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9385A - 소형 중계기의 발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중계기 장치 - Google Patents

소형 중계기의 발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중계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9385A
KR20110119385A KR1020100039062A KR20100039062A KR20110119385A KR 20110119385 A KR20110119385 A KR 20110119385A KR 1020100039062 A KR1020100039062 A KR 1020100039062A KR 20100039062 A KR20100039062 A KR 20100039062A KR 20110119385 A KR20110119385 A KR 20110119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peater
abnormal output
detected
output
abnorm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9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5693B1 (ko
Inventor
윤미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00039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693B1/ko
Publication of KR20110119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9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04Large scale networks; Deep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08Trunked mobile radio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댁내 무선 이동통신 서비스용 소형 중계기에서의 이상출력 및 발진을 감지하고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댁내 무선 이동통신 서비스용 소형 중계기에서의 발진 제어 방법으로서, (a) 상기 중계기의 이상출력 감지부에서 이상출력 발생시 이를 감지하는 단계; (b) 과입력 신호로부터 증폭기를 보호하고 불요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해진 일정한 레벨로 출력을 제한하는 자동레벨제어기(ALC: Automatic Level Control)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단계; (c) 상기 이상출력 감지부에서 소정 시간동안 이상출력이 감지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d) 소정 시간내에 이상출력이 감지될 경우 중계기의 동작을 차단하는 셧다운 처리를 수행하고,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자동레벨제어기를 다시 동작시키고 상기 중계기의 동작을 정상 가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형 중계기의 발진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소형 중계기의 발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중계기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oscillation in small repeater and repeater de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댁내 무선 이동통신 서비스용 소형 중계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 중계기에서의 이상출력 및 발진을 감지하고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 이동통신 서비스용 중계기는 전파 환경이 열악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의 거리가 멀 경우에 사용되며, 기지국과 이동국(이동통신 단말) 사이에서 중간 증폭 역할을 하여 해당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중계기는 안테나가 2개로 분리되어 존재하는데, 하나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이고 다른 하나는 수신되어 증폭된 신호를 출력하는 안테나이다. 이때, 안테나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가 다른 안테나를 통해 출력되고, 이 신호의 일부가 공간 또는 장애물에 의해 감쇄되어 다시 중계기의 입력 안테나로 수신되는 것을 차단하는 정도를 송수신 격리도(Ioslation)라고 한다. 통상, 송수신 격리도가 낮을 경우에 중계기에서 발진현상이 발생하는데, 증폭도가 클수록 더욱 발진현상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와 함께, 최근에는 중계기 중 일반 가정용이나 인빌딩 내 음영 지역에서의 무선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간단한 구조의 소형 댁내형 중계기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댁내형 소형 중계기는 지하 음영지역이나 외부와 차단된 고립지역에 설치되고 10m 와트 이하의 출력으로 서비스 범위자 좁다. 또한, 대부분 가입자와 가까운 곳에 설치되어 발진에 의한 불요파가 발생할 우려가 크므로 적절한 격리도의 확보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아울러, 이러한 소형 중계기는 그 구조가 단순하여 감시장치가 따로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 경우 중계기에서의 이상 출력이나 비정상 서비스 상황에 대한 파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따라서 후속 조치를 신속하게 취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중계기에서의 이상 출력에 대한 제어 관련 기능은 대부분 중계기 내에 기능이 구현되어 있으나, 그 기능과 구성이 매우 단순화되어 있어 다양한 무선 환경에 대응한 적절한 제어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는 실정이다.
