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8181B1 - 고전압 회로 차단기 및 차단기 배열체 - Google Patents

고전압 회로 차단기 및 차단기 배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8181B1
KR101168181B1 KR1020087013356A KR20087013356A KR101168181B1 KR 101168181 B1 KR101168181 B1 KR 101168181B1 KR 1020087013356 A KR1020087013356 A KR 1020087013356A KR 20087013356 A KR20087013356 A KR 20087013356A KR 101168181 B1 KR101168181 B1 KR 101168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onnector
angle
switching device
electr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3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1169A (ko
Inventor
미하엘 브루케르트
디터 퓌히슬레
마르틴 취르허
마라 트레글리아
Original Assignee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filed Critical 에이비비 테크놀로지 아게
Publication of KR20080071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1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8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8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35Gas-insulated switchge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03Earthing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 Driving Mechanisms And Operating Circuits Of Arc-Extinguishing High-Tension Switches (AREA)
  • Keying Circuit Devices (AREA)
  • Tumbler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싱측에서 전기 연결부 (3b, 3c, 3d) 를 갖는 전기 스위치 장치, 특히 고전압 회로 차단기 (1)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캡슐화 앵글 단로기 (7) 는 케이싱측 전기 연결부 (3b, 3c, 3d) 와 외부 부싱 (4, 40; B, C, D) 또는 송전 케이블 사이에 장착되고, 이 앵글 단로기에 의해 전기 연결부 (3b, 3c, 3d) 는 바람직하게는 단로기 평면 (T12) 의 스위칭 장치 (1) 의 작동 위치에서 수직을 향해 편향된다. 대표적인 실시형태는, 특히, 수평 전기 연결부 (3b, 3c, 3d) 및 90°단로기 (7); 단로기 입력 축선 (T1) 에 대한 직각 단로기의 추가적인 경사각 (β); 서로 경사지고 직각 각도기 (7) 와 관련된 다수의 케이싱측 수평 전기 연결부 (3b, 3c, 3d) 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은, 분리되고/분리되거나 접지될 수 있는 송전 케이블 (4, 42; C) 또는 외부 부싱을 연결할 때의 높은 유연성 및 보다 컴팩트한 스위치기어 조립 설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전압 회로 차단기 및 차단기 배열체{HIGH-VOLTAGE CIRCUIT BREAKER AND BREAKER ARRANGEMENT}
본 발명은 고전압 엔지니어링, 특히 전기 에너지 분배 시스템의 회로 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독립 청구항의 서문에 따른 전기 스위칭 장치 및 스위칭 장치 배열체에 기초한다.
본 발명은 DE 24 27 451 에 따른 종래 기술에 기초한다. 본 문서는 운송을 위해 피봇회전될 수 있는 외부 부싱을 갖는 가스 절연 복합 스위치를 개시한다. 부싱은 측면으로 (수평으로) 또는 상부에서 (수직으로) 배열된 전기 연결 플랜지의 맨틀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단부측 전기 연결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 회로 차단기로, 두 개의 맨틀측 전기 연결부는 스위치 축을 통해 공통 면에서 배열된다. 추가적으로, 스위치 하우징에 단로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 29 29 054 A1 은 수평으로 안내되는 가스 절연 모선 (busbar) 및 수직으로 안내되는 외부 부싱용 단부측 전기 연결부를 갖는 다중실 회로 차단기를 기재하고 있다. 직선 단로기는 중간 모듈을 통해 송전 피더 (outgoing feeder) 에 플랜지-연결된다.
DE 100 13 232 A1 에서는, 두 개의 다상-캡슐화된 회로 차단기가 수평으로 배열되고 탱크의 상부에 있는 맨틀측 전기 연결 플랜지부가 제공되며, 전기 연결부 또는 이들의 중앙 축선은 스위치 축선을 통해 공통 수직 종방향 평면에 다시 놓이고 수직 상방으로 안내된다. 단로기 및 접지 스위치 기능을 갖는 90°로 구부러진 모듈이 GIS 측 전기 연결부에 위치된다. 전기 연결부는 직각 단로기에 의해 수평선 안으로 편향되어서 수평으로 놓인 GIS 모선에 연결될 수 있다.
DE 100 11 888 A1 은 각각의 경우에 3상 고전압 스위치기어 조립체를 위한 3 개의 병렬 회로 차단기의 5 개 군을 포함하는 H 회로를 기재하고 있다. 회로 차단기는 수평으로 배열되고 수직 상방 외부로 안내되고 상방 외부로부터 멀어지게 안내되어 GIS 측에서 직각 단로기를 통해 수평선 안으로 편향되는 전기 연결부 또는 전기 연결 플랜지부를 갖는다. 회로 차단기에는 GIS 측에서 단부측 전기 연결부가 제공될 수 있고, 조립체의 모든 GIS 측 모듈은 공통 수평면에 배열된다.
DE 100 32 656 A1 은 두 개의 맨틀측 커넥터를 갖는 "데드 탱크 차단기" 를 기재하고 있다. 커넥터는 스위치 축선을 통해 수직 종방향 평면에서 배열되고 커넥터의 플랜지 평면은 수평하게 이어진다. 부싱이 수직 종방향 평면에서 V 형으로 상방으로 서로 멀어지면서 안내되도록 아치형 베이스부를 통해 두 개의 외부 부싱이 연결 플랜지에 위치된다. 또한 커넥터는 수평으로 균일하게 배열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플랜지 평면이 수직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 경우에, 제 1 커넥터는 가스 절연 스위치기어 조립체 (GIS) 에 연결되고 제 2 커넥터는 외부 부싱을 통해 오버헤드 라인 또는 변압기에 연결된다. 외부 부싱은 이 경우에 아치형 베이스부의 도움으로 수평선의 외부로 안내되고 수직 평면 (횡방향 평 면) 에서 스위치 축선에 대해 직각인 각으로 상방으로 멀어지도록 안내된다.
EP 0 744 758 A2 는 송전 케이블용 맨틀측 전기 연결부를 갖는 회로 차단기를 기재하고 있고, 상기 전기 연결부는 약간의 분기식으로 상방으로 안내된다. 송전 케이블에 송전 피더 스위치 단로기가 제공된다. 1 상 또는 중간 축선과 연결된 두 개의 전기 연결부는 각각의 경우에 스위치 축선을 통과하는 공통 평면 (종방향 평면) 에서 회로 차단기 하우징에 배열된다. 3 개의 회로 차단기가 서로 종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고 단일상 캡슐화되거나 3 상 캡슐화됨으로써 3 상 스위칭 장치가 실현된다. 두 경우에, 외상 (outer phase) 용 송전 케이블 또는 전기 연결부의 평면은 중심 상의 전기 연결부의 수직 방향의 평면으로부터 대략 45°로 스위치 축선에 대해 외부로 경사진다.
