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652B1 - 호떡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호떡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4652B1
KR101174652B1 KR1020100008411A KR20100008411A KR101174652B1 KR 101174652 B1 KR101174652 B1 KR 101174652B1 KR 1020100008411 A KR1020100008411 A KR 1020100008411A KR 20100008411 A KR20100008411 A KR 20100008411A KR 101174652 B1 KR101174652 B1 KR 101174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cow
roasting
suppl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8756A (ko
Inventor
안태덕
차상록
Original Assignee
차상록
안태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상록, 안태덕 filed Critical 차상록
Priority to KR1020100008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652B1/ko
Publication of KR20110088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5/00Baking apparatus for special goods; Other baking apparatus
    • A21B5/08Apparatus for baking in baking fat or oil, e.g. for making doughnu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004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forming the dough into a substantially disc-like shape with or without an outer rim, e.g. for making pie crusts, cake shells or pizza bas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30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30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 A21D13/31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filled before baking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호떡을 만들기 위한 반죽물을 일정량 자동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그 공급되는 반죽물의 중심부에 자동으로 소가 채워지게 하며, 소가 채워진 반죽물을 둥글넓적하게 굽기 위해 반죽물을 눌러주고 뒤집으면서 굽는 일련의 공정을 자동화하여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호떡을 만들 수 있게 한 호떡 제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호떡 제조장치{chinese pancake making apparatus}
본 발명은 호떡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호떡을 만들기 위한 반죽물을 일정량 자동으로 공급함과 동시에 그 공급되는 반죽물의 중심부에 자동으로 소가 채워지게 하며, 소가 채워진 반죽물을 둥글넓적하게 굽기 위해 반죽물을 눌러주고 뒤집으면서 굽는 일련의 공정을 자동화하여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호떡을 만들 수 있게 한 호떡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떡은 밀가루를 반죽하여 만든 반죽물을 손으로 일정량 떼어낸 다음, 그 반죽물 속에 설탕과 땅콩 등 여러 가지 재료를 혼합하여 만든 내용물(이하, 소"라 한다.)을 넣고 다시 반죽물을 둥글게 말아서 상기 반죽물의 중심부에 소가 잘 채워지게 한 후, 구이판에서 납작하게 눌러줌과 아울러 뒤집으면서 둥글넓적하게 구워 만들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은 작업자의 손에 반죽물이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손에 기름을 바른 다음 기름이 묻는 손으로 반죽물을 뜯어내고, 그 반죽물 안에 소를 넣는 과정의 모든 공적이 작업자의 손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위생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반죽물을 일정량 공급함과 동시에 그 공급되는 반죽물의 중심부에 소가 채워지게 하며, 소가 채워진 반죽물을 둥글넓적하게 굽기 위해 반죽물을 눌러주고 뒤집으면서 굽는 일련의 공정을 자동화하여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호떡을 만들 수 있게 한 호떡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체(機體)의 상부에 설치되어 일정량의 반죽물을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공급되는 반죽물의 중앙부에 소가 채워지는 상태로 공급하는 원료공급수단; 상기 원료공급수단의 하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배열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원료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반죽물을 수용하기 위한 구이팬들과 상기 구이팬들에 수용된 반죽물을 1차로 구울 수 있게 상기 구이팬들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이팬을 가열하기 위한 제1히터로 이루어진 제1구이수단; 상기 제1구이수단에 의해 1차로 구워지는 반죽물을 눌러 펼쳐줄 수 있게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구이팬들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승강되게 설치한 제1누름수단; 상기 제1누름수단에 의해 눌려 펼쳐진 반죽물을 소정 위치에서 뒤집어 줄 수 있게 상기 구이팬에 결합되는 힌지핀을 지점으로 하여 소정 위치에서 상기 구이팬을 소정 각도만큼 회동시키기 위한 제1반전수단; 상기 제1반전수단에 의해 반전되는 반죽물이 위치되도록 상기 구이팬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링 형상의 구이판과 상기 구이판에 위치하는 반죽물이 상기 구이판을 경유하도록 상기 반죽물을 밀어줄 수 있게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배열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밀대편들과 상기 밀대편들에 의해 이동되는 반죽물을 2차로 구울 수 있게 상기 구이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이판을 가열하기 위한 제2히터로 이루어진 제2구이수단; 상기 제2구이수단에 의해 2차로 구워지는 반죽물을 눌러 펼쳐줄 수 있게 상기 구이판을 경유하도록 이동되는 상기 반죽물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승강되게 설치한 제2누름수단; 상기 제2누름수단에 의해 눌려 펼쳐진 반죽물을 소정 위치에서 뒤집어 줄 수 있게 상기 구이판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어 소정 각도만큼 회동되게 하는 제2반전수단; 및 상기 제2반전수단에 의해 뒤집어 진 반죽물을 상기 구이판으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게 상기 구이판으로부터 외부로 이어지게 설치된 배출통로로 이루어진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료공급수단은 반죽물을 저장하기 위한 반죽물 저장호퍼와 상기 반죽물 저장호퍼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방식으로 