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4646B1 - 즉석 떡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즉석 떡 제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4646B1 KR101164646B1 KR1020100002618A KR20100002618A KR101164646B1 KR 101164646 B1 KR101164646 B1 KR 101164646B1 KR 1020100002618 A KR1020100002618 A KR 1020100002618A KR 20100002618 A KR20100002618 A KR 20100002618A KR 101164646 B1 KR101164646 B1 KR 1011646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ice cake
- tank
- water
- manufacturing apparatus
- he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즉석 떡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쉽고 간단하게 제조하여 대중화시킬 수 있고, 쌀 소비촉진으로 인해 농촌경제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제한된 공간에서도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을 직접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가열시간의 단축에 의해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즉석 떡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즉석 떡 제조장치에 있어서, 유입부를 통해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수조와; 수조에 채워진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로 변환시키는 가열수단과; 수조에 형성되고, 수조 내의 수증기를 수조의 외부측으로 안내하는 안내관과; 안내관에 연결되고, 다수의 통공을 통해 수증기를 유출시키는 안착수단; 및 안착수단에 안착되고, 수증기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떡재료가 조리되는 떡포장용기; 를 포함하는 즉석 떡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즉석 떡 제조장치에 있어서, 유입부를 통해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수조와; 수조에 채워진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로 변환시키는 가열수단과; 수조에 형성되고, 수조 내의 수증기를 수조의 외부측으로 안내하는 안내관과; 안내관에 연결되고, 다수의 통공을 통해 수증기를 유출시키는 안착수단; 및 안착수단에 안착되고, 수증기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떡재료가 조리되는 떡포장용기; 를 포함하는 즉석 떡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즉석 떡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쉽고 간단하게 제조하여 대중화시킬 수 있고, 쌀 소비촉진으로 인해 농촌경제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제한된 공간에서도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을 직접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가열시간의 단축에 의해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즉석 떡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민소득의 증대와 더불어 식생활이나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우리의 생활양식 및 식생활은 편의와 간편성을 추구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시기에 특별한 조리를 요하지 않는 편의 식품의 판매율이 급속한 신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롤, 샌드위치, 햄버거 등과 같은 이른바 패스트푸드(Fast Food)는 도시인들의 식생활 패턴의 변화와 더불어 간편식의 선호, 경제적 여유에 따른 여가와 레저를 즐기려는 추세에 편승하여, 여러 업체의 체인망을 통하여 젊은 층에 급속하게 보급되고 있고, 이는 식품의 소비 패턴을 크게 바꾸어 놓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패스트푸드는 하루 필요량 이상의 지방을 함유하고 있음으로써, 이를 장기간 섭취할 경우, 과다한 콜레스테롤로 인하여 혈액 속에 나쁜 지방질이 쌓여 동맥경화를 유발하게 되는 것은 물론, 지방간, 심장질환, 당뇨, 칩거증과 같은 심각한 성인병의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우리나라 사람들의 쌀 소비량은 패스트푸드와 같은 서구 식품으로 인하여 점점 줄어들고 있으며, 설상가상으로 정부의 수입 쌀 개방 정책으로 인하여 우리나라의 농촌은 더욱 파괴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쌀을 비롯한 우리나라 고유의 식품을 일부 패스트푸드에 접목시켜 음식의 질도 높이고 쌀 소비량도 늘리려고 하는 시도가 여러 차례 있었으나 패스트푸드와 같이 즉석에서 제공되기 어렵고, 패스트푸드와 우리나라 음식 간의 조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등 시장에서 외면받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즉석 떡 제조장치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쉽고 간단하게 제조하여 대중화시킬 수 있는 즉석 떡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쌀 소비촉진으로 인해 농촌경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즉석 떡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한된 공간에서도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을 직접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가열시간의 단축에 의해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즉석 떡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즉석 떡 제조장치에 있어서, 유입부를 통해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수조와; 수조에 채워진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로 변환시키는 가열수단과; 수조에 형성되고, 수조 내의 수증기를 수조의 외부측으로 안내하는 안내관과; 안내관에 연결되고, 다수의 통공을 통해 수증기를 유출시키는 안착수단; 및 안착수단에 안착되고, 수증기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떡재료가 조리되는 떡포장용기; 를 포함하는 즉석 떡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수조에는, 가열수단에 연결되어 가열수단의 가열온도, 가열시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배치될 수 있다.
