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0244B1 - 단롤 유닛 및 그 반송 방법 - Google Patents

단롤 유닛 및 그 반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0244B1
KR101170244B1 KR1020107011661A KR20107011661A KR101170244B1 KR 101170244 B1 KR101170244 B1 KR 101170244B1 KR 1020107011661 A KR1020107011661 A KR 1020107011661A KR 20107011661 A KR20107011661 A KR 20107011661A KR 101170244 B1 KR101170244 B1 KR 101170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roll unit
single roll
spare
fron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1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4307A (ko
Inventor
가즈키 미즈시마
도시히데 가토
다카시 니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주코 인사츠시코키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주코 인사츠시코키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주코 인사츠시코키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74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43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0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0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20Corrugating; Corrugating combined with laminating to other layers
    • B31F1/24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 B31F1/26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by interengaging toothed cylinders cylinder constructions
    • B31F1/28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by interengaging toothed cylinders cylinder constructions combined with uniting the corrugated webs to flat webs ; Making double-faced corrugated cardboard
    • B31F1/2845Details, e.g. provisions for drying, moistening, pressing
    • B31F1/2863Corrugating cylinders; Supporting or positioning means therefor; Drives therefor
    • B31F1/2868Exchangeable corrugating cyl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s For Manufacturing Corrugated Board In Mechanical Paper-Making Process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단롤 유닛(1)의 싱글 페이서로의 삽입 또는 뽑아내기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싱글 페이서 주변에서 넓은 스페이스를 불필요로 한다. 한쌍의 단롤(3, 4)을 주행 바퀴(12, 14)를 갖는 대차(2)에 탑재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싱글 페이서의 가동부에 착탈되는 단롤 유닛(1)에 있어서, 뒷바퀴(14)의 근방에 주행 방향이 대차(2)의 횡방향을 향해서 장착되고, 또한 장착 위치가 뒷바퀴(14)보다 상방 또는 하방으로 변경 가능한 2개의 예비 바퀴(24)를 마련하고, 단롤 유닛(1)의 선회시 또는 횡방향(e)으로의 이동시에 예비 바퀴(24)를 뒷바퀴(14)보다 하방으로 하강시키고, 단롤 유닛(1)을 앞바퀴(12)와 예비 바퀴(24)로 주행시키고, 단롤 유닛(1)의 선회시에는 예비 바퀴(24)를 앞바퀴(12)와 역방향으로 주행시키고, 앞바퀴(12)와 예비 바퀴(24) 간의 간격 또는 이러한 주행 속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단롤 유닛(1)의 선회 중심(c)을 앞바퀴(12)와 뒷바퀴(14) 간의 임의의 위치로 설정 가능하게 구성했다.

Description

단롤 유닛 및 그 반송 방법{CORRUGATED ROLL UNIT AND METHOD FOR CARRYING THE SAME}
본 발명은 외주면에 각각 파형(波形)의 단부(段部)를 형성한 한쌍의 단롤(段 roll)롤 사이에 종이를 통과시켜서 단성형된 중앙심지에 라이너지를 첩합시켜서 편면 골판지를 제조하는 싱글 페이서(single facer)에 적용되는 단롤 유닛의 구성 및 해당 단롤 유닛의 반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싱글 페이서에 있어서는, 복수 종류의 파형 단부(플룻)를 생산하기 위해서, 생산하는 플룻의 종류에 따라서 싱글 페이서에 조립되어 있는 상하단롤을 교환할 필요가 있다. 혹은, 플룻의 경시적인 마모에 의해 상하단롤을 정기적으로 교환할 필요가 있다. 상하단롤은 상하단롤간의 간격을 고정밀도로 조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통상 미리 해당 간격이 조정된 상태로 프레임에 일체로 장착된 단롤 유닛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해당 단롤 유닛을 싱글 페이서에 조립되되도록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특허 공개 제 1992-59135 호 공보)에, 상하단롤의 교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교환 장치는 상하단롤이 프레임에 조립되어서 일체화한 형태의 신유닛을 크레인 등의 매다는 장치로 싱글 페이서까지 운반하고, 이미 조립되어 있는 상하단롤을 프레임에 조립되어서 일체화된 형태로 싱글 페이서로부터 잘라내고, 별도의 매다는 장치로 매단다. 그리고, 신유닛을 싱글 페이서에 조립하는 동시에, 구유닛을 싱글 페이서의 근방에 둔 대차에 실어서 반송하도록 하고 있다.
특허 문헌 2(특허 공개 제 2000-33658 호 공보)에는, 상하단롤의 별도의 교환 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이 교환 수단은 바퀴 대차에 세워설치한 프레임에 상하단롤을 회전 가능하게 탑재 고정해서 유닛화하고, 교환시에는 이 단롤 유닛을 싱글 페이서 본체의 가동부로부터 기외로 이동하고, 기외에서 상하단 롤을 교환해서, 신 단롤로 교환한 단롤 유닛을 가동부를 향해서 반입하여 조립하도록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상하단롤의 교환 수단은, 상하단롤이 프레임에 조립된 유닛을 매달기 위한 크레인 등의 대대적인 매다는 장치를 필요로 해서, 설비비가 고가가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해당 유닛을 매단 상태로 싱글 페이서의 가동부에 조립할 때의 위치 결정이 용이하지 않아서, 교환 작업에 장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교환 수단에서는, 대차에 세워설치한 프레임에 상하단롤을 회전 가능하게 배설해서 이루어지는 단롤 유닛을 싱글 페이서의 가동부에 조립하거나, 혹은 싱글 페이서 본체로부터 떼어내도록 하고 있다. 해당 단롤 유닛은, 상하단롤의 길이가 2 내지 3m가 되기 때문에, 앞바퀴와 조립의 간격은 약 3.5 내지 4.5m나 되고, 중량은 7 내지 8t에 이른다.
