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0911B1 - 퓨즈 - Google Patents

퓨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0911B1
KR102490911B1 KR1020170155149A KR20170155149A KR102490911B1 KR 102490911 B1 KR102490911 B1 KR 102490911B1 KR 1020170155149 A KR1020170155149 A KR 1020170155149A KR 20170155149 A KR20170155149 A KR 20170155149A KR 102490911 B1 KR102490911 B1 KR 102490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upling
fuse
inner spac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7796A (ko
Inventor
임은빈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5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0911B1/ko
Publication of KR20190057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0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0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04Fuses, i.e. expendable parts of the protective device, e.g. cartridg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5/00Protective devices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a part of fusible material and this current is interrupted by displacement of the fusible material when this current becomes excessive
    • H01H85/02Details
    • H01H85/20Bases for supporting the fuse; Separate parts thereof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퓨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퓨즈는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20)이 결합되어 외관을 구성한다. 상기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20)의 내부공간(10',20')에는 퓨즈엘레먼트(30)의 용단부(36)가 위치된다. 상기 퓨즈엘레먼트(30)의 양단부에 있는 제1단자부(31)와 제2단자부(32)가 상기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20)의 외부로 노출되어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20)은 슬라이딩이동되어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하우징(10)에는 제1결합리브(14)와 제1결합채널(16)이 있고, 제2하우징(20)에는 상기 제1결합리브(14)가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제2결합채널(26)과 상기 제1결합채널(16)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는 제2결합리브(24)가 있다. 상기 제1하우징(10)이나 제2하우징(20)의 측벽(12,22)에는 연통공(13)이 형성되어 내부공간(10',20')과 외부를 연통시켜 내부의 압력을 배출한다.

Description

퓨즈{Fuse}
본 발명은 퓨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전류에 의해 용단부가 녹아 끊어져 연결된 전장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퓨즈에 관한 것이다.
퓨즈는 전원과 전장부품 사이에 위치하여 과전류에 의해 전장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퓨즈는 회로에 규정된 값 이상의 과도한 전류가 계속해서 흐르지 못하도록 과전류가 흐르게 되면 용단부가 녹아서 차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퓨즈는 다양한 전장부품에 대해 사용된다.
퓨즈는 일반적으로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는 용단부가 녹아서 전기적 연결을 차단하는 것인데, 상기 용단부가 녹는 과정에서 많은 열이 발생하면서 하우징 내부의 압력을 높이게 된다. 상기 하우징 내부의 압력이 지나치게 높아지게 되면 폭발하여 하우징이 파손되면서 퓨즈 주변으로 스파크가 튀어서 화재가 발생할 위험도 있다.
그리고, 퓨즈 내부에서 과전류에 의한 스파크가 발생하게 되면 탄화물 등의 비산물이 발생하는데, 이들이 모여서 연결되어 있으면 통전이 이루어지면서 전류차단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종래의 퓨즈는 일반적으로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초음파융착에 의해 결합하게 되는데, 초음파융착을 하기 위해서는 장비가 필요하는 등 제조과정이 번거롭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미국특허 US 5229739 일본공개특허 2002-369338 일본공개특허 2012-018828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퓨즈 내부의 압력을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퓨즈의 사용중에 발생하는 스파크 등에 의한 비산물을 최대한 서로 이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을 기구적인 구조를 사용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양단의 제1측벽에 제1결합리브와 제1결합채널이 형성된 제1하우징과, 상기 제1내부공간과 합쳐지는 제2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양단의 제2측벽에 상기 제1결합리브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결합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채널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결합리브가 형성된 제2하우징과, 상기 제1내부공간과 제2내부공간에 위치되는 용단부가 구비되고 양단부에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양단부로 연장되어 노출되는 제1단자부와 제2단자부가 있는 퓨즈엘레먼트와, 상기 제1내부공간과 제2내부공간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퓨즈엘레먼트와 마주보는 몸체판의 표면에 다수개의 구형돌기가 구비되는 삽입물과, 상기 제1하우징의 제1측벽이나 상기 제2하우징의 제2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내부공간의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는 연통공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결합채널의 입구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결합채널의 위치에는 서로 대응되게 결합공과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체결되고, 상기 삽입물의 몸체판에는 상기 제1측벽과 제2측벽에 대응되는 위치에만 단부벽이 형성되어 상기 단부벽이 상기 퓨즈엘레먼트의 폭방향 양단을 따라 위치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삽입물에는 결합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에는 결합보스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보스가 상기 결합통공에 압입된다.
