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565B1 - 차량의 계기판 및 헤드업디스플레이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계기판 및 헤드업디스플레이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8565B1
KR101168565B1 KR1020120053229A KR20120053229A KR101168565B1 KR 101168565 B1 KR101168565 B1 KR 101168565B1 KR 1020120053229 A KR1020120053229 A KR 1020120053229A KR 20120053229 A KR20120053229 A KR 20120053229A KR 101168565 B1 KR101168565 B1 KR 101168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ster
vehicle
display
hud
ec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3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래
Original Assignee
덴소풍성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소풍성전자(주) filed Critical 덴소풍성전자(주)
Priority to KR10201200532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85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location or relative disposition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 차량의 계기판 및 헤드업디스플레이의 직렬식 및 병렬식 제어장치 각각의 단점을 없애고, 장점만을 모아 함께 작동시 일치되는 표시에 의해 운전자에게 신뢰감을 주고, 어느 하나의 작동정지시에도 나머지 하나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않는 새로운 제어방식을 가진 차량의 계기판 및 헤드업디스플레이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ECU와, 클러스터마이콤 및 클러스터표시부가 구비된 계기판과, 상기 ECU 및 상기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각각 신호를 전송받는 HUD마이콤 및 상기 HUD마이콤으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차량의 전면유리에 이미지로 표시하는 HUD표시부가 구비된 헤드업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HUD마이콤은, 상기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ECU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는 무시하고, 상기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수신받은 연산된 신호를 상기 HUD표시부에 전송하고, 상기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지 못한 경우 상기 ECU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를 통해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연산한 후 연산된 신호를 상기 HUD표시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의 계기판 및 헤드업디스플레이 제어장치{CONTROL APPARATUS FOR CLUSTER AND HEAD-UP-DISPLAY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속도, 연료량, 온도 및 경고방향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운전자에게 표시하는 차량의 표시장치로서의 계기판 및 헤드업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차량의 계기판 및 헤드업디스플레이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인간의 생활 공간을 살펴보면 크게 집, 일터, 그리고 이동공간의 세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대부분의 이동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이 차량이다.
이러한 차량에는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여러 정보가 표시되는 계기판(cluster)이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계기판에는 속도계, 연료계, 온도계 및 여러 가지 경고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운전자는 상기 계기판을 보게 됨으로써 현재 차량의 주행상태를 파악하여 안전운전을 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계기판은 운전자가 운전 중에 용이하게 시선이 갈 수 있는 대시보드 전면에 설치된다.
그러나, 운전자는 차량의 전면유리를 통해 전방 시야를 확인하면서 운전하게 되며, 수신로 대시보드로 시선을 옮겨 계기판을 확인하게 되는데, 이때 시선의 이동이 많고 또한 전방 경치와의 사이에 눈의 초점거리의 변화도 많아져서 상기와 같은 상황이 계속되면 쉽게 피로감이 발생하고, 특히 주행 중에 운전자가 계기판에 시선을 두는 사이 전방 시야를 확인하지 못해 사고의 위험이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운전자의 운전 중 주행안전을 확보하고자 차량 주행정보와 주변상황 정보를 효과적으로 운전자에게 전달해주는 매체로서 헤드업디스플레이(HUD, Head Up Display)가 각광받고 있다.
차량의 헤드업디스플레이는 차량 주행 중 운전자 정면 즉, 운전자의 주 시야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차량주행정보나 기타 정보를 제공하는 표시장치로서, 초창기에는 항공기 특히 전투기에 부착되어 개발하게 된 것이 최근에는 차량에도 설치되기 시작한 것이다.
