용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거푸집 대용으로 사용가능하며, 내진 성능 향상(연성 향상) 시킬 수 있고, 내부 콘크리트와의 일체거동 확보 용이하여(내부 돌기 제작 간편), 콘크리트 이질재료에서 발생하는 문제없고, 추가적인 연구 없이 현장 적용 가능(현행 시방서 및 설계지침 적용이 가능하므로)한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원하는 거푸집의 형태로 제작되도록 하였다. 이러한 고인성 콘크리트는 종래 출원인이 개발한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하는 예로서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고인성 콘크리트에 의한 거푸집(100)은 외부에 노출되는 외측면(110)과 내측면(120)으로 구분되어 먼저 외측면은 일반 콘크리트처럼 소정의 두께를 가진 거푸집의 외측부를 지칭하게 되며,
내측면(120)에는 콘크리트 지연경화제(130)가 도포 등의 방법으로 형성된다.
즉, 콘크리트 거푸집 역할을 하는 판재(보드) 형태의 거푸집 내측면에는 콘크리트 지연경화제에 의하여 그 내측면 경화시기를 조절하여 거푸집 내측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경화시기와 일치하도록 하여 양자의 일체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둘째, 상기 거푸집 내부에는 후 타설되는 콘크리트와 일체화되도록 다양한 전단연결재가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그대로 구조물 전단면이 구성되도록 하였다.
이에 본 발명에 의하여 고인성 콘크리트로 제작된 거푸집과 그 내부에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대한 실질적인 일체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추가적인 연구 없이도 그대로 현장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구조물 외부에 고인성 콘크리트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내진에 보다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물 자체의 내진성능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인성 콘크리트로 제작된 거푸집으로 사용하여 타설된 콘크리트가 서로 완전히 일체화가 되므로 이후에 거푸집을 탈영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어 공사 기간과 건설폐재가 줄어들며, 성분적으로 콘크리트와 일치되는 시멘트 자재를 사용하였으므로 이질적인 자재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완벽히 보완할 수 있고,
기존의 피복재로 사용하던 폴리머 시멘트보다 몇 배 높은 강도와 인성(휨 강성)을 가지고 있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은 같은 규격의 폴리머 몰타르에 비하여 2배에서 3배 이상의 압축강도를 가지고 있으며, 인성(휨강성)은 기존의 시멘트계 재료와는 이례적인 강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외부 마감재로 사용 시 뛰어난 보강재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열팽창계수가 콘크리트와 같으므로 콘크리 트의 움직임과 함께 거동하므로 보강재로서 매우 이상적이며, 종래 불가능했던 형태에 따라 변화가 가능하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을 제작하기 위한 고인성 콘크리트의 제조 공종을 먼저 살펴보도록 한다.
<고인성 콘크리트 제조>
상기 고인성 콘크리트는 여러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겠지만 본 발명의 경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작이 가능하다.
즉, 시멘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4∼6:4∼1:2∼3의 중량비로 고로슬래그미분말, 플라이애쉬 및 메타카올린이 배합되어 이루어진 광물질 혼화재 10∼40 중량부, 100±5℃에서 절대건조상태로 만든 입경 5mm 이하인 모래 100∼130 중량부, 및 7∼10:1∼3의 중량비로 CSA계 팽창재 및 글로콜즈계 수축저감제가 배합되어 이루어진 수축 저감재 5∼10 중량부를 배합하여 자기충전형 결합재를 제조하는 제1 단계; 이와 동시에 혹은 순차적으로
셀룰로오스계 증점제 0.1∼1.05중량%, 폴리카본산계 또는 멜라민계 고성능감수제 0.5∼4중량% 및 증류수 94.95∼99.4중량%로 구성된 고성능 배합수를 제조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제조된 고성능 배합수와, 제1 단계에서 제조된 자기충전형 결합재의 중량비로서 고성능 배합수/자기충전형 결합재의 비가 0.2∼0.5의 범위를 만족하도록 상기 고성능배합수와 자기충전형 결합재를 혼합하여 시멘트 복합체를 제조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시멘트 복합체에 강섬유 또는 유기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을 시멘트 복합체의 체적비 기준으로 1∼5체적% 범위로 투입하여 혼합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은 광물질 혼화재와 수축 저감재, 고성능 배합수를 각각 제작하여 이들로부터 자기충전형 섬유 보강 시멘트 복합체 즉 고인성 콘크리트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한다.
