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870B1 - 트랜스미션 - Google Patents

트랜스미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870B1
KR101176870B1 KR1020100066331A KR20100066331A KR101176870B1 KR 101176870 B1 KR101176870 B1 KR 101176870B1 KR 1020100066331 A KR1020100066331 A KR 1020100066331A KR 20100066331 A KR20100066331 A KR 20100066331A KR 101176870 B1 KR101176870 B1 KR 101176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ountershaft
transmission
clutch
gear s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4953A (ko
Inventor
테진더 싱
패트릭 에스. 포텔
Original Assignee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filed Critical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10014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4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08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 F16H3/093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with two or more counter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power being selectively transmitted by either one of the parallel flow path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 F16H3/08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 F16H3/093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with two or more countershafts
    • F16H2003/0931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with continuously meshing gears, that can be disengaged from their shaft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gears with two or more countershafts each countershaft having an output gear meshing with a single common gear on the output sh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200/00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 F16H2200/003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 F16H2200/0056Transmissions for multiple ratio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forward speeds the gear ratios comprising seven forward spee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023Plural power paths to and/or from gearing
    • Y10T74/19051Single driven plural dri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023Plural power paths to and/or from gearing
    • Y10T74/19051Single driven plural drives
    • Y10T74/1907Parallel and align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28Multiple concentric clutch shaf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33Plurality of counter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e Of Transmis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 입력 부재에 연결가능하며, 출력 전달 기어, 제 1 및 제 2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 부재, 제 1 및 제 2 카운터샤프트 부재, 복수의 동일 평면상의 기어 세트 및 복수의 토크 전달 장치를 갖는 트랜스미션을 제공한다. 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 부재는 볼 및 니들 베어링의 조합에 의해 트랜스미션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카운터샤프트 부재는 복수의 트러스트 베어링에 의해 트랜스미션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토크 전달 장치는 복수의 동기장치 조립체와, 듀얼 클러치 조립체를 구비한다. 상기 트랜스미션은 상기 입력 부재와 상기 출력 부재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후진 변속비와, 복수의 전진 변속비를 제공하도록 작동가능하다.

Description

트랜스미션{SEVEN SPEED DUAL CLUTCH TRANSMISSION HAVING IMPROVED PACKAGING}
본 발명은 트랜스미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7가지 이상의 기어 속도를 구현하도록 3개의 축을 갖는 콤팩트한 듀얼 클러치 다단 트랜스미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에서의 기술내용은 본원에 관한 배경 정보를 단지 제공하는 것으로서, 종래기술을 구성하거나 구성하지 않을 수 있다.
카운터샤프트(countershafts) 및 동일 평면상의 기어 세트(co-planar gear sets)를 갖는 일반적인 다단 트랜스미션은 각각의 전진 변속비를 성취하도록 전용의 상이한 기어 쌍 또는 세트를 갖는 카운터샤프트 기어를 사용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일반적인 설계에서의 총 기어 개수는 전진 속도용으로 2배수와, 후진용으로 3개가 필요하다. 이는 특히 비교적 많은 개수의 전진 변속비를 갖는 트랜스미션에서 다수의 요구된 기어 쌍을 필요로 한다.
현재의 트랜스미션이 의도된 목적을 성취하지만, 특히 효율, 응답성, 평활도로부터 개선된 성능, 및 주로 사이즈와 중량을 줄이는 개선된 패키지 성능을 나타내는 신규하고 개선된 트랜스미션 구성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기어비와 토크 범위를 제공하는 한편, 개선된 패키지 성능을 갖는 트랜스미션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입력 부재, 출력 부재, 제 1 및 제 2 샤프트 부재, 제 1 및 제 2 카운터샤프트 부재, 복수의 동일 평면상의 기어 세트, 및 복수의 토크 전달 장치를 구비하는 트랜스미션을 제공한다. 상기 토크 전달 장치는 복수의 동기장치 조립체와, 듀얼 클러치 조립체를 구비한다. 상기 트랜스미션은 상기 입력 부재와 상기 출력 부재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의 후진 변속비와 복수의 전진 변속비를 제공하도록 작동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스미션은 6개의 동일 평면상의 기어 세트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6개의 동일 평면상의 기어 세트 중 2개는 2가지 기어비를 각각 발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6개의 동일 평면상의 기어 세트 중 다른 2개는 하나의 기어비를 각각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스미션은 4개의 레일 및 포크 조립체 의해 구동되는 4개의 동기장치 조립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4개의 동기장치 조립체는 4개의 2방향 동기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스미션은 7가지 이상의 전진 변속비를 제공하도록 작동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트랜스미션은 트랜스미션 하우징, 듀얼 클러치 조립체, 제 1, 제 2, 제 3, 제 4 및 제 5 기어 세트, 제 1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 제 2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 제 1 카운터샤프트, 제 2 카운터샤프트 및 4개의 동기장치 조립체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듀얼 클러치 조립체는 엔진의 플라이휠에 연결가능한 클러치 하우징을 갖는다. 상기 클러치 하우징은 제 1 볼 베어링 조립체에 의해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기어 세트는 제 2 기어의 제 1 부분과 맞물리는 제 1 기어와, 제 2 기어의 제 2 부분과 맞물리는 제 3 기어를 구비한다. 상기 제 2 기어 세트는 제 2 기어와 제 3 기어와 맞물리는 제 1 기어를 구비한다. 상기 제 3 기어 세트는 제 2 기어와 제 3 기어와 맞물리는 제 1 기어를 구비한다. 상기 제 4 기어 세트는 제 2 기어와 맞물리는 제 1 기어를 구비한다. 상기 제 5 기어 세트는 제 2 기어와 맞물리는 제 1 기어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는 제 2 볼 베어링 조립체에 의해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 단부와, 제 1 니들 베어링 조립체에 의한 제 2 단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니들 베어링 조립체는 상기 듀얼 클러치 조립체에 근접한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의 제 2 단부 벽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3, 제 4 및 제 5 기어 세트의 제 1 기어 각각은 상기 제 1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볼 베어링 조립체는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의 제 1 단부 벽에 인접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는 제 2 니들 베어링 조립체에 의해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 단부와, 제 3 볼 베어링 조립체에 의한 제 2 단부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니들 베어링 조립체는 상기 제 2 볼 베어링 조립체와 상기 제 3 볼 베어링 조립체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3 볼 베어링 조립체는 상기 제 1 니들 베어링 조립체와 축방향으로 동심으로 정렬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기어 세트의 제 1 기어 각각은 상기 제 2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는 상기 제 1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와 동심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카운터샤프트는 제 1 및 제 2 트러스트 베어링 세트에 의해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와 평행하게 이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기어 세트의 제 3 기어, 상기 제 2 기어 세트의 제 3 기어, 상기 제 3 기어 세트의 제 3 기어 및 상기 제 4 기어 세트의 제 2 기어 각각은 상기 제 1 카운터샤프트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선택적으로 연결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카운터샤프트는 제 3 및 제 4 트러스트 베어링 세트에 의해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와 평행하게 이격된다. 상기 제 1 기어 세트의 제 2 기어 및 상기 제 2 기어 세트 각각은 상기 제 2 카운터샤프트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선택적으로 연결가능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4개의 동기장치 조립체(four synchronizer assemblies)는 상기 제 1, 제 2, 제 3, 제 4 및 제 5 기어 세트의 하나 이상의 기어를 상기 제 1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 상기 제 2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 상기 제 1 카운터샤프트 및 상기 제 2 카운터샤프트 중 하나 이상과 선택적으로 결합한다. 듀얼 클러치 조립체의 선택적인 결합은 상기 듀얼 클러치 하우징을 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 중 하나 이상과 상호결합하고, 상기 4개의 동기장치 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인 결합은 7가지 전진 변속비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상기한 특징 및 이점 그리고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한 도면(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 요소 또는 특징부를 지칭함)과 함께 취한 본 발명의 최선책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7단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의 단면도.
