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2322B1 -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2322B1
KR101022322B1 KR1020080105692A KR20080105692A KR101022322B1 KR 101022322 B1 KR101022322 B1 KR 101022322B1 KR 1020080105692 A KR1020080105692 A KR 1020080105692A KR 20080105692 A KR20080105692 A KR 20080105692A KR 101022322 B1 KR101022322 B1 KR 101022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l
signal
repeater
measured
al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5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6718A (ko
Inventor
유기한
강종구
김준
조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080105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2322B1/ko
Publication of KR20100046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6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2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23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35Control of relay amplifier g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은,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을 측정하는 레벨 측정부; 상기 레벨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신호의 레벨을 기 설정된 기준 레벨과 비교하는 비교부; 및 비교된 결과에 따라 ALC 또는 AGC의 동작을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동 통신, 중계기, 잡음 레벨, 기지국, 단말기, ALC, AGC

Description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Mobile communication relay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적어도 둘 이상의 중계기가 결합되어 이동 통신을 중계하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순방향 신호 또는 역방향의 신호를 감시하여 이동 통신의 중계를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기지국 제어기, 및 이동 통신 단말기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기지국은 일정한 통화 반경을 가지기 때문에, 다수의 기지국을 적절히 배치하여 각 기지국의 통화 반경을 서로 겹치게 함으로써 통화 가능한 지역의 범위를 넓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다수 개의 기지국의 적절한 배치에도 불구하고 도시와 같이 고층 건물이나 지하 공간이 많은 지역에서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가 어려운 통화 음영 지역(shadow area)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 용자는 통화 음영 지역 내에서 원활한 통화 서비스를 받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이동 통신 사업자들은 이동 통신망 내의 통화 음영 지역마다 별도의 중계기를 설치하여 기지국의 커버리지(coverage)를 경제적으로 확장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원활한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중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중계기는 도너 안테나(1), 서비스 안테나(2), 제1 듀플렉서(3), 순방향 신호 처리부(4), 제2 듀플렉서(5), 및 역방향 신호 처리부(6)를 포함한다.
도너 안테나(1)가 기지국(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면, 순방향 신호 처리부(4)는 제1 듀플렉서(3)를 통해 그 신호를 수신하여 필터링, 주파수 변환, 증폭 등의 일련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며, 제2 듀플렉서(5)는 그 신호 처리된 신호를 서비스 안테나(2)를 통해 이동국(도시하지 않음)으로 전송한다.
한편, 서비스 안테나(2)는 이동국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며, 역방향 신호 처리부(6)는 제2 듀플렉서(5)를 통해 그 신호를 수신하여 필터링, 주파수 변환, 증폭 등의 일련의 신호 처리를 수행하고, 제1 듀플렉서(3)는 그 신호 처리된 신호를 도너 안테나(1)를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중계기는 하나의 기지국에 수개 또는 수십 개가 접속되는데, 접속되는 중계기의 수가 증가할수록 출력 신호의 역방향으로 인입되는 잡음의 양도 그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한편, 대부분의 중계기는, 내부적으로 과입력 신호로부터 증폭기를 보호하고 스퓨리어스(spurious)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정해진 레벨로 출력을 제한하는 ALC(Automatic Level Control) 기능이나, 입력 신호의 진폭 변동을 검출하여 출력 신호의 진폭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이득을 자동적으로 조절하는 AGC(Automatic Gain Control)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때, ALC 기능에는 일정 출력 이상 송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일정 출력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기능들에 의해 중계기에서 일정한 출력을 내보내도록 하여 중계기가 과출력으로 송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런데, 일반적인 중계기는 중계기에 정상적인 입력 신호가 들어오다가 기지국 이설이나 다른 장애로 인하여 입력 신호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사라지게 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ALC 동작에 의해 이득이 증가되어 최대값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출력은 낮은 레벨로 송출하게 된다. 이때, 입력 신호가 갑자기 들어오게 되면, 일반적인 ALC 동작은 500ms 이상의 동작 시간을 가지며 시스템에 따라서는 1초 이상을 가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득이 증가된 시간 동안은 출력이 이득만큼 증폭되어 적정 출력 레벨을 벗어난 매우 높은 레벨로 방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출력 레벨이 중계기에서 감당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면 시스템이 오동작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중계기의 입력 신호가 다른 중계기의 출력 신호를 소스(source)로 하는 경우, 그 다른 중계기가 RF 중계기라면 발진 검출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이때, RF 중계기의 경우, 발진 또는 잡음 레벨(Noise Level)의 상승을 방지하여 안정된 서비스를 보장하기 위하여 도너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 간의 아이솔레이션(isolation)은 해당 RF 중계기의 최대 이득보다 15dB 이상 확보되어야 한다. 도 너 안테나와 서비스 안테나 간의 아이솔레이션이 15dB 이상으로 확보되지 못한 경우에 RF 중계기의 잡음 레벨이 상승하게 되면 인접 기지국의 수신 감도를 저하시켜서 기지국 셀 커버리지(Cell Coverage)가 감소하거나, RF 중계기가 발진하여 기지국에 손상을 입힐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RF 중계기의 발진 검출 기능의 동작은 역방향에서 자신의 최대 이득보다 15dB 이상 올린 상태에서 수행된다.
