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3530A -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 및 점막 상해에 대한외용치료제 - Google Patents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 및 점막 상해에 대한외용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3530A
KR20060123530A KR1020067016237A KR20067016237A KR20060123530A KR 20060123530 A KR20060123530 A KR 20060123530A KR 1020067016237 A KR1020067016237 A KR 1020067016237A KR 20067016237 A KR20067016237 A KR 20067016237A KR 20060123530 A KR20060123530 A KR 20060123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us
viral infection
skin
acetylsalicylic acid
external prepa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6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코 이나모토
미츠히로 카와다
Original Assignee
데이고꾸세이약꾸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고꾸세이약꾸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고꾸세이약꾸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20067016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23530A/ko
Publication of KR20060123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353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0Salicyl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61K31/612Salicylic acid; Derivatives thereof having the hydroxy group in position 2 esterified, e.g. salicylsulfuric acid
    • A61K31/616Salicylic acid; Derivatives thereof having the hydroxy group in position 2 esterified, e.g. salicylsulfuric acid by carboxylic acids, e.g. acetylsalicylic ac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점막 또는 피부의 소수포, 상처 또는 궤양의 치료에 사용되는, 활성성분으로서 아세틸살리실산 또는 그것의 약학적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외용제가 제공된다.
바이러스 감염, 아세틸살리실산, 외용제

Description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 및 점막 상해에 대한 외용치료제 {REMEDY FOR EXTERNAL USE FOR SKIN AND MUCOSAL INJURIES CAUSED BY VIRAL INFECTION}
본 발명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또는 장내 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소수포, 상처 또는 궤양과 같은 피부 또는 점막 상해 증상에 대한 치료 효과를 갖고, 이들 환부 또는 상해 부위의 통증 및 가려움증을 억제하는 효과를 겸비하는, 활성 성분으로서 아세틸살리실산을 함유하는 우수한 외용제 및 이에 대한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또는 장내 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 또는 점막 상해 증상은 자주 발견되지만, 이들 증상에 대한 명백한 치료방법은 확립되어있지 않다. 현재, 2차 감염을 막기 위해, 환부에 항생 물질 투여, 또는 포비돈 요오드 등에 의한 살균 등이 행해진다.
현재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또는 장내 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소수포, 상처 또는 궤양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 상해 증상을 개선하는 동시에 이들 환부에서 통증 및 가려움증을 억제하는 어떠한 외용제도 없는 상황이다.
최근에 항-바이러스제가 개발되었으나, 이들 바이러스제는 소수포, 상처 또 는 궤양과 같은 바이러스성 감염 상해 증상의 개선, 특히 이들 환부에서 통증 및 가려움증을 억제하기에 충분하다고 말할 수 없다.
게다가, 증상에 대한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또는 스테로이드제를 함유하는 외용제의 효과가 만족스럽지 않고, 국소적 자극감 및 발적과 같은 부작용이 우려된다.
그런데 아세틸살리실산(이하, 아스피린이라고 칭하기도 함)은, 그것의 강력한 진통성, 해열성 및 항-류마티즘 활성에 의해, 오래전부터 해열 진통약으로서 주로 경구투여의 형태로 널리 사용되고 있고, 부작용도 적고 안전성도 높은 약제이다.
근래에 들어, 외용제로 아세틸살리실산의 적용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 A 3-72426에서 신경통 치료용 연고제, 일본 특허 공개 A 9-235232에서 피부 상해 치료용 외용제, 일본 특허 공개 (특개평) 8-504198에서 암의 예방 및 항-혈전의 치료용 진피투여 시스템, 일본 특허 공개 A 2001-187739에서 알레르기성 피부염 치료용 외용제, WO 01/47525에서 진양용(antipruritus) 외용제등이 각각 보고되었다.