DE 103 25 681 B3 은 가스 절연 복합 스위칭 장치를 설명하는데, 회로 차단기의 종방향 축선은 수평 및 수직으로 45°각도로 벗어나도록 배열된다. 제 1 전기 연결 플랜지는 단부측에 제공되고 제 2 및 제 3 전기 연결 플랜지는 맨틀측의 회로 차단기에 제공된다. 모든 전기 연결부 또는 전기 연결부의 중앙 축선은 스위치 축선을 통과하는 공통 수직 평면 (종방향 평면) 에 배열된다. 이 경우에, 제 2 맨틀측 전기 연결부는 엘보우 형상의 플랜지 또는 엘보우 형상의 연결 조각을 통해 수직 상방으로 편향되고, 제 3 맨틀측 전기 연결부는 회로 차단기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멀어지도록 안내된다. 그 결과, 외부 부싱은, 전기 연결부에서 대칭으로 구획되도록 상방으로 멀어지게 안내될 수 있다. 외부 부싱에 직선 단로기가 제공된다.
DE 103 25 684 A1 는 가스 절연 복합 스위칭 장치를 기재하고 있는데, 이번엔 스위치 종방향 축선이 비스듬히 상방을 가리키고 외부 부싱용 제 1 단부측 및 제 2 맨틀측 전기 연결 플랜지가 제공된다.
EP 1 249 910 A1 은 수평으로 배열된 3 상 캡슐화 또는 단일상 캡슐화 고전압 회로 차단기를 기재하고 있는데, 이 회로 차단기는 GIS 이중 모선을 형성하기 위해 수직 상방을 가리키는 두 개의 맨틀측 전기 연결부 및 케이블, 오버헤드 라인 또는 변압기의 송전 피더용 두 개의 단부측 전기 연결부를 갖는다.
EP 0 735 637 B1 은 통합된 2 지점 단로기를 갖는, 수평하게 배열된 3 상 캡슐화 또는 단일상 캡슐화 회로 차단기를 기재하고 있다. 두 개의 단로기 송전 피더는 스위치 종방향 축선에 대해 직각인 평면 (횡방향 평면) 의 맨틀측에서 V 형으로 상방으로 멀어지게 안내된다. 또한, 스위치 하우징에는 구성 부품 및 송전 피더 단로기가 배열된다.
가스 절연 하우징 ("데드 탱크 차단기", 외부 GIS 복합 스위치, GIS 스위치) 을 갖는 상기 회로 차단기의 경우에, 외부 부싱은 원칙적으로 상방으로 멀어지게 안내될 필요가 있다. 언급된 종래 기술에 있어서, 이는 맨틀측의 상부에 위치되고 실질적으로 수직 상방을 가리키는 전기 연결부를 통해 직접 또는 단부측에서 수평하거나 맨틀측에서 수평하고 추가적인 편향 모듈을 통해 90°또는 가능하면 45°로 수평선의 외부 상방으로 편향되는 전기 연결부를 통해 간접적으로 발생한다.
EP 1 569 254 는 추가적인 단로기 및/또는 접지 스위치 기능부를 갖는 캡슐화 복합 단로기를 기재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크기가 보다 컴팩트하고 설계가 간단하고 다양한 스위칭 배열체에 융통성있게 적용될 수 있는 가스 절연 스위칭 장치 및 이러한 스위칭 장치를 갖는 스위치 배열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독립항의 특징에 의한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은, 전기 에너지 공급 시스템용 전기 스위칭 장치, 특히 고전압 스위치로서, 종방향 축선을 따라 연장하는 하우징에 배열된 회로 차단기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하우징의 맨틀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맨틀측 전기 연결부를 가지며, 이 전기 연결부는 송전 피더를 연결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스위칭 장치의 작동 위치에서 수평 성분을 갖는, 즉 수직이 아닌 중앙 축선을 갖는 전기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캡슐화 앵글 단로기가 맨틀측 전기 연결부와 송전 피더 사이에 끼워맞춤되고, 전기 연결측에서 상기 캡슐화 앵글 단로기의 입력 축선은 상기 중앙 축선에 평행하게 위치되고 송전 피더측에서 상기 캡슐화 앵글 단로기의 출력 축선은 송전 피더의 종방향 축선에 평행하게 위치되고, 단로기 평면이 상기 입력 축선과 출력 축선에 의해 규정되고, 단로 각도는 입력 축선과 출력 축선 사이에 있으며, 상기 단로 각도를 통해 상기 전기 연결부는 단로기 평면에서 스위칭 장치의 작동 위치에서 편향되는 전기 스위칭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연결부는 하우징의 커넥터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의 플랜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단로기는 이 경우에 송전 피더가 분리되고/분리되거나 접지 연결될 수 있게 해주는 어떠한 스위칭 장치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의해, 분리되고/분리되거나 접지 연결될 수 있는 송전 피더가 극히 공간 절약적인 방식으로 하우징 맨틀의 맨틀측 비수직 출력부를 통해 캡슐화 회로 차단기에 제공된다.
청구항 2 에 따른 대표적인 실시형태는, 지금까지 요구되어 왔던 볼 편향 조각, 각진 조각 등의 캡슐화 중간 모듈이 생략될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송전 피더에서 단로기 기능 및/또는 접지 스위치 기능이 실현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청구항 3 ~ 5 에 따른 대표적인 실시형태는, 앵글 단로기에 의해서, 외부 부싱 및 송전 케이블의 유리한 송전 피더 각도가 동시에 실행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청구항 6 ~ 8 에 따른 대표적인 실시형태는, 전기 연결부의 각 맨틀측 위치에 대한 위치 및 단로 각도를 조화시킴으로써, 송전 피더의 종방향 축선이 충분한 기울기를 갖는 송전 케이블의 경우에는 하방으로 그리고 외부 부싱의 경우에는 수평 상방으로 멀어지게 안내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청구항 9 에 따른 대표적인 실시형태는, 회전 각도 (β) 가 외부 부싱이 오버헤드 라인 등에 또는 송전 케이블에 회로 차단기 하우징의 맨틀측 송전 피더에서라도 높은 유연성으로 어떠한 원하는 송전 피더 방향으로도 송전 케이블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추가적인 자유도를 제공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청구항 10 ~ 13 은 회로 차단기에 플랜지 연결되는 다수의 외부 송전 피더 및/또는 송전 케이블을 갖는 유리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16 ~ 18 에 따라, 외부 송전 피더 또는 송전 케이블에서 선택적으로 T 형상인, 앵글 단로기로서 단로기 및/또는 접지 스위치 기능을 갖는 표준 복합 단로기의 사용이 특히 비용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상기에 설명된 바와 같은 스위치 장치를 갖는 스위치 배열체, 특히
Figure 112008039565280-pct00001
스위치 배열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 이점 및 응용은 종속항, 청구항의 조합 및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 따른다.
