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185B1 - 자동차 스타트모터용 아마튜어샤프트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스타트모터용 아마튜어샤프트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5185B1
KR101165185B1 KR1020100025323A KR20100025323A KR101165185B1 KR 101165185 B1 KR101165185 B1 KR 101165185B1 KR 1020100025323 A KR1020100025323 A KR 1020100025323A KR 20100025323 A KR20100025323 A KR 20100025323A KR 101165185 B1 KR101165185 B1 KR 101165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inion
mold
forming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6094A (ko
Inventor
정인상
신성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금속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금속,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금속
Priority to KR1020100025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5185B1/ko
Publication of KR20110106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06Making machine elements axles or shafts
    • B21K1/066Making machine elements axles or shafts spl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3/00Extruding metal; Impact extrusion
    • B21C23/02Making uncoated products
    • B21C23/04Making uncoated products by direct extrusion
    • B21C23/14Making other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2Dies or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08Upse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간단조로 아마튜어샤프트를 제조하면서도 우수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고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면서 생산원가를 대폭절감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스타트모터용 아마튜어샤프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환봉 상태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소재를 포머로 공급하여 아마튜어샤프트의 리어지지부를 형성하는 1차압출단계와, 상기 리어지지부가 형성된 소재에 아마튜어코일결합부를 형성하는 2차압출단계와, 상기 피니언부형상과 프론트지지부를 가성형하는 1차업세팅단계와, 상기 피니언부형상과 프론트지지부를 완전하게 성형하는 2차업세팅단계와, 상기 피니언부형상에 피니언기어를 형성하여 아마튜어샤프트를 완성하는 기어형성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어형성단계에서 피니언기어를 형성하는 아마튜어샤프트 제조장치는 포머를 구성하는 다이스에 각 형상부가 완료된 아마튜어샤프트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암금형과, 펀치에 구비하여 암금형에 유지된 아마튜어샤프트의 피니언부형상에 피니언기어를 형성하는 수금형으로 구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자동차 스타트모터용 아마튜어샤프트 제조장치{MANUFACTURING DEVICE OF ARMATURE SFAFT FOR STARTER MOTOR IN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스타트모터용 아마튜어샤프트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머(Former)를 이용하여 냉간단조를 통하여 아마튜어샤프트를 완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자동차 스타트모터용 아마튜어샤프트는 외측에 아마튜어코일이 권취된 라미네이트의 중앙에 삽입되어 시동모터작동에 필요한 회전력을 발생시켜 드라이버샤프트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드라이버샤프트는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작동하는 피니언을 엔진의 링기어와 접속시켜 회전시킴으로써 엔진시동을 걸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아주 오래전에는 아마튜어샤프트를 환봉 소재를 선반 등과 같은 가공기계를 이용하여 전체를 절삭을 통하여 가공하였으나, 원가절감과 생산성의 향상 등을 위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개선되어 아마튜어샤프트가 만들어지고 있으며, 이 중 대표적인 예를 도 6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기술에서는 포머를 이용한 냉간단조와 프레스를 이용한 복합공정으로 이루어지는 데, 냉간단조는 1차압출단계(1)와 2차압출단계(2), 1차업세팅단계(3)와 2차업세팅단계(4) 및 3차업세팅단계(5)로 이루어지고, 프레스에서는 기어성형단계(6)로 마무리된다.
상기 1차압출단계(1)에서는 환봉 상태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소재를 포머로 공급하여 아마튜어샤프트의 리어지지부를 형성하고, 2차압출단계(2)에서는 리어지지부가 형성된 소재에 아마튜어코일결합부를 형성한다.
상기 1차업세팅단계(3)에서는 프론트지지부와 피니언부를 1차성형하고, 2차업세팅단계(4)에서는 피니언부를 2차성형하고, 3차업세팅단계(5)에서는 피니언부의 형상을 완성하게 된다.