반죽물을 외부로 밀어주어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중공(中空)구조의 반죽물 공급스크류로 이루어진 반죽물 공급수단; 상기 반죽물 공급수단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소를 저장하기 위한 소 저장호퍼와 상기 소 저장호퍼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방식으로 소를 외부로 밀어주어 반죽물의 중앙부에 소가 채워질 수 있게 상기 반죽물 공급스크류의 내부로 소를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소 공급스크류로 이루어진 소 공급수단; 상기 소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소를 반죽물의 중앙부에 채워지는 상태로 공급할 수 있게 반죽물 저장호퍼 및 소 저장호퍼의 하부로 설치되며, 상기 반죽물 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반죽물을 개폐시킬 수 있게 하는 개폐수단; 및 상기 개폐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반죽물이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공급되게 함과 아울러 반죽물이 공급되는 도중에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정역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제2구이수단에는 상기 구이팬에 기름을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제1기름공급관과 상기 구이판에 기름을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제2기름공급관으로 이루어진 기름공급수단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제2누름수단은 지지체의 외주면에 높이차를 두고 상기 지지체의 외주면에 경사홈을 갖도록 형성한 제1,제2캠홈과 상기 제1,제2캠홈에 각각 안내되게 설치한 제1,제2캠과 상기 제1,제2캠에 설치되어 상기 제1,제2캠홈에 의해 승강되는 제1,제2승강부재와 상기 제1,제2승강부재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반죽물을 눌러줄 수 있게 하는 제1,제2누름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반전수단은 어느 일측이 외측으로 향하는 경사홈을 형성한 링 형상의 제3캠홈과 상기 제3캠홈에 안내되게 설치한 제3캠과 상기 제3캠에 설치되어 상기 제3캠홈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왕복이동바와 상기 왕복이동바에 설치되어 상기 구이팬을 힌지핀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동시킬 수 있게 링크핀들로 연결된 링크부재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반전수단은 구이판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구이판을 이동하는 반죽물이 경유하도록 된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의 일측에 설치된 측판과 상기 측판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측판을 회동시킴에 의해 상기 회동판이 소정 각도만큼 회동되게 하는 반전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떡 제조장치는, 기체(機體)의 상부에 설치되며, 반죽물을 저장하기 위한 반죽물 저장호퍼와 상기 반죽물 저장호퍼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방식으로 반죽물을 외부로 밀어주어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중공(中空)구조의 반죽물 공급스크류로 이루어진 반죽물 공급수단; 상기 반죽물 공급수단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소를 저장하기 위한 소 저장호퍼와 상기 소 저장호퍼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방식으로 소를 외부로 밀어주어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소 공급스크류와 상기 소 공급스크류에 의해 공급되는 소를 상기 중공구조의 반죽물 공급스크류의 내부를 통해 이동시킬 수 있게 상기 반죽물 공급스크류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소 저장호퍼의 하부로 설치되는 소 공급관으로 이루어진 소 공급수단; 상기 소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상기 소 공급관의 하부로 설치되는 소 배출관과 상기 소 배출관의 외측에서 상기 반죽물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반죽물을 배출할 수 있게 상기 소 배출관이 중심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반죽물 저장호퍼의 하부로 설치되는 양단이 관통된 내부몸체와 상기 내부몸체를 감싸게 설치되어 정역회전 하는 원통형상의 외부몸체와 상기 외부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몸체를 통해 배출되는 반죽물을 개폐할 수 있게 하는 개폐밸브로 이루어진 개폐수단; 및 상기 개폐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반죽물이 상기 소 배출관에 의해 빈 공간으로 남게 되는 중심부위를 채울 수 있게 상기 반죽물이 배출되는 도중에 상기 외부몸체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밸브는 외부몸체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로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부공간을 갖는 원추형상의 밸브캡; 상기 밸브캡의 테이퍼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캡의 내부에 설치되어 승강됨에 의해 상기 테이퍼 형상에 의한 밸브캡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원추형상의 개폐구; 및 상기 개폐구에 고정핀으로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내부몸체에 고정되는 가이드핀에 관통 설치되며, 외주면은 상기 외부몸체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내,외부몸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몸체의 회전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개폐구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하는 작동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구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상부와 외측이 개구되는 홈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구의 내부에는 하부가 개구되는 기름유동로를 형성하여 상기 내,외부몸체의 사이에 기름공급관을 상기 기름유동로에 연결되게 설치하여 상기 반죽물이 배출되게 전에 기름을 배출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수단은 외부몸체를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개폐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반죽물이 회전되면서 배출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외부몸체를 반대 방향으로 역회전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개폐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반죽물이 역회전되면서 배출되게 함에 의해 상기 배출되는 반죽물이 중심부위에서 모아져 그 중심부위를 채울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심부에 소가 채워지게 반죽물을 공급함과 아울러 공급된 반죽물을 둥글넓적하게 굽기 위해 반죽물을 눌러주고 뒤집으면서 굽는 일련의 공정을 자동화하여 위생적으로 호떡을 만들 수 있게 한 편리성을 갖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호떡 제조장치의 전체 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표시의 "A"부 확대도로서, 반죽물을 공급하기 위한 원료공급수단을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호떡 제조장치에 대한 블록도이고,
