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6815B1 - 열간 압연 설비 및 그것을 사용한 강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열간 압연 설비 및 그것을 사용한 강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6815B1
KR101176815B1 KR1020127012553A KR20127012553A KR101176815B1 KR 101176815 B1 KR101176815 B1 KR 101176815B1 KR 1020127012553 A KR1020127012553 A KR 1020127012553A KR 20127012553 A KR20127012553 A KR 20127012553A KR 101176815 B1 KR101176815 B1 KR 101176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hot rolling
metal material
rolling
ro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2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3335A (ko
Inventor
아키히로 오쿠노
나오토 히라타
노부야 이케다
미치오 다나카
사토시 시부야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073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6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6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0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 B21B1/2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 B21B1/30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non-continuous process
    • B21B1/32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non-continuous process in reversing single stand mills, e.g. with intermediate storage reels for accumulating work
    • B21B1/34Metal-rolling methods or mills for making semi-finished products of solid or profiled cross-section; Sequence of operations in milling trains; Layout of rolling-mill plant, e.g. grouping of stands; Succession of passes or of sectional pass alternations for rolling plates, strips, bands or sheets of indefinite length in a non-continuous process in reversing single stand mills, e.g. with intermediate storage reels for accumulating work by hot-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Abstract

열간 압연 설비에 있어서, 추월 압연 등을 실시하기 위해서, 반송 테이블 상의 압연재를 후속 압연재를 통과할 수 있는 높이로 들어 올리는 유지 장치로서 넓은 스페이스가 없더라도 설치할 수 있으며, 적절히 압연재를 들어 올릴 수 있는 유지 장치를 제공한다. 반송 테이블 (10) 의 양측에 형성된 4 개의 지주 (21) 를 따라 승강하는 프레임 (31, 32) 에 장착된 복수 조의 유지 아암 (33) 의 유지부 (33a) 에 의해, 강재 (10) 를 반송 테이블 양측에서 유지하여 들어 올린다. 유지부가 적절한 단열 구조를 갖고 있는 유지 아암 및 그 유지 아암을 구비한 유지 장치를 제공한다. 냉각 대기를 필요로 하는 제어 압연재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도, 열간 압연기의 빈 시간을 저감시켜, 압연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간 압연 설비와 그것을 사용한 열간 압연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열간 압연 설비 및 그것을 사용한 강재의 제조 방법{HOT ROLLING EQUIP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EEL PRODUCT USING THE HOT ROLLING EQUIPMENT}
본 발명은, 열간 압연 설비 및 그것을 사용한 강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강재 (鋼材) 의 후판 (厚板) 압연에 있어서는, 제어 압연 (Controlled Rolling; CR) 을 실시함으로써, 우수한 재질의 강재를 만들고 있다.
그 때에, 제어 압연을 실시할 때의 온도 (제어 압연 개시 온도) 가 낮고 또한 제어 압연을 실시할 때의 판 두께 (제어 압연 개시 판 두께) 가 두꺼운 경우에는, 압연재가 제어 압연 개시 온도가 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열간 압연기 근방의 반송 테이블 상에서 제어 압연 개시 온도가 될 때까지 압연재를 대기시켰다. 그 결과, 그 냉각 대기에 의해 열간 압연기에 빈 시간이 발생되어, 압연 능률이 저해된다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냉각 대기에 의해 열간 압연기에 빈 시간이 발생되어 압연 능률이 저해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열간 압연 설비의 마무리 압연기 입측 (入側) 의 반송 테이블에 있어서, 반송 테이블 상의 고온 압연재를 후속 압연재가 통과할 수 있는 높이로 들어 올려 대기 상태로 유지하는 외팔보 포크 형상의 아암을 갖는 승강 장치를 구비한 압연재의 대기 장치 (유지 장치) 가 개시되어 있다.
도 9 는 상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압연재의 대기 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냉각 대기해야 할 압연재가 반송 라인의 테이블 롤러 (R) 상으로 보내져, S1 상태에서 정지된다. 그리고, 승강 장치 (91) 에 의해 기어드 모터 (95) 를 구동시켜 외팔보 포크 형상의 아암 (92) 에 탑재하고 압연재를 들어 올려 S2 상태에서 대기시킨다. 이로써, 냉각 대기를 필요로 하는 압연재가 시간 대기를 하고 있어도, 후속 압연재는 대기 중인 압연재를 추월하여 압연할 수 있게 되어, 압연 능률이 저해되는 것이 없어진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열간 압연 설비의 조 (粗) 압연기 입측의 반송 테이블에, 압연재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조절 띠를 형성하고, 반송 테이블 상의 고온 압연재를 들어 올려 조압연기와 온도 조절 띠 사이를 왕복 구동하는 승강 가능한 행거를 구비한 이송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4-274814호
특허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323404호
발명의 개시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압연재의 대기 장치 (유지 장치) 에 있어서는, 외팔보 포크 형상의 아암에 탑재하여 압연재를 들어 올리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그 외팔보 포크 형상의 아암을 지지하여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를 강고한 구조로 할 필요가 있고, 그러한 승강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넓은 설치 스페이스가 반송 테이블에 근접하여 필요해진다. 따라서, 반송 테이블에 근접하여 넓은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추월 압연 장치를 적용할 수 없다.
또, 상기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압연재의 이송 장치에 있어서는, 행거에 의해 압연재를 들어 올리도록 하고 있으므로, 압연재의 국부 밖에 유지할 수 없기 때문에, 강성이 낮은 고온에서 판 두께가 얇은 압연재에 대해서는, 특히 대면적의 경우에는 유지부가 압연재의 면적에 비해 작아지기 때문에, 압연재의 큰 변형이나 파단의 우려가 있어 들어 올릴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후판 압연 설비 등의 열간 압연 설비에 있어서, 추월 압연 등을 실시하기 위해서, 반송 테이블 상의 압연재를 후속 압연재가 통과할 수 있는 높이로 들어 올려 유지할 때에 사용하는 압연재의 유지 장치로서, 넓은 스페이스 없이도 설치할 수 있음과 함께, 적절히 압연재를 들어 올려 유지할 수 있는 압연재의 유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과, 그 유지 장치를 구비한 열간 압연 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강재의 유지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상면에 고온의 강재를 탑재하는 부분 (유지부) 을 내열 구조로 할 필요가 있다. 그 때에 유지부를 고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지부와의 접촉으로 강재에 국부 냉각 (냉각 불균일, 온도 불균일) 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거나, 강재를 들어 올리는 순간 등의 충격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구조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고온의 강재와 접촉하는 지점의 내열 구조로서는, 고온 강도의 높은 내열강 등을 사용하고 강재와의 접촉 면적을 줄이는 연구가 이루어지거나 (가열로 워킹 빔의 스키드 버튼, 가열로 익스트랙터 등), 연와 등의 단열재를 벗겨낸 상태에서 장착한 구조 등이 사용되고 있는데, 그들 단열 구조를 상기 서술한 유지부에 채용하려고 한 경우, 이하와 같은 결점이 있다.
먼저, 내열강 등을 사용한 경우, 강재와의 접촉 면적을 어느 정도 작게 할 수 있지만, 근본적인 해결이 되지 않아 온도 불균일은 남았다. 게다가, 내열강 등은 고가이기 때문에, 설비 비용이 들기 때문에 온도 불균일에 대해 기대 효과가 낮았다.
또, 연와 등의 단열재를 벗겨낸 상태에서 장착한 구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강재를 들어 올리는 순간 등의 충격 하중에 의해 단열재가 파손되어, 반송 라인 등에 낙하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후판 압연 설비 등의 열간 압연 설비에 있어서, 고온의 금속재를 들어 올릴 때에 사용하고, 고온의 금속재를 탑재하는 유지부가 적절한 단열 구조를 갖고 있는 유지 아암 및 유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 특허문헌 1 에는, 대기 장치를 사용하여 추월 압연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 시사되어 있지만, 냉각 대기를 필요로 하는 제어 압연재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어떻게 압연을 실시하면, 열간 압연기의 빈 시간을 저감시켜 압연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대기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그대로는 후속 압연재를 통과시킨 후, 대기시키고 있던 제어 압연재를 양호한 타이밍으로 계속해서 압연하는 것이 곤란하다. 즉, 대기 장치에서 제어 압연재를 소정의 온도가 될 때까지 공냉 상태에서 대기시키고 있는 동안, 추월하는 압연재를 항상 준비해 두는 것은 어렵고, 열간 압연기가 빈 상태가 되는 상황이 빈발한다. 그 때문에 시간당 생산량의 감소를 피할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냉각 대기를 필요로 하는 제어 압연재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라도, 열간 압연기의 빈 시간을 저감시켜, 압연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열간 압연 설비와 그것을 사용한 강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이하의 특징을 갖는다.