해당 단롤 유닛은 자체주행식이고, 싱글 페이서에서는 상하단롤의 가열용으로 고온 상태가 사용되는 고온 다습 환경이기 때문에, 단롤 유닛에 장착되는 차바퀴의 구동 장치는, 전동 모터보다 에어 모터가 이용된다. 그리고, 에어 모터로 앞바퀴를 구동하는 것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고, 앞바퀴의 방향을 핸들(수동)로 조작해서, 방향 전환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 단롤 유닛을 싱글 페이서 본체로부터 완전하게 뽑아낸 후, 방향 전환하는 경우, 회전 중심은 뒷바퀴가 되기 때문에, 선회 반경이 단롤 유닛의 전체 길이가 되어서, 선회하기 때문에 싱글 페이서의 주위에 넓은 스페이스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의 단롤 유닛에서는 싱글 페이서(s)로부터 뽑아낸 단롤 유닛(1a)을 화살표(d)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큰 선회 반경으로 방향 전환하고, 새로운 단롤 유닛(1b)을 싱글 페이서(s)에 조립하는 경우에도, 화살표(d')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게 방향 전환해서 싱글 페이서(s)의 가동부에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단롤 유닛을 싱글 페이서에 삽입하는 경우, 삽입 위치를 맞추어서 직각 방향으로 똑바로 삽입할 필요가 있다. 종래의 단롤 유닛에서는, 선회 반경이 커서, 조작성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몇 번이나 변환하면서 위치 또는 방향을 맞출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싱글 페이서로의 삽입에 숙련을 필요로 해서, 단롤 유닛의 교환에 장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단롤 유닛을 반송하기 위한 별도의 수단으로서, 에어 스케이터로 단롤 유닛을 띄워서 바닥면(床面)과의 마찰을 미소로 하여, 인력으로 주행시키는 방식도 있다.
그러나, 에어 스케이터 방식은 단롤 유닛이 주행하는 바닥면을 어느 정도의 평활면으로 할 필요가 있는 동시에, 주행중의 중심 변위 등에 의해 바운싱이 발생하기 쉬워, 거동이 안정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단롤 유닛의 이동을 인력으로 행할 필요가 있어서, 바닥면과의 마찰이 낮고, 관성에 의해 타성 주행하기 때문에, 정밀도가 높은 처리나 회전 주행에는 최저 두 명 이상의 오퍼레이터를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과제에 비추어 보아서, 단롤 유닛의 조작성을 개선하는 것에 의해, 단롤 유닛의 싱글 페이서로의 삽입 또는 뽑아냄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싱글 페이서 주변에서 상하단롤의 교환을 위한 넓은 스페이스를 불필요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단롤 유닛은,
한쌍의 단롤을, 주행 바퀴를 갖는 대차에 탑재 고정하여 이루어져서 싱글 페이서의 가동부에 착탈되는 단롤 유닛에 있어서,
뒷바퀴의 근방에 주행 방향을 대차의 횡방향을 향해서 장착되고 또한, 장착 위치가 뒷바퀴보다 상방 또는 하방으로 변경 가능하게 장착된 2개의 예비 바퀴를 구비하고,
단롤 유닛의 선회시 또는 횡방향으로의 이동시에 해당 예비 바퀴를 뒷바퀴보다 하방으로 하강시켜서 단롤 유닛을 앞바퀴와 예비 바퀴로 주행시키는 동시에,
단롤 유닛의 선회시에는, 예비 바퀴를 앞바퀴와 역방향으로 주행시키고, 앞바퀴와 예비 바퀴간의 간격 또는 이러한 주행 속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해당 단롤 유닛의 선회 중심을 앞바퀴와 뒷바퀴간의 임의의 위치로 설정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단롤 유닛에서는, 상기 2개의 예비 바퀴를 마련하고, 선회시 또는 횡방향으로의 이동시에 앞바퀴와 해당 예비 바퀴로 주행시키도록 한다. 그 때문에, 횡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서, 단롤 유닛을 전후 방향으로부터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단롤 유닛을 선회시킬 필요가 없다.