도 4a ~도 4b는 도 2표시의 원료공급수단에 대한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2표시의 원료공급수단에 구비되는 개폐구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표시의 "B"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호떡 제조장치에서 공급된 반죽물의 이송 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표시의 "C"부 확대도로서, 누름수단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호떡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제1반전수단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표시의 제1반전수단을 작동시키기 위한 캠구조를 보인 도면이고,
도 11a ~도 11 c는 본 발명에 따른 호떡 제조장치에 구비되는 제2반전수단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떡 제조장치는 기체(機體)(1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기체(100)는 지면에 설치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의 중심부에 세워지게 설치되어 구동모터(122)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120)과 상기 회전축(120)의 상부에 스러스트 베어링(132)(도 8참조)에 의해 지지되게 설치되는 지지체(130)로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떡 제조장치는 원료공급수단(20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원료공급수단(200)은 상기 기체(100)의 상부에서 지지체(130)에 지지되게 설치되어 일정량의 반죽물을 공급하되, 상기 공급되는 반죽물의 중앙부에 소가 채워지는 상태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원료공급수단(200)은 반죽물 공급수단(210)과 소 공급수단(220)과 개폐수단(230) 및 제어수단(2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반죽물 공급수단(210)은 반죽물을 저장하기 위한 반죽물 저장호퍼(212)가 구비되며, 상기 반죽물 저장호퍼(212)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방식으로 반죽물을 외부로 밀어주어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중공(中空)구조의 반죽물 공급스크류(21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소 공급수단(220)은 소를 저장하기 위한 소 저장호퍼(222)가 구비되며, 상기 소 저장호퍼(222)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방식으로 소를 외부로 밀어주어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소 공급스크류(224)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소 공급스크류(224)에 의해 공급되는 소는 상기 반죽물 공급수단(210)에 의해 공급되는 반죽물의 중앙부에 소가 채워질 수 있게 하고자 상기 반죽물 공급스크류(214)의 내부로 소를 공급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230)은 반죽물의 중앙부에 소가 채워지는 상태로 공급할 수 있게 하고자 상기 반죽물 저장호퍼(212) 및 소 저장호퍼(222)의 하부로 설치되어 상기 반죽물 공급수단(210)에 의해 공급되는 반죽물을 개폐시킬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제어수단(240)은 공급되는 반죽물이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공급되게 함과 아울러 반죽물이 공급되는 도중에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상기 개폐수단(230)의 정역회전을 제어하여 공급되는 반죽물을 꼬아주어 중심부에 반죽물이 채워지는 상태로 공급하게 한다.
이와 같은 원료공급수단(200)에 의해 반죽물을 공급할 때에는, 상기 반죽물이 1차로 공급되고 이후 공급된 반죽물의 중심부에 소가 공급되며 다시 반죽물이 2차로 공급되어 상기 반죽물의 중심부에 소가 채워지는 상태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반죽물을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공급함과 아울러 도중에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공급하게 되면 공급되는 반죽물이 꼬임현상에 의해 중심부가 채워지는 상태로 공급되게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떡 제조장치는 제1구이수단(3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1구이수단(310)은 상기 원료공급수단(20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20)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배열되도록 구이팬(312)들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이팬(312)들은 회전축(120)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원료공급수단(200)에 의해 공급되는 반죽물을 수용한다.(도 7표시의 "가"부위에서 반죽물이 공급된다.) 또한, 상기 구이팬(312)들에 수용된 반죽물을 1차로 구울 수 있게 상기 구이팬(312)들의 하부에는 제1히터(314)가 설치되어 상기 구이팬(312)을 가열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러한 제1구이수단(310)에 의한 작동은 상기 제1히터(314)에 의해 가열되는 구이팬(312)에 상기 원료공급수단(200)에 의해 반죽물의 내부에 소가 채워지는 상태로 공급되어 반죽물을 1차로 구울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원료공급수단(200)은 도 7표시의 "가"부위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구이팬(312)들이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구이팬(312)이 "가"부위에 위치되었을 대 반죽물이 공급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떡 제조장치는 제1누름수단(32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누름수단(320)은 도 8표시와 같이, 상기 제1구이수단(310)에 의해 1차로 구워지는 반죽물이 둥글넓적하게 구워질 수 있게 하고자 상기 반죽물을 눌러 펼쳐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누름수단(320)은 회전축(120)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구이팬(312)들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승강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누름수단(320)은 상기 회전축(120)의 외주면에 경사홈을 갖도록 제1캠홈(322)을 형성하고, 상기 제1캠홈(322)에 안내되게 제1캠(324)을 설치한다. 