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988B1 -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4988B1
KR101174988B1 KR1020100061551A KR20100061551A KR101174988B1 KR 101174988 B1 KR101174988 B1 KR 101174988B1 KR 1020100061551 A KR1020100061551 A KR 1020100061551A KR 20100061551 A KR20100061551 A KR 20100061551A KR 101174988 B1 KR101174988 B1 KR 101174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olishing
electrode
sample
electroly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0990A (ko
Inventor
박경현
서용기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1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988B1/ko
Publication of KR20120000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F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REMOVAL OF MATERIALS FROM OBJECTS; APPARATUS THEREFOR
    • C25F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removal of material from objects; Servicing or oper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F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REMOVAL OF MATERIALS FROM OBJECTS; APPARATUS THEREFOR
    • C25F3/00Electrolytic etching or polishing
    • C25F3/16Polish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해연마를 실시할 소재를 고정한 후 원하는 위치로 이동가능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극과 소재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균일한 연마가 가능하도록 하는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전해연마 가능한 전해액이 내부에 수용되는 전해수조와, 상기 전해수조 내부에 하부가 수용되고 상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하부에 전해연마 대상 시료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시료고정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시료고정부에 전압을 연결하는 연마프레임과, 상기 시료고정부의 시료를 연마하기 위한 전극편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마프레임과 연결형성되는 전극프레임과, 상기 연마프레임과 전극프레임에 연결되어 전압을 제공하는 정전압공급부와, 상기 전극프레임이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하도록 상기 연마프레임 상측 내부로부터 상기 전극프레임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승하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DEVICE FOR MAKING ELECTROLYTIC POLISHING OF SURFACE}
본 발명은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해연마를 실시할 소재를 고정한 후 원하는 위치로 이동가능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전극과 소재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균일한 연마가 가능하도록 하는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분해는 자발적으로 산화, 환원반응이 일어나지 않는 경우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비자발적인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전기분해라고 한다.
이러한 전기분해 시에 (-)극에서는 (+)이온이 환원되고, (+)극에서는 (-)이온이 산화된다.
그리고, 공업적으로는 금속의 도금, 알루미늄의 제련, 구리의 정제, 다운스(Downs) 공정(용융 암염의 전기분해)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전해연마는 전기분해할 때 양극의 금속 표면에 미세한 볼록 부분이 다른 표면 부분에 비해 선택적으로 용해하는 것을 이용한 금속연마법이다.
이는, 연마하려는 금속을 양극으로 하고, 전해액 속에서 전해하면 금속 표면을 연마할 수 있다.
연마하려는 금속을 양극으로 하고, 전해액 속에서 고전류밀도로 단시간에 전해하면 금속표면의 더러움이 없어지고 볼록부분이 용해하므로 기계연마에 비해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고 평활한 면을 얻게 된다.
여기서, 전해액은 피연마금속(被硏磨金屬)에 따라 다른데, 아세트산무수물, 알칼리, 인산을 사용하며, 이것에 산화력이 강한 과염소산, 크로뮴산 등을 가한 것이다.
이는 전기도금의 예비처리에 많이 쓰며, 펜촉, 정밀기계부품, 화학장치부품, 주사침과 같은 금속 및 합금제품에 응용된다.
또한, 광물, 금속, 합금 등의 표면조직의 연구시료 제작에도 사용된다.
발명에 따른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는, 전해 연마를 실시하는 소재인 시료와 전해 연마를 가하는 전극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연마속도를 원활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는, 다수 개의 시료를 전해 연마시에, 시료와 전해 연마를 가하는 전극 간의 간격을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정확한 실험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는, 다양한 형태 및 종류의 시료를 전해 연마하면서도, 간편하게 설치 및 실험 진행하여 정확한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전해연마 가능한 전해액이 내부에 수용되는 전해수조와, 상기 전해수조 내부에 하부가 수용되고 상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하부에 전해연마 대상 시료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시료고정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시료고정부에 전압을 연결하는 연마프레임과, 상기 시료고정부의 시료를 연마하기 위한 전극편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마프레임과 연결형성되는 전극프레임과, 상기 연마프레임과 전극프레임에 연결되어 전압을 제공하는 정전압공급부와, 상기 전극프레임이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하도록 상기 연마프레임 상측 내부로부터 상기 전극프레임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승하강부를 포함한다.
