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3306B1 - 열차 정보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열차 정보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3306B1
KR101163306B1 KR1020107012463A KR20107012463A KR101163306B1 KR 101163306 B1 KR101163306 B1 KR 101163306B1 KR 1020107012463 A KR1020107012463 A KR 1020107012463A KR 20107012463 A KR20107012463 A KR 20107012463A KR 101163306 B1 KR101163306 B1 KR 101163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processing unit
output
notch
comparison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2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7361A (ko
Inventor
다카시 미야우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87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7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12Recording operating variables ; Monitoring of operating vari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40Adaptation of control equipment on vehicle for remote actuation from a stationary pl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5/00Indicators provided on the vehicle or train for signalling purposes
    • B61L15/0063Multiple on-board control systems, e.g. "2 out of 3"-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20Trackside control of safe travel of vehicle or train, e.g. braking curve calc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2Indicating or record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 B61L25/021Measuring and recording of train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브레이크 지령의 고위 우선을 계전기에 의하지 않고 실시하고, 간소한 구성이면서, 용장성이 향상되며 고속 처리가 가능하고, 높은 신뢰성을 실현하는 열차 정보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는 ATC 장치(4)와 자동 열차 정지 장치(7)와 매뉴얼 브레이크 장치(10)가 작성하는 브레이크 노치의 고위 우선 처리를, 계전기를 사용하는 일 없이, 열차 정보 관리 장치(14)에서 논리를 취하는 비교 처리로 행하여, 용장성 향상ㆍ고속 처리ㆍ높은 신뢰성을 실현한다.

Description

열차 정보 관리 장치{TRAI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본 발명은 열차 보안 제어 장치 등으로부터 출력된 브레이크 지령 정보의 고위(高位) 우선 처리를 행하고, 브레이크 지령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열차 정보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지상 장치에서 검출한 선행 열차로부터 후속 열차까지의 거리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차상(車上) 장치로 감속 패턴을 작성하고, 이 감속 패턴에 따라서 열차를 제동하는 자동 열차 제어 장치(이하, ATC(Automatic Train Control) 장치라 함)가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ATC 장치는 동일한 처리를 병렬로 행하여 각각 브레이크 노치를 출력하는 3개의 처리부와, 이들 3개의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브레이크 노치를 비교하여 브레이크 노치를 결정하는 공통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 노치는 상용 브레이크, 비상 브레이크, 브레이크 완해(緩解)의 3가지 브레이크 종류가 있고, 상용 브레이크의 경우 단계적인 노치 수가 있다. 공통부는 3개의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브레이크 종류를 다수결로 먼저 선택한 후, 상용 브레이크의 경우 최대 노치 수를 선택하고(즉, 고위 우선), 브레이크 종류가 선택될 수 없는 경우는 비상 브레이크를 선택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다수결이란 각 처리부가 작성한 3개의 브레이크 종류 중에서 적어도 2개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그 브레이크 종류를 결정하여 출력하고, 전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브레이크 종류가 선택될 수 없는 경우로 하는 것이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개 2001-157316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기술에는 이하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ATC 장치에서는, 공통부가 고장나면 브레이크 장치에 브레이크 지령을 출력할 수 없고, 시스템이 다운된다. 그 때문에, 용장성(冗長性)이 저하되어 신뢰성이 낮아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공통부에서는 3개의 처리부로부터의 입력을 다수결하여 그 출력을 결정하나, 예를 들어 선행 열차와의 거리 간격이 짧고, 급속히 감속하는 경우 등, 브레이크의 단계가 급속히 변화하는 경우에는, 각 처리부로부터의 입력의 동기가 취해지지 않아, 각 처리부의 출력이 불일치로 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시스템 고장은 아님에도 불구하고, 비상 브레이크를 작동시켜서 주행을 정지시키고 말아, 신뢰성이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처리부가 3중계(重系)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공통부로의 입력도 3개로 한정되어 있으며, 그 외의 입력에 대응하고 있지 않다.