도 1은 다단 트랜스미션(10)을 도시한다. 트랜스미션(10)은 엔진 입력 부재(12)에 결합되며 출력 부재 또는 기어(14)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엔진 입력 부재(12)는 엔진 크랭크샤프트이고, 출력 부재(14)는 기어이지만, 입력 부재(12)가 샤프트 이외의 부품이고, 출력 부재(14)가 기어 이외의 샤프트 등의 부품일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엔진 입력 부재(12)는 엔진(도시하지 않음) 또는 다른 토크 발생기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입력 부재(12)에 구동 토크를 제공한다. 출력 부재 또는 기어(14)는 하우징(16) 내에 배치된 차동 조립체(15)를 회전가능하게 구동한다. 차동 조립체(15)는 출력 부재(14)에 의해 전달된 토크를 궁극적으로 한 쌍의 로드 휠(도시하지 않음)에 전달한다.
또한, 트랜스미션(10)은 기어 배열체(2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하우징(18)을 더 구비한다. 기어 배열체(20)는, 본원에 기술되는 바와 같이 각종 샤프트 또는 부재, 동일 평면상의 상호맞물림 기어 세트, 듀얼 클러치 조립체 및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한 동기장치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기어 배열체(20)는 제 1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 또는 부재(22), 제 2 샤프트 또는 부재(24), 제 1 카운터샤프트(26) 및 제 2 카운터샤프트(28)를 구비한다. 제 2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 또는 부재(24)는 제 1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 또는 부재(22)와 동심으로 형성되어 중첩하는 슬리브(중공형) 샤프트이다. 제 1 카운터샤프트(26), 제 2 카운터샤프트(28) 및 파킹 기어 샤프트(30) 각각은 제 1 및 제 2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 또는 부재(24)는 제 1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 또는 부재(22)와 동심으로 중첩하는 슬리브(중공형) 샤프트이다. 제 1 카운터샤프트(26)와 제 2 카운터샤프트(28) 각각은 제 1 및 제 2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 부재(22, 24)와 평행하게 이격된다. 제 1 및 제 2 샤프트(22, 24)는 제 1 회전축을 형성하고, 제 1 카운터샤프트(26)는 제 2 회전축을 형성하며, 제 2 카운터샤프트(28)는 제 3 회전축을 형성한다.
제 1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22)는 복수의 베어링에 의해 하우징(18) 내에 지지된다. 제 1 샤프트(22)에 회전 지지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베어링은 한 쌍의 볼 베어링(29)과 복수의 니들 베어링(30)을 구비한다. 볼 베어링(29)은 샤프트(22)의 반경방향 및 축방향 운동을 제한할 수 있고 트랜스미션 하우징(18)의 단부 벽(88)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니들 베어링(30)은 샤프트(22)에 횡방향으로 샤프트의 반경방향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더욱이,샤프트(22)에서의 하중은 니들 베어링(30)과 제 2 샤프트(24)를 통해 제 2 볼 베어링 세트(31)로 전달된다. 따라서, 니들 베어링(30)은 최적의 하중 전달을 위해 제 2 볼 베어링 세트(31)와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제 2 볼 베어링 세트(31)는 제 1 및 제 2 샤프트(22, 24)에 부착되어 제 1 및 제 2 샤프트(22, 24) 내의 하중을 트랜스미션 하우징(16)의 벽(48)에 전달한다. 제 3 볼 베어링 세트(33)는 입력 부재(12)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 1 샤프트(22)를 입력 부재(12)와 축방향으로 정렬하는 기능을 한다. 제 3 볼 베어링 세트(33)는 제 1 샤프트(22)의 반경방향 운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 2 샤프트(24)는 복수의 베어링에 의해 하우징(18, 16) 내에서 지지된다. 제 2 샤프트(24)에 회전 지지력을 제공하는 복수의 베어링은 제 1 복수의 니들 베어링(35), 제 2 볼 베어링 세트(31) 및 제 4 볼 베어링 세트(37)를 구비한다. 니들 베어링(35)은 샤프트(24)에 횡방향으로 샤프트의 반경방향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니들 베어링(35)은 제 1 샤프트(22)를 따라 동일 평면상의 기어 세트(50)와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볼 베어링(31, 37)은 샤프트의 반경방향 및 축방향 운동을 제한할 수 있으며 하우징(16) 내에 위치설정된다.
제 1 및 제 2 카운터샤프트(26, 28)는 복수의 트러스트 또는 테이퍼진 롤러 베어링(41)에 의해 트랜스미션 하우징(18) 내에 회전식으로 지지된다. 트러스트 베어링(41)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카운터샤프트(26, 28) 각각의 양단부에 배치된다. 트러스트 베어링(41)은 제 1 및 제 2 카운터샤프트(26, 28)의 반경방향 및 축방향 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듀얼 클러치 조립체(32)는 입력 부재(12)와 제 1 및 제 2 샤프트 부재(22, 24) 사이에 연결된다. 듀얼 클러치 조립체(32)는 플라이휠(36)과의 공통 회전을 위해 연결된 클러치 하우징(34)을 구비한다. 플라이휠(36)은 입력 부재(12)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입력 부재(12)에 고정식으로 결합된다. 플라이휠(36)과 입력 부재/샤프트(12)와 함께 클러치 하우징(34)은 엔진(도시하지 않음)으로부터의 구동 토크를 트랜스미션(10)의 기어 세트에 전달한다. 또한, 당해 기술에 공지된 바와 같이 듀얼 클러치 조립체(32)는 제 1 및 제 2 클러치 요소 또는 허브(도시하지 않음)를 갖는다. 클러치 하우징(34)과 함께 클러치 요소는 듀얼 클러치로서 당해 기술에 공지된 바와 같이 마찰 클러치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클러치 요소 및 클러치 하우징(34)은 마찰 플레이트(도시하지 않음)를 그 상에 장착하거나 또는 이와는 달리 마찰 클러치를 형성하도록 상호작용하게 결합된다. 예를 들면, 클러치 요소 중 하나는 제 1 샤프트 또는 부재(22)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연결되고, 다른 클러치 요소는 제 2 샤프트 또는 부재(24)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연결된다. 이에 따라, 클러치 요소 중 하나와 클러치 하우징(34)의 선택적인 결합은 제 1 샤프트 부재(22)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입력 부재(12)에 연결한다. 다른 클러치 요소와 클러치 하우징(34)의 선택적인 결합은 제 2 샤프트 부재(24)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입력 부재(12)에 연결한다.