[1] 열간 압연 설비에 있어서, 반송 테이블 상으로부터 압연재를 상방으로 들어 올려 유지하기 위한 압연재의 유지 장치로서, 반송 테이블 상방으로 승강할 수 있게 배치된 승강 프레임과, 압연재를 반송 테이블 양측에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승강 프레임에 형성된 복수의 유지 아암을 구비하고, 그 유지 아암은 승강 프레임의 상승에 의해 압연재 하면에 걸어맞춰질 수 있는 유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재의 유지 장치.
[2] 승강 프레임은 반송 테이블 양측에 설치된 지지체에 승강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에 기재된 압연재의 유지 장치.
[3] 승강 프레임은 반송 테이블 상방에 설치된 가대 (架臺) 에 승강할 수 있게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에 기재된 압연재의 유지 장치.
[4] 유지 아암은, 승강 프레임으로부터 하방으로 늘어지는 수하부 (垂下部) 와, 그 수하부의 하단으로부터 반송 테이블 폭 중앙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연재의 유지 장치.
[5] 열간 압연기와, 압연재를 그 열간 압연기에 반송하기 위한 복수의 테이블 롤러와 각 테이블 롤러 간의 간극에 설치된 에이프런으로 이루어지는 반송 테이블과, 상기 열간 압연기의 상류측에 상기 반송 테이블 상으로부터 압연재를 들어 올려 유지하는 유지 장치를 갖는 열간 압연 설비로서, 유지 장치로서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압연재의 유지 장치를 구비하고, 그 유지 장치의 유지 아암의 유지부는 테이블 롤러 간의 간극에 배치됨과 함께, 유지부가 승강하는 부분 이외의 테이블 롤러 간의 간극에 에이프런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설비.
[6] 상기 [5] 에 기재된 열간 압연 설비를 사용한 금속재 (金屬材) 의 제조 방법으로서, 금속재를 상기 열간 압연기로 소정의 두께로 압연한 후, 그 금속재를 상기 유지 장치에 의해서 후속 금속재가 통과할 수 있는 장소에 대기시키고, 후속 금속재를 상기 열간 압연기로 압연하는 한편, 대기 중인 금속재를 반송 테이블 상에 되돌려, 상기 후속 금속재에 이어서 상기 열간 압연기로 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의 제조 방법.
[7] 고온의 금속재를 들어 올릴 때에 사용하는 유지 아암으로서, 금속재를 탑재하는 유지부를 구비하고, 그 유지부는 유지부 본체와, 그 유지부 본체의 적어도 금속재와 접촉하는 측을 덮는 제 1 단열재와, 상기 제 1 단열재를 덮음과 함께 금속재에 접촉하는 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의 유지 아암.
[8] 상기 금속재에 접촉하는 커버는 금속제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7] 에 기재된 금속재의 유지 아암.
[9] 상기 금속재에 접촉하는 커버는, 제 1 단열재를 덮는 금속제 커버와, 그 금속제 커버의 상면에 장착되고, 금속재에 접촉하는 탄력성을 갖는 제 2 단열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7] 에 기재된 금속재의 유지 아암.
[10] 유지 아암은, 하방으로 늘어지는 수하부와, 그 수하부의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7] ~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금속재의 유지 아암.
[11] 반송 테이블 상으로부터 금속재를 상방으로 들어 올려 유지하는 금속재의 유지 장치로서, 반송 테이블 상방으로 승강할 수 있게 배치된 승강 프레임과, 금속재를 반송 테이블 양측에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승강 프레임에 형성된 복수의 상기 [7] ~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금속재의 유지 아암을 구비하고, 그 유지 아암의 유지부는 승강 프레임의 상승에 의해 금속재 하면을 밀어 올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의 유지 장치.
[12] 열간 압연기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상기 [11] 에 기재된 유지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설비.
[13] 상기 [12] 에 기재된 열간 압연 설비를 사용한 금속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금속재를 상기 열간 압연기로 소정의 두께로 압연한 후, 그 금속재를 상기 유지 장치에 의해서 후속 금속재가 통과할 수 있는 장소에 대기시키고, 후속 금속재를 상기 열간 압연기로 압연하는 한편, 대기 중인 금속재를 반송 테이블 상에 되돌려, 상기 후속 금속재에 이어서 상기 열간 압연기로 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의 제조 방법.
[14] 가역식 열간 압연기의 상류측에, 압연재를 반송 테이블 상으로부터 후속 압연재가 통과할 수 있는 장소에 대기시키기 위한 대기 장치를 구비하고, 가역식 열간 압연기의 하류측에, 압연재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설비.
[15] 상기 [14] 에 기재된 열간 압연 설비를 사용한 열간 압연 방법으로서,
제 1 슬래브를 상기 가역식 열간 압연기로 소정의 판 두께까지 압연한 후, 상기 냉각 장치에 의해 제어 압연할 수 있는 온도까지 냉각시킴과 동시에, 이 냉각 중에 제 2 슬래브를 상기 가역식 열간 압연기로 소정의 판 두께까지 압연하고, 압연 후, 상기 대기 장치에 의해 제어 압연할 수 있는 온도까지 유지하여 냉각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 슬래브를 상기 가역식 열간 압연기에 역송 (逆送) 하여 마무리 판 두께로 압연을 실시하고, 추가로, 제 3 슬래브를 상기 가역식 열간 압연기에 보내어 마무리 판 두께까지 압연하고, 압연 종료 후, 상기 제 2 슬래브를 상기 가역식 열간 압연기에 보내어 마무리 판 두께까지 압연을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방법.
[16] 열간 압연기의 상류측에 압연재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장치와, 압연재를 반송 테이블 상으로부터 후속 압연재가 통과할 수 있는 장소에 대기시키기 위한 대기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설비.
[17] 상기 대기 장치는 압연재를 반송 테이블 상으로부터 상방으로 들어 올려 대기시키는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6] 에 기재된 열간 압연 설비.
[18] 상기 [16] 또는 [17] 에 기재된 열간 압연 설비를 사용한 강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강재를 상기 열간 압연기로 소정의 판 두께로 압연한 후, 그 강재를 상기 대기 장치로 후속 강재가 통과할 수 있는 장소에 대기시키고, 후속 강재를 상기 열간 압연기로 압연하는 한편, 대기 중인 강재를 반송 테이블 상에 되돌려, 상기 냉각 장치에 반송하여 소정의 온도로 냉각시킨 후, 상기 후속 강재에 이어서 상기 열간 압연기로 마무리 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재의 제조 방법.
[19] 가역식 열간 압연기의 상류측에, 압연재를 냉각시키기 위한 제 1 냉각 장치와, 압연재를 반송 테이블 상으로부터 후속 압연재가 통과할 수 있는 장소에 대기시키기 위한 대기 장치를 구비하고, 가역식 열간 압연기의 하류측에, 압연재를 냉각시키기 위한 제 2 냉각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설비.
[20] 상기 제 1 냉각 장치와, 상기 대기 장치와, 상기 제 2 냉각 장치에는, 각각 압연재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계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9] 에 기재된 열간 압연 설비.
[21] 상기 [19] 또는 [20] 에 기재된 열간 압연 설비를 사용한 열간 압연 방법으로서, 제 1 슬래브를 상기 가역식 열간 압연기로 소정의 판 두께까지 압연한 후, 제 1 슬래브를 상기 대기 장치에 의해 반송 테이블 상으로부터 후속 압연재가 통과할 수 있는 장소에 대기시키고, 제 2 슬래브를 상기 가역식 열간 압연기에 보내어 압연을 실시함과 함께, 대기 장치로 대기시킨 제 1 슬래브를 반송 테이블 상에 되돌려, 상기 제 1 냉각 장치에 보내어 소정의 온도까지 냉각시키고, 그 후, 제 2 슬래브가 가역식 열간 압연기로 소정의 판 두께까지 압연되어 하류측에 반송되는 데 맞추어, 제 1 슬래브를 상기 제 2 냉각 장치에 보내고, 제 2 냉각 장치로 제 1 슬래브를 제어 압연할 수 있는 온도까지 냉각시키는 한편, 제 3 슬래브를 상기 가역식 열간 압연기에 보내어 소정의 판 두께까지 압연한 후, 제 3 슬래브를 상류측에 반송함과 함께, 제 2 냉각 장치로 제어 압연할 수 있는 온도까지 냉각된 제 1 슬래브를 상기 가역식 열간 압연기에 보내어 마무리 판 두께까지 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반송 테이블 상방에 승강할 수 있게 배치된 승강 프레임에 형성된 복수의 유지 아암에 의해, 압연재의 하면을 반송 테이블 양측 (판 폭 방향 양측) 에서 유지하여 압연재를 들어 올리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반송 테이블에 근접하여 넓은 스페이스가 없더라도 설치할 수 있음과 함께, 고온에서 판 두께가 얇고 대면적의 압연재라도 적절히 들어 올려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지 아암의 유지부가, 유지부 본체의 금속재와 접촉하는 측을 덮는 제 1 단열재와, 제 1 단열재를 덮음과 함께 금속재에 접촉하는 커버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단열재의 단열 효과에 의해 유지부 본체를 고열로부터 보호하며, 또한 금속재의 냉각 불균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커버에 의해 충격 하중을 받아낼 수 있다.