또, ATC 장치 외에, 브레이크 지령을 출력하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자동 열차 정지 장치나 매뉴얼 브레이크 장치 등)를 추가하려고 하는 경우, 각 장치로부터의 출력을 비교 처리하기 위한 더욱 상단의 공통부가 필요하게 된다. 그 때문에, 공통부의 개수가 증대하고 유지 보수(maintenance)의 필요성이 증가하여 비용 상승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차 중량이 증가하여 보다 큰 브레이크 힘이 필요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 공통부에 있어서 고위 우선 처리를 위해 계전기(繼電器)가 사용되는 경우가 있으나, 이 경우에는 비교 처리에 시간이 걸림과 아울러, 계전기 자체의 유지 보수가 필요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런데 최근은 차량 탑재 기기를 모니터링하고 차량 정보를 집약하여 열차의 주행을 종합적으로 제어ㆍ관리하는 열차 정보 관리 장치가 사용되고 있고, ATC 장치 등의 상위 장치로서 브레이크 지령 등에 대한 관리도 행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브레이크 지령의 고위 우선을 계전기에 의하지 않고 실시하고, 간소한 구성이면서 용장성이 향상되며 고속 처리가 가능하고, 높은 신뢰성을 실현하는 열차 정보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열차 정보 관리 장치는, 열차의 각 차량에 탑재되어, 차량 탑재 기기를 모니터링하고 차량 정보를 집약하여 열차의 주행을 제어ㆍ관리함과 아울러, 서로 독립적인 제1 및 제2 처리부를 각각 갖는 복수대의 브레이크 노치 작성 장치가 출력하는 복수의 브레이크 노치로부터, 브레이크 노치를 선택하여 브레이크 제어 장치에 출력하는 열차 정보 관리 장치로서, 상기 각 브레이크 노치 작성 장치가 갖는 상기 제1 및 제2 처리부에서 각각 작성된 브레이크 노치가 입력되고, 입력된 모든 브레이크 노치에 대한 비교 처리를 소프트웨어 처리에 기초하여 행하고, 최대의 브레이크 힘을 부여하는 브레이크 노치를 결정하여 출력하는 제1 비교 처리부와; 상기 각 브레이크 노치 작성 장치가 갖는 상기 제1 및 제2 처리부에서 각각 작성된 브레이크 노치가 입력되고, 상기 제1 비교 처리부와는 독립적으로, 입력된 모든 브레이크 노치에 대한 비교 처리를 소프트웨어 처리에 기초하여 행하고, 최대의 브레이크 힘을 부여하는 브레이크 노치를 결정함과 아울러, 상기 제1 비교 처리부의 출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1 비교 처리부의 출력이 없는 경우에만 상기 결정된 브레이크 노치를 출력하는 제2 비교 처리부와; 상기 제1 비교 처리부의 출력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2 비교 처리부의 전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비교 처리부로부터의 브레이크 노치를 선택하여 상기 브레이크 제어 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제1 비교 처리부의 출력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2 비교 처리부의 전환 제어에 의해, 상기 제2 비교 처리부로부터의 브레이크 노치를 선택하여 상기 브레이크 제어 장치에 출력하는 처리를 소프트웨어 처리에 기초하여 행하는 선택 전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비교 처리부는 상기 선택 전환부의 출력을 감시하고, 상기 선택 전환부로부터 상기 브레이크 제어 장치로의 출력이 없는 경우에만, 비상 브레이크 수단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당해 비상 브레이크 수단으로부터 상기 브레이크 제어 장치에 비상 브레이크 지령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차 정보 관리 장치는 1계(系)와 2계를 구비한 2중계이기 때문에, 일방으로부터의 출력이 없는 경우에는 타방의 출력을 사용하면 되고, 용장성이 향상하여 신뢰성이 높아진다. 또, 비교 처리부의 개수는 2개이며, 종래에 비해 구성이 간소화되어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비교 처리부는 소프트웨어 처리로 실현되고, 종래와 같이 예를 들어 계전기 등의 하드웨어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그 때문에 유지 보수 부품이 필요없어 비용도 저하한다. 또, 고장률도 저하하여 신뢰성도 향상한다.
또, 계전기 등의 하드웨어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차 중량이 가벼워지고, 브레이크 힘이 작게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비교 처리를 소프트웨어 논리로 행하고 있으므로, 비교 처리가 단순화됨과 아울러, 고속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관한 열차 정보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는 열차 정보 관리 장치에 있어서 브레이크 노치의 선택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3은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ATC 장치의 차상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ATC 장치, 자동 열차 정지 장치 및 매뉴얼 브레이크 장치를 병렬시키고, 브레이크 제어 장치에 출력하는 브레이크 노치를 결정하는 경우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열차 정보 관리 장치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먼저, 도 3 및 도 4를 순차적으로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그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써, 본 실시 형태의 효과를 보다 명확하게 한다.
