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223B1 - 폐광을 이용한 납골당 - Google Patents
폐광을 이용한 납골당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6223B1 KR101166223B1 KR1020100015637A KR20100015637A KR101166223B1 KR 101166223 B1 KR101166223 B1 KR 101166223B1 KR 1020100015637 A KR1020100015637 A KR 1020100015637A KR 20100015637 A KR20100015637 A KR 20100015637A KR 101166223 B1 KR101166223 B1 KR 10116622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ssuary
- tunnel
- abandoned mine
- vertical
- stepp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6—Columbaria, mausoleum with frontal access to vaul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3/00—Monuments; Tombs; Burial vaults; Columbaria
- E04H13/005—Ventilation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납골당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두 혐오시설인 폐광과 납골당을 상호 조합하여 폐광지역을 친환경적인 납골공원으로 조성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폐광을 이용한 납골당은 갱도의 막장에 계단형태로 건축된 계단식 납골당으로서 계단의 수직면에 수납부가 형성되고 수납부에 납골함이 보관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폐광을 이용한 납골당은 갱도의 막장에 계단형태로 건축된 계단식 납골당으로서 계단의 수직면에 수납부가 형성되고 수납부에 납골함이 보관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납골당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혐오시설인 폐광과 납골당을 상호 조화를 이루어 폐광지역을 친환경적인 납골공원으로 조성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의 화장률이 급증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의 통계자료에 따르면, 최근 2002년 말 현재 전국의 화장률은 42.64%로서, 화장장려시민운동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1997년에 대비하여 무려 20%가량 증가한 수치이며, 앞으로도 화장률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분석된다.
기존의 매장묘를 통한 조상숭배나 가족통합을 자랑하던 우리나라의 매장문화는 매장시설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매장문화에 따른 묘지 등의 관리가 어렵고 힘들기 때문에, 차츰 매장문화에서 화장문화로 변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화장문화에 따른 묘의 형태로는 납골묘 및 수목묘 등이 있으며, 본 발명은 납골묘에 관한 것이다.
납골묘는 기존의 매장묘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현실적으로 가장 어려운 부분이 혐오시설인 납골당을 건설하기에 주민들의 동의를 얻기 어렵다는 점에 있다.
한편, 석탄사용량이 줄어들고 석유나 천연 가스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폐광이 되는 곳이 많아지고 있다. 폐광이 되면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이 새로운 일자리를 찾아 도시로 떠나게 되고, 타지역으로 이주하는 거주민이 증가하기 때문에 폐광촌은 삭막해지고 관리가 소홀한 관계로 우범지역으로 변화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관리되지 않은 폐광은 중금속을 다량 함유한 갱내수와 광미 등에 의해 토양과 물을 오염시키는 오염원이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사람이 찾지 않는 지역을 지속적으로 관리한다는 것은 그 필요성이 절실하지 않아 인력 및 시간낭비로 생각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를 위한 예산 확보가 쉽지 않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도 쉽게 찾아내지 못하고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혐오시설에 속하는 납골당을 폐광 내부에 건축함으로써 납골당의 혐오스러움을 은폐할 수 있으며 또한 납골당을 찾는 후손 및 납골당을 관리하는 관리인에 의해 폐광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폐광을 이용한 납골당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폐광을 이용한 납골당은 갱도의 막장에 계단형태로 건축된 계단식 납골당으로서 계단의 수직면에 수납부가 형성되고 수납부에 납골함이 보관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납부에는 도어가 장착되어 상기 납골함이 수납된 수납부를 개폐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면과 직각을 이루는 수평면에는 가이드레일이 설치되는데, 상기 가이드레일은 아래 단층의 수납부에서 벗어나 위 단층의 수평면 안쪽에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계단식 납골당의 가장자리에는 각 수평면으로 진입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갱도의 내측에는 방수시트가 접착 고정되어 용수를 차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수시트가 고정된 갱도의 내측에는 벽돌 또는 석재가 고정되어 상기 갱도의 내측면을 보강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갱도에는 막장으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계단식 납골당의 환기를 위해 수직갱도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갱도에 환기장치가 설치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폐광을 이용한 납골당은 혐오시설인 납골당을 폐광 내부에 건축함으로써, 납골당의 혐오스러움을 은폐할 수 있고, 납골당을 찾는 후손 및 납골당을 관리하는 관리인에 의해 폐광을 지속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납골당의 단점과 폐광의 단점을 상호 보완하여 친환경적인 시설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폐광을 이용한 납골당은 갱도의 막장에 납골당이 복층 계단식으로 설치됨에 따라 공간활용도가 높아 많은 납골함을 보관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납골당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막장에 계단식으로 건축된 납골당의 상세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납골당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막장에 계단식으로 건축된 납골당의 상세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납골당의 측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폐광을 이용한 납골당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납골당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막장에 계단식으로 건축된 납골당의 상세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납골당의 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물을 채취하기 위해 뚫은 갱도(100)들은 크게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식 갱도(101V)와 수평으로 형성된 수평식 갱도(101H) 및, 상기 수직식 갱도와 수평식 갱도를 지형에 맞게 혼합한 혼합식 갱도(101C)가 있다.
