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9623B1 -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법 - Google Patents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9623B1
KR101169623B1 KR1020067023236A KR20067023236A KR101169623B1 KR 101169623 B1 KR101169623 B1 KR 101169623B1 KR 1020067023236 A KR1020067023236 A KR 1020067023236A KR 20067023236 A KR20067023236 A KR 20067023236A KR 101169623 B1 KR101169623 B1 KR 101169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yester film
coating
inorganic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3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3691A (ko
Inventor
신지 야노
아츠시 오야마츠
Original Assignee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05/010006 external-priority patent/WO2005116120A1/ja
Publication of KR20070023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9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96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08J7/0423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with at least one layer of inorganic material and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8Particle size between 100-10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9Particle size larger than 10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9Lamin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09J2433/003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in the primer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3Presence of polyester in the primer 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67/00Presence of polyester
    • C09J2467/006Presence of polyester in the substrate

Abstract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 상에 도포층이 형성되고, 그 도포층은 고분자 바인더와 평균 입자직경이 200~2,000㎚ 의 범위에 있는 무기 유기 복합 입자를 함유하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이 필름은 우수한 내흠집성, 접착성, 투명성 및 이활성을 갖고 있어 광학용 이접착성 필름으로서 유용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Description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법{MULTILAYER POLYESTER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본 발명은,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 상에 도막 (塗膜) 을 형성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특히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의 2 축 연신 필름은, 우수한 기계적 성질, 내열성, 내약품성을 갖기 때문에, 자기 테이프, 강자성 박막 테이프, 사진 필름, 포장용 필름, 전자부품용 필름, 전기 절연 필름, 금속판 라미네이트용 필름, 유리 디스플레이 등의 표면에 붙이는 필름, 각종 부재의 보호용 필름 등의 소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최근, 특히 각종 광학용 필름에 많이 사용되어, 액정 표시 장치의 부재인 프리즘 렌즈 시트, 터치 패널, 백라이트 등의 베이스 필름, 반사 방지용 필름의 베이스 필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전자파 실드 필름, 유기 EL 디스플레이 베이스 필름, 디스플레이의 방폭용 베이스 필름 등의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광학용 필름에 사용되는 베이스 필름은 우수한 투명성이 요구된다. 또한 프리즘 렌즈층, 하드 코트, 점착제, 반사 방지 처리, 스퍼터층 등에 대한 우수한 이접착성 (易接着性) 이 요구된다.
광학용 기재 필름에는 투명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통상 첨가하는 필러의 양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접착층 (易接着層) 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이접착층에 유리 전이점이 낮은 수지가 사용된다. 이와 같이 광학용 필름에서는 최소한의 양의 필러를 함유하거나 또는 전혀 필러를 함유하지 않기 때문에 필름 표면이 평탄하게 되어 있고, 또 유리 전이점이 낮은 수지가 이접착층에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필름을 감거나 포개었을 때에 필름끼리의 접착이 발생하여, 필름끼리 미끄러지지 않기 때문에 핸들링성이 악화되거나, 미끄러지기 어렵기 때문에 막 제조나 가공 공정에서 표면에 흠집이 생기기 쉬워지는 문제 등이 있다. 이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접착층에 미립자를 첨가하여 활성이나 내흠집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가능하지만, 이접착층의 헤이즈가 높아져, 투명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베이스 필름이 고투명이면 이접착층의 다소간의 도포층 막두께 변화에 의해서도 도포 결점이 되어, 외관 불량이 되는 경우가 있다. 내 (耐) 흠집성이나 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200㎚ 를 초과하는 입자직경을 갖는 미립자를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96696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29395호 참조). 그러나, 이들 기술에서는 미립자가 결락되거나, 필름의 내흠집성이 열화되기 때문에 금속 롤 등의 경도가 높은 물건과의 접촉에 의해 필름에 흠집이 생긴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2 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일반적으로 다른 재료, 예를 들어 아크릴계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프리즘 렌즈층이나 하드 코트와의 접착성이 나쁘기 때문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면에 폴리에스테르 수지나 아크릴 수지나 우레탄 수지 등의 이접착층을 적층하여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19215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46855호 참조). 그러나, 이들 수지로 이루어지는 이접착층을 형성한 것에서는 접착력이 부족해지는 경우가 있어, 예를 들어, CRT 용의 필름에서는 하드 코트층에 대한 접착은 양호하지만 반대면의 점착층에 대한 접착이 불충분하여, 범용성이 부족하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투명성, 이활성 (易滑性) 및 특히 내흠집성이 우수하고, 나아가 여러 가지 광학 용도에 사용되는 층과의 접착력이 우수하며, 도포 결점이 적은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공업적으로 유리한 제조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이점은 이하의 설명에 의해 분명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은, 첫째로,
(A)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B) 폴리에스테르 필름 (A) 의 적어도 한쪽 면 상에 형성된 도포층, 이 도포층은 고분자 바인더 및 평균 입자직경 200~2,000㎚ 의 무기 유기 복합 입자를 함유하는 도포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은, 둘째로,
결정 배향이 완료되기 전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고분자 바인더 및 평균 입경 200~2,000㎚ 의 무기 유기 복합 입자를 함유하는 수성 도포액을 도포하고, 이어서 적어도 한쪽 방향으로 연신하고 또한 열고정하여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 상에 도포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광학용 접착성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2 염기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와 디올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로부터 합성되는 선형상 포화 폴리에스테르이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는 역학적 물성이나 광학 물성 등의 밸런스가 좋기 때문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폴리에스테르는, 상기 각 폴리에스테르의 반복하는 것끼리만으로 이루어지는 공중합체여도 되고, 상기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어 80몰% 이상과 다른 종류의 수지 예를 들어 20몰% 이하와의 블렌드이어도 된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는, 착색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유기 활제, 촉매를 함유해도 된다. 필러를 함유하지 않은 쪽이 투명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예를 들어 상기의 폴리에스테르를 필름형상으로 용융 압출하고, 캐스팅 드럼에서 냉각 고화시켜서 미연신 필름으로 하고, 이 미연신 필름을 Tg~(Tg+60)℃ 에서 길이방향으로 1 회 또는 2 회 이상 합계의 배율이 3 배~6 배가 되도록) 연신하여, 필요에 따라 Tg~(Tg+60)℃ 에서 폭방향으로 배율이 3~5배가 되도록 연신하여, 필요에 따라 추가로 180~230℃ 에서 1~60 초간 열 처리를 실시하여, 바람직하게는 열 처리 온도보다 10~20℃ 낮은 온도애서 폭방향으로 0~20% 수축시키면서 재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또, 유리 전이 온도를 Tg 로 약기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액정, 하드 코트, 터치 패널, 방현 (防眩) 처리, PDP 용 전자파 쉴드 필름, 유기 EL 등의 지지체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필요한 강도를 얻기 위해 25~3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0~250㎛ 이다.