위에서와 같이, 댁내형 소형 중계기는 부피와 중량을 줄인 간단한 구조로 구성을 단순화하다 보니, 다양한 무선 환경의 상황에 따라 기능을 달리하여 동작하여야 할 경우에, 단순한 구성과 알고리즘으로 인해 무선 환경의 다양한 비정상적 상황에 대하여도 단순 동작으로만 제어될 수밖에 없어 비상 상황에 대비하여 섬세하고 적절하게 대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한 것으로서, 기존의 댁내형 소형 중계기의 단순한 구성과 구조를 유지하면서, 제한된 구성과 기능을 활용한 알고리즘을 개선하여 다양한 무선 환경의 비정상적인 상황에 보다 적합하고 세밀한 반응으로 동작할 수 있는 소형 중계기와 이러한 중계기에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중계기의 발진 제어 방법은, 댁내 무선 이동통신 서비스용 소형 중계기에서의 발진 제어 방법으로서, (a) 상기 중계기의 이상출력 감지부에서 이상출력 발생시 이를 감지하는 단계; (b) 과입력 신호로부터 증폭기를 보호하고 불요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해진 일정한 레벨로 출력을 제한하는 자동레벨제어기(ALC: Automatic Level Control)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단계; (c) 상기 이상출력 감지부에서 소정 시간동안 이상출력이 감지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d) 소정 시간내에 이상출력이 감지될 경우 중계기의 동작을 차단하는 셧다운 처리를 수행하고,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자동레벨제어기를 다시 동작시키고 상기 중계기의 동작을 정상 가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댁내 무선 이동통신 서비스용 소형 중계기에서의 발진 제어 방법으로서, (a) 상기 중계기의 이상출력 감지부에서 이상출력 발생시 이를 감지하는 단계; (b) 과입력 신호로부터 증폭기를 보호하고 불요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해진 일정한 레벨로 출력을 제한하는 자동레벨제어기(ALC: Automatic Level Control)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단계; (c) 상기 중계기의 모드전환부를 통해 중계기의 동작을 슬립모드로 전환 처리하는 단계; (d) 소정 시간동안 슬립모드 상태에서 피드백 신호가 감지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e) 소정 시간내에 피드백 신호가 감지될 경우 중계기의 동작을 차단하는 셧다운 처리를 수행하고,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자동레벨제어기를 다시 동작시키고 상기 모드전환부를 통해 중계기의 동작을 일반모드로 전환 처리하여 상기 중계기의 동작을 정상 가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형 중계기의 발진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대향 안테나, 듀플렉서, 증폭기,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며, 발진 제어 기능이 탑재된 댁내 무선 이동통신 서비스용 소형 중계기 장치로서, 중계기에서의 이상출력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이상출력 감지모듈; 과입력 신호로부터 증폭기를 보호하고 불요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해진 일정한 레벨로 출력을 제한하는 자동레벨제어기(ALC: Automatic Level Control): 무선 신호 출력 레벨에 따라 자동으로 출력 레벨을 일정하게 조절해주는 자동레벨제어기(Automatic Level Control); 및 상기 이상출력 감지모듈에서 이상출력이 감지되면, 상기 자동레벨제어기의 동작을 중지시킨 후, 소정 시간동안 상기 이상출력 감지모듈을 통해 추가적인 이상출력이 감지되는지를 확인하여, 추가적인 이상출력이 감지될 경우 중계기의 동작을 차단하는 셧다운 처리를 수행하고, 추가적인 이상출력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자동레벨제어기를 다시 동작시키고 중계기의 동작을 정상 가동하는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소형 중계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댁내형 소형 중계기에서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이상출력과 격리도 미확보로 인한 발진현상에 따른 이상출력 상황을 중계기 자체에 구비된 자동레벨제어기(ALC)의 동작 차단을 통한 알고리즘으로 구분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원인 파악과 조치를 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소형 중계기에서의 ALC 동작 제어를 통한 내부 알고리즘만을 변형 또는 보완하는 것으로 효율적인 이상출력 감지 및 제어 처리를 수행할 수 있어 별도의 추가 장비나 구조의 변경에 따라 수반되는 비용 및 부피 증가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할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형 소형 중계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중계기의 발진 제어 방법의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형 중계기의 발진 제어 방법의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중계기의 발진 제어 방법에 따라 중계기 내부 장비들 사이에서의 제어 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댁내형 소형 중계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중계기 장치(100)는, 복수의 지향성 안테나(110), 듀플렉서(120), 증폭기(130), 신호 처리부(140), 자동레벨제어기(ALC: Automatic Level Control)(150), 이상출력 감지모듈((160), 모드전환 모듈(170), 제어 모듈(180) 등을 포함한다.
