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7317B1 - 치질환 치료제 - Google Patents

치질환 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7317B1
KR101167317B1 KR1020057015363A KR20057015363A KR101167317B1 KR 101167317 B1 KR101167317 B1 KR 101167317B1 KR 1020057015363 A KR1020057015363 A KR 1020057015363A KR 20057015363 A KR20057015363 A KR 20057015363A KR 101167317 B1 KR101167317 B1 KR 101167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orrhoids
acetylsalicylic acid
anal
external
dise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5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2663A (ko
Inventor
유끼코 이나모토
세이이치로 카와바타
마쯔히로 카와다
Original Assignee
데이고꾸세이약꾸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고꾸세이약꾸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고꾸세이약꾸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02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7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73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0Salicyl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61K31/612Salicylic acid; Derivatives thereof having the hydroxy group in position 2 esterified, e.g. salicylsulfuric acid
    • A61K31/616Salicylic acid; Derivatives thereof having the hydroxy group in position 2 esterified, e.g. salicylsulfuric acid by carboxylic acids, e.g. acetylsalic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31Rectum, an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4Vasoprotectives; Antihaemorrhoidals; Drugs for varicose therapy; Capillary stabilisers

Abstract

활성성분으로서 아세틸살리실산 또는 그것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치핵(내치핵, 외치핵), 항문열창으로 인한 치질환 및 다른 항문 질환의 치료활성과 통증과 가려움증에 대한 활성을 함께 갖는 외용제이다.
치질환, 외용제

Description

치질환 치료제{THERAPEUTIC AGENT FOR HEMORRHOIDAL DISEASE}
본 발명은 치질환(hemorrhoidal disease) 및 그 외 항문 질환(anal diseases)에 대한 치료 활성과 해당 병변에서 진통 및/또는 소양(anti-pruritic:가려움증) 활성을 함께 갖는 외용제, 및 상기 질환들을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는, 활성성분으로서 아세틸살리실산 또는 그것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투여함에 의해 통증 및/또는 가려움증과 관련된 치질환 및 다른 항문 질환의 치료에 있어서, 본 발명은 병변에서 고통 및/또는 가려움증을 경감시켜 주는 활성과 함께 병변에서의 치료활성을 갖는 외용제, 및 상기 질환들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삭제
치핵(hemorrhoids; 내치핵(internal hemorrhoid), 외치핵(external hemorrhoid)) 및 항문 열창(anal fissure)과 같은 치질환 (hemorrhoidal disease), 및 다른 항문 질환으로 고생하는 환자들이 많고, 이러한 질환들의 대부분은 염증, 극심한 통증 및/또는 가려움증과 연관되어 있다.
최근에는, 치질환의 치료제로서, 국소마취제, 스테로이드제 및 항히스타민 등을 함유하는 연고와 좌약이 사용되고 있으나, 국소마취제 또는 외용 스테로이드의 투여는 상처의 치유를 지연시키고, 전신성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게다가 일반적으로, 점막 손상 병변에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투여하는 것은 상기 병변의 치료를 지연시키므로, 금기시 되고 있다.
치질환과 그 외 항문 질환의 치료와 관련하여, 각각의 효과를 갖는 약제들이 함유되어 있는 제제가, 비록 이들 약제들이 치료기간을 연장시키지만, 꾸준히 사용되어 왔다.
그런데, 아세틸살리실산(아스피린이라고 칭할 수 있다)은 유력한 진통작용, 해열작용 및 항류마티스 작용을 갖기 때문에, 오래전부터 주로 경구 투여 형태의 해열 진통제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아스피린은 부작용이 적으므로 안전하다.
최근, 아세틸살리실산의 외용(external application)이 연구되고 있다.
