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204B1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204B1
KR101166204B1 KR1020110002316A KR20110002316A KR101166204B1 KR 101166204 B1 KR101166204 B1 KR 101166204B1 KR 1020110002316 A KR1020110002316 A KR 1020110002316A KR 20110002316 A KR20110002316 A KR 20110002316A KR 101166204 B1 KR101166204 B1 KR 1011662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y
air
plasma
elastic memb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02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정민
서정상
하현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02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2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80Employing electric, magnetic, electromagnet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B01D2259/818Employing electrical discharges or the generation of a plasm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3/00Operation of 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2273/30Means for generating a circulation of a fluid in a filtration system, e.g. using a pump or a fa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트레이 출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트레이 출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로 출입되고 물 수용 공간을 갖는 트레이와, 물 수용공간의 물을 공급받아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 필터와, 트레이의 장착시 트레이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것에 의해 물 수용 공간으로 전극부가 삽입되는 플라즈마 기구와, 트레이의 미장착시 전극부가 상기 트레이의 이동 경로 이외로 위치되게 플라즈마기구를 탄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간단한 구조로 플라즈마 기구가 트레이의 출입을 방해하지 않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leaner}
본 발명은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레이의 물이 가습 필터로 공급되어 실내를 가습시킬 수 있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에 의해 먼지나 세균 등을 집진하거나 분해하는 기기로서, 적어도 하나의 정화필터와, 필터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팬을 포함한다.
최근에는 공기청정기에 정화필터 이외에 가습기구를 설치하여 정화필터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공기가 가습되어 토출되게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가습기구는 물이 담겨진 저수조와, 저수조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회전체를 포함하고, 공기는 회전체와 접촉되면서 수분을 흡습한 후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기구로 트레이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고, 트레이의 출입시 플라즈마 기구가 트레이의 출입을 방해하지 않게 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플라즈마 기구가 트레이의 출입을 도울 수 있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트레이 출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트레이 출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로 출입되고 물 수용 공간을 갖는 트레이와; 상기 물 수용공간의 물을 공급받아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 필터와; 상기 트레이의 장착시 상기 트레이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물 수용 공간으로 전극부가 삽입되는 플라즈마 기구와; 상기 트레이의 미장착시 상기 전극부가 상기 트레이의 이동 경로 이외로 위치되게 상기 플라즈마기구를 탄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플라즈마 기구가 트레이의 출입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트레이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간단한 구조로 플라즈마 기구가 트레이의 출입을 도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트레이의 장착시 플라즈마 기구가 트레이 접촉부가 미끄러지지 않고 트레이에 걸림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트레이의 인출시 플라즈마 기구가 스토퍼에 걸리는 것에 의해 플라즈마 기구가 과회전될 때 발생될 수 있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론트 패널을 분리하였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 일실시예의 트레이가 장착되는 도중이거나 인출되는 도중일 때의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 일실시예의 트레이가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론트 패널을 분리하였을 때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 일실시예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공기청정기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2)에 공기 흡입구(4)와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되고, 실내 공기를 본체(2) 내부로 흡입하여 공조한 후 본체(2) 외부로 토출한다.
본체(2)의 내부에는 공기 흡입구(4)로 흡입된 공기의 온도, 청정도, 습도 등을 변화시키는 공조유닛(8)이 설치될 수 있고, 실내의 공기를 공기 흡입구(4)로 흡입하여 공조유닛(8)으로 통과시킨 후 공기 토출구(6)로 유동시키는 송풍기(10)가 설치될 수 있다.
공조유닛(8)은 공기를 정화시키는 정화유닛(12)과, 공기를 가습시키는 가습 기구(14)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본체(2)에 가습 기구(14)와 정화유닛(12)이 함께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고, 가습 기구(14)만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정화 유닛(12)은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포함하여 공기 중의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거를 수 있고, 공기가 가습 기구(14)로 유동되기 이전에 정화유닛(12)이 공기를 정화하면 가습 기구(14)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정화 유닛(12)은 가습 기구(14)와 함께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하 정화유닛(12)과 가습 기구(14)가 함께 설치된 것으로 설명한다.
가습 기구(14)는 물 수용 공간(15)을 갖는 트레이(16)와, 물 수용공간(15)의 물을 공급받아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 필터(18)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습 필터(18)는 필터 케이스(18A)와, 필터 케이스(18A)에 설치된 필터부재(18B)를 포함하고, 필터 케이스(18A)의 외주면에는 트레이(16)의 물을 퍼올려서 필터부재(18B)로 낙하시키는 리프터(18C)가 배치된다.