우선, 광물질 혼화재는 고로슬래그 미분말, 플라이애쉬, 메타카올린으로부터 얻어지는 것으로, 그 혼합비는 4∼6:4∼1:2∼3의 중량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약 5:3:2의 중량비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때 광물질 혼화재는 슬럼프, 슬럼프플로우, 섬유의 분산성, 강도등을 개선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광물질 혼화재의 혼합비는 사용목적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지만, 일반적으로 고로슬래그는 30∼70% 정도, 플라이애쉬, 메타카올린는 30% 이내로 콘크리트에 사용되나, 시공성을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광물질 혼화재를 가능한 다량으로 사용해야 할 뿐 아니라 고로슬래그는 시멘트 복합체에 점성을 주어 섬유의 분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 플라이애쉬는 유동성을 향상시키는 효과, 메타카올린은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각각 갖는데 반해, 메타카올린은 유동성을 저하시키는 영향이 있으므로, 이같은 점을 감안하여 고로슬래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그 다음은 플라이애시, 메타카올린의 순으로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는 별개로 수축 저감재로는 CSA(Calcium sulfoalumiante)계 팽창재와 글로콜즈계 수축저감제가 배합되어 얻어지는 것으로, 그 혼합비는 7∼10:1∼3의 중량비인 것이 바람직하며, 약9:2의 중량비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팽창재를 다량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팽창량이 과다하여 팽창에 의한 균열이 발생함으로써 콘크리트의 강도 및 품질 저하의 원인이 되고, 수축저감제를 다량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수축저감제 자체가 고가이고, 유동성이 저하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팽창재와 수축저감제를 상술한 바와 같은 적절한 양으로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배합한 광물질 혼화재와 수축 저감재는 시멘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광물질 혼화재 10∼40 중량부, 100±5℃에서 절대건조상태로 만든 입경 5mm 이하인 모래 100∼130 중량부, 및 수축 저감재 5∼10 중량부를 배합하여 자기충전형 결합재를 제조하게 된다.
이때 광물질 혼화재는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4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20∼3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슬럼프, 슬럼프플로우, 섬유의 분산성, 강도면에서 볼 때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래는 일반적으로 콘크리트용 잔골재로 사용되는 5mm 이하로서 100±5℃에서 절대건조상태로 만들어 사용한다.