[도포층]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 상에 도포층을 구비한다. 이 도포층은, 고분자 바인더 및 평균 입자직경 200~2,000㎚ 의 무기 유기 복합 입자를 함유하는 도포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고분자 바인더]
고분자 바인더로는,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우레탄 수지 및 이들 수지끼리의 블렌드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는, 하기의 다염기산 성분과 디올 성분으로부터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다. 다가 염기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무수 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세바크산, 트리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다이머산 및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로는, 2 종 이상의 디카르복실산 성분을 사용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에는, 약간량 예를 들어 전체 디카르복실산 성분에 대하여 1~5㏖% 의 말레산, 이타콘산과 같은 불포화 다염기산 성분, 또는 p-히드록시벤조산과 같은 히드록시카르복실산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도 된다.
디올 성분으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6-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자일렌글리콜 및 디메틸올프로판 등이나, 폴리(에틸렌옥사이드)글리콜 및 폴리(테트라메틸렌옥사이드)글리콜을 들 수 있다.
아크릴 수지를 구성하는 모노머로는, 이하에 예시하는 아크릴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이 아크릴 모노머로는, 알킬아크릴레이트, 알킬메타크릴레이트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2-에틸헥실기, 시클로헥실기 등) ;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 함유 모노머;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스티렌술폰산 및 그 염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제 3 급 아민염 등) 등의 카르복시기 또는 그 염을 갖는 모노머 ;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알킬아크릴아미드, N-알킬메타크릴아미드, N,N-디알킬아크릴아미드, N,N-디알킬메타크릴레이트 (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2-에틸헥실기 및 시클로헥실기 등), N-알콕시아크릴아미드, N-알콕시메타크릴아미드, N,N-디알콕시아크릴아미드, N,N-디알콕시메타크릴아미드 (알콕시기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부톡시기 및 이소부톡시기 등), 아크릴로일모르폴린,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N-페닐아크릴아미드 및 N-페닐메타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를 함유하는 모노머; 무수 말레산 및 무수 이타콘산 등의 산무수물의 모노머 ; 비닐이소시아네이트, 알릴이소시아네이트,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메틸에테르, 비닐에틸에테르, 비닐트리알콕시실란, 알킬말레산모노에스테르, 알킬푸마르산모노에스테르, 알킬이타콘산모노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염화비닐리덴, 에틸렌, 프로필렌, 염화비닐, 아세트산비닐 및 부타디엔 등의 모노머를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모노머를 예로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크릴 수지의 모노머 성분으로는, 상기와 같은 모노머를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 조합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 수지로는 옥사졸린기와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을 갖는 아크릴 수지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아크릴 수지로서, 예를 들어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옥사졸린기를 갖는 모노머와,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을 갖는 모노머로 이루어지는 아크릴 수지를 들 수 있다.