또, 이 구조의 유지 아암을 구비한 유지 장치를 금속재의 열간 압연 설비에 설치하여 금속재의 제조를 실시하면, 형상 정밀도나 재질 등의 안정적인 금속재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냉각 대기를 필요로 하는 제어 압연재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냉각 장치에 의한 냉각과 대기 장치를 사용한 추월 압연을 적절히 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열간 압연기의 빈 시간을 저감시켜, 압연되는 압연재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어 압연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후속 압연재의 압연 종료 시각에 맞추어, 대기 중인 압연재 (제어 압연재) 를 냉각 장치에 의해 소정 시각에 소정 온도가 되도록 냉각시킬 수 있으므로, 열간 압연기가 비는 일 없이 압연재를 압연할 수 있어 압연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냉각 대기를 필요로 하는 제어 압연재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 제 1, 제 2 냉각 장치에 의한 냉각과 대기 장치를 사용한 추월 압연을 적절히 조합할 수 있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열간 압연기의 빈 시간을 저감시켜, 압연되는 압연재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어 압연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강재의 유지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강재의 유지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A-A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 (평면도) 이다.
도 4 는 도 2 의 B-B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 (평면도) 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강재의 유지 장치의 사용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강재의 유지 장치의 치수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7 은 강재의 유지 장치를 사용한 추월 압연의 설명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강재의 유지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9 는 종래 기술의 설명도이다.
도 10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강재의 유지 아암의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10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강재의 유지 아암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a 의 A-A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 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단열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강재의 유지 장치의 전체 구조 도의 정면도이다.
도 13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강재의 유지 장치의 전체 구조 도의 측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열간 압연 설비의 레이아웃과, 그 열간 압연 설비를 사용한 열간 압연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열간 압연 설비의 레이아웃과, 그 열간 압연 설비를 사용한 강재의 제조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열간 압연 설비의 레이아웃과, 그 열간 압연 설비를 사용한 열간 압연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압연재가 강재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서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강재의 유지 장치를 도 1 ~ 도 4 에 나타낸다. 도 1 은 정면도, 도 2 는 측면도, 도 3 은 도 2 의 A-A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 (평면도), 도 4 는 도 2 의 B-B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 (평면도) 이다.
도 1 ~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강재의 유지 장치 (1) 는 후판 압연 설비 등의 열간 압연 설비에 있어서, 반송 테이블 (롤러 테이블) (11) 상의 강재 (10) 를 후속 강재가 통과할 수 있는 위치로 이동시켜 대기 상태로 유지하는 강재의 유지 장치로서, 반송 테이블 (11) 의 양측에 형성된 4 개의 지주 (지지체) (21) 와, 각각 2 개의 지주 (21) 에 지지되면서 지주 (21) 를 따라 승강하는 2 개의 가로 프레임 (31) 과, 2 개의 가로 프레임 (31) 에 걸쳐 장착되어 있는 세로 프레임 (32) 과, 세로 프레임 (32) 에 2 개 1 조로 반송 방향에 대해 서로 대향하도록 장착되고, 강재 (10) 를 반송 테이블 (11) 의 양측에서 유지하는 복수 조 (여기에서는, 10 조) 의 유지 아암 (33) 을 구비하고 있다. 그 유지 아암 (33) 은 세로 프레임 (32) 으로부터 늘어진 수하부 (33b) 와, 수하부 (33b) 하단으로부터 반송 테이블 (11) 폭 중앙 방향으로 연장된 유지부 (33a) 를 갖고 있고, 유지부 (33a) 는 승강 프레임 (가로 프레임 (31), 세로 프레임 (32)) 의 상승에 의해 강재 (10) 의 하면에 걸어맞춰지도록 (강재 (10) 의 하면을 밀어 올리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가로 프레임 (31) 을 지주 (21) 를 따라 승강시키기 위해서, 4 개의 지주 (21) 에 각각 근접하여 4 개의 전동 실린더 (22) 가 형성되고, 각각 2 개의 전동 실린더 (22) 사이에 모터 (23) 가 1 개씩 설치되어 있다. 모터 (23) 의 회전 동력이 회전 전달축 (24) 을 경유하여 전동 실린더 (22) 에 전달되어, 전동 실린더 (22) 가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유지 아암 (33) 의 유지부 (33a) 는, 인접하는 테이블 롤러 (12) 간의 간극에 배치되어 있고, 하강함에 따라 반송 테이블 (11) 면 하방에 위치하고, 상승함에 따라 반송 테이블 (11) 면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아래로 휜 강재의 선단이 테이블 롤러 (12) 와 테이블 롤러 (12) 의 간극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테이블 롤러 (12) 간의 간극에 에이프런 (13) 이 설치되어 있고, 유지 아암 (33) 의 유지부 (33a) 가 배치되어 있는 테이블 롤러 (12) 와 테이블 롤러 (12) 의 간극에도, 대향하는 유지 아암 (33) 의 유지부 (33a) 사이 (즉, 반송 테이블 (11) 폭 중앙부 부근) 에 에이프런 (14) 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강재의 선단이 테이블 롤러 (12) 간의 간극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덧붙여서, 상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추월 압연 장치에 있어서는, 외팔보 포크 형상의 아암을 테이블 롤러 간의 간극에 삽입하므로, 그 테이블 롤러 간에는 에이프런을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강재의 반송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강재의 유지 장치 (1) 에 있어서는, 추월 압연 등을 실시할 때에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 실린더 (22) 를 작동시켜, 강재 (10) 를 유지 아암 (33) 의 유지부 (33a) 에 탑재하여 테이블 롤러 (12) 상으로부터 후속의 강재가 통과할 수 있는 높이로 들어 올려 유지한다.
