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1077B1 - 차량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hud 상의 교통신호 변경 알림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hud 상의 교통신호 변경 알림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1077B1
KR102331077B1 KR1020200053840A KR20200053840A KR102331077B1 KR 102331077 B1 KR102331077 B1 KR 102331077B1 KR 1020200053840 A KR1020200053840 A KR 1020200053840A KR 20200053840 A KR20200053840 A KR 20200053840A KR 102331077 B1 KR102331077 B1 KR 102331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light
vehicle
traffic
signal change
gatew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5772A (ko
Inventor
이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젠
Priority to KR1020200053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1077B1/ko
Publication of KR20210135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1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1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5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차량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HUD 상의 교통신호 변경 알림 시스템 및 방법이 게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신호 변경 알림 시스템은, 신호등의 상태 정보가 요청되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신호등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신호등 정보 서버; 및 차량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신호등이 존재하면 신호등 정보 서버로 해당 신호등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전방 영상을 분석하고, 신호등 정보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 및 전방 영상의 분석 결과에 따라 차량 정차중 신호가 초록불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차량 앞 유리의 전방 표시 장치에 신호 변경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를 표시하는 차량 게이트웨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HUD 상의 교통신호 변경 알림 시스템 및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notifying traffic signal change on head-up display using vehicle gateway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하여 교통신호 변경을 감지하고 증강 현실 HUD(Head-up Display)에 해당 정보를 표시하는 교통신호 변경 알림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차량 시스템이 교통신호 변경을 감지하여 운전자에게 알리기 위해, 차량의 게이트웨이가 카메라를 통해 촬영한 영상을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면 스마트폰이 영상을 분석하여 신호등이 바뀌었는지 판정하고 신호등이 바뀌었다고 판단되면 차량의 게이트웨이로 알려주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운전자가 자신의 스마트폰에 신호등 분석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 하고 차량의 클러스터로 시선을 돌려 신호등 변경 사실을 확인해야 하므로 운전에 방해가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 정차중 신호가 변경되는 시점을 차량 게이트웨이와 원격의 서버가 판단하고 증강 현실 HUD를 통해 신호 변경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시선을 돌리지 않고도 서버가 감지한 신호 변경 사실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교통신호 변경 알림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의 서버에 의해 교통신호 변경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생성함으로써 다른 차 등에 의해 운전자의 시야가 가려지는 경우에도 신호 변경 사실을 감지할 수 있는 교통신호 변경 알림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변경 알림 시스템은, 신호등의 상태 정보가 요청되면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신호등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신호등 정보 서버; 및 차량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신호등이 존재하면 상기 신호등 정보 서버로 해당 신호등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전방 영상을 분석하고, 상기 신호등 정보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 및 상기 전방 영상의 분석 결과에 따라 차량 정차중 신호가 초록불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차량 앞 유리의 전방 표시 장치에 신호 변경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를 표시하는 차량 게이트웨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게이트웨이 장치는, 상기 카메라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전방 영상에서 신호등의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전방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그래픽 데이터가 상기 신호등 위치에 오버레이되도록 표시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차량 게이트웨이 장치는, 상기 신호등 정보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 및 상기 전방 영상의 분석 결과에 따라 차량 정차중 신호가 초록불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주행 신호를 송출하여 차량이 출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신호등 정보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 및 상기 전방 영상의 분석 결과 중 하나만 신호가 초록불로 변경됨을 나타내는 경우는, 상기 차량의 클러스터에 신호 변경 사실을 표시하고 주행 신호를 송출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변경 알림 방법은,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게이트웨이 장치가, 차량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신호등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소정 거리 내에 신호등이 있으면, 원격의 신호등 정보 서버로 해당 신호등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전방 영상을 분석하여 신호등의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등 정보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 및 상기 전방 영상의 분석 결과에 따라 차량 정차중 신호가 초록불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차량 앞 유리의 전방 표시 장치에 신호 변경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 정차중 신호가 변경되는 시점을 차량 게이트웨이가 판단하고 증강 현실 HUD를 통해 신호 변경 알림을 제공함으로써 운전자가 시선을 돌리지 않고도 서버가 감지한 신호 변경 사실을 알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원격의 서버에 의해 교통신호 변경을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생성하므로 다른 차 등에 의해 운전자의 시야가 가려지는 경우에도 신호 변경 사실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변경 알림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변경 알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증강 현실 HUD에 교통신호 변경 정보를 표시하는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수단",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에서 차량은 도로에서 주행하는 모든 종류의 이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변경 알림 시스템 및 방법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통신호 변경 알림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교통신호 변경 알림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게이트웨이 장치(10)와, 무선 통신을 통해 차량 게이트웨이 장치(10)에 소정 신호등에 대한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신호등 정보 서버(20)를 포함한다.
