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006B1 - 차량용 부품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부품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006B1
KR101175006B1 KR1020100080913A KR20100080913A KR101175006B1 KR 101175006 B1 KR101175006 B1 KR 101175006B1 KR 1020100080913 A KR1020100080913 A KR 1020100080913A KR 20100080913 A KR20100080913 A KR 20100080913A KR 101175006 B1 KR101175006 B1 KR 101175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frame
transfer base
bas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0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7945A (ko
Inventor
송창석
권영순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0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5006B1/ko
Publication of KR20120017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7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00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부품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이송베이스;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되어, 제1이송베이스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 상기 제1이송베이스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1이송부; 상기 제1이송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며 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지그가 구비되고, 상기 제1이송베이스의 이동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두 개의 제2이송베이스; 상기 제2이송베이스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 상기 제2이송베이스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2이송부; 및 상기 제1,2이송부를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퍼트림의 제작 공정에서 피어싱 공정에서 감싸기 공정으로 부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의 이송부를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두 개의 이송부를 구비하여, 부품의 이송을 신속하게 이송하여 분배할 수 있어, 부품이 이송될 때 정체되지 않아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부품 이송 장치{PART TRANSFER APPARATUS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용 부품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도어트림중 어퍼트림 생산시 피어싱 공정을 완료된 부품을 감싸기 공정의 감싸기 장치로 신속하게 자동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차량용 부품 이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도어 인너 패널의 내측에 장착되어 외관을 좋게 하고, 각종 편의 장치로 맵포켓, 암레스트, 인사이드 핸들 등이 장착되는 도어트림이 구비되어 있다. 도어트림은 내부의 열이 외부로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하는 단열기능이나, 외부의 소음이 내부로 들어오지 않게 하는 방음 기능 등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도어트림은 도어트림의 전체적인 모양을 형성 및 유지하는 기재와, 자동차 타 내장부품과의 조화된 디자인 및 고객의 감성 만족을 위하여 기재 표면에 부착되는 표피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도어트림은 어퍼트림과 로우트림으로 구성되며, 어퍼트림은 PP(polypropylene) 수지로 성형 제작된 기재와, PP 폼 시트(form sheet) 및 PVC 시트로 이루어진 표피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어퍼트림은 피어싱공정과 감싸기 공정을 통하여 제작되는데, 피어싱 공정에서 피어싱 가공이 완료되면,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감싸기 공정으로 이동되어, 표피재가 기재에 감싸서 완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어퍼트림을 제작하기 위한 공정에서 피어싱 공정에서 감싸기 공정으로 부품을 이동시킬 때, 피어싱 공정에서 감싸기 공정까지 설치되는 이송컨베이어에 올려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데, 이러한 이송컨베이어는 부품을 이송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릴 뿐 아니라, 이송컨베이어가 끝나는 감싸기 공정에는 4군데로 부품을 분배하도록 되어 있어, 부품을 신속하게 분배할 수 없어 이송컨베이어에 정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어퍼트림을 제작하는 공정중 피어싱 공정에서 감싸기 공정으로 부품을 신속하게 이동시키고 분배하기 위한 이송시스템을 제작하여, 피어싱 공정에서 감싸기 공정으로 부품의 이동되어 부품이 정체되지 않고 곧바로 감싸기 공정으로 분배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부품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이송베이스;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되어, 제1이송베이스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 상기 제1이송베이스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1이송부; 상기 제1이송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며 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지그가 구비되고, 상기 제1이송베이스의 이동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두 개의 제2이송베이스; 상기 제2이송베이스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 상기 제2이송베이스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2이송부; 및 상기 제1,2이송부를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부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고정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일단부 양측에 고정되어 돌출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고정되는 하나이상의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왕복 이동되며, 상기 제1이송베이스에 고정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이송부는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고정되는 구동측 풀리; 상기 구동측 풀리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종동측 풀리; 상기 구동측 풀리와 상기 종동측 풀리에 감겨지는 벨트; 및 상기 벨트와 상기 제1이송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측풀리와 종동측 풀리에 감겨져 회전되는 벨트에 의해 상기 제1이송베이스가 왕복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1이송부에는 상기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벨트 장력 조절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1이송베이스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1가이드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두 개의 제2이송베이스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제1이송베이스에 설치되되, 상기 제1이송베이스가 이동되는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2이송베이스에 고정용 브래킷으로 그 끝단이 고정되는 로드를 갖는 한 쌍의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실린더는 그 로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퍼트림의 제작 공정에서 피어싱 공정에서 감싸기 공정으로 부품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장치의 이송부를 서로 직교되는 방향으로 왕복이동되는 두 개의 이송부를 구비하여, 부품의 이송을 신속하게 이송하여 분배할 수 있어, 부품이 이송될 때 정체되지 않아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이송 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이송 장치의 일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이송장치의 제1이송부를 보인 사시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이송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이송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이송 장치의 일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이송장치의 제1이송부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이송 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트림 생산라인의 부품 이송장치는, 차량용 도어의 어퍼트림을 생산하기 위한 공정중 피어싱 공정이 완료된 부품을 감싸기 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부(100), 제1이송베이스(200), 제1가이드부(300), 제1이송부(400), 제2이송베이스(500), 제2가이드부(600), 제2이송부(700), 제어부로 크게 구성된다.