또한, 유지부 (33a) 와 에이프런 (14) 의 치수에 대해서는, 강재가 테이블 롤러 (12) 간의 간극에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필요한 에이프런 (14) 의 폭을 확보함과 함께, 유지 아암 (33) 을 강재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아도, 유지부 (33a) 가 그대로 대상으로 하는 모든 판 폭의 강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상으로 하는 강재의 판 폭 (W) 이 1000 ㎜ ~ 5500 ㎜ 인 경우, 에이프런 (14) 의 폭 (Le) 을 500 ㎜, 에이프런 (14) 과 유지부 (33a) 선단의 간격 (S) 을 100 ㎜, 유지부 (33a) 의 길이 (Lh) 를 2500 ㎜ 로 하고 있다. 이로써, 유지부 (33a) 의 선단 사이 거리 (Le+2S) 는 700 ㎜ 가 되므로, 최소 폭인 1000 ㎜ 의 강재를 편측 150 ㎜ 씩 유지부 (33a) 에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유지부 (33a) 의 부근부 (付根部) 간 거리 (Le+2S+2Lh) 는 5700 ㎜ 가 되므로, 최대 폭인 5500 ㎜ 의 강재도 그대로 유지부 (33a) 에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 은 강재의 유지 장치 (1) 를 사용하여 추월 압연을 실시하고 있는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예를 들어 강 (强) CR 재 등의 냉각 대기를 필요로 하는 선행재 (10a) 를 유지 장치 (1) 에 의해 테이블 롤러 (12) 상으로부터 들어 올려 유지하고, 선행재 (10a) 가 냉각 대기를 하고 있는 동안, 열간 압연기 (5) 에 의해, 압연된 (As-Rolled) 재료나 약 (弱) CR 재 등의 냉각 대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 후행재 (10b) 의 압연을 실시한다. 이로써, 열간 압연기 (5) 에 냉각 대기에 의한 빈 시간이 발생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강재의 유지 장치 (1) 는, 추월 압연등을 실시할 때에, 반송 테이블 (11) 의 양측에 설치된 4 개의 지주 (21) 를 따라 승강하는 프레임 (31, 32) 에 형성된 10 조의 유지 아암 (33) 의 유지부 (33a) 에 의해 강재 (10) 의 하면을 반송 테이블 (11) 양측 (판 폭 방향 양측) 에서 유지하여 강재 (10) 를 들어 올리도록 하고 있으므로, 반송 테이블 (11) 에 근접하여 넓은 스페이스가 없어도 설치할 수 있음과 함께, 고온에서 판 두께가 얇고 대면적인 강재라도 적절히 들어 올려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강재의 유지 장치 (1) 를 구비한 열간 압연 설비에 있어서는, 냉각 대기에 의한 빈 시간을 발생시키지 않고 강재를 압연할 수 있어, 압연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지 아암 (33) 이 2 개 1 조로 반송 방향에 대해 서로 대향하도록 장착되어 있는데, 그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강재 (10) 를 반송 테이블 (11) 의 양측에서 유지할 수 있으면, 유지 아암 (33) 이 반송 방향을 따라 1 개씩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상이한 방향의 유지 아암 (33) 이 반송 방향을 따라 엇갈리게 (지그재그 형상으로)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덧붙여서, 그 경우에도 유지 아암 (33) 의 유지부 (33a) 는 인접하는 테이블 롤러 (12) 간의 간극에 배치됨과 함께, 유지부 (33a) 가 위치하여 승강하는 부분 이외의 테이블 롤러 (12) 간의 간극에 에이프런 (14) 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그 에이프런 (14) 은 적어도 반송 테이블 (11) 폭 중앙부를 포함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 다른 실시형태를 도 8 에 나타낸다. 상기 서술한 강재의 유지 장치 (1) 에 있어서는, 4 개의 지주 (21) 에 각각 근접하여 4 개의 전동 실린더 (22) 를 형성하고, 전동 실린더 (22) 에 의해 가로 프레임 (31) 을 지주 (21) 를 따라 밀어 올리거나 끌어 내리거나 하는 반면에,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강재의 유지 장치 (2) 에 있어서는, 반송 테이블 (11) 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2 개의 지주 (21) 의 상단 (上端) 사이에 가대 (25) 를 설치하고, 그 가대 (25) 에 유압 실린더 (26) 를 장착하여, 유압 실린더 (26) 에 의해 가로 프레임 (31) 을 지주 (21) 에 가이드시키면서 매달아 올리거나 매달아 내린다. 이로써, 유지 장치를 한층 촘촘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지주 (21) 에 의해 지지함으로써 반송 테이블 (11) 상방에 가대 (25) 를 설치하고 있는데, 그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반송 테이블 (11) 상방에 가대 (25) 를 설치하고, 그 가대 (25) 로부터 가로 프레임 (31) 을 매달아 올리거나 매달아 내리거나 하면 된다. 예를 들어, 건물 상부의 대들보를 이용하여 가대 (25) 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여기에서는 압연재가 강재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압연재가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 재료인 경우도 포함하여 금속재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고온의 금속재가 압연된 강재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고온 정도는 금속재를 열간 압연될 때에 가열되는 금속재의 온도로서, 강재의 후판 압연의 경우, 500 ℃ ~ 1200 ℃ 정도의 온도를 말한다.
먼저, 도 12 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강재의 유지 장치의 전체 구조를 나타낸다. 도 13a 는 정면도, 도 13b 는 측면도이다.
도 13a, 도 1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강재의 유지 장치 (1) 는, 후판 압연 설비 등의 열간 압연 설비에 있어서, 추월 압연 등을 실시하기 위해서, 반송 테이블 (롤러 테이블) (11) 상의 고온 강재 (10) 를 후속의 강재가 통과할 수 있는 높이로 들어 올려 유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반송 테이블 (11) 의 양측에 대향하여 형성된 지주 (21) 와, 대향하는 2 개의 지주 (21) 에 지지되면서 지주 (21) 를 따라 승강하는 가로 프레임 (31) 과, 가로 프레임 (31) 에 장착되어 반송 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 프레임 (32) 과, 세로 프레임 (32) 에 2 개 1 조로 반송 방향에 대해 서로 대향하도록 장착되고, 강재 (10) 를 반송 테이블 (11) 의 양측에서 유지하는 복수 조 (여기에서는, 10 조) 의 유지 아암 (33) 을 구비하고 있다. 또, 가로 프레임 (31) 을 지주 (21) 를 따라 승강시키기 위해서, 각 지주 (21) 에 각각 근접하여 전동 실린더 (22) 와 작동용 모터 (23)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지 아암 (33) 은, 세로 프레임 (32) 으로부터 늘어진 수하부 (33b) 와, 수하부 (33b) 하단으로부터 반송 테이블 (11) 폭 중앙을 향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장된 유지부 (33a) 를 갖고 있다. 유지부 (33a) 는, 승강 프레임 (가로 프레임 (31), 세로 프레임 (32)) 의 상승에 의해 고온 강재 (10) 의 하면을 밀어 올리게 되어 있어, 인접하는 테이블 롤러 (12) 간의 간극에 배치되고, 하강함으로써 반송 테이블 (11) 면 하방에 위치하고, 상승함으로써 반송 테이블 (11) 면 상방에 위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유지부 (33a) 의 두께나 폭 등의 치수는 테이블 롤러 (12) 간의 간극의 크기로 제약받게 되어, 여유를 가진 치수로 할 수 없기 때문에, 강재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구조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유지부 (33a) 를 고열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중요해진다.
동시에, 유지부 (33a) 와의 접촉으로 강재 (10) 에 온도 불균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자 마자, 강재 (10) 를 들어 올리는 순간 등의 충격 하중에 견딜 수 있는 구조로 하는 것도 중요해진다.
도 10a, 도 10b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지 아암 (33) 의 유지부 (33a) 의 확대도이고, 도 10a 는 정면도, 도 10b 는 평면도이다. 도 10a, 도 10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부 (33a) 는, 유지부 본체 (39) 의 상면에 단열 구조부 (40) 를 구비하고 있다.
도 11 은, 도 10a 의 A-A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고, 단열 구조부 (40) 의 상세도이다. 단열 구조부 (40) 는, 유지부 본체 (39) 의 강재와 접촉하는 측을 덮는 제 1 단열재 (46) 와, 제 1 단열재 (46) 를 덮음과 함께 강재에 접촉하는 コ자형 단면 (斷面) 의 강제 커버 (45)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강제 커버 (45) 는 용접에 의해 유지부 본체 (39) 에 장착되어 있음과 함께, 강제 커버 (45) 의 천정부 하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돌기 (48) 가 형성되어 있고, 제 1 단열재 (46) 에 형성된 구멍에 돌기 (48) 를 삽입시킴으로써 위치 맞춤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제 1 단열재 (46) 는 산화물계 세라믹스 등의 내열성 무기 재료를 주원료로 하는 다공질재, 섬유재, 소성재로서, Al2O3, SiO2, ZrO2 등을 주원료로 하는 단열재이다. 단, 제 1 단열재 (46) 는 비교적 딱딱하고 취약하기 때문에, 충격 하중에 의해 파손되기 쉬우므로, 강제 커버 (45) 로 덮어, 그 강제 커버 (45) 에 의해 충격 하중을 받아내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강제 커버 (45) 는, 판 두께는 12 ㎜ 이하의 강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얇은 강판의 커버이면, 고온의 강재에 접촉해도 단시간에 그 강재와 동일한 정도의 온도로 상승되므로, 유지되는 강재의 국부 냉각을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6 ㎜ 이하로 한다. 단, 커버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것은 냉각 불균일 억제의 면에서 바람직하지만, 강도면에서 문제가 있어, 강재 (10) 의 중량이나 들어 올릴 때의 충격 하중에 의해 변형되고, 내측의 제 1 단열재 (46) 를 파손시킬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커버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어, 들어 올리는 강재 (10) 의 중량 등 면에서 적절히 결정된다.
상기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지부 (33a) 가 유지부 본체 (39) 의 강재와 접촉하는 측을 덮는 높은 단열성을 갖는 제 1 단열재 (46) 와, 제 1 단열재 (46) 를 덮음과 함께 강재에 접촉하는 강제 커버 (45) 로 이루어지는 단열 구조부 (40) 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단열재 (46) 로 유지부 본체 (39) 를 고열로부터 보호함과 함께, 강제 커버 (45) 에 의해 충격 하중을 받아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지 아암을 서술한다.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유지 아암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단열 구조부 (40) 대신에,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단열 구조부 (41) 를 구비하고 있다.