이때, RF 중계기의 출력을 다른 중계기의 소스로 사용하는 경우, 발진 검출 기능이 동작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단 중계기의 이득(gain)에 의해 역방향 잡음이 후단 중계기의 이득만큼 증폭된 후 RF 중계기로 입력된다.
예를 들어, 소스 중계기의 최대 출력이 10dBm이고 최대 이득이 75dB인 RF 중계기에 이득이 25dB이고 출력이 30dBm인 중계기가 연결된다면, 발진 검출 기능의 동작은 상술한 바와 같이 RF 중계기의 최대 이득 75dB보다 15dB 올린 상태에서 판단되며 후단 중계기의 이득에 의해 역방향의 잡음이 증폭되어 RF 중계기로 입력되므로 시스템의 전체 이득은 115dB가 된다. 이때, 후단 중계기의 일반적인 열잡음(thermal noise)(Pth) -108dBm 및 잡음 지수(NF: Noise Figure) 7dB를 고려하면 -108dBm + (7dB + 115dB) = 14dBm이 되어 최대 14dBm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열잡음은 전도전자의 열교란 운동에 의해 생기는 잡음을 말하며, 잡음 지수는 전자기기나 소자류의 잡음이 발생하기 쉬운 정도를 나타내는 수치를 말한다. 상기와 같은 예의 경우, RF 중계기는 최대 출력 10dBm보다 큰 값으로 출력되므로 발진으로 판단하여 시스템을 오프(off)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적어도 둘 이상의 중계기가 결합되어 이동 통신을 중계하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순방향 신호 또는 역방향의 신호를 감시하여 이동 통신의 중계를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은,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을 측정하는 레벨 측정부; 상기 레벨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신호의 레벨을 기 설정된 기준 레벨과 비교하는 비교부; 및 비교된 결과에 따라 ALC(Automatic Level Control) 또는 AGC(Automatic Gain Control)의 동작을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측정된 상기 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레벨보다 큰 경우 ALC또는 AGC를 동작시키며, 측정된 상기 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레벨 이하인 경우 ALC 또는 AGC의 동작을 오프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상기 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레벨보다 큰 경 우에 역방향의 출력을 온 시키며, 측정된 상기 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레벨 이하인 경우에 역방향의 출력을 오프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발진 검출 기능이 동작하는 경우, 순방향의 출력을 오프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상기 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레벨 이하인 경우, 이득을 기 설정된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의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은,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상기 신호의 레벨을 기준 레벨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된 결과에 따라 ALC 또는 AGC의 동작을 온/오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의 구동 방법의 제1 실시 예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단계는, 측정된 상기 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레벨보다 큰 경우 ALC 또는 AGC를 동작시키며, 측정된 상기 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레벨 이하인 경우 ALC 또는 AGC의 동작을 오프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의 구동 방법은, 측정된 상기 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레벨 이하인 경우에 역방향의 출력을 오프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 단계는, 발진 검출 기능이 동작하는 경우에 순방향의 출력을 오프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한편, 상기의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은,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상기 신호의 레벨을 기 설정된 기준 레벨과 비교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레벨 이하인 경우, 이득을 기 설정된 값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의 구동 방법의 제2 실시 예를 제공한다.