보통 시속 약 100km/h 운전 중에 시야를 계기판에 두었다가 전방으로 시야를 고정시키는 시간이 약 2초 정도, 약 55m 이동하기 때문에 위험은 존재한다. 이러한 위험을 줄이는 방법의 하나로 차량의 헤드업디스플레이가 나오게 된 배경이며, 차량의 헤드업디스플레이는 차량의 전면유리에 운전자의 주시야 선에 계기판의 정보(속도, 주행거리, RPM, 네비정보, 경고 등)를 나타나게 하여 운전자가 운전 중에도 쉽게 주행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운전자는 전방 도로로부터 눈을 떼지 않고도 중요한 주행정보를 인지함으로써 안전 운행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계기판 및 헤드업디스플레이가 설치된 차량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차량(1)에 설치된 각종 센서로부터 정보를 수신받는 ECU(10)와, 상기 ECU(1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차량(1)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차량(1)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계기판(20)과, 상기 ECU 또는 상기 계기판(20)으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차량(1)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차량(1)의 전면유리(2)에 이미지로 표시하는 헤드업디스플레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계기판(20) 및 헤드업디스플레이(30)에 의해 차량(1)의 주행상태가 계기판(20)을 통한 클러스터 또는 센터페시아나 헤드업디스플레이(30)를 통한 전면유리(2)에 이미지로 표시되는데, 차량(1)의 각종 센서로부터 ECU(10)가 정보를 수신받은 후 계기판(20) 또는 헤드업디스플레이(30)로 어떻게 전송되고, 어떠한 과정을 거쳐 각각 표시되는 것인지를 살펴보면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직렬식과 병렬식 제어방식이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계기판 및 헤드업디스플레이의 직렬식 제어장치는, 차량(1)에 설치된 각종 센서로부터 정보를 수신받는 ECU(10)와, 상기 ECU(1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차량(1)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연산하는 클러스터마이콤(21) 및 상기 클러스터마이콤(21)으로부터 연산된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차량(1)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클러스터표시부(22)가 구비된 계기판(20)과, 상기 클러스터마이콤(21)으로부터 신호를 전송받는 HUD마이콤(31) 및 상기 HUD마이콤(31)으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차량(1)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차량(1)의 전면유리(2)에 이미지로 표시하는 HUD표시부(32)가 구비된 헤드업디스플레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계기판 및 헤드업디스플레이의 병렬식 제어장치는, 차량(1)에 설치된 각종 센서로부터 정보를 수신받는 ECU(10)와, 상기 ECU(1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차량(1)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연산하는 클러스터마이콤(21) 및 상기 클러스터마이콤(21)으로부터 연산된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차량(1)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클러스터표시부(22)가 구비된 계기판(20)과, 상기 ECU(1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차량(1)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연산하는 HUD마이콤(31) 및 상기 HUD마이콤(31)으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차량(1)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차량(1)의 전면유리(2)에 이미지로 표시하는 HUD표시부(32)가 구비된 헤드업디스플레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계기판 및 헤드업디스플레이의 직렬 또는 병렬식 제어장치의 경우 각각 장단점이 있다. 예컨대, 직렬식 제어장치의 경우 ECU(10)로부터 전송된 신호는 계기판(20)의 클러스터마이콤(21)에 의해 연산된 후 클러스터표시부(22)로 표시됨과 동시에 헤드업디스플레이(30)의 HUD마이콤(31)은 별도로 연산처리를 하지 않고, 클러스터마이콤(21)에 의해 연산된 신호를 수신받아 HUD표시부(32)에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계기판(20)의 클러스터표시부(22)와 헤드업디스플레이(30)의 HUD표시부(32)에 표시되는 차량(1)의 주행상태에 대한 정보가 상호 일치한다는 신뢰성을 줄 수 있다. 다만, 계기판(20)의 클러스터마이콤(21)에 고장 또는 파손 등에 의해 제대로 작동하지 않게 되면, 자동적으로 헤드업디스플레이(30) 역시 아무런 신호를 받지 못해 전혀 작동을 하지 못한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다.