먼저, 일반적으로 무선 이동통신 중계기에서 이동통신의 역방향이라 함은 이동국(이동통신 단말)에서 기지국으로의 방향을 의미하고, 순방향이라 함은 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의 방향을 의미한다.
상기 복수의 지향성 안테나(110)는 이동국과 무선 신호를 주고받는 이동국 대향 안테나와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주고받는 기지국 대향 안테나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듀플렉서(120)는 안테나 공용기라고도 하며, 상기 복수의 안테나(11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의 송수신 주파수를 분리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통화의 혼선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듀플렉서(120)는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의 주파수차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일종의 대역 필터로 송신 신호와 수신 신호 사이의 상호간섭과 잡음을 최소로 억제하고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증폭기(130)는 입력신호의 에너지를 증가시켜 출력측에 큰 에너지의 변화로 출력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안테나(110) 및 상기 듀플렉서(120)를 통하여 수신한 무선 주파수를 재전송할 수 있을 정도로 증폭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신호 처리부(140)는 역방향 신호 처리부와 순방향 신호 처리부로 구분할 수 있으며,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 또는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무선 신호의 필터링, 이득 제어 및 주파수 변환 처리 등을 수행한다.
상기 자동레벨제어기(150)는 중계기에서의 무선 신호 중계 처리시에 과입력 신호로부터 증폭기를 보호하고 불요파(spurious)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해진 레벨로 출력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ALC(150)는 원하는 출력을 정해 놓고 루프를 돌면서 현재 출력이 정해진 출력과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여 차이가 있을 경우 정해진 레벨로 출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이상출력 감지모듈(160)은 중계기에서 발생하는 이상출력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이상출력이라 함은 중계기에서 수신하고 출력하는 적정 신호 이상의 과다한 출력이 발생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때에는, 중계기 외부에서 발생된 이상출력 신호일 수도 있고, 중계기 내부에서 발진 현상 등에 발생하는 이상출력 신호일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이상출력 감지모듈(160)은 중계기에서 발생한 출력이나 또는 중계기로 수신되는 신호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일 경우 이상출력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 상기 소정의 임계치는 중계기가 정상 동작할 때의 신호 출력 범위로 설정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이상출력 감지모듈(160)은 이상출력의 감지뿐 아니라 중계기가 슬립모드 상태일 때의 피드백 신호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모드전환 모듈(170)은 중계기의 동작 모드를 슬립모드 또는 정상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전환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중계기가 정상모드일 때에는 일반적인 중계기의 기능이 모두 활성화되어 정상적인 중계기의 처리 및 동작이 이루어지는 상태이다. 반면, 슬립모드는 중계기의 전원은 유지되지만 상당수의 중계기 기능이 중지되고 극히 일부분의 기능만이 활성화되어 중계기의 처리 및 동작이 부분적으로 이루어지는 상태이다.