프레임부(100)는 지면에 대하여 이송장치를 지지하는 것으로, 피어싱 공정의 피어싱 장치에서 감싸기 공정의 감싸기 장치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프레임부(100)는 사각틀 형태의 베이스프레임(110)이 바닥에 설치되고, 베이스프레임(110)의 사각 구석과 그 중간에는 복수의 수직프레임(120)이 일정높이로 고정된다.
수직프레임(120)의 상단에는 사각틀 형태의 제1프레임(130)이 구비되고, 이 제1프레임(130)의 끝단 양측에는 제1프레임(13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제2프레임(140)이 일정길이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10)의 저면에는 높이를 조절하여 프레임부(100)의 수평을 맞추기 위한 복수의 높이 조절부재(150)가 구비된다.
이 프레임부(100)의 제1프레임(130)에는 제1이송베이스(200)가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300)가 구비되고, 제1가이드부(300)는 제1이송부(400)에 의해 왕복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제1가이드부(300)는 제1프레임(130)의 길이방향으로 양측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제1가이드레일(310)와, 제1가이드레일(310)에 결합되어 왕복 이동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제1가이드레일(310)은 제1프레임(130)의 양측 윗면에 고정되는 한 쌍의 LM가이드로 구성되고, 이동부재는 LM가이드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가이드블록으로 구성된다.
제1이송부(400)는 제1이송베이스(200)를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410)와, 모터(410)의 구동축에 고정되는 구동측 풀리(420)와, 구동측 풀리(42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종동측 풀리(430)와, 구동측 풀리(420)와 종동측 풀리(430)에 감겨져 모터(410)의 동력을 제1이송베이스(200)로 전달하기 위한 벨트(440)와, 벨트(440)와 제1이송베이스(200)를 고정하는 고정부재(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터(410)는 제1프레임(130)의 일측단부에서 제1프레임(130)보다 아래에 설치되되, 한 쌍의 수직프레임(120) 사이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재에 모터 고정브래킷(411)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이 모터(410)의 구동축에는 모터(410)의 구동과 함께 회전되는 구동측 풀리(420)가 고정된다.
또한, 종동측 풀리(430)는 구동측 풀리(42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되, 제1이송베이스(200)의 이동되는 거리보다 먼 거리로 구비되며, 제1프레임(130)의 타측단부에서 제1프레임(130) 보다 아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모터(410)가 제1프레임(130)의 타측단부에 구비되면, 종동측 풀리(430)는 제1프레임(130)의 일측단부에 구비된다.
또한, 제1이송부(400)에는 벨트(44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벨트 장력조절부(460)가 더 구비된다. 즉, 이 벨트장력 조절부(460)는 이송장치의 오랜 사용으로 인하여 벨트(440)가 느슨해질 때 장력을 조절하여 벨트(440)를 팽팽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제2이송베이스(500)는 제1이송베이스(200)의 상부에 설치되되, 제1이송베이스(200)의 윗면에 설치되는 제2가이드부(600)에 왕복 이동 되도록 설치되며, 제1이송베이스(200)의 윗면에 설치되는 제2이송부(700)에 의해 왕복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제2이송베이스(500)는 제1이송베이스(200)가 이동되는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구성으로, 이 제2이송베이스(500)가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가이드부(600)는 제1이송베이스(200)에서 제1프레임(13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제2이송베이스(500)는 두개로 구비되어, 제1프레임(130)의 끝단부 양측에 돌출 설치되는 제2프레임(140)까지 이동되어 감싸기 공정의 장치로 부품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제2가이드부(600)는 제1이송베이스(200)의 윗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가이드부재(610)와, 이 제1가이드부재(6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이송베이스(500)의 밑면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6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복수의 제1가이드부재(610)는 제1이송베이스(200)에 제1가이드레일(310)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가이드블록으로 구성되고, 제2가이드레일(620)은 제2이송베이스(500)의 밑면에 고정되되, 제1가이드레일(310)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LM가이드로 구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620)은 제2이송베이스(500)의 각각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것이다. 즉, 하나의 제2이송베이스(500)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620)은 제2이송베이스(500)의 밑면 양측단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제2이송베이스(500)에 고정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620)은 제2이송베이스(500)의 밑면 중앙부와 양측단 사이에 고정된다.