상기 결합보스의 선단은 상기 구형돌기와 같은 형상을 가진다.
상기 삽입물의 몸체판 양단에는 상기 제1측벽과 제2측벽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부벽이 형성되고 상기 단부벽에는 상기 연통공에 해당되는 위치에 연통부가 형성된다.
상기 단부벽에는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에 각각 형성된 조립안내리브가 위치되는 조립안내채널이 형성된다.
삭제
상기 삽입물은 실리콘으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퓨즈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퓨즈에서는 제1하우징의 제1측벽에 연통공을 형성하여 퓨즈의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내부공간에서 발생하는 압력이 외부로 배출되면서 내부공간의 압력에 의해 하우징이 파손되는 일이 없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내면에 각각 삽입물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삽입물의 외면에서 퓨즈엘레먼트와 마주보는 면에는 다수개의 구형돌기가 돌출되어 있어 삽입물의 해당 부분의 표면적을 극대화시키고 있다. 따라서 퓨즈엘레먼트에서 발생하는 스파크에 의한 비산물이 최대로 넓은 영역으로 비산되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하므로 퓨즈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에 서로 결합되는 제1결합채널과 제2결합리브 그리고 제1결합리브와 제2결합채널이 형성되어 있어,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퓨즈를 조립하여 결합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퓨즈의 제조가 간단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퓨즈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횡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하우징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하우징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삽입물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퓨즈의 외관을 하우징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은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20)은 모두 합성수지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1하우징(10)은 내부에 소정의 내부공간(10')이 형성되는데, 상기 제1내부공간(10')은 제2하우징(20)의 제2내부공간(20')과 합쳐져서 하나의 내부공간(10', 20')으로 된다. 상기 제1하우징(10)은 제1판(11)과 상기 제1판(11)의 양단에 형성된 제1측벽(12)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1내부공간(10')은 상기 제1판(11)에 홈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1하우징(10)에서 상기 제1측벽(12)이 없는 서로 마주보는 양단은 아래에서 설명될 퓨즈엘레먼트(30)의 일측 표면에 밀착된다. 상기 제1측벽(12)에는 연통공(13)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내부공간(10')과 외부를 연통시킨다.
상기 제1측벽(12)의 선단을 따라서는 제1결합리브(14)가 있다. 상기 제1결합리브(14)는 상기 양단의 제1측벽(14)의 것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리브(14)는 상기 제1측벽(12)의 거의 전체 영역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리브(14)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2하우징(20)의 제2결합채널(26)내에 위치된다.
상기 제1측벽(12)과 상기 내부공간(10')의 사이에 해당되는 영역에는 상기 제1측벽(12)을 따라 제1결합채널(16)이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채널(16)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하우징(20)의 제2결합리브(24)가 위치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결합채널(16)은 상기 제1측벽(12)의 전체 영역에 걸쳐서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채널(16)은 상기 내부공간(10')으로 개구된다.
상기 결합채널(16)의 입구에 해당되는 제1측벽(12)에는 결합공(17)이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결합공(17)이 제1측벽(12)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기 결합공(17)이 홈형상으로 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공(17)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결합돌기(27)가 안착되어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20)이 서로 체결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제1하우징(10)에는 관통결합리브(18)가 길이방향 양단에 한 쌍씩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결합리브(18)는 아래에서 설명될 퓨즈엘레먼트(30)의 결합안내공(34)을 관통하여 위치된다. 상기 관통결합리브(18)의 형상은 본 실시례에서는 육각기둥모양이다. 하지만, 상기 관통결합리브(18)는 원기둥, 사각기둥, 오각기둥 등 다각기둥형상으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관통결합리브(18)의 형상을 달리하는 것은 제1하우징(10)을 성형할 때 금형 설계의 자유도를 높이기 위함이다.