또한, 외용제 형태인 아세틸살리실산의 신규 용도로서, 신경통 치료용 연고(일본특허 공보 A3-72426), 피부손상 치료용 외용제(일본특허 공보 A9-235232), 혈전증(thrombosis) 치료용 및 암의 예방적 치료용 경피(transdermal) 투여 시스템(일본특허 공보 Tokuhyo 8-504198), 알레르기성 피부염 치료용 외용제(일본특허 공보 A11-373511)및 가려움증 치료용 외용제(WO 01/47525)가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치질환과 그 외 항문 질환을 치료하고, 이들 질환들과 관련된 통증 및/또는 가려움증을 없애기 위한 아세틸살리실산을 함유한 외용제는 보고된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부작용이 적고, 치질환과 그 외 항문 질환에 대해 뛰어난 치료효과를 갖고, 상기 항문 질환들과 관련한 통증 및/또는 가려움증에 대한 뛰어난 경감 효과를 갖고, 병변에 대한 치료를 지연시키지 않는, 아세틸살리실산을 활성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활성성분으로서 아세틸살리실산 또는 그것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항문 질환 치료용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활성성분으로서 아세틸살리실산 또는 그것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고 내치핵(internal hemorrhoid), 외치핵(external hemorrhoid) 또는 항문열창으로 인한 치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활성성분으로서 아세틸살리실산 또는 그것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0.01 내지 20중량% 함유하고, 내치핵, 외치핵 또는 항문열창으로 인한 치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치핵(내치핵, 외치핵), 항문열창으로 인한 치질환 등과 같은 항문질환을 치료하고, 상기 질환과 관련한 통증 또는 가려움증을 경감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환자의 병변에 아세틸살리실산 또는 그것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광범위한 연구를 행하여, 활성성분으로서 아세틸살리실린산을 함유하는 외용제를 환자에게 투여했을 때, 상기 제제가 부작용이 적었고, 상기 병변에서의 통증 및/또는 가려움증을 경감시킴과 함께, 치질환과 그 외 항문 질환에 대해 뛰어난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즉, 아세틸살리실산을 함유하는 외용제를 제조하여, 상기 제제를 치핵(내치핵, 외치핵), 항문열창, 그 외 항문 질환과 같은 치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병변에 적용했을 때, 뛰어난 치료 활성이 확인되었고, 병변의 통증 및/또는 가려움증에 대한 우수한 경감 작용도 확인되었다.
이 효과는 제제 중의 아세틸살리실산의 농도에 의존하나, 농도가 일정량을 넘으면, 그것의 약리학적 효과는 거의 변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외용제에 함유된 아세틸살리실산은 일본 XIII 약전(Pharmacopoeia)에 기술되어 있다.
외용제에서 아세틸살리실산의 함량은 제제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제제 총량 당 0.01 내지 20중량%에서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기는 0.05 내지 20%, 더 바람직하기는 0.05 내지 10중량%이다. 아세틸살리실산의 함량이 0.01% 미만이면, 아세틸살리실산에 의한 통증에 대한 경감효과와 치료활성이 충분히 나타나지 않는다. 아세틸살리실산의 양이 20% 초과이면, 제제의 제조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외용제에 함유된 아세틸살리실산은 아세틸살리실산 뿐만 아니라, DL-리신(lysine)과 같은 아미노산 또는 나트륨염과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무기염을 갖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제는 아세틸살리실산이 연고제, 패치제, 액제(예를 들어, 현탁제, 에멀젼화제, 로션제), 좌약제, 습포제(cataplasma), 테이프제, 에어로졸제 등과 같이, 피부의 국소 표면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제제이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외용제의 성분으로서 통상의 외용제에 사용되는 어느 성분도 사용될 수 있다.
연고제, 크림제, 겔제 및 로션제의 경우, 백색 바셀린(광유), 황색 바셀린, 라놀린, 정제된 밀납, 세타놀(cetanol), 스테아릴 알콜, 스테아르산, 경화유(hydrogenated oil), 탄화수소 겔, 폴리에틸렌 글리콜, 액체 파라핀 및 스쿠알란과 같은 기재; 올레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글리세롤 트리이소옥타노에이트, 크로타미톤, 디에틸 세바케이트,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헥실 라울레이트,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족 알콜 및 식물성 기름과 같은 용매 또는 용해제(solubilizing agents); 토코페롤 유도체, L-아스코르빈산,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및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과 같은 항산화제; p-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와 같은 방부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및 히알우론산 나트륨 등과 같은 습윤제;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및 레시틴과 같은 계면활성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크산탄 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증점제; 액상 석유가스, 액상 이산화탄소, 디메틸 에테르, 질소 가스, 등유, 이산화탄소 등과 같은 추진제; 안정화제; 보존제; 흡수촉진제; 및 그 외 적절한 충전제가 사용된다.