이와 같은 갱도(100)의 끝을 '막장'이라고 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납골당(130)은 막장에 설치된다. 그리고 갱도(100)가 시작되는 갱구(103)에서 납골당(130)까지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식 갱도(101V)에는 엘리베이터(111)가 설치되고, 완만한 경사의 수평식 갱도(101H)에는 에스컬레이터 또는 무빙워크(113)가 설치되어 방문객은 갱구(103)에서 납골당(130)까지 편안하고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다.
일반적인 폐광의 갱도는 그 깊이가 수천m에 달하는 것도 있지만, 납골당(130)에 설치되는 폐광의 갱도는 수십m ~ 수백m의 길이를 갖는 갱도가 바람직하다. 이는 갱도(100)가 깊을 경우 안전사고 및 내부 공기순환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비상 시 납골당(130)에서 갱구(103)까지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깊이의 갱도(100)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납골당(130)은 주방방식(Room and Pillar Method)으로 채굴된 갱도에 건축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주방방식은 다수 개의 방(Room)이 형성됨으로써, 사생활이 유지되어야 하는 납골당(130)을 각 방마다의 막장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수십m ~ 수백m의 길이를 갖는 갱도(100)일지라도, 지상에서 납골당(130)까지 수직갱도(105)를 뚫고 수직갱도(105)에 환기장치(115)를 설치하여 외부 공기를 납골당(130)까지 유입시킴으로써, 납골당(130)의 내부를 환기시킨다. 통상적으로 납골당(130)의 수명은 환기상태 및 방수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한편, 지반이 약한 갱도의 경우에는 갱도(100) 내부에 지보를 설치하여 보강하며, 갱도(100)의 내측면에는 용수가 갱도(100)의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방수시트를 갱도(100)의 내측면에 부착하고, 내부 인테리어들을 고려하여 벽돌 및 대리석(117) 등으로 갱도의 내측면을 보강한다. 만약 지반이 경암(일축압축강도: 1300 kg/cm2이상)일 경우에는 지보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지질 특성에 따라 안정적이다. 그리고 갱도 내부를 LED조명등으로 조명하여 내부가 갱도라는 느낌이 들지 않도록 조명한다.
상기 갱도의 보강 및 용수차단 등을 위한 처리방식은 이미 공지된 기술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아래에서는 갱도의 막장에 건축된 계단식 납골당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계단식 납골당(130)은 갱도(100)에서 막장 쪽으로 갈수록 단수가 높아지는 계단식 납골당으로 구성된다. 즉 계단의 형태로 수직면(131V)과 수평면(131H)이 반복되어 높아지는 구조이다. 그리고 계단형 납골당(130)에서 수직면(131V)에는 납골함(135)이 보관될 수 있는 수납부(133)들이 정렬되어 형성되고 수납부(133)의 입구에는 도어(137)가 장착되어 수납부(133)를 개폐한다. 여기에서 도어(137)는 여닫이식 또는 미닫이식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수직면(131V)에 형성된 수납부(133)에 납골함(135)을 넣어 보관하고, 상기 수납부(133)와 대응하는 평평한 수평면(131H)에서 방문객들은 차례를 지낸다. 이와 같이 계단식 납골당(130)의 수평면(131H)은 방문객들이 차례를 안전하게 지낼 수 있도록 그 폭이 충분히 넓어야 하며, 혹시라도 방문객이 후방으로 이동하여 아래 단층으로 추락하지 않도록 수평면(131H)의 단부에는 가이드레일(14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가이드레일(140)은 위 단층에 위치한 방문객의 안전을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위 단층의 방문객이 아래 단층의 납골함(135)이 수납된 수납부(133) 바로 위에 서있을 경우 우리나라의 장묘문화적 측면에서 무례한 행동이여서 아래 단층의 방문객과 불화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레일(140)은 아래 단층의 수납부(133)에서 벗어나 위 단층의 수평면(131H) 안쪽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계단식 납골당(130)의 가장자리에는 경사진 통로(121)가 형성되어 갱도(100)를 따라 납골당(130)으로 이동한 방문객이 경사통로(121)를 따라 보관된 납골함(135) 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연결된다.
또한, 갱도(100)의 안팎에는 용출되는 지하수를 이용하여 분수대(123) 및 지하수 이용시설을 설치할 수 있다.