이어서, 상기 시료고정부는, 상기 시료가 수용되는 상부가 개구된 박스형태의 시료홀더와, 상기 시료홀더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정전압공급부로부터 공급받는 전압을 시료에 전달하는 통전편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마프레임은, 상기 연마프레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인 안내홈과, 상기 연마프레임 상부 외 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관통형성된 고정볼트홈을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부는, 일부가 상기 연마프레임 내부에서 승강 또는 하강 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연마프레임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승하강로드와, 상기 안내홈에 안내되어 승강 또는 하강 됨과 동시에 상기 승하강로드와 상기 전극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편과, 상기 고정볼트홈으로 진입되어 상기 승하강로드를 가압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한다.
이어서, 상기 전극프레임은, 상기 연마프레임 내부에서 승강 또는 하강 되는 상기 승하강로드와 연동 되어 유동 된다.
또한, 상기 정전압공급부는, 상기 연마프레임 내부를 통해 상기 시료고정부에 전압을 제공하도록 연결되는 제1도선과, 상기 연마프레임 내부와 전극프레임 내부를 통해 상기 전극편에 전압을 제공하도록 연결되는 제2도선을 포함한다.
이어서, 상기 연마프레임과 전극프레임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로 이루어진다.
더불어,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전극프레임의 수직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시료고정부에 고정되는 시료의 연마속도를 조절한다.
이어서, 상기 연마프레임 외면에는, 상기 전극프레임의 수직높이 수치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수치기재면이 포함된다.
한편, 상기 수치기재면은, 숫자를 통해 상기 전극프레임의 수직높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숫자면과, 눈금을 통해 상기 전극프레임의 수직높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눈금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는, 시료와 전극 간의 간격을 동일하게 유지한 채로, 다수 개의 시료를 동일 조건으로 실험하여, 정확한 실험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그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는, 전체적인 설비를 전기가 통하지 않고 비용이 저렴한 부도체를 사용하고, 통전 관련부분만 전기가 잘 통하는 고가의 재료를 사용하면서도, 정확한 실험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제품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있다.
ㅍ본 발명에 따른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는, 다양한 형태 및 종류의 시료를 전해연마 하면서도, 그 설치 및 실험 진행이 간편한 그 사용상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전해연마 가능한 전해액(10)이 내부에 수용되는 전해수조(50)에 하부가 수용되고 상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연마프레임(100)을 구비하고, 상기 연마프레임(100)에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하게 연결되는 전극프레임(200)을 구비하여, 전해연마를 실시하는 시료(30)의 연마속도를 조절하면서도, 다양한 시료(30)를 동일한 조건하에 전해연마 하여 정확한 실험값을 얻을 수 있는 기술분양 전반에 걸쳐 본 발명의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 [특히, 연마프레임(100), 전극프레임(20), 승하강부(300)]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라 할 것이다.
전해연마를 실시하기 위한 소재인 시료(30)를 전해 연마하기 위해서는, 전해연마 가능한 전해액(10)이 내부에 수용되는 전해수조(50)가 구비되어야 한다.
이러한 전해액(10)은, 전해질용액의 약칭으로 전기분해를 음극과 양극의 격막을 이용해 실시하는 경우, 음극 쪽의 전해액을 음극액, 양극쪽을 양극액이라고 한다.
전기분해의 효율은 전해액의 조성, 온도, 수소이온 농도, 불순물의 유무와 양 등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전기분해에 적합한 전해액을 조제할 필요가 있다.
전해액으로는 염화암모늄 용액이나 묽은 황산을 많이 사용한다.
특히 용융염(溶融鹽) 전기분해인 경우에는 전해액에 상당하는 것을 전해욕(電解浴)이라고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해연마가 가능한 전해액(10)이 내부에 수용되는 전해수조(50)에는, 상기 시료(3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시료고정부(110)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시료고정부(110)에 전압을 연결하는 연마프레임(100)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연마프레임(100)은, 상기 전해수조(50) 내부에 하부가 수용되고 상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마프레임(100) 하부는, 상기 전해수조(50) 하면에 수평방향의 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마프레임(100) 하부 상면에는, 상기 시료고정부(110)가 구비된다.