수조에는, 안착수단에 안착되어 떡재료가 조리된 떡포장용기를 진열 또는 보관할 수 있는 진열대가 연결될 수 있다.
진열대는 수조의 상측에 배치되고, 수조의 상면에 형성된 유출공을 통해 수조 내의 수증기가 진열대측을 향해 공급되며, 진열대를 감싸도록 커버가 장착될 수 있다.
유출공은 수조의 상면 중 일부가 진열대측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에 형성되고, 안내관은, 한쪽이 안착수단에 연결되고, 다른쪽이 돌출부에 근접하도록 수조 내에 배치되며, 일부가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가열수단의 주위를 지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진열대는, 수조와 연결되어 수증기를 공급받고, 진열대의 외면에 형성되어 수조로부터 공급받은 수증기가 둘 이상으로 분기되어 유출되는 유출관; 및 유출관에 연결되고, 떡재료가 조리된 떡포장용기가 위치되어 데워지는 데움부; 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즉석 떡 제조장치에 있어서, 유입부를 통해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제1 수조와; 제1 수조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제2 수조와; 제2 수조의 하부측에 연결되고, 제2 수조 내의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로 변환시키는 가열수단과; 제2 수조에 형성되고, 제2 수조 내의 수증기를 제2 수조의 외부측으로 안내하는 안내관과; 안내관에 연결되고, 다수의 통공을 통해 수증기를 유출시키는 안착수단과; 안착수단에 안착되고, 수증기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떡재료가 조리되는 떡포장용기와; 제2 수조와 연결되어 수증기를 공급받고, 떡재료가 조리된 떡포장용기를 진열 또는 보관할 수 있는 진열대; 및 제1 수조와 제2 수조, 진열대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는 즉석 떡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제2 수조에는, 가열수단에 연결되어 가열수단의 가열온도, 가열시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진열대는, 진열대의 외면에 분기되도록 형성되어 수증기를 둘 이상으로 나누어 외부로 유출시키는 유출관; 및 유출관에 연결되고, 떡재료가 조리된 떡포장용기가 위치되어 데워지는 데움부; 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떡포장용기는 종이재질로 이루어지고, 안착수단을 통해 유출되는 수증기와 접하는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얇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안착수단에는 증기배출공이 형성된 결합부재가 결합되고, 떡포장용기는 안착수단과 결합부재의 사이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즉석 떡 제조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쉽고 간단하게 제조하여 대중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쌀 소비촉진으로 인해 농촌경제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한된 공간에서도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을 직접 가열하여 증기를 발생시키도록 함으로써 가열시간의 단축에 의해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즉석 떡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즉석 떡 제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즉석 떡 제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즉석 떡 제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즉석 떡 제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즉석 떡 제조장치의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즉석 떡 제조장치의 분해도와 결합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즉석 떡 제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즉석 떡 제조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즉석 떡 제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즉석 떡 제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즉석 떡 제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즉석 떡 제조장치의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즉석 떡 제조장치의 분해도와 결합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즉석 떡 제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즉석 떡 