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914B1 - 무선 신호 중계를 위한 증폭 장치 및 이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신호 중계를 위한 증폭 장치 및 이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914B1
KR101177914B1 KR1020100130228A KR20100130228A KR101177914B1 KR 101177914 B1 KR101177914 B1 KR 101177914B1 KR 1020100130228 A KR1020100130228 A KR 1020100130228A KR 20100130228 A KR20100130228 A KR 20100130228A KR 101177914 B1 KR101177914 B1 KR 101177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plifier
output
path
output uni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0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8554A (ko
Inventor
박기종
강대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젠알에프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젠알에프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젠알에프티
Priority to KR1020100130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914B1/ko
Publication of KR20120068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8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68Combinations of amplifiers, e.g. multi-channel amplifiers for stereophonic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20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 H03F3/2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211Power amplifiers, e.g. Class B amplifiers, Class C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using a combination of several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35Control of relay amplifier ga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중계기 모듈과 RF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며, 직렬 접속되는 복수의 증폭기를 포함하는 증폭부 및 직렬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의 입력 노드 및 출력 노드에 접속되어, 증폭부의 전원 공급 상태에 따라 입력 신호의 경로를 결정하는 경로 제어부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 중계를 위한 증폭 장치 및 이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를 제시한다.

Description

무선 신호 중계를 위한 증폭 장치 및 이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Amplifier for Relaying of Wireless Signal and Monitoring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신호 증폭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신호 중계를 위한 증폭 장치 및 이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및 방송 서비스는 통신 방식에 따라 각각의 주파수 대역을 할당받아 신호를 서비스한다. 아울러, 통신 및 방송 서비스가 인빌딩 환경에서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중계기 및 중계기의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라인 앰프를 사용하고 있다. 즉, 서비스 커버리지를 확장하고 음영 지역을 해소하기 위해 중계기를 이용하는 것이다.
중계기는 일반적으로 건물 외부에 설치되며, 중계기와 건물 내 통신 단말기 간의 신호는 RF 케이블을 통해 전달된다. 아울러, RF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의 감쇄를 보상하기 위해 라인 앰프가 이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중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중계 시스템은 중계기 모듈(10) 및 증폭 모듈(20)을 포함할 수 있다.
중계기 모듈(10)은 적어도 하나의 중계기를 포함하며, 서비스되는 통신 및 방송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각각의 중계기가 구비될 수 있다.
증폭 모듈(20)은 중계기 모듈(10)에 포함된 각 중계기와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증폭 장치(20-1~20-n)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증폭 장치의 일 예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증폭 장치(22)는 복수의 증폭기를 직렬 연결한 라인 앰프(220)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라인 앰프(220)를 구성하는 각각의 증폭기는 능동 소자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증폭 장치의 다른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증폭 장치는 협대역 단일 주파수를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주파수 공용 무선 시스템(Trunked Radio System; TRS)을 위한 증폭 장치이다. TRS에서는 송신 및 수신 주파수가 동일하므로 증폭 장치의 양 종단에 디바이더를 적용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증폭 장치(24)가 제 1 디바이더(241), 송신용 증폭 회로부(243), 제 2 디바이더(245) 및 수신용 증폭 회로부(247)를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송신용 증폭 회로부(243) 및 수신용 증폭 회로부(247) 각각은 라인 앰프 형태로 구성된다.
상술하였듯이 라인 앰프를 구성하는 각각의 증폭기는 능동 소자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증폭기에 대한 전원 공급이 중단될 경우 라인 앰프 전체가 동작하지 않게 된다. 전원 공급 중단 뿐 아니라 어느 하나의 증폭기에 불량이 발생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라인 앰프 전체가 동작을 멈추어 서비스 단절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라인 앰프는 건물내 미관 등의 이유로 건물 내벽에 설치된 후 마감재에 의해 차폐된다. 따라서, 라인 앰프가 동작하지 않을 경우 마감재를 제거하고 불량 원인을 찾아내야 한다.