이어서, 상기 시료고정부(110)는, 상기 시료(30)가 수용되는 상부가 개구된 박스형태의 시료홀더(11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연마프레임(100)에는, 상기 연마프레임(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120)이 형성되고, 상기 연마프레임(100) 상부 외 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관통형성되는 고정볼트홈(130)이 구비된다.
이어서, 상기 안내홈(120)은, 상기 연마프레임(100)의 측면으로 관통되되, 상기 연마프레임(10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장공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연마프레임(100)은 전기가 흐르지 않는 부도체인 유리 또는 테프론 재질로 이루어지되, 전기가 흐르지 않는 부도체라면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시료고정부(110)의 시료(30)를 전해연마 하기 위해서는, 상기 시료(30)를 전해연마 하기 위한 전극편(210)이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연마프레임(100)과 연결형성되는 전극프레임(200)이 구비된다.
이러한 전극프레임(200)은, 전기가 흐르지 않는 부도체인 유리 또는 테프론 재질로 이루어지되, 전기가 흐르지 않는 부도체라면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이어서, 상기 시료(30)는, 상기 연마프레임(100)과 전극프레임(200)에 연결되어 전압을 제공하는 정전압공급부(150)를 통해 전압을 공급받아 전해연마 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극프레임(200)이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하도록 하는 승하강부(300)는, 상기 연마프레임(100) 상측 내부로부터 상기 전극프레임(200)과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승하강부(300)는, 상기 전극프레임(200)의 수직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시료(30)와 상기 전극편(210)의 간격을 조절함으로 인해, 상기 전극편(210)으로부터 상기 시료(30)가 전해연마되는 시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하강부(300)는, 일부가 상기 연마프레임(100) 내부에서 승강 또는 하강 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연마프레임(100) 상부로 돌출형성되는 승하강로드(310)를 갖는다.
이어서 상기 승하강부(300)는, 상기 안내홈(120)에 안내되어 승강 또는 하강 됨과 동시에 상기 승하강로드(310)와 상기 전극프레임(200)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편(3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부(300)는, 상기 고정볼트홈(130)으로 진입되어 상기 승하강로드(310)를 가압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볼트(330)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상기 승하강부(300)의 승하강로드(310)는, 일부가 상기 연마프레임(100) 내부에 수용된 채로, 상기 연마프레임(100) 내부에서 승강 또는 하강 되고, 상기 고정볼트(330)의 가압에 의해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극프레임(200)은, 상기 승하강로드(310)와 연결편(320)으로 연결된 채로, 상기 승하강로드(310)의 승강 또는 하강에 따라 연동 된다.
특히, 상기 연마프레임(100) 외면에는, 상기 전극프레임(200)의 수직높이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수치기재면(140)이 기재된다.
이러한 상기 수치기재면(140)은, 외부에서 숫자를 통해 상기 전극프레임(200)의 수직높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숫자면(142)을 갖는다.
이어서, 상기 수치기재면(140)은, 외부에서 눈금을 통해 상기 전극프레임(200)의 수직높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눈금면(144)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치기재면(140)을 통해 상기 전극프레임(200)의 수직높이를 정하게 되면, 상기 시료(30)가 연마되도록 하는 상기 전극편(210)과 시료(30) 간의 간격을 정밀하게 조절가능하기 때문에, 다수 개의 상기 시료(30)를 가지고 동일한 조건으로 전해연마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시료고정부(110)의 시료홀더(112) 하면에는, 상기 정전압공급부(150)로부터 공급받는 전압을 상기 시료(30)에 전달하는 통전편(114)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통전편(114)은, 전기가 잘 통하는 통전 물질이 사용되고, 백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통전편(114)에는, 양극 전압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시료(30)를 연마하기 위해 상기 전극프레임(200) 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전극편(210)은, 전기가 잘 통하는 통전 물질이 사용되고, 마찬가지로 백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전극편(210)에는, 음극 전압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정전압공급부(150)는, 상기 연마프레임(100) 내부를 통해 상기 시료고정부(110)의 하면에 구비된 통전편(114)에 연결되어 전압을 제공하는 제1도선(152)를 갖는다.