상기 제어모듈(180)은 중계기의 각종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이상출력 발생과 같은 비정상적인 상황에서 중계기의 비상 제어 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제어모듈(180)은 상기 이상출력 감지모듈(160)에서 이상출력 발생을 감지할 경우 상기 ALC(150)의 동작을 중지시킨 후, 상기 이상출력 감지모듈(160)을 통해 일정 시간동안 또 다른 이상출력이 발생하는지를 탐지하도록 제어한다. 이때, 또 다른 이상출력이 발생하면 중계기의 동작을 차단하여 기능을 완전히 중지하도록 하는 셧다운 처리를 수행하고, 또 다른 이상출력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동작 중지되었던 상기 ALC(150)의 동작을 재개시키도 중계기도 정상 가동하도록 제어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와 같은 상기 제어모듈(180)에서의 제어 처리는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이상출력과 발진현상에 의해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이상출력 문제를 구분하여 대처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즉, 기존의 중계기에서 상기 ALC(150)가 동작할 때에는 계속적인 이상출력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ALC(150)의 기능으로 인해 바로 일정한 레벨로 출력이 조절되어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이상출력의 문제를 바로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어떠한 원인으로 과다한 이상출력이 중계기에 발생하게 되면, 상기 이상출력 감지모듈(160)에서 이상출력이 감지되지만, 그 이상출력이 일정한 간격으로 계속 발생하게 되면, 상기 ALC(150)의 동작으로 인해 출력이 조절되어 상기 이상출력 감지모듈(160)에서는 더 이상의 이상출력이 감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기존의 중계기나 기존의 중계기에서의 이상출력 제어 알고리즘으로는 별도의 추가 장비 없이는 상기 ALC(150)의 동작으로 인해 다양한 형태의 이상출력을 구분해낼 수 없거나 이상출력에 대하여 세밀하게 제어하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모듈(180)에서 이상출력 발생을 감지한 후, 상기 ALC(150)의 동작을 우선 중지시킨 후, 추가적인 이상출력이 감지되는지를 확인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ALC(150)로 인해 발진현상에 따른 계속적인 이상출력 발생을 감지할 수 없었던 문제를 해결하였다. 즉, 순간적인 일회성 이상출력과 격리도 미확보에 따른 발진현상에 의한 계속적인 이상출력을 구분하고 각각에 맞게 중계기의 동작을 제어처리하여 대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중계기(100)의 상기 제어모듈(180)에서 이상출력 발생에 대처하여 제어 처리하는 다양한 예는 추가 도면을 통해 후술할 다양한 제어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중계기의 발진 제어 방법의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중계기(100)의 이상출력 감지모듈(160)에서 이상출력 발생을 감지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이때에는 외부의 이동통신 단말에서 발생한 순간적인 이상출력 상황을 감지할 수도 있고, 중계기 내부 또는 중계기 구성 상태의 일부에서 격리도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한 상태에 발생하는 발진 현상에 따른 이상출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S10)
이렇게, 일단 이상출력이 감지되면 제어모듈(180)에서는 ALC(150)의 동작을 차단시키는 제어처리를 수행한다. 이는 ALC(150) 동작에 의해 이상출력 발생이 억제되어 이상출력임에도 이를 감지할 수 없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S11)
ALC(150)의 동작을 차단한 후에는 추가적으로 일정한 시간동안 또다시 이상출력이 발생하는지를 탐지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때에는 제어모듈(180)에서 이상출력 감지모듈(160)로 이상출력 탐지를 의뢰하도록 제어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또한, 이상출력을 탐지하는 시간은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0초로 탐지 시간을 설정한 경우에는 30초 동안 이상출력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S12)
이처럼, 위에서 정해진 시간동안 이상출력을 탐지하던 중 또다시 이상출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 이때에는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도록 이상출력이 감지되지 않는지 혹은 정해진 시간 내에 이상출력이 감지되는지를 판별하게 된다. 즉, 이상출력이 감지되지 않으면 단순한 일시적인 이상출력인 것으로 판단하고, 또다시 이상출력이 감지되면 발진 현상에 의한 계속적인 이상출력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13)
