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829B1 - 변기 시트 장치 - Google Patents

변기 시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829B1
KR101162829B1 KR1020090113166A KR20090113166A KR101162829B1 KR 101162829 B1 KR101162829 B1 KR 101162829B1 KR 1020090113166 A KR1020090113166 A KR 1020090113166A KR 20090113166 A KR20090113166 A KR 20090113166A KR 101162829 B1 KR101162829 B1 KR 101162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toilet seat
metal thin
layer
induction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9700A (ko
Inventor
히로카즈 이자와
시게루 아라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299426A external-priority patent/JP51595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9125252A external-priority patent/JP542623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도시바 홈 어플라이언스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바 콘슈머 일렉트로닉스?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100059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9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5Seats with hea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9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seat war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 시트를 소정 온도로 승온시키는 데에 필요한 시간을 한층 단축할 수 있고, 전력 절감화를 도모할 수 있는 변기 시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변기 시트 본체(7)의 착좌부(17)에 니켈 박막으로 이루어진 제 1 층(18a)과 구리박막으로 이루어진 제 2 층(18b)으로 구성되는 금속 박막(9)을 설치하고, 변기 시트(5)의 내부에는 유도 가열 코일(8)을 설치하며, 유도 가열 코일(8)에 교류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금속 박막(9)을 유도 가열하여 변기 시트(5)를 소정 온도까지 승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기 시트 장치{TOILET SEAT DEVICE}
본 발명은 변기 시트를 난방하는 기능을 구비한 변기 시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기 시트를 난방하는 기능을 구비한 변기 시트 장치는 변기 시트 이면에 코드 히터를 설치하여 변기 시트를 상시(常時) 따뜻하게 하는 것, 또는 변기 시트 이면에 할로겐 히터 등 대출력의 히터를 설치하여 변기 시트 사용시에만 순식간에 승온하는 것 등이 있다.
상기 코드 히터를 사용하는 변기 시트 장치는 약 50W 정도의 히터를 사용하여 변기 시트를 상시 소정 온도로 유지하므로, 항상 전력 공급할 필요가 있어 불필요한 전력을 소비한다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또한, 상기 할로겐 히터를 사용하는 변기 시트 장치는 약 1000W 정도의 히터를 사용하므로, 변기 시트 사용시에 순식간에 난방하는 것이 가능해져 변기 시트 사용시에만 전력 공급을 하면 되어 소비 전력량은 감소시킬 수 있지만, 순식간에 대전력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과제를 갖고 있었다.
상기 과제를 해소하는 변기 시트 장치로서, 변기 시트에서의 사용자의 둔부 가 접촉되는 범위에 발열체를 설치하고, 상기 발열체를 유도 가열 코일을 사용하여 유도 가열하는 난방 변기 시트가 알려져 있고, 상기 발열체는 철이나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으로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23880호).
또한, 변기 시트 본체의 상면에 알루미늄박을 갖는 표면층을 설치하고 또한 유도 가열 코일을 사용하여 상기 표면층을 유도 가열하는 형태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8859호). 상기 난방 변기 시트는 변기 시트 본체의 온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온도 센서의 검출 온도에 기초하여 유도 가열 코일로의 통전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알루미늄박은 얇을수록 열용량이 작은 점에서, 상기 코드 히터나 할로겐 히터를 사용하는 경우보다도 유도 가열 코일에 공급하는 전력을 억제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23880호에 개시된 것은 상기 변기 시트를 소정 온도로 승온시키는 데에 시간이 걸리고, 그만큼 유도 가열 코일에 공급하는 전력도 많이 필요했다.
또한, 상기의 변기 시트 본체는 통상 비교적 열 전도율이 낮은 합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8859호에 개시된 것에서는 온도 센서가 변기 시트 본체의 이면측에 배치되므로, 사용자의 둔부가 접촉되는 변기 시트 본체 표면층의 정확한 온도 검출이 곤란해진다.
또한, 상기 온도 검출이 정확하게 실시되고 있지 않으면 정확한 온도 제어를 실시할 수 없는 점에서, 사용자가 변기 시트 본체를 사용(착좌)할 때에 차가운 느낌이 있거나 또는 저온 화상 등의 우려가 있다.
그리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1-8859호의 난방 변기 시트에서는 유도 가열 코일을 사용하고 있고, 또한 사용자와 직접 접촉하는 변기 시트 본체 표면층에 금속을 설치하고 있으므로, 변기 시트 본체에서의 감전의 가능성을 확실하게 방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정확한 온도 검출, 또는 감전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 변기 시트 본체의 표면에 상기 온도 센서, 또는 전기적으로 접지하기 위한 접지선을 설치하는 것도 생각된다.
