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031B1 - 실링재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실링재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031B1
KR101173031B1 KR1020050058923A KR20050058923A KR101173031B1 KR 101173031 B1 KR101173031 B1 KR 101173031B1 KR 1020050058923 A KR1020050058923 A KR 1020050058923A KR 20050058923 A KR20050058923 A KR 20050058923A KR 101173031 B1 KR101173031 B1 KR 101173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quartz tube
support
sealing material
stopper
quartz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8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3169A (ko
Inventor
김광진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8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3031B1/ko
Publication of KR20070003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3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1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7/00Signs, name or number plates, letters, numerals, or symbols; Panels or boards
    • G09F7/02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 G09F7/12Signs, plates, panels or boards using readily-detachable elements bearing or forming symbols the elements being secured or adapted to be secured by self-adhesion, moisture, suction, slow-drying adhesive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은 석영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실링재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층의 건조로; 상기 건조로 내부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실링재가 도포된 기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석영관; 및 상기 석영관의 양측에 석영관의 양단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마련되어 상기 석영관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 실링재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실링재 건조장치{APPARATUS FOR DRYING SEALING MATERIAL}
도 1은 종래 실링재 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 건조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실링재 건조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지지대의 홈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3의 스토퍼을 상세하게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3의 지지대와 스토퍼와의 중첩부위를 보여주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0: 건조로 121: 지지대
123: 스토퍼 125: 고정대
130: 석영관 삽입용홈 140: 석영관
본 발명은 실링재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석영관의 파손을 방지하여 실링재의 불량을 해결할 수 있는 실링재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핸드폰(Mobile Phone), PDA, 노트북컴퓨터와 같은 각종 휴대용 전자기 기가 발전함에 따라 이에 적용할 수 있는 경박단소용의 평판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 Device)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표시장치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FED(Field Emission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등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지만, 양산화 기술, 구동수단의 용이성, 고화질의 구현이라는 이유로 인해 현재에는 액정표시소자(LCD)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소자는 하부기판과 상부기판 및 상기 하부기판과 상부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기판은 구동소자 어레이(Array)기판으로, 복수의 화소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화소에는 박막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와 같은 구동소자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기판은 컬러필터(Color Filter)기판으로, 실제 컬러를 구현하기 위한 컬러필터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에는 각각 화소전극 및 공통전극이 형성되어 있으며 액정층의 액정분자를 배향하기 위한 배향막이 도포되어 있다.
상기 하부기판 및 상부기판은 실링재(Sealing material)에 의해 합착되어 있으며, 그 사이에 액정층이 형성되어 상기 하부기판에 형성된 구동소자에 의해 액정분자를 구동하여 액정층을 투과하는 광량을 제어함으로써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 실링재는 하부기판 또는 상부기판에 도포될 수 있으며, 실링재 도포 후, 건조장치에서 건조가 이루어지며, 실링재의 건조를 마친 후에 하부기판과 상부기판의 합착이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실링재 건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도 1은 단면도이고, 도 2는 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실링재 건조장치(10)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진 건조로(20)가 마련되어 있으며, 각각의 건조로(20)에는 실링재가 도포된 기판(15)을 로딩할 수 있는 석영관(17)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건조장치(10)의 전면과 후면은 셔터(13A,13B)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기판(15)은 로봇암에 흡착되어, 상기 셔터(13A,13B)의 개폐를 통해 건조로 내부에 진입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건조로(20)에는 복수의 석영관(17)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석영관(17) 상면에 실링재(18)가 도포된 기판(15)이 로딩된다. 