또 다른 한편, 상기의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은,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상기 신호의 레벨을 기 설정된 기준 레벨과 비교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레벨 이하인 경우, 출력 신호의 레벨을 기 설정된 값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의 제3 실시 예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중계기의 입력되는 신호를 감시하며, 그에 따라 이득을 조절하고 ALC 또는 AGC 동작의 온/오프를 제어함으로써 이동 통신의 중계를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RF 중계기의 발진 검출 기능이 동작하는 경우에 순방향의 출력을 오프 시켜 하위 중계기의 역방향 출력이 오프 되도록 함으로써,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이 발진하는 경우에 시스템 자체가 오프 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10)은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을 측정하는 레벨 측정부(12), 레벨 측정부(12)에 의해 측정된 신호의 레벨을 기 설정된 기준 레벨과 비교하는 비교부(14), 및 비교된 결과에 따라 ALC(Automatic Level Control) 또는 AGC(Automatic Gain Control)의 동작을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16)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어부(16)는 레벨 측정부(12)에 의해 측정된 신호의 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 레벨보다 큰 경우 ALC 또는 AGC를 동작시켜 일정한 출력을 유지시키며, 레벨 측정부(12)에 의해 측정된 신호의 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 레벨 이하인 경우 ALC 또는 AGC의 동작을 오프 시킨다.
또는, 레벨 측정부(12)에 의해 측정된 신호의 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 레벨 이하인 경우, 제어부(16)가 이득을 기 설정된 값으로 조절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에 의해 조절되는 이득은 최소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측정된 신호의 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 레벨 이하인 경우에는 이득을 기 설정된 값으로 낮춤으로써, 역방향의 잡음이 입력되더라도 과출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또는, 레벨 측정부(12)에 의해 측정된 신호의 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 레벨 이하인 경우, 제어부(16)가 출력 신호의 레벨을 기 설정된 값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어부(16)에 의해 조절되는 출력 신호의 레벨은 최대 출력 레벨의 50% 이내의 범위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측정된 신호의 레벨이 기 설정된 기준 레벨 이하인 경우에는 출력 신호의 레벨을 기 설정된 값으로 낮춤으로써, 역방향의 잡음이 입력되더라도 과출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이득 조절 또는 출력 신호의 레벨 조절은 ALC 또는 AGC의 온/오프 제어에 대체하여 구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ALC 또는 AGC의 온/오프 제어와 함께 병행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6)는 레벨 측정부(12)에 의해 측정된 신호의 레벨이 기준 레벨보다 큰 경우에 역방향의 출력을 온 시키며, 레벨 측정부(12)에 의해 측정된 신호의 레벨이 기준 레벨 이하인 경우에는 역방향의 출력을 오프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16)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10)의 발진 검출 기능이 동작하는 경우, 순방향의 출력을 오프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주파수 분할 복신 방식(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또는 시분할 복신 방식(TDD: Time Division Duplex)의 통신 환경에서는 전파 환경이 열악하여 기지국과의 거리가 멀 경우, RF(Radio Frequency) 중계기가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에서 중간 증폭 역할을 하여 해당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RF 중계기는 천연 또는 인공적인 전파 장애물 또는 전파 음영 지역인 터널 내부, 지하철 구간, 건물 지하 등의 장소에서 통화가 불가능하거나 통화 품질이 좋지 못할 경우에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의 신호에 대해 중계와 증폭을 병행하여 이동 통신 및 휴대 인터넷 서비스를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RF 중계기는 단독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중계기와 결합되어 사용 될 수도 있다. 이때, 송수신 격리도가 낮을 경우에 RF 중계기에서 발진 현상이 일어나는데, 증폭도가 클수록 발진이 일어나기 쉬우며, RF 중계기 내부의 열잡음에 의해 내부 발진이 일어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발진 여부를 검출하기 위하여 RF 중계기의 발진 검출 기능이 동작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RF 중계기의 발진 검출 동작은 역방향에서 자신의 최대 이득보다 15dB 이상 올린 상태에서 발진 유무를 판단한다. 이러한 RF 중계기의 출력 신호를 후단 중계기의 소스로 사용할 경우, RF 중계기의 발진 검출 기능이 동작하면 후단 중계기의 이득(gain)의 이득만큼 증폭된 역방향의 잡음이 소스 중계기(RF 중계기)로 입력된다. 예를 들어, 최대 출력이 10dBm이고 최대 이득이 75dB인 RF 중계기에 이득이 25dB이고 출력이 30dBm인 후단 중계기가 연결된다면, 상술한 바와 같이, RF 중계기의 발진 검출 기능이 동작 시 후단 중계기의 이득만큼 증폭된 역방향의 잡음에 의해 최대 14dBm까지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일반적인 RF 중계기(소스 중계기)는 과출력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스템을 오프(off)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은 RF 중계기의 발진 검출 기능이 동작하는 경우, 상기와 같이 시스템 전체가 오프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RF 중계기의 제어부(16)가 순방향의 출력만을 오프 시킴으로써, 후단 중계기에 의한 증폭에 의해 과출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10)의 레벨 측정부(12)는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을 출력한다. 즉, 천연 또는 인공적인 전파 장애물 또는 전파 음영 지역인 터널 내부, 지하철 구간, 건물 지하 등의 장소에서 통화가 불가능하거나 통화 품질이 좋지 못할 경우, 기지국과 단말기 사이에서 중계기가 단독으로 중간 증폭 역할을 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도 3과 같이 둘 이상의 중계기가 결합된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에서 각각의 중계기의 레벨 측정부(12)는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을 측정한다(S101).