또한, 단롤 유닛을 선회시키는 경우에는, 예비 바퀴를 앞바퀴와 역방향으로 주행시키도록 하고, 앞바퀴와 예비 바퀴간의 간격 또는 이러한 주행 속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해당 단롤 유닛의 선회 중심을 앞바퀴와 뒷바퀴간의 임의의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서, 단롤 유닛의 선회 반경을 단롤 유닛의 중심 부근으로 설정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종래와 같이 단롤 유닛을 뒷바퀴를 중심으로 선회시키는 경우와 비교해서, 선회 반경을 대략 반 가깝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선회에 필요로 하는 스페이스를 좁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단롤 유닛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 장치의 단롤 유닛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예비 바퀴를 대차에 대한 종축 방향 장착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장착하고, 앞바퀴와 예비 바퀴간의 간격 및 이러한 주행 속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단롤 유닛의 선회 중심 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단롤 유닛의 선회 중심의 설정이 용이하게 되어서, 앞바퀴와 뒷바퀴간의 임의의 위치에 정밀도 좋게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2개의 예비 바퀴의 대차에 대한 종축 방향의 장착 위치를 고정시키고, 앞바퀴와 해당 예비 바퀴와의 주행 속도 차이에 의해 단롤 유닛의 선회 중심 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하면, 예비 바퀴의 장착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어서, 상기 구성과 비교해서, 예비 바퀴의 장착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롤 유닛에 있어서,
앞바퀴의 근방에 주행 방향을 대차의 횡방향을 향해서 고정되고, 또한 장착 위치가 앞바퀴보다 상방 또는 하방으로 변경 가능해지도록 장착된 1 또는 2개의 제 2 예비 바퀴를 마련하고,
단롤 유닛의 선회시 또는 횡방향으로의 이동시에 상기 예비 바퀴와 해당 제 2 예비 바퀴로 주행시키는 동시에,
단롤 유닛의 선회시에는 예비 바퀴와 제 2 예비 바퀴를 서로 역방향으로 주행시키고, 해당 예비 바퀴와 해당 제 2 예비 바퀴간의 간극 또는 이러한 주행 속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해당 단롤 유닛의 선회 중심을 예비 바퀴와 제 2 예비 바퀴간의 임의의 정도치로 설정 가능하게 구성해도 무방하다.
이 경우, 예비 바퀴 및 제 2 예비 바퀴는 대차에 대한 종축 방향의 장착 위치를 고정으로 하거나, 또는 이동 가능해지도록 구성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서, 선회시의 단롤 유닛의 선회 중심의 설정이 더욱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단롤 유닛에 있어서, 예비 바퀴를 상하 방향으로 가변이 되도록 대차에 장착하는 수단으로서, 예비 바퀴를 가요성 용기로 이루어지는 공기 스프링을 거쳐서 대차에 장착하고, 해당 공기 스프링에 압축 공기를 급배하는 것에 의해서 해당 예비 바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해서, 대차에 예비 바퀴의 하한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를 마련하도록 하면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바닥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해당 공기 스프링로 흡입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스토퍼에 의해서 예비 바퀴의 하한 위치를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예비 바퀴를 해당 하한 위치로 보지하는 것에 의하여, 뒷바퀴의 사이에 상하 방향 위치에 항상 일정한 차이를 갖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롤 유닛에 있어서, 단롤 유닛의 전방에 앞바퀴에 연결된 핸들을 마련하고, 해당 핸들과 앞바퀴의 방향이 연동하도록 구성해서, 해당 핸들에 조작 패널을 마련하고, 해당 조작 패널에, 운전 조건 입력부와, 입력된 선회시의 운전 조건으로부터 산출되는 단롤 유닛의 선회 중심을 표시하는 선회 중심 표시부를 마련하면 좋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앞바퀴에 구동 장치를 연결하고, 오퍼레이터가 핸들의 방향을 수동으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단롤 유닛을 주행시킨다. 이 경우, 핸들에 조작 패널을 마련하고, 오퍼레이터가 해당 조작 패널에 운전 조건을 입력하면, 해당 운전 조건에 응한 단롤 유닛의 선회 중심이 산출되어, 이 선회 중심이 선회 중심 표시부에 표시된다.
이것에 의해서, 단롤 유닛을 반송중의 오퍼레이터에 의해서 단롤 유닛의 선회 중심이 명확하게 파악되기 때문에, 단롤 유닛의 반송을 보다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롤 유닛의 반송 방법은, 상기 본 발명의 단롤 유닛을 이용한 반송 방법에 있어서,
단롤 유닛의 선회시 또는 횡방향으로의 이동시에 해당 예비 바퀴를 뒷바퀴보다 하방으로 하강시켜서, 단롤 유닛을 앞바퀴와 예비 바퀴로 주행시키고,
단롤 유닛의 횡방향으로의 이동시는, 앞바퀴를 횡방향을 향해서 해당 앞바퀴와 예비 바퀴로 주행시키고,
단롤 유닛의 선회시에는 앞바퀴와 예비 바퀴를 서로 역방향으로 주행시키는 동시에, 앞바퀴와 예비 바퀴간의 간격 또는 이러한 주행 속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단롤 유닛의 선회 중심을 앞바퀴와 뒷바퀴간의 설정 위치로 설정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 방법에 있어서, 싱글 페이서에서의 사용후의 교환되는 단롤 유닛(구 단롤 유닛)과 새롭게 싱글 페이서에 장착되는 단롤 유닛(신 단롤 유닛)을 교환하는 경우에,
싱글 페이서의 가동부에 조립된 구 단롤 유닛을 종축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싱글 페이서의 가동부로부터 인출한 후, 구 단롤 유닛에 대해서 신 단롤 유닛을 인접 위치에 병렬로 나열해서 연결하고,
신구 양단 롤 유닛의 앞바퀴를 횡방향을 향해서 앞바퀴 및 예비 바퀴로 신구 양단롤 유닛을 일체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신 단롤 유닛을 싱글 페이서의 가동부에 면한 위치에 이동시키고,