그러나,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또는 장내 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소수포, 상처 또는 궤양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 상해를 치료하고, 이들 환부의 통증 또는 가려움증을 억제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아세틸살리실산을 함유하는 외용제에 대한 보고는 없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부작용이 거의 없고,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또는 장내 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소수포, 상처 또는 궤양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 상해 증상의 치료 효과와 이들 환부에서 통증 및 가려움증의 억제 효과를 겸비하는, 활성성분으로서 아세틸살리실산을 함유하는 우수한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검토를 수행한 결과, 활성성분으로서 아세틸살리실산을 함유한 우수한 외용제가 부작용이 거의 없고,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또는 장내 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소수포, 상처 또는 궤양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 상해 증상의 치료 효과와 이들 환부에서 통증 및 가려움증의 뛰어난 억제 효과를 겸비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아세틸살리실산을 함유하는 외용제를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또는 장내 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소수포, 상처 또는 궤양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 상해 증상의 환부에서 통증 및 가려움증에 적용해도, 소수포, 상처 및 궤양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 상해 증상의 치료의 지연이 관찰되지 않았다.
추가로, 이 활성 및 효과는 외용제 중의 아세틸살리실산의 농도에 의존하지만, 어떤 일정 이상의 아세틸살리실산의 농도에서는 활성 및 효과가 거의 변하지 않는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또는 장내 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 상해 증상의 치료에 사용되고, 이들 환부에서 통증 및 가려움증을 억제하는 효과를 겸비하는, 활성성분으로서 아세틸살리실산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우수한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 또는 점막의 소수포, 상처 또는 궤양의 치료에 사용되고, 이들 환부에서 통증 및 가려움증을 억제하는 효과를 겸비하는, 활성성분으로서 아세틸살리실산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한 우수한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 상해 증상에서 환부의 통증 및 가려움증을 치료하기 위해 사용되는, 활성성분으로서 아세틸살리실산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한 우수한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또는 장내 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 및 점막의 소수포, 상처 또는 궤양의 부위에서 통증 및 가려움증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활성성분으로서 아세틸살리실산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우수한 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아세틸살리실산 또는 그것의 약학적 허용가능한 염의 유효량을 환자의 환부에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 또는 점막 상해의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아세틸살리실산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유효량을 환자의 환부에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또는 장내 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 또는 점막의 소수포, 상처 또는 궤양의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아세틸살리실산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환자의 환부에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또는 장내 바이러스와 같은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 및 점막 상해에서의 통증 및 가려움증의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외용제에 함유된 아세틸살리실산은 일본 약전에 기재되어 있다. 외용제에 함유된 아세틸살리실산의 함량은 제제의 형태에 따라 다르고,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그 함량이 0.05~80 중량%이고, 바람직하기는 0.05~70 중량%, 및 더욱 바람직하기는 0.01~50 중량%이다.
아세틸살리실산의 함량이 80 중량% 이상일 때는, 그것의 물리적 성질이 거의 보존되지 않고,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일 때는, 아세틸살리실산의 활성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다.
아세틸살리실산 및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DL-리신염과 같은 아미노산 염 또는 나트륨 염과 같은 무기 염이, 본 발명의 외용제에 함유된 활성 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외용제는 활성 성분을 피부의 국소 표면에 직접적으로 투여하는 제형이라면 제한되지는 않지만, 예를 들면, 연고제, 크림제, 겔제, 액제 (현탁제, 유제, 로션제, 등), 습포제(cataplasms), 테이프제, 에어로졸제, 및 외용 분말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세틸살리실산 함유 외용제의 성분으로서 통상의 외용제에 사용되는 성분이라면 어떠한 것이든 사용될 수 있다.
연고제, 크림제, 겔제, 액제, 현탁제, 유제 및 로션제의 경우, 백색 바셀린, 황색 바셀린, 라놀린, 표백밀랍, 세틸 알콜, 스테아릴 알코올, 스테아린산, 경화유(hydrogenated oil), 탄화수소 겔, 폴리에틸렌글리콜, 액상 파라핀 및 스쿠알렌과 같은 기제; 올레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 글리세릴 트리이소옥타노에이트, 크로타미톤, 디에틸 세바케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족 알콜, 식물성 유지 및 알콜과 같은 용매 및 용해보조제; 토코페롤 유도체, L-아스코르브산,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과 같은 산화방지제; p-히드록시벤조에이트와 같은 방부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및 히알루로네이트 소듐과 같은 보습제;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지방산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지방산의 슈크로스 에스테르, 지방산의 소르비탄 에스테르, 지방산의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 및 레시틴과 같은 계면활성제;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크산탄 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소듐,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증점제(增粘劑); 안정화제; 보존제; 흡수 촉진제 및 그 외 적당한 첨가제가 배합될 수 있다.