비교부(14)는 레벨 측정부(12)에 의해 측정된 신호의 레벨을 기 설정된 기준 레벨과 비교한다(S103). 이때, 제어부(16)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정된 신호의 레벨이 기준 레벨보다 큰 경우에 ALC 또는 AGC의 동작을 온(ON) 시켜 출력의 레벨을 일정하게 유지시킴과 동시에 역방향의 출력을 온 시킨다(S105, S107). 이 경우, 이득은 측정된 신호의 레벨에 대응하여 조절될 수 있다. 즉,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이 기준 레벨보다 큰 경우에는 ALC 또는 AGC를 동작시켜 출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역방향의 출력을 온 시킴으로써 단말기 또는 후단 중계기로부터 역방향으로 신호가 입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측정된 신호의 레벨이 기준 레벨 이하인 경우, 제어부(16)는 이득을 최소값으로 설정하고 ALC 또는 AGC의 동작을 오프 시키고(S109), 역방향의 출력을 오프 시킨다(S111). 즉, 정상적인 입력 신호가 들어오다가 기지국 이설이나 다른 장애로 인하여 입력 신호가 급격히 저하되거나 사라지는 경우, 제어부(16)는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이 기준 레벨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여 이득을 최소값으로 설정하며, ALC 또는 AGC의 동작을 오프 시켜 출력이 낮은 레벨로 송출되도록 하고, 역방 향의 출력을 오프 시킴으로써 단말기 또는 후단 중계기로부터 역방향으로 신호가 입력되지 못하도록 한다.
여기서, 급격히 저하되거나 사라진 입력 신호가 다시 들어오게 되면, 제어부(16)는 입력되는 신호가 기준 레벨보다 큰 경우에 ALC 또는 AGC의 동작을 다시 온 시키고, 동시에 역방향의 출력을 온 시킨다. 이때, ALC 또는 AGC의 동작은 일반적으로 500ms 이상의 시간이 지연되며 시스템에 따라서는 1초 이상의 시간이 필요한 경우도 있으므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ALC 또는 AGC의 동작에 의해 출력이 정상화 되기까지 지연 시간이 요구되며, 따라서 중계기에서 감당할 수 있는 최대 출력보다 과출력되는 현상은 방지된다.
또한, 중계기(10)의 발진 검출 기능이 동작하는 경우, 제어부(16)는 순방향의 출력을 오프 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RF 중계기의 발진 검출 기능이 동작하는 경우, RF 중계기의 제어부(16)가 순방향의 출력을 오프 시킴으로써 후단 중계기의 제어부(16)는 RF 중계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기준 레벨 이하인 것으로 판단하게 되며, 그에 따라 ALC 또는 AGC의 동작을 오프 시키고 역방향 즉, 상위 중계기(RF 중계기)로 신호가 입력되지 못하도록 한다. 즉, 상위 중계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은 하위 중계기의 비교부(14)에 의해 기준 레벨과 비교되며, 하위 중계기의 제어부(16)는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이 기준 레벨보다 작기 때문에 역방향의 출력(상위 중계기로의 출력)을 오프 시키게 된다. 이로써 중계기의 발진 검출 기능이 동작하는 경우에는 하위 중계기에 의한 신호 증폭으로 인해 RF 중계기가 과출력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에 의한 신호 입출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RF 중계기가 연결된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의 발진 검출 기능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4의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에 의한 신호 입출력을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1)

  1.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상기 신호의 레벨을 기준 레벨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된 결과에 따라 ALC(Automatic Level Control) 또는 AGC(Automatic Gain Control)의 동작을 온/오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단계는,
    측정된 상기 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레벨 이하인 경우 ALC 또는 AGC의 동작을 오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의 구동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측정된 상기 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레벨보다 큰 경우 ALC 또는 AGC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의 구동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측정된 상기 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레벨 이하인 경우에 역방향의 출력을 오프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의 구동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발진 검출 기능이 동작하는 경우에 순방향의 출력을 오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의 구동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단계는,
    측정된 상기 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레벨 이하인 경우, 이득을 기 설정된 값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의 구동 방법.