이러한 상기 제1도선(152)은, 전기가 잘 통하는 통전 물질이 사용되고, 백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정전압공급부(150)는, 상기 연마프레임(100) 내부와 상기 전극프레임(200) 내부를 통해 상기 전극편(210)에 연결되어 전압을 제공하는 제2도선(154)을 갖는다.
이러한 상기 제2도선(154)은, 전기가 잘 통하는 통전 물질이 사용되고, 백금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를 살펴보면, 상기 연마프레임(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상기 시료홀더(112)의 하면에는 통전편(114)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통전편(114)은, 상기 정전압공급부(150)로부터 상기 연마프레임(100) 내부를 통해 상기 통전편(114)과 연결되는 제1도선(152)에 전압이 인가됨으로 인해, 상기 통전편(114) 상면에 고정되는 상기 시료(30)에 음극의 전압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시료(30)를 연마하기 위해, 상기 정전압공급부(150)로부터, 상기 연마프레임(100)과 상기 전극프레임(200) 내부를 통해, 상기 전극편(210)과 연결되는 제2도선(154)에 전압이 인가됨으로 인해, 상기 전극편(210)에 양극의 전압을 제공하여, 상기 시료(30)가 전해연마 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시료홀더(112)는, 상기 시료(30)가 상기 시료홀더(112) 내부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부가 개구 된 박스형태로 형성된다.
그렇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 및 종류의 시료(30) 즉, 판 형태 또는 봉 형태 등의 시료(30)를 상기 시료홀더(112)에 제한 없이 용이하게 고정하여 상기 시료(30)의 전해연마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상기 시료(30)를 외부에서 가압하여 고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외부 가압에 의한 시료(30) 표면의 훼손 등으로 인한, 시료(30)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시료홀더(112) 하부에 형성된 상기 통전편(114)은, 상기 정전압공급부(150)로부터 상기 제1도선(152)과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시료(30)와 밀착되어 상기 시료(30)에 양극의 정전압을 제공하게 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전극프레임(200) 하부에 형성된 상기 전극편(210)은, 상기 시료(30)와 간격을 두도록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정전압공급부(150)로부터 상기 제2도선(154)과 연결되어 음극의 정전압을 제공받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전극편(210)이 상기 정전압공급부(150)로부터 음극의 정전압을 제공받게 되면, 상기 정전압공급부(150)로부터 양극의 정전압을 제공받는 상기 시료(30)를 전해연마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시료홀더(112)는, 전기가 흐르지 않는 부도체인 유리 또는 테프론 재질로 이루어지되, 전기가 흐르지 않는 부도체라면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극프레임(110)은, 상기 연결편(320)을 통해 상기 승하강로드(310)와 상호 연결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로드(310)는, 상기 연마프레임(100) 내부에서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편(320)은, 상기 연마프레임(100) 측면에 상기 연마프레임(100)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안내홈(120)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유동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극프레임(110)은, 상기 승하강로드(310)의 승강 또는 하강에 따라 상기 연결편(320)에 연결된 채로 연동 되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정전압공급부(150)를 통해 양극의 전압을 제공받으면서 상기 시료고정부(110)의 시료홀더(112) 내부에 고정되는 상기 시료(30)는, 상기 정전압공급부(150)를 통해 음극의 전압을 제공받으며 상기 전극프레임(200) 하부에 고정형성되는 상기 전극편(210)에 의해 연마된다.
이때, 상기 시료(30)와 전극편(210) 간의 간격에 의해, 상기 시료(30)의 전해연마 속도는 달라지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다수 개의 시료(30)를 가지고, 동일 조건 하에서 실험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전극프레임(110)이 상기 연마프레임(100) 외면에 기재된 수치기재면(140)의 숫자면(142)과 눈금면(144)을 통해 상기 전극프레임(110)의 정해진 고정위치를 확보한 후 다수 개의 시료(30)를 가지고 실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전극프레임(110)의 고정위치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기 연마프레임(200) 내부에서 승강 또는 하강 되는 상기 승하강로드(310)의 상부를 사용자가 파지한 후, 상기 수치기재면(140)의 숫자면(142) 및 눈금면(144)을 보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상기 승하강로드(310)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고정하게 된다.
