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8128B1 - 입자상물질 포집재생여과기 장착차량의 배압 감응형 배기라인 - Google Patents

입자상물질 포집재생여과기 장착차량의 배압 감응형 배기라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8128B1
KR101178128B1 KR1020100006503A KR20100006503A KR101178128B1 KR 101178128 B1 KR101178128 B1 KR 101178128B1 KR 1020100006503 A KR1020100006503 A KR 1020100006503A KR 20100006503 A KR20100006503 A KR 20100006503A KR 101178128 B1 KR101178128 B1 KR 101178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articulate matter
outlet pipes
exhaust gas
pi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7055A (ko
Inventor
권영웅
Original Assignee
권영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웅 filed Critical 권영웅
Priority to KR1020100006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8128B1/ko
Publication of KR20110087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8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8128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es For Solid Components From Exhaus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관(11)과, 일단은 유입관(11)과 연통되고, 타단은 개구되어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제1,2유출관(12,12')으로 이루어진 배기관(10)와; 내부에 입자상물질를 포집하는 필터(21)와, 전원을 매개로 발열하는 전기히터(22)를 갖추고서, 제1,2유출관(12,12')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필터(21)에 포집된 입자상물질를 전기히터(22)를 통해 산화연소시키는 제1,2여과기(20,20')와; 제1,2유출관(12,12')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되, 제1,2여과기(20,20')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1,2유출관(12,12')의 내압을 측정하는 제1,2전방압력센서(30,30')와; 제1,2유출관(12,12')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되, 제1,2여과기(20,20')의 후방에 배치되어, 제1,2유출관(12,12')의 내압을 측정하는 제1,2후방압력센서(40,40')와; 제1,2유출관(12,12')에 개별적으로 개폐가능하게 내설되되, 제1,2전방압력센서(30,30')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1,2유출관(12,12')을 따라 이동하는 배기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1,2유량제어밸브(50,50')와; 제1,2전방압력센서(30,30')와 제1,2후방압력센서(40,40')로부터 압력측정값을 각각 수신받아, 제1,2여과기(20,20')의 전기히터(22) 및 제1,2유량제어밸브(50,50')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하나의 흡기관과 흡기관의 말단부에서 분기되는 제1,2유출관으로 구성된 배기관를 통해 배기가스를 효율적으로 유도되도록 하여, 배기가스의 내부압력으로 인한 출력저하 및 연비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제1,2여과기의 전방과 후방에 설치되는 제1,2전방압력센서와 제1,2후방압력센서를 통해 제1,2유출관의 내부압력을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제1,2여과기의 내부에 포집된 입자상물질의 연소시기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입자상물질로 인하여 제1,2여과기가 폐구되어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자상물질 포집재생여과기 장착차량의 배압 감응형 배기라인{Controller Sensing Exhaust-gas Pressure In Diesel Particulate Filter Equipped Vehicle}
본 발명은, 디젤자동차의 엔진구동시 발생되는 배기가스 내 유해배출물질을 효율적으로 분리배출하며, 배기가스의 압력 즉, 배압발생을 억제되도록 함으로서, 출력 및 연비를 개선할 수 있도록 된 입자상물질 포집재생여과기 장착차량의 배압 감응형 배기라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구동원인 엔진은 연료의 압축착화폭발로부터 자동차의 주행 출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이러한 엔진으로부터는 연료의 폭발 및 연소에 의한 배기가스가 불가피하게 발생된다.