도 3은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ATC 장치의 차상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ATC 장치(103)는 브레이크 노치를 작성하기 위한 처리부를 병렬로 3개 갖는 3중계를 구성하고 있다. 즉, ATC 장치(103)는 처리부 1계(104), 처리부 2계(105), 및 처리부 3계(106)를 가지고 있고, 각 처리부에는 수전기(受電器; 100)로부터 거리 관련 정보가 입력되고, 차상 유닛(on-train unit; 101)으로부터 열차의 현재 위치의 보정 정보가 입력되고, 속도 검지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열차의 현재 속도(102)가 입력된다.
처리부 1계(104), 처리부 2계(105) 및 처리부 3계(106)에서는 각각 브레이크 노치가 작성되고, 작성된 이들 브레이크 노치는 모두 비교 처리를 행하는 공통부(107)에 입력된다. 공통부(107)에서는 처리부 1계(104), 처리부 2계(105), 처리부 3계(106)가 작성한 3개의 브레이크 노치 중에서 적어도 2개 브레이크 노치의 종류가 일치하는 경우에는 그 일치한 브레이크 노치를 선택하고, 또한 그 종류가 상용 브레이크인 경우에는 고위 우선에 의해 출력하는 브레이크 노치를 결정하고 있다. 공통부(107)가 출력하는 브레이크 노치는 브레이크 제어 장치(108)에 입력되어, 열차의 속도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종래의 ATC 장치(103)에서는 공통부(107)가 고장나면, 브레이크 제어 장치(108)에 브레이크 노치를 출력할 수가 없고, 시스템이 다운된다. 즉, 공통부(107)가 「1중계」이기 때문에, 용장성이 저하되어 신뢰성이 낮아지고 있다.
도 4는 ATC 장치, 자동 열차 정지 장치 및 매뉴얼 브레이크 장치를 병렬시키고, 브레이크 제어 장치에 출력하는 브레이크 노치를 결정하는 경우의 제어 블록도이다. 즉, 도 4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ATC 장치에 더하여, 브레이크 노치를 출력하는 다른 장치인 자동 열차 정지 장치(110)와 매뉴얼 브레이크 장치(114)가 추가된 구성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TC 장치(103)의 구성은 도 3과 동일하고, ATC 장치(103)는 처리부 1계(104), 처리부 2계(105) 및 처리부 3계(106)와, 비교 처리를 행하는 공통부(107)를 가지고 있다. 또, ATC 장치(103)의 각 처리부에는 수전기(100)로부터 거리 관련 정보가 입력되고, 차상 유닛(101)으로부터 열차의 현재 위치의 보정 정보가 입력되고, 속도 검지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열차의 현재 속도(102)가 입력된다.
도 3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처리부 1계(104), 처리부 2계(105) 및 처리부 3계(106)에서 작성된 브레이크 노치가 모두 공통부(107)에 입력되고, 공통부(107)에서 브레이크 노치가 결정된다. 그리고 공통부(107)에서 결정된 브레이크 노치는 다시 상위의 비교 처리를 행하는 공통부(119)에 출력된다.
자동 열차 정지 장치(110)는 처리부 1계(111) 및 처리부 2계(112)와, 비교 처리를 행하는 공통부(113)를 가지고 있다. 또, 자동 열차 정지 장치(110)의 각 처리부에는 차상 유닛(101)으로부터 열차의 현재 위치의 보정 정보가 입력되고, 속도 검지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열차의 현재 속도(102)가 입력된다.
처리부 1계(111) 및 처리부 2계(112)에서는 각각 브레이크 노치가 작성되고, 작성된 이들 브레이크 노치는 모두 공통부(113)에 입력된다. 공통부(113)에서는 처리부 1계(111), 처리부 2계(112)가 작성한 2개의 브레이크 노치에 대해 고위 우선에 의해 출력하는 브레이크 노치를 결정하고 있다. 그리고 공통부(113)에서 결정된 브레이크 노치는 다시 공통부(119)에 출력된다.
매뉴얼 브레이크 장치(114)는 처리부 1계(115) 및 처리부 2계(116)와, 비교 처리를 행하는 공통부(117)를 가지고 있다. 또, 매뉴얼 브레이크 장치(114)의 각 처리부에는 브레이크 핸들로부터 수동 브레이크 지령이 입력된다.
처리부 1계(115) 및 처리부 2계(116)에서 각각 브레이크 노치가 작성되고, 작성된 이들 브레이크 노치는 모두 공통부(117)에 입력된다. 공통부(117)에서는 처리부 1계(115), 처리부 2계(116)가 작성한 2개의 브레이크 노치에 대해 고위 우선에 의해 출력하는 브레이크 노치를 결정하고 있다. 그리고 공통부(117)에서 결정된 브레이크 노치는 다시 공통부(119)에 출력된다.