반면에, 병렬식 제어장치의 경우 계기판(20)의 클러스터마이콤(21)과 헤드업디스플레이(30)의 HUD마이콤(31) 각각이 상기 ECU(1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근거하여 각각 별도로 연산처리를 수행한 후 각각의 클러스터표시부(22) 및 HUD표시부(32)에 차량(1)의 주행상태를 표시하게 되므로 어느 하나에 이상이 생기더라도 나머지 하나가 작동하는 데는 문제가 없다. 다만, 계기판(20) 및 헤드업디스플레이(30)이 각각이 별도의 연산처리를 수행하므로 함께 표시되는 수치에 차이가 발생하여 운전자에게 신뢰를 주기 어렵고, 계기판(20) 또는 헤드업디스플레이(30) 중 어느 표시에 맞추어서 운전해야되는지 혼란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차량의 계기판 및 헤드업디스플레이의 직렬식 및 병렬식 제어장치 각각의 단점을 없애고, 장점만을 모아 함께 작동시 일치되는 표시에 의해 운전자에게 신뢰감을 주고, 어느 하나의 작동정지시에도 나머지 하나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않는 새로운 제어방식을 가진 차량의 계기판 및 헤드업디스플레이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계기판 및 헤드업디스플레이 제어장치는, 차량에 설치된 각종 센서로부터 정보를 수신받는 ECU와, 상기 ECU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연산하는 클러스터마이콤 및 상기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연산된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클러스터표시부가 구비된 계기판과, 상기 ECU 및 상기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각각 신호를 전송받는 HUD마이콤 및 상기 HUD마이콤으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차량의 전면유리에 이미지로 표시하는 HUD표시부가 구비된 헤드업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HUD마이콤은, 상기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ECU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는 무시하고, 상기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수신받은 연산된 신호를 상기 HUD표시부에 전송하고, 상기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지 못한 경우 상기 ECU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를 통해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연산한 후 연산된 신호를 상기 HUD표시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HUD마이콤은, 상기 ECU 및 상기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각각 전송된 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의 수신된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ECU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제거하고, 상기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ECU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남겨두는 필터링부와, 상기 필터링부에 의해 상기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기 HUD표시부에 전송하는 바이패스부와, 상기 필터링부에 의해 상기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ECU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해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연산한 후 연산된 신호를 상기 HUD표시부로 전송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계기판 및 헤드업디스플레이 제어장치는, 헤드업디스플레이의 HUD마이콤이 ECU 및 계기판의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각각 신호를 전송받되,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유무에 따라 선택적으로 ECU 또는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신호를 필터링한 후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신호가 있는 경우 별도의 연산 처리없이 바이패스하여 HUD표시부로 표시함으로써 계기판의 클러스터표시부와 동일한 수치로 표시되도록 하고, 반대로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신호가 없는 경우 ECU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근거하여 HUD마이콤에 의해 연산처리된 차량의 주행상태에 관한 정보를 HUD표시부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계기판과 헤드업디스플레이가 함께 작동할 경우에는 계기판 및 헤드업디스플레이로 표시되는 차량의 주행상태가 일치하게 되어 운전자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고, 계기판 또는 헤드업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생기더라도 나머지 하나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아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담보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계기판 및 헤드업디스플레이가 설치된 차량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계기판 및 헤드업디스플레이의 직렬식 제어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계기판 및 헤드업디스플레이의 병렬식 제어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계기판 및 헤드업디스플레이 제어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4의 실시예 중 헤드업디스플레이의 HUD마이콤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서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신호가 있는 경우의 HUD마이콤 작동과정을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5의 실시예에서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신호가 없는 경우의 HUD마이콤 