이는 시멘트와 광물질 혼화재 등과 프리믹싱 형태로 하면서 보관기간 동안 시멘트, 광물질 혼화재 및 수축저감재 등의 수분과 접촉하여 반응하여 수화가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모래는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0∼13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약 11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축저감재는 자기 충전형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고인성 콘크리트)의 수축을 저감시킴으로써 균열발생을 저감시켜 고성능 콘크리트의 제조가 가능한 것으로, 그 첨가량은 시멘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10중량부이면 충분하고, 약 1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면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나아가, 자기충전형 결합재를 구성하는 혼합물의 적절한 배합을 돕기 위하여 배합 후 30∼50rpm의 속도로 8∼10분간 혼합한 다음 분말 등으로 구성된 혼합물에서 먼지 등의 비산되므로 낮은 속도로 2차 혼합하여 비산되는 먼지의 양을 저감시킬 목적으로 10∼20rpm의 속도로 2∼4분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동시에 혹은 별도로, 순차적으로 고성능 배합수를 제조한다. 상기 고성능 배합수는 셀룰로오스계 증점제, 폴리카본산계 또는 멜라민계 고성능 감수제, 증류수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때 그 함량은 셀룰로오스계 증점제 0.1∼1.05중량%, 및 폴리카본산계 또는 멜라민계 고성능감수제 0.5∼4중량%에 그 잔부로서 증류수를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점제는 시멘트 복합체에 증점제를 혼입되어 슬럼프 및 슬럼프플로우가 감소하였으나, 섬유가 점성이 증가된 시멘트 복합체와 일체화가 되어 섬유의 분산성이 향상되고, 또한 압축강도와 휨강도가 증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증점제의 함량은 0.1∼1.05중량%를 사용하면 좋고, 0.3∼0.중량%를 사용하면 자기충전형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체의 품질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고성능 감수제로서 폴리카본산계 또는 멜라민계 고성능 감수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중 폴리카본산계가 보다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 사용된 폴리칼본산계 고성능감수제는 정전기적인 반발력과 고분자 흡착층의 상호작용에 의한 입체반발력(입체장해 작용)에 의해 높은 감수효과가 발휘되고, 멜란민계 고성능감수제는 정전기적인 반발력에 의한 효과가 지배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자기충전형 섬유보강시멘트 복합체에서 고성능감수제의 흡착에 의한 입체장해효과가 유동성 역할을 수행하는 폴리카본산계 고성능감수제를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에서 보다 유리한 것이다.
이때 폴리카본산계 고성능감수제는 0.7∼2.0중량%를 그리고 멜라민계 고성능감수제는 0.7∼3.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성능감수제들은 고성능 배합수의 구성비를 감안하여 볼 때 고형분 함량이 20% 정도인 제품을 사용하면 충분하다.
이어서 500∼1,000rpm의 고속으로 3∼5분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또한 완전 용해를 돕는 측면에서 볼 때 바람직하다. 고속 혼합시 고성능감수제, 증점제 및 증류수가 잘 혼합되어 이들 재료사용의 효과가 잘 나타나는 이유도 있지만, 믹싱이 잘 되지 않을 경우에는 장시간 보관할 경우에는 다시 각각 분리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는 콘크리트의 품질에 큰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고속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된 고성능 배합수와 자기충전형 결합재가 0.2∼0.5의 중량비를 만족하도록 상기 고성능배합수와 자기충전형 결합재를 혼합하여 시멘트 복합체를 제조한다. 이때 고성능배합수/자기충전형 결합재의 중량비가 0.2보다 작으면 강도가 증가되고, 0.5를 초과하면 강도가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으며, 현재 사용되는 고강도, 보통강도를 모두 포함시킬 수 있는 상기 범위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균일한 배합을 돕기 위하여 상기 40∼60rpm의 속도로 5∼7분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시멘트 복합체에 강섬유 또는 유기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을 투입하여 함으로써 자기충전형 섬유 보강 시멘트 복합체를 제조하게 된다. 이때 섬유의 함량은 1∼5체적% 범위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약2체적% 정도를 투입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같은 섬유의 혼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의 갑작스런 파괴, 취성파괴를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인장강도 등을 증가시켜 인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섬유의 혼입효과는 1%정도부터 발휘되고, 혼입량이 많을수록 그 효과는 뛰어나지만 혼입량이 증가하면 경제성, 시공성 저하 등 문제가 뒤따르며, 5%까지는 배합이 가능하나, 그 이상부터는 배합이 거의 불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서 섬유로서 2% 정도를 혼입하여 사용하면 성능, 시공성 등을 감안할 때 가장 적절한 것이다.
또한, 사용가능 섬유로는 강섬유, PVA 섬유 이외에도 PE, PP, 셀룰로우스섬유 등도 사용이 가능하다.
이같이 섬유를 투입한 다음 20∼30rpm의 속도로 1∼2분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최종적으로 얻어지는 자기충전형 섬유 보강 시멘트 복합체 즉 고인성 콘크리트의 물성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의 제작>
위와 같은 고인성 콘크리트 제조가 가능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100)을 제작하게 된다.