도 1a 및 1b 는 외부 부싱의 본 발명에 따라 측방향 플랜지 연결을 갖는 스위칭 장치의 제 1 실시형태의 측면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2a ~ 2c 는 두 개의 송전 피더 (외부 부싱 및/또는 케이블) 의 측방향 플랜지 연결을 갖는 스위칭 장치의 제 2 실시형태의 측면도 및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두 개의 송전 피더의 양측에서 플랜지 연결을 갖는 스위칭 장치의 제 3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도 4a 및 4b 는 3 개의 송전 피더의 양측에서 및 서로의 부분적으로 반대편에서 측방향 플랜지 연결을 갖는 스위칭 장치의 제 3 실시형태의 측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5a 및 5b 는
Figure 112008039565280-pct00002
로 간략화된 스위치 배열체의 평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6 및 7 은 맨틀측 앵글 단로기 연결부를 갖는
Figure 112008039565280-pct00003
스위치 배열체의 평면 도를 도시한다.
도 8 은 캡슐화 복합 앵글 단로기/접지 스위치의 형태의 바람직한 플랜지 연결 모듈을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기 스위칭 장치, 고전압 회로 차단기, 헤비 듀티 스위치
1a: 중앙 축선, 스위치 축선, 종방향 축선
1b: 스위치 배열체
2: 회로 차단기, 인터럽터 유닛, 스위칭실
2a: 스위치 하우징의 맨틀면
3: 회로 차단기의 하우징, 스위치 하우징
3a ~ 3d: 맨틀측 연결 플랜지
4: 송전 피더
40: 외부 부싱
41: 고전압 단자
42: 송전 케이블
43: 케이블
5: 스위치 드라이브
5a: 단부측 연결 플랜지 (드라이브용)
6: 압력 릴리프 밸브
6a: 단부측 연결 플랜지
7: 직각 단로기, 단로기 및/또는 접지 스위치 기능을 갖는 직각 모듈, 직각 복합 단로기
70: 단로기/접지 스위치 드라이브
71: 신속하게 작동하는 접지 스위치
8: 전류 변압기
9: 장착 프레임, 콘크리트 받침대
10: 공통 단로기 드라이용 드라이브 로드 조립체
11: 앵글 단로기 하우징
12, 13, 14: 단로기 개구부
15, 16, 17: 단로기 전기 컨덕터
18: 접촉 요소, 두 부분 접촉관
19: 접지 스위치 접촉부
20: 단로기 접촉부
21: 컨덕터관
22: 유지 요소
23: 단로기 드라이브축
24: 접지 접촉자
25: 단로기 접촉자
26: 나사 스핀들
27: 스핀들 너트
28, 29, 30: 스핀들 영역
31: 슬라이딩 요소
32: 안내 레일
A, B, C, D: 송전 피더의 종방향 축선
H1, H2: 맨틀측 비수직 전기 연결부의 중앙 축선
E: 접지 스위치
T: 단로기
T1, T2: 단로기 축선
T1: 입력 축선
T2: 출력 축선
T12: 단로기 평면
x, y, z: 카르테시안 좌표
α: 단로 각도
β: 회전 각도, 송전 피더에 대한 경사 각도
γ: 맨틀측 전기 연결부에 대한 위치 각도
동일한 부품에 대하여는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되었고, 반복되는 부품에 대한 도면 부호는 때때로 생략하였다.
도 1a, 1b 는 중앙 축선 (1a, x) 을 따라 연장하는 하우징 (3) 에서 회로 차단기 (2) 를 수용하는 스위칭 장치 (1) 의 대표적인 제 1 실시형태의 간략화된 형 태로 도시한다. 하우징 (3) 은, 그 맨틀면 (2a) 에서, 외부 부싱 (4, 40) 을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맨틀측 전기 연결부 (3b) 를 갖는다. 외부 송전 피더 (4, 40) 는 통상 오버헤드 라인 또는 변압기로 이어진다. 일반적으로, 외부 송전 피더 (4, 40) 대신에, 송전 케이블 (4, 42) 도 항상 제공될 수 있다 (도 2c).
전기 연결부 (3b) 는 회로 차단기 (2) 로부터 멀어지게 안내되는 중앙 축선 (H1) 을 가지며, 스위칭 장치 (1) 의 작동 위치에서는, 수평 공간 구성요소 (x, y 평면에 있음) 를 갖는다. 또한, 캡슐화 앵글 단로기 (7) 가 제공되는데, 전기 연결부측에 있는 이 단로기의 입력 축선 (T1) 은 중앙 축선 (H1) 에 평행하고 부싱측의 출력 축선 (T2) 은 외부 부싱 (4) 의 종방향 축선 (B) 에 평행하다. 이 경우에, 단로기 및/또는 접지 스위치 기능 (굽은 복합 단로기) 을 갖는 원하는 앵글 모듈이 앵글 단로기 (7) 로 불린다. 단로기 평면 (T12) 은 입력 축선 (T1) 및 출력 축선 (T2) 에 의해 규정되고, 단로 각도 (α) 는 입력 축선 (T1) 과 출력 축선 (T2) 사이에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앵글 단로기 (7) 는, 스위칭 장치 (1) 의 작동 위치에서 전기 연결부 (3b) 가 단로기 평면 (T12) 에서 편향되도록 맨틀측 전기 연결부 (3b) 와 송전 피더 (4) 사이에 끼워맞춤된다. 이렇게, 앵글 단로기의 도움으로 송전 피더 (4) 를 외부 또는 케이블 안으로 멀어지게 안내하기 위한 넓은 각도 스펙트럼이 제공된다. 이와 관련한 대표적인 실시형태가 이하에 주어진다.
또한 도 1a 및 1b 는 외부 부싱 (4) 의 단부에 있는 고전압 연결부 (40), 회 로 차단기 (2) 용 스위치 (5) 연결하기 위한 좌측 단부측 연결 플랜지 (5a)(더 이상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음), 압력 릴리프 밸브 (6) 를 갖는 우측 단부측 연결 플랜지 (6a) 를 도시한다. 단로기/접지 스위치 드라이브 (70) 가 앵글 단로기 (7) 에 끼워맞춤된다. 또한, 예컨대 전력 컨버터 (8) 또는 전압 컨버터, 편향 모듈, 연결 모듈, 단로기/접지 스위치 모듈 등의 추가적인 하우징 모듈 (도시되지 않음) 이 스위칭 장치 (1) 에 제공될 수 있다.
스위칭 장치 (1) 는 장착 프레임 (9), 콘크리트 받침대 등에 설치된다. 스위칭 장치 (1) 는 외부 송전 피더 또는 송전 케이블을 가진 GIS 스위치, AIS/GIS 복합 스위치 또는 데드 탱크 차단기 (1) 일 수 있다. 스위칭 장치 (1) 는, 예컨대 고전압 회로 차단기 (1) 또는 가능하게는 헤비 듀티 (heavy-duty) 스위치 또는 고전류 회로 차단기 또는 발생기 회로 차단기 등의 어떠한 원하는 회로 차단기 (2) 도 수용할 수 있다. 필수는 아니지만, 통상, 하우징 (3) 의 종방향 축선 (1a, x) 은 수평으로 배열된다. 하우징 (3) 의 단면 프로파일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둥글거나, 타원형,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이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 피더 (4) 의 측방향 플랜지 연결부의 앵글 단로기 (7) 는 중간 모듈을 사용하지 않고 입력측에서 전기 연결부 (3b) 에 그리고 출력측에서는 송전 피더 (4) 에 직접 끼워맞춤된다. 그 결과, 전기 연결부 (3b) 와 송전 피더 (4) 사이의 캡슐화 연결이 중간 모듈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제공된다.