상기 기어형성단계(6)에서는 포머에 의하여 완성된 가 성형품을 프레스로 이동하여 피니언부에 드라이버샤프트의 유성기어와 연접하여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한 피니언기어를 완전하게 형성하여 완성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포머를 이용한 냉간단조 공정을 통하여 소재를 아마튜어샤프트의 전체적인 형상을 완성하고, 형상이 완성된 상태에서 다시 프레스로 이동시켜 피니언 기어를 완성하기 때문에 이원화된 공정으로 인하여 생산성이 좋지 못하게 된다.
특히, 아마튜어샤프트를 제조하기 위한 장비로 포머와 프레스를 각각 독립하여 구비하여야 하므로 설치공간을 많이 필요로 하는 것은 물론, 작업자(관리자) 또한 포머 작업자와 프레스 작업자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설비투자비용은 물론 운영 및 유지비용 또한 상당히 소요되기 때문에 전체적인 생산원가 상승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리고, 포머에 의한 냉간단조 과정에서는 1초에 1개의 제품이 배출되는 것에 반하여 프레스에서는 약 8초에 1개의 기어를 형성하여 완성하기 때문에 마지막 과정에서 상당한 지체를 보여 연속적인 생산라인의 구축이 힘들고 전체적인 생산성이 좋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포머를 이용한 단조공정으로 아마튜어샤프트를 완성하지 못하고 프레스와 복합하여 생산하는 이유는, 포머를 구성하는 다이스와 펀치가 정밀한 상태로 일치하지 못하게 되는 데, 다이스 방향으로 펀치가 연접될 때 심한 흔들림이 발생하므로 기어를 정밀하게 형성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포머를 이용하여 기어를 형성한다 하더라도 다이스와 펀치가 가지는 편차만큼 성형 되는 기어에도 편차가 발생하여 균일한 품질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지 못하고 불량 발생이 높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환봉 상태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소재를 포머로 공급하여 아마튜어샤프트의 리어지지부를 형성하는 1차압출단계와, 상기 리어지지부가 형성된 소재에 아마튜어코일결합부를 형성하는 2차압출단계와, 상기 피니언부형상과 프론트지지부를 가성형하는 1차업세팅단계와, 상기 피니언부형상과 프론트지지부를 완전하게 성형하는 2차업세팅단계와, 상기 피니언부형상에 피니언기어를 형성하여 아마튜어샤프트를 완성하는 기어형성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어형성단계에서 피니언기어를 형성하는 아마튜어샤프트 제조장치는 포머를 구성하는 다이스에 각 형상부가 완료된 아마튜어샤프트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암금형과, 펀치에 구비하여 암금형에 유지된 아마튜어샤프트의 피니언부형상에 피니언기어를 형성하는 수금형으로 구성하여 냉간단조로 아마튜어샤프트를 제조하면서도 우수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고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면서 생산원가를 대폭절감 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아마튜어샤프트를 포머를 이용하여 냉간단조로 완성함으로써 설비투자와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하여 생산원가 절감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성형 되는 피니언기어의 형상과 치수의 정밀도를 높이면서 일정한 수준으로 지속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품질을 높일 수 있고, 대외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 스타트모터용 아마튜어샤프트 제조과정을 도시한 공정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 스타트모터용 아마튜어샤프트 제조과정을 도시한 공정 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 스타트모터용 아마튜어샤프트 제조장치의 기어성형금형의 기어성형 전 상태를 발췌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 스타트모터용 아마튜어샤프트 제조장치의 기어성형금형의 기어성형 상태를 발췌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자동차 스타트모터용 아마튜어샤프트의 구성도.
도 6은 종래 기술에 의하여 자동차 스타트모터용 아마튜어샤프트를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한 공정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조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 스타트모터용 아마튜어샤프트 제조과정을 도시한 공정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 스타트모터용 아마튜어샤프트 제조과정을 도시한 공정 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 스타트모터용 아마튜어샤프트 제조장치의 기어성형금형의 기어성형 전 상태를 발췌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 스타트모터용 아마튜어샤프트 제조장치의 기어성형금형의 기어성형 상태를 발췌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자동차 스타트모터용 아마튜어샤프트의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자동차 스타트모터용 아마튜어샤프트(100)는 포머를 이용한 냉간단조를 통하여 아마튜어샤프트(100)의 전체 형상과 드라이버샤프트의 유성기어와 연접하여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피니언기어(101)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도록 1차압출단계(S1)와 2차압출단계(S2), 1차업세팅단계(S3)와 2차업세팅단계(S4) 및 기어형성단계(S5)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1차압출단계(S1)에서는 환봉 상태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 소재를 포머로 공급하여 아마튜어샤프트(100)의 리어지지부(102)를 형성하고, 상기 2차압출단계(S2)에서는 리어지지부(102)가 형성된 소재에 아마튜어코일결합부(103)를 형성한다.