공통부(119)에서는 ATC 장치(103), 자동 열차 정지 장치(110) 및 매뉴얼 브레이크 장치(114)로부터 각각 출력된 브레이크 노치에 대해 비교 처리를 행하고, 고위 우선에 의해 출력하는 브레이크 노치를 결정하고 있다. 그리고 공통부(119)가 출력하는 브레이크 노치는 브레이크 제어 장치(108)로 입력되어, 열차의 속도 제어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도 4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3개 장치의 더욱 상위의 비교 처리가 필요하게 되어, 상단의 공통부(119)가 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상단의 공통부(119)는 1중계이기 때문에 용장성이 저하되어 신뢰성이 낮아지고 있다. 또, 4개의 공통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공통부의 개수가 많아지고 있고, 그 때문에 공통부의 고장률이 증대하여 유지 보수 부품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실시 형태.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열차 정보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제어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브레이크 노치를 작성하여 출력하는 예를 들어 3개의 장치, 즉, ATC 장치(4)와, 자동 열차 정지 장치(7)와, 매뉴얼 브레이크 장치(10)가 마련되어 있고, 이들 3개의 장치가 작성한 브레이크 노치가 열차 정보 관리 장치(14)에 입력되어 있다. 또한, 열차 정보 관리 장치(14)는 열차의 각 차량에 탑재되어 차량 탑재 기기를 모니터링하고, 차량 정보를 집약하여 열차의 주행을 종합적으로 제어ㆍ관리하는 장치이며, 본 실시 형태는 그 브레이크 제어에 관한 것이다.
ATC 장치(4)는 처리부 1계(5)와 처리부 2계(6)를 가지고, 2중계의 처리부를 구성하고 있다. 처리부 1계(5) 및 처리부 2계(6)에는 각각 수전기(1)로부터 거리 관련 정보가 입력되고, 차상 유닛(2)으로부터 열차의 현재 위치의 보정 정보가 입력되고, 추가로 속도 검지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열차의 현재 속도(3)가 입력된다. 처리부 1계(5)는 수전기(1)로부터의 입력, 차상 유닛(2)으로부터의 입력 및 속도(3)에 기초하여 연산을 행하고 브레이크 노치를 작성하여 출력한다. 동일하게, 처리부 2계(6)는 수전기(1)로부터의 입력, 차상 유닛(2)으로부터의 입력 및 속도(3)에 기초하여 연산을 행하고, 브레이크 노치를 작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ATC 장치(4)의 경우, 브레이크 노치는 예를 들어 1 ~ 8단(段)의 브레이크로 이루어진다.
자동 열차 정지 장치(7)는 처리부 1계(8)와 처리부 2계(9)를 가지고, 2중계의 처리부를 구성하고 있다. 처리부 1계(8) 및 처리부 2계(9)에는 각각, 차상 유닛(2)으로부터 열차의 현재 위치의 보정 정보가 입력되고, 추가로 속도 검지기(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열차의 현재 속도(3)가 입력된다. 처리부 1계(8)는 차상 유닛(2)으로부터의 입력 및 속도(3)에 기초하여 연산을 행하고, 브레이크 노치를 작성하여 출력한다. 동일하게, 처리부 2계(9)는 차상 유닛(2)으로부터의 입력 및 속도(3)에 기초하여 연산을 행하고, 브레이크 노치를 작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자동 열차 정지 장치(7)의 경우, 브레이크 노치는 예를 들어 1 ~ 32단의 브레이크로 이루어진다.
매뉴얼 브레이크 장치(10)는 처리부 1계(11)와 처리부 2계(12)를 가지고 2중계의 처리부를 구성하고 있다. 처리부 1계(11) 및 처리부 2계(12)에는 각각 브레이크 핸들(13)로부터 수동 브레이크 지령이 입력된다. 처리부 1계(11)는 브레이크 핸들(13)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연산을 행하고, 브레이크 노치를 작성하여 출력한다. 처리부 2계(12)는 브레이크 핸들(13)로부터의 입력에 기초하여 연산을 행하고, 브레이크 노치를 작성하여 출력한다. 또한, 매뉴얼 브레이크 장치(10)의 경우, 브레이크 노치는 예를 들어 1 ~ 8단의 브레이크로 이루어진다.