이때, 상기 석영관(17)의 양단에는 상기 석영관(17)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대(1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대(11)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대(11)로부터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바(12)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석영관(17)의 양단이 상기 지지바(12)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고정대(11)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지지바(12)는 서스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건조로(2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지지바(12)의 온도도 함께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지바(12)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이 열이 석영관(17)에 전달되어 석영관의 온도가 국부적으로 달라지게됨에 따라, 상기 지지바(12)가 삽입된 부위에서 석영관(17)의 파손이 종종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로봇암이 상기 석영관(17) 상에 기판(15)을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중에, 석영관(17)의 잦은 이동에 의해 상기 고정대(11)와 충돌이 잦고, 석영관(17)에 압력을 받게 되는데, 이러한 고정대 (11)와의 충돌과 압력도 상기 지지바(12)가 삽입된 부위에서 석영관(17)이 파손되는 원인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 실링재 건조장치는 석영관의 양끝단에 삽입된 지지바 및 로봇암의 잦은 출입에 의해 상기 지지바가 삽입된 부위에서 석영관이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석영관이 파손되는 경우, 상기 석영관의 상부에 로딩된 기판의 평평한 균형이 깨지게 되고, 실링재가 갈라지게 된다. 그리고, 실링재가 갈라짐에 따라, 액정주입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액정패널의 불량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석영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실링재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실링재 건조장치는 복수층의 건조로; 상기 건조로 내부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실링재가 도포된 기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석영관; 및 상기 석영관의 양측에 석영관의 양단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마련되어 상기 석영관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대는 온도에 강한 polyetheretherketone(PEEK)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지지대의 외측에는 석영관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stopper) 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토퍼는 그 일부가 상기 석영관 홀의 단면과 중첩되어 있으며, 상기 스토퍼의 형상은 원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스토퍼는 원형상 이외에도 사각 또는 오각의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는 지지대와 마찬가지로 고온에 강한 polyetheretherketone(PEEK)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대를 건조로에 고정시키는 고정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대도 고온에 강한 polyetheretherketone(PEEK)재질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링재 건조장치는 석영관을 삽입할 수 있는 지지대를 구성하고, 상기 지지대를 열전도율이 낮은 PEEK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석영관이 파손될 위험을 줄인다. 다시말해, 종래에는 석영관 내부에 서스재질로 이루어진 지지바를 삽입하여, 상기 석영관을 고정대에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지지바가 삽입된 위치에서 석영관의 온도가 다른영역에 비해 높아짐과 아울러, 기판의 잦은 출입에 의해 상기 석영관에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지지바가 삽입되는 위치에서 석영관이 파손되는 불량이 발생하였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석영관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상기 석영관을 하부에서 받쳐주며, 상기 지지대의 외측에는 상기 석영관의 이동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설치되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에 의한 실링재 도포장치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도록 한다.
도 3 ~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실링재 건조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3은 건 조로 내부를 보여주는 단면이고, 도 4는 석영관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고정대, 지지대 및 스토퍼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실링재 건조장치는 복수층의 건조로로 구성되나, 도면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건조로 내부만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건조로(120)는 실링재가 도포된 기판(미도시)을 지지하는 석영관(140)과, 상기 석영관(140)을 지지하는 지지대(125)로 구성된다. 도면에는 하나의 석영관(140)만이 보여지고 있으나, 실제, 상기 석영관(140)은 복수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기판을 평평하게 지지한다.
상기 지지대(125)는 석영관(140)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25)의 상부에는 석영관(140)의 양단이 삽입될 수 있는 홈(130)이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석영관(140)은 원형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홈(130)은 상기 석영관(140)의 형상에 맞추어 그 표면이 둥근형상을 갖는다. 만일, 석영관의 형상이 바뀐다면, 상기 홈(130)의 형상도 석영관의 모양에 맞추어 변경될 것이다.
한편, 도 3을 통해 실링재 건조로를 계속해서 설명하면, 상기 지지대(125)는 하부플레이트(120a) 상에 설치된 고정대(121)에 의해 석영관(140)의 양측영역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석영관(140)의 양단부가 노출되는 상기 지지대(125)의 외측에는 상기 지지대(125)에 끼워진 석영관(140)이 전후방향(도면상에 화상표로 표기함)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123)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기술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건조장치의 앞면 및 후면에는 셔터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셔터의 개폐에 의해서 실링재를 도포한 기판을 흡착한 로봇암이 건조로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 건조로 내부에 들어온 로봇암은 상기 석영관(140) 상부에 기판을 로딩하는데, 이때, 로봇암의 잦은 출입으로 인하여 상기 석영관이 전후방향 즉, 로봇암이 드나드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대(125)의 일측에 스토퍼(123)를 마련하여 상기 석영관(140)이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
도 5는 상지 지지대(125)의 외측에 설치된 스토퍼(123)를 상세하게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23)는 지지대(125)의 외측으로 소정거리(L)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대(125)로부터 스토퍼(123)가 이격된 거리(L)는 상기 지지대(125)의 홈(130)에 삽입될 석영관(140)이 돌출될 수 있는 거리이다. 실질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석영관은 홈(130)을 통해 지지대(125)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스토퍼(123)와 접촉하게 되는데, 상기 스토퍼(123)는 상기 지지대(125)의 외측으로 돌출된 석영관(140)의 양끝단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지지대(125)에 삽입된 석영관(140)은 외력을 받더라도, 이동하지 않고 고정된다.