이와 같은 판단 결과 정해진 시간이 경과하여도 이상출력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S11 단계에서 동작을 차단했던 ALC(150)의 동작을 다시 재가동하도록 제어 처리하는 절차를 진행한다.(S14)
그 다음, 이상출력 발생에 따라 비상 제어 상황을 수행하던 중계기를 다시 정상 상태로 가동하도록 제어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이를 통해 중계기는 기존에 수행하던 중계기 처리를 정상적으로 다시 수행하게 된다. 즉, 일시적인 이상출력의 발생의 문제로 다시금 정상적인 중계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더라도 큰 문제가 없는 경우이다.(S15)
반면에, 상기 단계 S13에서 정해진 시간 내에 또 다른 이상출력이 감지될 경우에는 중계기의 동작을 완전히 중지하는 셧다운 처리를 진행하게 된다. 이때에는 중계기 내부 또는 구성의 이상으로 발진 현상이 발생하여 계속적으로 이상출력이 발생하는 문제인 경우이므로 중계기를 완전히 셧다운시킨 후, 점검 및 보수를 필요로 하도록 한다.(S16)
중계기 셧다운 처리 후에는 중계기의 고장 상태 및 이상 상태를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때에는 중계기의 외부에 표시할 수 있는 LED 등을 통해 고장 상태를 알리거나 비프음 등을 발생하여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게 된다.(S17)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형 중계기의 발진 제어 방법의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형 중계기의 발진 제어 방법은, 중계기(100)의 제어모듈(180)에서 이상출력 감지모듈(160)을 통해 이상출력이 감지될 경우 먼저, 중계기의 동작을 차단한 후 다시 동작시키는 리셋 처리를 수행한다.(S50,S51)
중계기 리셋 처리 후, 중계기가 다시 정상 동작하게 되면 정해진 시간 동안 추가로 이상출력이 다시 발생하는지를 탐지하게 되고, 이상출력이 다시 발생하지 않을 경우에는 계속해서 중계기를 정상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이때에도 다시 이상출력 감지모듈(160)을 통해 이상출력 발생이 감지될 경우에는 비상 제어 절차를 진행하도록 제어한다. 이러한 절차는, 중계기 오동작이나 이상출력 오감지 등의 문제로 이상출력 감지를 신뢰할 수 없을 경우에 대비한 것으로, 중계기 리셋 후 다시 이상출력을 감지하여 신뢰성을 높이는 절차이다.(S52)
이상출력 재발생을 감지하면, 비상 제어 절차를 진행하는데 먼저 ALC(150)의 동작을 차단하는 처리를 수행한다.(S53)
다음, 중계기의 모드전환 모듈(170)을 통해 중계기를 슬립모드로 전환하는 처리를 수행한다.(S54)
이와 함께, 중계기가 슬립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일정한 시간동안 피드백 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탐지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이는, 중계기가 슬립모드 상태일 경우에는 외부에서 발생하는 이상출력이 중계기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중계기 내부 문제로 발생하는 발진 현상 등에 의한 피드백 신호가 발생하는지를 확인하는 절차이다. 이를 통해, 외부 환경에 의한 단순 이상출력인지 중계기 내부 문제로 인한 발진 현상에 따른 계속적인 이상출력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즉, 피드백 신호가 발생하면 내부 발진 문제로 판단할 수 있고, 피드백 신호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외부 환경 문제로 인한 단순 이상출력으로 판단할 수 있다.(S55)
다음으로, 일정 시간동안 피드백 신호를 탐지하여, 해당 시간 내에 피드백 신호가 감지되는지, 해당 시간이 경과할때 까지 피드백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절차가 이루어진다.(S56)
상기의 판별 결과 피드백 신호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일반 단순 이상출력인 것으로 판단하고, ALC의 동작을 재가동하도록 제어하는 처리가 진행된다.(S57)
이와 함께, 중계기의 모드전환 모듈을 통해 중계기를 정상모드로 전환하는 처리를 제어한다.(S58)
이를 통해 중계기는 다시 정상 상태로 가동되어 이전까지의 중계기의 역할을 다시 수행하는 절차를 수행한다.(S59)
반면에, 상기 단계 S56에서 피드백 신호가 감지될 경우에는 중계기 내부 문제로 인한 계속적인 발진 현상에 의한 이상출력일 확률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피드백 신호의 탐지를 소정 회수 동안 반복하는 절차를 진행한다. 즉, 상기 단계 S55 내지 상기 단계 S56의 절차를 소정 회수 반복하여 진행해, 계속적으로 피드백 신호가 감지될 경우 발진 현상으로 판단하고, 소정 회수 내에 피드백 신호 더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발진 현상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이때의 피드백 신호 탐지를 반복하는 회수는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3회 정도로 설정하여 확인할 수 있다.(S60)