좌약의 경우, 유성 기재, 수성 기재 또는 친수성 기재가 사용된다. 유성 기재는 카카오 버터와 같은 경화유나, 반합성 유성 기재를 포함한다. 수성 또는 친수성 기재는 마크로골(macrogol), 아가, 젤라틴, 글리세린 등을 포함한다. 또한 계면활성제, 용해제, 방부제, 에멀젼화제, 분산제, 보조물(auxiliary)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습포제의 경우, 폴리아크릴산 및 폴리아크릴산 공중합체 등과 같은 점착부여제(tackifier); 알루미늄 술페이트, 알루미늄 포타슘 술페이트, 염화 알루미늄, 마그네슘 알루미노메타실리케이트 및 디하이드록시알루미늄 아미노아세테이트와 같은 가교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젤라틴, 소듐 알기네이트,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증점제; 글리세린, 폴리에틸렌 글리콜(마크로골), 프로필렌 글리콜 및 1,3-부탄디올과 같은 다가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와 같은 계면활성제; ℓ-메탄올과 같은 향료; p-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와 같은 방부제; 정제수; 및 그 외 적절한 충전제가 사용될 수 있다.
테이프제의 경우,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아크릴레이트 수지와 같은 태킹(tacking)제; 지방족 고리 포화 탄화수소 수지, 수소화된 로진 수지 및 테르펜 수지와 같은 점착부여제 수지; 액상 검 및 액상 파라핀과 같은 연화제;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과 같은 항산화제;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다가 알콜; 올레산과 같은 흡수증진제;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와 같은 계면활성제; 및 그 외 적절한 충전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및 폴리비닐 알콜과 같은 수분-흡수 중합체와 소량의 정제수가 물을 함유하는 테이프제를 제조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에어로졸제의 경우는, 백색 바셀린(광유), 황색 바셀린, 라놀린, 정제된 밀납, 세탄올(cetanol), 스테아릴 알콜, 스테아린산, 경화유, 탄화수소 겔, 폴리에틸렌 글리콜, 액상 파라핀 및 스쿠알란과 같은 기재; 올레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 글리세롤 트리이소옥타노에이트, 크로타미톤(crotamiton), 디에틸 세바케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족 알콜 및 식물성 기름과 같은 용매 또는 용해제; 토코페롤 유도체, L-아스코르브산,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및 부틸히드록시아니솔과 같은 항산화제; p-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와 같은 방부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및 소듐 히알우론산과 같은 습윤제;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글리세릴 지방산 에스테르, 수크로스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및 레시틴과 같은 계면활성제; 카르복시비닐 중합체, 크산탄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소듐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증점제가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연고제, 크림제, 겔제, 현탁제, 에멀젼화제 또는 로션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감자 전분, 쌀 전분, 옥수수 전분, 탈크, 산화아연과 같은 충전제; 액화 석유가스, 액화 이산화탄소, 디메틸 에테르, 질소가스, 케로신 및 이산화탄소 등과 같은 추진제; 안정화제; 완충제; 감미제; 현탁제; 에멀젼화제; 향미제; 보존제; 용해제; 또는 그 외 적절한 충전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제는 각 성분들을, 필요에 따라, 적절한 기재와 잘 반죽함에 의해서와 같이 외용제의 종래의 제조 방법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제조된 제제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예를 들면 병변에 직접 적용하거나, 또는 제제를 섬유에 바른 후 또는 제제를 섬유에 함침시킨 후에 적용된다.
연고제는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출발물질로서, 지방, 지방유, 라놀린, 왁스, 수지, 플라스틱, 글리콜, 고분자량 알콜, 글리세린, 물, 에멀젼화제, 현탁제 또는 적절한 부형제를 사용하거나, 이들 물질들을 기재로 사용하여, 약제를 그 위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완전히 균일하게 배합하여 연고제를 제조한다.
가온 하에 기재를 녹이고, 균질하게 저어준 후에, 만약 필요하다면, 여기에 흡수강화제, 항산화제, 살균제, 계면활성제, 정제수 등과 같은 첨가제를 첨가한다. 분말상태의 아세틸살리실산을 교반하면서 혼합물에 첨가하여 연고제 또는 크림제를 제조한다.
좌약은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유성 기재, 함수 기재(hydrous base) 또는 기재로서 적당한 물질을 사용하여, 가온하에 녹인 후, 활성 성분 자체, 또는 필요하다면, 에멀젼화제 또는 현탁제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균질할때 까지 반죽한다. 혼합물이 형성되고, 그것을 적절한 코팅으로 둘러싸거나 포장하여 좌약을 제조한다.
