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843B1 - 이동항구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동시 수행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항구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동시 수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4843B1
KR101174843B1 KR1020090074794A KR20090074794A KR101174843B1 KR 101174843 B1 KR101174843 B1 KR 101174843B1 KR 1020090074794 A KR1020090074794 A KR 1020090074794A KR 20090074794 A KR20090074794 A KR 20090074794A KR 101174843 B1 KR101174843 B1 KR 101174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ship
container
mobile harbor
un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4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7228A (ko
Inventor
김병국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074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843B1/ko
Publication of KR20110017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7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65G63/002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 B65G63/004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for article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 B66C19/002Container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9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항구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동시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을 수행하는 크레인이 설치된 이동항구 선박을 포함하는 이동항구 시스템과, 그 이동항구 시스템이 컨테이너 선과 이동택시 선박 사이에서 크레인의 왕복회수를 최소화하도록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을 동시에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테이너 선이 부두로 입항할 필요없이 부두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있는 바다 위에 위치한 이동항구 시스템에 의하여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컨테이너 선이 다음 기착지로의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대형 컨테이너 선이 항구에 입항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항구의 선박 적체 현상을 막을 수 있고, 또한 컨테이너 전용 부두를 가지지 않은 작은 항구에서도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컨테이너 선과 이동택시 선박과의 사이에서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을 수행할 때, 이동항구 선박을 임시하역 장소로 이용하여 선적 및 하역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인 선적 및 하역을 수행할 수 있다.
Figure R1020090074794
이동항구, 크레인, 이동택시, 선적, 하역, 동시수행

Description

이동항구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동시 수행 방법{MOBILE HARBOR SYSTEM AND METHOD FOR SIMULTANEOUS PERFORMING OF CONTAINER LOADING AND UNLOADING}
본 발명은 이동항구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동시 수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을 수행하는 크레인이 설치된 이동항구 선박을 포함하는 이동항구 시스템과, 그 이동항구 시스템이 컨테이너 선과 이동택시 선박 사이에서 크레인의 왕복회수를 최소화하도록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을 동시에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컨테이너 선이 항상 고정된 항구로 입항하여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을 수행해 왔다. 이렇게 고정된 항구로 입항해야 함에 따라 시간이 많이 걸리게 되고 이에 따라 컨테이너 선이 다수의 경유지를 가진 경우, 다음 기착지로의 신속한 이동이 어려웠고, 대형 선박이 입항함에 따라 항구의 적체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또한 컨테이너 전용 부두를 가지지 않은 작은 항구에서는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 방법에서도 하역 완료 후 선적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여 선적 및 하역 효율이 많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컨테이너 선이 부두로 입항할 필요없이 부두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있는 바다 위에 위치한 이동항구 시스템에 의하여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컨테이너 선이 다음 기착지로의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대형 컨테이너 선이 항구에 입항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항구의 선박 적체 현상을 막을 수 있고, 또한 컨테이너 전용 부두를 가지지 않은 작은 항구에서도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을 가능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컨테이너 선과 이동택시 선박과의 사이에서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을 수행할 때, 이동항구 선박을 임시하역 장소로 이용하여 선적 및 하역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인 