습포제의 경우, 폴리아크릴산 및 폴리아크릴산 공중합체와 같은 점착부여제; 황산알루미늄, 황산칼륨 알루미늄, 염화 알루미늄, 마그네슘 알루미노메타실리케이트 및 디히드록시 알루미늄 아세테이트와 같은 가교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피롤리돈, 젤라틴, 알긴산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소듐,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와 같은 증점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및 1, 3-부탄디올과 같은 다가 알콜류; 올레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 글리세릴 트리이소옥타노에이트, 크로타미톤, 디에틸 세바케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족 알콜, 식물성 유지 및 알콜과 같은 용매 및 용해보조제;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와 같은 계면활성제; 1-멘톨과 같은 향료; p-히드록시벤조에이트와 같은 방부제; 정제수; 및 그 외 적당한 첨가제가 배합될 수 있다.
테이프제의 경우, 스티렌 이소프렌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및 아크릴수지와 같은 점착제; 지환족(脂環族) 포화-탄화수소계 수지, 로진계 수지, 및 테르펜계 수지와 같은 점착부여제; 액상고무, 액상 파라핀과 같은 연화제;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과 같은 산화방지제;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다가알콜; 올레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 글리세릴 트리이소옥타노에이트, 크로타미톤, 디에틸 세바케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족 알콜, 식물성 유지 및 알콜과 같은 용매 및 용해보조제;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와 같은 계면활성제; 흡수 촉진제 및 그 외 적당한 첨가제가 배합될 수 있다. 또한,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및 폴리비닐알콜과 같이 물을 함유할 수 있는 폴리머와 소량의 정제수를 첨가해 수성 테이프제로 제조할 수 있다.
외용 분말의 경우, 감자 전분, 쌀 전분, 옥수수 전분, 탈크, 및 산화아연 등의 부형제(賦型劑) 및 그 외 적당한 첨가제가 배합될 수 있다.
에어로졸제의 경우, 연고제, 크림제, 겔제, 액제, 유제, 현탁제, 로션제, 외용 분말 등에 사용되는, 백색 바셀린, 황색 바셀린, 라놀린, 표백밀랍, 세틸 알콜, 스테아릴 알코올, 스테아린산, 경화유, 탄화수소 겔, 폴리에틸렌 글리콜, 액상 파라핀, 스쿠알렌과 같은 기제; 올레산,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디이소프로필 세바케이트, 글리세릴 트리이소옥타노에이트, 크로타미톤, 디에틸 세바케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족 알콜, 식물성 유지 및 알콜과 같은 용매 및 용해보조제; 토코페롤 유도체, L-아스코르브산,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및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과 같은 산화방지제; p-히드록시 벤조에이트와 같은 방부제;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및 히알루로네이트 소듐과 같은 보습제; 폴리옥시에틸렌 유도체, 지방산의 글리세롤 에스테르, 지방산의 슈크로스 에스테르, 지방산의 소르비탄 에스테르, 지방산의 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 레시틴과 같은 계면활성제;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크산탄 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소듐,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및 히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오스와 같은 증점제와 같은 안정화제; 감자 전분, 쌀 전분, 옥수수 전분, 탈크 및 산화아연과 같은 부형제; 액화 석유가스, 액화 이산화탄소, 디메틸 에테르, 질소, 등유, 및 이산화탄소와 같은 분사제; 완충제; 교미제(correctives), 현탁화제, 유화제, 방향제, 보존제 및 그 외 적당한 첨가제가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제는 각 성분 및 필요에 따른 기제를 잘 혼합하는 것과 같은 통상적인 외용제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이들은 환부에 직접 적용되거나, 또는 천에 도포 및 함침시켜 적용하는 등의 통상적인 사용방법으로 사용된다.