습포제는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약물을 젤라틴, 카멜로오스 소듐, 메틸 셀룰로오스,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수 보존성(water preservative)이 우수한 수용성 중합체를 주로 함유하는 연고 기재와 미리 반죽한 후, 상기 혼합물을 부직포와 같은 지지물(support)에 바른다. 기재 표면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덮고, 필요에 따라 원하는 크기로 자른다.
테이프제는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아크릴 수지 등과 같은 점착제에, 지방족 고리 포화 탄화수소 수지, 송진 수지, 테르펜 수지와 같은 증점제, 액체 검, 액체 파라핀 등과 같은 연화제, 흡수 촉진제, 항산화제 등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톨루엔과 같은 유기용매에 용해시키거나 가열하여 녹인다. 혼합물에, 분말 상태의 또는 용매에 용해된 약제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한다. 혼합물을 방출지(release paper)에 바르고, 용액 형태의 경우에는 바르고 건조시킨 후, 혼합물을 폴리우레탄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섬유, 부직포 등과 같은 연성 지지물에 적층시킨 후, 원하는 크기로 절단한다.
로션제는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약제, 용매, 에멀젼화제, 현탁제 등을 수용액에 첨가한 후에, 혼합물을 균질하게 저어준다. 현탁액-형 로션은 다음과 같이 제조 된다: 약제를 미세하게 분쇄한 후, 글리세린 또는 에탄올 등으로 처리하여 물에 적신 뒤, 거기에 점차적으로 현탁제 용액 또는 로션 기재를 첨가한다. 혼합물을 균일하게 될 때까지 저어준다. 한편, 에멀젼형 로션제는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유 가용성 약제(drug soluble in oil)와 유상(oil phase)을 한 용기에 붓는다. 수상(water phase)은 다른 용기에 붓는다. 각각의 용기를 가온하고 O/W형의 에멀젼의 경우, 유상을 점차적으로 수상에 첨가하고, 반대로 W/O의 경우에는 수상을 점진적으로 유상에 첨가하고, 에멀젼이 완전히 균일하게 될 때까지 혼합물을 저어준다.
에어로졸제는 약제를 함유하는 용액, 연고제, 크림제, 겔제, 현탁제, 에멀젼화제, 액제, 로션제 등을 상기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고, 이것을 밀봉 용기에 액화 가스, 가압 가스 등과 함께 충전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의 외용제의 치료 대상이 되는 질환은 치핵(내치핵, 외치핵)과 같은 치질환, 항문열창 및 그 외 항문 질환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아세틸살리실산을 함유하는 외용제가 실시예 및 시험예를 예시함으로써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7 연고제
표 1에 주어진 성분에 따라, 기재와 용매를 혼합하고, 거기에 아세틸살리실산을 첨가하였다. 각각의 혼합물을 잘 반죽하여 연고제를 얻었다.
표 1
실시예 1 2 3 4 5 6 7
성분 비율(중량 %)
아세틸살리실산 0.2 2.0 10.0 0.1 0.5 5.0 5.0
크로타미톤
(Crotamiton)
2.0 2.0
Tween 80 2.0 2.0
참기름 5.0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5.0 2.0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5.0
백색 바셀린 97.9 97.5 93 91
탄화수소 겔 94.8 93.0 85.0
실시예 8 액제
표 2에 주어진 성분에 따라, 아세틸살리실산을 용매에 첨가하여 녹이거나 분산시켰다. 그 외 성분을 가열하에 정제수에 용해시킨 후, 용액을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이전 용액 (former solution) 또는 분산된 용액을 거기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완전히 균질하게 될 때까지 교반하여 액제를 제조하였다.
표 2
실시예 8
성분 비율(중량%)
아세틸살리실산 0.5
크로타미톤 1.0
스쿠알란 3.0
세타놀 3.0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0.5
폴리옥시(20)세틸 에테르 1.5
프로필렌 글리콜 5.0
트리에탄올아민 0.4
정제수 85.1
실시예 9 및 10 겔제
표 3에 주어진 성분에 따라, 가온하에 수성 중합체를 녹인 뒤, 아세틸살리실산을 거기에 용해시키거나 분산시킨 후 나머지 기재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완전히 균질하게 될 때까지 반죽하여 겔제를 제조하였다.