그 후, 신구 양단롤 유닛의 연결을 해제해서, 신 단롤 유닛을 해당 가동부에 삽입하도록 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서, 구 단롤 유닛과 신 단롤 유닛을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교환 작업을 용이하게 해서, 교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 경우, 구 단롤 유닛 및 신 단롤 유닛의 앞바퀴 및 예비 바퀴를 에어 모터로 구동하고, 적어도 신구 양단롤 유닛의 연결시에 신구 양단롤 유닛의 에어 모터에 공급하는 압축 공기를 동일 공급원으로부터 공급하도록 하면 좋다. 이것에 의해서, 압축 공기 공급원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동시에, 양단롤 유닛에 공급하는 압축 공기압의 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단롤 유닛에 의하면, 한쌍의 단롤을 주행 바퀴를 갖는 대차에 탑재 고정하여 이루어져서 싱글 페이서의 가동부에 착탈되는 단롤 유닛에 있어서, 뒷바퀴의 근방에 주행 방향을 대차의 횡방향을 향해서 장착되고, 또한 장착 위치가 뒷바퀴보다 상방 또는 하방으로 변경 가능하게 장착된 2개의 예비 바퀴를 구비하고, 단롤 유닛의 선회시 또는 횡방향으로의 이동시에 해당 예비 바퀴를 뒷바퀴보다 하방으로 하강시켜서 단롤 유닛을 앞바퀴와 예비 바퀴로 주행시키는 동시에, 단롤 유닛의 선회시에는, 예비 바퀴를 앞바퀴와 역방향으로 주행시키고, 앞바퀴와 예비 바퀴간의 간격 또는 이러한 주행 속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해당 단롤 유닛의 선회 중심을 앞바퀴와 뒷바퀴간의 임의의 위치로 설정 가능하게 구성한 것에 의해, 단롤 유닛의 횡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단롤 유닛의 선회 반경을 축소할 수 있으므로, 단롤 유닛의 조작성이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싱글 페이서 주변의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롤 유닛의 반송 방법에 의하면, 본 발명의 단롤 유닛을 이용해서, 단롤 유닛의 선회시 또는 횡방향으로의 이동시에 해당 예비 바퀴를 뒷바퀴보다 하방으로 하강시켜서 단롤 유닛을 앞바퀴와 예비 바퀴로 주행시키고, 단롤 유닛의 횡방향으로의 이동시에는, 앞바퀴를 횡방향을 향해서 해당 앞바퀴와 예비 바퀴로 주행시키고, 단롤 유닛의 선회시에는, 앞바퀴와 예비 바퀴를 서로 역방향으로 주행시키는 동시에, 앞바퀴와 예비 바퀴간의 간격 또는 이러한 주행 속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단롤 유닛의 선회 중심을 앞바퀴와 뒷바퀴간의 설정 위치로 설정하도록 한 것에 의해, 단롤 유닛의 횡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단롤 유닛의 선회 반경을 축소할 수 있으므로, 단롤 유닛의 조작성이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싱글 페이서 주변의 스페이스를 축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단롤 유닛의 정면도,
도 2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단롤 유닛의 평면도,
도 3은 도 1 중의 A-A선에 따른 측면도,
도 4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조작 패널(10)의 정면도,
도 5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단롤 유닛(1)의 반송 방향의 설명도,
도 6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단롤 유닛(1)의 반송 방법의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형태를 이용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 실시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 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특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을 그것에만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의 단롤 유닛에 관련되는 제 1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4에 근거해 설명한다. 도 1은 해당 반송 장치의 정면도, 도 2는 같은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따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단롤 유닛(1)은 대차(2)에 상단 롤(3) 및 하단 롤(4)을 탑재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대차(2) 앞부분 및 뒷부분에는, 상단 롤(3) 및 하단 롤(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앞부분 지지 프레임(5) 및 뒷부분 지지 프레임(6)이 세워설치되어 있다.
대차(2)의 전단부에는, 베어링(7)에 회전축(8)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축(8)의 상단에는 핸들(9)이 좌우 방향[도 2 화살표(a)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착되어 있다. 핸들(9)은 오퍼레이터가 핸들(9)의 파지부(9a)를 파지해서 단롤 유닛(1)을 이동 방향으로 향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파지부(9a)에는 후술하는 조작 패널(10)이 장착되어 있다. 회전축(8)의 하단에는, 커버(11) 부착된 1개의 앞바퀴(12)가 마련되어 있다. 앞바퀴(12)는 도시하지 않는 에어 모터로 이루어지는 구동 장치에 의해 주행한다. 그 때문에, 핸들(9)의 방향에 연동해서 앞바퀴(12)가 핸들(9)과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되어 있다.
뒷부분 지지 프레임(6)의 대차 폭방향 양단에, 뒷부분 지지 프레임(6)으로부터 후방으로 2개의 지지 프레임(13)이 돌출설치되고, 해당 지지 프레임(13)에 각각 뒷바퀴(14)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뒷바퀴(14)는 구동 장치가 없고, 앞바퀴(12)에 의해서 주행하는 단롤 유닛(1)에 종동한다.
대차(2)에는, 후술하는 예비 바퀴(24)를 장착하기 위한 오목부(21)가 형성되어 있다. 해당 오목부(21)에는, 뒷바퀴(14) 근방의 위치에, 신축성 용기로 이루어지는 2개의 공기 스프링(22)이 대차 폭방향으로 장착되고, 공기 스프링(22) 하부에는 프레임(23)을 거쳐서 예비 바퀴(24)가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비 바퀴(24)는 일정 위치에 고정된다.