즉, 단열 구조부 (41) 는, 유지부 본체 (39) 의 강재와 접촉하는 측을 덮는 제 1 단열재 (46) 와, 제 1 단열재 (46) 를 덮는 コ자형 단면의 강제 커버 (45) 와, 강제 커버 (45) 의 천정부의 상하면에 접착되어, 강재에 접촉하는 탄력성을 갖는 제 2 단열재 (47)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강제 커버 (45) 는 용접에 의해 유지부 본체 (39) 에 장착되어 있음과 함께, 강제 커버 (45) 의 천정부 하면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돌기 (48) 가 형성되어 있고, 제 1 단열재 (46) 및 제 2 단열재 (47) 에 형성된 구멍에 돌기 (48) 를 삽입시킴으로써 위치 맞춤이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제 1 단열재 (46) 는, 산화물계 세라믹스 등의 내열성 무기 재료를 주원료로 하는 다공질재, 섬유재, 소성재로서, Al2O3, SiO2, ZrO2 등을 주원료로 하는 단열재이다. 이 제 1 단열재 (46) 는, 높은 단열성을 갖고 있어, 유지부 본체 (39) 를 고열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단, 제 1 단열재 (46) 는 비교적 딱딱하고 취약하기 때문에, 충격 하중에 의해 파손되기 쉬우므로, 강제 커버 (45) 로 덮음과 함께, 추가로 그 강제 커버 (45) 에 탄력성을 갖는 제 2 단열재 (47) 를 접착하여, 강제 커버 (45) 와 제 2 단열재 (47) 에 의해 충격 하중을 받아내도록 하고 있다. 게다가, 제 2 단열재 (47) 가 강재와 접촉하므로, 강재의 국부 냉각도 방지된다. 또한, 제 2 단열재 (47) 는, 내열성 섬유로서, 탄소 섬유, 유기 섬유 등을 짠 천 형상의 내열재이다. 강화를 위해, 스테인리스 섬유 등의 금속 섬유를 짜 복합화한 직포는 탄력성이 풍부하며, 적당히 강도도 갖기 때문에 이 용도로 바람직하다. 덧붙여서, 내열성 유기 섬유로서는 탄소 섬유, 파라아라미드계 섬유, 메타아라미드계 섬유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지부 (33a) 가, 유지부 본체 (39) 의 강재와 접촉하는 측을 덮는 높은 단열성을 갖는 제 1 단열재 (46) 와, 제 1 단열재 (46) 를 덮는 강제 커버 (45) 와, 강제 커버 (45) 에 접착되어, 강재에 접촉하는 탄력성을 갖는 제 2 단열재 (47) 로 이루어지는 단열 구조부 (41) 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단열재 (46) 에 의해 유지부 본체 (39) 를 고열로부터 보호함과 함께, 강제 커버 (45) 와 제 2 단열재 (47) 에 의해 충격 하중을 받아낼 수 있다. 또한, 제 2 단열재 (47) 에 의해 유지되는 강재의 국부 냉각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커버에 강제 커버를 사용한 경우나 강제 커버와 탄력성을 갖는 제 2 단열재를 사용한 경우를 나타냈지만, 커버에 탄력성을 갖는 제 2 단열재만을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제 1 단열재의 상부에 탄력성을 갖는 제 2 단열재를 직접 배치하고, 제 2 단열재에 의해, 충격 하중을 받아냄과 함께, 강재의 국부 냉각을 방지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각 실시형태의 유지 아암 (33) 을 구비한 강재의 유지 장치 (1) 는, 추월 압연 등을 실시할 때에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동 실린더 (22) 를 작동시켜, 강재 (10) 를 유지 아암 (33) 의 유지부 (33a) 에 탑재하여 테이블 롤러 (12) 상으로부터 후속의 강재가 통과할 수 있는 높이로 들어 올려 유지한다.
그래서, 강재의 열간 압연 설비에 있어서, 열간 압연기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강재의 유지 장치 (1) 를 설치하고, 냉각 대기를 필요로 하는 강재를 열간 압연기로 소정의 두께로 압연한 후, 그 강재를 유지 장치 (1) 에서 후속의 강재가 통과할 수 있는 장소에 대기시키고, 후속의 냉각 대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 강재를 열간 압연기로 압연하는 한편, 대기 중인 강재를 반송 테이블 (11) 상으로 되돌려, 후속의 강재에 이어서 열간 압연기로 압연하도록 하면, 열간 압연기에 냉각 대기에 의한 빈 시간이 발생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음과 함께, 냉각 대기에 의해 대기 중인 강재의 온도 불균일도 억제되므로, 형상 정밀도나 재질 등의 안정적인 강재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금속재가 강재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금속재가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 재료인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압연재가 강재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서술한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열간 압연 설비의 레이아웃과, 그 열간 압연 설비를 사용한 열간 압연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에 있어서, 51 은 가열로, 52 는 대기 장치로서의 유지 장치, 53 은 가역식 열간 압연기, 54 는 수냉 장치이다.
여기에서, 유지 장치 (52) 는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고온의 압연재를 반송 테이블 상으로부터 후속 압연재가 통과할 수 있는 높이로 들어 올려 유지하고, 소정 온도가 될 때까지 대기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 수냉 장치 (54) 는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고온의 압연재를 소정의 온도까지 냉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에 있어서 제어 압연재를 압연할 때에, 슬래브 두께에서 제어 압연 개시 판 두께까지의 압연을 조압연이라고 하고, 제어 압연 개시 판 두께에서 마무리 판 두께 (마무리 압연 후의 판 두께) 까지의 압연을 마무리 압연이라 하기로 한다.
그리고, 이들 열간 압연 설비를 이용하여, 2 장의 제어 압연재 (제 1 슬래브 (A), 제 2 슬래브 (B)) 와, 1 장의 통상 압연재 (제 3 슬래브 (C)) 의 압연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이하와 같은 (1) ~ (6) 의 순서로 실시한다. 여기에서, 제어 압연재는 냉각 대기를 필요로 하는 강재의 예로서 든 것이고, 통상 압연재는 냉각 대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 강재의 예로서 든 것이다.
(1) 가열로 (51) 로부터 추출된 제 1 슬래브 (A) 는 반송 테이블 상에서 반송되어, 유지 장치 (52) 를 그대로 통과하여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에 보내진다. 그리고,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로 조압연을 실시한다.
(2) 이어서,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에서의 제 1 슬래브 (A) 의 조압연의 진행과 거의 동기하여, 제 2 슬래브 (B) 가 가열로 (51) 로부터 추출되어, 유지 장치 (52) 를 그대로 통과하고 제 1 슬래브 (A) 의 조압연이 종료될 쯤에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에 도착한다. 조압연이 종료된 제 1 슬래브 (A) 는 수냉 장치 (54) 로 보내져, 마무리 압연에 적당한 소정의 온도역까지 온도 조정 냉각된다. 이 동안, 제 2 슬래브 (B) 는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로 조압연된다.
(3) 그리고, 제 2 슬래브 (B) 의 조압연이 종료되면, 이 제 2 슬래브 (B) 는 유지 장치 (52) 로 보내져 반송 테이블 상으로부터 들어 올려, 제어 압연할 수 있는 온도까지 온도 조정 냉각이 개시된다. 이 때, 제 1 슬래브 (A) 는 수냉 장치 (54) 에서의 온도 조정 냉각이 종료되고, 역송되어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에 의해 마무리 압연된다.
(4) 그리고, 제 1 슬래브 (A) 의 마무리 압연이 종료되면, 제 1 슬래브 (A) 는 수냉 장치 (54) 를 그대로 통과하여, 이후의 정정 (精整) 공정으로 보내진다.
(5) 이어서, 제 1 슬래브 (A) 의 마무리 압연이 진행되는 중, 제 3 슬래브 (C) 가 가열로 (51) 로부터 추출되고, 유지 장치 (52) 에 들어 올려진 제 2 슬래브 (B) 를 추월하여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로 보내진다. 제 1 슬래브 (A) 의 마무리 압연이 완료됨과 동시에 제 3 슬래브 (C) 의 압연이 개시되고, 제 3 슬래브 (C) 의 압연이 종료되면, 제 3 슬래브 (C) 는 수냉 장치 (54) 를 그대로 통과하여, 이후의 정정 공정으로 보내진다.