표 3
실시예 9 10
성분 비율(중량%)
아세틸살리실산 0.1 5.0
크로타미톤 5.0
이소프로판올 5.0
프로필렌 글리콜 45.0 45.0
폴리아크릴산 25.0 25.0
트리에탄올아민 0.7 0.7
정제수 24.2 19.3
실시예 11 및 12 크림제
표 4에 제공된 성분에 따라, 고체 기재를 수조에서 용해시키고, 여기에 용매에 용해되거나 분산된 아세틸살리실산을 첨가하였다. 수용성 기재를 물에 용해시키고, 그것의 가온 용액을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완전히 균질해질 때까지 반죽하여 크림제를 제조하였다.
표 4
실시예 11 12
성분 비율(중량%)
아세틸살리실산 0.2 2.0
크로타미톤 2.5
참기름 5.0
디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 2.5
세타놀 9.0 9.0
백색 바셀린 8.0 8.0
헥실데칸올 1.0 1.0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2.0 2.0
폴리옥실(9)라우릴 에테르 2.8 2.8
폴리옥시에틸렌(23)세틸 에테르 2.0 2.0
프로필렌 글리콜 12.0 12.0
페틸파라벤 0.1 0.1
프로필파라벤 0.1 0.1
정제수 57.8 56.0
실시예 13 습포제
표 5에 주어진 성분들에 따라, 폴리아크릴산 등과 같은 점착부여제와 증점제를 글리세린 등과 같은 다가 알콜에 가열하에 용해시켰다. 냉각 후에, 아세틸살리실산과 그 외 충전물을 거기에 균질하게 배합하고, 가교제를 첨가하여 점착성 겔 기재를 제조하였다. 겔 기재를 부직포와 같은 적당한 지지물에 바르고 원하는 크기로 잘라 습포제를 제조하였다.
표 5
실시예 13
성분 비율(중량%)
아세틸살리실산 5.0
폴리아크릴산 8.0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4.0
소듐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5.0
타르타르산 1.6
디하이드록시알루미늄 아미노아세테이트 0.07
글리세린 30.0
크로타미톤 2.0
피마자유 1.0
정제수 43.33
비교예 1 및 2
비교예로서, 표 6에 나타낸 시판 제제 a 와 b (치질환용 치료제)를 사용하였다.
표 6
비교예들의 제제(연고제) 성분
비교예 시판 연고 주 성분(중량 %)
1 a 리도카인 (3.0)
디페네히드라민 (0.5)
나파졸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02)
알란토인 (1.0)
2 b 하이드로코르티존 아세테이트 (0.5)
리도카인 (3.0)
알란토인 (1.0)
테트라히드라졸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05)
클로로헥시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0.25)
토코페롤 아세테이트 (3.0)
클로로페니라민 말레이트 (0.2)
시험
본 발명의 외용제의 효과를 치질환 및 그 외 항문 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지원자)에게서 시험하였다.
시험 1
치질환 및 다른 항문 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지원자)에서 통증 및 가려움증에 대한 개선 인자.
항문 열창, 내치핵, 외치핵 또는 통증 또는 가려움증을 동반한 항문 가려움증으로 고통받는 환자(지원자) 20명에게 아세틸살리실산 외용제를 투여하고 통증 또는 가려움증에 대한 개선인자를 평가하였다.
통증 또는 가려움증에 대한 개선 인자를 다음의 5 단계 기준을 기초로 평가하였다.
A: 뛰어난 효능성,
B: 효능성,
C: 경미한 효능성,
D: 변화없음,
E: 악화됨.
경미한 효능성 (C) 또는 그 이상의 효능성 (A,B)이면, 그 인자는 효과적이라 평가되었고, 그 효능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표 7
치질환 및 그 외 항문 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의 통증 또는 가려움증 (주각(subjective)증상)에 대한 개선 인자

약제(중량%)
환자 수
평가 효능비(%)
A B C D E
연고 기재 - 3 0 0 0 3 0 0
실시예 2 아세틸살리실산
2.0
6 5 1 0 0 0 100
실시예 8 아세틸살리실산
0.5
5 3 1 1 0 0 100
비교예 1 리도카인 3.0, 등 6 1 1 2 2 0 67
표 7의 결과로부터, 아세틸살리실산 외용제(실시예 2와 실시예 8)가 시판 연고 a에 비해 치질환과 그 외 항문 염증으로 고통받는 환자의 통증 또는 가려움증을 더 강하게 조절(억제)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시험 2
치질환 및 그 외 항문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에서의 타각(objective)증상에 대한 개선 인자.