공기 스프링(22)에는 도시하지 않는 압축 공기 공급원으로부터 압축 공기가 급배되고, 압축 공기의 급배에 의해서 공기 스프링(22)이 신축한다. 그리고, 공기 스프링(22)의 신축에 의해서 예비 바퀴(24)의 위치가 상하로 미소 이동한다. 또한, 공기 스프링(22)은 신축성 용기의 상위 개념인 가요성 용기로 구성되어도 괜찮다.
예비 바퀴(24)의 회전축(28)은 대차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예비 바퀴(24)는 대차 폭방향으로 주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오목부(21) 내에서 예비 바퀴(24)에 인접한 위치에 지지 브래킷(25)이 하방으로 돌출설치되고, 지지 브래킷(25)에 에어 모터(26)가 고정되어 있다. 에어 모터(26)의 출력축에는 치차(27)가 장착되고, 치차(27)는 예비 바퀴(24)의 회전축(28)에 장착된 치차(29)와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에어 모터(26)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예비 바퀴(24)를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예비 바퀴(24)의 적어도 1개는, 이러한 구동 기구에 의해서 구동된다.
또한, 프레임(23)의 뒷바퀴(14) 근방에는 스토퍼 기구(31)가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 기구(31)는 대차(2)의 오목부(21)에 심어 설치된 볼트(32) 및 볼트(32)에 나사결합한 너트(33)와, 뒷바퀴(14) 측을 향해서 수평 방향으로 위치해서 프레임(23)에 고정된 계지 부재(34)로 이루어진다. 계지 부재(34)는 볼트(32)에 유격 끼워맞춤되어 있고, 너트(33)에 계지해서 그 하강 위치가 규제된다. 또한, 너트(33)의 볼트(32)에 대한 나사결합 위치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서, 예비 바퀴(24)의 하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앞부분 지지 프레임(5)의 하단에는, 대차 폭방향 양단에, 단롤 유닛(1)이 횡방향으로 소정 이상 기울었을 때에, 그 이상의 기울기를 멈추기 위한 스토퍼(15)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5에 근거해서 본 실시형태의 단롤 유닛(1)의 반송 방법을 설명한다. 도 5에 있어서, 싱글 페이서(s)에 조립되어서 지금까지 운전에 제공된 구 단롤 유닛(1a)을 신 단롤 유닛(1b)으로 교환하는 경우에는, 우선 구 단롤 유닛(1a)을 화살표(b) 방향으로 반송해서 싱글 페이서(s)로부터 인발한다. 그 후, 공기 스프링(22)에 도시하지 않는 압축 공기 공급원으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해서, 예비 바퀴(24)를 하강시킨다.
그리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비 바퀴(24)로 단롤 유닛(1)의 후측을 지지시키고, 뒷바퀴(14)를 바닥면(f)으로부터 띄우도록 한다. 뒷바퀴(14)의 뜨는량(t)은 예를 들면, 10 내지 20mm 정도가 좋다. 이것에 의해서, 단롤 유닛(1)은 1개의 앞바퀴(12)와 2개의 예비 바퀴(24)로 지지되도록 된다. 그 후, 오퍼레이터가 핸들(9)을 조작하고, 앞바퀴(12)를 대차 폭방향을 향하는 것에 의해서, 단롤 유닛(1)을 횡방향[도 5중의 화살표(e) 방향]을 향해서 반송한다.
이와 같이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단롤 유닛(1a)을 선회시키지 않고 횡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으므로, 싱글 페이서(s)의 주변에 선회용의 스페이스를 취할 필요가 없어진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롤 유닛(1)을 작은 선회 반경에서 선회시키는 반송 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핸들(9)의 파지부(9a)에 장착된 조작 패널(10)을 도시한다. 도 4에 있어서, 조작 패널(10)에는 앞바퀴(12)나 예비 바퀴(24)의 속도, 싱글 페이서(s) 주변의 스페이스, 또는 싱글 페이서(s) 주변의 바닥면(f)의 요철 상태 등, 여러 가지의 운전 조건을 입력하는 운전 조건 입력부 (100)와, 입력된 운전 조건에 근거해서 자동적으로 산출된 단롤 유닛(1)의 선회 중심(c)이 표시되는 선회 중심 표시부(101)가 배치되어 있다.
선회 중심(c)은 서로 역방향으로 주행하는 앞바퀴(12)와 예비 바퀴(24)의 주행 속도 및 앞바퀴(12)와 예비 바퀴(24)의 위치에 근거해서 결정된다. 즉, 앞바퀴(12)로부터 선회 중심(c)까지의 거리(l1) 및 예비 바퀴(24)로부터 선회 중심(c)까지의 거리(l2)는, 앞바퀴(12) 및 예비 바퀴(24)의 주행 속도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산출된 선회 중심(c)의 위치가 자동적으로 선회 중심 표시부(101)에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선회 중심 표시부(101)에서는, 단롤 유닛(1)의 윤곽이 도시되고, 해당 윤곽 중의 산출된 위치에 선회 중심(c)이 표시된다. 선회 중심(c)이 정확히 단롤 유닛(1)의 중심 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단롤 유닛(1)의 선회 반경을 최소로 할 수 있다.
도 5에 있어서, 단롤 유닛(1a)을 싱글 페이서(s)로부터 인출한 위치에서, 오퍼레이터가 조작 패널(10)을 조작해서 단롤 유닛(1a)을 선회시킨다. 이것에 의해서, 단롤 유닛(1a)을 운전 조건에 따라 설정된 선회 중심(c)을 축으로 해서, 1a'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선회시킨다. 그 후, 단롤 유닛(1)을 화살표 e방향으로 반송시킨다.