작동과정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계기판 및 헤드업디스플레이 제어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계기판 및 헤드업디스플레이 제어장치는, 도 1을 참조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에 설치되는 각종 센서(미도시)로부터 신호를 전송받는 ECU(100), 클러스터마이콤(210) 및 클러스터표시부(220)를 구비한 계기판(200), HUD마이콤(310) 및 HUD표시부(320)를 구비한 헤드업디스플레이(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HUD마이콤(310)은 필터링부(311), 바이패스부(312) 및 연산부(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ECU(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에 설치된 각종 센서로부터 정보를 수신받는다. ECU(100)는 전자제어유닛(Electronic Control Unit)으로서 자동차용 컴퓨터라 할 수 있고, ECU(100)안에는 RAM과 ROM이 있다. ECU(100)의 RAM은 자동차가 운행 중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신호를 임시로 저장하는 기능을 하며, ROM은 자동차가 움직이는데 필요한 제어용 데이터로써 설계시 만들어져 나온다. 이러한 ECU(100)는 차량의 전원이 온(on)됨과 동시에 차량에 설치된 각종 센서, 예컨대 엔진과 관련된 엔진회전수, 엔진오일량 등을 체크하는 센서와, 냉난방 관련 온도센서 등과, 안전과 관련된 에어백, 시트벨트 센서뿐만 아니라, 차량의 움직임과 관련된 속도, ABS, 좌우회전 센서 등 각종 센서로부터 정보를 수신받는다. 이때, ECU(100)로 수신 또는 전송되는 모든 신호의 통신은 자동차 통신표준인 CAN통신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상기 ECU(100)의 기능 및 작동이나 차량(1)에 설치된 각종 센서는 종래 자동차기술에서도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계기판(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ECU(10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차량(1)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연산하는 클러스터마이콤(210) 및 상기 클러스터마이콤(210)으로부터 연산된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차량(1)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클러스터표시부(220)가 구비된다. 차량의 전원이 온(on)됨과 동시에 계기판(200)이 작동하며, 이때 계기판(200)은 상기 ECU(10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는다. 계기판(200)의 클러스터마이콤(210)은 상기 ECU(10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차량(1)의 주행상태, 예컨대 속도, 엔진회전수, 온도, 연료량 등 다양한 주행상태나 주행정보를 연산처리한 후, 연산된 신호를 클러스터표시부(220)에 전송한다. 클러스터표시부(220)는 클러스터마이콤(210)에 의해 연산된 차량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고, 이를 통하여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는 계기판(200)의 클러스터표시부(220)를 보게 됨으로써 현재 차량의 주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헤드업디스플레이(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ECU(100) 및 상기 클러스터마이콤(210)으로부터 각각 신호를 전송받는 HUD마이콤(310) 및 상기 HUD마이콤(310)으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차량(1)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차량(1)의 전면유리(2)에 이미지로 표시하는 HUD표시부(320)가 구비된다. HUD마이콤(310)은 종래의 직렬식과 병렬식의 제어장치와는 달리 ECU(100) 및 계기판(200)의 클러스터마이콤(210) 양자로부터 각각 신호를 전송받는다. 이렇게 전송된 신호는 후술할 필터링부(311)에 의해 필터링되어 어느 하나로부터의 신호만을 HUD표시부(320)에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HUD표시부(320)는 HUD마이콤(310)으로부터 차량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수신받아 운전자에게 전면유리(2)를 통해 이미지로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면유리(2)를 통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으면 족할 뿐, 예컨대 투명디스플레이방식, 직접반사방식 또는 투사방식이든 무관하며 어떠한 방식을 사용하든 상관없다. 다만, HUD표시부(320)로 전송되는 신호는 HUD마이콤(310)으로부터 전송되며, 상기 HUD마이콤(310)은 ECU(100) 및 클러스터마이콤(210)으로부터 각각 신호를 전송받아 필터링한 후 어느 하나만을 HUD표시부(320)로 전송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구체적으로, HUD마이콤(310)은 상기 클러스터마이콤(21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ECU(100)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는 무시하고, 상기 클러스터마이콤(210)으로부터 수신받은 연산된 신호를 상기 HUD표시부(320)에 전송한다. 즉, 계기판(200)의 클러스터마이콤(210)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경우에는 클러스터마이콤(210)으로부터 HUD마이콤(310)으로 신호가 전송될 것이고, HUD마이콤(310)은 클러스터마이콤(21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은 경우 ECU(100)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는 무시한 후 클러스터마이콤(210)으로부터 수신받은 연산된 신호만을 상기 HUD표시부(320)에 전송한다. 따라서, HUD마이콤(310)은 별도의 연산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클러스터마이콤(210)에 의해 연산처리된 신호만을 바로 HUD표시부(320)에 전송하게 되며, HUD표시부(320)는 수신된 신호를 전면유리(2)를 통해 이미지로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계기판(200)의 클러스터표시부(220)와 헤드업디스플레이(300)의 HUD표시부(320)에 표시되는 차량(1)의 주행상태에 관한 정보는 상호 일치한 상태로 표시되며, 특히 이 경우 클러스터마이콤(210)에 의해 연산 처리된 정보를 공유하게 된다.