또한, 기어 배열체(20)는 복수의 동일 평면상의 맞물림 기어 세트(40, 50, 60, 70, 80)를 더 구비한다. 유리하게, 기어 배열체(20)는 트랜스미션(10)의 감소된 축방향 길이 "L"를 제공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트랜스미션(10)의 축방향 길이 "L"는, 예컨대 기어 세트의 별개 기어 및 다른 부품을 카운터샤프트 상에 상대적으로 배치함으로써 감소된다. 보다 상세하게, 예를 들면, 제 2 카운터샤프트(28)의 회전 속도를 결정하기 위해 속도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목표값을 제공하는 톤 휠(tone wheel)(38)이 카운터샤프트(28)에 고정식으로 부착된다. 톤 휠(38)은 제 2 카운터샤프트(28) 상에 배치되어 톤 휠(28)이 볼 베어링(31)과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톤 휠(38)의 볼 베어링(31) 위로의 축방향 정렬 또는 안착은 트랜스미션(10)의 축방향 길이 "L"를 최소화한다.
동일 평면상의 기어 세트(40)는 기어(42) 및 기어(44)를 구비한다. 기어(42)는 제 2 샤프트 부재(24)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연결된다. 기어(44)는 제 2 카운터샤프트 부재(28)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선택적으로 연결가능하며 기어(42)와 맞물린다. 기어(44)가 제 2 카운터샤프트 부재(28)와 연결되지 않으면, 기어(44)는 복수의 케이지 및 롤러 베어링(43)에 의해 제 2 카운터샤프트 부재(28) 둘레에서 자유 회전을 위해 지지된다.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기어(42)는 제 2 샤프트 부재(24)에 고정된 별도의 기어 구조체일 수 있거나 또는 제 2 샤프트 부재(24)의 외부면 상에 형성된 기어 치형부/스플라인일 수 있다. 기어 세트(40)는 듀얼 클러치 조립체(32)에 근접한 트랜스미션(10)의 전방 또는 측방에 있는 트랜스미션 하우징(16)의 벽(48)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동일 평면상의 기어 세트(50)는 기어(52), 기어(54) 및 기어(56)를 구비한다. 기어(52)는 제 2 샤프트 부재(24)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연결되며, 기어(54) 및 기어(56)와 맞물린다. 기어(54)는 제 2 카운터샤프트 부재(28)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선택적으로 연결가능하다. 기어(54)가 제 2 카운터샤프트 부재(28)와 연결되지 않으면, 기어(54)는 복수의 케이지 및 롤러 베어링(43)에 의해 제 2 카운터샤프트 부재(28) 둘레에서 자유 회전을 위해 지지된다. 기어(56)는 제 1 카운터샤프트 부재(26)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선택적으로 연결가능하다. 기어 세트(50)는 듀얼 클러치(32)에 대향하는 기어 세트(40)의 측부보다 기어 세트(40)의 대향 측부 상의 기어 세트(40)에 인접하게 위치설정된다.
동일 평면상의 기어 세트(60)는 기어(62), 기어(64) 및 기어(66)를 구비한다. 기어(62)는 제 1 샤프트 부재(22)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연결되며, 기어(64) 및 기어(66)와 맞물린다. 기어(64)는 제 2 카운터샤프트 부재(28)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선택적으로 연결가능하다. 기어(64)가 제 2 카운터샤프트 부재(28)와 연결되지 않으면, 기어(64)는 복수의 케이지 및 롤러 베어링(43)에 의해 제 2 카운터샤프트 부재(28) 둘레에서 자유 회전을 위해 지지된다. 기어(66)는 제 1 카운터샤프트 부재(26)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선택적으로 연결가능하다. 기어(66)가 제 1 카운터샤프트 부재(26)와 연결되지 않으면, 기어(66)는 복수의 케이지 및 롤러 베어링(45)에 의해 제 1 카운터샤프트 부재(26) 둘레에서 자유 회전을 위해 지지된다. 기어 세트(60)는 기어 세트(40)에 대향하는 기어 세트(50)의 측부보다 기어 세트(50)의 대향 측부 상의 기어 세트(5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동일 평면상의 기어 세트(70)는 기어(72) 및 기어(74)를 구비한다. 기어(72)는 제 1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 부재(22)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연결되며, 기어(74)와 맞물린다. 기어(74)는 제 1 카운터샤프트 부재(26)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선택적으로 연결가능하다. 기어(74)가 제 1 카운터샤프트 부재(26)와 연결되지 않으면, 기어(74)는 복수의 케이지 및 롤러 베어링(45)에 의해 제 1 카운터샤프트 부재(26) 둘레에서 자유 회전을 위해 지지된다. 기어(70)는 기어 세트(50)에 대향하는 기어 세트(60)의 측부보다 기어(60)의 대향 측부 상의 기어 세트(6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동일 평면상의 기어 세트(80)는 기어(82) 및 기어(84)를 구비한다. 기어(82)는 제 1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 부재(22)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연결되며, 기어(84)와 맞물린다. 기어(84)는 제 2 카운터샤프트 부재(28)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선택적으로 연결가능하다. 기어(84)가 제 2 카운터 부재(28)와 연결되지 않으면, 기어(84)는 복수의 케이지 및 롤러 베어링(43)에 의해 제 2 카운터샤프트 부재(28) 둘레에서 자유 회전을 위해 지지된다. 기어 세트(80)는 트랜스미션 하우징(18)의 단부 벽(88)과 기어 세트(70) 사이에 배치된다.
후진 기어(90)는 제 1 카운터샤프트 부재(26)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선택적으로 연결가능하며, 단차형 기어(44)의 후진 기어부(92)와 맞물린다. 후진 기어(90)가 제 1 카운터샤프트 부재(26)와 연결되지 않으면, 후진 기어(90)는 복수의 케이지 및 롤러 베어링(45)에 의해 제 1 카운터샤프트 부재(26) 둘레에서 자유 회전을 위해 지지된다. 기어(44)의 후진 기어부(92)는 기어(44)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고정되며, 후진 기어비를 실행하도록 요구된 바와 같이 기어(44)의 기어 피치와는 상이한 기어 피치를 가질 수 있다. 후진 기어(90)는 기어 세트(50)와 단부 벽(48)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제 1 카운터샤프트 전달 기어(100)는 제 1 카운터샤프트 부재(26)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연결된다. 제 2 카운터샤프트 전달 기어(110)는 제 2 카운터샤프트 부재(28)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연결된다. 제 1 카운터샤프트 전달 기어(100)는 출력 부재(14)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제 2 카운터샤프트 전달 기어(110)는 출력 부재(14)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제 1 카운터샤프트 전달 기어(100) 및 제 2 카운터샤프트 전달 기어(110)는 서로 맞물리지 않는다. 제 1 카운터샤프트 전달 기어(100)는 트랜스미션 하우징(18)의 단부 벽(48)과 후진 기어(90) 사이에 배치된다. 제 2 카운터샤프트 전달 기어(110)는 트랜스미션 하우징(18)의 단부 벽(48)과 기어(44) 사이에 배치된다. 출력 부재(14)는 제 1 및 제 2 카운터샤프트 전달 기어(100, 110)와 동일 평면상에 있다.