또한, 두 개의 제2이송베이스(500)에 구비되는 제2가이드레일(620)이 결합되는 복수의 제1가이드부재(610)중 일부는 제1이송베이스(200)의 양측단의 중앙에서 후방까지 설치되며, 나머지 일부는 제1이송베이스(200)의 중앙부와 양측단 사이에 설치되되, 중앙에서 전방까지 설치되는 구성이다.
또한, 제1프레임(130)의 끝단부 양측으로 돌출되는 제2프레임(140)은 제1프레임(13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이송베이스(200)의 윗면과 같은 높이로 설치되되, 이 제2프레임(140)에는 제2이송베이스(500)가 제2프레임(140)을 오버해서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별도의 제2가이드부재(630)가 제1가이드부재(610)와 동일 직선 상에 구비된다.
제2이송부(700)는 제1이송베이스(200)의 중앙에 설치되되, 제1프레임(130)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치되며 제2이송베이스(500)의 밑면에 고정용 브래킷으로 연결되는 로드(711)를 갖는 한 쌍의 실린더(710)로 구성된다.
한편, 제2이송베이스(500)의 윗면에는 피어싱 공정에서 감싸기 공정으로 이동되는 부품을 장착시킬 수 있는 장착 지그(550)가 구비된다.
제어부는 제1이송부(400)의 모터(410)와 제2이송부(700)의 한 쌍의 실린더(710)의 작동을 제어함은 물론 제1이송부(400)의 모터(410)와 한 쌍의 실린더(710)의 작동순서도 함께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자동 이송 장치에 대한 작용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어트림중 어퍼 트림의 생산시 피어싱 공정의 피어싱 장치에서 피어싱 가공이 완료되면, 작업자가 부품을 부품 이송 장치의 제2이송베이스(500)에 구비된 부품 장착 지그(550)에 장착시키기 전에, 제어부를 통하여 부품 이송 장치(10)의 제1,2이송베이스(200)(500)를 도 4와 같이, 제1프레임의 일단부 즉, 피어싱 장치가 있는 쪽으로 이동시켜 놓는다.
그런 다음, 제2이송베이스(500) 위에 구비된 장착 지그(550)에 피어싱가공이 완료된 부품을 장착시키고, 제어부(800)를 통하여 제1이송부(400)를 구동시켜 제2이송베이스(500)가 설치되어 있는 제1이송베이스(200)를 도 5와 같이, 제1프레임(130)의 타단부로 이동시킨다.
이후에, 제어부(800)를 통하여 제2이송부(700)를 구동시켜 2개의 제2이송베이스(500)를 제2프레임(140)의 끝단으로 이송시킨다. 그런 다음, 제2이송베이스(500)의 장착지그(550)에 장착된 부품을 소형 로봇 등을 이용하여 감싸기 공정으로 옮기면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프레임부 110 : 베이스프레임
200 : 제1이송베이스 300 : 제1가이드부
310 : 제1가이드레일 320 : 이동부재
400 : 제1이송부 410 : 모터
420 : 구동축 풀리 430 : 종동측 풀리
440 : 벨트 450 : 고정부재
460 : 모터 고정브래킷 460 : 벨트 장력 조절부
500 : 제2이송베이스 600 : 제2가이드부
610 : 제1가이드부재 620 : 제2가이드레일
630 : 제2가이드부재 700 : 제2이송부
710 : 실린더 720 : 고정용 브래킷

Claims (8)

  1.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의 상단에 고정되는 제1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의 일단부 양측에 고정되어 돌출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며, 지면에 대하여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이송베이스;
    상기 프레임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이송베이스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1가이드부;
    상기 제1이송베이스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1이송부;
    상기 제1이송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며 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지그가 구비되고, 상기 제1이송베이스의 이동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두 개의 제2이송베이스;
    상기 제2이송베이스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2가이드부;
    상기 제2이송베이스를 이송시키기 위한 제2이송부; 및
    상기 제1,2이송부를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의 일측은 차량용 도어트림의 어퍼트림에 대한 피어싱 공정을 행하는 피어싱 공정부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프레임부의 타측은 피어싱 공정이 완료된 차량용 도어트림의 어퍼트림에 대한 감싸기 공정을 행하는 네 군데의 감싸기 공정부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위치되며, 상기 제1이송베이스는 상기 피어싱 공정부에 인접할 수 있는 위치와, 상기 감싸기 공정부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는 위치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고, 상기 제2이송베이스는 상기 제1이송베이스가 상기 감싸기 공정부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는 위치로 이동된 경우 상기 제1이송베이스의 중심부와,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한 쌍씩 위치하는 네 군데의 감싸기 공정부 사이에서 왕복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이송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고정되는 하나이상의 제1가이드레일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에 결합되어 왕복 이동되며, 상기 제1이송베이스에 고정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이송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부는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고정되는 구동측 풀리;