열차 정보 관리 장치(14)는 1계인 비교 처리부(15)와, 2계인 비교 처리부(16)와, 1계-2계 선택부(17)를 가지고, 비교 처리에 대해 2중계가 구성되어 있다.
비교 처리부(15)에는 ATC 장치(4)의 처리부 1계(5) 및 처리부 2계(6)가 각각 작성한 브레이크 노치가 입력되고, 자동 열차 정지 장치(7)의 처리부 1계(8) 및 처리부 2계(9)가 각각 작성한 브레이크 노치가 입력되고, 추가로 매뉴얼 브레이크 장치(10)의 처리부 1계(11) 및 처리부 2계(12)가 각각 작성한 브레이크 노치가 입력된다. 즉, 브레이크 노치를 작성하는 각 장치의 각 처리부 1계 및 각 처리부 2계로부터의 출력이 모두 입력된다. 비교 처리부(16)에 대해서도, 비교 처리부(15)와 동일하고, 브레이크 노치를 작성하는 각 장치의 각 처리부 1계 및 각 처리부 2계로부터의 출력이 모두 입력된다.
비교 처리부(15)에서는 입력되는 6개 브레이크 노치의 크기 비교를 행하고 최대의 브레이크 노치를 선택한다. 즉, 고위 우선 처리를 행한다. 이 때, 브레이크 노치의 단수(段數)가, ATC 장치(4), 자동 열차 정지 장치(7) 및 매뉴얼 브레이크 장치(10)에서 다른 경우에는, 일방으로부터 타방으로 척도(尺度)를 변환하는 등의 브레이크 노치의 바꿔 읽기(translate)를 행하여 비교 처리를 한다. 또, 고위 우선 처리는 열차 정보 관리 장치(14)의 CPU에 의해, 소프트웨어 논리로 실시한다. 이와 같이, 비교 처리부(15)는 소프트웨어에 기초한 CPU의 처리에 의해 실현되고 있다. 비교 처리부(16)도 비교 처리부(15)와는 독립적으로, 비교 처리부(15)와 동일하게 비교 처리를 행한다.
비교 처리부(15)의 출력 및 비교 처리부(16)의 출력은 함께 1계-2계 선택부(17)에 입력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1계가 주계(主系), 2계가 종계(從系)로 위치 매김되며,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계로부터의 출력이 있는 한, 1계-2계 선택부(17)는 항상 비교 처리부(15)의 출력을 선택하고, 그것을 브레이크 제어 장치(18)에 출력하고 있다. 즉, 2계인 비교 처리부(16)는 1계인 비교 처리부(15)의 출력이 없는 경우에 한해, 그 출력이 1계-2계 선택부(17)에서 선택되어 브레이크 제어 장치(18)에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브레이크 제어 장치(18)는 열차 정보 관리 장치(14)가 출력하는 브레이크 노치에 따라서 브레이크 제어를 실시한다. 또, 기기의 고장 등에 의해 열차 정보 관리 장치(14)로부터 출력이 없는 경우에는, 비상 브레이크 수단(19)이 이를 검지하여 브레이크 제어 장치(18)에 비상 브레이크 지령을 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2계가 1계-2계 선택부(17)를 전환한다. 또, 2계가 브레이크 제어 장치(18)로의 출력을 감시하고, 출력이 없는 경우는 별도 계통으로 비상 브레이크 수단(19)에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열차 정보 관리 장치(14)에 있어서 브레이크 노치의 선택 처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열차 정보 관리 장치(14)에 있어서 브레이크 노치의 선택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먼저, 1계-2계 선택부(17)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비교 처리부(15) 또는 비교 처리부(16)에서는 장치 A로부터 입력된 브레이크 노치에 대해 다른 장치로부터 입력된 브레이크 노치와의 비교를 위해, 브레이크 노치의 바꿔 읽기를 행한다(단계 S1). 계속하여, 장치 B로부터 입력된 브레이크 노치에 대해 다른 장치로부터 입력된 브레이크 노치와의 비교를 위해, 브레이크 노치의 바꿔 읽기를 행한다(단계 S2). 또한, 장치 C로부터 입력된 브레이크 노치에 대해 다른 장치로부터 입력된 브레이크 노치와의 비교를 위해, 브레이크 노치의 바꿔 읽기를 행한다(단계 S3). 여기서, 장치 A, B, C는 ATC 장치(4), 자동 열차 정지 장치(7) 및 매뉴얼 브레이크 장치(10)를 순서 없이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단계 S1 ~ S3에서의 브레이크 노치의 바꿔 읽기 결과에 기초하여, 6개 브레이크 노치의 비교를 행한다(단계 S4). 계속하여, 소프트웨어 논리로, 가장 브레이크 힘이 큰 고위의 브레이크 노치를 결정하고, 이를 출력으로서 선택한다(단계 S5).