항문 열창, 내치핵, 외치핵 또는 항문 가려움증으로 고통받는 환자(지원자) 22명에게 아세틸살리실산 외용제를 투여하고, 타각증상에 대한 개선인자를 평가하였다.
타각증상에 대한 개선 인자를 다음의 5 단계를 기초로 평가하였다.
A: 뛰어난 효능성,
B: 효능성,
C: 경미한 효능성,
D: 변화없음,
E: 악화됨
경미한 효능성 (C) 또는 그 이상의 효능성(A,B)이면, 그 인자는 효과적이라 평가되었고, 그 효능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
치질환 및 그 외 항문 질환으로 고통받는 환자의 타각증상 대한 개선인자

약제(중량%)
환자 수
평가
효능비(%)
A B C D E
연고 기재 - 3 0 0 1 1 1 33
실시예 5 아세틸살리실산
0.5
6 2 2 1 1 0 83
실시예 12 아세틸살리실산
2.0
6 1 1 2 1 1 67
비교예 2 알란토인 1.0, 등. 7 2 1 2 1 1 71
표 8의 결과로부터, 아세틸살리실산 외용제(실시예 5와 실시예 12)가 시판 연고 b에 비해, 치질환 및 그 외 항문 염증으로 고통받는 환자의 타각증상에 대해, 동등하게 또는 더 개선되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은 제제에 활성성분으로서 아세틸살리실산 또는 그것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함으로써 치핵(내치핵, 외치핵)과 항문열창과 같은 치질환, 그리고 항문 피부염-습진, 항문주위의 피부 가려움증, 직장 점막 탈출 증후군(rectal mucosal prolapse syndrome) 등에 대한 뛰어난 효과를 갖는 외용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유일한 활성성분으로서 아세틸살리실산 또는 그것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0.01~20중량% 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고, 치핵 또는 항문열창으로 인한 치질환의 치료용 및 상기 질환들과 관련된 통증 또는 가려움증을 경감시키기 위한 외용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57015363A 2003-02-21 2004-02-17 치질환 치료제 KR1011673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44384A JP4791682B2 (ja) 2003-02-21 2003-02-21 痔疾患用治療剤
JPJP-P-2003-00044384 2003-02-21
PCT/JP2004/001701 WO2004073718A1 (ja) 2003-02-21 2004-02-17 痔疾患用治療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663A KR20050102663A (ko) 2005-10-26
KR101167317B1 true KR101167317B1 (ko) 2012-07-19

Family

ID=32905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5363A KR101167317B1 (ko) 2003-02-21 2004-02-17 치질환 치료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8183232B2 (ko)
EP (1) EP1609472A4 (ko)
JP (1) JP4791682B2 (ko)
KR (1) KR101167317B1 (ko)
CN (1) CN100594909C (ko)
AU (1) AU2004212813B2 (ko)
CA (1) CA2515259C (ko)
IL (1) IL170151A (ko)
MX (1) MXPA05008883A (ko)
NO (1) NO20054320L (ko)
NZ (1) NZ541931A (ko)
TW (1) TWI315984B (ko)
WO (1) WO2004073718A1 (ko)
ZA (1) ZA20050628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78255A1 (en) * 2009-01-15 2010-07-15 Madhavi Sekharam Kotha Composition and method to treat otitis media and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KR101067443B1 (ko) 2009-06-23 2011-09-27 여오영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을 함유하는 치핵 치료를 위한 국소투여용 주사제 조성물
WO2013070236A1 (en) * 2011-11-11 2013-05-16 Ventrus Biosciences, In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hemorrhoids while providing local anesthet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JP6992057B2 (ja) 2016-06-10 2022-01-13 クラリティ コスメティ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非面皰形成性の毛髪および頭皮ケア製剤ならびにその使用方法
EP3834831A1 (en) * 2019-12-12 2021-06-16 Hendrik de Keulenaer Treatment of hemorrhoids with anticoagulant drug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22019A1 (en) 1997-10-08 2000-07-26 Taisho Pharmaceutical Co., Ltd Suppository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40420A (en) * 1967-11-28 1973-06-19 Crown Zellerbach Corp Pharmaceutical compositions with dimethyl sulfoxide
US4126681A (en) * 1975-12-08 1978-11-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pical composition containing acetyl salicylic acid