옥사졸린기를 갖는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2-비닐-2-옥사졸린, 2-비닐-4-메틸-2-옥사졸린, 2-비닐-5-메틸-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4-메틸-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5-메틸-2-옥사졸린을 들 수 있다. 이들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이 공업적으로 입수하기가 쉬워 바람직하다. 옥사졸린기를 갖는 아크릴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도포층의 응집력이 향상되고, 하드 코트나 점착층 등과의 밀착성이 보다 강고해진다. 또, 필름 막 제조 공정 내 혹은 하드 코트의 가공 공정 내의 금속 롤에 대한 내흠집성을 부여할 수 있다.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을 갖는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부에 폴리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시킨 것을 들 수 있다.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은 폴리메틸렌옥사이드,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및 폴리부틸렌옥사이드를 들 수 있다.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의 반복 단위는 3~100 인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이 있는 아크릴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도포층의 고분자 바인더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아크릴 수지의 상용성 (相溶性) 이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연쇄를 함유하지 않은 아크릴 수지와 비교하여 양호해져, 도포층의 투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의 반복 단위가 3 미만이면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아크릴 수지의 상용성이 나빠 도포층의 투명성이 불량해지고, 100 을 초과하면 도포층의 내습열성이 저하되어, 고습도 및 고온하에서 하드 코트 등과의 밀착성이 악화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우레탄 수지는, 폴리올,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사슬길이 연장제, 가교제 등으로 구성된다. 폴리올의 예로는,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폴리옥시프로필렌글리콜, 폴리옥시테트라메틸렌글리콜과 같은 폴리에테르류, 양 말단 수산기의 폴리에틸렌아디페이트, 폴리에틸렌-부틸렌아디페이트, 폴리카프로락톤과 같은 글리콜과 디카르복실산과의 탈수 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양 말단 수산기의 폴리에스테르류, 양 말단 수산기의 폴리카보네이트류, 아크릴계 폴리올, 피마자유 등이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예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사슬 연장제 또는 가교제의 예로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히드라진,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디아미노디시클로헥실메탄, 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양호한 접착성을 부여하는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아크릴 수지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고, 특히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옥사졸린기와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을 갖는 아크릴 수지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바인더는 물에 가용성 또는 분산성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다소의 유기용제를 함유하는 물에 가용성인 것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바인더의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유리 전이점은, 바람직하게는 40~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60~80℃ 이다. 이 범위이면, 우수한 접착성과 우수한 내흠집성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유리 전이 온도가 40℃ 미만이면 필름끼리에서 블로킹이 발생하기 쉬워지고, 100℃ 를 초과하면 도막이 딱딱하여 부서지기 쉬워져, 내흠집성이 악화되거나 막제조성이 나빠지고 도포 외관이 악화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도포층의 고분자 바인더를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도포층 중에서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9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0~90중량% 이다.
도포층의 고분자 바인더를 구성하는 옥사졸린기와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을 갖는 아크릴 수지의, 도포층 중에서의 함유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5~95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9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0~50중량% 이다.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95중량% 를 초과하거나 옥사졸린기와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을 갖는 아크릴 수지가 5중량% 미만이면, 도포층의 응집력이 저하되어 하드 코트나 점착제에 대한 접착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5중량% 미만이거나 아크릴 수지가 95중량% 를 초과하면, 폴리에스테르 필름과의 밀착성이 저하되고 하드 코트나 점착제에 대한 접착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무기 유기 복합 입자]
무기 유기 복합 입자는, 무기물과 유기물의 복합물의 입자이다. 무기물로는, 예를 들어, 산화규소,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규산소다, 산화알루미늄, 산화철, 산화지르코늄, 황산바륨, 산화티탄, 산화주석, 삼산화안티몬, 카본블랙, 이황화몰리브덴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산화규소가 특히 바람직하다.
유기물로는, 도막 고착력 발현의 관점에서 고분자가 바람직하고, 분자량, 형상, 조성, 관능기의 유무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으며, 임의의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우레탄 수지,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페놀 수지, 나일론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아크릴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유기 무기 복합 입자로는, 매우 양호한 고착력이나 내흠집성이 얻어진다는 점에서 규소 원소를 함유하는 미립자가 바람직하다. 이 미립자는, 미립자 중에 10~40중량% 의 규소 원소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립자 중의 규소 원소가 10중량% 미만이면 양호한 내흠집성을 얻기 어렵고, 40중량% 를 초과하면 양호한 고착력을 얻기 어려워 바람직하지 못하다.
유기 무기 복합 입자는, 예를 들어, 무기물로 이루어지는 미립자의 표면에 유기 수지를 코팅함으로써, 유기물로 이루어지는 미립자의 표면에 무기물을 코팅함으로써, 또는 무기물과 유기물을 혼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혼합이란, 분자 레벨에서 유기물과 무기물이 혼합되어 있는 상태나, 세공 구조를 갖는 무기 입자 중에 유기물이 들어가 있는 상태, 반대로 유기물이 서로 얽혀 있는 구조 중에 무기의 미립자가 들어가 있는 상태 또는 유기물과 무기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미립자에 유기물 또는 무기물을 코팅한 상태여도 된다.
구체적인 유기 무기 복합 입자는, 산화규소?아크릴 수지 복합물, 산화규소?실리콘 수지 복합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유기 무기 복합 입자의 형상은 구상, 침상 (針狀), 판상, 인편상 (鱗片狀), 파쇄상 등 임의의 입자 형상일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구상 또는 구상에 가까운 형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유기 무기 복합 입자는, 무기물과 유기물끼리가 물리적, 화학적으로도 고정되어도 된다. 물리적으로 고정이란 예를 들어 세공 구조를 갖는 무기 입자 중에 고분자가 가교 구조를 형성하여 무기물과 유기물이 고정화되어 있는 상태 등이다. 화학적으로 고정이란 화학 결합에 의해서 유기물과 무기물이 고정화되어 있는 것이다. 특히 화학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입자가 강도 면에서 바람직하다.
어느 경우에도 수분산액 중에서 침전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비중이 3 을 초과하지 않는 미립자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 유기 복합 입자의 평균 입자직경은, 200~2,000㎚ 이고, 바람직하게는 300~1,500㎚ 이다. 평균 입자직경이 200㎚ 보다 작으면 흠집이 생기기 쉬운 공정, 예를 들어 회전 토크가 높은 금속 롤에 대하여 내흠집성이 불충분해져, 필름 표면에 흠집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평균 입자직경이 2,000㎚ 보다 커지면 필름 표면의 헤이즈가 높아져, 광학 특성이 나빠진다.