단계 S6에서, 자신이 1계인지 2계인지를 판정하고, 1계라면 그 출력을 브레이크 제어 장치(18)에 출력한다(단계 S7).
단계 S6에서, 자신이 1계인지 2계인지를 판정하고, 2계라면 1계로부터 출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 S8). 그리고 1계로부터 출력이 있는 경우에는, 1계-2계 선택부(17)의 선택을 2계로부터 1계로 전환한다(단계 S10). 1계로부터 출력이 없는 경우에는, 1계-2계 선택부(17)의 선택을 1계로부터 2계로 전환한다(단계 S9). 2계로 전환한 경우는 브레이크 제어 장치(18)로의 출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단계 S11), 없는 경우는 비상 브레이크 수단(19)을 구동한다(단계 S12).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열차 정보 관리 장치(14)가 1계와 2계를 구비한 2중계이기 때문에, 일방으로부터의 출력이 없는 경우에는 타방의 출력을 사용하면 되고,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1중계의「공통부」에 기초한 구성에 비해, 용장성이 향상하여 신뢰성이 높아진다.
또, 도 1과 동일하게 ATC 장치(4), 자동 열차 정지 장치(7) 및 매뉴얼 브레이크 장치(10)로부터의 브레이크 노치를 처리하는 구성인 도 4에서는 비교 처리를 행하는 공통부가 4개 필요하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비교 처리부(15, 16)의 2개로 되고, 구성이 간소화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 비교 처리부(15, 16)는 소프트웨어 처리로 실현되고, 종래와 같이 계전기 등으로 실현되는 공통부가 필요없게 되며, 그 때문에 유지 보수 부품이 필요없어 비용도 저하한다. 또, 공통부가 필요없게 되고, 고장률도 저하하여 신뢰성도 향상한다.
또, 계전기 등으로 실현되는 공통부가 필요없으므로, 차 중량이 가벼워져 브레이크 힘이 작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비교 처리를 소프트웨어 논리로 행하고 있으므로, 비교 처리가 단순화됨과 아울러 고속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처리 시간은 10 msec 정도로 되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ATC 장치(4), 자동 열차 정지 장치(7) 및 매뉴얼 브레이크 장치(10)의 3개 장치로부터의 브레이크 노치를 열차 정보 관리 장치(14)에서 연산 처리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나, 열차 정보 관리 장치(14)로의 브레이크 노치를 출력하는「브레이크 노치 작성 장치」의 대수(臺數)는 임의 대수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열차 보안 제어 장치 등으로부터 출력된 브레이크 지령 정보의 고위 우선 처리를 행하고, 브레이크 지령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열차 정보 관리 장치로서 유용하다.
1, 100ㆍㆍㆍ수전기
2, 101ㆍㆍㆍ차상 유닛
3, 102ㆍㆍㆍ속도
4, 103ㆍㆍㆍATC 장치
5, 8, 11, 104ㆍㆍㆍ처리부 1계
6, 9, 12, 105ㆍㆍㆍ처리부 2계
7, 110ㆍㆍㆍ자동 열차 정지 장치
10ㆍㆍㆍ매뉴얼 브레이크 장치
13, 118ㆍㆍㆍ브레이크 핸들
14ㆍㆍㆍ열차 정보 관리 장치
17ㆍㆍㆍ1계-2계 선택부
18, 108ㆍㆍㆍ브레이크 제어 장치
19ㆍㆍㆍ비상 브레이크 수단
106ㆍㆍㆍ처리부 3계
107ㆍㆍㆍ공통부(비교 처리)
114ㆍㆍㆍ매뉴얼 브레이크 장치

Claims (2)

  1. 열차의 각 차량에 탑재되어, 차량 탑재 기기를 모니터링하고 차량 정보를 집약하여 열차의 주행을 제어ㆍ관리함과 아울러, 서로 독립적인 제1 및 제2 처리부를 각각 갖는 복수대의 브레이크 노치 작성 장치가 출력하는 복수의 브레이크 노치로부터, 브레이크 노치를 선택하여 브레이크 제어 장치에 출력하는 열차 정보 관리 장치로서,
    상기 각 브레이크 노치 작성 장치가 갖는 상기 제1 및 제2 처리부에서 각각 작성된 브레이크 노치가 입력되고, 입력된 모든 브레이크 노치에 대한 크기의 비교 처리를 소프트웨어 처리에 기초하여 행하고, 최대의 브레이크 힘을 부여하는 브레이크 노치를 결정하여 출력하는 제1 비교 처리부와,
    상기 각 브레이크 노치 작성 장치가 갖는 상기 제1 및 제2 처리부에서 각각 작성된 브레이크 노치가 입력되고, 상기 제1 비교 처리부와는 독립적으로, 입력된 모든 브레이크 노치에 대한 크기의 비교 처리를 소프트웨어 처리에 기초하여 행하고, 최대의 브레이크 힘을 부여하는 브레이크 노치를 결정함과 아울러, 상기 제1 비교 처리부의 출력이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제1 비교 처리부의 출력이 없는 경우에만 상기 결정된 브레이크 노치를 출력하는 제2 비교 처리부와,
    상기 제1 비교 처리부의 출력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2 비교 처리부의 전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비교 처리부로부터의 브레이크 노치를 선택하여 상기 브레이크 제어 장치에 출력하고, 상기 제1 비교 처리부의 출력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2 비교 처리부의 전환 제어에 의해, 상기 제2 비교 처리부로부터의 브레이크 노치를 선택하여 상기 브레이크 제어 장치에 출력하는 처리를 소프트웨어 처리에 기초하여 행하는 선택 전환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비교 처리부는 상기 선택 전환부의 출력을 감시하고, 상기 선택 전환부로부터 상기 브레이크 제어 장치로의 출력이 없는 경우에만, 비상 브레이크 수단에 제어 신호를 출력하여 당해 비상 브레이크 수단으로부터 상기 브레이크 제어 장치에 비상 브레이크 지령을 출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정보 관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대의 브레이크 노치 작성 장치 각각은 자동 열차 제어 장치, 자동 열차 정지 장치 및 매뉴얼 브레이크 장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차 정보 관리 장치.