상기 배기가스에는 통상 매연 또는 PM(Particular Matter)이라 불리는 입자상물질이 포함되며, 이러한 입자상물질은 대기중에 확산되어 공기오염 및 인체의 질병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기 때문에, 근래에 들어서는 환경보호를 위해 유해배기가스를 걸러내는 필터의 차량부착 의무화가 정책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상기 필터의 경우, 초기에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상물질이 필터를 통과하는 과정에 대부분 포집되지만, 일정시간이 지난 이후에는 입자상물질이 서서히 필터에 쌓이게 되면서 배기가스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며, 이로 인한 배압의 상승작용으로 엔진출력 저하 및 연비의 문제가 있으나, 이러한 경우 필터를 정기적으로 교체하거나,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필터세척작업을 진행하면 되지만, 필터가 비교적 고가여서 정기적인 교체가 힘들고, 필터세척작업 시에는 퇴적된 입자상물질이 부주의로 인해 쉽게 비산될 수 있어 입자상물질의 비산을 방지코자 설치된 필터의 효과가 무용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근래에 들어서는 배기라인의 말단부에 입자상물질 포집 재생여과기(DPF:Diesel Particulate Filter)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입자상물질 포집 재생여과기(DPF:Diesel Particulate Filter)는, 내부에 배기가스의 입자상물질을 포집할 수 있도록 된 필터와; 필터의 전방에 설치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가열되어 필터에 포집된 입자상물질을 태워 연소하는 전기히터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입자상물질 포집 재생여과기(DPF:Diesel Particulate Filter)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특수처리된 고가의 필터에 일정기간 입자상물질을 포집하고, 일정시간이 경과된 이후에 차량의 배터리전원을 이용하여 전기히터를 작동시켜, 필터에 포집된 입자상물질을 산화시켜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의 엔진에서 배기된 배기가스는 배기라인을 통해 입자상물질 포집 재생여과기(DPF:Diesel Particulate Filter)의 내부로 유입되어 필터와 전기히터에 의해 유해가스와 입자상물질이 제거된 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배기라인에 설치된 입자상물질 포집 재생여과기(DPF:Diesel Particulate Filter)는, 입자상물질에 의해 필터가 막힘에 따라 배기가스가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전기히터에 의해 필터에 포집된 입자상물질이 완전연소될 때까지는 배기라인에 내부압력이 지속적으로 증가되어 엔진에 악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엔진에 노킹이 발생되거나 출력이 저하되어 연비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양방향으로 분기되는 유출관을 통해 자동차의 엔진 구동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효율적인 유도하여 종래와 같이 배기가스의 내부압력으로 인한 출력저하 및 연비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함으로써, 고효율의 출력을 유도할 수 있는 입자상물질 포집재생여과기 장착차량의 배압 감응형 배기라인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관과, 일단은 유입관과 연통되고, 타단은 개구되어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제1,2유출관으로 이루어진 배기관와;
내부에 입자상물질을 포집하는 필터와, 전원을 매개로 발열하는 전기히터를 갖추고서, 제1,2유출관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필터에 포집된 입자상물질를 전기히터를 통해 산화연소시키는 제1,2여과기와;
제1,2유출관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되, 제1,2여과기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1,2유출관의 내압을 측정하는 제1,2전방압력센서와;
제1,2유출관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되, 제1,2여과기의 후방에 배치되어, 제1,2유출관의 내압을 측정하는 제1,2후방압력센서와;
제1,2유출관에 개별적으로 개폐가능하게 내설되되, 제1,2전방압력센서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1,2유출관을 따라 이동하는 배기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1,2유량제어밸브와;
제1,2전방압력센서와 제1,2후방압력센서로부터 압력측정값을 각각 수신받아, 제1,2여과기의 전기히터 및 제1,2유량제어밸브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하나의 흡기관과 흡기관의 말단부에서 분기되는 제1,2유출관으로 구성된 배기관을 통해 배기가스를 효율적으로 유도되도록 하여, 배기가스의 내부압력으로 인한 출력저하 및 연비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제1,2여과기의 전방과 후방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는 제1,2전방압력센서와 제1,2후방압력센서를 통해 제1,2유출관의 내부압력을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제1,2여과기의 막힘율과 내부에 포집된 입자상물질의 연소시기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기 때문에, 입자상물질로 인하여 제1,2여과기가 폐구되어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자상물질 포집재생여과기 장착차량의 배압 감응형 배기라인의 제1실시 예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자상물질 포집재생여과기 장착차량의 배압 감응형 배기라인의 제1실시 예에서 일부구성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보인 블럭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자상물질 포집재생여과기 장착차량의 배압 감응형 배기라인의 제1실시 예를 보인 작동관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자상물질 포집재생여과기 장착차량의 배압 감응형 배기라인의 제2실시 예를 보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입자상물질 포집재생여과기 장착차량의 배압 감응형 배기라인의 제3실시 예를 보인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자상물질 포집재생여과기 장착차량의 배압 