선적 및 하역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부두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바다 위에 위치하고, 컨테이너 선이 정박하여 화물을 선적 및 하역할 수 있게 하는 이동항구 시스템은, 컨테이너 선이 그 사이에 진입하여 정박할 수 있게 해 주는 둘 이상의 이동항구 선박; 부두와 이동항구 선박 사이에서 컨테이너의 운반을 담당하는 이동택시 선박; 및 상기 이동항구 선박 위에 설치되어 컨테이너 선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하거나 컨테이너 선으로 컨테이너를 선적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크레인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택시 선박은 상기 두 이동항구 선박 각 외측에 정박하며,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과정은, 이동항구 선박 내측에 정박한 컨테이너 선과, 컨테이너 선 양측의 이동항구 선박 및 이동택시 선박 간에 동시에 동일한 수의 컨테이너에 대하여 수행되고, 상기 이동택시 선박은, 컨테이너 적재를 위한 기차가 이동하는 철로가 설치되고, 상기 철로는, 상기 이동택시 선박이 부두에 정박시, 부두에 설치된 철로와 연결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이동항구 선박은, 정박한 컨테이너 선과 이동택시 선박 사이에서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 동시 수행을 위한 임시하역장소(buffer)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이동항구 선박은, 하부연결장치를 사용하여 두 이동항구 선박들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고, 상부연결장치로서 크레인이 두 이동항구 선박들을 연결하도록 'ㅠ'자 구조로 설치됨으로써, 두 이동항구 선박들이 상하부 연결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삭제
상기 이동항구 선박은, 진입한 컨테이너 선을 상기 이동항구 선박에 고정시키는 접안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크레인은, 상기 각각의 이동항구 선박 위에 세워진 크레인 지지대; 상기 크레인 지지대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 빔(beam); 상기 크레인 상부 빔(beam) 위에서 이동하는 트롤리(trolly); 및 상기 트롤리에 걸려있고, 하부에 이송할 컨테이너를 파지하는 스트래들(straddle)이 설치된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트롤리는, 상기 컨테이너 선의 좌우 하중이 균형을 이루는 방식으로, 상기 컨테이너 선과 좌우측의 이동항구 선박 또는 이동택시 선박 간에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을 수행하는 4개의 트롤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크레인은 상기 이동항구 선박 위에 병렬로 다수 설치되고, 상기 트롤리는, 상기 병렬 설치된 크레인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상부 빔 위를 왕복 운동하는 세로방향 트롤리; 및 상기 세로방향 트롤리 위에서 병렬 설치된 크레인 사이를 왕복 운동하는 가로방향 트롤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컨테이너 선이 부두로 입항할 필요없이 부두로부터 일정 거리 떨어져 있는 바다 위에 위치한 이동항구 시스템에 의하여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컨테이너 선이 다음 기착지로의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대형 컨테이너 선이 항구에 입항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항구의 선박 적체 현상을 막을 수 있고, 또한 컨테이너 전용 부두를 가지지 않은 작은 항구에서도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컨테이너 선과 이동택시 선박과의 사이에서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을 수행할 때, 이동항구 선박을 임시하역 장소로 이용하여 선적 및 하역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인 선적 및 하역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 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이동항구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동항구 시스템(100)은 컨테이너 선이 그 사이에 진입하여 정박할 수 있게 해 주는 둘 이상의 부유체(이하 '이동항구 선박'이라 한다)(120)와, 상기 이동항구 선박(120) 위에 설치되어 컨테이너 선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하거나 컨테이너 선으로 컨테이너를 선적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크레인(110)을 포함한다. 이러한 이동항구 선박(120)은, 컨테이너 선(200)의 정박 장소가 되며, 또한 정박한 컨테이너 선(200)과 이동택시 선박(130A, 130B) 사이에서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 동시 수행을 위한 임시하역장소(buffer)로 사용된다. 도면을 참조하면, 두 개의 이동항구 선박(120)이 바다(500) 위에 떠 있고, 하부연결장치(123)로 서로 단단히 고정되어 있으며, 그 중앙부에 컨테이너 선(container ship)(200)이 진입되어 있다. 이때 적절한 진입 유도 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동항구 선박(120)은 컨테이너 선(200)의 진입이 완료되면 컨테이너 선 접안장치(121A, 121B)들을 사용하여 컨테이너 선(200)을 고정시킨다. 아울러 컨테이너를 선적 및 하역할 두 대의 이동택시 선박(mobile taxi ship)(130A, 130B)을 이동항구 선박(120)의 양쪽에 이동택시 선박 접안장치(122A, 122B)를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크레인(110)은, 상기 각각의 이동항구 선박 위에 세워진 크레인 지지대(116), 상기 크레인 지지대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 빔(beam)(118), 상기 크레인 상부 빔(118) 위에서 이동하는 트롤리(trolly)(111A 내지 111D) 및 상기 트롤리에 걸려있고, 하부에 이송할 컨테이너를 파지하는 스트래들(straddle)이 설치된 가변 길이의 케이블(114)을 포함한다. 컨테이너(10A, 10B, 20)들은 스트래들(115A 내지 115D) 하부에 고정되어 케이블(114) 및 트롤리(111A 내지 111D)의 이동에 의하여 운반된다.