리프터(18C)는 필터 케이스(18A)의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2)에는 가습 필터(18)를 회전시키는 가습 필터 회전기구(미도시)가 설치되고, 가습 필터 회전기구에 의해 가습 필터(18)가 회전되면, 리프터(18C)는 트레이(16)의 물 수용 공간(15)으로 진입되어 물을 퍼올리고 가습 필터(18)가 계속 회전되어 리프터(18C)가 높은 위치에 도달되면, 리프터(18C)에 담겨져 있던 물이 중력에 의해 낙하되어 필터부재(18C)로 공급된다.
가습 기구(14)는 트레이(16)로 물을 공급하도록 트레이(16)에 연결되거나 트레이(16)에 올려지는 물통(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2)에는 트레이(16)의 물 수용공간(15)에 담겨진 물에 플라즈마 임팩트(Plasma Impact)를 가하는 플라즈마 기구(22)가 설치될 수 있다.
플라즈마 기구(22)에서 물로 플라즈마 임팩트를 가하면, 물이 전자 분해되어 OH 라디칼이 발생된다. 발생된 OH 라디칼이 물과 결합하여 과산화수소가 생성되면, 과산화수소는 물 속의 유기화합물을 분해한다. 물 속의 유기 화합물이 분해되면, 물 때 등의 오염물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트레이(16)가 청결하게 유지된다.
플라즈마 기구(22)는 트레이(16)가 본체(2)에 장착된 상태일 때, 물 수용공간(15)으로 전극부(24)가 삽입된다. 트레이(16)가 본체(2)에 미장착될 경우에는 전극부(24)가 트레이(16)의 이동 경로 이외로 위치될 수 있도록 하여 트레이(16)의 장착, 탈거를 용이하게 하면서 트레이(16)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플라즈마 기구(22)에는 트레이(16)의 장착, 탈거시 전극부(24)의 위치 이동을 돕는 탄성부재(26)가 연결될 수 있으며, 플라즈마 기구(22)와 탄성부재(24)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송풍기(10)는 팬과, 팬을 회전시키게 연결된 모터를 포함하고, 후술하는 제어부(9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체(2)는 트레이(16)가 출입되는 트레이 출입구(30)가 형성되고, 트레이(16)는 물통(20) 및 가습필터(18)와 함께 트레이 출입구(30)로 출입할 수 있다.
본체(2)는 리어 케이스(32)와, 리어 케이스(32)의 전방에 배치되는 프론트 케이스(40)와, 프론트 케이스(40)의 상부에 배치되는 컨트롤 패널(5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2)는 프론트 케이스(40) 전방에 배치된 프론트 패널(60)을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체(2)는 프론트 케이스(40)에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되고 리어 케이스(32)에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프론트 케이스(40)와 프론트 패널(60) 사이에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되고 리어 케이스(32)에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프론트 케이스(40)와 프론트 패널(60) 사이에 공기 흡입구(4)가 형성되고 리어 케이스(32)에 공기 토출구(6)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체(2)는 리어 케이스(32)와 프론트 케이스(40)가 장착되는 베이스(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2)는 가습 필터(18)를 통과한 공기를 안내하는 에어 가이드(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2)는 송풍기(10)가 에어 가이드(80)와 리어 케이스(32) 사이에 설치될 수 있고, 에어 가이드(80) 전방에 가습 기구(14)가 설치되는 공기청정기구 공간(42)이 형성될 수 있으며, 프론트 패널(50)의 후방에 정화유닛(12)이 설치되는 정화유닛 홀더(62)가 설치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컨트롤 패널(50)의 조작에 따라 송풍기(10)와 플라즈마 기구(22)를 작동시키는 제어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청정기는 정화유닛(12)과 가습유닛(14)이 본체에 설치되고, 프론트 패널(60)이 프론트 케이스(40)의 전방을 덮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50)의 작동시키면, 제어부(90)가 송풍기(10)를 구동시킨다.
송풍기(10)의 구동시 실내의 공기는 공기 흡입구(4)를 통해 본체(2) 내부로 흡입되고, 정화유닛(12)을 통과하면서 정화된다. 정화된 공기는 가습유닛(14)을 통과하면서 가습되고, 이후 송풍기(10)를 통과하여 공기 토출구(4)로 토출된다.