또한, 제1캠(324)에 의해 승강되게 제1승강부재(326)를 설치하며, 제1승강부재(326)의 단부에 제1누름판(328)을 설치하여 상기 반죽물을 눌러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제1누름수단(320)에 의한 작동은 상기 제1캠(324)이 회전축(120)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제1캠홈(322)에 안내될 때 상기 제1캠홈(322)에 구비되는 경사홈을 경유하면서 상기 제1승강부재(326)를 승강시켜 상기 제1누름판(328)에 의해 구이팬(312)에 수용된 반죽물을 눌러주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누름수단(320)의 설치 위치는 회전하는 구이팬(312)들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되게 설치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도 7표시의 "나"부위에 위치되게 설치함이 가장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떡 제조장치는 제1반전수단(33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반전수단(330)은 도 9 ~도 10표시와 같이, 상기 제1누름수단(320)에 의해 눌려 펼쳐진 반죽물을 뒤집어 줄 수 있게 상기 구이팬(312)을 힌지핀(312a)으로 결합하여 상기 구이팬(312)을 소정 각도만큼 회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제1반전수단(330)은 원판의 상면에 어느 일측이 외측으로 향하는 경사홈을 형성한 링 형상의 제3캠홈(332)을 형성하고, 상기 제3캠홈(332)에 안내되게 제3캠(334)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제3캠(334)에는 왕복이동바(336)를 설치하여 상기 제3캠홈(332)을 따라 제3캠(334)이 안내될 때 상기 왕복이동바(336)가 왕복이동 되게 하며, 이러한 왕복이동바(336)에 힌지핀을 중심으로 상기 구이팬(312)을 소정 각도만큼 회동시킬 수 있게 링크핀들로 연결된 링크부재(338)들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상기 링크부재(338)들은 왕복이동바(336)에 결합되어 작동하는 제1링크(338a)와 상기 제1링크(338a)에 결합되어 소정 각도만큼 회동될 수 있게 작동하는 제2링크(338b)와 상기 제2링크(338b)에 결합되어 상기 구이팬(312)을 소정 각도만큼 회동시키기 위한 제3링크(338c)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2링크(338b)는 소정 경사각을 이루게 형성되며, 상기 경사각의 중심부를 지점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제1반전수단(330)에 의한 작동은 상기 제3캠(334)이 원판의 상면에 형성된 제3캠홈(332)에 안내될 때 상기 제3캠홈(332)에 외측으로 향하는 경사홈을 경유하면서 상기 왕복이동바(336)를 왕복 이동시키고, 상기 왕복이동바(336)의 왕복이동에 의해 상기 링크부재(338)가 작동되어 상기 구이팬(312)을 소정 각도만큼 회동시키어 상기 구이팬(312)에 수용된 반죽물을 뒤집어주게 되며, 이와 같이 뒤집어지는 반죽물은 뒤에서 설명하는 상기 구이팬(312)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구이판(342)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1반전수단(330)의 설치 위치는 회전하는 구이팬(312)들 중 어느 하나의 위치되게 설치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도 7표시의 "다"부위에 위치되게 설치함이 가장 좋다. 즉, 반죽물이 공급되지 전에 반죽물을 뒤집어 줄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함이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떡 제조장치는 제2구이수단(34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2구이수단(340)은 상기 제1반전수단(330)에 의해 반전되는 반죽물이 위치되도록 상기 구이팬(312)의 외측으로 위치되게 링 형상의 구이판(342)을 설치하고, 상기 구이판(342)에 위치하는 반죽물이 상기 구이판(342)을 경유하도록 상기 반죽물을 밀어줄 수 있게 밀대편(346)들을 설치하며, 상기 밀대편(346)들은 회전축(120)를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배열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120)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밀대편(346)들에 의해 이동되는 반죽물을 2차로 구울 수 있게 상기 구이판(342)의 하부에는 제2히터(344)가 설치되어 상기 구이판(342)을 가열하기 준다.
이러한 제2구이수단(340)에 의한 작동은 상기 제2히터(344)에 의해 가열되는 구이판(342) 위에 상기 제1반전수단(330)에 의해 1차 구워진 반죽물이 뒤집어지게 위치되는 것에 의해 반죽물을 2차로 구울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상기 밀대편(346)이 회전되면서 상기 구이판(342) 위에 위치된 반죽물을 밀어주면서 구이판(342)위를 이동되게 하여 반죽물이 골고루 구어질 수 있게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떡 제조장치는 제2누름수단(35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2누름수단(350)은 도 11a ~도 11c표시와 같이, 상기 제2구이수단(340)에 의해 2차로 구워지는 반죽물이 둥글넓적하게 구워질 수 있게 하고자 상기 반죽물을 눌러 펼쳐줄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구이판(342)을 경유하도록 이동되는 상기 반죽물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승강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은 제2누름수단(350)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제1누름수단(32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상기 제1누름수단(320)의 제1캠홈(322)과 다른 높이를 갖게 형성한 구성만이 상이하다. 즉, 상기 제2누름수단(350)은 제1누름수단(320)에 구비되는 제1캠홈(322)으로부터 다른 높이차를 갖도록 상기 회전축(120)의 외주면에 제2캠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캠홈에 안내되게 제2캠을 설치한다. 또한, 제2캠에 의해 승강되게 제2승강부재를 설치하며, 제2승강부재의 단부에 제2누름판을 설치하여 상기 반죽물을 눌러줄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제2누름수단(350)에 의한 작동은 위에서 설명한 제1누름수단(320)의 작동과 동일하다.
이러한 제2누름수단(320)의 설치 위치는 구이판 위를 경유하는 반죽물들 중 어느 하나에 위치되게 설치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도 7표시의 "라"부위에 위치되게 설치함이 가장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떡 제조장치는 제2반전수단(36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2반전수단(360)은 상기 제2누름수단(350)에 의해 눌려 펼쳐진 반죽물을 소정 위치에서 뒤집어 줄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제2반전수단(360)은 상기 구이판(342)의 소정 부위에 위치되어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제2반전수단(360)은 구이판(342)의 소정 위치에 회동판(362)을 설치하고 상기 회동판의 일측에 측판(362a)을 설치하여 상기 측판(362a)의 단부를 반전모터(364)에 의해 회동시킴에 의해 상기 회동판(362)이 회동되게 한다.