감응형 배기라인의 제3실시 예에서 일부구성 간의 상호 연관관계를 보인 블럭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자상물질 포집재생여과기 장착차량의 배압 감응형 배기라인의 제1실시 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상물질 포집재생여과기 장착차량의 배압 감응형 배기라인은,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관(11)과, 일단은 유입관(11)과 연통되고, 타단은 개구되어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제1,2유출관(12,12')으로 이루어진 배기관(10)과; 제1,2유출관(12,12')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필터(21)에 포집된 입자상물질를 전기히터(22)를 통해 산화연소시키는 제1,2여과기(20,20')와; 제1,2유출관(12,12')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되, 제1,2여과기(20,20')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1,2유출관(12,12')의 내압을 측정하는 제1,2전방압력센서(30,30')와; 제1,2유출관(12,12')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되, 제1,2여과기(20,20')의 후방에 배치되어, 제1,2유출관(12,12')의 내압을 측정하는 제1,2후방압력센서(40,40')와; 제1,2유출관(12,12')에 개별적으로 개폐가능하게 내설되되, 제1,2전방압력센서(30,30')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1,2유출관(12,12')을 따라 이동하는 배기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1,2유량제어밸브(50,50')와; 제1,2전방압력센서(30,30')와 제1,2후방압력센서(40,40')로부터 압력측정값을 각각 수신받아, 제1,2여과기(20,20')의 전기히터(22) 및 제1,2유량제어밸브(50,50')의 동작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며, 이를 도 1 및 도 4와 같이 도시하였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배기관(10)의 유입관(11)에는 공지의 공명형 소음기(100)가 설치되고, 제1,2유출관(12,12')에는 공지의 팽창형 소음기(110)가 설치된다.
상기 공지의 공명형 소음기(100)는, 내부에 축소 및 확대되는 수많은 구멍을 크기와 배열을 다르게 형성하여 배치한 장치로, 이러한 공명형 소음기(100)에 의해 엔진으로부터 발생된 소음 및 진동이 크게 감쇄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지의 팽창형 소음기(110)는, 내부에 단면적이 축소 및 확대되는 다수개의 격실을 만들어 소음에 대한 공기 저항값을 변환하여 감응하는 장치이다.
상기 유입관(11)의 선단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공지의 공명형 소음기(100)가 설치되고, 공명형 소음기(100)의 선단에는 엔진의 배기라인(1)이 설치된다.
상기 제1,2유출관(12,12')에 설치되어, 필터(21)에 포집된 입자상물질을 전기히터(22)를 통해 산화연소시키는 제1,2여과기(20,20')는, 내부에 입자상물질을 포집하는 필터(21)와; 전원을 매개로 발열하는 전기히터(22)로 구성된다.
상기 제1,2여과기(20,20')는 공지의 입자상물질 포집 재생여과기(DPF:Diesel Particulate Filter)로서, 내부에 설치된 필터(21)를 통해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상물질를 포집하고, 필터(21)의 전방에 인접하게 설치된 전기히터(22)를 통해 필터(21)에 포집된 입자상물질를 산화연소시켜 배출한다.
상기 전기히터(22)의 경우 이후에 설명되는 제어부(6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데, 상기 제어부(60)는 통상의 전자제어장치(ECU:electronic control unit)이다.
상기 제1,2여과기(20,20')의 전방과 후방에는 제1,2전방압력센서(30,30')와 제1,2후방압력센서(40,40')가 각각 설치되어 제1,2유출관(12,12')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며, 측정된 결과값을 제어부(60)에 지속적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제1,2유출관(12,12')에 설치된 제1,2전방압력센서(30,30')의 전방에는 제1,2유량제어밸브(50,50')가 설치가 되어 제1,2유출관(12,12')을 따라 이동하는 배기가스의 유량을 단속하게 된다.
상기 제1,2유량제어밸브(50,50')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지만, 통상 제1,2유출관(12,12')의 직경보다 조금 작은 개폐판과, 개폐판을 축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액츄에이터로 구성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렉과 피니언 같은 동력전달수단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제1,2유량제어밸브(50,50')를 하나의 구동액츄에이터로 제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상물질 포집재생여과기 장착차량의 배압 감응형 배기라인의 제1실시 예에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엔진으로부터 배출된 배기가스와 진동 및 소음은 배기라인(1)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이동되는 과정에 공명형 소음기(100)를 거치게 되는데, 이때 진동은 대부분 흡수되고, 배기가스와 일부 소음은 그대로 통과되며, 통과된 일부 소음 및 배기가스는 유입관(11)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유입관(11)으로 이동된 배기가스는 유입관(11)의 말단에서 양방향으로 갈라지는 제1,2유출관(12,12')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최초 제1유출관(12)에 설치된 제1유량제어밸브(50)는 개방되어 있어 배기가스가 무난히 통과하게 되지만, 제2유출관(12')에 설치된 제2유량제어밸브(50')는 폐구되어 있기 때문에 배기가스가 통과되지 못하고 정체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유출관(12)을 따라 이동된 배기가스는 제1여과기(20)을 통과하는 과정에 배기가스에 포함된 입자상물질 즉, 매연 또는 PM(Particular Matter)은 필터(21)에 포집되고, 무해한 가스만이 제1여과기(20)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제1여과기(2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설치된 제1전방압력센서(30)와 제1후방압력센서(40)는 제1유출관(12)의 내부압력을 지속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값을 제어부(60)로 전달하게 된다.