이동항구 크레인(110)은 이동항구 선박(120)의 상부에 설치된다. 전체적으로 이동항구 선박(120)의 위에 설치 가능한 'ㅠ'자 형태의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두 부유체로 구성된 이동항구 선박(120)이 이동항구 크레인의 'ㅠ'자 구조로써 단단히 고정되어 이동항구 선박(120)과 크레인(110)이 하나의 고정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본 도면에는 두 개의 이동항구 선박의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둘 이상의 이동항구 선박 및 그 위에 크레인이 설치된 구조로서 'ㅜㅜㅜ...ㅜㅜ' 형태를 이룰 수도 있다.
컨테이너 선(200)에는 하역할 컨테이너(20)들이 적재되어 있고, 두 이동택시 선박(130A, 130B)에는 컨테이너 선(200)에 선적할 컨테이너(10A, 10B)들이 각각 적재되어 있다. 이동항구 크레인(110)의 임무는 하역 컨테이너(20)들을 컨테이너 선(200)로부터 이동택시 선박(130A, 130B)에 옮겨 싣고, 아울러 선적 컨테이너(10A, 10B)들을 이동택시 선박 (130A, 130B)로부터 컨테이너 선(200)에 신속히 옮겨 싣는 것이다.
도 2는 이동항구 크레인(110)의 3차원 구조를 나타낸다. 이동항구 크레 인(110)의 상부 빔 (top beam) (118A, 118B) 위에 네 개의 트롤리(111A 내지 111D)가 설치되며, 각각의 트롤리는 세로 방향 트롤리(longitudinal trolly)(112)와 가로 방향 트롤리 (lateral trolly)(113)를 포함하고, 이에 의하여 각각 선박 횡단방향과 선박 진행방향의 운동이 가능하다. 가변 길이의 케이블(114)은, 하단에 설치된 스트래들(straddle) (115)에 의해 파지된 컨테이너(10, 20)의 상하 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로써, 이송하려는 컨테이너(10, 20)의 3차원 운동이 두 트롤리(112, 113)와 가변 길이의 케이블(114)에 의하여 가능하게 된다. 네 개의 트롤리(111A 내지 111D)는 컴퓨터에 의해 운전할 경우 충돌 방지 프로그램이 작동되며, 수동 운전의 경우에도 충돌 방지 센서 시스템이 작동된다.
도 3은 이동항구 크레인의 병렬구조를 나타낸다. 대형 컨테이너 선의 경우 선박의 길이가 300여 미터에 이르므로 여러 대의 이동항구 크레인을 도 3과 같이 여러 대를 병렬로 설치하여 병렬 운전함이 효율적이다. 도 3에는 네 대의 이동항구 크레인(311 내지 314)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동항구 선박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수의 이동항구 크레인이 설치될 수 있다. N대의 크레인이 설치되어 있다면 4N대의 트롤리가 병렬운전이 가능하다. 이 경우 컴퓨터에 의한 자동 운전이 바람직하며 부분적으로 한 명의 크레인 운전자에 의하여 두 트롤리의 수동 운전이 가능할 수도 있다.
도 4는 이동택시 선박(130)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이동택시 선박(130)의 갑 판에는 여러 개의 철로(131)가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철로(131) 위에는 기차가 정차할 수 있는데, 기차에는 하나의 기관차(132)와 다수의 컨테이너 운반대(133)들이 연결되어 있다. 컨테이너 운반대(133)위에는 선적할 컨테이너(10A, 10B)들이 미리 적재되어 있다. 각 기차는 선적 컨테이너(10A, 10B)들의 출발지와 하역 컨테이너(20)들의 목적지(420)에 따라 분류되어 있으며, 이 이동택시 선박(130)이 선적 컨테이너(10A, 10B)들을 적재한 후 이동항구 선박(120)으로 이동하여 컨테이너 선(200)에 선적한다. 또한 컨테이너 선(200)으로부터 하역한 컨테이너(20) 들을 컨테이너 운반대(133)에 적재한 후 그 이동택시 선박(130)이 이동항구 선박(120)으로부터 출발하여 부두(400)에 정박한 후, 부두(400)의 철도(410)와 곧바로 연결이 되어 바로 기차를 이용하여 여러 목적지 도시들로 컨테이너의 기차에 의한 운반이 가능하다.