유리하게는 전기 연결부 (3b, 3c, 3d) 는 수직을 향해 단로기 평면 (T12) 에서 단로기 (α) 를 통해 편향된다. 특히, 외부 송전 피더 (4, 40) 에 필요한, 외부 부싱 종방향 축선 (B) 의 방위가 하늘을 향해 또는 땅을 향해 또는 가능하다면 하늘을 향한 송전 케이블 (4, 42) 을 위해 실행된다. 다층 조립체의 경우에, 송전 피더는 수직을 향해 편향됨으로써 외부 부싱용 바닥에 제공될 수도 있다.
다른 대표적인 실시형태에 있어서, 수직선을 갖는 중앙 축선 (H1) 은 위치 각도 (γ) 를 포함하고, 위치 각도 (γ) 는 30°<γ<150°, 바람직하게는 60°<γ<12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80°<γ<100°이고 특히 γ=90° 이다. 또한, 단로 각도 (α) 는 30°<α<150°, 바람직하게는 60°<α<12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80°<α<100°이고 특히 α=90° 이다. 특히, 단로 각도 (α) 및 위치 각도 (γ) 는, 송전 피더 (4) 가 최대 60°, 바람직하게는 최대 45°,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30°로 수직을 향해 상방 또는 하방으로 멀어지게 안내되도록 서로 조화된다.
유리하게는, 외부 부싱 (4, 40) 을 갖는 송전 피더의 경우에는, 단로 각도 (α) 및 위치 각도 (γ) 의 (수치) 합계가 130°<(α+γ)<230°, 바람직하게는 140°<(α+γ)<220°,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α+γ)<210°가 되도록 선택되고 특히 α+γ=180°가 되도록 선택된다. 그 결과, 상부에서 하늘을 향한 외부 부싱 종방향 축선 (B) 의 유리한 방위가 달성되고 동시에 스위치의 영역의 바닥에서 작업자에 대한 고전압에 의한 어떠한 위험 없이 우수한 접근성이 달성된다.
또한, 송전 케이블 (4, 42) 의 경우에는, 케이블 (43)(도 2c) 을 땅을 향해 하방으로 멀어지게 안내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단로 각도 (α) 및 위치 각도 (γ) 의 합이 -50°<α-γ<50°, 바람직하게는 -40°<α-γ<40°, 특히 바람직하게는 -30°<α-γ<30° 이 되어야 하고 특히 α-γ=0°이다.
또한, 앵글 단로기 (7) 는 회전 방위를 갖는 전기 연결부 (3b) 에 고정 끼워맞춤될 수 있고, 수직 기준 평면과 단로기 평면 (T12) 사이의 회전 각도 (β) 는 입력 축선 (T1) 에 의해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이렇게, 외부 부싱 (4, 40) 은 경사 각도 (β) 로 경사진 단로기 평면 (T12) 에서 수직으로부터 빗나가면서 상방으로 멀어지게 안내될 수 있다.
특히, 회전 각도 (β) 는 0°<│β│<70°, 바람직하게는 0°<│β│<50°, 특히 바람직하게는 0°<│β│<30°이다. 회전 각도 (β) 는 전기 연결부 (3b) 의 피치원 (pitch circle) 장착 플랜지 및 단로기 입력 플랜지에서 각간격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바닥의 송전 케이블 (4, 42) 의 경우에, 회전 각도 (β) 는 110°<│β│<180°, 바람직하게는 130°<│β│<180°, 특히 바람직하게는 150°<│β│<180°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중앙 축선 (H1 또는 H2) 은 수평이고, 단로 각도 (α) 는 80°<α<100°이고 특히 α=90°이다. 그 결과, 송전 피더 (4), 즉 외부 부싱 (4, 40), B, C, D 또는 송전 케이블 (4, 42) 이 상부 (-70°<β<70°) 또는 바닥 (110°<│β│<180°) 에서 단로기 평면 (T12) 에서 안내될 수 있어 회전 각도 (β) 에 대한 경사 운동이 추가로 가능해지고, 특히 송전 피더 (4) 는 수직 상방 (β=0°) 또는 수직 하방 (β=±180°) 로 안내될 수 있다.
도 1a, 1b 에서, 또한 종방향 축선 (A) 을 갖는 다른 외부 부싱 (4) 을 위한 또는 추가적인 다른 장치를 위한 맨틀측 수직 연결부 (3a) 가 제공된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적인 방식으로, 또한 외부 부싱을 위한 또는 추가적인 장치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단부측 연결부가 제공될 수도 있다. 도 2c 에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 단로기 (7) 와 송전 피더 (4, 42) 사이에 응답이 빠른 접지 스위치 (71) 가 제공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도 2a, 2b, 2c, 3, 4a, 4b 및 도 5a, 5b,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맨틀측 비수직 전기 연결부 (3b, 3c, 3d) 가 제공되는데 이들 각각은 앵글 단로기 (7) 를 통해 종방향 축선 (B, C, D) 을 따라 연장하는 송전 케이블 (42) 또는 외부 부싱 (4, 40) 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 전기 연결부 (3b, 3c, 3d) 는, 상호 마주보는 쪽에서 특히 서로 마주보면서 스위칭 장치 (1) 의 하우징 (3) 을 통해 수직 종방향 평면에 대해 및/또는 종방향 축선 (1a, x) 을 따라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도록 배열된다 (도 3, 4a, 4b, 5a, 5b, 6). 상기에 설명된 모든 것들은 전기 연결부 (3a, 3c, 3d) 에 대해 측방향으로 맨틀측에서 연결되어 있는 이들 송전 피더 (4; 40, 42; B, C, D) 에 적용된다. 특히, 경사 각도 (β) 는 상이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부싱 (4; B, C, D) 에 대해 벗어날 수 있는데 예컨대 β=0°및 β<45°(도 2a, 2b) 또는 각각의 경우에, 예컨대 │β│<45°이고 회전 방향과 수학적 부호는 반대이다 (도 4a, 4b 또는 5a, 5b, 5c, 6, 7).
도 2b 및 도 4b 의 평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칭 장치 (1) 는 단일상 캡슐화될 수 있고, 이러한 스위칭 장치 (1) 의 3 상 (phase) 은 서로 병렬로 배열 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앵글 단로기 (7) 는 바람직하게는 공통 단로기 드라이브 (70) 에 의해 공통 드라이브 로드 (10) 를 통해 구동된다. 이에 따라, 그 자체로 알려져 있는 이 공통 단로기 드라이브 (10, 70) 는 본 발명에서, 즉 본 발명에 따라 측방향으로 플랜지 연결되고 경사질 수 있는 앵글 단로기 (7) 의 경우에, 외부 부싱 (4, 40; B, C, D) 및 송전 케이블 (4, 42; C) 에 대해 실현된다.