건물 내의 특정 지역에서 통신 서비스 단절 현상이 발생한 경우를 가정하면, 서비스 단절 현상이 발생한 지역을 커버리지하는 라인 앰프에 대한 불량 여부를 확인하여야 할 것이다. 하지만,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라인 앰프는 복수의 증폭기를 직렬 연결하여 구성하기 때문에 불량이 발생한 경우 라인 앰프를 구성하는 각 증폭기에 대한 테스트 과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마감재 제거, 각 증폭기에 대한 테스트, 불량 원인 제거 및 마감재 재설치 등, 번거롭고 복잡한 절차가 진행될 수 밖에 없다.
더욱이, 불량 원인을 제거하기 전까지는 해당 지역에 서비스 단절 현상이 유지되므로 서비스 만족도 또한 저하된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은 라인 앰프를 구성하는 증폭기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더욱 심화될 것이다.
본 발명은 서비스 단절 현상 없이 무선 신호를 중계할 수 있는 증폭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증폭 장치의 상태를 용이하게 감시할 수 있는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 신호 중계를 위한 증폭 장치는 중계기 모듈과 RF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며, 직렬 접속되는 복수의 증폭기를 포함하는 증폭부; 및 직렬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의 입력 노드 및 출력 노드에 접속되어, 상기 증폭부의 전원 공급 상태에 따라 입력 신호의 경로를 결정하는 경로 제어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장치는 복수의 증폭기 및 상기 복수의 증폭기 각각에 구비되는 ID 출력부를 포함하는 증폭 장치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로서, 상기 ID 출력부는 상기 ID 출력부가 구비된 증폭기의 전원을 공통으로 입력받으며,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ID 출력부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는 제 1 증폭기; 발진부에서 제공되는 주파수에 따라 상기 제 1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 및 필터링 및 증폭된 상기 주파수 변환부의 출력 신호로부터 상기 ID 출력부 출력 신호의 발진 주파수를 검출하는 검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직렬 접속되는 복수의 증폭기를 포함하는 증폭부의 신호 전송 경로를 경로 제어부를 통해 우회시킨다. 즉, 증폭부에 전원 공급이 중단되거나 이상이 발생한 경우, 경로 제어부에 의해 생성되는 경로를 통해 중계기와 단말기 간에 신호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증폭부를 구성하는 증폭기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서비스 단절 현상 없이 중계기와 단말기 간에 무선 신호를 중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증폭부를 구성하는 증폭기 각각에 지정된 주파수의 신호를 발진하는 ID 출력부를 부착하여, ID 출력부로부터의 신호 전송 여부에 따라 증폭기의 이상 여부를 검출한다. 따라서 각각의 증폭기에 대한 테스트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증폭기 이상 발생 상황에 즉각적인 대처가 가능하여 보다 고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중계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증폭 장치의 일 예시도,
도 3은 일반적인 증폭 장치의 다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증폭 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경로 변경부의 일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증폭부의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증폭부의 구성도,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증폭부의 구성에 따른 모니터링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증폭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무선 신호 중계를 위한 증폭 장치(100)는 증폭부(110) 및 경로 제어부(120)를 포함한다.
증폭부(110)는 직렬 접속되는 복수의 증폭기를 포함하여, 중계기와 통신 단말기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신호 감쇄를 보상한다.