또한 이동택시 선박(130)에는 컨테이너 트럭(134)들을 위한 장소도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컨테이너 트럭(134)에 선적할 컨테이너(10C)들을 적재한 후, 이 이동택시 선박(130)이 선적 컨테이너(10C)들을 싣고 이동항구 선박(120)으로 이동하여 컨테이너 선(200)에 선적한다. 또한 컨테이너 선(200)으로부터 하역한 컨테이너(20) 들을 컨테이너 트럭(134)에 적재한 후 그 이동택시 선박(130)이 이동항구 선박(120)으로부터 출발하여 부두(400)에 정박한 후, 곧바로 부두의 도로(420, 430)를 통하여 각 컨테이너의 목적지로 컨테이너 트럭을 이용한 통한 운송이 또한 가능하게 된다.
도 5에 컨테이너 선(200)과 이동택시 선박(130) 간에, 이동항구 선박(120) 및 이에 설치된 크레인(본 도면에는 미도시, 도 1의 110)을 포함하는 이동항구 시스템(100)에 의한 컨테이너 동시 하역 및 선적에 대한 순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초기상태(S500)에는, 컨테이너 선(200)이 두 이동항구 선박(120)들의 중앙에 정박하여 있고, 컨테이너 선(200)에는 하역할 컨테이너들(11 내지 16, 21 내지 26)이 적재되어 있으며, 이동택시 선박(130A, 130B)에는 각각 컨테이너 선(200)으로 선적할 컨테이너들(31 내지 36, 41 내지 46)이 각 이동택시 선박(130A, 130B) 상에 있는 기차의 컨테이너 운반대 또는 컨테이너 트럭에 적재되어 있다.
이동항구 크레인(110)의 트롤리(111)의 한 번의 왕복운동을 한 회전이라 한다. 제1 회전(S510)의 전반부(S511)에서는 하역 컨테이너 중에서 4개의 컨테이너 (11, 12, 21, 22)를 4개의 트롤리(본 도면에는 미도시, 도 1의 111A 내지 111D)를 이용하여 두 이동항구 선박(120)의 갑판 위로 각각 두 개의 컨테이너씩 이동시킨다. 이 컨테이너들(11, 12, 21, 22)은 어두운 색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하의 도면에서, 어두운 색으로 표시된 컨테이너들은 이와 같이 해당 단계에서 그 위치로 이동된 컨테이너임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제1 회전(S510)의 후반부에는 컨테이너 운반이 없다. 제2 회전(S520)에서도 마찬가지로 전반부(S521)에서는 하역 컨테이너 중에서 4개의 컨테이너 (13, 14, 23, 24)를 4개의 트롤리(111A 내지 111D)를 이용하여 이동항구 선박(120)의 갑판 위로 각각 두 개의 컨테이너씩 이동시킨다.
제2 회전(S520)이 끝나면 컨테이너 선(200)위에 비어있는 열(501, 502)이 생기게 되므로 이후로는 각 회전의 전반부, 후반부 모두 컨테이너 운송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제3 회전(S530)의 전반부(S531)에서는 4개의 선적 컨테이너(31, 32, 41, 42)가 컨테이너 선(200)의 상기 비어있는 열(501, 502)로 이동되어 선적되고, 후반부(S532)에서는 4개의 하역 컨테이너(15, 16, 25, 26)가 각 이동택시 선박(130A, 130B)으로 각각 두 개의 컨테이너씩 하역이 된다. 이로부터 컨테이너 선(200)에는 다시 비어있는 열(503)이 발생한다.
제4 회전(S540) 전반부(S541)에서는 컨테이너 선(200)의 상기 비어있는 열(503)로 4개의 선적 컨테이너(33, 34, 43, 44)의 선적이 진행되고, 후반부(S542)에서는 두 이동항구 선박(120)에 각각 두 개씩 임시로 하역된 4개의 컨테이너(13, 14, 23, 24)가 각각 두 개씩 양 측의 이동택시 선박(130A, 130B)으로 하역된다.