제어부(90)는 공기청정기의 작동시 플라즈마 기구(22)로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공기청정기의 작동시 트레이(16)를 항상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일정 운전시간 간격으로 설정시간 동안 플라즈마 기구(22)로 전원을 공급하여 트레이(16)를 주기적으로 청결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 일실시예의 트레이가 장착되는 도중이거나 인출되는 도중일 때의 일부 절결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청정기 일실시예의 트레이가 장착된 상태가 도시된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플라즈마 기구(22)는 트레이(16)의 장착시 트레이(16)에 접촉되어 회전되게 설치되고, 트레이(16)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것에 의해 물 수용 공간(15)으로 전극부(24)가 삽입되게 설치된다.
플라즈마 기구(22)는 수평축(2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수평축(27)이 트레이(16)가 트레이(16)의 출입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수평축(27)은 트레이(16)가 좌우 방향으로 출입될 경우 전후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트레이(16)가 전후 방향으로 출입될 경우 수평축(27)이 좌우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트레이(16)는 본체(2)의 전면측 미관을 고려하여 공기청정기의 좌,우 중 일측에서 좌우 방향으로 출입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수평축(27)은 전후방향으로 수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축(27)은 트레이(16)의 장착시 트레이(16)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된다.
플라즈마 기구(22)는 중심을 기준으로 수평축(27)의 반대편에 탄성부재(26)가 연결된다.
플라즈마 기구(22)는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 중 일측에 수평축(27)이 설치될 수 있고, 좌,우 중 타측에 탄성부재(26)가 연결되는 탄성부재 연결부(29)가 형성될 수 있다.
플라즈마 기구(22)는 트레이(16)의 장착 도중에 트레이(16)와 접촉되고 트레이(16)의 장착 완료시 트레이(16)에 구속되는 트레이 접촉부(28)가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 접촉부(28)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레이 접촉부(28)는 트레이(16)의 장착 완료시, 트레이(16)의 상단에 올려지고, 트레이(16)의 상단에 올려졌을 때 트레이(16)의 상단에서 미끄러지지 않게 된다.
플라즈마 기구(22)는 에어 가이드(8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수평축(27)은 에어 가이드(8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탄성부재(26)는 트레이(16)의 미장착시 전극부(24)가 트레이(16)의 이동 경로 이외로 위치되게 플라즈마기구(22)를 탄지하는 것으로서, 일단이 플라즈마 기구(22)에 연결되고, 타단이 에어 가이드(80)에 연결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80)는 가습 필터(18)를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는 에어 홀(82)과, 탄성부재(26)가 연결되는 탄성부재 연결부(84)가 형성될 수 있고, 탄성부재 연결부는 에어 홀(82)과 이격되게 위치될 수 있다.
에어 가이드(80)는 플라즈마 기구(22)가 탄성부재(26)에 의해 과회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86)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86)는 트레이 접촉부(28)의 위치를 특정 위치로 유지시키도록 플라즈마 기구(22)를 구속하는 것으로서, 플라즈마 기구(22)가 직접 접촉되어 구속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청정기의 트레이(16)의 장착, 탈거 및 플라즈마 기구(22) 회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 등이 트레이(16)를 트레이 출입구(30)로 삽입시키면, 트레이(30)는 에어 가이드(80)의 하부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트레이(16)는 그 삽입 방향으로, 선단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트레이 접촉부(28)와 접촉되면서 깊숙이 삽입되고, 이때 플라즈마 기구(22)는 트레이 접촉부(28)가 트레이(16)의 선단에 의해 밀리면서 수평축(27)을 중심으로 회전되고, 전극부(24)는 트레이(16) 내의 물 수위선(W) 아래로 침강하며, 탄성부재(26)는 인장된다.
트레이(28)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완료되었을 때, 트레이(28)와 물통(30) 중 적어도 하나와 본체(2) 사이의 마찰력이나 트레이(28) 또는 물통(30)의 무게나 트레이(28)와 본체(2)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걸이부(미도시)에 의한 고정에 의해 트레이(28)는 위치 고정되고, 트레이(28)는 탄성부재(30)의 복원력에 의해 임의 이동되지 않게 된다.
이때, 플라즈마 기구(22)는 트레이 접촉부(28)가 트레이(16)의 상단에 올려진 상태에서 트레이(16)의 상단에 구속되고, 전극부(24)는 트레이(16) 내의 물 수위선(W) 아래로 위치되며, 플라즈마 기구(22)는 전극부(24)를 통해 플라즈마 임팩트를 발생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사용자 등이 트레이(16)를 트레이 출입구(30) 외측으로 잡아당기면, 트레이(30)는 에어 가이드(80)의 하부 전방 위치에서 트레이 출입구(30) 외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트레이(1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26)가 복원력에 의해 압축되고, 플라즈마 기구(22)는 탄성부재(26)가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트레이(16) 장착시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며, 이때 전극부(24)를 트레이(16) 이동 경로 상측으로 위치 이동된다.