제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즉석 떡 제조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즉석 떡 제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즉석 떡 제조장치(10)는 크게 수조(100)와 가열수단(200), 안내관(300), 안착수단(400) 및 떡포장용기(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조(100)는 즉석 떡 제조장치(10)의 전체적인 외관을 구성하고, 유입부(110)를 통해 내부에 물이 채워지므로 외면에는 수조(100) 내의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유량계(102)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수조(100)의 상측에는 제조가 완료된 떡포장용기(500)를 진열 또는 보관할 수 있는 진열대(120)가 형성되며, 수조(100)의 상면에는 진열대(120)측을 향해 수증기를 유출시켜 공급하는 유출공(106)이 마련된다. 그리고 진열대(120)를 감싸도록 커버(600)가 장착되는데, 커버(600)에는 진열대(120)에 떡포장용기(500)를 수납하거나, 수납되어 있는 떡포장용기(500)를 꺼낼 수 있도록 도어(602)가 마련되고, 상면에는 유출공(106)을 통해 커버(600) 내에 유입된 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커버공(604)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조(100)의 내부는 녹이 슬지않고, 열전도율이 우수한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재질 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입부(110)에는 밸브(112)를 형성하여 물의 유입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유입되는 물은 수조(100)의 하부측을 통해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하기에 서술하는 가열수단(200)에 의해 물이 가열되어 수증기로 변환되더라도 유입부(110)를 통해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가열수단(200)은 수조(100) 내에 배치되고, 전원을 공급받아 수조(100) 내에 채워진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로 변환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를 위해, 가열수단(200)은 물을 가열시킬 수 있는 열선(210), 열선(210)을 보호하는 보호커버 등을 포함하며 외부의 전원공급수단(콘센트 등)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220)과 수조(100) 외면에 마련되어 전원의 공급여부를 나타내는 전원램프(230), 가열수단(200)의 동작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동작램프(240), 일정시간 동안 가열수단(200)을 동작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는 제어수단, 예를 들어 타이머(250) 등이 포함된다. 여기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가열수단(200)의 가열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요소가 포함될 수 있다.
안내관(300)은 수조(100)에 형성되고, 수조(100) 내의 수증기를 수조(100)의 외부측으로 안내하는 구성요소로써, 가열수단(200)의 동작에 따라 물이 가열되어 변환된 수증기가 이동하게 되는 이동통로이다. 본 발명에서는 안내관(300)이 한 쌍으로 구성되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안내관(300)은 수증기를 안내할 수 있도록 수조(100) 내에 채워진 물의 최대 높이보다 더 높은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
안착수단(400)은 안내관(300)에 연결되어 수증기를 유출시키게 되며, 떡포장용기(500)가 안착된다. 이러한 안착수단(400)은 떡포장용기(500)의 형상이나 사용자의 요구 또는 제작환경 등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증기가 유출되는 구멍은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고, 다수개가 형성될 수도 있으며, 구멍의 직경 또한 사용상황 등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 가능하다.
떡포장용기(500)는 전술한 안착수단(400)에 안착되고, 수증기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떡재료(R)가 조리되는 구성요소이다. 떡재료(R)는 떡가루(쌀가루)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각종 고물(콩, 팥, 건포도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떡포장용기(500)는 내부에 떡재료(R)가 수용되어 있는 상태로 판매될 수도 있고, 소비자가 즉석에서 원하는 떡재료(R)를 선택하고, 선택된 떡재료(R)를 떡포장용기에 담아서 포장될 수도 있다. 이때, 미리 설정된 가격 등에 따라 내부의 재료를 다르게 하거나, 크기를 다르게 구성할 수도 있다.