  6. 삭제
  7.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되는 신호의 레벨을 측정하는 레벨 측정부;
    상기 레벨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상기 신호의 레벨을 기 설정된 기준 레벨과 비교하는 비교부; 및
    비교된 결과에 따라 ALC 또는 AGC의 동작을 온/오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상기 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레벨보다 큰 경우 ALC 또는 AGC(Automatic Gain Control)를 동작시키며, 측정된 상기 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레벨 이하인 경우 ALC 또는 AGC의 동작을 오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상기 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레벨보다 큰 경우 ALC 또는 AGC(Automatic Gain Control)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상기 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레벨보다 큰 경우에 역방향의 출력을 온 시키며, 측정된 상기 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레벨 이하인 경우에 역방향의 출력을 오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발진 검출 기능이 동작하는 경우, 순방향의 출력을 오프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상기 신호의 레벨이 상기 기준 레벨 이하인 경우, 이득을 기 설정된 값으로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
KR1020080105692A 2008-10-28 2008-10-28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10223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692A KR101022322B1 (ko) 2008-10-28 2008-10-28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5692A KR101022322B1 (ko) 2008-10-28 2008-10-28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718A KR20100046718A (ko) 2010-05-07
KR101022322B1 true KR101022322B1 (ko) 2011-03-21

Family

ID=42273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5692A KR101022322B1 (ko) 2008-10-28 2008-10-28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23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7517B2 (en) 2014-12-15 2017-01-03 Innowireless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uplink noise level in multi-RU environ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1813A (ja) * 2001-09-26 2003-04-04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自動利得制御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多チャンネル中継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1813A (ja) * 2001-09-26 2003-04-04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自動利得制御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多チャンネル中継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7517B2 (en) 2014-12-15 2017-01-03 Innowireless Co., Ltd. Method of controlling uplink noise level in multi-RU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6718A (ko) 201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7885B1 (ko) 이동전화중계기의감시방법및감시장치
US10009049B2 (en) Method for detecting and handling oscillations in a signal booster device, a signal booster device and a means of transportation comprising a signal booster device
US20080076358A1 (en) Processor controlled variable gain cellular network amplifier
JP2007251789A (ja) 無線中継装置、無線中継方法
US20180102861A1 (en) Narrowband signal detection
KR100509687B1 (ko) 옥외형 무선중계기의 절연상태 측정장치 및 그 방법
JP2010004515A (ja) 中継送受信装置、および、移動体通信システム
US11201664B2 (en) Adjusting repeater gain based on antenna feedback path loss
KR101022322B1 (ko) 이동 통신 중계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20060123023A (ko) 시분할 방식의 시스템에서 전력소모 최소화와 운용기간을연장시킨 중계장치
CA2607144C (en) Cellular network amplifier with automated output power control
US11777591B2 (en) Adjusting repeater gain based on antenna feedback path loss
KR100763754B1 (ko) 자동 이득 설정 중계기 및 방법
JP4847785B2 (ja) 無線中継増幅システム、無線中継方法
KR101629955B1 (ko) 중계기 감시 장치 및 그 방법
JP4886595B2 (ja) 移動通信リピータ装置、子局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100741939B1 (ko) 중계기의 발진 감지 제어장치
JP3926649B2 (ja) 中継増幅装置
KR20030050540A (ko) 발진방지기능을 갖는 씨디엠에이통신시스템용무선중계장치
KR100993084B1 (ko) 무선통신 시스템
JP2006135642A (ja) リピータ装置
WO2008026586A1 (fr) Appareil de relais hertzien
US6687490B2 (en)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220165335A (ko) 기지국 역방향 잡음을 저감할 수 있는 rf 중계기 및 중계 방법
KR20090110499A (ko) 무선통신 중계기와 그 설치 안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