플라즈마 기구(22)는 트레이(16)의 인출시 전극부(24)가 트레이(16)의 인출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트레이(16)가 쉽게 인출될 수 있게 돕고, 이후 트레이(16)가 재장착시 트레이(16)가 전극부(24)에 걸리지 않는 위치를 유지한다.
2: 본체 4: 공기 흡입구
6: 공기 토출구 30: 트레이 출입구
15: 물 수용공간 16: 트레이
18: 가습 필터 22; 플라즈마 기구
24: 전극부 26: 탄성부재
27: 수평축 28: 트레이 접촉부
29: 탄성부재 연결부

Claims (10)

  1. 공기 흡입구 및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고 트레이 출입구가 형성된 본체와;
    상기 트레이 출입구를 통해 상기 본체로 출입되고 물 수용 공간을 갖는 트레이와;
    상기 물 수용공간의 물을 공급받아 공기를 가습하는 가습 필터와;
    상기 트레이의 장착시 상기 트레이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것에 의해 상기 물 수용 공간으로 전극부가 삽입되는 플라즈마 기구와;
    상기 트레이의 미장착시 상기 전극부가 상기 트레이의 이동 경로 이외로 위치되게 상기 플라즈마기구를 탄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기구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공기청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축은 상기 트레이의 출입방향과 직교하게 배치된 공기청정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축은 상기 트레이의 장착시 상기 트레이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되는 공기청정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기구는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수평축의 반대편에 상기 탄성부재가 연결되는 공기청정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기구는 상기 트레이의 장착 도중에 상기 트레이와 접촉되고 상기 트레이의 장착 완료시 상기 트레이에 구속되는 트레이 접촉부를 갖는 공기청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접촉부는 판상인 공기청정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가습 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안내하고 상기 플라즈마 기구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에어 가이드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가이드는 상기 플라즈마 기구가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과회동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형성된 공기청정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가이드는,
    상기 가습 필터를 통과한 공기가 통과하는 에어 홀과,
    상기 탄성부재가 연결되고 상기 에어 홀과 이격되게 위치되는 탄성부재 연결부가 형성된 공기청정기.
KR1020110002316A 2011-01-10 2011-01-10 공기청정기 KR101166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316A KR101166204B1 (ko) 2011-01-10 2011-01-10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02316A KR101166204B1 (ko) 2011-01-10 2011-01-10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6204B1 true KR101166204B1 (ko) 2012-07-18

Family

ID=46716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02316A KR101166204B1 (ko) 2011-01-10 2011-01-10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2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6341A (zh) * 2019-12-04 2020-04-10 西安鼎蓝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网关控制器的智能家居湿度控制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86341A (zh) * 2019-12-04 2020-04-10 西安鼎蓝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网关控制器的智能家居湿度控制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30245B2 (ja) 加湿装置
CN203036792U (zh) 加湿装置
KR200481427Y1 (ko) 내부공기순환방식 지하철 공기정화기
JP2015145737A (ja) 加湿機能付き空気清浄機
KR20180022245A (ko) 가습 기능을 갖는 공기정화기
JP2012026658A (ja) 加湿器
WO2013047133A2 (ja) 空気清浄機及び空気清浄機の使用方法
JP2018044762A (ja) 加湿空気清浄機
KR101916886B1 (ko) 가습기
JP2017072320A (ja) 送風装置
KR101166204B1 (ko) 공기청정기
JP6571480B2 (ja) 加湿装置
KR20090088187A (ko) 공기정화장치
JP2016137488A (ja) 送風装置
JP2018091612A (ja) 空気清浄装置
KR20150050717A (ko) 리프트 장치를 포함하는 가습장치
JP6312782B1 (ja) 空気清浄装置
KR101873593B1 (ko) 잔수회수부를 포함하는 가습공기청정기
KR20100051469A (ko) 공기조화기
JP6179471B2 (ja) 空気清浄機
KR20190033789A (ko) 가습공기 청정기의 제어장치
JP4660032B2 (ja) 加湿機
JP2014070859A (ja) 送風機
JP2012117770A (ja) 加湿空気清浄機
JP2009068810A (ja) 空気清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