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4127B1 - 고전압 퓨즈 - Google Patents

고전압 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4127B1
KR101174127B1 KR1020110087567A KR20110087567A KR101174127B1 KR 101174127 B1 KR101174127 B1 KR 101174127B1 KR 1020110087567 A KR1020110087567 A KR 1020110087567A KR 20110087567 A KR20110087567 A KR 20110087567A KR 101174127 B1 KR101174127 B1 KR 101174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housing
arm
hook
high voltage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75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875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41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01H85/17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41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characterised by the type
    • H01H85/042General constructions or structure of high voltage fuses, i.e. above 1000 V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43Electrical contacts; Fastening fusible members to such contacts
    • H01H85/153Knife-blade-en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01H85/05Component parts thereof
    • H01H85/165Casings
    • H01H85/175Casings characterised by the casing shape o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38Means for extinguishing or suppressing arc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 고전압퓨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전압퓨즈의 외관과 골격을 제1절연하우징(20)과 제2절연하우징(30)이 형성한다. 상기 제1절연하우징(20)과 제2절연하우징(30)의 내부에는 각각 내부공간(21,31)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21,31)에는 소호재가 채워진 상태에서 퓨즈터미널(50)이 설치된다. 상기 퓨즈터미널(50)은 중간부에 용단부(58)가 형성되고, 양단에 제1 및 제2 연결부(54,56)가 형성된다. 상기 제1절연하우징(20)의 적어도 일측 단부에는 제1절연하우징(2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게 걸이아암(24)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이아암(24)은 상기 제2절연하우징(30)의 대응되는 단부에 형성된 아암채널(36)에 안착된다. 상기 걸이아암(24)의 선단에는 상기 아암채널(36)에 형성된 주입구(38)를 차폐하는 막음판(25)이 형성되고, 상기 아암채널(36)에 있는 걸림턱(40)에 걸어지는 걸이공(26)도 형성된다. 상기 걸이공(26)과 막음판(25)의 사이에 해당되는 걸이아암(24)의 양단에는 잠금절결부(28)가 형성되어 상기 아암채널(36)의 잠금돌기(46)가 걸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고전압퓨즈의 부품수가 줄어들고, 조립 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고전압 퓨즈{High voltage fuse}
본 발명은 고전압 퓨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소호재가 채워져서 용단부의 절단시에 2차 아크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된 고전압 퓨즈에 관한 것이다.
퓨즈는 배터리 등의 전기공급원에서 전장부품으로 전원을 공급함에 있어 전장부품에 과부하가 걸렸을 때, 신속하게 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퓨즈중에서 고전압이 사용되는 전장부품에서 사용되는 것이 있다. 고전압이 사용되는 퓨즈에서는 과부하에 의해 퓨즈의 용단부가 용융되어 끊어질 때 발생된 아크를 통해 전원이 전장부품으로 계속해서 전해지면서 전장부품에 2차적으로 충격을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전압에서 사용되는 퓨즈에는 용단부가 끊어질 때, 발생하는 아크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용단부가 수용되는 공간 내에 모래와 같은 소호재를 채워 용단부를 둘러싸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소호재를 용단부가 수용되는 공간 내에 채워 넣는 작업은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특히, 퓨즈의 내부에 용단부를 구비하는 퓨즈터미널과 소호재를 모두 수용시키기 위해서는 퓨즈의 조립작업이 매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1 및 제2 절연하우징을 관통하여 퓨즈터미널을 설치한 상태로 소호재를 투입하여 고전압 퓨즈의 조립작업성을 개선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측 절연하우징에 형성된 주입공을 타측 절연하우징에 형성된 걸이아암의 막음판으로 막아 소호재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소호재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양단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걸이아암이 길이방향에 직교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절연하우징과, 상기 제1절연하우징과 결합되는 것으로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내부에 소호재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걸이아암의 선단에 의해 폐쇄되는 주입구가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걸이아암이 걸어지는 걸림턱이 걸이아암과 대응되는 단부에 형성되는 제2절연하우징과, 상기 제1절연하우징과 제2절연하우징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서 소호재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용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절연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는 절연하우징의 양단을 관통하여 노출되게 제1 및 제2연결부가 구비되는 퓨즈터미널을 포함한다.