떡포장용기(500)는 안착수단(400)을 통해 유출되는 수증기에 직접 닿지 않으면서도, 수증기에 의해 떡의 제조가 가능한 재질, 예를 들어 종이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증기와 접하는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얇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는 떡재료(R)가 떡포장용기(500)로부터 흘러내리지 않도록 방지함과 동시에 수증기가 떡포장용기(500)의 내부로 침투, 상승하면서 떡재료(R)를 떡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증기가 떡재료(R)에 바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여 떡재료(R)가 수증기에 인해 떡이 되는 과정에서 갈라지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떡포장용기(500)를 이루게 되는 종이재질은 수분의 통과성이 좋은 종이류, 예를 들어 한지나 습자지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약 수분의 통과성이 낮은 종이류를 사용할 경우에는 수증기와 접하는 부분에 직경이 좁은 다수의 통공을 뚫어줌으로써 떡재료(R)가 떡으로 제조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떡포장용기(500)로써 한지를 사용하는 경우 바깥쪽은 두껍고, 안쪽은 얇은 한지를 이중으로 겹쳐서 사용하되, 수증기와 접하는 부분은 얇은 한지만배치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여기서 떡포장용기(500)의 하부, 즉 안착수단(400)에 안착되어 수증기와 접하는 부분의 반대쪽인 떡포장용기의 상부에도 수증기의 배출이 용이하도록 다른 부분보다 얇게 형성하거나 직경이 좁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떡포장용기(500) 내에 별도의 떡재료수용틀을 배치할 수 있다. 즉, 떡포장용기(500)에 떡재료(R)를 수용하고, 거기에 떡재료수용틀을 배치하여 떡을 제조한 후 떡재료수용틀을 제거하게 되면 떡 내부에 떡재료수용틀에 의한 공간이 형성된다. 이렇게 만들어진 공간에 얼음이나 아이스크림, 시럽, 단팥 등 다양한 재료를 채워넣어 다양한 맛을 나타내는 떡을 제조할 수 있다. 물론, 떡재료수용틀의 크기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즉석 떡 제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2 이하에서는 도면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나기 위해 커버를 생략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즉석 떡 제조장치(1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거의 유사하게 구성되나, 제1 실시예에서는 떡포장용기(500)가 안착수단(400)에 안착된 상태에서 떡으로 제조되는 구성인데 반해 제2 실시예에서는 떡포장용기(500)가 반밀폐 상태의 안착수단(400)에 수용되어 떡이 제조된다는 것이 다르다.
다시 말해서, 안착수단(400)에는 증기배출공(412)이 형성된 결합부재(410)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떡포장용기(500)를 안착수단(400)에 안착시킨 다음, 결합부재(410)를 안착수단(400)과 결합시킴으로써 안착수단(400)과 결합부재(410)의 사이에 떡포장용기(500)가 수용되도록 하게 된다. 이후, 가열수단(200)을 동작시켜 떡을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안착수단(400)의 외주면과 결합부재(410)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됨으로써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구성하였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결합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떡포장용기(500)를 통과한 수증기는 증기배출공(412)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며, 제1 실시예보다 더 높은 압력에서 떡이 제조되게 되므로 떡의 제조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즉석 떡 제조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이때, 도 5에서는 도 3 및 도 4에서 나타나지 않는 유출공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돌출부의 설명을 위해 유출공이 수조의 상면 중심축 부근에 위치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 또한 제1 실시예와 유사하나 제1 실시예와는 달리 수조(100)에 돌출부(104)가 형성된다는 것과 안내관(300)의 형상이 다르게 구성된다.
즉, 제3 실시예에서는 수조(100)의 상면 중 일부가 진열대(120)측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104)가 형성되고, 유출공(106)은 이러한 돌출부(104)에 형성된다.
그리고, 안내관(300)은 한쪽이 안착수단(400)에 연결되고, 다른쪽이 돌출부(104)에 근접하도록 수조(100) 내에 배치되게 되는데, 일부가 가열수단(20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가열수단(200)의 주위를 지나게 된다.
이와 같이 유출공(106)이 돌출부(104)에 형성됨으로써 유출공(106)과 수조(100) 내부의 물 수면과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수조(100) 내의 물이 가열되면서 끓어올라 유출공(106)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안내관(300)을 통해 끓어오른 물이 안내관(300)으로 유입되는 것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안내관(300)이 가열수단(200)의 주위를 지나면서 가열되므로 안내관(300)을 통해 이동하는 수증기가 식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제3 실시예의 구성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2 실시예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즉석 떡 제조장치의 사시도와 평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즉석 떡 제조장치(10)는 제1 내지 제3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되나 몇몇 부분이 다르게 형성된다.