이러한 제2반전수단(360)에 의한 작동은 상기 밀대편(346)에 의해 상기 구이판(342) 위를 이동되는 반죽물이 상기 회동판(362)에 위치되면 상기 반전모터(364)가 구동되어 상기 회동판(362)을 회동시켜 반죽물을 뒤집어주게 되며, 이와 같이 뒤집어지는 반죽물은 상기 밀대편(346)에 의해 상기 구이판(342) 위를 계속 이동된다.
이와 같은 상기 제2반전수단(360)의 설치 위치는 구이판 위를 이동하는 반죽물들 중 어느 하나의 위치되게 설치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도 7표시의 "마"부위에 위치되게 설치함이 가장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떡 제조장치는 배출수단(370)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배출수단(370)은 상기 제2반전수단(360)에 의해 뒤집어 진 반죽물을 상기 구이판(342)으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게 상기 구이판(342)으로부터 외부로 이어지게 설치된 배출통로(37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배출통로(372)에 의해 상기 구이판(342) 위를 이동하는 반죽물이 배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호떡 제조장치는 기름 공급수단(25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기름공급수단(250)은 상기 제1,제2구이수단(310,340)의 구이팬(312)과 구이판(342)에 기름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구이팬(312)에 기름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개폐구(237)의 내부에 하부로 형성되는 기름유동로(254)에 상기 내,외부몸체(232,234)의 사이로 설치되는 제1기름공급관(252)을 설치하여 기름을 공급하게 하고, 상기 구이판(342)에 기름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제2기름공급관(256)(도 6표시의 도면에서 좌측 아래 부분 참조)을 설치하여 기름을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원료공급수단(200)과 상기 제1,제2구이수단(310,340)과 상기 제1,제2누름수단(320,350) 및 상기 제1,제2반전수단(330,360)에 의해 반죽물을 공급함과 아울러 공급되는 반죽물을 눌러주고 뒤집어 주면서 굽게 되는 일련의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서 상기 원료공급수단만을 구비한 호떡 제조장치를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호떡 제조장치를 제1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떡 제조장치는 반죽물 공급수단(210)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반죽물 공급수단(210)은 기체의 상부에 반죽물을 저장하기 위한 반죽물 저장호퍼(212)가 설치되며, 상기 반죽물 저장호퍼(212)의 내부에는 반죽물 공급스크류(214)가 설치되어 상기 반죽물 공급스크류(214)의 회전방식으로 반죽물을 외부로 밀어주어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반죽물 공급스크류(214)는 중공(中空)구조로 형성하여 반죽물의 중심부에 채워지는 소가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떡 제조장치는 소 공급수단(22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소 공급수단(220)은 상기 반죽물 저장호퍼(212)의 상부로 위치되어 소를 저장하기 위한 소 저장호퍼(222)가 설치되며, 상기 소 저장호퍼(222)의 내부에는 소 공급스크류(224)가 설치되어 상기 소 공급스크류(224)의 회전방식으로 소를 외부로 밀어주어 공급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소 공급스크류(224)에 의해 공급되는 소를 상기 중공구조의 반죽물 공급스크류(214)의 내부를 통해 이동시킬 수 있게 하고자 상기 소 저장호퍼(222)에 연락되어 상기 반죽물 공급스크류(214)의 내부 중심부로 위치되게 소공급관(226)을 설치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떡 제조장치는 개폐수단(23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개폐수단(230)은 상기 소 공급수단(220)에 의해 공급되는 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하고자 소 배출관(228)이 상기 소공급관(226)에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소 배출관(228)의 외측에서 상기 반죽물 공급수단(210)에 의해 공급되는 반죽물을 배출할 수 있게 하고자 상기 소 배출관(228)이 중심부에 위치되도록 내부몸체(232)가 설치된다. 이러한 내부몸체(232)는 반죽물이 이동되는 통로를 제공함과 아울러 소 배출관(228)을 설치할 수 있게 하고자 양단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몸체(232)를 감싸게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외부몸체(234)가 설치되는데, 상기 외부몸체(234)는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기어(G)에 의해 정역 회전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외부몸체(234)의 하부에는 상기 외부몸체(234)의 정역회전에 의해 개폐되게 개폐밸브(236)가 설치되어 내부몸체(232)를 통해 배출되는 반죽물을 개폐시킨다.