연고제를 제조하기 위해, 지방, 지방유, 라놀린, 밀납, 수지, 플라스틱, 글리콜, 고급 알콜, 글리세린, 물, 유화제, 현탁화제 또는 그 외 적당한 첨가제를 원료로서 사용하거나, 또는 이들 물질을 기제로서 사용하고, 여기에 활성성분을 가하고, 연고제를 제조하기 위해 혼합물을 균질하게 혼합한다. 기제를 가온 용융하여 균일하게 혼합하고, 만약 필요하다면 여기에 흡수촉진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계면활성제 또는 정제수와 같은 첨가물을 첨가하고, 연고제 혹은 크림제로 제조하기 위해, 추가로 활성 성분의 미세 분말을 배합시킨다.
예를 들면, 유지성(oleaginous) 연고제를 제조하기 위해, 기제를 가온용융하고, 혼합하고 반 냉각시킨 후, 기제 이외의 활성성분을 액상화 또는 미세분말화 하여 기제의 일부와 혼합시키고, 그리고 여기에 남은 기제를 첨가한다. 결과 혼합물을 전질이 균질해질 때까지 반죽한다.
예를 들면, 유제성(emulsion)-연고제 및 수용성 연고제를 제조하기 위해, 고형 기제를 수조에서 녹인 후, 약 75℃로 유지하면서 수용성 기제가 용해된 물을 같은 온도 또는 약간 높은 온도로 가온한 뒤 첨가한다. 그리고 나서 이들을 제조하기 위해 혼합물을 균질하게 혼합한다.
습포제를 제조하기 위해, 활성성분을 젤라틴, 카르멜로스 소듐, 메틸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산 나트륨과 같은 보수성(保水性)이 풍부한 수용성 폴리머를 주로 함유하는 연고기제와 미리 혼합시키고, 혼합물을 부직포와 같은 지지체에 넓게 펴바르고, 기제의 표면을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플라스틱 필름으로 피복한 뒤, 습포제를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크기로 재단한다.
테이프제를 제조하기 위해, 아크릴수지와 같은 점착제 또는 스티렌 이소프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에 지환족 포화-탄화수소계 수지, 로진계 수지, 테르펜계 수지와 같은 점착부여제, 액상 고무 및 액상 파라핀과 같은 연화제, 흡수촉진제, 및 산화방지제등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톨루엔과 같은 유기용매에 용해시킨다. 혼합물을 혼합하거나 또는 가온용융하여 혼합하고, 여기에 액화 또는 분말화된 활성 성분을 가한다. 이 혼합물을 박리지(剝離紙) 상에 넓게 펴바르고, 테이프제가 용해형일 경우는 넓게 펴바르고 건조시킨 후, 폴리우레탄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염화비닐 필름, 직포, 및 부직포와 같은 유연한 지지체에 적층시키고, 테이프제를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크기로 재단한다.
로션제를 제조하기 위해, 활성성분, 용매, 유화제, 현탁화제등을 수성의 액체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균질하게 한다. 현탁성-로션제는, 활성성분을 분쇄하고 글리세린 또는 에탄올 등으로 물에 젖기 쉽게 한 후, 여기에 현탁화제의 용액 또는 로션기제를 서서히 가해 현탁성-로션제를 제조하기 위해 혼합물을 균질하게 혼합한다. 유제성-로션제는, 유(油)용성 약제와 유상(油相)을 하나의 용기에 넣고, 그리고 별도의 용기에는 수상(水相)을 넣고, 두 용기를 가온한다. O/W형 유제를 만들 경우, 수상에 유상을 서서히 첨가하고, W/O형 유제를 만들 경우, 반대로 유상에 수상을 서서히 첨가해서 유화(乳化)가 완전히 이루어져 균질한 액상으로 될 때까지 계속해서 혼합물을 혼합한다.
외용 분말을 제조하기 위해, 활성 성분, 첨가물 및 감자 전분, 쌀 전분, 옥수수 전분, 탈크, 산화아연과 같은 부형제를 균일하게 분산시킨다.
에어로졸제를 제조하기 위해, 활성성분 함유의 용액, 연고제, 크림제, 겔제, 현탁제, 유제, 액제, 로션제 및 외용 분말 등을 상기 언급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고, 이들을 밀폐용기에 액화가스 또는 압축가스와 함께 충전시킨다.