또한, 새로운 단롤 유닛(1b)을 싱글 페이서(s)에 조립하는 경우, 도시와 같이, 앞바퀴(12) 및 뒷바퀴(14)를 주행시키고, 신 단롤 유닛(1b)을 싱글 페이서(s)로의 뒷바퀴 위치까지 반송한다. 다음에, 예비 바퀴(24)를 뒷바퀴(14)보다 하방에 위치시키고, 신싱글 페이서(1b)를 앞바퀴(12) 및 예비 바퀴(24)에 의해서 바닥면(f)에 지지시킨다. 그 후, 상기와 마찬가지의 조작으로 단롤 유닛(1b)을 최소의 선회 반경으로 90도 선회시켜서 싱글 페이서(s)측으로 향하게 한다. 그리고, 단롤 유닛(1b)을 싱글 페이서(s)에 조립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단롤 유닛(1)을 전후 방향의 이동으로부터 선회 동작 없이 횡이동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최소의 선회 반경으로 선회시킬 수 있으므로, 단롤 유닛(1)의 교환시에, 단롤 유닛(1)의 자세 제어가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단롤 유닛(1)의 조작성이 용이하게 되어서, 한 명의 오퍼레이터로 단롤 유닛(1)을 반송할 수 있는 동시에, 단롤 유닛(1)의 반송을 위해서 싱글 페이서(s)의 주변에 큰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예비 바퀴(24)의 하한 위치를 스토퍼 기구(31)로 규제할 수 있는 동시에, 바닥면(f)으로부터 받는 충격을 공기 스프링(22)으로 받아서 흡수하고, 단롤 유닛(1)의 본체까지 전달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너트(33)의 볼트(32)에 대한 나사결합 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예비 바퀴(24)의 하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조작 패널(10)에 운전 조건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 자동적으로 선회 중심(c)이 산출되고, 산출된 선회 중심(c)이 선회 중심 표시부(101)에 표시되므로, 오퍼레이터에 의한 단롤 유닛(1)의 반송을 용이하고, 또한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대차(2)에 오목부(21)를 마련하고, 해당 오목부(21)에 예비 바퀴(24)나 에어 모터(26) 및 스토퍼 기구(31)를 장착했으므로, 이러한 기기류를 컴팩트하게 해당 오목부(21)에 합쳐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단롤 유닛(1)을 대형화하는 일 없이, 싱글 페이서(s)의 가동부에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단롤 유닛(1)의 횡방향으로의 기울기를 스토퍼(15)로 멈추도록 하고 있으므로, 단롤 유닛(1)의 쓰러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뒷바퀴(14) 근방의 대차(2)에 예비 바퀴(24)를 고정했지만, 본 실시형태의 변형예로서, 예비 바퀴(24)를 대차(2)에 대해서 대차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하면, 예비 바퀴(24)의 위치와 앞바퀴(12) 및 예비 바퀴(24)의 속도의 2개의 파라메타로 선회 중심(c)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선회 중심(c)의 위치를 한층 더 정밀도 좋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예비 바퀴(24)에 더하여, 1개 또는 2개의 제 2 예비 바퀴를 앞바퀴(12) 근방에 마련하고, 단롤 유닛(1)의 횡방향 이동시나 선회시에 예비 바퀴(24)와 제 2의 예비 바퀴로 단롤 유닛(1)을 주행시키도록 해도 무방하다. 도 6은 이 변형예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 6에 있어서, 뒷바퀴(14) 근방에 마련된 예비 바퀴(24)에 더하여, 앞바퀴(12) 근방의 위치에서, 또한 대차 폭방향 양측단에 2개의 제 2의 예비 바퀴(35)가 마련되어 있다.
제 2의 예비 바퀴(35)는 예비 바퀴(24)와 동일 구성을 이루고, 상하 방향 위치를 가변으로 할 수 있고, 또한 그 주행 방향은 대차 폭방향을 향하고 있다. 그리고, 단롤 유닛(1)을 횡이동 또는 선회시킬 때에는, 예비 바퀴(24) 및 제 2 예비 바퀴(35)를 앞바퀴(12) 및 뒷바퀴(14)로부터 하강시키고, 예비 바퀴(24)와 제 2 예비 바퀴(35)로 단롤 유닛(1)을 지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횡방향 이동시 또는 선회시에, 단롤 유닛(1)을 2개의 예비 바퀴(24)와 2개의 제 2 예비 바퀴(35)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단롤 유닛(1)을 안정하게 주행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예비 바퀴(35)를 2개 마련하는 대신에,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개의 제 2 예비 바퀴(35')를 앞바퀴(12) 근방의 중앙 위치에 1개만 장착하도록 해도 괜찮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7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도 7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구조의 단롤 유닛(1)을 이용한다. 싱글 페이서(s)에 조립해서 운전하도록 한 구 단롤 유닛(1a)을 교환하는 경우에, 우선, 구 단롤 유닛(1a)을 싱글 페이서(s)의 가동부로부터 화살표(b) 방향으로 인발한다.
다음에, 신 단롤 유닛(1b)을 횡방향[화살표(e) 방향]으로 반송해서 구싱글 페이서(1a)에 접근시키고, 구싱글 페이서(1a)에 인접해서 구싱글 페이서(1a)에 대해서 병렬로 나열한다.