KR1020107012463A 2007-12-06 2008-12-01 열차 정보 관리 장치 KR1011633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16220 2007-12-06
JPJP-P-2007-316220 2007-12-06
PCT/JP2008/071815 WO2009072473A1 (ja) 2007-12-06 2008-12-01 列車情報管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7361A KR20100087361A (ko) 2010-08-04
KR101163306B1 true KR101163306B1 (ko) 2012-07-05

Family

ID=40717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2463A KR101163306B1 (ko) 2007-12-06 2008-12-01 열차 정보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155810B2 (ko)
EP (1) EP2218608B1 (ko)
JP (1) JP4562804B2 (ko)
KR (1) KR101163306B1 (ko)
CN (1) CN101883696B (ko)
CA (1) CA2708298C (ko)
TW (1) TWI346057B (ko)
WO (1) WO200907247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1211641B2 (en) * 2010-02-08 2014-08-2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Onboard transponder device and method of confirming soundness thereof
JP5254261B2 (ja) * 2010-02-09 2013-08-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上制御装置
CN102789166B (zh) * 2011-05-16 2015-04-08 中国铁路总公司 基于二乘二取二安全冗余系统的安全控制装置及系统
EP2811696A4 (en) * 2012-01-30 2015-03-04 Mitsubishi Electric Corp TRAI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FOR SELECTION OF A TAX SOFTWARE THEREFOR
JP5917933B2 (ja) * 2012-02-13 2016-05-18 日本信号株式会社 車上装置及び車両制御装置
US9469310B2 (en) * 2012-10-18 2016-10-18 Wabtec Holding Corp.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a locomotive
CA2903408A1 (en) * 2013-03-07 2014-09-12 Masaaki Komatsu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US10279823B2 (en) * 2016-08-08 2019-05-07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a vehicle system along a route
US11760320B2 (en) 2020-01-31 2023-09-19 Transportation Ip Holdings, Llc Brake control system
CN111003024B (zh) * 2020-03-06 2020-07-31 北京全路通信信号研究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热备车载设备的列车接口数据的处理方法
CN111634276A (zh) * 2020-06-12 2020-09-08 中车大连机车车辆有限公司 一种城轨地铁车辆、冗余制动系统和控制方法
KR20220022037A (ko) * 2020-08-14 2022-02-2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 변속기 차량의 원격 시동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7316A (ja) * 1999-11-24 2001-06-08 West Japan Railway Co 自動列車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15804A (en) * 1974-05-15 1977-04-05 International Standard Electric Corporation System for the demand-dependent control of guided vehicles
IT1192338B (it) * 1978-12-21 1988-03-31 Wabco Westinghouse Spa Dispositivo di controllo della velocita per motrici ferroviarie
JPH0626443B2 (ja) * 1984-10-03 1994-04-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走行体の高精度定位置停止制御装置
JPS61114303A (ja) * 1984-11-07 1986-06-02 Mitsubishi Electric Corp 信号選択器