동일한 방식으로 제5 회전(S550)의 전반부(S551)에서는 4개의 선적 컨테이너(35, 36, 45, 46)의 선적이 진행되고, 후반부(S552)에서는 두 이동항구 선박(120)에 각각 두 개씩 임시로 하역된 4개의 컨테이너(11, 12, 21, 22)가 각각 두 개씩 양 측의 이동택시 선박(130A, 130B)으로 하역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볼 때 크레인의 왕복운동 각각에 하역과 선적을 수행하면 전체적인 효율이 좋아짐을 알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에서 하역 완료 후 선적을 수행하면 동일한 크레인으로도 6회전이 필요한데, 하역 및 선적을 동시에 수행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5회전으로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향상률을 다음과 같이 얻을 수 있다. 컨테이너 선에 컨테이너가 가로 A개, 세로 B개의 배치로, 각 열에 C개의 높이로 적재되어 있다고 하면, 하역 후 선적에는 (A*B*C/2)회의 크레인 왕복운동이 필요하지만, 하역 및 선적을 동시 수행하는 경우에는, 우선 컨테이너 선(200)의 선적영역 확보를 위한 이동항구 선박(120)으로의 임시하역에 C회의 크레인 왕복운동이 필요하고, 이동택시 선박(130A, 130B)과의 하역 및 선적에 (A*B*C/4)회의 크레인 왕복운동이 필요하므로, 합하여 (A*B*C/4 + C)회의 크레인 왕복운동만이 소요되게 된다. 이에 따라, A, B의 값이 클 경우 두 배에 가까운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N대의 병렬 크레인을 사용하면 N배의 효율을 추가로 얻을 수 있으므로, 모두 2N 배에 가까운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이동항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이동항구 크레인의 3차원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이동항구 크레인의 병렬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이동택시 선박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에 컨테이너 동시 하역 및 선적 과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부두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바다 위에 위치하고, 컨테이너 선이 정박하여 화물을 선적 및 하역할 수 있게 하는 이동항구 시스템으로서,
    컨테이너 선이 그 사이에 진입하여 정박할 수 있게 해 주는 둘 이상의 이동항구 선박;
    부두와 이동항구 선박 사이에서 컨테이너의 운반을 담당하는 이동택시 선박; 및
    상기 이동항구 선박 위에 설치되어 컨테이너 선으로부터 컨테이너를 하역하거나 컨테이너 선으로 컨테이너를 선적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크레인
    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택시 선박은 상기 두 이동항구 선박 각 외측에 정박하며,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과정은,
    이동항구 선박 내측에 정박한 컨테이너 선과, 컨테이너 선 양측의 이동항구 선박 및 이동택시 선박 간에 동시에 동일한 수의 컨테이너에 대하여 수행되고,
    상기 이동택시 선박은,
    컨테이너 적재를 위한 기차가 이동하는 철로가 설치되고,
    상기 철로는,
    상기 이동택시 선박이 부두에 정박시, 부두에 설치된 철로와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항구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동항구 선박은,
    정박한 컨테이너 선과 이동택시 선박 사이에서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 동시 수행을 위한 임시하역장소(buffer)로 사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항구 시스템.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동항구 선박은,
    하부연결장치를 사용하여 두 이동항구 선박들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고, 상부연결장치로서 크레인이 두 이동항구 선박들을 연결하도록 'ㅠ'자 구조로 설치됨으로써, 두 이동항구 선박들이 상하부 연결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항구 시스템.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동항구 선박은,
    진입한 컨테이너 선을 상기 이동항구 선박에 고정시키는 접안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항구 시스템.
  8. 삭제
  9.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은,
    상기 각각의 이동항구 선박 위에 세워진 크레인 지지대;
    상기 크레인 지지대 상부를 연결하는 상부 빔(beam);
    상기 크레인 상부 빔(beam) 위에서 이동하는 트롤리(trolly); 및
    상기 트롤리에 걸려있고, 하부에 이송할 컨테이너를 파지하는 스트래들(straddle)이 설치된 케이블
    을 포함하고,
    상기 트롤리는,
    상기 컨테이너 선의 좌우 하중이 균형을 이루는 방식으로, 상기 컨테이너 선과 좌우측의 이동항구 선박 또는 이동택시 선박 간에 컨테이너의 선적 및 하역을 수행하는 4개의 트롤리를 구비하는 것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항구 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은 상기 이동항구 선박 위에 병렬로 다수 설치되고,
    상기 트롤리는,
    상기 병렬 설치된 크레인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상부 빔 위를 왕복 운동하는 세로방향 트롤리; 및
    상기 세로방향 트롤리 위에서 병렬 설치된 크레인 사이를 왕복 운동하는 가로방향 트롤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항구 시스템.