본 발명의 주제는 또한 청구항 1 과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전기 스위칭 장치 (1) 를 갖는 스위치 배열체 (1b) 이다. 이 경우에, 캡슐화 앵글 단로기 (7) 는 맨틀측 전기 연결부 (3b, 3c, 3d) 와 송전 피더 (4; 40, 42) 사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스위칭 장치 (1) 에 끼워맞춤되고, 전기 연결부측의 앵글 단로기의 입력 축선 (T1) 은 중앙 축선 (H1, H2) 에 평행하고 송전 피더측의 상기 앵글 단로기 (7) 의 출력 축선 (T2) 은 송전 피더 (4; 40, 42) 의 종방향 축선 (B, C, D) 에 평행하며, 단로기 평면 (T12) 은 입력 축선 (T2) 및 출력 축선 (T2) 에 의해 규정되고, 단로 각도 (α) 는 입력 축선 (T1) 과 출력 축선 (T2) 사이에 있고, 단로 각도 (α) 를 통해 전기 연결부 (3b, 3c, 3d) 는 단로기 평면 (T12) 에서 스위칭 장치 (1) 의 작동 위치에서 편향된다.
스위치 배열체 (1b) 는 단일 모선 (busbar) 배열체 (도 1 ~ 3 에 도시된 스위칭 장치 (1) 참조), 이중 모선 배열체 (도 4 에 도시된 스위칭 장치 (1) 참조),
Figure 112008039565280-pct00004
스위치 배열체 (1b)(도 5 ~ 7), H 회로 등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5a, 5b,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앵글 단로기 (7) 가 제공 되고, 이 앵글 단로기에 의해 두 개의 회로 차단기 (2) 가 맨틀측에서 서로 연결된다. 송전 피더 (4, 40, 42) 는, 앵글 단로기 (7) 를 통해 뒤로 굽어지도록 본 발명에 따라 플랜지 연결된다. 이 경우에, 직각 단로기 (7) 는 T 형상이고, 입력 축선 (T1) 을 따라, 제 1 단로기 개구부 (12), 이 제 1 단로기 개구부와 마주하는 제 3 단로기 개구부 (14), 및 출력 축선 (T2) 을 따라, 제 2 단로기 개구부 (13) 를 갖는다. 제 1 단로기 개구부 (12) 및 제 3 단로기 개구부 (14) 는 두 개의 회로 차단기 (2) 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 2 단로기 개구부 (13) 는 분리가능한 송전 피더 (4) 에 사용된다.
예로서,
Figure 112008039565280-pct00005
스위치 배열체 (1b) 에서, 3 개의 스위칭 장치가 서로 수평으로 평행하게 배열되고 앵글 단로기 (7) 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도 5a, 5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스위칭 장치 (1) 는 서로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맨틀측의 두 수평 전기 연결부 (3b, 3d) 에서 앵글 단로기 (7) 를 통해 두 개의 다른 스위칭 장치 (1) 에 연결될 수 있고, 앵글 단로기 (7) 는 직각의 T 형상이고 그 입력 축선 (T1) 을 따라 다른 스위칭 장치 (1) 에 연결되고 출력 축선 (T2) 을 따라 각각의 경우에 송전 피더 (4; 40, 42), 특히 바닥에 있는 송전 케이블 (4, 42) 또는 상부에 있는 외부 부싱 (4, 40) 에 연결된다. 적어도 하나의 앵글 단로기 (7) 는 입력 축선 (T1) 을 따라 중간 모듈의 사용 없이 다른 스위칭 장치 (1) 에 및 출력 축선 (T2) 을 따라 송전 피더 (4; 40, 42) 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앵글 단로기 (7) 는 양측에서 입력 축선 (T1) 을 따라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다른 단로기 (7) 를 통해 다른 스위칭 장치 (1) 에 연결될 수도 있다.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스위칭 장치 (1) 는 축선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있는 두 개의 맨틀측 수직 전기 연결부 (3a) 에서 앵글 단로기 (7) 를 통해 두 개의 다른 스위칭 장치 (1) 에 연결될 수도 있고, 앵글 단로기 (7) 는 직각 T 형상이고 입력 축선 (T1) 을 따라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다른 앵글 단로기 (7) 를 통해 다른 스위칭 장치 (1) 에 연결되고 출력 축선 (T2) 을 따라 각각의 경우에 상부 또는 바닥의 송전 피더 (4; 40, 42) 에 연결된다.
중요한 대표적 실시형태에서, 앵글 단로기 (7) 는 가스 절연 스위치기어 조립체를 위해 설계된 표준 복합 단로기 (7) 이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8 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이용된, 처음에 언급된 EP 1 569 254 A1 의 주제인 복합 단로기 (7) 를 도시한다. 상세하게 도 8 은 앵글 단로기 하우징 (11) 에서, 입력 축선 (T1) 을 따르는 제 1 단로기 개구부 (12) 및 필수적인 제 2 단로기 개구부 (13), 출력 축선 (T2) 을 따르는 제 3 단로기 개구부 (14) (입력 축선 (T1) 과 출력 축선 (T2) 의 역할의 교환이 가능함); 단로기 축선 (T1, T2) 을 따르는 단로기 전기 컨덕터 (15, 16, 17); 단로기 접촉부 (20) 및/또는 접지 스위치 접촉부 (19) 를 포함하는 변위가능한 두 부분 접촉 요소 (18); 이동가능한 접촉 요소 (18) 를 수용하기 위한 관형 컨덕터 (21); 이 경우에 접촉관 (20, 19) 의 형태인 단로기 접촉부 (20) 및/또는 접치 스위치 접촉부 (19) 를 분리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유지 요소 (22) 를 도시하며, 유지 요소 (22) 는 단로기 드라이버 (23, 70) 를 통해 직 선으로 변위가능하다. 특히, '23' 은 단로기 드라이브축, '26' 은 나사 스핀들, '27' 은 스핀들 너트, '28, 29, 30' 은 스핀들 영역, '31' 은 슬라이딩 요소 및 '32' 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레일을 나타낸다. 스핀들 드라이브 대신에, 직선 쓰러스트 드라이브, 복합 또는 다른 유형의 복합 단로기 드라이브가 이용될 수도 있다. 단로기 영역 (T) 이 폐쇄될 때, 단로기 접촉자 (25) 는 단로기 접촉부 (20) 를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접지 스위치 영역 (E) 이 폐쇄될 때, 접지 접촉자 (24) 는 접지 스위치 접촉부 (19) 를 수용하는 기능을 한다. 이 복합 단로기 (7) 의 특별한 이점은, 단로기 및/또는 접지 스위치 기능이 단로기 접촉부 (20) 및/또는 접지 스위치 접촉부 (19) 를 끼워맞춤함으로써 간단하게 실행될 수 있다는 사실에 있다. 접촉부 (19, 20) 중 하나를 분해하고/분해하거나 재끼워맞춤함으로써 단로기 기능, 접지 스위치 기능 및 복합 기능 사이의 다름 변형이 매우 간단한 방식으로 가능해진다. 다른 중요한 이점은, 단로기 전기 컨덕터 (17 또는 15) 가 폐쇄될 제 3 단로기 개구부 (17) 또는 제 1 단로기 개구부 (15) 에서 캡 (도시되지 않음) 에 의해 대체되면서, 도 8 또는 EP 1 569 254 에 도시된 3 개의 단로기 개구부 (12, 13, 14) 를 갖는 T 형상 또는 오직 두 개의 단로기 개구부 (12, 13 또는 14, 13) 을 갖는 L 형의 복합 단로기가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에 있다. 추가적인 장치 등도 플랜지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칭 장치 (1)(도 1 ~ 4) 및 스위치 배열체 (1b)(도 5 ~7) 의 모든 단로기 (7) 가 도 8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 단로기 (7) 로서 선택될 수 있다는 중요한 이점이 있다.