소정 회수 피드백 신호를 탐지한 경과, 계속해서 피드백 신호가 감지될 경우에는 발진 현상으로 판단하고 중계기의 동작을 완전히 중지시키는 셧다운 처리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후, 중계기의 보수 및 점검을 통해 발진 문제를 해결한 후에 중계기를 이용하도록 한다.(S61)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중계기의 발진 제어 방법에 따라 중계기 내부 장비들 사이에서의 제어 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살펴보면, 크게 이상출력 감지 모듈, 제어 모듈, ALC(자동레벨제어기), 모드전환 모듈로 이루어진 소형 중계기에서 이루어지는 발진 제어 처리 절차로, 먼저 중계기에서 이상출력이 발생하게 되면, 이상출력 감지모듈에서 이상출력의 발생을 감지한다.(a)
이상출력이 감지되면 이상출력 감지모듈에서는 제어모듈로 이상출력이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감지 신호를 전송한다.(b)
제어모듈에서는 ALC로 ALC 동작의 중지를 지시하는 OFF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c)
ALC는 OFF 제어 신호에 따라 ALC의 동작을 중지하고, 제어모듈로 ALC의 동작이 중지되었음을 알리는 OFF ack 신호를 전송한다.(d,e)
제어모듈은 또한 모드전환 모듈로 중계기의 모드를 슬립모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슬립 모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f)
모드전환 모듈은 슬립 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중계기를 슬립모드로 전환하고, 제어모듈로 중계기가 슬립 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리는 슬립 ack 신호를 전송한다.(g,h)
제어모듈은 ALC 및 모드전환 모듈로부터 ALC OFF 확인 신호와 슬립 모드 전환 확인 신호를 수신한 후, 이상출력 감지모듈로 이상출력을 탐지하도록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i)
여기서, 첫 번째 경우(1)로 외부 환경에 의한 단순 이상출력 발생으로 더 이상의 이상출력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를 가정하기로 한다.
이 경우(1) 이상출력 감지모듈은 일정 시간 동안 이상출력을 탐지하는 절차를 수행하지만, 해당 시간 내에 이상출력이 감지되지 않는다.(j)
제어모듈에서는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이상출력이 발생하지 않았으므로, 단순 이상출력으로 판단하고 ALC로 ALC의 동작을 다시 재가동하도록 지시하는 ON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k)
ALC는 ON 제어 신호에 따라 ALC의 동작을 다시 재가동하고, 제어모듈로 ALC의 동작이 재가동되었음을 알리는 ON ack 신호를 전송한다.(l,m)
제어모듈은 또한 모드전환 모듈로 중계기의 모드를 정상모드로 전환하도록 지시하는 정상모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n)
모드전환 모듈은 정상모드 제어 신호에 따라 중계기를 정상모드로 전환하고, 제어모듈로 중계기가 정상모드로 전환되었음을 알리는 정상 ack 신호를 전송한다.(o,p)
이러한 절차를 통해 외부 환경에 의한 일회성 단순 이상출력임을 구분해내고 중계기를 다시 정상적으로 운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반면에 두 번째 경우(2)로 내부 발진 현상에 의한 이상출력 발생으로 계속적으로 이상출력이 발생하는 상태를 가정하기로 한다.
이 경우(2) 이상출력 감지모듈은 일정 시간 동안 이상출력을 탐지하게 되면, 계속적으로 발생하는 이상출력을 감지하게 된다. 이때에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슬립 모드 상태에서 발생하는 피드백 신호를 감지할 수도 있다.(q)
이에 따라, 이상출력 감지모듈에서는 이상출력 또는 피드백 신호를 감지하였음을 알리는 감지 신호를 제어모듈로 전송한다.(r)
제어모듈에서는 일정 시간 내에 이상출력 또는 피드백 신호가 감지되었으므로, 내부 발진에 의한 이상출력으로 판단하고 중계기의 무리한 운용을 방지하기 위해 중계기를 셧다운 처리한다.(s)
이와 같이, 내부 발진에 의해 계속적으로 이상출력이 발생할 경우 중계기를 계속 운용하게 되면 중계기에 부하가 가중되고 이동통신 서비스 품질이 하락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중계기를 셧다운한 후 점검을 받거나 수리 또는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10 : 안테나 120 : 듀플렉서
130 : 증폭기 140 : 신호처리부
150 : ALC 160 : 이상출력 감지모듈
170 : 모드전환 모듈 180 : 제어모듈