상기 걸이아암의 선단에는 상기 주입구를 차폐하는 막음판이 구비되고 상기 막음판에 인접하여 상기 걸림턱이 걸어지는 걸이공이 형성된다.
상기 막음판과 걸이공의 사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절연하우징의 단부 양단에는 잠금턱이 돌출되어 있는 잠금돌기가 서로 마주보고 형성된다.
상기 잠금돌기에 대응되는 상기 걸이아암의 양단에는 잠금절결부가 절결되어 형성되어 상기 잠금돌기가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퓨즈.
상기 걸이아암에 대응되는 상기 제2절연하우징의 단부에는 상기 걸이아암이 안착되는 아암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아암채널에는 상기 걸림턱, 주입구 및 잠금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제2절연하우징의 내부공간 입구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퓨즈터미널이 관통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결합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리브는 그 외면이 상기 제1절연하우징의 내면에 밀착되거나 걸어져 결합된다.
상기 주입구에 대응되는 상기 걸이아암의 선단에는 상기 주입구의 내부로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주입구 내부의 소호재를 눌러준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소호재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양단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걸이아암이 길이방향에 직교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절연하우징과, 상기 제1절연하우징과 결합되는 것으로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내부에 소호재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걸이아암이 안착되는 아암채널이 단부에 형성되는 제2절연하우징과, 상기 제1절연하우징과 제2절연하우징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서 소호재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용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절연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는 절연하우징의 양단을 관통하여 노출되게 제1 및 제2연결부가 구비되는 퓨즈터미널과, 상기 아암채널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켜 소호재의 주입이 가능하게 하는 주입구를 차폐하도록 상기 걸이아암의 선단에 구비되는 막음판을 포함한다.
상기 걸이아암에는 걸이공이 형성되어 상기 아암채널에 형성된 걸림턱이 걸어지고, 상기 걸이공과 막음판의 사이에 해당되는 걸이아암의 양단에는 상기 아암채널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서로 마주보는 잠금돌기가 걸어지는 잠금절결부가 형성된다.
상기 제2절연하우징의 내부공간 입구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결합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리브는 상기 제1절연하우징의 내면에 압입되거나 걸어진다.
상기 막음판에는 상기 주입구의 내부로 들어가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퓨즈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절연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나누어져 구성되는 제1 절연하우징과 제2 절연하우징을 결합한 상태에서 걸이아암의 막음판이 주입공을 개방하도록 하여 절연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소호재를 채운 후, 걸이아암의 막음판이 상대 절연하우징에 잠금되도록 하므로 소호재를 채우는 과정에서 소호재가 절연하우징에서 누설되지 않고, 소호재를 채운 후에는 단지 걸이아암의 막음판이 주입공을 막도록 하면 되므로 작업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절연하우징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절연하우징이 별도의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도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부품수가 줄어들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퓨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고전압퓨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1절연하우징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절연하우징의 일단부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절연하우징의 내부에 소호재를 주입하는 과정을 보인 작업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퓨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고전압퓨즈의 외관을 절연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절연하우징(10)은 절연성의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절연하우징(10)은 본 실시예에서 직육면체 형상으로 길게 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절연하우징(10)은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원통형상으로 될 수 있고, 다각형통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
상기 절연하우징(10)은 제1절연하우징(20)과 제2절연하우징(3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제1절연하우징(20)과 제2절연하우징(30)은 절연하우징(10)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나누어지도록 만들어진다.