신호등 정보 서버(20)는, 차량 게이트웨이 장치(10)로부터 차량 전방의 소정 거리 내에 위치한 신호등의 상태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이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해당 신호등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한다. 신호등 정보 서버(20)는 게이트웨이 장치(10)로부터 신호등의 위치 정보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고, 신호등의 위치 정보 또는 식별 정보에 의해 특정할 수 있는 신호등의 현재 상태와 이전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 정보를 생성한다. 신호등의 상태는 신호등 관제 시스템 등 교통신호를 관리하는 외부의 시스템을 통해서 또는 신호등 정보 서버(20) 내부의 신호등 관리 모듈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차량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차량 내부와 외부 간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는 장치로서, 카메라 센서(11) 등의 각종 센서와 전자 제어 장치들(12, Electronic Control Unit, 이하 ECU라 함)을 통해 획득한 데이터를 프로세싱하고 신호등 정보 서버(20) 등의 외부 장치와 소정의 정보를 주고 받는다. 또한, 전방 표시 장치(14, Head-up Display, 이하 HUD라 함) 및/또는 클러스터(도시되지 않음)에 교통 신호 변경 알림 등 각종 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ECU(12)는 차량 내 EMS(Engine Management System), TCU(Telecommunication Control Unit), HCU(Hybrid Control Unit),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ECS(Electronic Power Steering), MDPS(Motor Driving Power Steering), LKAS(Lane Keeping Assist System), SCC(Smart cruise control) 등에 설치되어 그 기능을 제어하는 장치로 게이트웨이(10)에 CAN 통신을 통해 연결된다.
각 ECU는 차량의 시동으로 전원이 인가되면 통신을 개시하고,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방식인 CAN 통신을 통해 메인 버스에 메시지를 송신한다. 또한, 각 ECU는 협조 제어를 위해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주고 받고, 시스템의 결함 및 통신상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고장 코드를 저장한다. 그리고, ECU(12)는 차량 진단이나 운행시 소정의 자가 진단 수행하여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해당 고장 코드를 생성하여 게이트웨이 장치(10)로 전달하는 한편, 차량 클러스터의 각종 램프를 점등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이상 상태를 알릴 수 있다.
게이트웨이 장치는 해당 ECU(12)를 통해 카메라 센서(11), 네비게이션 장치(13), HUD(14), 클러스터 등을 제어하고 각 파트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네비게이션 장치(13)는 차량의 현재 위치에 기초하여 지도 정보를 제공하며, 지도 정보에는 차량 전방에 가까워지는 신호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것이다.
차량의 게이트웨이 장치(10)는 네비게이션 장치(13)를 통해 차량 전방의 소정 거리 내에 신호등이 존재하는지를 모니터링한다. 차량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신호등이 존재하면,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신호등 정보 서버(20)로 해당 신호등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한다. 또한, 카메라 센서(11)에 의해 촬영되는 전방 영상을 해당 ECU(12)를 통해 수신한다.
카메라 센서(11)는 차량에 장착되며 차량의 전방을 촬영하여 영상을 게이트웨이 장치(10)로 제공한다.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카메라 센서(11)를 통해 획득되는 전방 영상을 분석하여 소정 거리 내에 있는 신호등의 상태 변화를 파악한다. 또한, 전방 영상에서 신호등이 있는 위치, 신호등의 형상을 추출할 수 있다.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신호등 정보 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 및 카메라 센서(11)가 촬영하는 전방 영상의 분석 결과에 따라, 운전자에게 어떤 출력 장치를 통해 그리고 어떤 정보를 표시하여 교통신호 변경 알림을 제공할지 결정할 수 있다.
신호등 정보 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 및 전방 영상의 분석 결과에 따른 신호등 상태 모두 해당 차량 정차중 신호가 초록불로 변경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차량 앞 유리의 HUD(14)에 신호 변경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때 차량 앞 유리로 보이는 실제 모습과 연동되는 방식으로 신호 변경 정보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운전자가 증강 현실에 의해 신호 변경 알림을 받을 수 있다.
HUD(14)는 차량의 전방 표시 장치로 최근 자동차 분야에서 운전자의 안전과 편의성을 높여 주기 위한 자동차 전자 장비 기술이다. 차량 주행에 필요한 정보를 자동차 앞 유리에 표시하기 위해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를 차량 앞 유리창에 반사시키는 방법으로 계기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운전자가 계기 정보 등을 확인하기 위해 시선을 돌리지 않을 수 있도록 하므로 주행중 안전을 확보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차량 게이트웨이 장치를 이용한 교통신호 변경 알림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증강 현실 HUD에 교통신호 변경 정보를 표시하는 모습을 예시한 것이다.