Claims (10)

  1. 댁내 무선 이동통신 서비스용 소형 중계기에서의 발진 제어 방법으로서,
    (a) 상기 중계기의 이상출력 감지부에서 이상출력 발생시 이를 감지하는 단계;
    (b) 과입력 신호로부터 증폭기를 보호하고 불요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해진 일정한 레벨로 출력을 제한하는 자동레벨제어기(ALC: Automatic Level Control)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단계;
    (c) 상기 이상출력 감지부에서 소정 시간동안 이상출력이 감지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d) 소정 시간내에 이상출력이 감지될 경우 중계기의 동작을 차단하는 셧다운 처리를 수행하고,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자동레벨제어기를 다시 동작시키고 상기 중계기의 동작을 정상 가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형 중계기의 발진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이후에,
    (a1) 상기 중계기의 동작을 차단한 후 다시 재가동시키는 리셋 처리 단계; 및
    (a2) 소정 시간 경과 후 이상출력이 감지되는지를 확인하여, 이상출력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정상동작 처리하고, 이상출력이 감지될 경우 상기 단계 (b)의 절차를 진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중계기의 발진 제어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소정 시간내에 이상출력이 감지될 경우, 소정 회수에 한해 중계기의 동작을 차단한 후 다시 재가동시키는 리셋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단계 (b) 내지 상기 단계 (c)의 절차를 진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중계기의 발진 제어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출력 발생의 감지는,
    상기 중계기의 출력 신호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일 경우 이상출력이 발생한 것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중계기의 발진 제어 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중계기의 동작을 차단하는 셧다운 처리를 수행한 후에는,
    중계기의 고장 및 이상상태를 알리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중계기의 발진 제어 방법.
  6. 댁내 무선 이동통신 서비스용 소형 중계기에서의 발진 제어 방법으로서,
    (a) 상기 중계기의 이상출력 감지부에서 이상출력 발생시 이를 감지하는 단계;
    (b) 과입력 신호로부터 증폭기를 보호하고 불요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해진 일정한 레벨로 출력을 제한하는 자동레벨제어기(ALC: Automatic Level Control)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단계;
    (c) 상기 중계기의 모드전환부를 통해 중계기의 동작을 슬립모드로 전환 처리하는 단계;
    (d) 소정 시간동안 슬립모드 상태에서 피드백 신호가 감지되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e) 소정 시간내에 피드백 신호가 감지될 경우 중계기의 동작을 차단하는 셧다운 처리를 수행하고,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자동레벨제어기를 다시 동작시키고 상기 모드전환부를 통해 중계기의 동작을 일반모드로 전환 처리하여 상기 중계기의 동작을 정상 가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소형 중계기의 발진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 이후에,
    (a1) 상기 중계기의 동작을 차단한 후 다시 재가동시키는 리셋 처리 단계; 및
    (a2) 소정 시간 경과 후 이상출력이 감지되는지를 확인하여, 이상출력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정상동작 처리하고, 이상출력이 감지될 경우 상기 단계 (b)의 절차를 진행하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중계기의 발진 제어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e)에서,
    소정 시간내에 피드백 신호가 감지될 경우, 소정 회수에 한해 중계기의 동작을 차단한 후 다시 재가동시키는 리셋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단계 (b) 내지 상기 단계 (d)의 절차를 진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중계기의 발진 제어 방법.