만약, 상기 제1여과기(20)의 필터(21)가 입자상물질로 인하여 막히게 되면, 제1전방압력센서(30)는 서서히 압력이 증가하게 되고, 제1후방압력센서(40)는 반대로 압력이 낮아지게 되는데, 이를 제어부(60)에서 비교 판단 즉, 설정된 압력 값을 판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60)는 제1유량제어밸브(50)로 동작신호를 전달하게 되고, 제어부(60)로부터 동작신호를 전달받은 제1유량제어밸브(50)는 개방된 상태를 폐구되도록 하되, 제1유출관(12)을 전부 폐구하는 것이 아니라 배기가스의 일부만은 유입될 수 있도록 약간은 개방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60)는 제1여과기(20)의 필터(21)에 인접하게 설치된 전기히터(22)를 작동제어하여 전기히터(22)를 고온으로 가열되도록 하고, 고온으로 가열된 전기히터(22)를 통해 필터(21)에 포집된 입자상물질을 산화연소시켜, 입자상물질로 인해 막혀 있는 필터(21)를 재생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60)는 제2유출관(12')을 폐구하고 있는 제2유량제어밸브(50')의 상태를 해제시켜 주기 위하여 제2유량제어밸브(50')로 동작신호를 전달하고, 동작신호를 전달받은 제2유량제어밸브(50')는 작동제어하여 개방되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배기가스는 막힘 없이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도 2 내지 도 3과 같이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제1유출관(12)에 설치된 제1전방압력센서(30)의 압력과 제1후방압력센서(40)의 압력이 같아졌다는 것을 제어부(60)가 판단하게 되면, 제1유량제어밸브(50)에 의해 약간 개방되어 있던 제1유출관(12)을 완전 폐구하여 더 이상의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도 4와 같이 도시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반복적인 과정을 통해 배기가스의 압력으로 인한 연비 및 출력이 떨어지는 문제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자상물질 포집재생여과기 장착차량의 배압 감응형 배기라인의 제2실시 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상물질 포집재생여과기 장착차량의 배압 감응형 배기라인의 제2실시 예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 예의 구성과 전부 동일하며, 다만, 배기관(10)의 형상을 조금 달리하고 있는데,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배기관(10)의 제1,2유출관(12,12')의 말단부에 일단이 각각 연통되고, 타단이 상호 연결되는 제1,2유입관(81,81')과; 일단이 상호 연결된 제1,2유입관(81,81')의 타단과 상호 연통되고, 타단이 개구된 배출관(82)이 보강 구비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실시 예와 구성이 전부 동일함으로 작동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자상물질 포집재생여과기 장착차량의 배압 감응형 배기라인의 제3실시 예를 보인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입자상물질 포집재생여과기 장착차량의 배압 감응형 배기라인의 제3실시 예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 예의 구성과 전부 동일하며, 다만, 제1,2전방압력센서(30,30')와 제1,2유량제어밸브(50,50') 사이에 제1,2온도센서(90,90')가 보강 구비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제1,2유량제어밸브(50,50')를 유입관(11)의 말단에서 분기되는 제1,2유출관(12,12')의 선단부에 각각 설치하여 줌으로서, 배기가스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유동을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참고로, 제1실시 예 및 제2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1,2유출관(12,12')에 설치되는 제1,2유량제어밸브(50,50')가 유입관(11)에 인접하게 설치되지 않고, 이격되게 설치되면, 초기 제1유량제어밸브(50)가 개방된 제1유출관(12)으로는 배기가스가 원활하게 흐르지만, 제2유량제어밸브(50')에 의해 폐구되어 있는 제2유출관(12')으로는 배기가스가 흐르지 못하여 서서히 정체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따라서, 제2유출관(12')의 배기가스에 정체현상으로 인해 제1유출관(12)으로 흘러야할 배기가스의 흐름이 정체중인 배기가스와 상호 간섭이 일어나 원활하게 흐르지 못하게 되고, 이러한 간섭에 의해 제1유출관(12)의 내압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제1,2유량제어밸브(50,50')를 유입관(11)의 말단에서 분기되는 제1,2유출관(12,12')의 선단에 각각 설치해 줌으로서, 배기가스의 흐름이 방해받지 않고 원활한 유동이 유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차량의 저속주행시 배출되는 배기가스량과 고속주행시 배출되는 배기가스량이 서로 다르고, 이때의 배기가스의 온도 역시 서로 다르다.