경로 제어부(120)는 증폭부(110)의 제 1 노드(A) 및 제 2 노드(B) 간에 접속되어, 전원 공급 상태에 따라 입력 신호의 경로를 결정한다. 여기에서, 제 1 노드(A) 및 제 2 노드(B) 간에는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가 직렬 접속될 수 있다. 아울러, 제 1 노드(A)는 증폭부(110)와 중계기 모듈(미도시)와의 접속 단자가 될 수 있고, 제 2 노드(B)는 증폭부(110)의 출력 단자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경로 제어부(120)는 증폭부(110)의 제 1 노드(A)에 접속되는 제 1 경로 변경부(122) 및 제 1 경로 변경부와 증폭부(110)의 제 2 노드(B) 간에 접속되는 제 2 경로 변경부(124)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경로 제어부(120)는 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는 신호의 전달 경로를 제 1 경로, 바람직하게는 증폭부(110)를 경유한 경로가 되도록 제어한다. 반면, 전원 공급이 중단된 상태에서는 신호의 전달 경로가 제 2 경로, 바람직하게는 경로 제어부(120)를 경유하도록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 1 및 제 2 경로 변경부(122, 124)는 전원 공급 여부에 따라 접점이 변경되는 스위치, 예를 들어 릴레이 스위치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한 경로 변경부의 일 예시도이다.
도 5는 릴레이 스위치를 이용한 경로 변경부(122, 124)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전자석(310), 스프링(320), 전자석(310)과 스프링(320)에 의해 접점(340, 350) 간을 운동하는 철편(330) 및 철편(330)이 운동하기 위한 축으로 작용하는 지지대(360)를 포함한다.
전자석(310)의 양 전극(a, b)에 전원이 공급되면, 전자석(310)이 자화되어 철편(330)을 끌어 당기고, 이에 따라 철편(330)이 제 1 접점(340)에 부착되어 제 1 경로를 형성한다. 반면, 전자석(310)에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전자석(310)은 자력을 읽고, 스프링(320)의 복원력으로 인해 철편(330)이 제 2 접점(350)으로 이동하여 제 2 경로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제 1 경로는 증폭부(110)와 접속되는 경로일 수 있고, 제 2 경로는 인접 경로 변경부와 접속되는 경로일 수 있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경로 변경부(122, 124)는 증폭부(110)에 공급되는 전원과 동일한 전원을 사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증폭부(110)에 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경우에는 철편(330)이 제 1 접점(340)으로 스위칭되어 중계기 또는 단말기로부터의 신호가 증폭부(110)를 통해 송수신된다. 증폭부(110)에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경우에는 철편(330)이 제 2 접점(350)으로 스위칭 되며, 중계기와 단말기 간의 신호는 경로 제어부(120)를 통해 송수신된다.
따라서, 증폭부(110)가 전원 공급 중단 등으로 동작을 멈춘 경우에도 경로 제어부(120)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결국, 증폭부(110)가 신호를 중계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하여도 서비스 단절 현상 없이 지속적인 신호 중계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는 증폭부(110)가 직렬 연결되는 복수의 증폭기를 포함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라인 앰프 형태의 모든 증폭기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단일 주파수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증폭부의 양 단에 디바이더를 구비한,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은 증폭부 또한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증폭부(110)에 불량이 발생한 경우 경로 제어부(120)를 통한 지속적인 서비스는 가능하지만, 결국 증폭부(110)로부터 불량 원인을 찾아내어 제거하는 작업은 불가결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제안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증폭부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증폭부(110-1)는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112-1~112-n)를 포함하며, 각각의 증폭기에는 ID 출력부(114-1~114-n)가 부착된다. 그리고, 각각의 ID 출력부(114-1~114-n)는 자신이 부착된 증폭기((112-1~112-n)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통으로 입력받는다.
ID 출력부(114-1~114-n)는 예를 들어 지정된 주파수의 발진 신호를 출력하는 PLL(Phase Locked Lopp) 회로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증폭기(112-1~112-n)에 부착된 ID 출력부(114-1~114-n)마다 동일하거나 고유한 발진 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증폭부(110-1)는 각각의 ID 출력부(114-1~114-n)가 지정된 발진 주파수에 따라 신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6)의 제어에 따라 각 ID 출력부(114-1~11-4n)는 동일하거나 각기 다른 주파수, 예를 들어 100KHz 단위로 제어된 발진 주파수에 의한 신호를 출력한다.