이와 같은 개폐수단(230)에 구비되는 상기 개폐밸브(236)는 외부몸체(234)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로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부공간을 갖는 원추형상의 밸브캡(236a)을 구비하며, 상기 밸브캡(236a)의 테이퍼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원추형상의 개폐구(237)가 상기 밸브캡(236a)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구(237)가 승강됨에 의해 상기 테이퍼 형상에 의한 밸브캡(236a)의 개폐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개폐구(237)의 승강에 의해 상기 개폐밸브(236)의 개폐 작용은 상기 밸브캡(236a)의 테이퍼로 이루어진 내주면과 상기 개폐구(237)의 테이퍼로 이루어진 외주면이 상호 접촉하게 되면 반죽물의 배출을 막도록 폐쇄하는 것이고, 상기 개폐구(237)가 상승되어 상기 밸브캡(236a)의 테이퍼로 이루어진 내주면으로부터 상기 개폐구(237)의 테이퍼로 이루어진 외주면이 상호 이격되면 반죽물이 배출되게 개방하는 것이다.(도 4a ~도 4b참조)
이와 같이 개폐 작용하는 개폐구(237)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상부와 외측이 개구되는 홈(237a)들이 형성됨이 좋다.(도 5참조) 상기 홈(237a)들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개폐구(237)의 테이퍼로 이루어진 외주면과 상기 밸브캡(236a)의 테이퍼로 이루어진 내주면이 상호 접촉되는 힘을 적게 하여 완전한 밀착을 이루게 할 수 있다. 즉, 개폐구(237)의 외주면과 밸브캡(236a)의 내주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던 반죽물이 상기 홈(237a)들을 통해 상부로 이동됨에 의해 상기 개폐구(237)를 적은 힘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구(237)를 승강시킬 수 있게 하고자 상기 내부몸체(232)와 외부몸체(234)의 사이에는 작동체(238)를 승강되게 설치하여 상기 개폐구(237)를 승강시키는 것으로, 상기 작동체(238)에 의해 외부몸체(234)의 회전운동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개폐구(237)를 승강시킨다.
이와 같은 작동체(238)의 승강을 위해서는, 상기 작동체(238)의 하부로는 고정핀(239a)에 의해 상기 개폐구(237)와 고정되게 설치하고, 상기 작동체(238)의 상부로는 상기 내부몸체(232)에 고정되는 가이드핀(239b)이 관통되게 설치되며, 상기 작동체(238)의 외주면은 상기 외부몸체(234)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도록 설치함에 의해, 상기 외부몸체(234)의 회전운동을 상기 작동체(238)에 의해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작동체(238)가 승강되면서 상기 개폐구(237)를 작동시킨다. 즉, 상기 외부몸체(234)가 회전되면 상기 작동체(238)는 외부몸체(234)에 나사 결합되어 있음으로 가이드핀(239b)에 의해 회전되지 못하고 승강되면서 상기 개폐구(237)를 승강시켜 밸브캡(236a)을 개폐시킨다.
이와 같이 개폐되는 상기 개폐구(237)의 내부에는 하부가 개구되는 기름유동로(254)를 형성하여 상기 내,외부몸체(234)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1기름공급관(252)을 상기 기름유동로(254)에 연결되게 함에 의해 상기 반죽물이 배출되게 전에 기름을 먼저 배출시킬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기름의 공급여부를 단속하기 위해서는 솔레노이드밸브(251)를 설치함이 좋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떡 제조장치는 제어수단(24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제어수단(240)은 상기 개폐수단(230)에 의해 공급되는 반죽물이 상기 소 배출관(228)에 의해 빈 공간으로 남게 되는 중심부위를 채울 수 있게 하고자 상기 반죽물이 배출되는 도중에 상기 외부몸체(234)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제어하는 것이다.
이러한 제어수단(240)은 상기 외부몸체(234)를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개폐밸브(236)를 통해 배출되는 반죽물이 회전되면서 배출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외부몸체(234)를 반대 방향으로 역회전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개폐밸브(236)를 통해 배출되는 반죽물이 역회전되면서 배출되게 함에 의해 상기 배출되는 반죽물이 중심부위에서 모아져 그 중심부위를 채울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호떡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상기 반죽물 저장호퍼(212)와 상기 소 저장호퍼(222)에 각각 반죽물과 소가 저장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몸체(234)를 회전시키면 상기 외부몸체(234)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된 개폐구(237)가 가이드핀(239b)에 의해 상승되면서 개폐구(237)를 상승시킨다. 즉, 상기 외부몸체(234)의 회전운동을 상기 작동체(238)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개폐구(237)를 승강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개폐구(237)가 상승되면, 상기 개폐구(237)와 밸브캡(236a)의 사이 경사면이 벌어지면서 반죽물이 공급된다. 이때, 공급되는 반죽물은 상기 외부몸체(234)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면서 공급된다.
또한, 상기 공급되는 반죽물은 중심부위가 빈 공간으로 남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어수단(240)에 의해 외부몸체(234)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외부몸체(234)의 회전되면서 공급되는 반죽물은 꼬임현상이 발생되어 중심부위에 빈 공간부를 채우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일정량의 반죽물이 공급되면 상기 소 공급수단(220)에 의해 소를 공급하고, 이후 다시 반죽물을 공급함에 의해 반죽물의 중심부에 소가 채워지는 상태로 공급할 수 있다. 이때에도 상기 반죽물의 중심부를 채우기 위해 상기 외부몸체(234)를 정역 회전시켜 공급되는 반죽물이 꼬임현상에 의해 중심부를 채우게 하여 공급한다. 이후에는 반죽물을 눌러줌과 아울러 뒤집어 주면서 구워 호떡을 제조할 수 있다.