따라서, 상기 제1,2전방압력센서(30,30') 및 제1,2후방압력센서(40,40')만으로 제1,2유량제어밸브(50,50')를 제어하기보다는, 제1,2유출관(12,12')에 제1,2온도센서(90,90')를 설치하여, 압력값과 온도값을 서로 취합한 데이터를 가지고 제1,2유량제어밸브(50,50')의 개폐율을 개별적으로 제어해 줌으로서, 제1,2유량제어밸브(50,50')를 통해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유량을 좀 더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제1,2전방압력센서(30,30')와 제1,2유량제어밸브(50,50') 사이에 제1,2온도센서(90,90')를 각각 설치한 것을 기재 및 도시하고 있으나, 더욱더 정밀한 제어를 위하여 필요에 따라 유입관(11)에 온도센서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참고로, 제1 내지 제3실시 예의 구성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1: 배기라인 10: 배기관
11: 유입관 12,12': 제1,2유출관
20,20': 제1,2여과기 21: 필터
22: 전기히터 30,30': 제1,2전방압력센서
40,40': 제1,2후방압력센서 50,50': 제1,2유량제어밸브
70: 제어부 81,81': 제1,2유입관
82: 배출관 90,90': 제1,2온도센서
100: 공명형 소음기 110: 팽창형 소음기

Claims (6)

  1.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관(11)과, 일단은 유입관(11)과 연통되고, 타단은 개구되어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제1,2유출관(12,12')으로 이루어진 배기관(10)와;
    내부에 입자상물질를 포집하는 필터(21)와, 전원을 매개로 발열하는 전기히터(22)를 갖추고서, 제1,2유출관(12,12')에 개별적으로 설치되어, 필터(21)에 포집된 입자상물질를 전기히터(22)를 통해 산화연소시키는 제1,2여과기(20,20')와;
    제1,2유출관(12,12')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되, 제1,2여과기(20,20')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1,2유출관(12,12')의 내압을 측정하는 제1,2전방압력센서(30,30')와;
    제1,2유출관(12,12')에 개별적으로 설치되되, 제1,2여과기(20,20')의 후방에 배치되어, 제1,2유출관(12,12')의 내압을 측정하는 제1,2후방압력센서(40,40')와;
    제1,2유출관(12,12')에 개별적으로 개폐가능하게 내설되되, 제1,2전방압력센서(30,30')의 전방에 배치되어, 제1,2유출관(12,12')을 따라 이동하는 배기가스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1,2유량제어밸브(50,50')와;
    제1,2전방압력센서(30,30')와 제1,2후방압력센서(40,40')로부터 압력측정값을 각각 수신받아 제1,2여과기(20,20')의 전기히터(22) 및 제1,2유량제어밸브(50,50')를 개별적으로 동작제어하여 제1,2유출관(12,12')의 내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되,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전환시 제1전방압력센서(30)와 제1후방압력센서(40) 또는 제2전방압력센서(30')와 제2후방압력센서(40')로부터 측정된 압력 값이 서로 동일해 질 때까지 배기가스가 계속 유입될 수 있도록 제1유량제어밸브(50) 또는 제2유량제어밸브(50')의 개방상태를 유지토록 하고, 제1전방압력센서(30)와 제1후방압력센서(40) 또는 제2전방압력센서(30')와 제2후방압력센서(40')로부터 측정된 압력 값이 서로 동일해지면 더 이상의 배기가스가 유입되지 않도록 제1유량제어밸브(50) 또는 제2유량제어밸브(50')에 의해 제1유출관(12) 또는 제2유출관(12')의 내부가 완전히 폐구되도록 동작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물질 포집재생여과기 장착차량의 배압 감응형 배기라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10)에는, 일단이 제1,2유출관(12,12')의 말단부와 각각 연통되고, 타단이 상호 연결되는 제1,2유입관(81,81')과, 일단이 상호 연결된 제1,2유입관(81,81')의 타단과 상호 연통되고, 타단이 개구된 배출관(82)이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물질 포집재생여과기 장착차량의 배압 감응형 배기라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전방압력센서(30,30')와 제1,2유량제어밸브(50,50') 사이에 개별적으로 배치되어, 배기가스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1,2온도센서(90,90')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물질 포집재생여과기 장착차량의 배압 감응형 배기라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관(11)에는 공명형 소음기(100)가 더 보강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물질 포집재생여과기 장착차량의 배압 감응형 배기라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유출관(12,12')의 말단부에는 팽창형 소음기(110)가 더 보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물질 포집재생여과기 장착차량의 배압 감응형 배기라인.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82)에는 팽창형 소음기(110)가 더 보강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자상물질 포집재생여과기 장착차량의 배압 감응형 배기라인.