반면에, HUD마이콤(310)은 상기 클러스터마이콤(210)으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지 못한 경우 상기 ECU(100)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를 통해 상기 차량(1)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연산한 후 연산된 신호를 상기 HUD표시부(320)로 전송한다. 즉, 계기판(200)의 클러스터마이콤(210)에 고장 또는 파손에 의해 이상이 발생한 경우 클러스터마이콤(210)으로부터 HUD마이콤(310)으로 신호가 전송되지 못할 것이고, HUD마이콤(310)은 ECU(100)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근거하여 차량(10)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연산 처리한다. 이렇게 ECU(100)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를 통해 HUD마이콤(310)이 연산 처리한 신호를 HUD표시부(320)에 전송하고, HUD표시부(320)는 차량(1)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계기판(200)의 클러스터마이콤(210)이 고장 등에 의한 이상이 생길 경우에도 헤드업디스플레이(300)의 HUD마이콤(310)은 ECU(100)로부터 별도의 신호를 수신받아 연산한 결과값을 HUD표시부(320)에 전송할 수 있고, HUD표시부(320)는 이를 표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HUD마이콤(310)의 작동은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링부(311), 바이패스부(312) 및 연산부(313)를 통해 이루어진다. 즉, HUD마이콤(310)은 필터링부(311), 바이패스부(312) 및 연산부(313)를 포함하고, 필터링부(311)에 의해 ECU(100) 또는 클러스터마이콤(210)의 신호를 필터링한 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스터마이콤(210)의 신호가 있는 경우 바이패스부(312)를 통해 HUD표시부(320)로 신호를 전송하고, 클러스터마이콤(210)의 신호가 없는 경우 연산부(313)를 통해 ECU(100)의 신호를 연산하여 HUD표시부(320)로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필터링부(311)는 도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ECU(100) 및 상기 클러스터마이콤(210)으로부터 각각 전송된 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클러스터마이콤(210)으로부터의 수신된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클러스터마이콤(21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ECU(1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제거하고, 상기 클러스터마이콤(21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ECU(1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남겨둔다. 이러한 필터링부(311)는 클러스터마이콤(210)으로부터 연결된 라인상 신호가 있는 경우 ECU(100)로부터 신호를 받지 않거나, ECU(100)로부터 신호를 받은 경우라도 삭제처리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반대로, 필터링부(311)는 클러스터마이콤(210)으로부터 연결된 라인 상 신호가 없는 경우 클러스터마이콤(210)으로부터 아무런 신호가 없게 되므로 상기 ECU(100)로부터 수신된 신호만이 남게 된다.
바이패스부(31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링부(311)에 의해 상기 클러스터마이콤(21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클러스터마이콤(21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기 HUD표시부(320)에 전송한다. 바이패스부(312)는 명칭 그대로 바이패스(by-pass)하는 것으로서, 클러스터마이콤(210)으로부터 신호가 수신되면 HUD마이콤(310)에 의해 별도로 연산처리과정이 필요없다. 즉, 클러스터마이콤(210)에 의해 ECU(100)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근거하여 차량(1)의 주행상태에 대한 표시값이 연산 처리된 경우이므로 이를 HUD표시부(320)에 그대로 전달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바이패스부(312)를 통해 별도의 연산처리 과정을 생략할 수 있고, 클러스터마이콤(210)으로부터 연산된 신호가 클러스터표시부(220) 및 HUD표시부(320)에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는 것이다.