100 : 갱도 101V : 수직식 갱도
101H : 수평식 갱도 101C : 혼합식 갱도
103 : 갱구 105 : 수직갱도
111 : 엘리베이터 113 : 무빙워크
115 : 환기장치 117 : 대리석
121 : 통로 123 : 분수대
130 : 납골당 131V : 수직면
131H : 수평면 133 : 수납부
135 : 납골함 137 : 도어
140 : 가이드레일
101H : 수평식 갱도 101C : 혼합식 갱도
103 : 갱구 105 : 수직갱도
111 : 엘리베이터 113 : 무빙워크
115 : 환기장치 117 : 대리석
121 : 통로 123 : 분수대
130 : 납골당 131V : 수직면
131H : 수평면 133 : 수납부
135 : 납골함 137 : 도어
140 : 가이드레일
Claims (8)
- 갱도의 막장에 계단형태로 건축된 계단식 납골당으로서 계단의 수직면에 수납부가 형성되고 수납부에 납골함이 보관되며;
상기 수직면과 직각을 이루는 수평면에는 가이드레일이 설치되는데, 상기 가이드레일은 아래 단층의 수납부에서 벗어나 위 단층의 수평면 안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광을 이용한 납골당.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에는 도어가 장착되어 상기 납골함이 수납된 수납부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광을 이용한 납골당.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식 납골당의 가장자리에는 각 수평면으로 진입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광을 이용한 납골당.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갱도의 내측에는 방수시트가 접착 고정되어 용수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광을 이용한 납골당.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시트가 고정된 갱도의 내측에는 벽돌 또는 석재가 고정되어 상기 갱도의 내측면을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광을 이용한 납골당.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갱도에는 막장으로 진입하는 방향으로 엘리베이터, 에스컬레이터 및 무빙워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광을 이용한 납골당.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단식 납골당의 환기를 위해 수직갱도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갱도에 환기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광을 이용한 납골당.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5637A KR101166223B1 (ko) | 2010-02-22 | 2010-02-22 | 폐광을 이용한 납골당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5637A KR101166223B1 (ko) | 2010-02-22 | 2010-02-22 | 폐광을 이용한 납골당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6279A KR20110096279A (ko) | 2011-08-30 |
KR101166223B1 true KR101166223B1 (ko) | 2012-07-16 |
Family
ID=44931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15637A KR101166223B1 (ko) | 2010-02-22 | 2010-02-22 | 폐광을 이용한 납골당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622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670940A (zh) * | 2019-10-11 | 2020-01-10 | 杭州人文园林设计有限公司 | 一种生态墓地的构件方式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72315B1 (ko) * | 1997-12-29 | 2000-11-15 | 정용운 |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 |
KR200275311Y1 (ko) | 2002-02-08 | 2002-05-11 | 문영순 | 사진이 마련된 가족 납골묘지 |
-
2010
- 2010-02-22 KR KR1020100015637A patent/KR10116622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72315B1 (ko) * | 1997-12-29 | 2000-11-15 | 정용운 | 대단위 집단 묘지 및 납골 시스템 |
KR200275311Y1 (ko) | 2002-02-08 | 2002-05-11 | 문영순 | 사진이 마련된 가족 납골묘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6279A (ko) | 2011-08-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9091081A1 (zh) | 一种房屋建筑结构 | |
KR101166223B1 (ko) | 폐광을 이용한 납골당 | |
CN204728803U (zh) | 一种地下公寓式立体公墓 | |
CN207048444U (zh) | 一种空中街巷式停车建筑结构 | |
CN206903355U (zh) | 地下阶梯形多层格位叠加墓穴 | |
CN102704737B (zh) | 一种生态地下陵园 | |
WO2018188676A1 (zh) | 一种空中街巷式停车建筑结构 | |
KR101653040B1 (ko) | 사계절용 바다 풀장 | |
CN112459600A (zh) | 一种双层塔台式陵寝 | |
KR100440749B1 (ko) | 납골묘 | |
KR200383875Y1 (ko) | 납골묘 | |
CN1164601A (zh) | 地下墓室建筑 | |
JP2008169660A (ja) | 建物 | |
JP3060049U (ja) | 納骨廟 | |
MCCORMACK et al. | A Desert Hermitage South of Abydos: Preliminary Work of the Abydos Survey for Paleolithic Sites, Historic Division | |
RU13811U1 (ru) | Сооружение для захоронения тел | |
Baruch | ‘En Lavan | |
JP6548470B2 (ja) | 集合住宅 | |
Lu et al. | An explorative study of the ecological design of residence architecture in Ming and Qing dynasties in Yangzhou | |
KR200289414Y1 (ko) | 납골묘 | |
Sarmiento | Vertical Adaptive Reuse-Balancing the Past and Present | |
KR20100025559A (ko) | 다엽방식 합장납골당과 이의 축조방법 | |
Klein et al. | Nahal Nahshon | |
Delissen | Moments: An ensemble of mental breaks as a socially accepted part of our daily routines and part of the urban structure | |
Sharma | A textbook of building constru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