KR1020100006503A 2010-01-25 2010-01-25 입자상물질 포집재생여과기 장착차량의 배압 감응형 배기라인 KR101178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503A KR101178128B1 (ko) 2010-01-25 2010-01-25 입자상물질 포집재생여과기 장착차량의 배압 감응형 배기라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503A KR101178128B1 (ko) 2010-01-25 2010-01-25 입자상물질 포집재생여과기 장착차량의 배압 감응형 배기라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055A KR20110087055A (ko) 2011-08-02
KR101178128B1 true KR101178128B1 (ko) 2012-08-29

Family

ID=44925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503A KR101178128B1 (ko) 2010-01-25 2010-01-25 입자상물질 포집재생여과기 장착차량의 배압 감응형 배기라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81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95649A (zh) * 2015-05-28 2015-09-09 中国汽车技术研究中心 汽油机双路并联颗粒物过滤系统及再生方法
KR101689014B1 (ko) * 2015-06-04 2016-12-2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산업용 발전기의 운전 초기 매연 감소를 위한 소음기 겸용 집진장치
KR102158142B1 (ko) * 2019-02-15 2020-09-21 주식회사 다산에스엠 굴뚝의 배출가스 입경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055A (ko) 2011-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7609B2 (en) Diesel exhaust system variable backpressure muffler
JP2004019496A (ja) 内燃機関の排ガス浄化装置
KR101178128B1 (ko) 입자상물질 포집재생여과기 장착차량의 배압 감응형 배기라인
CN108716429B (zh) 一种可移动式且易再生的颗粒捕集装置
KR20090131023A (ko) 디젤엔진의 매연 정화장치
JP3186516B2 (ja) パティキュレートトラップ装置
JP2003286820A (ja) エンジンの排気浄化装置
KR100405437B1 (ko) 디젤 엔진의 배기 가스 후처리 장치
CN112112710B (zh) 内燃机的控制装置
JP2003279432A (ja) エンジンのガス圧検出装置及びパティキュレートフィルタの制御装置
JPH06241022A (ja) 排気浄化装置
JP3659067B2 (ja) 排気微粒子除去装置
JP2003222013A (ja) ディーゼルパティキュレートフィルタ装置
JP2003278540A (ja) エンジンのガス圧検出装置及びパティキュレートフィルタの制御装置
JP2003106138A (ja) 排気ガス浄化装置
KR20120074411A (ko) 배기가스 온도저감 시스템
KR101114386B1 (ko) 매연 저감 필터
JP6717250B2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H0612171Y2 (ja) ディーゼルエンジンの排気ガス浄化装置
JP3469175B2 (ja) 排気浄化装置の洗浄方法
JPH08189340A (ja) 消音機能付きバイパス管を備えたディーゼルパティキュレートフィルタ装置
EP0165922A1 (en) REGENERATION SYSTEM FOR SEPARATING FILTERS WITH DEVICE FOR REDUCING EXHAUST GAS.
KR20060098775A (ko) 디젤 엔진용 배기가스 정화장치
CN111412037A (zh) 一种基于微波加热再生的排气微粒捕集装置
JP3385820B2 (ja) パティキュレートトラッ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