단계 S21에서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지도상 차량 주행 방향으로 소정 거리 내에 신호등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 신호등의 존재 여부는 네비게이션 모듈(13)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감지하거나, 카메라 센서(11)에 의해 촬영되는 전방 영상으로부터 신호등 이미지를 추출하므로써 파악될 수 있다.
단계 S22에서, 게이트웨이 장치(10)가 소정 거리 내에 신호등이 있다고 판단하면, 단계 S23으로 이행하여 원격의 신호등 정보 서버(20)로 해당 신호등의 상태 정보를 요청한다. 이때, 신호등을 특정할 수 있는 식별 정보나 좌표 정보를 신호등 정보 서버(20)로 전송할 필요가 있다.
단계 S24에서는 신호등 정보 서버(20)로부터 해당 신호등의 상태 정보를 수신한다. 상태 정보는 해당 신호등의 식별 정보, 현재 상태, 이전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5에서, 신호등 정보 서버(20)로부터 수신한 상태 정보에 따라 차량 정차중 교통 신호가 초록불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단계 S26으로 이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23으로 이행하여 신호등 정보 서버(20)로 해당 신호등의 상태 정보를 다시 요청한다.
단계 S26에서는,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 센서(11)를 통해 획득되는 전방 영상을 분석한다. 전방 영상에 신호등이 있는지 여부, 신호등의 어느 색상이 점등되었는지, 신호등의 영상 내 위치, 신호등의 형상 등을 파악한다.
단계 S27에서, 전방 영상 분석 결과 차량 정차중 교통 신호가 초록불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단계 S28로 이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 S29로 이행한다.
단계 S28에서는, 증강 현실을 통해 정보를 출력하는 HUD(14)를 통해 신호 변경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교통신호 변경 사실을 표시한다.
증강 현실 HUD 기술은 차량의 윈드 실드의 정해진 위치에 속도나 방향 등의 정보를 표시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실제 운전자의 시야에 보이는 물체에 HUD 기술로 각종 정보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기술이다.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카메라 센서(11)를 통해 촬영되는 전방 영상으로부터 신호등의 위치를 파악하고 HUD(14) 상에 표시되는 그래픽 데이터가 실제 신호등 위치에 오버레이되도록 표시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운전자가 앞 유리를 통해 보는 실제 신호등 위치 또는 근처에 신호가 바뀌었음을 알리는 표시를 오버레이할 수 있다.
또한, 증강 현실 HUD(14)를 통한 정보 표시를 위해, 카메라 센서(11)를 통해 촬영되는 전방 영상으로부터 신호등의 형상을 추출하고, 추출된 신호등의 형상에 맞추어 바뀐 신호의 색상을 강조하기 위한 그래픽 데이터를 생성하고 표시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증강 현실 HUD(14) 상에 각종 계기 정보(31)가 표시될 뿐만 아니라, 차량의 전방 유리를 통해 보이는 신호등 위치에 신호 변경 사실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30)가 오버레이되어 표시됨을 알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신호등이 빨간불이어서 차량이 정차중일 때 신호 상태가 초록불로 변경되면 해당 정보가 증강 현실 HUD(40) 상에 표시되며, 운전자로 하여금 현재 주행 상황과 신호등 상황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자율주행중인 차량에 적용되는 경우, 신호등 정보 서버(20)로부터 수신한 상태 정보에 따라, 그리고 전방 영상 분석 결과 신호등이 초록불로 변경되었음이 확인되면, 게이트웨이 장치(10)는 차량이 출발할 수 있도록 주행 신호를 차량내 네트워크를 통해 송출할 수 있다.
단계 S29는, 신호등 정보 서버(20)로부터 수신한 상태 정보에 의해서는 차량 정차중 교통 신호가 초록불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되지만, 전방 영상 분석 결과로는 그렇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의 처리로서, 클러스터 화면에 교통신호 변경 사실을 표시한다.
신호등 정보 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 및 전방 영상의 분석 결과 중 하나만 신호가 초록불로 변경됨을 나타내는 경우는, 자율주행 차량내 네트워크를 통해 주행 신호를 송출하지 않고, 차량의 클러스터에 신호 변경 사실을 표시하여 운전자의 판단에 따라 수동으로 엑셀을 밟아 직접 주행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10: 차량 게이트웨이 장치
11: 카메라 센서
12: 전자 제어 장치
13: 네비게이션 장치
14: 전방 표시 장치(HUD)
20: 신호등 정보 서버

Claims (4)

  1. 신호등의 상태 정보가 요청되면 상기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신호등의 상태 정보를 획득하여 제공하는 신호등 정보 서버; 및
    차량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신호등이 존재하면 상기 신호등 정보 서버로 해당 신호등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전방 영상을 분석하고, 상기 신호등 정보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 및 상기 전방 영상의 분석 결과에 따라 차량 정차중 신호가 초록불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차량 앞 유리의 전방 표시 장치에 신호 변경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를 표시하는 차량 게이트웨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게이트웨이 장치는 상기 카메라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전방 영상에서 신호등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전방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그래픽 데이터가 상기 신호등 위치에 오버레이되도록 표시 위치를 설정하며,
    상기 전방 표시 장치는 증강 현실 HUD이며,
    상기 증강 현실 HUD는 상기 표시 위치가 설정된 상기 신호등 위치에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 변경 알림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게이트웨이 장치는,
    상기 신호등 정보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 및 상기 전방 영상의 분석 결과에 따라 차량 정차중 신호가 초록불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는, 주행 신호를 송출하여 차량이 출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신호등 정보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 및 상기 전방 영상의 분석 결과 중 하나만 신호가 초록불로 변경됨을 나타내는 경우는, 상기 차량의 클러스터에 신호 변경 사실을 표시하고 주행 신호를 송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 변경 알림 시스템.