도포 조성물의 입자가 무기물과 유기물의 복합 입자인 것에 의해, 도포층과 입자의 응집력이 높아지고, 입자의 결락이 방지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도포층 두께보다 훨씬 큰 평균 입자직경을 갖는 미립자가 도포층에 함유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미립자이면 결락되는 일이 없다. 예를 들어, 평균 입자직경 200㎚ 를 초과하는 크기의 미립자를, 두께 0.05μ 의 도포층에 사용한 경우에도 미립자가 결락되는 일이 없다. 이에 대하여, 미립자로서 단순히 무기물만으로 이루어지는 미립자를 사용하면, 미립자의 경도가 높기 때문에 양호한 내흠집성을 구비하는 필름을 얻을 수 있지만, 고분자 바인더와의 상용성이 좋지 않은 경우가 있어 미립자가 결락되기 쉽다. 또한, 단순히 유기물만으로 이루어지는 미립자를 사용하면, 고분자 바인더와의 상용성이 좋고, 바인더와 미립자의 응집력이 높기 때문에 미립자의 결락은 잘 생기지 않지만, 미립자의 경도가 낮아 충분한 내흠집성을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도포 조성물 중의, 무기 유기 복합 입자의 함유량은 도포층의 도포 조성물 100중량부당 0.01~5중량부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0.01중량부 미만이면 충분한 활성, 내흠집성이 얻어지지 않고, 5중량부를 초과하면 도막의 표면 헤이즈가 높아져 바람직하지 못하다.
[지방족 왁스]
도포 조성물은 지방족 왁스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5~3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중량% 이다. 함유량이 0.5중량% 미만이면 필름 표면의 활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30중량% 를 초과하면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에 대한 밀착이나 하드 코트나 점착제 등에 대한 이접착성이 부족한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지방족 왁스의 구체예로는, 카르나우바 왁스, 칸델릴라 (candellia) 왁스, 라이스 왁스, 목랍 , 호호바 오일, 팜 왁스, 로진 변성 왁스, 오우리큐리 (ouricury) 왁스, 사탕수수 왁스, 에스파르토 (esparto) 왁스 및 바크 (bark) 왁스 등의 식물계 왁스, 밀랍, 라놀린, 경랍, 백랍 및 쉘락 (shellac) 왁스 등의 동물계 왁스, 몬탄 왁스, 오조케라이트 (ozokerite) 및 세레신 왁스 등의 광물계 왁스,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및 페트로락탐 등의 석유계 왁스, 피셔-트롭시 (Fischer-Tropsch)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산화 폴리에틸렌 왁스, 폴리프로필렌 왁스 및 산화 폴리프로필렌 왁스 등의 합성 탄화수소계 왁스를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하드 코트나 점착제 등에 대한 이접착성과 활성이 양호하다는 점에서, 카르나우바 왁스, 파라핀 왁스 및 폴리에틸렌 왁스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은 환경 부하의 저감이 가능하다는 것 및 취급의 용이함 등의 이유에서 수분산체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 도포층은, 도포 조성물을 수성 도포액의 형태로 폴리에스테르 필름 위에 도포함으로써 도막을 형성하고, 이것을 고화시켜 형성할 수 있다. 수성 도포액으로는, 수용액, 수분산액 또는 유화액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도막을 형성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상기 조성물 이외의 다른 수지, 예를 들어 대전 방지제, 착색제, 계면 활성제, 자외선 흡수제, 가교제를 첨가해도 된다.
도막의 형성에 사용하는 수성 도포액의 도포 조성물 농도 (고형분 농도) 는, 바람직하게는 20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중량% 이다. 이 농도가 1중량% 미만이면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한 웨트성이 부족한 경우가 있고, 20중량% 를 초과하면 수성 도포액의 안정성이나 도포층의 외관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수성 도포액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한 도포는 임의의 단계에서 실시할 수 있지만,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과정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연신 공정의 도중, 즉 배향 결정화가 완료되기 전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결정 배향이 완료되기 전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는, 미연신 필름, 미연신 필름을 종방향 또는 횡방향 중 어느 일방으로 배향시킨 1 축 배향 필름, 종방향 및 횡방향의 2 방향으로 저배율 연신 배향시킨 필름 (최종적으로 종방향 또 횡방향으로 재연신시켜서 배향 결정화를 완료시키기 전의 2 축 연신 필름) 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미연신 필름 또는 한쪽 방향으로 배향시킨 1 축 연신 필름에 도포 조성물의 수성 도포액을 도포하고, 그대로 종연신 및/또는 횡연신과 열고정을 실시하여 도포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성 도포액을 필름에 도포할 때에는, 도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예비 처리로서 필름 표면에 코로나 표면 처리, 화염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물리 처리를 실시하거나, 또는 조성물과 함께 이것과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계면 활성제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계면 활성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한 수성 도포액의 적심을 촉진하는 기능이나 도포액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금속비누, 알킬황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등의 음이온형, 비이온형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는, 수성 도포액의 도포 조성물 100중량부당 1~10중량부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성 도포액의 도포량은, 도막의 두께가 0.04~0.5㎛, 바람직하게는 0.05~0.4㎛ 의 범위가 되는 양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막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으면, 접착력이 부족하거나 미립자가 결락되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지나치게 두꺼우면 블로킹을 일으키거나 헤이즈값이 높아지거나 할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도포 방법으로는 공지된 임의의 도포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롤 브러시법, 스프레이법, 에어나이프 코트법, 함침법 및 커튼 코트법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도포층은 필요에 따라서 필름의 한쪽 면에만 형성해도 되고 양면에 형성해도 된다. 도포층을 양면에 형성하면, 한쪽 면이 평탄한 표면의 하드 코트 등으로 가공되어도 권취성이 변화하지 않고 양호하여, 바람직하다.