이렇게 사용자가 상기 승하강로드(310)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연마프레임(100) 상부에 형성된 상기 고정볼트홈(130)에 상기 고정볼트(330)가 진입되도록 하여, 상기 고정볼트(330)가 상기 연마프레임(100) 내부에 구비된 상기 승하강로드(310)를 가압하여 상기 승하강로드(310)가 고정되도록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승하강로드(310)를 다시 이동할 시에는, 상기 승하강로드(310)를 가압하던 상기 고정볼트(330)를 상기 승하강로드(310)에서 이격 되도록 하여, 상기 승하강로드(310)를 상기 연마프레임(100) 내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로드(310)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 또는 고정되면, 상기 승하강로드(310)와 연동 되는 상기 전극프레임(110) 또한 상기 승하강로드(310)와 같이 이동 또는 고정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다수 개의 시료(30)를 동일한 조건에서 실험하기 위해서는, 첫번째 시료(30)의 전해연마 실험시, 상기 시료(30)와 전극편(210) 간의 간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 상기 연마프레임(100) 외면에 기재된 상기 수치기재면(140)의 숫자면(142)과 눈금면(144)을 통해, 상기 승하강로드(310)의 수직높이를 확인하고, 다음 시료(30)의 실험시 확인된 상기 승하강로드(310)의 위치를 첫번째 시료(30)의 실험시의 수직높이와 동일하게 위치하게 되면 된다.
이로써, 상기 시료(30)의 전해연마시, 다수 개의 상기 시료(30) 간에 정확한 실험값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승하강로드(310)의 고정을 장시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인해, 상기 전극편(210)과 시료(30) 또한 장시간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시료(30)의 균일한 연마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승하강로드(310)의 수직 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함으로 인해, 상기 전극편(210)과 시료(30) 간의 상호 간격이 미세하게 조절되어, 상기 시료(30)의 미세연마가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 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전해액 30 : 시료
50 : 전해수조
100 : 연마프레임 110 : 시료고정부
112 : 시료홀더 114 : 통전편
120 : 안내홈 130 : 고정볼트홈
140 : 수치기재면 142 : 숫자면
144 : 눈금면
150 : 정전압공급부 152 : 제1도선
154 : 제2도선
200 : 전극프레임 210 : 전극편
300 : 승하강부 310 : 승하강로드
320 : 연결편 330 : 고정볼트

Claims (9)

  1. 전해연마 가능한 전해액이 내부에 수용되는 전해수조;
    상기 전해수조 내부에 하부가 수용되고 상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하부에 전해연마 대상 시료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시료고정부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시료고정부에 전압을 연결하는 연마프레임;
    상기 시료고정부의 시료를 연마하기 위한 전극편이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마프레임과 연결형성되는 전극프레임;
    상기 연마프레임과 전극프레임에 연결되어 전압을 제공하는 정전압공급부; 및
    상기 전극프레임이 승강 또는 하강 가능하도록 상기 연마프레임 상측 내부로부터 상기 전극프레임과 연결되도록 형성된 승하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료고정부는,
    상기 시료가 수용되는 상부가 개구된 박스형태의 시료홀더와, 상기 시료홀더 하면에 형성되어, 상기 정전압공급부로부터 공급받는 전압을 시료에 전달하는 통전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프레임은,
    상기 연마프레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인 안내홈과,
    상기 연마프레임 상부 외 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관통형성된 고정볼트홈을 포함하고,
    상기 승하강부는,
    일부가 상기 연마프레임 내부에서 승강 또는 하강 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연마프레임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승하강로드와,
    상기 안내홈에 안내되어 승강 또는 하강 됨과 동시에 상기 승하강로드와 상기 전극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편과,
    상기 고정볼트홈으로 진입되어 상기 승하강로드를 가압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프레임은,
    상기 연마프레임 내부에서 승강 또는 하강 되는 상기 승하강로드와 연동 되어 유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압공급부는,
    상기 연마프레임 내부를 통해 상기 시료고정부에 전압을 제공하도록 연결되는 제1도선과,
    상기 연마프레임 내부와 전극프레임 내부를 통해 상기 전극편에 전압을 제공하도록 연결되는 제2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프레임과 전극프레임은,