파킹 기어(112)는 출력 부재(14)의 회전을 방지하는 파킹 모드에 트랜스미션(10)을 두기 위해 제공된다. 파킹 기어(112)는 제 1 카운터샤프트 부재(26)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제 1 카운터샤프트 부재(26)에 결합된다. 변형적으로, 본 발명은 파킹 모드 기능을 성취하도록 제 2 카운터샤프트 중 하나 상에 파킹 브레이크 기어를 고정 배치하는 것이 고려된다. 파킹 브레이크 기어(112)는, 파킹 브레이크 기어(112)가 볼 베어링(31)과 축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제 1 카운터샤프트(26) 상에 배치된다. 기어(112)의 볼 베어링(31) 위로의 축방향 정렬 또는 안착은 트랜스미션(10)의 축방향 길이 "L"를 최소화한다.
또한, 트랜스미션(10)은 복수의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한 동기장치 조립체(150, 152, 154, 156)를 더 구비한다. 동기장치(150, 152, 154, 156)는 양면형 동기장치이며, 액추에이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2방향으로 평행운동되는 시프트 포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동기장치(150)는 제 2 카운터샤프트 부재(28)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기어(44)에 연결하도록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하고, 동기장치(150)는 제 2 카운터샤프트 부재(28)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기어(54)와 연결하도록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하다. 동기장치(150)는 제 2 카운터샤프트(28)에 고정되며 기어(44)와 기어(54) 사이에 배치된다. 동기장치(152)는 제 1 카운터샤프트(26)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후진 기어(90)를 연결하도록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하며, 제 1 카운터샤프트(26)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기어(56)를 연결하도록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하다. 동기장치(152)는 제 1 카운터샤프트(26)에 고정되며 기어(56)와 후진 기어(90) 사이에 배치된다. 동기장치(154)는 제 2 카운터샤프트(28)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기어(64)를 연결하도록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하며, 제 2 카운터샤프트(28)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기어(84)를 연결하도록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하다. 동기장치(154)는 제 2 카운터샤프트(28)에 고정되며 기어(64)와 기어(84) 사이에 배치된다. 유리하게, 기어 세트(70)의 기어(72)는, 기어(72)가 동기장치(154)의 적어도 일부와 축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제 1 샤프트(22) 상에 배치된다. 기어 세트(70)의 기어(72)의 동기장치(154)의 적어도 일부 위로의 축방향 정렬 또는 안착은 트랜스미션(10)의 축방향 길이 "L"를 최소화한다. 동기장치(156)는 제 1 카운터샤프트(26)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기어(66)를 연결하도록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하며, 제 1 카운터샤프트(26)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기어(74)를 연결하도록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하다. 동기장치(156)는 제 1 카운터샤프트(26)에 고정되며 기어(66)와 기어(74) 사이에 배치된다. 유리하게, 동기장치(156)는, 동기장치(156)가 기어 세트(70)의 기어(72)의 적어도 일부와 축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제 1 카운터샤프트(26) 상에 배치된다. 동기장치(156)의 기어 세트(70)의 기어(72)의 적어도 일부 위로의 축방향 정렬 또는 안착은 트랜스미션(10)의 축방향 길이 "L"를 최소화한다.
트랜스미션(10)은 입력 샤프트(12)로부터 출력 기어 부재(14)로의 토크를 7가지 이상의 전진 토크비 및 1가지 이상의 후진 토크비로 전달할 수 있다. 전진 토크비 및 후진 토크비 각각은 듀얼 클러치 조립체(32) 및 동기장치 조립체(150, 152, 154, 156) 중 하나 이상의 선택적인 결합에 의해 달성된다. 당업자는 상이한 변속비가 각각의 토크비와 관련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별개의 기어 세트(40, 50, 60, 70, 80) 각각은 동기장치 조립체(150, 152, 154, 156)의 선택적인 결합에 대한 하나 이상의 전진 및/또는 후진 기어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상이한 동기장치의 조합 및 관련된 기어 세트에 의해 특정한 전진 또는 후진 변속비가 성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후진 토크비를 구현하기 위해, 듀얼 클러치 요소(32)가 결합되고, 동기장치(152)가 작동한다. 듀얼 클러치(32)는 입력 부재(12)를 제 2 트랜스미션 입력 샤프트 부재(24)와 결합시킨다. 동기장치(152)는 후진 기어(90)를 제 1 카운터샤프트 부재(26)에 연결한다. 보다 상세하게, 입력 샤프트(12)로부터의 입력 토크는 듀얼 클러치 조립체(32)를 통해 제 2 샤프트 부재(24)에, 기어(42)를 통해 기어(44)에, 기어(44)와 기어(92)를 통해 후진 기어(90)에, 기어(90)로부터 제 1 카운터샤프트 부재(26)에, 동기장치(152)를 통해 제 1 카운터샤프트 전달 기어(100)에, 그리고 제 1 카운터샤프트 전달 기어(100)로부터 출력 부재(14)로 전달된다.
제 1 전진 토크비(즉, 제 1 기어)를 구현하기 위해, 듀얼 클러치(32)가 결합되고, 동기장치(154)가 작동된다. 듀얼 클러치(32)는 입력 부재(12)를 제 1 샤프트 부재(22)와 결합시킨다. 동기장치(154)는 기어(84)를 제 2 카운터샤프트 부재(28)에 결합시킨다. 입력 부재(12)로부터의 입력 토크는 듀얼 클러치 조립체(32)를 통해 제 1 샤프트 부재(22)로부터 기어(82)로 전달된다. 기어(82)는 동기장치(154)를 통해 제 2 카운터샤프트 부재(28)로 그리고 제 2 카운터샤프트 전달 기어(110)로 그리고난 다음 제 2 카운터샤프트 전달 기어(110)로부터 출력 부재(14)로 토크를 전달하는 기어(84)에 토크를 전달한다.
제 2 전진 토크비(즉, 제 2 기어)를 구현하기 위해, 듀얼 클러치(32)가 결합되고, 동기장치(150)가 작동된다. 듀얼 클러치(32)는 기어(42)를 회전시키는 제 2 샤프트 부재(24)에 입력 부재(12)를 결합시킨다. 동기장치(150)는 기어(44)를 제 2 카운터샤프트 부재(28)에 결합시킨다. 따라서, 입력 부재(12)로부터의 입력 토크는 듀얼 클러치 조립체(32)를 통해 제 2 샤프트 부재(24)로, 기어(42)를 통해 기어(44)로, 기어(44)로부터 동기장치(150)로, 동기장치(150)로부터 제 2 카운터샤프트 부재(28)로 그리고 제 2 카운터샤프트 부재(28)로부터 제 2 카운터샤프트 전달 기어(110)와 출력 부재(14)로 전달된다.