[물성]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전체 헤이즈값이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도포층의 표면 헤이즈값이 바람직하게는 0.60% 이하, 표면의 마찰 계수 (μs) 가 바람직하게는 0.4 이하이다. 이러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상기 서술한 도포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도포층을 폴리에스테르 필름 위에 형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흠집성, 투명성, 접착성 및 이활성이 우수하여, 높은 도포 품질의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각종 물성은 하기의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1) 내흠집성
직경 6㎜ 의 경질 크롬 도금한 핀을 고정시키고, 길이방향으로 20㎝, 폭방향으로 15㎜ 로 커팅한 필름을 핀에 대하여 90°로 접촉시켜서, 일정 속도 (20㎜/s) 에 의해 일정 길이 (20㎝) 로 10회 왕복, 핀 상에서 슬라이딩시켜, 필름 표면에 생기는 흠집 정도를 평가하였다.
5: 전혀 흠집이 생기지 않음
4: 0%<전체 면적에 대한 흠집의 면적≤10%
3: 10%<전체 면적에 대한 흠집의 면적≤25%
2: 25%<전체 면적에 대한 흠집의 면적≤50%
1: 50%<전체 면적에 대한 흠집의 면적
(2) 헤이즈
ㆍ토탈 헤이즈
JIS K7136 에 준하여, 닛폰덴쇼쿠 공업사 제조의 헤이즈 측정기 (NDH-2000) 를 사용하여 필름의 헤이즈값을 측정하였다.
ㆍ표면 헤이즈
JIS K7136 에 준하여, 닛폰덴쇼쿠 공업사 제조의 헤이즈 측정기 (NDH-2000) 를 사용하였다. 시더유로 중첩한 필름면끼리의 표면 헤이즈를 캔슬시킨 2 장 중첩 필름의 헤이즈값을 측정하여, 하기 식으로부터 표면 헤이즈를 구하였다.
(표면 헤이즈) = (토탈 헤이즈)×2-(2 장 중첩 필름의 헤이즈값)
(3) 중심선 평균 표면 거칠기 (Ra)
JIS B0601 에 준하여, (주)코사카 연구소 제조의 고정밀도 표면 조도계 SE-3FAT 를 사용해서, 침의 반경 2㎛, 하중 30㎎ 에서 확대 배율 20만배, 컷 오프 0.08㎜ 의 조건 하에 차트를 그리고, 표면 거칠기 곡선으로부터 그 중심선 방향으로 측정길이 L 의 부분을 취하고, 이 취한 부분의 중심선을 X 축, 세로배율의 방향을 Y 축으로 하여, 거칠기 곡선을 Y = f(x) 으로 표시하였 때, 다음 식에서 주어진 값을 ㎚ 단위로 나타내었다. 또한, 이 측정은 기준 길이를 1.25㎜ 로 하여 4 개 측정하고, 평균치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81053401-pct00001
(4) 마찰 계수 (μs)
ASTM D1894-63 에 준하여, 도요 테스터사 제조의 스리퍼리 측정기를 사용하 여, 양면 도포의 경우에는 도막 형성면끼리, 한쪽 면 도포의 경우에는 도막 형성면과 도막 비형성면과의 정마찰 계수 (μs) 를 측정하였다. 단, 스레드판은 유리판으로 하고, 하중은 1kg 으로 하였다.
(5) 접착성
ㆍ하드 코트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도막 형성면에 두께 10㎛ 의 하드 코트층을 형성하고 바둑판 눈금 형상의 크로스컷 (1㎟ 의 메쉬를 10O 개) 을 실시한 후, 그 위에 24㎜ 폭의 셀로판 테이프 (니치반사 제조) 를 접착하고, 180°의 박리 각도로 급격히 벗겨낸 다음, 박리면을 관찰하여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5: 박리 면적이 10% 미만 … 접착력 매우 양호
4: 박리 면적이 10% 이상 20% 미만 … 접착력 양호
3: 박리 면적이 20% 이상 30% 미만 … 접착력 약간 양호
2: 박리 면적이 30% 이상 40% 미만 … 접착력 불량
1: 박리 면적이 40% 를 초과하는 것 … 접착력 매우 불량
?점착제 (PSA)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도막 형성면에 두께 20㎛ 의 점착제 (PSA) 층을 형성하여 플로트 유리에 점착제층 면을 접착하고, 23℃, 65% RH 의 분위기 하에서 1 일 경과시켜서, 90°의 박리 각도로 박리한 다음, 유리 표면에 점착제 (PSA) 의 잔류 상태를 관찰하여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또, 점착제 (PSA: Pressure-Sensitive-Adhesive) 에는, 우레탄 함유 아크릴 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 성분은 n-부틸아크릴레이트 (86몰%), 메틸아크릴레이트 (14몰%)) 를 사용하였다.