Claims (27)

  1. 전기 에너지 공급 시스템용 전기 스위칭 장치 (1) 로서, 종방향 축선 (1a, x) 을 따라 연장하는 하우징 (3) 에 배열된 회로 차단기 (2) 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3) 은 하우징의 맨틀면 (2a) 에서 적어도 하나의 맨틀측 전기 연결부 (3b, 3c, 3d) 를 가지며, 이 전기 연결부는 송전 피더 (4; 40, 42) 를 연결하는데 사용되고 상기 스위칭 장치 (1) 의 작동 위치에서 수평 성분 (x, y) 을 갖는 중앙 축선 (H1, H2) 을 갖는 전기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a) 캡슐화 앵글 단로기 (7) 가 맨틀측 전기 연결부 (3b, 3c, 3d) 와 송전 피더 (4; 40, 42) 사이에 끼워맞춤되고, 전기 연결측에서 상기 캡슐화 앵글 단로기의 입력 축선 (T1) 은 상기 중앙 축선 (H1, H2) 에 평행하게 위치되고 송전 피더측에서 상기 캡슐화 앵글 단로기의 출력 축선 (T2) 은 송전 피더 (4; 40, 42) 의 종방향 축선 (B, C, D) 에 평행하게 위치되고,
    b) 단로기 평면 (T12) 이 상기 입력 축선 (T1) 과 출력 축선 (T2) 에 의해 규정되고, 단로 각도 (α) 는 입력 축선 (T1) 과 출력 축선 (T2) 사이에 있으며, 상기 단로 각도를 통해 상기 전기 연결부 (3b, 3c, 3d) 는 단로기 평면 (T12) 에서 스위칭 장치 (1) 의 작동 위치에서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칭 장치 (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글 단로기 (7) 는 입력측에서 상기 전기 연결부 (3b, 3c, 3d) 에서 그리고 출력측에서는 상기 송전 피더 (4; 40, 42) 에 중간 모듈의 사용 없이 직접 끼워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칭 장치 (1).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연결부 (3b, 3c, 3d) 는 단로기 평면 (T12) 에서 수직을 향해 상기 단로 각도 (α) 로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칭 장치 (1).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 피더 (4, 40) 는 외부 부싱 (4, 40) 이고, 상기 전기 연결부 (3b, 3c, 3d) 는 상기 단로기 평면 (T12) 에서 수직을 향해 상방으로 상기 단로 각도 (α) 로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칭 장치 (1).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전 피더 (4, 42) 는 송전 케이블 (4, 42) 이고, 상기 전기 연결부 (3b, 3c, 3d) 는 상기 단로기 평면 (T12) 에서 수직을 향해 하방으로 상기 단로 각도 (α) 로 편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칭 장치 (1).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축선 (H1, H2) 은 수직선과 위치 각도 (γ) 를 이루고
    a) 상기 위치 각도 (γ) 는 30°<γ<150°이고,
    b) 상기 단로 각도 (α) 는 30°<α<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칭 장치 (1).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로 각도 (α) 및 상기 위치 각도 (γ) 는, 송전 피더 (4; 40, 42) 가 최대 60°의 각도로 수직에 대해 멀어지게 안내되도록 서로 조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칭 장치 (1).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외부 부싱을 갖는 송전 피더 (4, 40) 의 경우에, 상기 단로 각도 (α) 및 위치 각도 (γ) 의 합이 130°<α+γ<230°이거나,
    b) 송전 케이블 (4, 42) 의 경우에, 상기 단로 각도 (α) 및 위치 각도 (γ) 의 합이 -50°<α-γ<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칭 장치 (1).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상기 앵글 단로기 (7) 는 전기 연결부 (3b, 3c, 3d) 에 회전된 방위로 고정 끼워맞춤되고, 수직 기준 평면과 단로기 평면 (T12) 사이의 회전 각도 (β) 는 상기 입력 축선 (T1) 에 의해 미리 결정될 수 있고,
    b) 상기 회전 각도 (β) 는 0°<│β│<70°이며,
    c) 송전 케이블 (4, 42) 의 경우에, 상기 회전 각도 (β) 는 110°<│β│<1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칭 장치 (1).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맨틀측 비수직 전기 연결부 (3b, 3c, 3d) 가 제공되고 앵글 단로기 (7) 를 통해 송전 피더 (4; 40, 42) 에 직접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칭 장치 (1).
  11. 제 10 항에 있어서,
    a) 상기 전기 연결부 (3b, 3c, 3d) 는 상기 종방향 축선 (1a, x) 을 따라 서로에 대해 오프셋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칭 장치 (1).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추가적으로 외부 부싱 (4, 40) 용 또는 추가적인 장치용 적어도 하나의 맨틀측 수직 연결부 (3a) 가 제공되거나,
    b) 추가적으로 외부 부싱 또는 추가적인 장치용 적어도 하나의 단부측 연결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칭 장치 (1).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상기 스위칭 장치 (1) 는 단일상 캡슐화되고 이러한 스위칭 장치 (1) 의 3 상 (phase) 이 서로 병렬로 배열되고,
    b) 상기 앵글 단로기 (7) 는 공통 드라이브 로드 (10) 를 통해 공통 단로기 드라이브 (70) 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칭 장치 (1).
  1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상기 하우징 (3) 의 상기 종방향 축선 (1a, x) 은 수평이고,
    b) 상기 하우징 (3) 의 단면 프로파일은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둥근 형태, 타원형, 직사각형 또는 다각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칭 장치 (1).
  1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상기 스위칭 장치 (1) 는 고전압 회로 차단기 (1) 또는 헤비 듀티 스위치이거나,
    b) 상기 스위칭 장치 (1) 는 데드 탱크 차단기 (1), 외부 송전 피더 또는 송전 케이블을 갖는 AIS/GIS 복합 스위치 (1), 또는 GIS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칭 장치 (1).