반면에, 연산부(313)는 상기 필터링부(311)에 의해 상기 클러스터마이콤(210)으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ECU(100)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해 상기 차량(1)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연산한 후 연산된 신호를 상기 HUD표시부(320)로 전송한다. 클러스터마이콤(210)으로부터 필터링부(311)에 수신된 신호가 없다는 것은, 계기판(200)의 고장 등에 의한 이상발생이 있다는 것이다. 이때, 필터링부(311)에는 ECU(100)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있으므로 연산부(313)는 상기 필터링부(311)에 수신된 ECU(100) 신호를 근거로 차량(1)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연산하고, 연산된 정보를 HUD표시부(320)로 전송하는 것이다. 따라서, 계기판(200)의 이상으로 계기판(200)의 클러스터표시부(220)에 차량(1)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가 표시되지 못하더라도, 헤드업디스플레이(300)의 HUD표시부(320)를 통해 운전자는 차량(1)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계기판 및 헤드업디스플레이 제어장치는, 헤드업디스플레이(300)의 HUD마이콤(310)이 ECU(100) 및 계기판(200)의 클러스터마이콤(210)으로부터 각각 신호를 전송받되, 클러스터마이콤(210)으로부터 전송되는 신호 유무에 따라 선택적으로 ECU(100) 또는 클러스터마이콤(210)으로부터 신호를 필터링한 후 클러스터마이콤(210)으로부터 신호가 있는 경우 별도의 연산 처리없이 바이패스하여 HUD표시부(320)로 표시함으로써 계기판(200)의 클러스터표시부(220)와 동일한 수치로 표시되도록 하고, 반대로 클러스터마이콤(210)으로부터 신호가 없는 경우 ECU(100)로부터 전송받은 신호에 근거하여 HUD마이콤(310)에 의해 연산처리된 차량(1)의 주행상태에 관한 정보를 HUD표시부(320)로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계기판(200)과 헤드업디스플레이(300)가 함께 작동할 경우에는 계기판(200) 및 헤드업디스플레이(300)로 표시되는 차량(1)의 주행상태가 일치하게 되어 운전자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고, 계기판(200) 또는 헤드업디스플레이(300)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생기더라도 나머지 하나의 작동에 영향을 주지 않아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담보할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 : 차량
2 : 전면유리
100 : ECU
200 : 계기판
210 : 클러스터마이콤 220 : 클러스터표시부
300 : 헤드업디스플레이
310 : HUD마이콤 311 : 필터링부
312 : 바이패스부 313 : 연산부
320 : HUD표시부

Claims (2)

  1. 차량에 설치된 각종 센서로부터 정보를 수신받는 ECU와,
    상기 ECU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연산하는 클러스터마이콤 및 상기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연산된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표시하는 클러스터표시부가 구비된 계기판과,
    상기 ECU 및 상기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각각 신호를 전송받는 HUD마이콤 및 상기 HUD마이콤으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차량의 전면유리에 이미지로 표시하는 HUD표시부가 구비된 헤드업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HUD마이콤은,
    상기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은 경우 상기 ECU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는 무시하고, 상기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수신받은 연산된 신호를 상기 HUD표시부에 전송하고,
    상기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신호를 수신받지 못한 경우 상기 ECU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를 통해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연산한 후 연산된 신호를 상기 HUD표시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계기판 및 헤드업디스플레이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UD마이콤은,
    상기 ECU 및 상기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각각 전송된 신호를 수신받고, 상기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의 수신된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 후 상기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ECU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제거하고, 상기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ECU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남겨두는 필터링부와,
    상기 필터링부에 의해 상기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있는 경우 상기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상기 HUD표시부에 전송하는 바이패스부와,
    상기 필터링부에 의해 상기 클러스터마이콤으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없는 경우 상기 ECU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통해 상기 차량의 주행상태에 관련된 정보를 연산한 후 연산된 신호를 상기 HUD표시부로 전송하는 연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계기판 및 헤드업디스플레이 제어장치.