5: 점착제(PSA) 잔류 면적이 10% 미만 … 접착력 매우 양호
4: 점착제 (PSA) 잔류 면적이 10% 이상 20% 미만 …접착력 양호
3: 점착제 (PSA) 잔류 면적이 20% 이상 30% 미만 … 접착력 약간 양호
2: 점착제 (PSA) 잔류 면적이 30% 이상 40% 미만 …접착력 불량
1: 점착제 (PSA) 잔류 면적이 40% 를 초과하는 것 … 접착력 매우 불량
(6) 내블로킹성
2 장의 필름을 도막 형성면끼리 접하도록 포개고, 여기에, 60℃, 80% RH 의 분위기 하에 17 시간에 걸쳐 0.6kg/㎠ 의 압력을 가하고, 그 후, 박리시켜, 그 박리력에 의해 내블로킹성을 하기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박리력<98mN/5㎝ … 내블로킹성 매우 양호
○: 98mN/5㎝≤박리력<147mN/5㎝ …내블로킹성 양호
△: 147mN/5㎝≤박리력<196mN/5㎝ … 내블로킹성 약간 양호
×: 196mN/5㎝≤박리력 … 내블로킹성 불량
(7) 유리 전이 온도
샘플 약 10㎎ 을 측정용 알루미늄제 팬에 봉입하고 시차 열량계 (듀퐁사 제조?V4.OB2000형 DSC) 에 장착하여, 25℃ 로부터 20℃/분의 속도로 300℃ 까지 승온시키고, 300℃ 에서 5 분간 유지한 후 꺼내어, 즉시 얼음 위로 옮겨 급냉하였다. 이 팬을 다시 시차 열량계에 장착하고, 25℃ 로부터 20℃/분의 속도로 승온시켜 유 리 전이 온도 (Tg: ℃) 를 측정하였다.
(8) 고유 점도
고유 점도 ([η] ㎗/g) 는, 25℃ 의 o-클로로페놀 용액으로 측정하였다.
(9) 도포층 두께
포매 (包埋) 수지로 필름을 고정시켜 단면을 미크로톰으로 절단하고, 2% 오스뮴산으로 60℃, 2 시간 염색해서, 투과형 전자 현미경 (닛폰전자 제조 JEM2010) 을 사용하여 도포층의 두께를 측정하였다.
(10) 미립자의 입경
미립자의 입경은 레이저 회절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 (SALD-7000 (주)시마즈 제작소 제조) 로 측정하였다.
(11) 종합 평가
하기 기준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 내흠집성이 5, 표면 헤이즈가 0.60 이하, 마찰 계수 (μs) 가 0.3 이하, 하드 코트 및 점착제에 대한 접착성이 양쪽 모두 5, 표면 거칠기 (Ra) 가 10㎚ 이하, 내블로킹성이 ◎ 인 평가는 ◎ 이다 (종합 평가?매우 양호)
○: 내흠집성이 4, 표면 헤이즈가 0.60 이하, 마찰 계수 (μs) 가 0.4 이하, 하드 코트 및 점착제에 대한 접착성이 양쪽 모두 4 이상, 표면 거칠기 (Ra) 가 10㎚ 이하, 내블로킹성이 ◎ 인 평가는 ○ 이다 (종합 평가ㆍ양호)
△: 내흠집성이 3, 표면 헤이즈가 0.60 이하, 마찰 계수 (μs) 가 0.4 이하, 하드 코트 및 점착제에 대한 접착성이 양쪽 모두 3 이상, 표면 거칠기 (Ra) 가 10 ㎚ 이하, 내블로킹성이 △ 인 평가는 △ 이다 (종합 평가?약간 양호)
×: 내흠집성이 2 이하, 표면 헤이즈가 0.60 이상, 마찰 계수 (μs) 가 0.4 이상, 하드 코트 및 점착제에 대한 접착성이 양쪽 모두 2 이하, 표면 거칠기 (Ra) 가 10㎚ 이상, 내블로킹성이 × 중 어느 하나인 평가는 × 이다 (종합 평가?불량)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3
용융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η]=0.61㎗/g, Tg=78℃) 를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냉각 드럼으로 냉각하여 미연신 필름으로 하고, 이어서 종방향으로 3.4 배로 연신한 후, 그 양면에 표 1 에 나타내는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도포 조성물의 수성 도포액 (고형분 농도 5%) 을 롤 코터로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비교예 3 은 도포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았다.
이어서, 이 도포 필름을 계속해서 95℃ 에서 건조시키고, 횡방향으로 130℃ 에서 3.6 배로 연신하고, 230℃ 에서 폭방향으로 3% 수축시켜 열고정하여, 두께 100㎛ 의 적층 필름을 얻었다. 또, 도포층의 두께는 0.15㎛ 였다.
실시예 3
용융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η]=0.65㎗/g, Tg=121℃) 를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냉각 드럼으로 냉각하여 미연신 필름으로 하고, 이어서 종방향으로 3.4 배로 연신한 후, 그 양면에 표 1 에 나타내는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도포 조성물의 수성 도포액 (고형분 농도 5%) 을 롤 코터로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이어서, 이 도포 필름을 계속해서 105℃ 에서 건조시키고, 횡방향으로 140℃ 에서 3.6 배로 연신하고, 240℃ 에서 폭방향으로 3% 수축시켜 열고정하 여, 두께 100㎛ 의 이접착성 필름을 얻었다. 또, 도포층의 두께는 0.15㎛ 였다.
실시예 4~10 및 비교예 4~6
표 2 에 나타내는 성분으로 이루어지는 도포 조성물의 수성 도포액 (고형분 농도 5%) 을 사용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얻었다. 도포층의 두께는 0.15㎛ 였다.