다음에, 기계적 연결 도구(42)로 신구 양 단롤 유닛을 연결한다. 그리고, 신구 양 단롤 유닛으로, 앞바퀴(12)나 예비 바퀴(24)의 에어 모터 및 공기 스프링(22)과 단일의 압축 공기 공급원(40)을 호스(41)로 접속한다. 신구 양 단롤 유닛의 이들 압축 공기를 필요로 하는 기기류에 단일의 압축 공기 공급원(40)으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하도록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신구 양 단롤 유닛(1a, 1b)을 병렬로 한 상태로 기계적으로 연결하고, 화살표(e) 방향으로 반송한다. 그리고, 신 단롤 유닛(1b)이 싱글 페이서(s)의 편입 위치에 도달했을 때, 반송을 멈춘다. 그 후, 양 단롤 유닛의 결합을 해제하고, 구 단롤 유닛(1a)만 반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신구 양 단롤 유닛을 일체로 동시에 반송할 수 있으므로, 반송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신구 양 단롤 유닛에 단일의 압축 공기 공급원(40)으로부터 압축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조작이 용이하게 되는 동시에, 설비비를 저비용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싱글 페이서의 상하단롤을 사양 교환 또는 수리 등의 이유에 의해 교환하는 경우에, 단롤 유닛의 싱글 페이서로의 삽입 또는 뽑아내기를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싱글 페이서 주변에 넓은 스페이스를 불필요로 할 수 있다.

Claims (9)

  1. 한쌍의 단롤을, 주행 바퀴를 갖는 대차에 탑재 고정하여 이루어지고 싱글 페이서의 가동부에 착탈되는 단롤 유닛에 있어서,
    뒷바퀴의 근방에 주행 방향을 대차의 횡방향을 향해서 장착되고, 또한 장착 위치가 당해 뒷바퀴보다 상방 또는 하방으로 변경 가능하게 장착된 2개의 예비 바퀴를 구비하고,
    당해 단롤 유닛의 선회시 또는 횡방향으로의 이동시에 당해 예비 바퀴를 당해 뒷바퀴보다 하방으로 하강시켜서 단롤 유닛을 앞바퀴와 당해 예비 바퀴로 주행시키는 동시에,
    당해 단롤 유닛의 선회시에는, 당해 예비 바퀴를 당해 앞바퀴와 역방향으로 주행시키고, 당해 예비 바퀴의 당해 대차에 대한 전후 방향 위치 또는, 당해 앞바퀴와 당해 예비 바퀴의 주행 속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당해 단롤 유닛의 선회 중심을 당해 앞바퀴와 당해 뒷바퀴간의 임의의 위치로 설정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롤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상기 예비 바퀴를 상기 대차에 대한 전후 방향 장착 위치를 변경 가능하게 장착하고, 당해 예비 바퀴의 당해 대차에 대한 전후 방향 위치 및, 당해 앞바퀴와 당해 예비 바퀴의 주행 속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단롤 유닛의 선회 중심 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롤 유닛.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상기 예비 바퀴의 상기 대차에 대한 전후 방향의 장착 위치를 고정시키고, 상기 앞바퀴와 당해 예비 바퀴와의 주행 속도 차이에 의해 상기 단롤 유닛의 선회 중심 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롤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앞바퀴의 근방에 주행 방향을 상기 대차의 횡방향을 향해서 고정되고, 또한 장착 위치가 당해 앞바퀴보다 상방 또는 하방으로 변경 가능하게 되도록 장착된 1개 또는 2개의 제 2 예비 바퀴를 마련하고,
    상기 단롤 유닛의 선회시 또는 횡방향으로의 이동시에 상기 예비 바퀴와 상기 제 2 예비 바퀴로 주행시키는 동시에,
    당해 단롤 유닛의 선회시에는, 당해 예비 바퀴와 당해 제 2 예비 바퀴를 서로 역방향으로 주행시키고, 당해 예비 바퀴와 당해 제 2 예비 바퀴의 주행 속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당해 단롤 유닛의 선회 중심을 당해 예비 바퀴와 당해 제 2 예비 바퀴간의 임의의 위치로 설정 가능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롤 유닛.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 바퀴를 가요성 용기로 이루어진 공기 스프링을 거쳐서 상기 대차에 장착하고, 당해 공기 스프링에 압축 공기를 급배하는 것에 의해서 당해 예비 바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당해 대차에 당해 예비 바퀴의 하한 위치를 규제하는 스토퍼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롤 유닛.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롤 유닛의 전방에 상기 앞바퀴에 연결된 핸들을 마련하고, 당해 핸들과 당해 앞바퀴의 방향이 연동하도록 구성하고,
    당해 핸들에 조작 패널을 마련하고, 당해 조작 패널에, 운전 조건 입력부와, 입력된 선회시의 운전 조건으로부터 산출되는 당해 단롤 유닛의 선회 중심을 표시하는 선회 중심 표시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롤 유닛.