상기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100)은 소정의 두께로 제작하되 패널 또는 보드 형태를 가지도록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100)은 외측면(110) 및 내측면(120)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상기 외측면(110)은 외부에 노출되며, 내측면(120)에는 일반적인 콘 크리트가 타설되어 충전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중요한 것은 상기 내측면(120) 표면에 콘크리트 지연경화제(130)가 도포 등의 방법으로 노출된다는 것이다.
이에 도 2와 같이, 내측면(120) 표면에 접하도록 추후 시간이 경과하여 타설된 콘크리트(200)는 경화가 지연된 고인성 콘크리트(100)와 그 경화시기를 맞출 경우 마치 한꺼번에 타설된 것과 같은 일체성 확보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콘크리트 경화를 지연시키기 위한 콘크리트 지연경화제(130)는 콘크리트 혼화제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그대로 이용하면 되고, 그 형성두께는 경화시기에 따라 실험을 통하여 적의 설정하면 된다.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을 이용한 구조물의 제작>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100)이 제작되면 그 내측면(120)에 콘크리트 지연 경화제(130)가 도포되도록 한 상태에서 그 내부에 콘크리트(200)가 타설되도록 한다.
예컨대, 구조물로서 외벽을 시공하기 위하여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은 1개 또는 복수개가 조립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이 조립된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100)은 그 내측면(120)에 콘크리트 지연경화제(130)가 형성되도록 함과 더불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와의 기계적 부착능력 증진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전단연결재(140)가 더 형성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콘크리트 지연경화제(130)에 의한 화학적 작용 및 전단연결 재에 의한 기계적 작용에 의하여 거푸집(100)과 타설된 콘크리트(200)의 일체성을 충분히 확보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도 3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위쪽에서 부터 반원형 전단연결재(141)로 형성될 수 도 있고, 반구형 전단연결재(142)로도 형성될 수도 있으며, 마지막으로 ㄷ 자형 전단연결재(143)로 형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전단연결재(140)가 매립되도록 콘크리트(200)를 거푸집 내부에 타설하게 되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내측면(120) 고인성 콘크리트와 타설된 콘크리트(200)은 서로 일체화되면서 경화될 수 있도록 함을 알 수 있다.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는 종래의 시멘트계 보드형 거푸집의 예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 내측면의 전단연결재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
110: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의 외측면
120: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의 내측면
130: 콘크리트 지연경화제
140: 전단연결재
200: 콘크리트

Claims (2)

  1. 구조부재로서의 콘크리트와 일체화되어 그 외부면을 구성하도록 제작된 콘크리트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거푸집의 외측면은 경화되도록 하되 내측면은 콘크리트 지연경화제의 형성에 의하여 그 내측면 표면이 완전 경화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완전 경화되지 않은 내측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상기 내측면의 고인성 콘크리트와 타설된 콘크리트의 경화시기가 서로 일치하여 함께 경화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인성 콘크리트는
    시멘트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4∼6:4∼1:2∼3의 중량비로 고로슬래그미분말, 플라이애쉬 및 메타카올린이 배합되어 이루어진 광물질 혼화재 10∼40 중량부, 100±5℃에서 절대건조상태로 만든 입경 5mm 이하인 모래 100∼130 중량부, 및 7∼10:1∼3의 중량비로 CSA계 팽창재 및 글로콜즈계 수축저감제가 배합되어 이루어진 수축 저감재 5∼10 중량부, 를 배합하여 자기충전형 결합재를 제조하는 제1 단계; 이와 동시에 혹은 순차적으로
    셀룰로오스계 증점제 0.1∼1.05중량%, 폴리카본산계 또는 멜라민계 고성능감수제 0.5∼4중량% 및 증류수 94.95∼99.4중량%로 구성된 고성능 배합수를 제조하는 제2 단계;