Figure 112006081053401-pct00002
Figure 112006081053401-pct00003
또, 표 1 및 표 2 에 있어서 사용한 각 성분의 상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폴리에스테르 1:
산 성분이 테레프탈산 90몰%/이소프탈산 5몰%/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5몰%,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90몰%/디에틸렌글리콜 10몰% 로 구성되어 있다 (Tg=70℃, 평균 분자량 15,000). 또, 폴리에스테르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6-116487호의 실시예 1 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즉, 테레프탈산디메틸 53부, 이소프탈산디메틸 3부,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디메틸 5부, 에틸렌글리콜 36부, 디에틸렌글리콜 3부를 반응기에 넣고, 여기에 테트라부톡시티탄 0.05부를 첨가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온도를 230℃ 로 컨트롤하여 가열하고, 생성되는 메탄올을 증류 제거시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반응계의 온도를 서서히 255℃ 까지 상승시켜서 계 내를 1mmHg 의 감압으로 하여 중축합 반응을 실시, 폴리에스테르를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2:
산 성분이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65몰%/이소프탈산 30몰%/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5몰%,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90몰%/디에틸렌글리콜 10몰% 로 구성되어 있다 (Tg=70℃, 평균 분자량 15,000). 또, 폴리에스테르 1 은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즉,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디메틸 44부, 이소프탈산디메틸 16부,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디메틸 4부, 에틸렌글리콜 33부, 디에틸렌글리콜 2부를 반응기에 넣고, 여기에 테트라부톡시티탄 0.05부를 첨가하여 질소 분위기 하에서 온도를 230℃ 로 컨트롤하여 가열하고, 생성되는 메탄올을 증류 제거시켜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교반기의 모터 토크가 높은 중합 가마에서 반응계의 온도를 서서히 255℃ 까지 상승시켜 계 내를 1mmHg 의 감압으로 하여 중축합 반응을 실시, 고유 점도가 0.53 인 폴리에스테르 1 을 얻었다. 이 폴리에스테르 25부를 테트라히드로푸란 75부에 용해시키고, 얻어진 용액에 10,000 회전/분의 고속 교반 하에서 물 75부를 적하하여 유백색의 분산체를 얻고, 이어서 이 분산체를 20mmHg 의 감압 하에 증류하여,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증류 제거하였다. 폴리에스테르 2 의 수분산체를 얻었다.
아크릴 1:
메틸메타크릴레이트 30몰%/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 30몰%/폴리에틸렌옥사이드 (n=10) 메타크릴레이트 10몰%/아크릴아미드 30몰% 로 구성되어 있다 (Tg=50℃, 분자량 370,000). 또, 아크릴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37167호의 제조예 1~3 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즉, 4 구(口) 플라스크에 이온 교환수 302부를 주입하여 질소 기류 중에서 60℃ 까지 승온시키고, 이어서 중합 개시제로서 과황산암모늄 0.5부, 아질산수소나트륨 0.2부를 첨가하고, 추가로 모노머류인, 메타크릴산메틸 23.3부,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 22.6부, 폴리에틸렌옥사이드 (n=10) 메타크릴산 40.7부, 아크릴아미드 13.3부의 혼합물을 3 시간에 걸쳐서 액체 온도가 60~70℃ 가 되도록 조정하면서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에도 동일 온도 범위에 2 시간 유지하면서, 교반 하에 반응을 계속시키고, 이어서 냉각하여 고형분이 25% 인 아크릴의 수분산체를 얻었다.
아크릴 2:
메틸메타크릴레이트 65몰%/부틸아크릴레이트 25몰%/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5몰%/N-메틸올아크릴아미드 5몰% 로 구성되어 있다 (Tg= 45℃). 또, 아크릴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37167호의 제조예 1~3 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즉, 4 구 플라스크에 이온 교환수 302부를 주입하여 질소 기류 중에서 60℃ 까지 승온시키고, 이어서 중합 개시제로서 과황산암모늄 0.5부, 아질산수소나트륨 0.2부를 첨가하고, 추가로 모노머류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0.5부, 부틸아크릴레이트 24.9부,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4.5부,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3.4부의 혼합물을 3 시간에 걸쳐서 액체 온도가 60~70℃ 가 되도록 조정하면서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에도 동일 온도 범위에 2 시간 유지하면서, 교반 하에 반응을 계속시키고, 이어서 냉각하여 고형분이 25% 인 아크릴 2 의 수분산체를 얻었다.
우레탄:
폴리올 성분으로서 네오펜틸글리콜 70중량%/폴리에틸렌글리콜 30중량%,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서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0중량%, 블록제로서 부타논옥심 5중량%, 친수성 부여 성분으로서 디메틸올프로피온산 3중량%, 중화 성분으로서 트리에틸아민 3중량% 로 구성되고, 수분산화 후,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를 상기 성분에 대하여 30중량% 로 하여 유화 중합해서 우레탄 수지를 제조하였다. 그 우레탄 수지를 고형분 중량으로 90중량%, 웨트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를 고형분 중량으로 10중량% 이다.