ID 출력부(114-1~114-n)가 부착된 증폭기(112-1~112-n)에 전원 공급이 중단된 경우, ID 출력부(114-1~114-n)는 자신에게 할당된 발진 주파수에 의한 신호를 출력하지 않게 되며, 후술할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ID 출력부(114-1~114-n)로부터의 신호 출력 여부를 판별하여 증폭기(112-1~112-n)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증폭부(110-1)는 DIP 스위치(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IP 스위치(118)를 온/오프하는 조작으로, ID 출력부(114-1~114-n)에 공급할 발진 주파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DIP 스위치(118)를 조작하면서, 증폭기(112-1~112-n)에 부착된 각 ID 출력부(114-1~114-n)로 발진 주파수를 전송하고, 후술할 모니터링 장치에 의해 발진 주파수를 검출하여 불량이 발생한 증폭기를 검출한다.
ID 출력부(114-1~114-n)를 구비한 증폭기(112-1~112-n)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증폭기에 부착된 ID 출력부(114-1~114-n)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이상이 발생한 증폭기를 판별할 수 있는 모니터링 장치의 도입이 요구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모니터링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모니터링 장치(40)는 제 1 증폭기(401), 발진부(402), 주파수 변환부(403), 필터(404), 제 2 증폭기(405) 및 검출부(406)를 포함한다.
제 1 증폭기(401)는 ID 출력부(114-1~114-n)로부터 발진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하고, 발진부(402)는 중간 주파수(IF) 대역의 신호를 주파수 변환부(403)로 제공한다.
주파수 변환부(403)는 입력 신호 및 발진부(402)에서 공급되는 신호를 믹싱하여 주파수 하향 변환을 수행하며, 필터(404)는 주파수 변환부(403)의 출력 신호를 필터링한다.
아울러, 필터(404)의 출력 신호는 제 2 증폭기(405)에서 다시 증폭된 후 검출부(406)로 입력된다.
검출부(406)는 제 2 증폭기(405)에서 증폭된 신호로부터 어떤 발진 주파수의 신호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한다.
각 ID 출력부(114-1~114-n)는 각기 다른 발진 주파수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검출부(406)에서 어떤 발진 신호의 주파수가 모니터링 장치(40)로 수신되었는지 검출할 수 있으므로, 발진 신호를 출력하지 못한 증폭기를 용이하게 검출해 낼 수 있게 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각 ID 출력부(114-1~114-n)는 동일한 발진 주파수에 의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DIP 스위치(118)를 조작하여 각 ID 출력부(114-1~114-n)를 순차적으로 구동시킨다. 운용자는 모니터링 장치(40)를 소지하고 DIP 스위치(118)에 의해 구동된 ID 출력부(114-1~114-n) 즉, 증폭기에 접근하여 ID 출력부(114-1~114-n)로부터 신호가 전송되는지 확인함으로써 증폭기의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각 ID 출력부(114-1~114-n)가 각기 다른 발진 주파수에 의한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모든 ID 출력부(114-1~114-n)를 동시에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모니터링 장치(40)의 발진부(402)는 발진 주파수를 순차적으로 변경하여 주파수 변환부(403)로 제공한다. 그리고, 검출부(406)는 주파수 변환된 신호로부터 입력 신호의 발진 주파수를 확인하여 불량이 발생한 증폭기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각 증폭기에 ID 출력부를 부착하여 불량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방법 또한 고려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증폭부의 구성도이다.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증폭부(110-2)는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112-1~112-n)를 포함하며, 각각의 증폭기에는 ID 출력부(114-1~114-n)가 부착된다.