상기 제1하우징(10)의 제1내부공간(10')에는 결합보스(19)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결합보스(19)는 본 실시례에서는 4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보스(19)의 선단은 구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결합보스(19)는 아래에서 설명될 삽입물(4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하우징(10)의 제1내부공간(10')에서 일측 제1측벽(12)에는 조립안내리브(19')가 있다. 상기 조립안내리브(19')는 아래에서 설명될 삽입물(40)이 조립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립안내리브(19')는 본 실시례에서는 육면체 형상으로 된다.
상기 제2하우징(20)은 상기 제1하우징(10)과 마주보게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하우징(10)의 제1내부공간(10')과 대응되는 제2내부공간(2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20)이 결합되면 내부에 내부공간(10', 20')이 하나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2하우징(20)은 제2판(21)의 양단에 제2측벽(22)이 각각 있다. 상기 제2측벽(22)에는 제2결합리브(24)가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리브(24)는 상기 제2측벽(22) 전체에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리브(24)는 상기 제1하우징(10)의 제1결합채널(16) 내에 위치된다.
상기 제2측벽(22)에는 또한 상기 제2결합리브(24)에 의해 제2결합채널(26)이 형성된다. 상기 제2결합채널(26)에는 상기 제1하우징(10)의 제1결합리브(14)가 위치된다. 상기 제2결합채널(26)은 제2하우징(20)의 외부 방향으로 개구된다. 상기 제2결합채널(26)의 내측에 인접한 위치에 해당되는 제2측벽(22)에는 결합돌기(27)가 있다. 상기 결합돌기(27)는 상기 결합공(17)에 안착되어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20)이 결합된 상태를 체결한다. 상기 결합돌기(27)가 상기 결합공(17)에 안착됨에 의해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20)의 상대 이동이 더 이상 일어나지 않게 된다.
상기 제2하우징(20)의 제2내부공간(20')에는 결합보스(29)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결합보스(29)는 본 실시례에서는 4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보스(29)의 선단은 구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결합보스(29)는 아래에서 설명될 삽입물(4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2하우징(20)의 결합보스(29)와 제1하우징(10)의 결합보스(19)는 동일한 형상과 기능을 가진다.
상기 제2하우징(10)의 제2내부공간(20')에서 일측 제2측벽(22)에는 조립안내리브(29')가 있다. 상기 조립안내리브(29')는 아래에서 설명될 삽입물(40)이 조립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조립안내리브(29')는 본 실시례에서는 육면체 형상으로 된다. 제2하우징(20)의 조립안내리브(29')도 상기 제1하우징(10)의 조립안내리브(19')와 동일한 형상과 기능을 가진다.
퓨즈엘레먼트(30)는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퓨즈엘레먼트(30)의 양단에는 상기 하우징(10,20)의 양단으로 돌출되는 제1단자부(31)와 제2단자부(32)가 있다. 상기 제1단자부(31)에는 제1체결공(3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단자부(32)에는 제2체결공(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체결공(31')과 제2체결공(32')은 제1단자부(31)와 제2단자부(32)를 상대 측과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1단자부(31)와 제2단자부(32)에서 상기 하우징(10,20)의 내부에 위치되는 부분, 즉 상기 관통결합리브(18)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결합안내공(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안내공(34)은 상기 관통결합리브(28)의 횡단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지고, 상기 관통결합리브(28)가 관통하여 상기 퓨즈엘레먼트(30)와 제1하우징(10) 사이의 상대 위치를 고정한다.