우선, 수조(100)가 다수의 방열공(702)이 형성된 하우징(700) 내에 배치되고, 수조(100)에 물을 채울 수 있도록 하는 유입부(110)에는 덮개(114)가 마련되어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진열대(120)는 떡재료가 조리된 떡포장용기(500)를 쉽게 데울 수 있도록 수조(100)에 연결된 수증기공급관(126)을 통해 수증기를 공급받게 된다. 진열대(120)는 진열대(120)의 외면에 형성되어 수증기가 둘 이상으로 분기되어 유출되는 유출관(122) 및 유출관(122)에 연결되고, 떡재료가 조리된 떡포장용기(500)가 위치되어 데워지는 데움부(12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떡포장용기(500)를 데움부(124)에 올려서 데우게 된다. 데움부(124)는 안착수단(40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아직 조리된 떡포장용기(500)가 없거나, 안착수단(400)에 안착되어 있는 떡포장용기(500)를 빨리 조리하고자 하는 등의 경우 수증기공급관(126)에 배치되어 있는 밸브(112)를 조절하여 진열대(120)에 공급되는 수증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도 수조(100) 내의 물의 양을 확인할 수 있도록 수조(100) 또는 하우징(700)의 외면에 유량계(102)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즉석 떡 제조장치의 분해도와 결합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따른 즉석 떡 제조장치(10)는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구조와는 다르게 구성되나,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동작이나 원리는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일단, 제5 실시예는 제1 내지 제4 실시예와는 달리 수조(100)가 2개, 즉 유입부(110)를 통해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제1 수조(100a)와, 물공급관(100c)을 통해 제1 수조(11a)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제2 수조(100b)로 나뉘어 구성된다.
그리고 가열수단(200)이 제2 수조(100b)의 하부측에 연결되어 제2 수조(100b) 내의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로 변환시키게 된다. 여기서, 가열수단(200)은 제1 내지 제4 실시예와 대동소이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도 8 및 도 9에서는 내부구조 등을 생략하였다.
이처럼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수조(100) 역할을 제5 실시예에서는 제2 수조(100b)가 하게 되는 것으로, 제2 수조(100b)의 수증기가 안내관(300)과 안착수단(400)을 통해 유출되어 떡포장용기(500)에 수용된 떡재료를 조리하던지 아니면 수증기공급관(126)과 진열대(120)를 통해 유출되어 조리된 떡포장용기(500)를 데우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제1 수조(100a)와 제2 수조(100b), 진열대(120)는 고정수단(800)이 감싸 고정하게 되며, 전체적으로는 평면적으로 볼 때 삼각형상을 이루게 된다.
제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증기공급관(126)에는 밸브(112)가 배치되어 수증기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여기에 제1 수조(100a)와 제2 수조(100b)를 연결하는 물공급관(100c)에도 밸브(112)가 설치되어 제2 수조(100b)에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즉석 떡 제조장치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제2 내지 제5 실시예의 경우 제1 실시예와 거의 대동소이하므로 여기에서는 제2 내지 제5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즉석 떡 제조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살펴보면, 먼저 유입부(110)를 통해 수조(100) 내에 물(W)을 유입시키게 된다.
유량계(102)를 확인하면서 수조(100) 내에 물(W)을 일정 높이까지 채운 다음, 유입부(110)의 밸브(112)를 닫아 더 이상의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방지한 후 떡포장용기(500)를 안착수단(400)에 안착시킨다. 이때, 떡포장용기(500)에 담겨있는 재료의 성분이나 양, 떡포장용기의 크기 등에 따라 어느 정도의 시간 동안 가열수단(200)을 동작시키는 것이 바람직한지 설정을 해두고, 이에 따라 타이머(216)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가열수단(200)을 동작시켜 떡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수단(200)의 동작에 따라 시간이 지나면서 물(W)이 끓게 되어 수증기(WV)가 발생한다.
이러한 수증기(WV)는 안내관(300)을 통해 이동하고, 안착수단(400)에 안착되어 있는 떡포장용기(500)를 향해 유출된다.