상기 1차업세팅단계(S3)에서는 피니언부형상(104)과 프론트지지부(105)를 가성형하고, 2차업세팅단계(S4)에서는 피니언부형상(104)과 프론트지지부(105)를 완전하게 성형하고, 상기 기어형성단계(S5)에서는 피니언부형상(104)에 피니언기어(101)를 형성하여 아마튜어샤프트(100)를 완성하게 된다.
상기 기어형성단계(S5)에서 아마튜어샤프트(100)를 구성하는 피니언기어(101)를 형성하기 위한 아마튜어샤프트 제조장치(110)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포머를 구성하는 다이스(111)에는 각 형상부가 완료된 아마튜어샤프트(100)를 유지할 수 있는 암금형(112)을 구비하고, 펀치(113)에는 암금형(112)에 유지된 아마튜어샤프트(100)의 피니언부형상(104)에 피니언기어(101)를 형성하기 위한 수금형(114)을 구비하여 구성한다.
상기 다이스(111)의 상단에는 펀치(113)의 하단을 수용하여 피니언기어(101) 형성시 펀치(113)가 유동하는 현상을 잡아줄 수 있도록 요입된 형상의 펀치홈(115)을 형성하여 안정된 상태의 펀칭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암금형(112)은 중앙에 완성된 아마튜어샤프트(100)의 리어부를 타격하여 이탈시킬 수 있는 이젝터핀(116)이 작동할 수 있도록 핀홀(117)을 가지고 아마튜어샤프트(100)를 삽입하여 유지할 수 있는 샤프트홀(118)을 형성한 금형바디(119)를 구비한다.
상기 금형바디(119)는 다이스(111)에 형성되는 금형홈(120)에 결합한 후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121)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한다.
상기 금형바디(119)의 중앙부 상단에는 펀치(113)에 의하여 피니언기어(101)를 형성할 수 있도록 피니언부형상(104)의 하단부를 받쳐주어 피니언부형상(104)이 노출되도록 걸림턱(122)을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수금형(114)은 아웃바디(125)와 인너바디(126)로 구성하고, 상기 인너바디(126)의 중앙에는 완성된 아마튜어샤프트(100)의 프론트 부위를 이탈시킬 수 있도록 이젝터핀(127)이 작동할 수 있는 핀홀(128)을 중앙에 형성한다.
상기 인너바디(126)와 아웃바디(125)의 하단부 사이에는 중앙에 피니언부형상(104)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성형홀(129)에 피니언부형상(104)을 타격 가압하여 피니언기어(101)를 형성할 수 있는 기어성형부(130)를 가지는 성형금형(131)을 수용한다.
상기 성형금형(131)의 상부와 인너바디(126)의 하부 사이에는 스프링(132)을 개재하여 성형금형(131)이 소정의 간격(L)으로 상,하 방향으로 출입가능하게 하여 피니언부형상(104)과 제 위치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성형금형(131)의 외경과 아웃바디(125)의 내경에는 서로 치합되는 형태의 걸림턱(135)을 형성하여 스프링(132)에 의하여 하향 되는 성형금형(131)의 이탈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 스타트모터용 아마튜어샤프트 제조장치(110)를 통하여 아마튜어샤프트(100)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소재를 포머로 공급하여 1차압출단계(S1)와 2차압출단계(S2) 1차업세팅단계(S3) 및2차업세팅단계(S4)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아마튜어샤프트(100)의 리어지지부(102)와 아마튜어코일결합부(103), 피니언부형상(104) 및 프론트지지부(105)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포머에 구비되는 집게와 같은 통상적인 이송수단에 의하여 기어형성단계(S5)인 아마튜어샤프트 제조장치(110)로 공급되고, 다이스(111)에 구비되는 암금형(112)에 의하여 안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다이스(111)와 대향위치에 있는 펀치(113)에 구비되는 수금형(114)이 암금형(112) 방향으로 전진하여 결합 되면서 타격 및 가압을 통하여 피니언부형상(104)의 표면에 피니언기어(101)를 형성하여 아마튜어샤프트(100)를 완성하게 되는 것이다.