KR1020120053229A 2012-05-18 2012-05-18 차량의 계기판 및 헤드업디스플레이 제어장치 KR101168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229A KR101168565B1 (ko) 2012-05-18 2012-05-18 차량의 계기판 및 헤드업디스플레이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3229A KR101168565B1 (ko) 2012-05-18 2012-05-18 차량의 계기판 및 헤드업디스플레이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8565B1 true KR101168565B1 (ko) 2012-07-24

Family

ID=46717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3229A KR101168565B1 (ko) 2012-05-18 2012-05-18 차량의 계기판 및 헤드업디스플레이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856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84578A1 (en) * 2013-03-29 2014-10-01 Funai Electric Co., Ltd. Projector and head-up display device
KR101737737B1 (ko) * 2016-09-06 2017-05-18 덴소코리아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 hud 통합 클러스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90316A1 (en) 1994-06-30 1996-01-03 Hughes Aircraft Company Low visibility imaging radar system
JP2690323B2 (ja) 1988-05-12 1997-12-10 株式会社カンセイ 表示装置
KR100523574B1 (ko) 2002-10-18 2005-10-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헤드업디스플레이를 갖는 차량 항법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90323B2 (ja) 1988-05-12 1997-12-10 株式会社カンセイ 表示装置
EP0690316A1 (en) 1994-06-30 1996-01-03 Hughes Aircraft Company Low visibility imaging radar system
KR100523574B1 (ko) 2002-10-18 2005-10-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헤드업디스플레이를 갖는 차량 항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784578A1 (en) * 2013-03-29 2014-10-01 Funai Electric Co., Ltd. Projector and head-up display device
KR101737737B1 (ko) * 2016-09-06 2017-05-18 덴소코리아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차량용 카메라 hud 통합 클러스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83192B2 (ja) 車両用死角監視装置及び車両用運転支援システム
US20160084661A1 (en) Performance driving system and method
CN109353279A (zh) 一种增强现实车载抬头显示系统
US20200369149A1 (en) Method for displaying the course of a safety zone in front of a transportation vehicle or an object by a display unit,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and transportation vehicle and computer program
JP5817843B2 (ja) 車両用情報伝達装置
CN105718230B (zh) 用于验证飞机组件的近眼显示系统和方法
JP2006350617A (ja) 車両用走行支援装置
US20150371527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a System
CN105620477A (zh) 一种车辆的车道偏离预警控制方法
JP2009269551A (ja) 車両用表示装置
CN105361894A (zh) 用于确定机动车的机动车驾驶员的反应时间的方法和装置
KR20150061943A (ko) 운전자 상태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CN103527773A (zh) Amt车辆变速器输入轴转速传感器失效的控制方法及其装置
CN113168525A (zh) 用于检测车辆的驾驶员的注意力分散的装置和方法
KR101168565B1 (ko) 차량의 계기판 및 헤드업디스플레이 제어장치
EP3680781A1 (en) Error detection ic for vehicular av system
KR101573767B1 (ko) 비상 주차 차량의 안전 확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4577564B2 (ja) 車両用表示装置
SE536536C2 (sv) Varningssystem
CN107054225A (zh) 车辆显示系统及车辆
JP6124745B2 (ja) 車載システム
KR102331077B1 (ko) 차량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hud 상의 교통신호 변경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23181A (ko) 디지털 클러스터의 차량 주행정보 및 운전자 정보 표시 방법
CN109159738A (zh) 一种基于图像叠加的前盲区图像显示方法和系统
CN104134316A (zh) 一种疲劳驾驶预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