제 3 전진 토크비(즉, 제 3 기어)를 구현하기 위해, 듀얼 클러치(32)가 결합되고, 동기장치(156)가 작동된다. 듀얼 클러치(32)는 기어(72)를 회전시키는 제 1 샤프트 부재(22)에 입력 부재(12)를 결합시킨다. 동기장치(156)는 기어(74)를 제 1 카운터샤프트 부재(26)에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입력 부재(12)로부터의 입력 토크는 듀얼 클러치 조립체(32)를 통해 제 1 샤프트 부재(22)로, 기어(72)를 통해 기어(74)로, 기어(74)를 통해 동기장치(156)로, 동기장치(156)로부터 제 1 카운터샤프트 부재(26)로, 제 1 카운터샤프트 부재(26)로부터 제 1 카운터샤프트 전달 기어(100), 그리고난 다음 제 1 카운터샤프트 전달 기어(100)로부터 출력 부재(14)로 전달된다.
제 4 전진 토크비(즉, 제 4 기어)를 구현하기 위해, 듀얼 클러치(32)가 결합되고, 동기장치(152)가 작동된다. 듀얼 클러치(32)는 기어(52)를 회전시키는 제 2 샤프트 부재(24)에 입력 부재(12)를 결합시킨다. 동기장치(152)는 기어(56)를 제 1 카운터샤프트 부재(26)에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입력 부재(12)로부터의 입력 토크는 듀얼 클러치 조립체(32)를 통해 제 2 샤프트 부재(24)에 그리고 기어(52)에, 그 다음 기어(52)로부터 기어(56)로, 기어(56)로부터 동기장치(152)로, 동기장치(152)로부터 제 1 카운터샤프트 부재(26)로, 제 1 카운터샤프트 부재(26)로부터 제 1 카운터샤프트 전달 기어(100), 그리고난 다음 제 1 카운터샤프트 전달 기어(100)로부터 출력 부재(14)로 전달된다.
제 5 전진 토크비(즉, 제 5 기어)를 구현하기 위해, 듀얼 클러치(32)가 결합되고, 동기장치(156)가 작동된다. 듀얼 클러치(32)는 기어(62)를 회전시키는 제 1 샤프트 부재(22)에 입력 부재(12)를 결합시킨다. 동기장치(156)는 기어(66)를 제 1 카운터샤프트 부재(26)에 결합시킨다. 입력 부재(12)로부터의 입력 토크는 듀얼 클러치 조립체(32)를 통해 제 1 샤프트 부재(22)로, 제 1 샤프트 부재(22)로부터 기어(62)로, 기어(62)로부터 기어(66)로, 기어(66)로부터 제 1 카운터샤프트 부재(26)로, 동기장치(156)를 통해 제 1 카운터샤프트 전달 기어(100)로, 그리고 제 1 카운터샤프트 전달 기어(100)로부터 출력 부재(14)로 전달된다.
제 6 전진 토크비(즉, 제 6 기어)를 구현하기 위해, 듀얼 클러치(32)가 결합되고, 동기장치(150)가 작동된다. 듀얼 클러치(32)는 기어(52)를 회전시키는 제 2 샤프트 부재(24)에 입력 부재(12)를 결합시킨다. 동기장치(150)는 기어(54)를 제 2 카운터샤프트 부재(28)에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입력 부재(12)로부터의 입력 토크는 듀얼 클러치 조립체(32)를 통해 제 2 샤프트 부재(24) 그리고 기어(52)로, 그 다음 기어(52)로부터 기어(54)로, 기어(54)로부터 동기장치(150)로, 동기장치(150)로부터 제 2 카운터샤프트 부재(28)로, 제 2 카운터샤프트 부재(28)로부터 제 2 카운터샤프트 전달 기어(110)로, 그리고난 다음 제 2 카운터샤프트 전달 기어(110)로부터 출력 부재(14)로 전달된다.
제 7 전진 토크비(즉, 제 7 기어)를 구현하기 위해, 듀얼 클러치(32)가 결합되고, 동기장치(154)가 작동된다. 듀얼 클러치(32)는 기어(62)를 회전시키는 제 1 샤프트 부재(22)에 입력 부재(12)를 결합시킨다. 동기장치(154)는 기어(64)를 제 2 카운터샤프트 부재(28)에 결합시킨다. 입력 부재(12)로부터의 입력 토크는 듀얼 클러치 조립체(32)를 통해 제 1 샤프트 부재(22)로, 제 1 샤프트 부재(22)로부터 기어(62)로, 기어(62)로부터 기어(64)로, 기어(64)로부터 제 2 카운터샤프트 부재(28)로, 동기장치(154)를 통해 제 2 카운터샤프트 전달 기어(110)로, 그리고 제 2 카운터샤프트 전달 기어(110)로부터 출력 부재(14)로 전달된다.
본 발명은 각종 토크비[즉, 입력 부재(12)로의 출력 부재(14)의 토크비] 및 비율 단계가 트랜스미션(10)의 기어의 치형부에 대한 개수 선택을 통해 성취될 수 있음을 고려한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비해 많은 이점과 장점을 가진다. 예를 들면, 4개의 동기장치를 사용하면, 각각의 레일에 대해 하나의 포크를 갖는 4개의 레일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 및 제어 시스템이 보다 단순화되고, 질량과 비용이 감소되며, 패키지 성능이 개선된 트랜스미션이 성취된다.
본 발명의 최선책이 상세하게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는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 각종 변형된 설계 및 실시예를 인식할 것이다.