  4. 차량에 탑재되는 차량 게이트웨이 장치가,
    차량으로부터 소정 거리 내에 신호등이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소정 거리 내에 신호등이 있으면, 원격의 신호등 정보 서버로 해당 신호등의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는 단계;
    상기 차량에 장착된 카메라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전방 영상을 분석하여 신호등의 상태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신호등 정보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상태 정보 및 상기 전방 영상의 분석 결과에 따라 차량 정차중 신호가 초록불로 변경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차량 앞 유리의 전방 표시 장치에 신호 변경을 나타내는 그래픽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계에서, 상기 카메라 센서를 통해 획득되는 전방 영상에서 신호등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전방 표시 장치에 표시되는 그래픽 데이터가 상기 신호등 위치에 오버레이되도록 표시 위치를 설정하며,
    상기 전방 표시 장치는 증강 현실 HUD이며,
    상기 증강 현실 HUD는 상기 표시 위치가 설정된 상기 신호등 위치에 상기 그래픽 데이터를 오버레이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신호 변경 알림 방법.
KR1020200053840A 2020-05-06 2020-05-06 차량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hud 상의 교통신호 변경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2331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840A KR102331077B1 (ko) 2020-05-06 2020-05-06 차량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hud 상의 교통신호 변경 알림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840A KR102331077B1 (ko) 2020-05-06 2020-05-06 차량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hud 상의 교통신호 변경 알림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772A KR20210135772A (ko) 2021-11-16
KR102331077B1 true KR102331077B1 (ko) 2021-11-25

Family

ID=78716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840A KR102331077B1 (ko) 2020-05-06 2020-05-06 차량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hud 상의 교통신호 변경 알림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10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08665B (en) * 2022-02-22 2024-01-03 Envisics Ltd Head-up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971B1 (ko) * 2010-09-16 2014-01-22 전종훈 무선통신을 이용한 신호등 정보 제공 시스템
KR20170020683A (ko) * 2015-08-14 2017-02-23 ㈜리커시브소프트 신호등 신호 감지에 의한 신호변경 운전자 알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772A (ko) 202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5471B2 (en) Method for displaying the course of a safety zone in front of a transportation vehicle or an object by a display unit,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and transportation vehicle and computer program
JP4807263B2 (ja) 車両用表示装置
JP4882285B2 (ja) 車両用走行支援装置
JP6241235B2 (ja) 車両用運転支援装置
JP5397735B2 (ja) 車両用緊急車両接近検出システム
CN112771592B (zh) 用于警告机动车的驾驶员的方法、控制设备及机动车
JP7307558B2 (ja) 車両の運転制御システム
CN107209987B (zh) 用于交通标志验证的驾驶员辅助系统和方法
KR102304849B1 (ko) 차량의 원격 자동 주차 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JP2015138308A (ja) 運転支援装置、運転支援方法及び運転支援プログラム
US20220011768A1 (en)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KR102331077B1 (ko) 차량 게이트웨이를 이용한 hud 상의 교통신호 변경 알림 시스템 및 방법
JP2017129406A (ja) 情報処理装置、スマートグラス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272902B2 (ja) 車両走行支援装置および車両走行支援方法
US20230294517A1 (en) Vehicle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and vehicle display control method
JP2015143929A (ja) 車両用通信装置、車両用通信プログラム、車両用通信方法、車両用通信システム
JP2019156296A (ja) 車両用表示投影装置
JP2017004339A (ja) 車両用運転者支援装置
CN113401056B (zh) 显示控制装置、显示控制方法以及计算机可读取存储介质
JP7276255B2 (ja) 画像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JP2019182169A (ja) 車両走行制御システム
US20230316776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a Non-relevant Signal Generator
CN109959385B (zh) 车辆驾驶辅助系统和方法
US20220258759A1 (en) Method and driver assistance system for providing visual information about a first vehicle in an environment of a second vehicle,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CN109624989B (zh) 车辆驾驶辅助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