즉, 아마튜어코일결합부(103) 까지는 암금형(112)의 샤프트홀(118)에 삽입되고, 아마튜어코일결합부(103)와 피니언부형상(104) 사이의 단턱은 금형바디(119)에서 돌출되는 걸림턱(122)에 걸림 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펀지(113)가 다이스(111) 방향으로 이동하고 다이스(111)에 형성되는 펀치홈(115)에 삽입되므로 펀치(113)가 유동하는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펀치(113)가 다이스(111)와 연접될 때에는 수금형(114)을 구성하는 아웃바디(125)와 인너바디(126)로 유지되는 성형금형(131)은 하향 돌출된 상태에 있으면서 성형금형(131)과 아웃바디(125)에 형성되는 걸림턱(135)에 의하여 이탈방지되는 형태를 유지한다.
이는 성형금형(131)과 인너바디(126)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132)에 의하여 성형금형(131)이 항상 펀치(113) 외부로 밀려지기 때문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펀치(113)가 다이스(111)로 근접할 때 피니언부형상(104)을 성형금형(131)의 성형홀(129)을 수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성형금형(131)의 성형홀(129)이 피니언부형상(104)을 수용하면서 정상적인 제 위치가 결정됨과 동시에 성형금형(131)의 내부에 형성된 기어성형부(130)가 피니언부형상(104)과 연접되면서 스프링(132)의 힘을 극복하면서 밀려짐과 동시에 기어성형부(130)가 피니언부형상(104)을 타격하면서 가압함으로써 피니언기어(101)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피니언기어(101)를 형성한 후 펀치(113)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면서 암금형(112)과 수금형(114)에 구비되는 이젝터핀(116,127)이 아마튜어샤프트(100)의 리어 및 프론트부를 밀어 포머로부터 이탈시켜 아마튜어샤프트(100)의 제조를 완성하게 되며,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여 지속적인 제조(생산)를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포머를 이용하여 냉간단조로 아마튜어샤프트를 제조하면서도 다이스와 펀치의 유격과 유동을 방지하여 우수한 품질을 가지고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면서 생산원가를 대폭절감 할 수 있으면서 대외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아마튜어샤프트
101; 피니언기어
110; 제조장치
111; 다이스
112; 암금형
113; 펀치
114; 수금형

Claims (7)

  1. 삭제
  2. 포머를 구성하는 다이스(111)에 각 형상부가 완료된 아마튜어샤프트(100)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암금형(112)과;
    펀치(113)에 구비하여 암금형(112)에 유지된 아마튜어샤프트(100)의 피니언부형상(104)에 피니언기어(101)를 형성하는 수금형(114)으로 구성되는 자동차 스타트모터용 아마튜어샤프트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암금형(112)은 중앙에 완성된 아마튜어샤프트(100)의 리어부를 이탈시키기 위한 이젝터핀(116)이 작동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핀홀(117)과;
    상기 핀홀(117)과 연결되어 아마튜어샤프트(100)를 삽입하여 유지하기 위한 샤프트홀(118)을 형성하여 구비하는 금형바디(119)와;
    상기 금형바디(119)는 다이스(111)에 형성되는 금형홈(120)에 결합하여 고정수단(121)으로 고정하고;
    상기 금형바디(119)의 중앙부 상단에 형성하여 펀치(113)에 의하여 피니언기어(101)를 형성할 수 있도록 피니언부형상(104)의 하단부를 받쳐주는 걸림턱(1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스타트모터용 아마튜어샤프트 제조장치.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금형(114)은 아웃바디(125)와 인너바디(126)로 구성하고;
    상기 인너바디(126)의 중앙에 완성된 아마튜어샤프트(100)의 프론트 부위를 이탈시키도록 이젝터핀(127)이 작동할 수 있는 핀홀(128)을 형성하고;
    상기 인너바디(126)와 아웃바디(125)의 하단부 사이 중앙에 피니언부형상(104)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성형홀(129)과;
    상기 피니언부형상(104)을 타격 가압하여 피니언기어(101)를 형성할 수 있는 기어성형부(130)를 가지는 성형금형(131)을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스타트모터용 아마튜어샤프트 제조장치.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금형(131)의 상부와 인너바디(126)의 하부 사이에는 스프링(132)을 개재하여 성형금형(131)이 소정의 간격(L)으로 상,하 방향으로 출입가능하게 하여 피니언부형상(104)과 제 위치를 결정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스타트모터용 아마튜어샤프트 제조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금형(131)의 외경과 아웃바디(125)의 내경에는 서로 치합되는 형태의 걸림턱(135)을 형성하여 성형금형(13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스타트모터용 아마튜어샤프트 제조장치.