Claims (23)

  1. 트랜스미션 하우징;
    엔진의 플라이 휠에 연결가능한 클러치 하우징을 갖는 듀얼 클러치 조립체로서, 상기 클러치 하우징은 제 1 볼 베어링 조립체에 의해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 내에 회전식으로 지지되는, 상기 듀얼 클러치 조립체;
    제 1, 제 2, 제 3, 제 4 및 제 5 기어 세트로서, 상기 제 1 기어 세트는 제 2 기어와 맞물리는 제 1 기어와, 상기 제 2 기어와 맞물리는 제 3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기어 세트는 제 2 기어와 제 3 기어와 맞물리는 제 1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기어 세트는 제 2 기어와 제 3 기어와 맞물리는 제 1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 4 기어 세트는 제 2 기어와 맞물리는 제 1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제 5 기어 세트는 제 2 기어와 맞물리는 제 1 기어를 구비하는, 상기 제 1, 제 2, 제 3, 제 4 및 제 5 기어 세트;
    제 2 볼 베어링 조립체에 의해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 단부와, 제 1 니들 베어링 조립체에 의한 제 2 단부를 갖는 제 1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로서, 상기 제 3, 제 4 및 제 5 기어 세트의 제 1 기어 각각은 상기 제 1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상기 제 1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
    제 2 니들 베어링 조립체에 의해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 단부와, 제 3 볼 베어링 조립체에 의한 제 2 단부를 갖는 제 2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로서, 상기 제 3 볼 베어링 조립체는 상기 제 1 니들 베어링 조립체와 축방향으로 동심으로 정렬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어 세트의 제 1 기어 각각은 상기 제 2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 2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는 상기 제 1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와 동심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상기 제 2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
    제 1 및 제 2 트러스트 베어링 세트에 의해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와 평행하게 이격되는 제 1 카운터샤프트로서, 상기 제 1 기어 세트의 제 3 기어, 상기 제 2 기어 세트의 제 3 기어, 상기 제 3 기어 세트의 제 3 기어 및 상기 제 4 기어 세트의 제 2 기어 각각은 상기 제 1 카운터샤프트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선택적으로 연결가능한, 상기 제 1 카운터샤프트;
    제 3 및 제 4 트러스트 베어링 세트에 의해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와 평행하게 이격되는 제 2 카운터샤프트로서, 상기 제 1 기어 세트의 제 2 기어 및 상기 제 2 기어 세트의 제 2 기어 각각은 상기 제 2 카운터샤프트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선택적으로 연결가능한, 상기 제 2 카운터샤프트; 및
    상기 제 1, 제 2, 제 3, 제 4 및 제 5 기어 세트의 하나 이상의 기어를 상기 제 1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 상기 제 2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 상기 제 1 카운터샤프트 및 상기 제 2 카운터샤프트 중 하나 이상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4개의 동기장치 조립체(four synchronizer assemblies);를 포함하며,
    듀얼 클러치 조립체의 선택적인 결합은 상기 듀얼 클러치 하우징을 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 중 하나 이상과 상호결합하고, 상기 4개의 동기장치 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인 결합은 7가지 전진 변속비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하는 트랜스미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볼 베어링 조립체는 상기 트랜스미션의 제 1 단부 벽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니들 베어링 조립체는 상기 듀얼 클러치 조립체에 근접한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의 제 2 단부 벽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의 제 1 단부 벽에 인접하게 배치된 상기 제 2 볼 베어링 조립체와, 상기 제 1 니들 베어링 조립체와 축방향으로 동심으로 정렬된 상기 제 3 볼 베어링 조립체 사이에 제 2 니들 베어링 조립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러스트 베어링 세트는 상기 제 1 카운터샤프트의 제 1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트러스트 베어링 세트는 상기 제 1 카운터샤프트의 제 2 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트러스트 베어링 세트는 상기 제 2 카운터샤프트의 제 1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4 트러스트 베어링 세트는 상기 제 2 카운터샤프트의 제 2 단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카운터샤프트에 고정식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3 볼 베어링 조립체와 축방향으로 정렬되는 톤 휠(tone wheel)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동기장치 조립체 중 첫 번째는 상기 제 1 기어 세트의 제 2 기어와 상기 제 2 기어 세트의 제 2 기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제 2 카운터샤프트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동기장치 조립체 중 두 번째는 상기 제 1 기어 세트의 제 3 기어와 상기 제 2 기어 세트의 제 3 기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제 1 카운터샤프트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동기장치 조립체 중 세 번째는 상기 제 3 기어 세트의 제 2 기어와 상기 제 5 기어 세트의 제 2 기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제 2 카운터샤프트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동기장치 조립체 중 네 번째는 상기 제 3 기어 세트의 제 3 기어와 상기 제 4 기어 세트의 제 2 기어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제 1 카운터샤프트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어 세트는 상기 듀얼 클러치 조립체에 인접하고, 상기 제 2 기어 세트는 상기 제 1 기어 세트에 인접하고, 상기 제 3 기어 세트는 상기 제 2 기어 세트에 인접하고, 상기 제 4 기어 세트는 상기 제 3 기어 세트에 인접하며, 상기 제 5 기어 세트는 상기 제 4 기어 세트에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클러치 조립체는 제 1 클러치와 제 2 클러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클러치는 상기 입력 부재를 상기 제 2 상호연결 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4개의 동기장치 조립체는 제 2 기어비를 구현하도록 상기 제 1 기어 세트의 제 2 기어를 상기 제 2 카운터샤프트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 1 동기장치 조립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클러치 조립체는 제 1 클러치와 제 2 클러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클러치는 상기 입력 부재를 상기 제 2 상호연결 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4개의 동기장치 조립체는 제 6 기어비를 구현하도록 상기 제 2 기어 세트의 제 2 기어를 상기 제 2 카운터샤프트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 1 동기장치 조립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클러치 조립체는 제 1 클러치와 제 2 클러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클러치는 상기 입력 부재를 상기 제 2 상호연결 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4개의 동기장치 조립체는 후진 기어비를 구현하도록 상기 제 1 기어 세트의 제 3 기어를 상기 제 1 카운터샤프트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 2 동기장치 조립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클러치 조립체는 제 1 클러치와 제 2 클러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클러치는 상기 입력 부재를 상기 제 2 상호연결 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4개의 동기장치 조립체는 제 4 기어비를 구현하도록 상기 제 2 기어 세트의 제 3 기어를 상기 제 1 카운터샤프트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 2 동기장치 조립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클러치 조립체는 제 1 클러치와 제 2 클러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클러치는 상기 입력 부재를 상기 제 1 상호연결 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4개의 동기장치 조립체는 제 7 기어비를 구현하도록 상기 제 3 기어 세트의 제 2 기어를 상기 제 2 카운터샤프트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 3 동기장치 조립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클러치 조립체는 제 1 클러치와 제 2 클러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클러치는 상기 입력 부재를 상기 제 1 상호연결 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4개의 동기장치 조립체는 제 1 기어비를 구현하도록 상기 제 5 기어 세트의 제 2 기어를 상기 제 2 카운터샤프트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 3 동기장치 조립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클러치 조립체는 제 1 클러치와 제 2 클러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클러치는 상기 입력 부재를 상기 제 1 상호연결 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4개의 동기장치 조립체는 제 5 기어비를 구현하도록 상기 제 3 기어 세트의 제 3 기어를 상기 제 1 카운터샤프트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 4 동기장치 조립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듀얼 클러치 조립체는 제 1 클러치와 제 2 클러치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클러치는 상기 입력 부재를 상기 제 1 상호연결 부재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4개의 동기장치 조립체는 제 3 기어비를 구현하도록 상기 제 4 기어 세트의 제 2 기어를 상기 제 1 카운터샤프트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제 4 동기장치 조립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카운터샤프트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상기 제 1 카운터샤프트에 고정된 제 1 카운터샤프트 전달 기어와, 상기 제 2 카운터샤프트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상기 제 2 카운터샤프트에 고정된 제 2 카운터샤프트 전달 기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카운터샤프트 전달 기어는 상기 제 1 및 제 2 카운터샤프트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토크를 출력 부재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부재는 상기 제 1 및 제 2 카운터샤프트 전달 기어 각각과 맞물리는 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23. 트랜스미션 하우징;