이에 더하여, 각 증폭기(112-1~112-n)의 입력 단자와 ID 출력부(114-1~114-n)의 출력 단자 간에 접속되는 복수의 디바이더(119-1~119-n)를 더 포함한다. 각각의 디바이더(119-1~119-n))는 ID 출력부(114-1~114-n)의 출력 신호를 분배하여 공중으로 방사하는 한편, 중계기 모듈과 접속되는 전송 선로 즉, RF 케이블을 공통으로 사용하여 ID 출력부(114-1~114-n))의 출력 신호를 모니터링 장치(40)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모니터링 장치(40)가 RF 케이블을 통해 ID 출력부(114-1~114-n)의 신호를 전송받을 수 있다. 따라서, 모니터링 장치(40)의 검출부(406)는 RF 케이블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로부터 전송 선로의 이상 여부, 각 증폭기 간의 신호 감쇄량 등을 확인할 수 있어, 중계 시스템에 대한 유지 보수의 효율성이 향상된다.
도 9는 도 8에 도시한 증폭부의 구성에 따른 모니터링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각 중계기에 부착된 ID 출력부(114-1~114-n)의 출력 신호는 RF 케이블을 통해 모니터링 장치(40)로 제공된다.
모니터링 장치(40)의 검출부(406)는 RF 케이블을 통해 수신되는 ID 출력부(114-1~114-n)의 출력 신호로부터 RF 케이블의 이상 여부를 확인하여 전송 선로의 이상 여부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검출부(406)는 직렬 접속되는 각각의 증폭기에 접속된 ID 출력부(114-1~114-n)의 출력 신호를 수신함에 의해, 각 증폭기 사이의 신호 감쇄량 또한 확인한다. 따라서, 증폭기 간 신호 감쇄량을 고려하여 출력 전력을 제어하거나 신호 복조에 반영하는 등, 중계 시스템의 효율적인 유지 보수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증폭 장치
110 : 증폭부
120 : 경로 제어부
122, 124 : 경로 변경부
114-1~114-n : ID 출력부
40 : 모니터링 장치

Claims (14)

  1. 삭제
  2. 중계기 모듈과 RF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며, 직렬 접속되는 복수의 증폭기를 포함하는 증폭부; 및
    직렬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각각의 입력 노드 및 출력 노드 간에 상기 증폭기와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증폭부의 전원 공급 상태 여부에 따라 입력 신호의 경로를 결정하는 경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로 제어부는, 상기 입력 노드에 접속되는 제 1 경로 변경부; 및
    상기 제 1 경로 변경부와 상기 출력 노드 간에 접속되는 제 2 경로 변경부;
    를 포함하는 증폭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로 변경부 및 상기 제 2 경로 변경부 각각은 릴레이 스위치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증폭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 스위치는 상기 증폭부로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증폭부를 경유하도록 신호 전송 경로를 설정하고, 상기 증폭부에 전원 공급이 차단됨에 따라 상기 경로 제어부를 경유하도록 신호 전송 경로를 설정하는 증폭 장치.
  5. 중계기 모듈과 RF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며, 직렬 접속되는 복수의 증폭기를 포함하는 증폭부; 및
    직렬 접속되는 적어도 하나의 증폭기 각각의 입력 노드 및 출력 노드 간에 상기 증폭기와 병렬로 접속되어, 상기 증폭부의 전원 공급 상태 여부에 따라 입력 신호의 경로를 결정하는 경로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폭부는, 상기 복수의 증폭기 각각에 구비되는 ID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ID 출력부는 상기 ID 출력부가 구비된 증폭기에 공급되는 전원을 공통으로 인가받는 증폭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ID 출력부는 기 설정된 발진 주파수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PLL(Phase Locked Loop) 회로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증폭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ID 출력부의 발진 주파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증폭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접속되어 상기 발진 주파수를 변경하는 DIP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증폭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는, 상기 ID 출력부가 구비된 증폭기의 입력단과 상기 ID 출력부의 출력단 간에 접속되는 디바이더를 더 포함하는 증폭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더는 상기 ID 출력부의 출력 신호를 공중으로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RF 케이블로 출력하는 증폭 장치.