  16. 제 1 항에 있어서,
    a) 상기 앵글 단로기 (7) 는 표준 복합 단로기 (7) 로서, 가스 절연 스위치기어 조립체용으로 설계되고 단로기 접촉부 (20) 및 접지 스위치 접촉부 (19) 중 하나 이상을 갖는 변위가능한 두 부분 접촉 요소 (18) 를 가지며,
    b) 상기 단로기 접촉부 (20) 및 상기 접지 스위치 접촉부 (19) 중 하나 이상은 유지 요소 (22) 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 접촉관 (20, 19) 이고, 상기 유지 요소 (22) 는 단로기 드라이브 (23, 70) 를 통해 직선 변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칭 장치 (1).
  1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a) 상기 회로 차단기 (2) 의 상기 맨틀측 전기 연결부 (3b, 3c, 3d) 의 중앙 축선 (H1, H2) 는 수평으로 놓여져 있고,
    b) 상기 단로 각도 (α) 는 80°<α<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칭 장치 (1).
  18. 제 1 항에 있어서,
    a) 상기 앵글 단로기 (7) 는 T 형상을 갖고, 제 1 단로기 개구부 (12)가 입력 축선 (T1) 을 따라 제공되고, 이 맞은편에 제 3 단로기 개구부 (14) 가 제공되고 제 2 단로기 개구부 (13) 가 출력 축선 (T12) 을 따라 제공되며,
    b) 상기 앵글 단로기 (7) 는 직각 T 형상을 갖고, 상기 출력 축선 (T2) 은 상기 입력 축선 (T1) 에 대해 직각이고 상기 단로 경로 (T) 및 접지 경로 (E)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출력 축선 (T2) 을 따라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칭 장치 (1).
  19. 제 1 항에 따라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기 스위칭 장치 (1) 를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배열체 (1b).
  20. 제 19 항에 있어서, 제 18 항에 따른 T 형상의 앵글 단로기 (7) 가 제공되고, 이 앵글 단로기 (7) 에 의해 두 개의 회로 차단기 (2) 가 맨틀측에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배열체 (1b).
  21. 제 19 항에 있어서,
    a) 3 개의 스위칭 장치가
    Figure 112011088883933-pct00006
    스위치 배열체에서 앵글 단로기 (7) 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배열체 (1b).
  22. 제 21 항에 있어서,
    a) 상기 중앙 스위칭 장치 (1) 는 서로에 대해 축선방향으로 오프셋되어 있는, 맨틀측의 두 수평 전기 연결부 (3b, 3d) 에서 앵글 단로기 (7) 를 통해 두 개의 다른 스위칭 장치 (1) 에 연결되고,
    b) 상기 앵글 단로기 (7) 는 직각 T 형상이고 그 입력 축선 (T1) 을 따라 다른 스위칭 장치 (1) 에 연결되고 출력 축선 (T2) 을 따라 송전 피더 (4; 40, 42) 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배열체 (1b).
  23. 제 21 항에 있어서,
    a) 적어도 하나의 앵글 단로기 (7) 는 중간 모듈을 사용하지 않고 입력 축선 (T1) 을 따라 다른 스위칭 장치 (1) 에 그리고 출력 축선 (T2) 을 따라 송전 피더 (4; 40, 42) 에 직접 연결되거나,
    b) 적어도 하나의 앵글 단로기 (7) 는 양측에서 입력 축선 (T1) 을 따라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다른 앵글 단로기 (7) 를 통해 다른 스위칭 장치 (1) 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배열체 (1b).
  24. 제 21 항에 있어서,
    a) 상기 중앙 스위칭 장치 (1) 는 축선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어 있는 두 개의 맨틀측 수직 전기 연결부 (3a) 에서 앵글 단로기 (7) 를 통해 두 개의 다른 스위칭 장치 (1) 에 연결되고,
    b) 상기 앵글 단로기 (7) 는 직각 T 형상을 갖고 입력 축선 (T1) 을 따라 각각의 경우에 하나의 다른 앵글 단로기 (7) 를 통해 다른 스위칭 장치 (1) 에 연결되고 출력 축선 (T2) 을 따라 각각의 경우에 상부 또는 바닥을 향해 송전 피더 (4; 40, 42) 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배열체 (1b).
  25. 제 19 항에 있어서,
    a) 상기 스위치 배열체 (1b) 의 모든 단로기 (7) 가 제 16 항의 특징들을 갖는 상기 앵글 단로기 (7) 이고,
    b) 입력 축선 (T1) 을 따라, 제 1 단로기 개구부 (12) 및, 출력 축선 (T2) 을 따라, 제 2 단로기 개구부 (13) 및, 필요하다면, 상기 제 1 단로기 개구부 (12) 와 마주하는 제 3 단로기 개구부 (14)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배열체 (1b).
  2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각도 (β) 는 피치원 (pitch circle) 장착 플랜지의 각간격에 의해 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칭 장치 (1).
  27. 제 10 항에 있어서,
    b) 상기 전기 연결부 (3b, 3c, 3d) 는 서로 마주보는 측에서 스위칭 장치 (1) 의 하우징 (3) 을 통과하는 수직 종방향 평면에 대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스위칭 장치 (1).
KR1020087013356A 2005-11-02 2005-11-02 고전압 회로 차단기 및 차단기 배열체 KR1011681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H2005/000641 WO2007051319A1 (de) 2005-11-02 2005-11-02 Hochspannungsleistungsschalter und schalteranordn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1169A KR20080071169A (ko) 2008-08-01
KR101168181B1 true KR101168181B1 (ko) 2012-07-24

Family

ID=36608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3356A KR101168181B1 (ko) 2005-11-02 2005-11-02 고전압 회로 차단기 및 차단기 배열체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080746B2 (ko)
EP (1) EP1943707B1 (ko)
JP (1) JP4913819B2 (ko)
KR (1) KR101168181B1 (ko)
CN (1) CN101326694B (ko)
AT (1) ATE454738T1 (ko)
BR (1) BRPI0520665A2 (ko)
DE (1) DE502005008848D1 (ko)
ES (1) ES2339136T3 (ko)
WO (1) WO200705131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46737A1 (ja) * 2011-09-29 2013-04-04 三菱電機株式会社 ガス絶縁開閉装置
EP2615705A1 (en) * 2012-01-16 2013-07-17 ABB Technology AG Outdoor bushing for an electric switchgear installation
WO2013154892A1 (en) * 2012-04-13 2013-10-17 Abb Technology Ag Shipping configuration to reduce height of high voltage dead tank circuit breaker
USD734269S1 (en) 2013-11-21 2015-07-14 Thomas & Betts International, Llc Double junction
CN104319153B (zh) * 2014-11-18 2016-06-01 湖南省电力勘测设计院 单接地高压隔离开关
US9620939B2 (en) 2015-06-15 2017-04-11 Mitsubishi Electric Power Products, Inc. Hybrid circuit breakers
USD894134S1 (en) * 2018-11-30 2020-08-25 Southern States Llc High voltage electric power switch
CN110718862A (zh) * 2019-09-18 2020-01-21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经济技术研究院 一种移动式组合电器设备及其接线装置
CN113903618B (zh) * 2021-10-20 2024-04-02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江门供电局 一种10kV户外电动隔离刀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8524A (en) 1964-05-07 1966-06-28 Westinghouse Electric Corp Movable electrical insulating bushing
US20020012225A1 (en) 2000-07-31 2002-01-31 Kozo Matsushita Hybrid type gas insulation switch gear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58092A (de) 1973-11-05 1975-01-15 Sprecher & Schuh Ag Wander-schaltblock fuer metallgekapselte hochspannungsschaltanlagen.