한편, 상기 스토퍼(123)가 상기 석영관(140)이 움직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123)와 석영관(140)이 일부분 중첩되어야 한다. 즉, 상기 스토퍼(123)의 일부가 석영관(140) 홀의 단면과 중첩하기 때문에, 석영관(140)이 지지대(125)의 외측으로 돌출될 경우, 상기 스토퍼(123)가 석영관(140)의 양끝단과 접촉하여 더 이상 움직이지 못하도록 석영관(140)을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스토퍼(123)는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외에 사각형 또는 오각형등의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D"는 스토퍼(123)와 석영관(140)의 중첩영역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125)는 서스재질에 비해 열전도특성이 낮아 고온에서 강한 polyetheretherketone(PEEK)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스토퍼(123) 및 고정대(121)도 polyetheretherketone(PEEK)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건조로 내부본 발명에 의한 실링재 건조장치는 지지대 상부에 상기 석영관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을 형성하여, 상기 석영관을 하부에서 지지하고, 상기 지지대 및 스토퍼 그리고 고정대를 PEEK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석영관이 지지대에 지지되는 영역에서 발생되는 파손불량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석영관의 양측에 상기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를 설치하되, 상기 지지대 상부에 상기 석영관이 끼워질 수 있는 홈을 형성하고, 상기 석영관이 돌출되는 지지대의 외측에 상기 석영관이 전후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설치하는 것으로, 위 내용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설명되지 않은 건조로의 타구성요소들의 변형에 상관없이 모든 실링재 건조장치가 본 발명에 포함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대에 홈을 형성하고, 그 일측에 석영관을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형성함으로써, 석영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같이, 석영관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상기 석영관 상부에 로딩된 기판이 평평함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실링재 불량을 방지하고, 소자의 신뢰도를 더룩 향상시킨다.

Claims (8)

  1. 복수층의 건조로;
    상기 건조로 내부에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실링재가 도포된 기판을 지지하는 복수의 석영관;
    상기 석영관의 양측에 석영관의 양단이 삽입될 수 있는 홈이 마련되어 상기 석영관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를 상기 건조로의 하부 플레이트 상에 고정시키는 고정대를 포함하고,
    상기 석영관의 양단부가 노출되는 상기 지지대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석영관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실링재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polyetheretherketone(PEEK)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재 건조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일부가 상기 석영관 홀의 단면과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재 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재 건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polyetheretherketone(PEEK)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재 건조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polyetheretherketone(PEEK)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링재 건조장치.
KR1020050058923A 2005-06-30 2005-06-30 실링재 건조장치 KR101173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923A KR101173031B1 (ko) 2005-06-30 2005-06-30 실링재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8923A KR101173031B1 (ko) 2005-06-30 2005-06-30 실링재 건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169A KR20070003169A (ko) 2007-01-05
KR101173031B1 true KR101173031B1 (ko) 2012-08-10

Family

ID=37870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8923A KR101173031B1 (ko) 2005-06-30 2005-06-30 실링재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30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50698B2 (ja) * 2012-05-31 2016-07-13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9984A (ja) * 1996-12-27 1998-07-07 Sekisui Jushi Co Ltd 物干し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9984A (ja) * 1996-12-27 1998-07-07 Sekisui Jushi Co Ltd 物干し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3169A (ko) 200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79876B2 (ja) 配向膜ラビング装置
KR102344731B1 (ko) 액정표시장치의 분리장치
CN102117588A (zh) 阵列测试装置
JP5555757B2 (ja) 基板検査装置
CN102862818A (zh) 玻璃面板输送装置
KR101173031B1 (ko) 실링재 건조장치
US7423703B2 (en) Cassette for liquid crystal panel inspection and method of inspecting liquid crystal panel
JP4352063B2 (ja) 液晶パネル検査装置
KR100960474B1 (ko) 액정패널의 외관검사장치
KR100764628B1 (ko) 평면디스플레이용 화학 기상 증착장치
KR20100080047A (ko) 액정표시장치의 변형 검사시스템
US9477118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CN100507641C (zh) 用于液晶显示板的检查装置
US7708515B2 (en) Apparatus for loading substrate of liquid crystal display
KR100978262B1 (ko) 액정표시소자 검사장치
KR20080062258A (ko) 액정표시패널의 시일재 경화장치
CN103033956B (zh) 阵列测试装置
KR20080002372A (ko) 서셉터 및 이를 구비한 기판이송장치
KR102365455B1 (ko) 인쇄회로기판 폴딩 장치
KR20050027497A (ko) 기판 운반용 로봇핸드
KR101801397B1 (ko) 액정표시장치의 제조장치
US20030172544A1 (en) Apparatus for hardening sealant
KR20080006341A (ko) 정렬 보정 기능을 갖는 칼라필터 패턴 검사기
KR20080029097A (ko) 패턴 검사기
KR101340613B1 (ko) 칼라 필터 검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