JPS6488802A (en) * 1987-09-30 1989-04-03 Toshiba Electric Equip Load controller
US5833325A (en) * 1996-02-06 1998-11-10 Westinghouse Air Brake Company Freight brake control using train net braking ratio
US6079795A (en) * 1998-06-08 2000-06-27 Westinghouse Air Brake Technologies Corporation Load proportional brake cylinder pressure limiting system
US6050650A (en) * 1998-07-09 2000-04-18 Westinghouse Air Brake Company Application solenoid valve for electronically controlled freight train brake system
JP4374559B2 (ja) * 2000-03-30 2009-12-02 西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自動列車制御装置
JP3814164B2 (ja) * 2000-06-28 2006-08-23 ウエスチングハウス・エヤー・ブレーキ・テクノロジーズ・コーポレイション 鉄道車両用の段階解除弁及びブレーキ圧力の段階解除を行うために鉄道車両のブレーキを制御する方法
JP2004224151A (ja) * 2003-01-22 2004-08-12 Nippon Signal Co Ltd:The 車両制御装置、及び、車両制御装置用地上装置
JP3944121B2 (ja) * 2003-06-05 2007-07-11 株式会社東芝 車両速度制御システム
AU2007307920B2 (en) * 2006-10-06 2012-01-19 New York Air Brake Llc Human machine interface for speed and location control with braking distance display
US8112191B2 (en) * 2007-04-25 2012-02-07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he effectiveness of a brake function in a powered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7316A (ja) * 1999-11-24 2001-06-08 West Japan Railway Co 自動列車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62804B2 (ja) 2010-10-13
TW200930589A (en) 2009-07-16
CN101883696B (zh) 2013-09-11
EP2218608A1 (en) 2010-08-18
CN101883696A (zh) 2010-11-10
TWI346057B (en) 2011-08-01
KR20100087361A (ko) 2010-08-04
WO2009072473A9 (ja) 2010-03-04
CA2708298A1 (en) 2009-06-11
CA2708298C (en) 2012-10-09
EP2218608A4 (en) 2013-12-04
JPWO2009072473A1 (ja) 2011-04-21
US8155810B2 (en) 2012-04-10
WO2009072473A1 (ja) 2009-06-11
EP2218608B1 (en) 2019-03-20
US20100280683A1 (en) 201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306B1 (ko) 열차 정보 관리 장치
US6619437B2 (en) Elevator group control apparatus
US20150225003A1 (en) Control of a rail vehicle
CN101873985A (zh) 电梯系统
EP37716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dynamic train control
US20140088802A1 (en) Railway train control system having multipurpose display
CN112622985B (zh) 轨道车辆救援限速方法、系统及occ
US20170253257A1 (en) Rail vehicle having an event-controlled driver's cab display device
US6250590B1 (en) Mobile train steering
JP2009215046A (ja) エレベータの終端階強制減速装置
CN112092866B (zh) 紧急状态下列车控制方法及系统、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3635911A (zh) 车辆控制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自动驾驶车辆
JP3820322B2 (ja) 設備分散型電子連動装置
KR102074147B1 (ko) 철도차량의 제동지령 전달 및 추종방법
CN112537310A (zh) 用于安全求取基础设施数据的方法、设备、基础设施和存储介质
WO2023082975A1 (zh) 一种机车司机控制器及其控制方法
CN112158237B (zh) 集成tcms和ato功能的深度融合系统和列车
JP5701197B2 (ja) 列車情報管理装置及び列車情報管理方法
JP2011010515A (ja) 電気車の無線保安用制御装置
JP5113398B2 (ja) 自動列車制御装置
JP2009142083A (ja) 列車制御装置
AU2009251095B2 (en) Method of Administering Possession of a Consist in an Automatic Train Operation System
CN114750803B (zh) 轨道交通车辆运行过程中的方向控制系统、方法及车辆
JP6818642B2 (ja) マルチカーエレベーター
CN116591947B (zh) 空气压缩机控制方法及轨道车辆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