(6) 그리고, 제 3 슬래브 (C) 의 압연이 종료되면, 유지 장치 (52) 에 들어 올려진 제 2 슬래브 (B) 를 반송 테이블 상에 되돌려, 제 2 슬래브 (B) 를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에 보내어 마무리 판 두께까지 압연을 실시한다. 제 2 슬래브 (B) 의 마무리 압연이 종료되면, 제 2 슬래브 (B) 는 수냉 장치 (54) 를 그대로 통과하여 이후의 정정 공정으로 보내진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냉각 대기를 필요로 하는 제어 압연재 2 장과 통상 압연재 1 장의 압연을 실시할 때에, 냉각 장치 (4) 에 의한 냉각과 유지 장치 (52) 를 사용한 추월 압연을 적절히 조합하고 있으므로,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의 빈 시간을 보다 저감시켜, 압연되는 압연재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어 압연 능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압연재의 대기 장치로서 압연재를 반송 테이블 상으로부터 후속 압연재가 통과할 수 있는 높이로 들어 올려 유지하는 유지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그러한 유지 장치이면, 압연재를 반송 테이블 상로부터 이동하거나 압연재를 반송 테이블 상으로 되돌리거나 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이지만, 본 발명은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압연재를 반송 테이블 상로부터 횡 방향으로 이동시켜, 후속 압연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횡 이동식 대기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압연재가 강재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서술한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열간 압연 설비의 레이아웃과, 그 열간 압연 설비를 사용한 강재의 제조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 에 있어서, 51 은 가열로, 54 는 수냉 장치, 52 는 대기 장치로서의 유지 장치, 53 은 가역식 열간 압연기이다.
여기에서, 유지 장치 (52) 는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소정의 판 두께까지 압연된 고온의 강재를 반송 테이블 상으로부터 후속의 강재가 통과할 수 있는 높이로 들어 올려 유지하고, 대기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 수냉 장치 (54) 는 유지 장치 (52) 의 상류측에 설치되고, 고온의 강재를 냉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수냉 장치 (54) 및 유지 장치 (52) 에는, 강재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각각 온도계 (55, 56) 가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열간 압연 설비를 사용하여, 제어 압연재 (제 1 슬래브 (A)) 와 통상 압연재 (제 2 슬래브 (B)) 를 조합하여 압연하는 경우에는, 이하와 같은 (1) ~ (6) 의 순서에 의해 압연을 실시한다. 여기에서, 제어 압연재는 냉각 대기를 필요로 하는 강재의 예로서 든 것이고, 통상 압연재는 냉각 대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 강재의 예로서 든 것이다.
또한,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에 있어서 제어 압연재를 압연할 때에, 슬래브 두께 (예를 들어, 215 ㎜) 에서 제어 압연 개시 판 두께 (예를 들어, 80 ㎜) 까지의 압연을 조압연이라 하고, 제어 압연 개시 판 두께에서 마무리 판 두께 (마무리 압연 후의 판 두께) 까지의 압연을 마무리 압연이라고 하기로 한다.
(1) 가열로 (51) 에서 소정 온도 (예를 들어, 1150 ℃) 로 가열된 제 1 슬래브 (A) 는 반송 테이블 상에서 반송되어, 수냉 장치 (54) 와 유지 장치 (52) 를 그대로 통과하여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로 보내진다. 그리고,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로 조압연을 실시한다.
(2) 조압연이 종료된 제 1 슬래브 (A) 는 유지 장치 (52) 에 반송되고, 유지 장치 (52) 에 의해 반송 테이블 상으로부터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 유지된다.
(3) 이어서,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에서의 제 1 슬래브 (A) 의 조압연의 진행에 맞추어, 제 2 슬래브 (B) 가 가열로 (51) 로부터 추출되어 수냉 장치 (54) 를 그대로 통과하고, 또한, 유지 장치 (52) 에 유지된 직후의 제 1 슬래브 (A) 를 추월하여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에 도착한다.
(4)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에 도착한 제 2 슬래브 (B) 는 소정의 마무리 판 두께까지 압연된 후, 정정 공정으로 보내진다.
(5) 한편, 유지 장치 (52) 에 유지되어 있는 제 1 슬래브 (A) 는, 제 2 슬래브 (B) 의 압연 중에 반송 테이블 상으로 되돌려지고, 수냉 장치 (54) 에 반송되어 소정의 온도로 냉각된다. 그 때, 제 2 슬래브 (B) 의 압연이 종료되면, 즉시 제 1 슬래브 (A) 의 마무리 압연을 개시할 수 있도록 유지 장치 (52) 및 반송 테이블 상에서의 공냉 시간과 수냉 장치 (54) 에서의 수냉 시간을 조정한다.
즉, 유지 장치 (52) 에서 제 1 슬래브 (A) 를 유지하는 중에, 제 1 슬래브 (A) 의 온도를 온도계 (56) 에 의해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제 2 슬래브 (B) 의 압연 종료 예측 시각에, 제 1 슬래브 (A) 의 온도가 제어 압연할 수 있는 온도 (예를 들어, 850 ℃) 가 되도록, 수냉 장치 (54) 에서의 수냉 개시 시각과 수냉 종료 시각을 설정한다. 그리고, 그 설정에 기초하여 제 1 슬래브 (A) 를 수냉 장치 (54) 에 반송하여 수냉을 실시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수냉 개시전의 제 1 슬래브 (A) 의 온도를 수냉 장치 (54) 의 온도계 (55) 에 의해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수냉 장치 (54) 에서의 수냉 개시 시각과 수냉 종료 시각을 재설정한다.
(6) 그리고, 수냉 장치 (54) 에서의 수냉이 종료된 제 1 슬래브 (A) 는,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에 반송되고, 제 2 슬래브 (B) 의 압연 종료에 이어서, 마무리 압연된 후, 정정 공정으로 보내진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후속의 강재의 압연 종료 시각에 맞추어, 유지 장치 (52) 에서 대기하고 있던 제어 압연재를 수냉 장치 (54) 에 의해 소정 시각에 소정 온도가 되도록 냉각시킬 수 있으므로,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가 비는 일 없이 압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종래의 1.5 배의 압연 능률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류측으로부터 수냉 장치 (54), 유지 장치 (52),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의 순서로 배치하고 있는데, 유지 장치 (52), 수냉 장치 (54),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의 순서로 배치해도 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강재의 대기 장치로서 강재를 반송 테이블 상로부터 후속의 강재가 통과할 수 있는 높이로 들어 올려 유지하는 유지 장치를 사용하고 있는데, 본 발명은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강재를 반송 테이블 상로부터 횡 방향으로 이동시켜, 후속의 강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횡 이동식 대기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본 발명의 대기 장치로서 예로 든, 강재를 반송 테이블 상로부터 후속의 강재가 통과할 수 있는 높이로 들어 올려 유지하는 유지 장치이면, 강재를 반송 테이블 상로부터 이동시키거나 강재를 반송 테이블 상으로 되돌리거나 하는 것이 용이하고, 응답성이 풍부하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열간 압연 설비의 레이아웃과, 그 열간 압연 설비를 사용한 강재의 열간 압연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열간 압연 설비는, 상류측에서부터 순서대로, 가열로 (51), 제 1 수냉 장치 (전면 수냉 장치) (54), 대기 장치로서의 유지 장치 (52),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제 2 수냉 장치 (후면 수냉 장치) (57) 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에서,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있는 유지 장치 (52) 는, 고온의 압연재를 반송 테이블 상으로부터 후속 압연재가 통과할 수 있는 높이로 들어 올려 유지하고, 소정 온도가 될 때까지 공냉?대기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 유지 장치 (52) 의 상류측에 설치된 전면 수냉 장치 (54) 와,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의 하류측에 설치된 후면 수냉 장치 (57) 는, 각각 고온의 압연재를 소정의 온도까지 냉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전면 수냉 장치 (54), 유지 장치 (52), 후면 수냉 장치 (57) 에는, 각각 압연재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계 (55, 56, 58) 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열간 압연 설비를 이용하여, 2 장의 제어 압연재 (제 1 슬래브 (A), 제 3 슬래브 (C)) 와 1 장의 통상 압연재 (제 2 슬래브 (B)) 의 압연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이하와 같은 (1) ~ (6) 의 순서로 실시한다. 여기에서, 제어 압연재는 냉각 대기를 필요로 하는 강재의 예로서 든 것이고, 통상 압연재는 냉각 대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 강재의 예로서 든 것이다.
또한, 여기에서,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에 있어서 제어 압연재를 압연할 때에, 슬래브 두께 (예를 들어, 215 ㎜) 에서 제어 압연 개시 판 두께 (예를 들어, 80 ㎜) 까지의 압연을 조압연이라 하고, 제어 압연 개시 판 두께에서 마무리 판 두께 (마무리 압연 후의 판 두께) 까지의 압연을 마무리 압연이라고 하기로 한다.
(1) 가열로 (51) 에서 소정 온도 (예를 들어, 1150 ℃) 로 가열된 제 1 슬래브 (A) 는 반송 테이블 상에서 반송되어, 전면 수냉 장치 (54) 와 유지 장치 (52) 를 그대로 통과하여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로 보내져,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로 제 1 슬래브 (A) 의 조압연이 실시된다.