상기 제1절연하우징(20)과 제2절연하우징(30)은 각각 그 내부에 내부공간(21,31)이 형성되어 상기 절연하우징(10)의 내부공간(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한다. 상기 절연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는 소호재(도시되지 않음)가 채워진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절연하우징(20)과 제2절연하우징(30)은 각각 상대적으로 넓은 면이 개방된 직사각형의 박스 형상이다. 상기 제1절연하우징(20)의 양단에는 제1터미널슬롯(22)이 형성된다. 상기 제1터미널슬롯(22)은 상기 제1절연하우징(20)의 내부공간(21)의 입구에 대응되는 위치중에서 제1절연하우징(20)의 양단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제1절연하우징(20)에는 각각 걸이아암(24)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절이아암(24)은 상기 일측 제1터미널슬롯(22)의 양측에 해당되는 제1절연하우징(20)의 단부에서 나란히 연장된다. 상기 걸이아암(24)은 길이에 비해 폭과 두께가 작은 외팔보 형상이다. 상기 걸이암(24)은 상기 제1절연하우징(20)의 양단에 각각 적어도 두 개씩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절연하우징(20)과 제2절연하우징(30)은 별도의 결합을 위한 구조가 없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 도 6에 나와 있다. 도 6의 도면부호는 도 1에서 도 5의 실시예의 도면부호와 동일하게 부여되어 있고, 내용의 파악이 어렵지 않으므로 별도의 설명은 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절연하우징(20)의 일단에 상기 걸이아암(24)이 2개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상기 제1절연하우징(20)과 제2절연하우징(30)이 서로 압입되어 결합될 수 있거나, 제1절연하우징(20)과 제2절연하우징(30)의 대응되는 위치에 서로의 결합을 위한 돌기와 홈을 사용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걸이아암(24)의 선단에는 막음판(25)이 있다. 상기 막음판(25)은 상기 제2절연하우징(30)의 주입공(38)을 막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막음판(25)은 본 실시예에서 사각판 형상인데, 상기 제2절연하우징(30)에 형성되는 주입공(38)의 형상에 따라 달리 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막음판(25)의 일측 표면에는 상기 주입공(38)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의 돌출부(도시되지 않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에 의해 절연하우징(10)의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소호재를 눌러줄 수 있다.
상기 걸이아암(24)의 상기 막음판(25)에 인접한 위치에는 걸이공(26)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공(26)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걸림턱(40)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상기 걸이공(26)에 걸림턱(40)이 안착됨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절연하우징(20,30)의 결합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걸이공(26)과 상기 막음판(25)의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걸이아암(24)의 양단에는 잠금절결부(28)가 형성된다. 상기 잠금절결부(28)는 아래에서 설명될 잠금돌기(46)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물론, 상기 잠금절결부(28)는 잠금돌기(46)의 위치에 따라서는 반드시 형성되지 않아도 상관없다.
상기 제2절연하우징(30)의 양단에는 상기 제1절연하우징(20)의 제1터미널슬롯(22)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터미널슬롯(32)이 형성된다. 상기 제1터미널슬롯(22)과 상기 제2터미널슬롯(32)을 합쳐서 아래에서 설명될 퓨즈터미널(50)이 통과되는 슬롯이 형성된다. 상기 제2터미널슬롯(32)과 일체로 되어 상기 제2절연하우징(30)의 양단에는 절결부(33)가 형성된다. 상기 절결부(33)는 상기 제2터미널슬롯(32)으로 퓨즈터미널(50)이 들어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2터미널슬롯(32)과 절결부(33)는 하나의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2절연하우징(30)의 내부공간(31)의 입구 가장자리를 따라서는 결합리브(34)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리브(34)는 상기 제1절연하우징(20)의 제1터미널슬롯(22)과 대응되는 위치, 즉 상기 절결부(33)를 제외하고는 상기 제2절연하우징(30)의 내부공간(31) 입구를 둘러 형성된다. 상기 결합리브(34)는 그 외면이 상기 제1절연하우징(20)의 내면에 밀착된다. 물론, 상기 결합리브(34)가 밀착되는 상기 제1절연하우징(20)의 내면에 상기 결합리브(34)가 안착되는 부분이 요입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리브(34)는 상기 제2절연하우징(30)의 외면보다 들어가게 형성된다.