    상기 제2 단계에서 제조된 고성능 배합수와, 제1 단계에서 제조된 자기충전형 결합재의 중량비로서 고성능 배합수/자기충전형 결합재의 비가 0.2∼0.5의 범위를 만족하도록 상기 고성능배합수와 자기충전형 결합재를 혼합하여 시멘트 복합체를 제조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시멘트 복합체에 강섬유 또는 유기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을 시멘트 복합체의 체적비 기준으로 1∼5체적% 범위로 투입하여 혼합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20070084011A 2007-08-21 2007-08-21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0873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011A KR100873515B1 (ko) 2007-08-21 2007-08-21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011A KR100873515B1 (ko) 2007-08-21 2007-08-21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3515B1 true KR100873515B1 (ko) 2008-12-15

Family

ID=40372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011A KR100873515B1 (ko) 2007-08-21 2007-08-21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35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343B1 (ko) 2012-12-18 2014-07-16 주식회사 한화건설 탄소저감형 재료를 이용한 존치형 내화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CN115142769A (zh) * 2022-07-28 2022-10-04 广东中安人防股份有限公司 一种节镍型不锈钢板混凝土复合人防门及其制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066Y1 (ko) 2004-07-05 2004-09-23 성종건설 주식회사 수평,수직 구조를 갖는 일체형 콘크리트 구조물과 그부품 및 거푸집 지지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3066Y1 (ko) 2004-07-05 2004-09-23 성종건설 주식회사 수평,수직 구조를 갖는 일체형 콘크리트 구조물과 그부품 및 거푸집 지지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0343B1 (ko) 2012-12-18 2014-07-16 주식회사 한화건설 탄소저감형 재료를 이용한 존치형 내화거푸집 및 그 제조방법
CN115142769A (zh) * 2022-07-28 2022-10-04 广东中安人防股份有限公司 一种节镍型不锈钢板混凝土复合人防门及其制作方法
CN115142769B (zh) * 2022-07-28 2023-11-24 广东中安人防股份有限公司 一种节镍型不锈钢板混凝土复合人防门及其制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10738B1 (en) Self-prestressed reinforced concrete elements
EP2935145B1 (de) Baustoffzusammensetzung zur herstellung eines leichtbetons
JP2009203106A (ja) コンクリート躯体の曲げ補強用の高靱性ポリマーセメント、およびこの高靱性ポリマーセメント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躯体の曲げ補強工法
EP3308917B1 (en) Building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ing building material
US20230391670A1 (en) Hybrid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material
KR100826896B1 (ko) 압출성형을 위한 섬유보강 콘크리트 제조방법
CN112456868B (zh) 织物增强型水泥复合物和其制造方法
JP2008050213A (ja) 断面修復材及び断面修復工法
KR100873515B1 (ko) 고인성 콘크리트 거푸집을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178875B1 (ko) 고인성 콘크리트를 이용한 교량가설공법
JP4348331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体の補強構造および補強方法
JP4986924B2 (ja) 耐震補強方法
KR100659457B1 (ko) 영구거푸집 및 내화패널 겸용의 고강도 고인성 패널을사용한 고강도콘크리트 부재의 내화공법
JP5615015B2 (ja) 耐震補強構造及び耐震補強方法
CN107445551A (zh) 一种整体式声屏障立柱及其制作方法
KR20130075334A (ko) 비정질 강섬유 시멘트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JP5127668B2 (ja) 鋼床版構造及び鋼床版補強工法
JP5234609B2 (ja) コンクリートの温度応力ひび割れ分散打設工法
JP2008190117A (ja) 埋設型枠用ボード
JP2003321999A (ja) トンネルの補強方法
JP2017110399A (ja) プレキャスト床版、橋梁構造及び橋梁構造の形成方法
JP2005001959A (ja) セメント系断熱用パネル
JP6214393B2 (ja) 複数微細ひび割れ型繊維補強セメント複合材料
JP2015028281A (ja) 鉄筋補強セメント系構造体
KR100819168B1 (ko) 강섬유 보강 시멘트 복합체를 이용한 구조물최적 설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