본 발명 외용제의 치료대상인 질병으로서, 예를 들면 포진성 습진, 신생아범발생포진, 및 태아포진과 같은 범발생 포진(pandemic herpes); 구진 및 안면의 포진, 포진성 구내염, 음부 포진, 포진성 표저 및 접종성 포진과 같은 국한성 포진(areata herpes); 수족구(手-足-口) 병, 장내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증(수족구 병 제외)과 같은 수두 또는 대상포진 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장내 바이러스등의 감염에 의한 소수포, 상처, 또는 궤양과 같은 피부 또는 점막 상해 증상; 이들 환부에서 국소의 통증, 가려움증을 들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해 본 발명의 아세틸살리실산 함유 외용제에 대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2 (연고제)
표 1에서 나타낸 배합에 따라, 기제와 용매의 혼합물에 아세틸살리실산을 가하고, 연고제를 제조하기 위해 교반 하에서 혼합물을 잘 반죽하였다.
표 1
아세틸살리실산 함유 연고제의 배합
실시예 1 2
성분 배합비(중량%)
아세틸살리실산 5.0 5.0
폴리소르베이트 80 5.0
디이소프로필 아디페이트 5.0
백색 바셀린 90.0
탄화수소 겔 90.0
실시예 3 및 4 ( 크림제 )
표 2에서 나타낸 배합에 따라, 고체 기제를 수조에서 녹인 후, 여기에 용매에 용해되거나 분산된 아세틸살리실산을 첨가했다. 여기에 물에서 용해되고 가온된 수성 기제를 첨가했다. 크림제를 제조하기 위해 혼합물이 균질해질 때까지 혼합하였다.
표 2
아세틸살리실산 함유 크림제의 배합
실시예 3 4
성분 배합비(중량%)
아세틸살리실산 0.2 2.0
크로타미톤 5.0
참기름 5.0
세틸 알콜 9.0 9.0
백색 바셀린 8.0 8.0
헥실 데칸올 1.0 1.0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스테아레이트 2.0 2.0
폴리옥시 (9)라우릴 에테르 2.8 2.8
폴리옥시 (23)세틸 에테르 2.0 2.0
프로필렌 글리콜 12.0 12.0
메틸파라벤 0.1 0.1
프로필파라벤 0.1 0.1
정제수 57.8 56.0
실시예 5 ( 습포제 )
표 3에 나타낸 배합에 따라, 점착부여제 및 증점제를 다가 알콜에서 가온 용융하였다. 냉각 후, 여기에 아세틸살리실산 및 그 외 첨가제를 첨가했고, 혼합물이 균질해질때까지 혼합하였다. 점착성 겔 기제를 제조하기 위해 여기에 가교제를 첨가했다. 겔 기제를 부직포와 같은 지지체에 펴바르고 습포제를 제조하기 위한 바람직한 크기로 재단하였다.
표 3
아세틸살리실산 함유 습포제의 배합
실시예 5
성분 배합비(중량%)
아세틸살리실산 10.5
폴리아크릴산 8.0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4.0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나트륨 5.0
타르타르산 1.6
디히드록시 알루미늄아미노아세테이트 0.07
글리세린 25.0
크로타미톤 2.0
피마자유 1.0
정제수 43.33
실시예 6 (분말)
표 4에 나타낸 배합에 따라, 감자 전분, 산화 아연 및 아세틸살리실산을 분말을 제조하기 위해 혼합물이 균질해질때까지 혼합하여 분말을 제조하였다.
표 4
아세틸살리실산 함유 분말의 배합
실시예 6
성분 배합비(중량%)
아세틸살리실산 0.05
감자 전분 95.95
산화 아연 4.00
비교예 1~3
표 5에 나타낸 배합에 따라, 비다라빈(vidarabine)(아데닌 아라비노시드: 항 바이러스제)을 연고제를 제조하기 위해 백색 바셀린에서 균질하게 혼합하고, 포비돈 요오드를 정제수에 용해시켜 액제를 제조하였다.
표 5
비교예
비교예 1 2 3
비다라빈 3.0
포비돈 요오드 0.4 10.0
백색 바셀린 97.0
정제수 99.6 90.0
시험예
본 발명의 아스피린 함유 외용제를,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또는 장내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한 소수포, 상처 또는 궤양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 상해 증상을 갖고, 상기 환부에서 통증 및 가려움증을 동반하는 환자(지원자)에게 투여함으로써, 효과를 평가하였다.