떡포장용기(500)는 수증기(WV)와 접하는 부분이 얇게 형성되거나, 통공이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되므로 수증기(WV)가 떡포장용기(500) 내부로 침투하여 상승하면서 떡재료(R)를 찌게 되며, 일정 시간이 지나면 떡이 제조되어 소비자가 맛있게 먹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즉석 떡 제조장치 100: 수조
100a: 제1 수조 100b: 제2 수조
100c: 물공급관 102: 유량계
104: 돌출부 106: 유출공
110: 유입부 112: 밸브
120: 진열대 122: 유출관
124: 데움부 126: 수증기공급관
200: 가열수단 210: 열선
220: 전원선 230: 전원램프
240: 동작램프 250: 타이머
300: 안내관 400: 안착수단
410: 결합부재 412: 증기배출공
500: 떡포장용기 600: 커버
602: 도어 604: 커버공
700: 하우징 702: 방열공
800: 고정수단 W: 물
WV: 수증기 R: 떡재료
100a: 제1 수조 100b: 제2 수조
100c: 물공급관 102: 유량계
104: 돌출부 106: 유출공
110: 유입부 112: 밸브
120: 진열대 122: 유출관
124: 데움부 126: 수증기공급관
200: 가열수단 210: 열선
220: 전원선 230: 전원램프
240: 동작램프 250: 타이머
300: 안내관 400: 안착수단
410: 결합부재 412: 증기배출공
500: 떡포장용기 600: 커버
602: 도어 604: 커버공
700: 하우징 702: 방열공
800: 고정수단 W: 물
WV: 수증기 R: 떡재료
Claims (11)
- 즉석 떡 제조장치에 있어서,
유입부를 통해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수조와;
상기 수조에 채워진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로 변환시키는 가열수단과;
상기 수조에 형성되고, 상기 수조 내의 수증기를 상기 수조의 외부측으로 안내하는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에 연결되고, 다수의 통공을 통해 수증기를 유출시키는 안착수단; 및
상기 안착수단에 안착되고, 수증기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떡재료가 조리되는 떡포장용기; 를 포함하되,
상기 수조에는,
상기 안착수단에 안착되어 상기 수조의 상측에 배치되고, 떡재료가 조리된 떡포장용기를 진열 또는 보관할 수 있는 진열대가 연결되고,
상기 수조의 상면에 형성된 유출공을 통해 상기 수조 내의 수증기가 상기 진열대측을 향해 공급되며,
상기 진열대를 감싸도록 커버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떡 제조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에는,
상기 가열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가열수단의 가열온도, 가열시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떡 제조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은 상기 수조의 상면 중 일부가 상기 진열대측을 향해 돌출된 돌출부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관은,
한쪽이 상기 안착수단에 연결되고, 다른쪽이 상기 돌출부에 근접하도록 상기 수조 내에 배치되며, 일부가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상기 가열수단의 주위를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떡 제조장치.
- 즉석 떡 제조장치에 있어서,
유입부를 통해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수조와;
상기 수조에 채워진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로 변환시키는 가열수단과;
상기 수조에 형성되고, 상기 수조 내의 수증기를 상기 수조의 외부측으로 안내하는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에 연결되고, 다수의 통공을 통해 수증기를 유출시키는 안착수단; 및
상기 안착수단에 안착되고, 수증기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떡재료가 조리되는 떡포장용기; 를 포함하되,
상기 수조에는,
상기 안착수단에 안착되어 떡재료가 조리된 떡포장용기를 진열 또는 보관할 수 있는 진열대가 연결되고,
상기 진열대는,
상기 수조와 연결되어 수증기를 공급받고,
상기 진열대의 외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조로부터 공급받은 수증기가 둘 이상으로 분기되어 유출되는 유출관; 및
상기 유출관에 연결되고, 떡재료가 조리된 떡포장용기가 위치되어 데워지는 데움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떡 제조장치.