상기 제1단자부(31)와 제2단자부(32)를 서로 연결하도록 용단부(36)가 있다. 상기 용단부(36)는 정해진 규격보다 높은 전류가 흐를 때 녹아서 절단되는 부분이다. 상기 용단부(36)는 상기 내부공간(10',20') 내에 위치된다.
상기 제1내부공간(10')과 제2내부공간(20')에는 각각 삽입물(40)이 위치된다. 상기 삽입물(40)은 상기 제1내부공간(10') 또는 제2내부공간(20')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들어지는데, 본 실시례에서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의 몸체판(42)과 상기 몸체판(42)의 폭방향 양측에 있는 단부벽(44)으로 구성된다. 상기 단부벽(44)에는 연통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통부(46)는 상기 단부벽(44) 상단을 일부 제거한 것이다. 상기 연통부(46)는 상기 연통공(13)을 단부벽(44)이 막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연통부(46)가 하나의 단부벽(44)에는 2개가 있고 반대쪽에는 하나가 있다. 하지만, 상기 연통부(46)를 단부벽(44)에 하나씩만 형성하여도 된다.
상기 삽입물(40)은 에폭시로 만들어진다. 상기 삽입물(40)은 상기 용단부(36)에서 발생하는 스파크 등이 상기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20)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단부벽(44)에는 조립안내채널(4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립안내채널(48)에는 상기 조립안내리브(19',29')가 위치된다. 상기 조립안내리브(19',29')가 상기 조립안내채널(48)에 위치되어야 상기 삽입물(40)이 내부공간(10',20')으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몸체판(42)에서 상기 퓨즈엘레먼트(30)와 마주보는 면에는 구형돌기(50)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형돌기(50)는 상기 몸체판(42)의 표면에 가로 세로 방향으로 열을 지어 돌출되어 있다. 상기 구형돌기(50)는 구형이라기 보다 정확하게는 반구형인데, 이와 같이 만들어짐에 의해 몸체판(42)의 표면적을 극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참고로 상기 구형돌기(50)가 열을 지어 형성되어 있는 위치중 하나에 결합통공(52)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통공(52)은 상기 몸체판(42)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결합통공(52)에는 상기 결합보스(19,29)가 압입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각각의 하우징(10,20)에 삽입물(4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퓨즈가 조립되고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퓨즈를 조립하는 것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제1하우징(10)의 제1내부공간(10')에 삽입물(40)을 삽입하고, 상기 제2하우징(20)의 제2내부공간(20')에도 삽입물(40)을 삽입한다. 상기 삽입물(40)은 상기 조립안내리브(19',29')가 조립안내채널(48)에 위치하도록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제1하우징(10)의 결합보스(19)와 제2하우징(20)의 결합보스(29)가 상기 결합통공(52)을 관통하여 선단이 상기 퓨즈엘레먼트(30)를 보도록 상기 몸체판(42)에서 돌출된다. 상기 결합보스(19,29)는 상기 결합통공(52)에 압입된다.
다음으로, 상기 제1하우징(10)에 상기 퓨즈엘레먼트(30)를 설치한다. 상기 제1하우징(10)의 관통결합리브(18)가 상기 결합안내공(34)을 관통하도록 하여 제1하우징(10)에 상기 퓨즈엘레먼트(30)를 설치한다.
상기 퓨즈엘레먼트(30)를 상기 제1하우징(20)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2하우징(20)을 상기 제1하우징(10)에 대해 슬라이딩시켜 결합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하우징(10)의 제1결합리브(14)가 상기 제2하우징(20)의 제2결합채널(26)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2하우징(20)의 제2결합리브(24)가 상기 제1하우징(10)의 제1결합채널(16)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한다.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20) 사이의 슬라이딩 이동은 상기 결합공(17)에 상기 결합돌기(27)가 안착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공(17)에 상기 결합돌기(27)가 안착됨에 의해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20)의 결합상태가 체결된다.