소수포, 상처 또는 궤양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 상해 및 통증 및 가려움증의 개선도는 A: 매우 효과적임, B: 효과적임, C: 약간 효과적임, D: 변화 없음 및 E: 악화됨의 5단계로 평가했다.
약간 효과적임 또는 그 이상의 경우, 효과적이라고 판단하고 유효율을 계산하였다.
시험예 1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또는 장내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한 피부 또는 점막 상해와 관련한 통증 및 가려움증의 개선도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또는 장내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한 소수포, 상처, 또는 궤양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 증상을 갖고, 통증 및 가려움증을 동반한 환자(총 32명)의 환부에 아스피린 함유 외용제를 투여하고 통증 및 가려움증의 개선도를 평가하였다. 추가로, 대조구로서, 그러한 증상의 치료에 사용되기 위한 활성 성분 함유 연고제(비교예 1) 및 점막 상해 증상의 치료에 사용되기 위한 소독약(비교예 2 및 3)을 투여하고, 마찬가지로 통증 및 가려움증의 개선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또는 장내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한 소수포, 상처 또는 궤양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 상해의 환부에서 통증 및 가려움증의 개선도
그룹 약제 (중량%) 환자수 평가 유효율 (%)
A B C D E
연고기제 - 2 0 0 0 1 1 0
실시예 1 아스피린 5.0 8 2 2 3 1 0 87.5
실시예 4 아스피린 2.0 5 0 2 2 1 0 80.0
실시예 5 아스피린 10.0 3 1 0 1 1 0 66.7
비교예 1 비다라빈 3.0 8 1 2 3 2 0 62.5
비교예 2 포비돈 요오드 0.4 4 0 0 1 2 1 25.0
비교예 3 포비돈 요오드 10.0 2 0 0 0 1 1 0
표 6의 결과에서 나타낸 대로, 비교예 1과 비교해서, 아스피린 함유 실시예 1, 4 및 5 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또는 장내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한 소수포, 상처 또는 궤양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 상해 증상의 환부에서 통증 및 가려움증을 동등하게 또는 그 이상으로 억제하였다. 반면에, 비교예 2 및 3은 통증 및 가려움증에 억제를 거의 보이지 않았다.
시험예 2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또는 장내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한 소수포 , 상처 또는 궤양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 상해 증상의 개선도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또는 장내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한 소수포, 상처 또는 궤양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 증상을 갖는 환자(총 35명)의 환부에 아스피린 함유 외용제를 투여하고,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또는 장내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한 소수포, 상처 또는 궤양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 상해 증상의 개선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대조구로서, 그러한 증상의 치료에 사용되기 위한 활성 성분 함유 연고제(비교예 1) 및 점막 상해 증상의 치료에 사용되기 위한 소독약(비교예 2 및 3)을 투여하고, 마찬가지로 통증 및 가려움증의 개선도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표 7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또는 장내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한 소수포, 상처 또는 궤양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 상해 증상을 갖는 환자의 개선도
그룹 약제 (중량%) 환자수 평가 유효율 (%)
A B C D E
연고기제 - 3 0 0 1 2 0 33.3
실시예 2 아스피린 5.0 8 2 3 3 0 0 100.0
실시예 3 아스피린 0.2 6 0 3 2 0 1 83.3
실시예 6 아스피린 0.05 4 1 1 1 1 0 75.0
비교예 1 비다라빈 3.0 8 1 1 4 2 0 75.0
비교예 2 포비돈 요오드 0.4 4 0 0 2 0 2 50.0
비교예 3 포비돈 요오드 10.0 2 0 0 1 0 1 50.0
표 7의 결과에서 나타낸 대로, 비교예 1과 비교해서, 아스피린 함유 실시예 2, 3 및 6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또는 장내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한 소수포, 상처 또는 궤양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 상해 증상에 대해 동등한 또는 그 이상으로 치료 효과를 보였다. 반면에, 비교예 2 및 3은 실시예에 비해 더 열등한 효과를 보였다.