- 즉석 떡 제조장치에 있어서,
유입부를 통해 내부에 물이 채워지는 제1 수조와;
제1 수조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제2 수조와;
상기 제2 수조의 하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수조 내의 물을 가열하여 수증기로 변환시키는 가열수단과;
상기 제2 수조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수조 내의 수증기를 상기 제2 수조의 외부측으로 안내하는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에 연결되고, 다수의 통공을 통해 수증기를 유출시키는 안착수단과;
상기 안착수단에 안착되고, 수증기에 의해 내부에 수용된 떡재료가 조리되는 떡포장용기와;
상기 제2 수조와 연결되어 수증기를 공급받고, 떡재료가 조리된 떡포장용기를 진열 또는 보관할 수 있는 진열대; 및
상기 제1 수조와 상기 제2 수조, 상기 진열대를 감싸 고정하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진열대는,
상기 진열대의 외면에 분기되도록 형성되어 수증기를 둘 이상으로 나누어 외부로 유출시키는 유출관; 및
상기 유출관에 연결되고, 떡재료가 조리된 떡포장용기가 위치되어 데워지는 데움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떡 제조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조에는,
상기 가열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가열수단의 가열온도, 가열시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떡 제조장치.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떡포장용기는 종이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착수단을 통해 유출되는 수증기와 접하는 부분이 다른 부분보다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떡 제조장치.
-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수단에는 증기배출공이 형성된 결합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떡포장용기는 상기 안착수단과 상기 결합부재의 사이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즉석 떡 제조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7295 | 2009-06-25 | ||
KR20090057295 | 2009-06-2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0499A KR20100020499A (ko) | 2010-02-22 |
KR101164646B1 true KR101164646B1 (ko) | 2012-07-11 |
Family
ID=42090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02618A KR101164646B1 (ko) | 2009-06-25 | 2010-01-12 | 즉석 떡 제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464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3873B1 (ko) * | 2011-01-03 | 2011-09-08 | 뉴퓨리텍 주식회사 | 떡 제조장치 |
KR101350161B1 (ko) * | 2012-06-29 | 2014-01-08 | 곽성호 | 조리용 즉석 스팀 찜기 |
KR20170109199A (ko) * | 2016-03-18 | 2017-09-28 | 주식회사 보카프 | 개폐형 인덕션 가열부를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
KR20170109198A (ko) * | 2016-03-18 | 2017-09-28 | 주식회사 보카프 | 개폐형 스팀 가열부를 가지는 즉석식품 가열조리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6496B1 (ko) * | 2007-03-19 | 2007-09-07 | 임철한 | 떡 제조 방법 |
-
2010
- 2010-01-12 KR KR1020100002618A patent/KR10116464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56496B1 (ko) * | 2007-03-19 | 2007-09-07 | 임철한 | 떡 제조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20499A (ko) | 2010-0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70023451A1 (en) | Refrigerator-mounted hot beverage dispenser | |
US20170367516A1 (en) | Rapid Food Cooking Device and Rapid Cooking Method Therefor | |
CN105615632B (zh) | 一种蒸汽料理机 | |
KR101164646B1 (ko) | 즉석 떡 제조장치 | |
CN103533868A (zh) | 烹饪面条用高压锅 | |
KR20170032320A (ko) | 조리 기구 | |
CN110367808A (zh) | 一种蒸煮器及其控制方法 | |
CN203802244U (zh) | 食物烹煮装置 | |
CN102640888A (zh) | 新的粥烹调方法 | |
US6363834B1 (en) | Multipurpose fryer | |
CN110367833A (zh) | 一种饭煲及其控制方法 | |
KR20140020093A (ko) | 즉석 떡 제조장치 | |
KR101332013B1 (ko) | 즉석떡 포장용기 | |
KR200398917Y1 (ko) | 증기 찜 장치 | |
CN210810465U (zh) | 一种电饭锅 | |
KR102506252B1 (ko) | 가열 장치 및 기구 | |
CN217547768U (zh) | 一种熬煮果糖定量机的搅拌加热结构 | |
US20220218147A1 (en) | Device and system for a divider insert for a food-heating appliance | |
KR101425615B1 (ko) | 육수 가열장치 | |
CN211269920U (zh) | 一种内锅及其蒸煮器 | |
US20140165994A1 (en) | Stovetop Water Heater | |
KR101173421B1 (ko) | 식품용기 | |
KR200259355Y1 (ko) | 전자레인지용 1회용 편의 식품용기 | |
CN110367834A (zh) | 一种饭煲 | |
CN217160984U (zh) | 一种熬煮果糖定量机的双缸结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