  11. 삭제
  12. 삭제
KR1020090074794A 2009-08-13 2009-08-13 이동항구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동시 수행 방법 KR101174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794A KR101174843B1 (ko) 2009-08-13 2009-08-13 이동항구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동시 수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4794A KR101174843B1 (ko) 2009-08-13 2009-08-13 이동항구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동시 수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228A KR20110017228A (ko) 2011-02-21
KR101174843B1 true KR101174843B1 (ko) 2012-08-17

Family

ID=43775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4794A KR101174843B1 (ko) 2009-08-13 2009-08-13 이동항구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동시 수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8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0152A1 (ko) * 2016-05-16 2017-11-2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즉시 부두 설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73518B (zh) * 2015-03-31 2017-01-18 江苏鼎盛重工有限公司 一种海上多功能高效干散货转载集成装备及其控制方法
CN108861638B (zh) * 2018-08-10 2021-01-26 三一海洋重工有限公司 自动化码头装卸系统
CN109436856A (zh) * 2018-12-22 2019-03-08 王燏斌 一种用于集装箱港口的输送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1512A1 (de) * 2007-02-21 2008-08-28 Universität Duisburg-Essen Offshore-container-umladestation als teil eines logistiksyste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1512A1 (de) * 2007-02-21 2008-08-28 Universität Duisburg-Essen Offshore-container-umladestation als teil eines logistiksystem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0152A1 (ko) * 2016-05-16 2017-11-23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즉시 부두 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7228A (ko) 2011-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8972B2 (en) System for the transfer, storage and distribution of intermodal containers
RU2384510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для перегрузки груза
CN103459279B (zh) 装卸起重机装置、集装箱码头以及装卸船只的方法
CN101711210B (zh) 用于国际海运集装箱的港口存储和分配系统
CN102101595A (zh) 用于装载和卸载集装箱的岸壁系统、用于其中的移动港口及运输装置
US20100183407A1 (en) Container transfer port system
KR101174843B1 (ko) 이동항구 시스템 및 그에 의한 컨테이너 선적 및 하역 동시 수행 방법
US4055263A (en) Freight handling method
CN112978167B (zh) 用于将标准化的仓储货物储存在高架仓库中的装置
RU2721865C1 (ru) ПОРТОВЫЙ ЛОГИСТИЧЕСКИЙ КОМПЛЕКС Шумовского
KR101068663B1 (ko) 부유식 하이브리드 이동항구
KR101079654B1 (ko) 듀얼 가이드 크레인, 이를 장착한 선박 및 컨테이너 착지 방법
KR20160137194A (ko) 해상 부유식 항만
KR101112158B1 (ko) 모바일 포탈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선박
KR101096890B1 (ko) 컨테이너 운반 항만 시스템
JP2004182411A (ja) コンテナクレーン及びコンテナターミナル
KR102528987B1 (ko) 메가급 항만 물류 자동화 구축을 위한 항만 기초구조물 시공 방법
KR20110124960A (ko) 컨테이너 크레인이 구비되는 해상 부유체
KR102474928B1 (ko) 래싱브릿지 및 그 제조 방법
NL9302101A (nl) Werkwijze en installatie voor het lossen en/of overslaan van gepakketteerde lading.
Tepekıran et al. PORT OPERATIONS AND SEA TRANSPORT PROCESSES FOR THE TOWER BLOCKS OF THE IZMIT BAY BRIDGE
RU26511U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удно-терминал
BR102021002222A2 (pt) Sistema robotizado para movimentação e armazenagem de contêineres em estruturas verticais
KR20110074387A (ko) 컨테이너 적재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이송선
CN108162988A (zh) 基于客货混运的单轨运输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