US4383986A (en) * 1981-08-17 1983-05-17 Ortho Pharmaceutical Corporation Hemorrhoidal compositions
US4613498A (en) * 1984-10-24 1986-09-23 Frank Crosby Hemorrhoid medication
JPS635018A (ja) * 1986-06-26 1988-01-11 Kao Corp 坐剤
AU1778088A (en) * 1987-03-17 1989-12-21 Mahmood Ali Dr. Khan Use of analgesic anti-inflammatory drugs in treating haemorrhoidal bleeding
JPH08245369A (ja) * 1995-03-08 1996-09-24 Tendou Seiyaku Kk 粘膜保護剤
US5932230A (en) * 1997-05-20 1999-08-03 Degrate; Frenchell Topical analgesic formulation containing fruits, oils and aspirin
JPH1112177A (ja) * 1997-06-25 1999-01-19 Teikoku Seiyaku Co Ltd 安定なアスピリン含有外用製剤
JP4729149B2 (ja) * 1997-06-25 2011-07-20 帝國製薬株式会社 安定なアスピリン軟膏製剤
JP2001187739A (ja) * 1999-12-28 2001-07-10 Teikoku Seiyaku Co Ltd アレルギー性皮膚疾患治療用外用剤
HU228233B1 (en) * 1999-12-28 2013-02-28 Teikoku Seiyaku Co Antipruritic agents for external use
WO2002098404A1 (en) * 2001-06-01 2002-12-12 Tendskin Company Topical compositions for veterinary uses
CN1205951C (zh) * 2002-06-10 2005-06-15 王兴泉 一种治疗腋臭和癣类及肛门外痔的药物组合物
US20040062778A1 (en) * 2002-09-26 2004-04-01 Adi Shefer Surface dissolution and/or bulk erosion controlled release compositions and devi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22019A1 (en) 1997-10-08 2000-07-26 Taisho Pharmaceutical Co., Ltd Suppository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15984B (en) 2009-10-21
AU2004212813B2 (en) 2009-02-26
NO20054320L (no) 2005-11-18
WO2004073718A1 (ja) 2004-09-02
CA2515259A1 (en) 2004-09-02
US8183232B2 (en) 2012-05-22
NO20054320D0 (no) 2005-09-20
IL170151A (en) 2015-04-30
NZ541931A (en) 2010-10-29
JP2004262775A (ja) 2004-09-24
MXPA05008883A (es) 2005-10-05
US20060159711A1 (en) 2006-07-20
KR20050102663A (ko) 2005-10-26
EP1609472A4 (en) 2007-10-24
TW200509945A (en) 2005-03-16
AU2004212813A1 (en) 2004-09-02
CN100594909C (zh) 2010-03-24
CA2515259C (en) 2012-09-18
EP1609472A1 (en) 2005-12-28
ZA200506286B (en) 2006-05-31
CN1750831A (zh) 2006-03-22
JP4791682B2 (ja) 2011-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7451A (ko) 소염 진통 외용제
KR101167317B1 (ko) 치질환 치료제
CA2394471C (en) External preparation for treating pruritus
AU2004315561B2 (en) External preparation for treating painful skin wound
CA2499620C (en) External preparation containing acetylsalicylic acid for inhibiting keloid formation
JP2001187739A (ja) アレルギー性皮膚疾患治療用外用剤
US20040258719A1 (en) External preparation for treating dermatosis and pruritus due to hemodialysis
JP2004137215A (ja) 有痛性皮膚創傷の治療用外用剤
JP4313003B2 (ja) 血液透析による皮膚疾患及び痒みの治療用外用剤
JPH07223949A (ja) 消炎鎮痛外用剤
US20070196460A1 (en) External preparation for treating skin or mucosal injury caused by viral infection
KR20060130651A (ko) 통증이 있는 피부 창상의 치료용 외용제
MXPA06009275A (en) External preparation for treating painful skin wound
ZA200606352B (en) External preparation for treating painful skin wound
JP2004137216A (ja) ウイルス感染による皮膚・粘膜傷害症状に対する外用治療剤
KR20060123530A (ko)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 및 점막 상해에 대한외용치료제
JP2003238397A (ja) 痔疾治療剤
ZA200606351B (en) Remedy for external use for skin and mucosal injuries caused by viral inf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