미립자 1:
실리카?아크릴 복합 미립자 (평균 입경: 1,200㎚) (닛폰촉매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소리오스타 12)
미립자 2:
아크릴 필러 (평균 입경: 140㎚) (닛폰페인트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닛페이 마이크로젤 E-6000)
미립자 3: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37348호의 제조예 A1~A6 에 준하여, 임의의 유기 무기 복합 입자를 제조하였다. 산화규소의 코어 입자에 메타크릴레이트 주체의 아크릴 수지가 코팅된 유기 무기 복합 입자 (평균 입경: 400㎚, 코어 입경: 200㎚)
미립자 4: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37348호의 제조예 A1~A6 에 준하여, 임의의 유기 무기 복합 입자를 제조하였다. 메타크릴레이트 및 디비닐벤젠 주체의 코어 입자에 산화규소가 코팅된 유기 무기 복합 입자 (평균 입경: 300㎚, 코어 입경: 150㎚)
미립자 5: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37348호의 제조예 A1~A6 에 준하여, 코어 입자에 세공 구조를 갖는 산화지르코늄 주체의 입자를 사용하여 임의의 유기 무기 복합 입자를 제조하였다. 산화지르코늄 주체의 세공 구조를 갖는 입자에 메타크릴레이트 주체의 아크릴 수지가 들어가, 화학적으로 고정된 유기 무기 복합 입자 (평균 입경: 350㎚)
미립자 6: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237348호의 제조예 A1~A6 에 준하여, 코어 입자에 세공 구조를 갖는 산화티탄 주체의 입자를 사용하여 임의의 유기 무기 복합 입자를 제조하였다. 산화티탄 주체의 세공 구조를 갖는 입자에 메타크릴레이트 주체의 아크릴 수지가 들어가, 화학적으로 고정된 유기 무기 복합 입자 (평균 입경: 350㎚)
미립자 7:
메타크릴레이트 주체의 유기 입자 MX-200W (평균 입경: 200㎚) 닛폰촉매 제조
미립자 8:
산화규소 주체의 무기입자 MP-4540M (평균 입경: 450㎚) 닛산화학공업 제조
지방족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 (츄쿄 (中京) 유지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포로린 H-481)
웨트제:
폴리옥시에틸렌 (n=7) 라우릴에테르 (산요가세이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나로악티 N-70)
본 발명의 필름은, 각종 광학 용도의 특히 프리즘 렌즈 시트, 터치 패널, 백라이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베이스 필름이나 반사 방지용 필름의 베이스 필름, 디스플레이의 방폭용 베이스 필름에 유용하다.

Claims (7)

  1. (A)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B) 폴리에스테르 필름 (A) 의 적어도 한쪽 면 상에 형성된 도포층,
    이 도포층은 고분자 바인더 및 평균 입자직경 200~2,000㎚ 의 무기 유기 복합 입자를 함유하는 도포 조성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분자 바인더가, (a)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b) 옥사졸린기와 폴리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을 갖는 아크릴 수지의 혼합물이며,
    또한, 상기 무기 유기 복합 입자의 함유량은 상기 도포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5 중량부인 것
    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용 접착성 필름용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무기 유기 복합 입자의 무기물이 산화물인 광학용 접착성 필름용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무기 유기 복합 입자의 유기물이 고분자인 광학용 접착성 필름용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무기 유기 복합 입자가 규소를 함유하는 광학용 접착성 필름용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삭제
  6. 결정 배향이 완료되기 전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고분자 바인더 및 평균 입경 200~2,000㎚ 의 무기 유기 복합 입자를 함유하는 수성 도포액을 도포하고, 이어서 적어도 한쪽 방향으로 연신하고 또한 열고정하여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 상에 도포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기재의 광학용 접착성 필름용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법.
  7. 삭제
KR1020067023236A 2004-05-28 2005-05-25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법 KR1011696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58974 2004-05-28
PCT/JP2005/010006 WO2005116120A1 (ja) 2004-05-28 2005-05-25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691A KR20070023691A (ko) 2007-02-28
KR101169623B1 true KR101169623B1 (ko) 2012-07-30

Family

ID=43654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3236A KR101169623B1 (ko) 2004-05-28 2005-05-25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96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32646A (ja) * 1986-04-03 1987-10-13 Mitsubishi Paper Mills Ltd 写真用支持体
JPH01156337A (ja) * 1987-12-14 1989-06-19 Diafoil Co Ltd 塗布層を有する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2004054161A (ja) * 2002-07-24 2004-02-19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32646A (ja) * 1986-04-03 1987-10-13 Mitsubishi Paper Mills Ltd 写真用支持体
JPH01156337A (ja) * 1987-12-14 1989-06-19 Diafoil Co Ltd 塗布層を有する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2004054161A (ja) * 2002-07-24 2004-02-19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691A (ko) 200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97127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法
KR100852373B1 (ko) 이축 배향 적층 폴리에스테르필름 및 하드코팅 적층필름
US7026035B2 (en) Laminated film for optical use
JP2004054161A (ja)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363206B2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2087006B1 (ko) 투명 도전성 필름 기재용 적층체
JP2008169277A (ja)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765710B2 (ja) ポリカーボネート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8183760A (ja)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838972B2 (ja)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737738B2 (ja)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15098477A1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942494B2 (ja) 高透明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2155158A (ja) 光学用易接着性積層フィルム
KR20070098658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판용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JP4169546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876178B2 (ja)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4258174A (ja) 光学用ハードコート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194617B2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876177B2 (ja)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169623B1 (ko)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제조법
JP3699347B2 (ja) 反射防止用易接着性積層フィルム
JP4169548B2 (ja) 多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フィルム
JP2003049011A (ja)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5089623A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