  11. 복수의 증폭기 및 상기 복수의 증폭기 각각에 구비되는 ID 출력부를 포함하는 증폭 장치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로서, 상기 ID 출력부는 상기 ID 출력부가 구비된 증폭기의 전원을 공통으로 입력받으며,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ID 출력부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증폭하는 제 1 증폭기;
    발진부에서 제공되는 주파수에 따라 상기 제 1 증폭기의 출력 신호를 변환하는 주파수 변환부; 및
    필터링 및 증폭된 상기 주파수 변환부의 출력 신호로부터 상기 ID 출력부 출력 신호의 발진 주파수를 검출하는 검출부;
    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부는 지정된 간격으로 주파수를 변경하여 상기 주파수 변환부로 순차적으로 제공하는 모니터링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장치는 상기 ID 출력부가 구비된 증폭기의 입력단과 상기 ID 출력부의 출력단 간에 접속되는 디바이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디바이더의 출력 신호를 무선 통신 경로 및 유선 통신 경로를 통해 수신하는 모니터링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장치는 RF 케이블을 통해 중계기 모듈과 접속되고, 상기 모니터링 장치는 상기 RF 케이블을 통한 유선 통신 경로를 통해 상기 디바이더의 출력 신호를 수신하는 모니터링 장치.
KR1020100130228A 2010-12-17 2010-12-17 무선 신호 중계를 위한 증폭 장치 및 이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KR101177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228A KR101177914B1 (ko) 2010-12-17 2010-12-17 무선 신호 중계를 위한 증폭 장치 및 이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0228A KR101177914B1 (ko) 2010-12-17 2010-12-17 무선 신호 중계를 위한 증폭 장치 및 이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554A KR20120068554A (ko) 2012-06-27
KR101177914B1 true KR101177914B1 (ko) 2012-08-28

Family

ID=46687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0228A KR101177914B1 (ko) 2010-12-17 2010-12-17 무선 신호 중계를 위한 증폭 장치 및 이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9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107A (ko) * 2015-04-07 2016-10-1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 중계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107A (ko) * 2015-04-07 2016-10-17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 중계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KR102337690B1 (ko) * 2015-04-07 2021-12-0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이동통신 중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8554A (ko) 201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5084B2 (en) Redundant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to ensure radio service quality under abnormal conditions
CN106912069B (zh) 分布式天线系统远端机及其上行信号链路检测方法、装置
JP4373361B2 (ja) 基地局
US6690916B1 (en) Radio network for radio communication in an enclosed environment and a repeater for such a radio network
KR101177914B1 (ko) 무선 신호 중계를 위한 증폭 장치 및 이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KR101275108B1 (ko) 자동인식형 파워 앰프 오류검사기능을 구비한 구내방송시스템
JP5604207B2 (ja) 放送送信装置
JP2008118428A (ja) 無線基地局装置
JPH10313271A (ja) 周波数選択形無線中継装置の異常発振検出回路
KR20060107645A (ko) 중계기와 그의 동작 방법 그리고 중계기 원격 조정/관리시스템 및 방법
JP2005244918A (ja) 中継局及び多段中継システム
JP2014220637A (ja)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装置及び無線基地局装置の障害要因を診断する方法
KR101825418B1 (ko) 중계 장치
KR101629955B1 (ko) 중계기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JP2012114552A (ja) 無線システム
JP5501817B2 (ja) 共同受信システム用診断システム
KR100335632B1 (ko) 이동통신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바이어스 스위칭을 이용한저잡음 증폭기 이중화 장치
JP3236760B2 (ja) 中継増幅システム
JP2005354465A (ja) 放送局用無線中継システム
KR20110119385A (ko) 소형 중계기의 발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중계기 장치
KR100992516B1 (ko) Rf 중계기의 발진 원인에 따른 자동 제어방법
KR20080038494A (ko) 티디디 방식의 알에프 중계기
KR19990070544A (ko) 무선가입자망용 기지국의 송수신 급전상태 감시장치
JPWO2006126344A1 (ja) 無線中継装置
KR101313688B1 (ko) 이동통신 중계기의 강전계 감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