    전기가 통하지 않는 부도체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상기 전극프레임의 수직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시료고정부에 고정되는 시료의 연마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프레임 외면에는,
    상기 전극프레임의 수직높이 수치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수치기재면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치기재면은,
    숫자를 통해 상기 전극프레임의 수직높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숫자면과,
    눈금을 통해 상기 전극프레임의 수직높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눈금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
KR1020100061551A 2010-06-29 2010-06-29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 KR101174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551A KR101174988B1 (ko) 2010-06-29 2010-06-29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551A KR101174988B1 (ko) 2010-06-29 2010-06-29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990A KR20120000990A (ko) 2012-01-04
KR101174988B1 true KR101174988B1 (ko) 2012-08-17

Family

ID=45608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551A KR101174988B1 (ko) 2010-06-29 2010-06-29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9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527B1 (ko) * 2013-04-30 2014-10-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전해 연마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4700A (ja) 1997-01-16 1998-08-04 Nec Corp ヘリックス用電解研磨装置
JP2002292524A (ja) * 2001-03-29 2002-10-08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放電加工面の電解仕上げ方法
JP2008184639A (ja) 2007-01-29 2008-08-14 Kiyoshi Matsuda 電解研磨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4700A (ja) 1997-01-16 1998-08-04 Nec Corp ヘリックス用電解研磨装置
JP2002292524A (ja) * 2001-03-29 2002-10-08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放電加工面の電解仕上げ方法
JP2008184639A (ja) 2007-01-29 2008-08-14 Kiyoshi Matsuda 電解研磨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5527B1 (ko) * 2013-04-30 2014-10-27 현대제철 주식회사 전해 연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990A (ko) 201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09932B1 (en) Double contact bar insulator assembly contacting adjacent cells for electrowinning of a metal
CN102168298B (zh) 一种实验室用金相样品电解腐蚀装置及电解腐蚀方法
JP2014533778A (ja) 工業用銅電気精錬のための方法
Ren et al. Electrodeposition conditions of metallic nickel in electrolytic membrane reactor
CN105714367A (zh) 电解抛光装置
CN206916248U (zh) 一种适用于α放射源制备的电沉积样品制备仪
CN101479409B (zh) 金属线材电镀用不溶性阳极和采用它的金属线材电镀方法
CN104685112A (zh) 用于对目标物电解涂覆的设备和方法
CN109763166A (zh) 适用于金属样品电解抛光的装置
KR101174988B1 (ko) 극 표면 전해 연마장치
Walsh Electrode reactions in metal finishing
CN106001808A (zh) 磁电联动式电化学加工间隙自动反馈控制装置及使用方法
CN101532146A (zh) 稳定强电场恒电流电解池及其电解装置
JP5962525B2 (ja) 電解液の給液装置および給液方法
US1912430A (en) Electrolytic process of producing ductile iron
CN208188153U (zh) 一种纳米针尖的制备装置
CN114207191A (zh) 用于借助于脉冲技术电解涂覆钢带的方法和设备
CN103993332B (zh) 一种节能铝电解槽及其辅助极
CN215668248U (zh) 铝型材阳极氧化挂具
CN113564650A (zh) 一种电沉积方法和电沉积装置
CN102296330A (zh) 钛基铅-碳化钨-氧化铈-聚苯胺复合阳极板的制备方法
CN217600873U (zh) 电镀导电装置
CN205576303U (zh) 一种用于手机机板导电布金属涂层电镀的装置
CN211311664U (zh) 一种清洗镀银镀铬夹具的电解设备
CN205803613U (zh) 一种自动加料和控制浓度的电解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