  9. 대향 안테나, 듀플렉서, 증폭기,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며, 발진 제어 기능이 탑재된 댁내 무선 이동통신 서비스용 소형 중계기 장치로서,
    중계기에서의 이상출력 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이상출력 감지모듈;
    과입력 신호로부터 증폭기를 보호하고 불요파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해진 일정한 레벨로 출력을 제한하는 자동레벨제어기(ALC: Automatic Level Control):
    무선 신호 출력 레벨에 따라 자동으로 출력 레벨을 일정하게 조절해주는 자동레벨제어기(Automatic Level Control); 및
    상기 이상출력 감지모듈에서 이상출력이 감지되면, 상기 자동레벨제어기의 동작을 중지시킨 후, 소정 시간동안 상기 이상출력 감지모듈을 통해 추가적인 이상출력이 감지되는지를 확인하여, 추가적인 이상출력이 감지될 경우 중계기의 동작을 차단하는 셧다운 처리를 수행하고, 추가적인 이상출력이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자동레벨제어기를 다시 동작시키고 중계기의 동작을 정상 가동하는 제어 처리를 수행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소형 중계기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 처리에 따라 중계기의 동작을 슬립모드 또는 정상모드로 전환 처리하는 모드전환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이상출력이 감지되면, 상기 자동레벨제어기의 동작을 중지시킴과 함께 상기 모드전환 모듈을 통해 중계기의 동작을 슬립모드로 전환 처리한 후, 소정 시간동안 슬립모드 상태에서 피드백 신호가 감지되는지를 확인하여, 피드백 신호가 감지될 경우 중계기의 동작을 차단하는 셧다운 처리를 수행하고, 피드백 신호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 상기 자동레벨제어기를 다시 동작시키고 상기 모드전환 모듈를 통해 중계기의 동작을 일반모드로 전환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중계기 장치.
KR1020100039062A 2010-04-27 2010-04-27 소형 중계기의 발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중계기 장치 KR101615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062A KR101615693B1 (ko) 2010-04-27 2010-04-27 소형 중계기의 발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중계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9062A KR101615693B1 (ko) 2010-04-27 2010-04-27 소형 중계기의 발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중계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9385A true KR20110119385A (ko) 2011-11-02
KR101615693B1 KR101615693B1 (ko) 2016-04-27

Family

ID=45390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9062A KR101615693B1 (ko) 2010-04-27 2010-04-27 소형 중계기의 발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중계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6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4352B2 (en) 2014-12-30 2019-09-03 Solid, Inc. Interference cancellation repea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1902B1 (ko) * 2016-12-22 2018-11-13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통신 중계 장치 및 그 전력 증폭 이득 자동 설정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8090A (ko) * 2005-12-01 2007-06-07 주식회사 액티패스 중계기의 발진 감지 제어장치
KR20070087970A (ko) * 2006-02-24 2007-08-29 (주) 엘지텔레콤 무선 중계기의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장치와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8090A (ko) * 2005-12-01 2007-06-07 주식회사 액티패스 중계기의 발진 감지 제어장치
KR20070087970A (ko) * 2006-02-24 2007-08-29 (주) 엘지텔레콤 무선 중계기의 발진 감지 및 경보 제어장치와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04352B2 (en) 2014-12-30 2019-09-03 Solid, Inc. Interference cancellation repea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15693B1 (ko)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7885B1 (ko) 이동전화중계기의감시방법및감시장치
CN106912069B (zh) 分布式天线系统远端机及其上行信号链路检测方法、装置
KR20070068079A (ko) 알에프 중계기
JP2000286786A (ja) 無線中継装置
WO201910384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operation of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10119385A (ko) 소형 중계기의 발진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중계기 장치
JP2004520781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無線中継装置
JP2010004515A (ja) 中継送受信装置、および、移動体通信システム
JP2001229474A (ja) 受信回路及びそれを用いた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H0998130A (ja) 無線中継装置の異常発振検出回路
KR100763754B1 (ko) 자동 이득 설정 중계기 및 방법
KR100728682B1 (ko) 안테나 성능 감지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동작방법
KR101629955B1 (ko) 중계기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KR100682714B1 (ko) 이동통신 무선 중계기의 역방향 노이즈 검출 장치 및 그방법
KR20150071381A (ko) 발진 검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중계기
KR20070058749A (ko) 무선 중계기의 발진과 격리도 감시 장치 및 방법
JP2006223677A (ja) 電気機器及びガス機器制御システム
KR101022322B1 (ko)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1177914B1 (ko) 무선 신호 중계를 위한 증폭 장치 및 이를 위한 모니터링 장치
KR100989917B1 (ko) 중계기 관리 장치 및 방법
JP2008205576A (ja) 無線中継増幅装置
JP2019046135A (ja) 地震報知システム
US20220070789A1 (en) System and method for waking up bda
JP4847785B2 (ja) 無線中継増幅システム、無線中継方法
JP2005284815A (ja) 安否情報通知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