KR1020100025323A 2010-03-22 2010-03-22 자동차 스타트모터용 아마튜어샤프트 제조장치 KR101165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323A KR101165185B1 (ko) 2010-03-22 2010-03-22 자동차 스타트모터용 아마튜어샤프트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323A KR101165185B1 (ko) 2010-03-22 2010-03-22 자동차 스타트모터용 아마튜어샤프트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094A KR20110106094A (ko) 2011-09-28
KR101165185B1 true KR101165185B1 (ko) 2012-07-12

Family

ID=44956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323A KR101165185B1 (ko) 2010-03-22 2010-03-22 자동차 스타트모터용 아마튜어샤프트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51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094B1 (ko) * 2014-04-15 2014-11-03 (주)보원화스너 단조장치용 틀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스타트 모터의 피니언 단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6180A (ja) 2001-11-02 2003-05-14 Sakamura Technol Center:Kk 鍔付き連結シャフト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6180A (ja) 2001-11-02 2003-05-14 Sakamura Technol Center:Kk 鍔付き連結シャフト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094B1 (ko) * 2014-04-15 2014-11-03 (주)보원화스너 단조장치용 틀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스타트 모터의 피니언 단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094A (ko) 2011-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74642B (zh) 一种镁合金车轮多向成形方法及模具
CN104439002A (zh) 一种适配器轴冷镦成型工艺及成型花齿的模具结构
CN106607669A (zh) 用于生产尖齿承载环的方法和工具
JP2009172663A (ja) 中空シャフトの内径スプライン成形方法および成形装置
KR101165185B1 (ko) 자동차 스타트모터용 아마튜어샤프트 제조장치
JP4872827B2 (ja) 異形フランジ付き棒状鍛造品の製造方法
US20110034259A1 (en) Method of making a washer
KR101381893B1 (ko) 가공물 성형장치
KR101592255B1 (ko) 냉간포머를 이용한 자동차용 조향장치의 핀치요크 제조방법
KR101473948B1 (ko) 플랜지 구조체의 제조 방법
JP6588312B2 (ja) 孔付き鍛造製品の成形方法、孔付き鍛造製品の成形用金型および孔付き製品の成形方法
JP5342525B2 (ja) ヨークシャフト製造方法
EP1716940B1 (en) Method of preparing a gear structure
US20040099037A1 (en) Method for shaping a seamless aluminum wheel rim
KR100653459B1 (ko) 자동차의 도어 잠금장치용 링크 성형방법
JP2001018032A (ja) フランジ付きシャフトの製造方法とこれに用いる製造装置
US6142004A (en) Load-bearing shaped par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shaped parts
JP4906676B2 (ja) カムロブの成形方法
JP4199410B2 (ja) スクラップレスによる中空部材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ワッシャの製造方法
JP3648605B2 (ja) 環状部材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102062094B1 (ko) 숫단자 제조방법
JP4868594B2 (ja) カムロブの成形方法
CN116213547A (zh) 一种驻车齿轮加工的冲压工艺
JP3035151U (ja) 中間部に小径軸部を有する棒状部品の圧造成形機
JP2010052475A (ja) 係止金具及び係止金具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