상기 제2절연하우징(30)의 단부에는 상기 걸이아암(24)과 대응되는 위치에 아암채널(36)이 형성된다. 상기 아암채널(36)은 상기 제2절연하우징(30)의 상기 결합리브(34)에서 시작해서 제2절연하우징(30)의 단부 가장자리까지 형성된다. 물론, 상기 아암채널(36)이 반드시 상기 제2절연하우징(30)의 단부 가장자리까지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아암채널(36)에는 상기 걸이아암(24)이 걸어진다.
상기 아암채널(36)에는 주입구(38)가 형성된다. 상기 주입구(38)는 상기 아암채널(36)의 끝부분, 즉, 상기 제2절연하우징(30)의 단부 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에는 주입구(38)가 형성된다. 상기 주입구(38)는 상기 제2절연하우징(30)의 내부공간(31)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주입구(38)를 통해서는 소호재가 절연하우징(10)의 내부공간으로 주입된다.
상기 아암채널(36)에는 상기 걸이아암(24)의 걸이공(26)에 안착되는 걸림턱(40)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40)의 선단에는 걸림면(4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면(42)은 상기 아암채널(36)의 바닥면에 대해 직교하게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40)에는 또한 상기 결합리브(34)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안내면(44)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면(44)은 상기 걸이아암(24)의 선단, 즉 상기 막음판(25) 선단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턱(40)과 상기 주입구(38)의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아암채널(36)의 양측벽에는 잠금돌기(46)가 형성된다. 상기 잠금돌기(46)는 상기 걸이아암(24)의 선단을 상기 아암채널(36) 내에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막음판(25)이 상기 아암채널(36)에 밀착되어 상기 주입구(38)를 견고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잠금돌기(46)는 상기 아암채널(36)의 양측 벽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잠금돌기(46)에는 양측 것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잠금턱(48)이 있다. 상기 잠금턱(48)은 상기 걸이아암(24)의 잠금절결부(28)에 걸어져 걸이아암(24)이 아암채널(36)의 바닥에 밀착되도록 한다.
퓨즈터미널(50)은 도전성 재질로 형성된다. 좋기로는 상기 퓨즈터미널(50)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퓨즈터미널(50)의 골격을 폭에 비해 길이가 긴 판형상의 몸체부(52)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52)의 양단에는 전선이나 다른 커넥터의 터미널과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부(54,56)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54,56)에는 각각 관통공(54',5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54,56)의 폭은 상기 몸체부(52)의 폭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52)의 중간부분에는 용단부(58)가 형성된다. 상기 용단부(58)는 그 적어도 일부가 몸체부(52)의 다른 부분보다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용단부(58)에는 용단공(58')이 형성된다. 상기 용단공(58')은 상기 용단부(58)의 동작 특성에 따라 그 형상이나 갯수 등이 정해진다. 상기 용단부(58)는 과도한 전류가 흐를 때, 녹아 끊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용단부(58)의 보다 구체적인 구성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고전압퓨즈를 조립하는 것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고전압퓨즈를 조립하는 과정을 도 5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1절연하우징(20)과 제2절연하우징(30)을 서로 결합한다. 상기 제1절연하우징(20)과 제2절연하우징(30)의 결합은 상기 제1절연하우징(20)의 걸이아암(22)이 상기 제2절연하우징(30)의 아암채널(36)을 따라 이동되도록 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걸이아암(22)의 선단이 상기 아암채널(36)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걸이공(26)에 상기 걸림턱(40)이 안착되어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걸이아암(22)의 잠금절결부(28)에는 아직 상기 잠금돌기(46)의 잠금턱(48)이 걸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즉, 상기 잠금돌기(46)의 잠금턱(48)에 의해 상기 걸이아암(22)이 선단이 들어 올려진 상태이다. 이는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잠금돌기(46)의 잠금턱(48)에 의해 상기 걸이아암(22)의 선단이 들어 올려진 상태에서는 상기 막음판(25)이 상기 주입구(38)를 막지 않은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주입구(38)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장치(60)의 선단을 삽입하여 소호재가 상기 주입구(38)를 통해 절연하우징(10)의 내부공간으로 주입될 수 있다. 상기 주입구(38)를 통해 상기 소호재를 절연하우징(10)의 내부공간으로 주입하여 내부공간이 완전히 소호재로 채워지면, 상기 걸이아암(22)의 막음판(25)이 상기 주입구(38)를 막도록 한다.