본 발명의 외용제를 적용함에 의해, 부작용이 거의 없고 바이러스 감염 상해 증상의 치료에 지연이 없는,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또는 장내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한 소수포, 상처 또는 궤양과 같은 바이러스 감염 상해 증상의 개선, 및 이들 환부에서 통증 및 가려움증의 억제가 가능해졌다.

Claims (12)

  1.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 또는 점막 상해의 치료에 사용되고, 상기 환부에서 통증과 가려움증을 억제하는 효과를 겸비하는, 활성성분으로서 아세틸살리실산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외용제.
  2.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 및 점막의 소수포, 상처 또는 궤양의 치료에 사용되고, 상기 환부에서 통증과 가려움증을 억제하는 효과를 겸비하는, 활성성분으로서 아세틸살리실산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외용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바이러스 감염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또는 장내 바이러스에 의한 것인 외용제.
  4.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 또는 점막 상해의 환부의 통증 또는 가려움증의 치료에 사용되는, 활성성분으로서 아세틸살리실산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우수한 외용제.
  5.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 또는 점막의 소수포, 상처 또는 궤양 부위의 통증 또는 가려움증의 치료에 사용되는, 활성성분으로서 아세틸살리실산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우수한 외용제.
  6.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바이러스 감염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또는 장내 바이러스에 의한 것인 우수한 외용제.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세틸살리실산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농도는 0.05~80 중량%인 외용제.
  8.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 또는 점막의 상해의 치료방법으로, 환자의 상기 환부에 아세틸살리실산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방법.
  9.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 또는 점막의 소수포, 상처, 또는 궤양의 치료방법으로, 환자의 상기 환부에 아세틸살리실산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외용제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방법.
  10. 제 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바이러스 감염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또는 장내 바이러스에 의한 것인 치료방법.
  11.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 또는 점막에서의 통증 및 가려움증의 치료방법으로, 환자의 상기 환부에 아세틸살리실산 또는 그것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외용제의 유효량을 투여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바이러스 감염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단순포진 바이러스 또는 장내 바이러스에 의한 것인 치료방법.
KR1020067016237A 2006-08-11 2004-02-16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 및 점막 상해에 대한외용치료제 KR200601235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6237A KR20060123530A (ko) 2006-08-11 2004-02-16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 및 점막 상해에 대한외용치료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7016237A KR20060123530A (ko) 2006-08-11 2004-02-16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 및 점막 상해에 대한외용치료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3530A true KR20060123530A (ko) 2006-12-01

Family

ID=37728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6237A KR20060123530A (ko) 2006-08-11 2004-02-16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 및 점막 상해에 대한외용치료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2353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94471C (en) External preparation for treating pruritus
ZA200506286B (en) Therapeutic agent for hemorrhoidal disease
US8658625B2 (en) External preparation for treating painful skin wound
KR20060123530A (ko)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피부 및 점막 상해에 대한외용치료제
JPS6251617A (ja) ビダラビンゲル軟膏
KR101149985B1 (ko) 켈로이드 형성 억제 외용제
JP2010280609A (ja) 肩こり、腰痛、筋肉痛、打撲、捻挫、頸肩腕症候群及び外傷による内出血の治療剤
US20070196460A1 (en) External preparation for treating skin or mucosal injury caused by viral infection
JPH0696527B2 (ja) 消炎鎮痛ゲル剤
JP2004137216A (ja) ウイルス感染による皮膚・粘膜傷害症状に対する外用治療剤
ZA200606351B (en) Remedy for external use for skin and mucosal injuries caused by viral infection
JPH0276816A (ja) 外用剤
MXPA06009302A (en) Remedy for external use for skin and mucosal injuries caused by viral infection
WO2004069261A1 (ja) 抗ヘルペスウイルス外用製剤の製造方法
US20060009401A1 (en) Method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herpes zoster by topical application
ZA200606352B (en) External preparation for treating painful skin wound
JP2004137215A (ja) 有痛性皮膚創傷の治療用外用剤
KR20060130651A (ko) 통증이 있는 피부 창상의 치료용 외용제
JPH07223949A (ja) 消炎鎮痛外用剤
MXPA06009275A (en) External preparation for treating painful skin w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