    엔진의 플라이 휠에 연결가능한 클러치 하우징을 갖는 듀얼 클러치 조립체로서, 상기 클러치 하우징은 제 1 볼 베어링 조립체에 의해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 내에 회전식으로 지지되는, 상기 듀얼 클러치 조립체;
    제 1, 제 2, 제 3, 제 4 및 제 5 기어 세트로서, 상기 제 1 기어 세트는 제 2 기어의 제 1 부분과 맞물리는 제 1 기어와, 상기 제 2 기어의 제 2 부분과 맞물리는 제 3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기어 세트는 제 2 기어와 제 3 기어와 맞물리는 제 1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 3 기어 세트는 제 2 기어와 제 3 기어와 맞물리는 제 1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 4 기어 세트는 제 2 기어와 맞물리는 제 1 기어를 구비하며, 상기 제 5 기어 세트는 제 2 기어와 맞물리는 제 1 기어를 구비하는, 상기 제 1, 제 2, 제 3, 제 4 및 제 5 기어 세트;
    제 2 볼 베어링 조립체에 의해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 단부와, 제 1 니들 베어링 조립체에 의한 제 2 단부를 갖는 제 1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로서, 상기 제 1 니들 베어링 조립체는 상기 듀얼 클러치 조립체에 근접한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의 제 2 단부 벽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3, 제 4 및 제 5 기어 세트의 제 1 기어 각각은 상기 제 1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 2 볼 베어링 조립체는 상기 트랜스미션의 제 1 단부 벽에 인접한, 상기 제 1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
    제 2 니들 베어링 조립체에 의해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 1 단부와, 제 3 볼 베어링 조립체에 의한 제 2 단부를 갖는 제 2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로서, 상기 제 2 니들 베어링 조립체는 상기 제 2 볼 베어링 조립체와 상기 제 3 볼 베어링 조립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3 볼 베어링 조립체는 상기 제 1 니들 베어링 조립체와 축방향으로 동심으로 정렬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기어 세트의 제 1 기어 각각은 상기 제 2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제 2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는 상기 제 1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와 동심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상기 제 2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
    제 1 및 제 2 트러스트 베어링 세트에 의해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와 평행하게 이격되는 제 1 카운터샤프트로서, 상기 제 1 기어 세트의 제 3 기어, 상기 제 2 기어 세트의 제 3 기어, 상기 제 3 기어 세트의 제 3 기어 및 상기 제 4 기어 세트의 제 2 기어 각각은 상기 제 1 카운터샤프트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선택적으로 연결가능한, 상기 제 1 카운터샤프트;
    제 3 및 제 4 트러스트 베어링 세트에 의해 상기 트랜스미션 하우징 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와 평행하게 이격되는 제 2 카운터샤프트로서, 상기 제 1 기어 세트의 제 2 기어 및 상기 제 2 기어 세트의 제 2 기어 각각은 상기 제 2 카운터샤프트와의 공통 회전을 위해 선택적으로 연결가능한, 상기 제 2 카운터샤프트; 및
    상기 제 1, 제 2, 제 3, 제 4 및 제 5 기어 세트의 하나 이상의 기어를 상기 제 1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 상기 제 2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 상기 제 1 카운터샤프트 및 상기 제 2 카운터샤프트 중 하나 이상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는 4개의 동기장치 조립체(four synchronizer assemblies);를 포함하며,
    듀얼 클러치 조립체의 선택적인 결합은 상기 듀얼 클러치 하우징을 상기 제 1 및 제 2 트랜스미션 입력 부재 중 하나 이상과 상호결합하고, 상기 4개의 동기장치 조립체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적인 결합은 7가지 전진 변속비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하는 트랜스미션.
KR1020100066331A 2009-08-06 2010-07-09 트랜스미션 KR1011768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3185309P 2009-08-06 2009-08-06
US61/231,853 2009-08-06
US12/711,063 2010-02-23
US12/711,063 US8459135B2 (en) 2009-08-06 2010-02-23 Seven speed dual clutch transmission having improved packag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4953A KR20110014953A (ko) 2011-02-14
KR101176870B1 true KR101176870B1 (ko) 2012-08-27

Family

ID=43533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331A KR101176870B1 (ko) 2009-08-06 2010-07-09 트랜스미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8459135B2 (ko)
KR (1) KR101176870B1 (ko)
CN (1) CN101994786B (ko)
BR (1) BRPI1003285A2 (ko)
DE (1) DE102010033132A1 (ko)
FR (1) FR2948984A1 (ko)
RU (1) RU2442919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59135B2 (en) 2009-08-06 2013-06-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ven speed dual clutch transmission having improved packaging
US8933644B2 (en) 2009-09-18 2015-01-13 Soraa, Inc. LED lamps with improved quality of light
JP5436354B2 (ja) * 2010-06-24 2014-03-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ツインクラッチ式変速装置
US8474586B2 (en) 2010-10-18 2013-07-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lutch actuation assembly with satellite pistons
US8757020B2 (en) * 2011-08-03 2014-06-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ven speed dual clutch transmission
EP2602510B1 (en) * 2011-12-07 2014-12-03 C.R.F. Società Consortile per Azioni Gear change device for a motor-vehicle
US9476948B2 (en) 2014-04-22 2016-10-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utomotive magnetic shield
US9547049B2 (en) 2014-04-22 2017-01-1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Automotive magnetic shield
DE102015207156A1 (de) * 2015-04-20 2016-10-20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Doppelkupplungsgetriebe
US10018251B2 (en) 2015-11-09 2018-07-1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ulti-speed dual clutch transmission
CN105387149A (zh) * 2015-12-09 2016-03-09 陕西法士特齿轮有限责任公司 一种矿用车变速器
BE1026423B1 (nl) * 2018-07-03 2020-02-03 Punch Powertrain Nv Hulpassamenstel voor gebruik in een versnellingsbak van een voertuig
FR3093148B1 (fr) 2019-02-25 2022-06-03 Valeo Embrayages Dispositif de transmission de couple pour un véhicule automobil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15345A1 (en) 2003-09-23 2005-06-02 Gerhard Gumpoltsberger Transmission with particular transmission shafts
US20050247147A1 (en) 2004-05-06 2005-11-10 Gerhard Gumpoltsberger Double clutch transmission
US20050262956A1 (en) 2004-05-25 2005-12-01 David Janson Dual clutch automatic transaxle
US20060225527A1 (en) 2005-04-06 2006-10-12 Ching-Min Yang Automatic transmission using a shift suppor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U370085A1 (ru) * 1967-06-27 1973-02-15 Коробка передач
SE451005B (sv) * 1985-03-28 1987-08-24 Volvo Ab Motorfordonsvexellada
JP2004263708A (ja) 2003-01-14 2004-09-24 Kyowa Metal Work Co Ltd ツインクラッチ式変速機
FR2850441B1 (fr) * 2003-01-24 2005-03-11 Renault Sa Dispositif de commande interne de boite de vitesses mecanique