상기 주입구(38)가 상기 걸이아암(22)의 막음판(25)에 의해 차폐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걸이아암(22)에서 상기 잠금돌기(46)에 대응되는 위치를 눌러주면 된다. 즉, 상기 잠금돌기(46)의 잠금턱(48)이 상기 걸이아암(22)의 잠금절결부(28)를 지나 상기 걸이아암(22)의 상면 양측을 눌러주면 상기 걸이아암(22)의 선단에 있는 막음판(25)이 상기 주입구(38)를 차폐시키게 된다. 따라서, 일정 이하의 외력에 의해서는 상기 막음판(25)이 상기 주입구(38)를 개방시킬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주입구(38)를 통해 소호재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특히, 상기 막음판(25)의 내면에 돌출부가 있다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주입구(38)의 내부에 위치되어 소호재를 눌러 절연하우징(10) 내부공간의 소호재가 서로 보다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2절연하우징(30)에 형성된 결합리브(34)는 상기 제1절연하우징(20)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절결부(33)도 동일하게 제1절연하우징(20)에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제1절연하우징(20)과 제2절연하우징(30)의 양단에는 각각 제1 및 제2터미널슬롯(22,32)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나, 터미널슬롯(22,32)이 어느 일측 절연하우징(20,30)에만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절연하우징(20)에는 걸이아암(24)이 상기 제1절연하우징(2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게 연장되나, 반드시 직교하게 되는 것은 아니고 직교에 가까운 각도로 되면 된다. 본 명세서에서 걸이아암(24)이 제1절연하우징(20)의 길이방향에 직교한다는 것은 실제로 직교하는 각도 뿐아니라 그와 유사한 각도까지도 포함한다.
10: 절연하우징 20: 제1절연하우징
21: 내부공간 22: 제1터미널슬롯
24: 걸이아암 25: 막음판
26: 걸이공 28: 잠금절결부
30: 제2절연하우징 32: 제2터미널슬롯
33: 절결부 34: 결합리브
36: 아암채널 38: 주입구
40: 걸림턱 42: 걸림면
44: 안내면 46: 잠금돌기
48: 잠금턱

Claims (11)

  1.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소호재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양단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걸이아암이 길이방향에 직교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절연하우징과,
    상기 제1절연하우징과 결합되는 것으로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내부에 소호재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걸이아암의 선단에 의해 폐쇄되는 주입구가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하게 형성되고 상기 걸이아암이 걸어지는 걸림턱이 걸이아암과 대응되는 단부에 형성되는 제2절연하우징과,
    상기 제1절연하우징과 제2절연하우징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서 소호재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용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절연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는 절연하우징의 양단을 관통하여 노출되게 제1 및 제2연결부가 구비되는 퓨즈터미널을 포함하는 고전압퓨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아암의 선단에는 상기 주입구를 차폐하는 막음판이 구비되고 상기 막음판에 인접하여 상기 걸림턱이 걸어지는 걸이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퓨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판과 걸이공의 사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절연하우징의 단부 양단에는 잠금턱이 돌출되어 있는 잠금돌기가 서로 마주보고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퓨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돌기에 대응되는 상기 걸이아암의 양단에는 잠금절결부가 절결되어 형성되어 상기 잠금돌기가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퓨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아암에 대응되는 상기 제2절연하우징의 단부에는 상기 걸이아암이 안착되는 아암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아암채널에는 상기 걸림턱, 주입구 및 잠금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퓨즈.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연하우징의 내부공간 입구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상기 퓨즈터미널이 관통되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결합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결합리브는 그 외면이 상기 제1절연하우징의 내면에 밀착되거나 걸어져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퓨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에 대응되는 상기 걸이아암의 선단에는 상기 주입구의 내부로 삽입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주입구 내부의 소호재를 눌러줌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퓨즈.