이와 같이 조립이 된 퓨즈는 전장부품과 전원 사이에 설치된다. 즉, 상기 제1단자부(31)와 제2단자부(32)에 상기 전장부품과 전원을 연결하여 사용된다. 상기 전원과 전장부품 사이에 과전류가 흐르는 경우 상기 퓨즈엘레먼트(30)의 용단부(36)는 녹아 끊어지는데, 이 과정에서 열이 발생하면서 상기 내부공간(10',20')의 압력이 올라간다. 하지만 상기 연통공(13)을 통해 압력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내부공간(10',20')의 압력이 상기 연통공(13)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하우징(10,20)이 파손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삽입물(40)은 상기 내부공간(10',20') 내에서 상기 용단부(36)에 스파크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하우징(10, 20)으로 전달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 20)의 내구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형돌기(50)는 상기 몸체판(42)의 표면적을 넓히는 역할을 하여 스파크에 의해 발생된 비산물이 최대한 넓은 면적에 퍼지도록 하여 비산물인 탄화물 등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확율을 최소화시킨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용단부(36)가 끊어진 후에 계속해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삽입물(40)에는 몸체판(42)의 폭방향 양측에만 단부벽(44)이 있고, 나머지 변에는 없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퓨즈엘레먼트(30)가 용단되었을 때, 양단 사이의 거리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다. 용단부(36)에서부터 녹아 끊어진 퓨즈엘레먼트는 상기 제1하우징(10)과 제2하우징의 길이방향 양단에 인접한 위치까지 녹게 되는데, 상기 삽입물(40)의 길이방향 양단에 단부벽이 없으므로 퓨즈엘레먼트가 녹아 끊어지는 것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끊어진 퓨즈엘레먼트 사이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더 멀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례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연통공(13)이 제1하우징(10)에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제2하우징(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퓨즈엘레먼트(30)에 제1단자부(31)와 제2단자부(32)만이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단자부들은 더 많이 있을 수 있다. 즉, 제1단자부(31)가 다수개가 분지되거나 상기 제2단자부(32)가 다수개로 분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결합리브(18)가 상기 제1하우징(10)에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제2하우징(20)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결합공(17)과 결합돌기(27)는 도시된 실시례의 위치에서 서로 위치를 바꿔 형성될 수도 있다.
10: 제1하우징 10': 제1내부공간
11: 제1판 12: 제1측벽
14: 제1결합리브 16: 제1결합채널
17: 결합공 18: 관통결합리브
19: 결합보스 19': 조립안내리브
20: 제2하우징 20': 제2내부공간
21: 제2판 22: 제2측벽
24: 제2결합리브 26: 제2결합채널
29: 결합보스 29': 조립안내리브
30: 퓨즈엘레먼트 31: 제1단자부
31': 제1체결공 32: 제2단자부
32': 제2체결공 34: 결합안내공
36: 용단부 40: 삽입물
42: 몸체판 44: 단부벽
46: 연통부 48: 조립안내채널
50: 구형돌기 52: 결합통공

Claims (8)

  1. 제1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양단의 제1측벽에 제1결합리브와 제1결합채널이 형성된 제1하우징과,
    상기 제1내부공간과 합쳐지는 제2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양단의 제2측벽에 상기 제1결합리브가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결합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채널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제2결합리브가 형성된 제2하우징과,
    상기 제1내부공간과 제2내부공간에 위치되는 용단부가 구비되고 양단부에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양단부로 연장되어 노출되는 제1단자부와 제2단자부가 있는 퓨즈엘레먼트와,
    상기 제1내부공간과 제2내부공간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퓨즈엘레먼트와 마주보는 몸체판의 표면에 다수개의 구형돌기가 구비되는 삽입물과,
    상기 제1하우징의 제1측벽이나 상기 제2하우징의 제2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내부공간의 압력을 외부로 배출하는 연통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채널의 입구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2결합채널의 위치에는 서로 대응되게 결합공과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어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이 체결되고,
    상기 삽입물의 몸체판에는 상기 제1측벽과 제2측벽에 대응되는 위치에만 단부벽이 형성되어 상기 단부벽이 상기 퓨즈엘레먼트의 폭방향 양단을 따라 위치하는 퓨즈.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물에는 결합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에는 결합보스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보스가 상기 결합통공에 압입되는 퓨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보스의 선단은 상기 구형돌기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퓨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물의 몸체판 양단에는 상기 제1측벽과 제2측벽에 대응되는 위치에 단부벽이 형성되고 상기 단부벽에는 상기 연통공에 해당되는 위치에 연통부가 형성되는 퓨즈.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벽에는 상기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에 각각 형성된 조립안내리브가 위치되는 조립안내채널이 형성되는 퓨즈.