(2) 조압연을 종료한 제 1 슬래브 (A) 는, 유지 장치 (52) 로 보내져 유지 장치 (52) 에 의해 반송 테이블 상로부터 들어 올려져 유지된다.
(3) 이어서,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에서의 제 1 슬래브 (A) 의 조압연의 진행에 맞추어 제 2 슬래브 (B) 가 가열로 (51) 로부터 추출되어, 전면 수냉 장치 (54) 를 그대로 통과하여, 유지 장치 (52) 에 의해 들어 올려진 제 1 슬래브 (A) 를 추월하여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로 보내진다.
(4)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로 보내진 제 2 슬래브 (B) 는 소정의 마무리 판 두께까지 압연된 후, 후면 수냉 장치 (57) 를 그대로 통과하여 정정 공정으로 보내진다.
(5) 한편, 유지 장치 (52) 에 유지되어 있는 제 1 슬래브 (A) 는, 제 2 슬래브 (B) 의 압연 중에 반송 테이블 상으로 되돌려지고, 전면 수냉 장치 (54) 에 보내져 소정의 온도로 냉각된다. 그 때, 제 2 슬래브 (B) 의 압연이 종료되면, 즉시 제 1 슬래브 (A) 의 마무리 압연을 개시할 수 있도록, 유지 장치 (52) 및 반송 테이블 상에서의 공냉 시간과 전면 수냉 장치 (54) 에서의 수냉 시간이 조정되는데, 여기에서는 제 2 슬래브 (B) 의 압연 종료 예측 시각까지 전면 수냉 장치 (54) 로 수냉해도, 제 1 슬래브 (A) 의 온도를 제어 압연할 수 있는 온도 (예를 들어, 850 ℃) 까지 냉각시킬 수 없는 것으로서, 제 1 슬래브 (A) 를 제 2 슬래브 (B) 의 압연 종료 시각까지 전면 수냉 장치 (54) 로 수냉한 후, 그리고, 후술하는 (6), (8),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면 수냉 장치 (57) 로 제어 압연할 수 있는 온도까지 냉각시킨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 1 슬래브 (A) 의 온도를 온도계 (56) 및 온도계 (55) 로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 압연할 수 있는 온도까지 냉각시키는 데 필요한 수냉 시간을 재확인한다.
(6) 그리고, 제 2 슬래브 (B) 가 소정의 마무리 판 두께까지 압연되고, 후면 수냉 장치 (57) 를 그대로 통과하여 정정 공정으로 보내지는 데 맞추어, 전면 수냉 장치 (54) 에 의해 수냉된 제 1 슬래브 (A) 가,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를 그대로 통과하여 후면 수냉 장치 (57) 로 보내진다.
(7) 이어서, 그 동안, 제 3 슬래브 (C) 가 가열로 (51) 로부터 추출되고, 전면 수냉 장치 (54) 와 유지 장치 (52) 를 그대로 통과하여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로 보내진다. 그리고, 제 3 슬래브 (C) 는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로 소정의 판 두께까지 압연된 후,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의 상류측으로 반송되고, 전면 수냉 장치 (54) 로 보내져 수냉된다.
(8) 한편, 후면 수냉 장치 (57) 에 보내진 제 1 슬래브 (A) 는, 제 3 슬래브 (C) 가 소정의 판 두께까지 압연되면, 즉시 제 1 슬래브 (A) 의 마무리 압연을 개시할 수 있도록 후면 수냉 장치 (57) 에서의 수냉 시간이 설정되지만, 필요에 따라, 온도계 (58) 에 의해 제 3 슬래브 (C) 의 온도가 측정되고, 그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수냉 시간이 조정된다.
(9) 그리고, 후면 수냉 장치 (57) 에서의 수냉에 의해 제어 압연할 수 있는 온도까지 냉각된 제 1 슬래브 (A) 는, 제 3 슬래브 (C) 가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의 상류측으로 반송되는 데 맞추어,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로 보내져 소정의 마무리 판 두께까지 압연된 후, 후면 수냉 장치 (57) 를 그대로 통과하여 정정 공정으로 보내진다.
(10) 그것에 이어, 전면 수냉 장치 (54) 로 보내져 소정 온도까지 수냉된 제 3 슬래브 (C) 가,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로 보내져 소정의 판 두께까지 압연된 후, 후면 수냉 장치 (57) 를 그대로 통과하여 정정 공정으로 보내진다.
이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냉각 대기를 필요로 하는 제어 압연재 2 장과 통상 압연재 1 장의 압연을 실시할 때에, 전면 냉각 장치 (54) 및 후면 냉각 장치 (57) 에 의한 냉각과, 유지 장치 (52) 를 사용한 추월 압연을 적절히 조합하고 있으므로,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의 빈 시간을 보다 저감시켜, 압연되는 압연재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압연 능률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류측에서부터 가열로 (51), 전면 수냉 장치 (54), 유지 장치 (52),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후면 수냉 장치 (57) 의 순서로 설치되어 있는데, 가열로 (51), 유지 장치 (52), 전면 수냉 장치 (54), 가역식 열간 압연기 (53), 후면 수냉 장치 (57) 의 순서로 설치해도 된다.
또,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압연재의 대기 장치로서 압연재를 반송 테이블 상으로부터 후속 압연재가 통과할 수 있는 높이로 들어 올려 유지하는 유지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그러한 유지 장치이면, 압연재를 반송 테이블 상으로부터 이동시키거나 압연재를 반송 테이블 상으로 되돌리거나 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인데, 본 발명은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압연재를 반송 테이블 상로부터 횡 방향으로 이동시켜, 후속 압연재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횡 이동식의 대기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압연재가 강재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압연재가 알루미늄 등의 비철금속 재료인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면 부호의 의미는 하기와 같다.
1 강재의 유지 장치, 2 강재의 유지 장치, 5 열간 압연기, 10 강재, 10a 선행재, 10b 후행재, 11 반송 테이블, 12 테이블 롤러, 13 에이프런, 14 에이프런, 21 지주 (支柱), 22 전동 실린더, 23 모터, 24 회전 전달축, 25 가대, 26 유압 실린더, 31 가로 프레임, 32 세로 프레임, 33 유지 아암, 33a 유지부, 33b 수하부, 39 유지부 본체, 40 단열 구조부, 41 단열 구조부, 45 강제 (鋼製) 커버, 46 제 1 단열재, 47 제 2 단열재, 48 돌기, 51 가열로, 52 유지 장치, 53 가역식 열간 압연기, 54 수냉 장치, 55 온도계, 56 온도계, 57 후면 수냉 장치, 58 온도계

Claims (15)

  1. 열간 압연 설비에 있어서, 반송 테이블 상으로부터 압연재를 상방으로 들어 올려 유지하기 위한 압연재의 유지 장치로서,
    반송 테이블 상방으로 승강할 수 있게 배치된 승강 프레임과,
    압연재를 반송 테이블 양측에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승강 프레임에 형성된 복수의 유지 아암을 구비하고,
    그 유지 아암은 승강 프레임의 상승에 의해 압연재 하면에 걸어맞춰질 수 있는 유지부를 갖고,
    상기 유지부는 금속재를 탑재하고 있고, 그 유지부는 유지부 본체와, 그 유지부 본체의 적어도 금속재와 접촉하는 측을 덮는 제 1 단열재와, 상기 제 1 단열재를 덮음과 함께 금속재에 접촉하는 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재의 유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승강 프레임은 반송 테이블 양측에 설치된 지지체에 승강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재의 유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승강 프레임은 반송 테이블 상방에 설치된 가대 (架臺) 에 승강할 수 있게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재의 유지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아암은, 승강 프레임으로부터 하방으로 늘어지는 수하부 (垂下部) 와, 그 수하부의 하단으로부터 반송 테이블 폭 중앙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재의 유지 장치.
  5. 열간 압연기와, 압연재를 그 열간 압연기에 반송하기 위한 복수의 테이블 롤러와 각 테이블 롤러 간의 간극에 설치된 에이프런으로 이루어지는 반송 테이블과, 상기 열간 압연기의 상류측에 상기 반송 테이블 상으로부터 압연재를 들어 올려 유지하는 유지 장치를 갖는 열간 압연 설비로서,
    유지 장치로서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압연재의 유지 장치를 구비하고,
    그 유지 장치의 유지 아암의 유지부는 테이블 롤러 간의 간극에 배치됨과 함께, 유지부가 승강하는 부분 이외의 테이블 롤러 간의 간극에 에이프런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설비.