    상기 구동측 풀리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종동측 풀리;
    상기 구동측 풀리와 상기 종동측 풀리에 감겨지는 벨트; 및
    상기 벨트와 상기 제1이송베이스에 고정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구동측풀리와 종동측 풀리에 감겨져 회전되는 벨트에 의해 상기 제1이송베이스가 왕복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이송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부에는 상기 벨트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벨트 장력 조절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이송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제1이송베이스에 설치되는 복수의 제1가이드부재와,
    상기 제1가이드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두 개의 제2이송베이스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2가이드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이송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부는 상기 제1이송베이스에 설치되되, 상기 제1이송베이스가 이동되는 방향에 직교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2이송베이스에 고정용 브래킷으로 그 끝단이 고정되는 로드를 갖는 한 쌍의 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이송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실린더는 그 로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이송 장치.
KR1020100080913A 2010-08-20 2010-08-20 차량용 부품 이송 장치 KR101175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913A KR101175006B1 (ko) 2010-08-20 2010-08-20 차량용 부품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0913A KR101175006B1 (ko) 2010-08-20 2010-08-20 차량용 부품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945A KR20120017945A (ko) 2012-02-29
KR101175006B1 true KR101175006B1 (ko) 2012-08-17

Family

ID=45839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0913A KR101175006B1 (ko) 2010-08-20 2010-08-20 차량용 부품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50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41250A (zh) * 2016-10-14 2016-12-21 天津市福臻机电工程有限公司 精确定位的空中柔性切换输送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2148A (en) 1979-12-07 1981-07-04 Yoshizo Kitano Biaxial nc lath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82148A (en) 1979-12-07 1981-07-04 Yoshizo Kitano Biaxial nc lath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41250A (zh) * 2016-10-14 2016-12-21 天津市福臻机电工程有限公司 精确定位的空中柔性切换输送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7945A (ko) 201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6014B1 (ko) 3차원 벤딩장치
WO2018112773A1 (zh) 一种塑料中空格子板封角机
US10882126B2 (en) Take-up and payoff system for vertical profiling cutting saw (VPX)
KR101175006B1 (ko) 차량용 부품 이송 장치
KR101804999B1 (ko) 헤드라이너 가장자리에의 글루 도포장치
KR101576131B1 (ko) 바아형 부재용 트랜스퍼 유닛 및 바아형 부재용 트랜스퍼 장치
KR20100004498U (ko) 자동차 내장트림 부품조립장치
CN105538618A (zh) 用于取出模制产品的装置
CN105291484A (zh) 一种全自动智能双向抱盒机构
CN209829434U (zh) 一种带有纠偏装置的喷胶装置
KR102248883B1 (ko) 벤딩 장치
JP2564053Y2 (ja) 搬入機
KR101654331B1 (ko) 제품 포장장치
CN108481720B (zh) 一种用于汽车内饰件片材成型的四面自动拉伸装置
CN106994630A (zh) 一种自动化打磨设备
CN208932454U (zh) 一种具有预调功能的装载台
KR20070086069A (ko) 연속 열처리로에 있어서의 판형 피열처리물의 반송 장치
CN210060371U (zh) 自动螺丝机
CN103737649B (zh) 汽车覆盖件消失模泡沫数控切割机
JP3773125B2 (ja) トランスファフィーダのフィードストローク可変装置
JP3902012B2 (ja) プレスのワーク搬送装置
KR100951844B1 (ko) 프레스 공정용 그리퍼장치
CN220499967U (zh) 立体成型设备
CN115318500B (zh) 一种门扇喷涂输送线的调节控制方法
CN204036566U (zh) 一种导轨包装切割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