100 - 기체 200 - 원료공급수단
210 - 반죽물 공급수단 220 - 소 공급수단
230 - 개폐수단 240 - 제어수단
250 - 기름 공급수단 310 - 제1구이수단
320 - 제1누름수단 330 - 제1반전수단
340 - 제2구이수단 350 - 제2누름수단
360 - 제2반전수단 370 - 배출수단

Claims (11)

  1. 기체(機體)의 상부에 설치되어 일정량의 반죽물을 공급함과 아울러 상기 공급되는 반죽물의 중앙부에 소가 채워지는 상태로 공급하는 원료공급수단;
    상기 원료공급수단의 하부에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배열됨과 아울러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원료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반죽물을 수용하기 위한 구이팬들과 상기 구이팬들에 수용된 반죽물을 1차로 구울 수 있게 상기 구이팬들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이팬을 가열하기 위한 제1히터로 이루어진 제1구이수단;
    상기 제1구이수단에 의해 1차로 구워지는 반죽물을 눌러 펼쳐줄 수 있게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구이팬들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승강되게 설치한 제1누름수단;
    상기 제1누름수단에 의해 눌려 펼쳐진 반죽물을 소정 위치에서 뒤집어 줄 수 있게 상기 구이팬에 결합되는 힌지핀을 지점으로 하여 소정 위치에서 상기 구이팬을 소정 각도만큼 회동시키기 위한 제1반전수단;
    상기 제1반전수단에 의해 반전되는 반죽물이 위치되도록 상기 구이팬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링 형상의 구이판과 상기 구이판에 위치하는 반죽물이 상기 구이판을 경유하도록 상기 반죽물을 밀어줄 수 있게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배열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밀대편들과 상기 밀대편들에 의해 이동되는 반죽물을 2차로 구울 수 있게 상기 구이판의 하부로 설치되어 상기 구이판을 가열하기 위한 제2히터로 이루어진 제2구이수단;
    상기 제2구이수단에 의해 2차로 구워지는 반죽물을 눌러 펼쳐줄 수 있게 상기 구이판을 경유하도록 이동되는 상기 반죽물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승강되게 설치한 제2누름수단;
    상기 제2누름수단에 의해 눌려 펼쳐진 반죽물을 소정 위치에서 뒤집어 줄 수 있게 상기 구이판의 소정 부위에 설치되어 소정 각도만큼 회동되게 하는 제2반전수단; 및
    상기 제2반전수단에 의해 뒤집어 진 반죽물을 상기 구이판으로부터 배출시킬 수 있게 상기 구이판으로부터 외측으로 이어지게 설치된 배출통로로 이루어진 배출수단을 포함하는 호떡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료공급수단은 반죽물을 저장하기 위한 반죽물 저장호퍼와 상기 반죽물 저장호퍼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방식으로 반죽물을 외부로 밀어주어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중공(中空)구조의 반죽물 공급스크류로 이루어진 반죽물 공급수단;
    상기 반죽물 공급수단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소를 저장하기 위한 소 저장호퍼와 상기 소 저장호퍼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방식으로 소를 외부로 밀어주어 반죽물의 중앙부에 소가 채워질 수 있게 상기 반죽물 공급스크류의 내부로 소를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소 공급스크류로 이루어진 소 공급수단;
    상기 소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소를 반죽물의 중앙부에 채워지는 상태로 공급할 수 있게 반죽물 저장호퍼 및 소 저장호퍼의 하부로 설치되며, 상기 반죽물 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반죽물을 개폐시킬 수 있게 하는 개폐수단; 및
    상기 개폐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반죽물이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공급되게 함과 아울러 반죽물이 공급되는 도중에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정역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떡 제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구이수단에는 상기 구이팬에 기름을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제1기름공급관과 상기 구이판에 기름을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제2기름공급관으로 이루어진 기름공급수단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떡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2누름수단은 지지체의 외주면에 높이차를 두고 상기 지지체의 외주면에 경사홈을 갖도록 형성한 제1,제2캠홈과 상기 제1,제2캠홈에 각각 안내되게 설치한 제1,제2캠과 상기 제1,제2캠에 설치되어 상기 제1,제2캠홈에 의해 승강되는 제1,제2승강부재와 상기 제1,제2승강부재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반죽물을 눌러줄 수 있게 하는 제1,제2누름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떡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전수단은 어느 일측이 외측으로 향하는 경사홈을 형성한 링 형상의 제3캠홈과 상기 제3캠홈에 안내되게 설치한 제3캠과 상기 제3캠에 설치되어 상기 제3캠홈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왕복이동바와 상기 왕복이동바에 설치되어 상기 구이팬을 힌지핀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동시킬 수 있게 링크핀들로 연결된 링크부재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떡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반전수단은 구이판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구이판을 이동하는 반죽물이 경유하도록 된 회동판과 상기 회동판의 일측에 설치된 측판과 상기 측판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측판을 회동시킴에 의해 상기 회동판이 소정 각도만큼 회동되게 하는 반전모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떡 제조장치.