  8.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소호재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양단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걸이아암이 길이방향에 직교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절연하우징과,
    상기 제1절연하우징과 결합되는 것으로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내부에 소호재가 채워지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걸이아암이 안착되는 아암채널이 단부에 형성되는 제2절연하우징과,
    상기 제1절연하우징과 제2절연하우징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서 소호재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용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절연하우징에 의해 형성되는 절연하우징의 양단을 관통하여 노출되게 제1 및 제2연결부가 구비되는 퓨즈터미널과,
    상기 아암채널의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켜 소호재의 주입이 가능하게 하는 주입구를 차폐하도록 상기 걸이아암의 선단에 구비되는 막음판을 포함하는 고전압퓨즈.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아암에는 걸이공이 형성되어 상기 아암채널에 형성된 걸림턱이 걸어지고, 상기 걸이공과 막음판의 사이에 해당되는 걸이아암의 양단에는 상기 아암채널의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서로 마주보는 잠금돌기가 걸어지는 잠금절결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퓨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연하우징의 내부공간 입구 가장자리를 둘러서는 결합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리브는 상기 제1절연하우징의 내면에 압입되거나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퓨즈.
  11. 제 8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판에는 상기 주입구의 내부로 들어가는 돌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전압퓨즈.
KR1020110087567A 2011-08-31 2011-08-31 고전압 퓨즈 KR101174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567A KR101174127B1 (ko) 2011-08-31 2011-08-31 고전압 퓨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7567A KR101174127B1 (ko) 2011-08-31 2011-08-31 고전압 퓨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4127B1 true KR101174127B1 (ko) 2012-08-14

Family

ID=46880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7567A KR101174127B1 (ko) 2011-08-31 2011-08-31 고전압 퓨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412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3211A (ja) 2001-04-11 2002-10-25 Asahi Denki Seisakusho:Kk 速断形ヒューズの組立方法
JP2004119105A (ja) 2002-09-25 2004-04-15 Taiheiyo Seiko Kk 限流ヒューズ
JP2010015715A (ja) 2008-07-01 2010-01-21 Taiheiyo Seiko Kk ヒュー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13211A (ja) 2001-04-11 2002-10-25 Asahi Denki Seisakusho:Kk 速断形ヒューズの組立方法
JP2004119105A (ja) 2002-09-25 2004-04-15 Taiheiyo Seiko Kk 限流ヒューズ
JP2010015715A (ja) 2008-07-01 2010-01-21 Taiheiyo Seiko Kk ヒュー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0611B2 (en) Connector having a housing with a drainage hole leading to an outside of the connector
KR20130024244A (ko) 고전압 퓨즈
US7292130B2 (en) Fusible link and battery fuse unit containing the fusible link
US9287639B2 (en) Connection structure for a screw block for fitment with a component attachment block
JP6211483B2 (ja) リーク遮断構造、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ユニット
JP2006012842A (ja) リレー及びコネクタ組立体
KR20140133256A (ko) 고전압 퓨즈
JP2011113679A (ja) 刃受部材及びこれを備えるコンセント
KR20140083830A (ko) 고전압 퓨즈
JP5814316B2 (ja) コネクタ
KR101174127B1 (ko) 고전압 퓨즈
KR20130114985A (ko) 고전압 퓨즈
KR101243324B1 (ko) 고전압 퓨즈
KR20170056877A (ko) 배터리 부착형 퓨즈유니트
KR200474439Y1 (ko) 멀티 퓨즈
KR101165328B1 (ko) 고전압 퓨즈
KR200494151Y1 (ko) 가로형 콘센트
JP7123006B2 (ja) 回路遮断器
KR102277838B1 (ko) 고전압 퓨즈
JP5923076B2 (ja) ヒューズ、ヒューズボックス、及びヒューズ装置
JP7115358B2 (ja) 電子モジュール
KR102490911B1 (ko) 퓨즈
KR200467964Y1 (ko) 커넥터 어셈블리
JP5746541B2 (ja) スペアヒューズの保持構造
KR20100046100A (ko) 전기 통신용 노출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