JPS6223203Y2 (ko) 1978-07-19 1987-06-13
JPS5920533B2 (ja) * 1981-01-22 1984-05-14 田辺製薬株式会社 Ptp包装カプセル供給装置
JPS57125121U (ko) * 1981-01-27 1982-08-04
JPS5925906A (ja) * 1982-08-03 1984-02-10 Nippon Steel Corp 高炉炉底
JPS5925906U (ja) * 1982-08-09 1984-02-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ガス絶縁開閉装置
US5103111A (en) * 1989-03-30 1992-04-07 S&C Electric Company Switch configuration with integral sensing and power supply apparatus
JPH02266804A (ja) * 1989-04-06 1990-10-31 Toshiba Corp ガス絶縁開閉装置
DE19511168A1 (de) 1995-03-28 1996-10-02 Abb Management Ag Schaltvorrichtung
DE19604342A1 (de) * 1995-05-20 1996-11-21 Abb Patent Gmbh Hochspannungsschalteinrichtung
DE19641391C1 (de) 1996-09-27 1998-02-19 Siemens Ag Hochspannungsschaltanlage in Hybridbauweise
JPH1141725A (ja) * 1997-07-24 1999-02-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ガス絶縁開閉装置
AU759676B2 (en) * 1999-01-28 2003-04-17 Siemens Aktiengesellschaft Multiphase encapsulated high-voltage switchgear for outdoor use
FR2799895B1 (fr) * 1999-10-15 2001-11-16 Alstom Commutateur electrique a enveloppe metallique compartimentee pour la mise en place de sectionneurs
FR2805406B1 (fr) * 2000-02-23 2002-08-23 Alstom Commutateur electrique a trois positions avec un element de commutation mobile axialement
DE10011888C2 (de) 2000-03-07 2002-02-07 Siemens Ag Dreiphasige Hochspannungsschaltanlage mit einphasig gekapselten Baugruppen
DE10013232A1 (de) 2000-03-13 2001-09-20 Siemens Ag Mehrphasig gekapselte, gasiolierte Hochspannungsschalteinrichtung in Freiluftausführung
DE10032656B4 (de) 2000-06-28 2008-11-27 Siemens Ag Freiluft-Hochspannungs-Durchführung und Hochspannungs-Schaltgerät mit einer solchen Durchführung
JP2002315120A (ja) * 2001-02-07 2002-10-25 Hitachi Ltd ガス絶縁開閉装置
DE10119530A1 (de) 2001-04-12 2002-11-07 Siemens Ag Hochspannungs-Leistungsschalter für eine druckgasisolierte Schaltanlage
DE10325681B3 (de) 2003-06-02 2004-10-21 Siemens Ag Schalteranordnung
DE10325684B4 (de) 2003-06-02 2005-07-28 Siemens Ag Schalteranordnung
EP1569254A1 (de) * 2004-02-27 2005-08-31 ABB Technology AG Schaltgerät mit Trenn-und/oder Erdungsfunktion
JP4387236B2 (ja) * 2004-04-22 2009-12-16 株式会社日本Aeパワーシステムズ ガス絶縁開閉装置
DE102004061277A1 (de) * 2004-12-13 2006-06-22 Siemens Ag Mehrphasiges Schaltgerät mit zumindest drei gleichartigen Unterbrechereinheit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8524A (en) 1964-05-07 1966-06-28 Westinghouse Electric Corp Movable electrical insulating bushing
US20020012225A1 (en) 2000-07-31 2002-01-31 Kozo Matsushita Hybrid type gas insulation switch gear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PI0520665A2 (pt) 2009-05-19
CN101326694A (zh) 2008-12-17
DE502005008848D1 (de) 2010-02-25
JP2009514500A (ja) 2009-04-02
ATE454738T1 (de) 2010-01-15
JP4913819B2 (ja) 2012-04-11
US20080217152A1 (en) 2008-09-11
EP1943707B1 (de) 2010-01-06
ES2339136T3 (es) 2010-05-17
KR20080071169A (ko) 2008-08-01
US8080746B2 (en) 2011-12-20
WO2007051319A1 (de) 2007-05-10
EP1943707A1 (de) 2008-07-16
CN101326694B (zh) 201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8181B1 (ko) 고전압 회로 차단기 및 차단기 배열체
US5721412A (en) Disconnector for a metal encapsulated, gas insulated high voltage switchgear
CN1926735A (zh) 封装式气体绝缘开关装置组件
US20100172069A1 (en) High-voltage switchgear
US8400759B2 (en) High-voltage switchgear assembly
CA2359786C (en) Polyphase encapsulated outdoor high-voltage switching device
US20220231487A1 (en) Switching arrangement
KR102632133B1 (ko) 가스 절연 변전 설비를 위한 전기 접지 스위치 장치
US6134101A (en) Gas-insulated, metal-enclosed switchgear assembly
US6016247A (en) Electricity distribution substation
RU2389103C2 (ru) Многофазный коммутационный аппарат с, по крайней мере, тремя подобными размыкающими блоками
KR102333579B1 (ko) 가스 절연된 스위치기어용 디스커넥터 폴
US7692113B2 (en) Switch assembly
KR0130538B1 (ko) 케이블말단을 가진 가스절연보호 스위칭장치
RU2367074C1 (ru) Силовой выключатель высокого напряжения и компоновка выключателя
EP3829012B1 (en) Gas insulation switchgear
US5841629A (en) High voltage hybrid design switchgear
US10418751B1 (en) Lug and terminal assemblies, power distribution assemblies, and methods
KR101764204B1 (ko) 가스 절연 모선의 유지 보수용 지그장치
EP3447869B1 (en) Electrical connector arrangement for connecting a power cable and method for installing a switchgear cabinet
EP1705767A1 (en) Combined disconnector-earthing switch device
JPH01303002A (ja) 受電用ガス絶縁開閉装置
KR101062054B1 (ko) 변전소 내의 금속피복된 모선 세트를 위한 차단 설비
RU112522U1 (ru) Устройство фиксации токопроводящих элементов для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DE3640945A1 (de) Gekapseltes schaltfe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