  6. 제 5 항에 기재된 열간 압연 설비를 사용한 금속재 (金屬材) 의 제조 방법으로서,
    금속재를 상기 열간 압연기로 소정의 두께로 압연한 후, 그 금속재를 상기 유지 장치에 의해서 후속 금속재가 통과할 수 있는 장소에 대기시키고, 후속 금속재를 상기 열간 압연기로 압연하는 한편, 대기 중인 금속재를 반송 테이블 상에 되돌려, 상기 후속 금속재에 이어서 상기 열간 압연기로 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의 제조 방법.
  7. 고온의 금속재를 들어 올릴 때에 사용하는 유지 아암으로서, 금속재를 탑재하는 유지부를 구비하고, 그 유지부는 유지부 본체와, 그 유지부 본체의 적어도 금속재와 접촉하는 측을 덮는 제 1 단열재와, 상기 제 1 단열재를 덮음과 함께 금속재에 접촉하는 커버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의 유지 아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재에 접촉하는 커버는 금속제 커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의 유지 아암.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재에 접촉하는 커버는, 제 1 단열재를 덮는 금속제 커버와, 그 금속제 커버의 상면에 장착되고, 금속재에 접촉하는 탄력성을 갖는 제 2 단열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의 유지 아암.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지 아암은, 하방으로 늘어지는 수하부와, 그 수하부의 하단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지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의 유지 아암.
  11. 반송 테이블 상으로부터 금속재를 상방으로 들어 올려 유지하는 금속재의 유지 장치로서,
    반송 테이블 상방으로 승강할 수 있게 배치된 승강 프레임과, 금속재를 반송 테이블 양측에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승강 프레임에 형성된 복수의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금속재의 유지 아암을 구비하고, 그 유지 아암의 유지부는 승강 프레임의 상승에 의해 금속재 하면을 밀어 올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의 유지 장치.
  12. 열간 압연기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제 11 항에 기재된 유지 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설비.
  13. 제 12 항에 기재된 열간 압연 설비를 사용한 금속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금속재를 상기 열간 압연기로 소정의 두께로 압연한 후, 그 금속재를 상기 유지 장치에 의해서 후속 금속재가 통과할 수 있는 장소에 대기시키고, 후속 금속재를 상기 열간 압연기로 압연하는 한편, 대기 중인 금속재를 반송 테이블 상에 되돌려, 상기 후속 금속재에 이어서 상기 열간 압연기로 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의 제조 방법.
  14. 열간 압연기와, 압연재를 그 열간 압연기에 반송하기 위한 복수의 테이블 롤러와 각 테이블 롤러 간의 간극에 설치된 에이프런으로 이루어지는 반송 테이블과, 상기 열간 압연기의 상류측에 상기 반송 테이블 상으로부터 압연재를 들어 올려 유지하는 유지 장치를 갖는 열간 압연 설비로서,
    유지 장치로서 제 4 항에 기재된 압연재의 유지 장치를 구비하고,
    그 유지 장치의 유지 아암의 유지부는 테이블 롤러 간의 간극에 배치됨과 함께, 유지부가 승강하는 부분 이외의 테이블 롤러 간의 간극에 에이프런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간 압연 설비.
  15. 반송 테이블 상으로부터 금속재를 상방으로 들어 올려 유지하는 금속재의 유지 장치로서,
    반송 테이블 상방으로 승강할 수 있게 배치된 승강 프레임과, 금속재를 반송 테이블 양측에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승강 프레임에 형성된 복수의 제 10 항에 기재된 금속재의 유지 아암을 구비하고, 그 유지 아암의 유지부는 승강 프레임의 상승에 의해 금속재 하면을 밀어 올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재의 유지 장치.
KR1020127012553A 2007-03-09 2007-03-09 열간 압연 설비 및 그것을 사용한 강재의 제조 방법 KR1011768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55313 WO2008111233A1 (ja) 2007-03-09 2007-03-09 熱間圧延設備およびそれを用いた鋼材の製造方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18791A Division KR20100005009A (ko) 2007-03-09 2007-03-09 열간 압연 설비 및 그것을 사용한 강재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335A KR20120073335A (ko) 2012-07-04
KR101176815B1 true KR101176815B1 (ko) 2012-08-24

Family

ID=39759181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2553A KR101176815B1 (ko) 2007-03-09 2007-03-09 열간 압연 설비 및 그것을 사용한 강재의 제조 방법
KR1020127012554A KR101321696B1 (ko) 2007-03-09 2007-03-09 열간 압연 설비 및 그것을 사용한 강재의 제조 방법
KR1020097018791A KR20100005009A (ko) 2007-03-09 2007-03-09 열간 압연 설비 및 그것을 사용한 강재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2554A KR101321696B1 (ko) 2007-03-09 2007-03-09 열간 압연 설비 및 그것을 사용한 강재의 제조 방법
KR1020097018791A KR20100005009A (ko) 2007-03-09 2007-03-09 열간 압연 설비 및 그것을 사용한 강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3) KR101176815B1 (ko)
CN (1) CN101646508B (ko)
WO (1) WO20081112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35072A (zh) * 2011-12-06 2012-05-02 武汉钢铁(集团)公司 步进梁式加热炉和推钢式加热炉共用板坯运输设备
CN103913069B (zh) * 2014-03-11 2015-10-28 斯坦因(上海)工业炉有限公司 装出钢机平移液压马达驱动装置
CN105458557B (zh) * 2014-09-02 2019-07-26 中集集团集装箱控股有限公司 一种集装箱组件焊接台
DE102016217720A1 (de) * 2016-09-16 2018-03-22 Sms Group Gmbh Verfahrbarer Wärmedämmwagen bei der Metallbearbeitung
JP7095432B2 (ja) 2018-06-21 2022-07-05 日本製鉄株式会社 温度測定装置及び熱間加工システム及び温度測定方法
CN111017536B (zh) * 2019-11-19 2024-04-26 中重科技(天津)股份有限公司 一种升降挡板的升降机构
CN113296463A (zh) * 2021-05-17 2021-08-24 潍坊特钢集团有限公司 一种金属方坯加工装置的控制系统及其实现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2907A (ja) * 1982-05-22 1983-11-26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厚板圧延設備
JPS5939405A (ja) * 1982-08-30 1984-03-03 Sumitomo Metal Ind Ltd 厚板圧延ライン
JPH02114102U (ko) * 1989-02-27 1990-09-12
DE60239075D1 (de) * 2001-10-10 2011-03-10 Jfe Steel Corp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tahlplat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111233A1 (ja) 2008-09-18
KR20100005009A (ko) 2010-01-13
KR20120073335A (ko) 2012-07-04
KR101321696B1 (ko) 2013-10-23
KR20120073336A (ko) 2012-07-04
CN101646508A (zh) 2010-02-10
CN101646508B (zh) 2012-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815B1 (ko) 열간 압연 설비 및 그것을 사용한 강재의 제조 방법
EP0048503A2 (en) Heat shield arrangements for strip or billet-form material
KR100699424B1 (ko) 철-니켈계 합금 박판 스트립의 제조 방법
US9523135B2 (en) Method of cold-rolling steel sheet and cold-rolling facility
CN113277296B (zh) 一种弯曲钢坯自动翻转装置及方法
KR870009770A (ko) 고온 박판재의 감후(減厚)압연방법 및 장치
JPH04274814A (ja) 熱間連続圧延ラインにおける冷却時間待ち圧延材の待機装置
JP4715502B2 (ja) 熱延鋼材の保持アームおよび熱延鋼材の保持装置
KR100971901B1 (ko) 단면이 박 슬래브의 형상이며 주조 속도로 제조되는 금속빌렛, 특히 강 빌렛을 연속 압연하는 방법 및 그에 부속된연속 주조기
JP4910387B2 (ja) 圧延材の保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熱間圧延設備
JP4852999B2 (ja) 鋼材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熱間圧延設備
JP2012166208A (ja) 厚中板の製造方法。
JP2020534440A (ja) 熱間圧延インライン移動保温熱処理プロセス及び熱処理ライン
CN107447079B (zh) 一种中高碳钢连铸钢坯退火的方法
JP4561614B2 (ja) 圧延材の保持装置
KR100885951B1 (ko) 고온빌렛의 침적냉각장치
JP4935420B2 (ja) 圧延材の保持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熱間圧延設備
KR101431020B1 (ko) 열간 압연 금속재의 서냉 저장 장치
JP3950277B2 (ja) 連続鋳造された鋳片の冷却装置
CN218340666U (zh) 一种热连轧中间坯保温装置
KR20040055984A (ko) 고온 빌레트의 냉각장치
JP2010247178A (ja) 金属板の圧延反り防止装置及び防止方法
KR101842162B1 (ko) 롤 이물질제거장치
JP4470872B2 (ja) 圧延材の保持装置
JPS6019798Y2 (ja) 高温スラブの側面保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