DE10325647A1 (de) 2003-06-06 2004-02-05 Daimlerchrysler Ag Doppelkupplungsgetriebe
DE10335262A1 (de) 2003-08-01 2005-03-03 Daimlerchrysler Ag Doppelkupplungsgetriebe mit koaxialem Antrieb und Abtrieb
DE10343995B4 (de) 2003-09-23 2014-03-06 Zf Friedrichshafen Ag Getriebestruktur
DE102004010806A1 (de) 2004-03-05 2005-09-22 Daimlerchrysler Ag Doppelkupplungsgetriebe
DE102004012909A1 (de) 2004-03-17 2005-10-06 Daimlerchrysler Ag Doppelkupplungsgetriebe
EP1589257B1 (en) * 2004-04-23 2008-06-04 C.R.F. Società Consortile per Azioni Double clutch transmission for motor vehicle
JP4560337B2 (ja) 2004-06-15 2010-10-13 アイシン・エーアイ株式会社 歯車変速装置
KR100610107B1 (ko) * 2004-08-13 2006-08-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더블 클러치 변속기
DE102004046558A1 (de) 2004-09-24 2006-04-06 Volkswagen Ag Sensoranordn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automatisierten Doppelkupplungsgetriebes
DE102004056936B4 (de) * 2004-11-23 2011-02-03 Getrag Getriebe- Und Zahnradfabrik Hermann Hagenmeyer Gmbh & Cie Kg Stufenwechselgetriebe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5061078A1 (de) * 2005-01-15 2006-07-20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Doppelkupplungsgetriebes
DE102005025273B4 (de) 2005-06-02 2013-11-28 Daimler Ag Doppelkupplungsgetriebe
DE602005009871D1 (de) 2005-04-04 2008-10-30 Oerlikon Graziano Spa Siebenganggetriebe für ein doppelkupplungsgetriebe eines kraftfahrzeugs
FR2885978B1 (fr) * 2005-05-20 2009-05-15 Thery Pascal Pierre Gabriel Ma Boite de vitesses a double embrayage
DE102005035328B4 (de) 2005-07-28 2015-04-09 Zf Friedrichshafen Ag Doppelkupplungsgetriebe mit integrierter Elektromaschine und dessen Anwendung
JP4822891B2 (ja) 2006-03-23 2011-11-24 アイシン・エーアイ株式会社 歯車変速装置
DE102006016059B4 (de) 2006-04-04 2008-04-03 Getrag-Ford Transmissions Gmbh Kurzbauendes Mehrgang-Schaltgetriebe
DE102006016397B4 (de) 2006-04-07 2014-08-07 Hofer Mechatronik Gmbh Getriebe und ein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Getriebes für ein Kraftfahrzeug
JP2007285363A (ja) 2006-04-13 2007-11-01 Aisin Ai Co Ltd 歯車式自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JP2007321820A (ja) * 2006-05-30 2007-12-13 Mitsubishi Motors Corp ダブルクラッチ変速機
JP4380660B2 (ja) * 2006-05-30 2009-12-0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ダブルクラッチ変速機
JP2007331654A (ja) 2006-06-16 2007-12-27 Aisin Ai Co Ltd パーキングロック機能を備えた歯車変速装置
US7669497B2 (en) 2006-08-23 2010-03-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Powertrain with torque converter and axially compact seven speed dual clutch transmission
US7743677B2 (en) * 2006-08-23 2010-06-29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Powertrain with torque converter and axially compact seven speed dual clutch transmission
KR100892693B1 (ko) * 2006-10-31 2009-04-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더블 클러치 변속기
US7870804B2 (en) * 2006-12-08 2011-01-18 GM Global Technologies Operations LLC Multi-speed dual clutch transmission
US7752934B2 (en) 2007-02-20 2010-07-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Multi speed transmission having a countershaft gearing arrangement
US7610825B2 (en) 2007-02-22 2009-11-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Multi-speed transmission with countershaft gearing
US7703346B2 (en) 2007-02-22 2010-04-2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Multi-speed transmission with countershaft gearing
US7644639B2 (en) 2007-02-23 2010-01-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Multi-speed transmission with countershaft gearing
US7640818B2 (en) 2007-02-23 2010-01-0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Multi-speed transmission with a countershaft gearing
JP4193906B2 (ja) * 2007-03-26 2008-12-10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ダブルクラッチ変速機
JP4240129B2 (ja) * 2007-03-28 2009-03-1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変速機
JP4179385B2 (ja) * 2007-03-30 2008-11-1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変速機
US7845247B2 (en) * 2007-05-30 2010-12-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Shift fork actuation system for control of synchronizer position
DE112008001250A5 (de) * 2007-07-09 2010-02-11 Luk Lamellen Und Kupplungsbau Beteiligungs Kg Antriebseinheit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7049269B4 (de) * 2007-10-15 2017-05-18 Zf Friedrichshafen Ag Doppelkupplungsgetriebe
DE102007049270B4 (de) * 2007-10-15 2017-03-02 Zf Friedrichshafen Ag Doppelkupplungsgetriebe
EP2060827B1 (de) * 2007-11-14 2011-09-07 Getrag Ford Transmissions GmbH Verwendung eines Doppelkupplungsgetriebes in zwei Getriebevarianten
GB2458790B (en) * 2008-03-31 2012-09-19 Gm Global Tech Operations Inc Double-clutch transmission for vehicles
US8459135B2 (en) 2009-08-06 2013-06-1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ven speed dual clutch transmission having improved packagi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15345A1 (en) 2003-09-23 2005-06-02 Gerhard Gumpoltsberger Transmission with particular transmission shafts
US20050247147A1 (en) 2004-05-06 2005-11-10 Gerhard Gumpoltsberger Double clutch transmission
US20050262956A1 (en) 2004-05-25 2005-12-01 David Janson Dual clutch automatic transaxle
US20060225527A1 (en) 2005-04-06 2006-10-12 Ching-Min Yang Automatic transmission using a shift suppor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42919C1 (ru) 2012-02-20
FR2948984A1 (fr) 2011-02-11
DE102010033132A1 (de) 2011-03-10
CN101994786A (zh) 2011-03-30
KR20110014953A (ko) 2011-02-14
US8607655B2 (en) 2013-12-17
US8459135B2 (en) 2013-06-11
US20110030506A1 (en) 2011-02-10
US20130269460A1 (en) 2013-10-17
BRPI1003285A2 (pt) 2012-04-10
CN101994786B (zh)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870B1 (ko) 트랜스미션
KR101076832B1 (ko) 트랜스미션
US8266977B2 (en) Seven speed dual clutch transmission
KR101076831B1 (ko) 트랜스미션
US8408085B2 (en) Seven speed dual clutch transmission
KR101254509B1 (ko) 8단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
US8505400B2 (en) Dual clutch five speed transmission
US8505401B2 (en) Seven speed dual clutch transmission with four axes of rotation
KR101254508B1 (ko) 8단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
US20130031990A1 (en) Eight speed dual clutch transmission
US8757021B2 (en) Eight speed dual clutch transmission
US8104367B2 (en) Seven speed dual clutch transmission
US8336411B2 (en) Dual clutch multi-speed transmission
US20130031992A1 (en) Seven speed dual clutch transmission
US8220351B2 (en) Dual clutch multi-speed transmission having one countershaft and a reverse shaft
US8485056B2 (en) Dual clutch multi-speed transmission
US8336410B2 (en) Dual clutch multi-speed transmission
US9625006B2 (en) Seven speed dual clutch transmission
US8479602B2 (en) Seven speed dual clutch transmission with four axes of ro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