  7. 기체(機體)의 상부에 설치되며, 반죽물을 저장하기 위한 반죽물 저장호퍼와 상기 반죽물 저장호퍼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방식으로 반죽물을 외부로 밀어주어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중공(中空)구조의 반죽물 공급스크류로 이루어진 반죽물 공급수단;
    상기 반죽물 공급수단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소를 저장하기 위한 소 저장호퍼와 상기 소 저장호퍼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방식으로 소를 외부로 밀어주어 공급할 수 있게 하는 소 공급스크류와 상기 소 공급스크류에 의해 공급되는 소를 상기 중공구조의 반죽물 공급스크류의 내부를 통해 이동시킬 수 있게 상기 반죽물 공급스크류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소 저장호퍼의 하부로 설치되는 소 공급관으로 이루어진 소 공급수단;
    상기 소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소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상기 소 공급관의 하부로 설치되는 소 배출관과 상기 소 배출관의 외측에서 상기 반죽물 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반죽물을 배출할 수 있게 상기 소 배출관이 중심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반죽물 저장호퍼의 하부로 설치되는 양단이 관통된 내부몸체와 상기 내부몸체를 감싸게 설치되어 정역회전 하는 원통형상의 외부몸체와 상기 외부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내부몸체를 통해 배출되는 반죽물을 개폐할 수 있게 하는 개폐밸브로 이루어진 개폐수단; 및
    상기 개폐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반죽물이 상기 소 배출관에 의해 빈 공간으로 남게 되는 중심부위를 채울 수 있게 상기 반죽물이 배출되는 도중에 상기 외부몸체를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호떡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는 외부몸체의 하단에 설치되며, 하부로 직경이 좁아지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 내부공간을 갖는 원추형상의 밸브캡;
    상기 밸브캡의 테이퍼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밸브캡의 내부에 설치되어 승강됨에 의해 상기 테이퍼 형상에 의한 밸브캡의 개폐를 가능하게 하는 원추형상의 개폐구; 및
    상기 개폐구에 고정핀으로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내부몸체에 고정되는 가이드핀에 관통 설치되며, 외주면은 상기 외부몸체의 내주면에 나사 결합되도록 상기 내,외부몸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외부몸체의 회전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개폐구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하는 작동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떡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이루게 상부와 외측이 개구되는 홈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떡 제조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구의 내부에는 하부가 개구되는 기름유동로를 형성하여 상기 내,외부몸체의 사이에 기름공급관을 상기 기름유동로에 연결되게 설치하여 상기 반죽물이 배출되게 전에 기름을 배출시킬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떡의 제조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외부몸체를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개폐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반죽물이 회전되면서 배출되게 함과 아울러 상기 외부몸체를 반대 방향으로 역회전시키도록 제어하여 상기 개폐밸브를 통해 배출되는 반죽물이 역회전되면서 배출되게 함에 의해, 배출되는 반죽물이 중심부위에서 모아져 그 중심부위를 채울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떡의 제조장치.
KR1020100008411A 2010-01-29 2010-01-29 호떡 제조장치 KR101174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411A KR101174652B1 (ko) 2010-01-29 2010-01-29 호떡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411A KR101174652B1 (ko) 2010-01-29 2010-01-29 호떡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756A KR20110088756A (ko) 2011-08-04
KR101174652B1 true KR101174652B1 (ko) 2012-08-21

Family

ID=44927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411A KR101174652B1 (ko) 2010-01-29 2010-01-29 호떡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6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35152A (zh) * 2018-08-27 2018-11-20 阜阳市雪伟食品有限公司 一种面制品包馅成型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508Y1 (ko) 1998-07-30 2001-09-17 윤태순 자동 부침개 요리장치
KR200271788Y1 (ko) 2002-01-21 2002-04-10 한지형 자동 반죽물 성형장치
KR200337322Y1 (ko) 2003-10-02 2003-12-31 이응주 부침개요리 기계
KR100441740B1 (ko) 2003-09-03 2004-07-30 이기훈 자동 제빵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508Y1 (ko) 1998-07-30 2001-09-17 윤태순 자동 부침개 요리장치
KR200271788Y1 (ko) 2002-01-21 2002-04-10 한지형 자동 반죽물 성형장치
KR100441740B1 (ko) 2003-09-03 2004-07-30 이기훈 자동 제빵기
KR200337322Y1 (ko) 2003-10-02 2003-12-31 이응주 부침개요리 기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756A (ko)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832B1 (ko) 누룽지 연속 제조 장치
US5630358A (en) Countertop appliance for making disc-shaped edibles
KR20110111990A (ko) 도넛츠 제조장치
CN207744640U (zh) 自动化面包制作系统
HU229617B1 (hu) Palacsintasütõ automata, különösen olajos, vékony palacsintához
HU229616B1 (en) Continuous operated dough fryer automata for baking dought in baking fat
WO2017141273A1 (en) An automatic machine for making flat edibles
KR101174652B1 (ko) 호떡 제조장치
KR101151838B1 (ko) 제빵기
US20220386801A1 (en) Unattended-cooking rice cooker device
KR100943210B1 (ko) 뻥튀기 제조장치
HU229614B1 (en) Automatic machine for making fried dough foods, especially provided with a dough dispenser
KR200391156Y1 (ko) 호떡 성형장치
KR200256893Y1 (ko) 도너츠 제조장치
JP2807158B2 (ja) 食品焼成方法及びその装置
US20140026763A1 (en) Horizontal axle cylindrical tortilla maker
KR100574374B1 (ko) 전병제조장치
CN111727993A (zh) 一种旋转式制饼机
WO2020026773A1 (ja) 食品生地焼成装置及び食品生地の焼成方法
KR20130095055A (ko) 자동 호떡 제조장치
CN112274024A (zh) 一种自动烤串机
CN206251912U (zh) 一种多层糕点馅料压紧装置
KR200449693Y1 (ko) 봉형상 튀밥과자 성형장치
KR101341363B1 (ko) 도넛제조기
KR101576725B1 (ko) 풀빵 자동제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