  7. 제 1 항에 기재된 단롤 유닛의 반송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롤 유닛의 선회시 또는 횡방향으로의 이동시에 상기 예비 바퀴를 상기 뒷바퀴보다 하방으로 하강시켜서 당해 단롤 유닛을 상기 앞바퀴와 당해 예비 바퀴로 주행시키고,
    당해 단롤 유닛의 횡방향으로의 이동시는, 당해 앞바퀴를 횡방향을 향해서 당해 앞바퀴와 당해 예비 바퀴로 주행시키고,
    당해 단롤 유닛의 선회시에는, 당해 앞바퀴와 당해 예비 바퀴를 서로 역방향으로 주행시키는 동시에, 당해 예비 바퀴의 상기 대차에 대한 전후 방향 위치 또는, 당해 앞바퀴와 당해 예비 바퀴의 주행 속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당해 단롤 유닛의 선회 중심을 당해 앞바퀴와 당해 뒷바퀴간의 설정 위치로 설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롤 유닛의 반송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싱글 페이서의 가동부에 조립된 구(舊) 단롤 유닛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당해 싱글 페이서의 당해 가동부로부터 인출한 후, 당해 구 단롤 유닛에 대해서 신(新) 단롤 유닛을 인접 위치에 병렬로 나열해서 연결하고,
    신구 양 단롤 유닛의 앞바퀴를 횡방향을 향해서 당해 신구 양(兩) 단롤 유닛의 당해 앞바퀴 및 당해 예비 바퀴로 당해 신구 양 단롤 유닛을 일체적으로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당해 신 단롤 유닛을 당해 싱글 페이서의 당해 가동부에 면한 위치에 이동시키고,
    그 후 당해 신구 양 단롤 유닛의 연결을 해제해서, 당해 신 단롤 유닛을 당해 가동부에 삽입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롤 유닛의 반송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신구 양 단롤 유닛의 상기 앞바퀴 및 상기 예비 바퀴를 에어 모터로 구동하고, 적어도 당해 신구 양 단롤 유닛의 연결시에 당해 신구 양 단롤 유닛의 당해 에어 모터에 공급하는 압축 공기를 동일 공급원으로부터 공급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롤 유닛의 반송 방법.
KR1020107011661A 2008-02-25 2009-01-21 단롤 유닛 및 그 반송 방법 KR1011702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43659 2008-02-25
JP2008043659A JP5319932B2 (ja) 2008-02-25 2008-02-25 段ロールユニット及びその搬送方法
PCT/JP2009/051290 WO2009107439A1 (ja) 2008-02-25 2009-01-21 段ロールユニット及びその搬送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4307A KR20100074307A (ko) 2010-07-01
KR101170244B1 true KR101170244B1 (ko) 2012-07-31

Family

ID=41015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1661A KR101170244B1 (ko) 2008-02-25 2009-01-21 단롤 유닛 및 그 반송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319932B2 (ko)
KR (1) KR101170244B1 (ko)
WO (1) WO20091074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294845B (zh) * 2011-09-26 2012-12-12 朱青东 瓦楞辊自动清废装置
JP6857038B2 (ja) * 2017-01-23 2021-04-14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段ロールユニット搬送装置並びに段ロールユニットの交換装置及び方法
CN107032166B (zh) * 2017-05-28 2018-10-30 杭州万乘科技有限公司 一种折叠式堆叠清废机
JP7209548B2 (ja) * 2019-01-23 2023-01-20 三菱重工機械システム株式会社 段ロールユニット搬送装置および方法
IT201900004661A1 (it) 2019-03-28 2020-09-28 Fosber Spa Impianto comprendente un ondulatore, e metod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3658A (ja) 1998-07-15 2000-02-02 Isowa Corp シングルフェーサの段ロール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0836A (ja) * 1993-07-30 1995-02-10 New Oji Paper Co Ltd ロール搬送用台車
JPH07187586A (ja) * 1993-12-24 1995-07-25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油圧パレット装置
JP2000302046A (ja) * 1999-04-19 2000-10-31 Okuma Engineering:Kk 配膳車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3658A (ja) 1998-07-15 2000-02-02 Isowa Corp シングルフェーサの段ロール搬送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96331A (ja) 2009-09-03
JP5319932B2 (ja) 2013-10-16
WO2009107439A1 (ja) 2009-09-03
KR20100074307A (ko)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0244B1 (ko) 단롤 유닛 및 그 반송 방법
CN202688836U (zh) 用来安装筑路机械的可更换的铣刨设备的调运装置
CN102192817B (zh) 输送和固定用于补偿不平衡度的平衡元件的装置和方法
JP6450401B2 (ja) 双腕ロボット
CN101765476A (zh) 工件传送装置
CN106542723B (zh) 一种在线更换过渡辊的方法
US20130334289A1 (en) Movable joining device for connecting structural components of an aircraft
CN104511784B (zh) 包括纵向导轨和横向臂的机床
CN109703272A (zh) 一种墙纸铺贴机器人
CN105731777A (zh) 一种玻璃上片切割一体机
US8245832B2 (en) Belt conveyor device
JP3960301B2 (ja) 自動車用ボディサイド搬送装置
CN102164834A (zh) 用于薄片对准的装置及方法
CN101228003A (zh) 用于磨削和/或精加工工件的装置
CN109234861A (zh) 一种可调节的纺织架
KR102245028B1 (ko) 구형 탱크 자동 용접 장치
CN112372730A (zh) 一种板材切割用角度调节装置
EP0592349B1 (en) Belt weigher
JP6600963B2 (ja) 布接着装置
JP2018199447A (ja) 電気自動車
KR100423205B1 (ko) 교량구조물의 보강리브용접장치
JP2018199379A (ja) 床下機器着脱装置
CN103921115A (zh) 焊装调整线的门盖总成配送装置
US8511934B1 (en) Drive train assembly for a concrete finishing machine with centrally located engine
JPS61262495A (ja) 筒状構造体へ水平に突合せ接合すべき筒状要素を支持す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