  7. 삭제
  8.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물은 실리콘으로 만들어지는 퓨즈.
KR1020170155149A 2017-11-20 2017-11-20 퓨즈 KR102490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149A KR102490911B1 (ko) 2017-11-20 2017-11-20 퓨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149A KR102490911B1 (ko) 2017-11-20 2017-11-20 퓨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796A KR20190057796A (ko) 2019-05-29
KR102490911B1 true KR102490911B1 (ko) 2023-01-20

Family

ID=66672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149A KR102490911B1 (ko) 2017-11-20 2017-11-20 퓨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09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900018947A1 (it) * 2019-10-16 2021-04-16 Audio Ohm Di Tonani Caterina & C S R L Fusibile elettrico
CN114005714A (zh) * 2021-10-15 2022-02-01 杭州精晟新能源科技有限公司 熔断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41140A1 (en) * 2014-05-22 2016-05-19 Littelfuse, Inc. Insert for fuse housing
KR101703901B1 (ko) * 2015-12-01 2017-02-08 오리셀 주식회사 낙뢰, 서지 특성을 강화한 마이크로 퓨즈 및 그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9739A (en) 1992-02-21 1993-07-20 Littelfuse, Inc. Automotive high current fuse
JP2002369338A (ja) 2001-06-06 2002-12-20 Sumitomo Wiring Syst Ltd ヒューズボックス
JP5525354B2 (ja) 2010-07-08 2014-06-18 株式会社タムラサーマルデバイス 温度ヒューズ
KR20140083830A (ko) * 2012-12-26 2014-07-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고전압 퓨즈
KR20170117809A (ko) * 2016-04-14 2017-10-2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방열수단이 구비된 퓨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141140A1 (en) * 2014-05-22 2016-05-19 Littelfuse, Inc. Insert for fuse housing
KR101703901B1 (ko) * 2015-12-01 2017-02-08 오리셀 주식회사 낙뢰, 서지 특성을 강화한 마이크로 퓨즈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796A (ko)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86096B2 (ja) ヒューズアセンブリ
JP7057779B2 (ja) 通気式ヒューズハウジング
JP5905452B2 (ja) ヒューズアセンブリ
KR880001012A (ko) 자동차용 전기 퓨즈
KR102490911B1 (ko) 퓨즈
US9224564B2 (en) Fuse with counter-bore body
KR20140133256A (ko) 고전압 퓨즈
KR20140083830A (ko) 고전압 퓨즈
WO2021220588A1 (ja) 電気回路遮断装置
KR102584768B1 (ko) 전기 회로 차단 장치
JP7018382B2 (ja) ヒューズ
KR20190002141A (ko) 퓨즈
KR102277838B1 (ko) 고전압 퓨즈
CN112490595A (zh) 电连接组件、电池与用电设备
KR102719610B1 (ko) 퓨즈
KR20190057797A (ko) 퓨즈
KR102228859B1 (ko) 고전압 퓨즈
EP3490035B1 (en)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478246B1 (ko) 멀티퓨즈
KR20170071936A (ko) 고전압 퓨즈
KR20110107169A (ko) 멀티퓨즈
KR102712962B1 (ko) 퓨즈
US20120220165A1 (en) Electric Socket
JP7364366B2 (ja) 電流遮断構造
KR20180095270A (ko) 퓨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