그러나, 변기 시트 본체의 상면에 이들 센서나 접지선 등의 부재를 설치하면, 변기 시트 본체의 외관을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상기 상면에서의 각 부재의 울퉁불퉁함이 사용자의 착좌시의 사용감을 손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변기 시트에 구비된 발열체의 열용량을 작게 하고, 변기 시트를 소정 온도로 상승시키는데에 필요한 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고, 한층 더한 전력 절감화를 도모할 수 있는 변기 시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변기 시트 본체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또한 착좌시의 사용감을 손상시키지 않는 변기 시트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변기 시트 장치는 변기 시트 본체의 착좌부에 설치된 금속 박막과, 상기 금속 박막을 유도 가열하는 유도 가열 코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변기 시트 장치는 변기 시트 본체의 착좌부의 표면측 및 이면측에 설치된 금속 박막과, 상기 금속 박막을 유도 가열하는 유도 가열 코일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변기 시트 본체의 착좌부에 유도 가열되는 금속 박막을 구비함으로써 발열체는 막 형상으로 얇아져 그 열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변기 시트를 단시간에 소정 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고, 그만큼 유도 가열 코일에 공급하는 전력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져 전력 절감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유도 가열 코일에 의해 금속 박막을 유도 가열하는 것으로, 착좌부 이면측에 상기 이면측의 금속 박막에 대해서 센서나 접지선 등의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이들 부재를 노출시키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착좌부의 표면(겉면)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사용자가 착좌부에 앉았을 때 위화감이 없는 변기 시트 본체의 구성을 얻을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좋은 형태)
(제 1 실시 형태)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변기 시트 장치(1)를 도 1 내지 도 4를 사용하여 설 명한다. 도 4는 변기 시트 장치(1)의 전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2)의 상면에는 변기 시트 장치(1)의 케이스(3)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케이스(3)는 사용자의 항문과 국부의 각각을 세정하기 위한 세정수가 일시적으로 저류되는 탱크 및 온수 탱크로서 기능하는 것이고, 케이스(3)의 측부에는 컨트롤 패널(4)이 설치되어 있다.
컨트롤 패널(4)에는 복수의 조작 스위치로 이루어진 스위치군(4a)(세정 스위치, 비데 스위치, 정지 스위치, 수온 스위치, 분출압 스위치 및 변기 시트 난방 스위치)가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각 스위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주체로 구성된 제어 회로(4b)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회로(4b)는 스위치군(4a)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변기 시트 장치(1)의 제어 전반을 담당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케이스(3)에는 덮개(10)가 변기 시트(5)와 공통의 수평인 축(6)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착좌부가 되는 변기 시트(5)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하는, 도 1에 도시한 상부 부재(5a)와 하부 부재(5b)로 이루어진 2분할형의 변기 시트 본체(7), 유도 가열 코일(8) 및 금속 박막(9)을 구비한다. 변기 시트(5)는 변기(2)의 상면에 접촉되는 수평 위치에 있는 착좌 위치와, 변기(2)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간된 비착좌 위치의 사이에서 축(6)을 중심으로 회동 조작되는 것이고, 도 4는 변기 시트(5)의 사용 가능한 착좌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케이스(3)는 호스(11)를 통하여 분기 마개(12)에 접속되어 있다. 분기 마개(12)는 1개의 입력 포트와 2개의 출력 포트를 구비하는 것으로, 호스(11)는 분기 마개(12)의 일방의 출력 포트에 접속되고 타방의 출력 포트는 호스(13)를 통하여 변기 탱크(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어 있다. 분기 마개(12)의 입력 포트는 수도관에 접속되어 있다. 변기(2) 내의 오물을 세정하기 위해 세정수는 일시적으로 상기 변기 탱크에 저류된다.
케이스(3)에는 외부 노즐(14)이 전후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외부 노즐(14)에는 중공 형상의 비데용 노즐(15)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3)의 전면부에는 좌우 방향의 중간부에 위치하여 사람 감지 센서(16a)가 배치되고 또한 좌측 상단부에 위치하여 사람 감지 센서(16b)가 배치되어 있다.
일방의 사람 감지 센서(16a)는 변기 시트(5)의 약간 상방에 검출 영역을 갖는 적외선 센서로 이루어진 것이고, 사용자가 변기 시트(5)에 둔부를 얹음으로써 사용자의 존재 즉, 착좌를 검출하여 사람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타방의 사람 감지 센서(16b)는 변기 시트 장치(1)의 전방 약 0.5m~1m 정도에 검출 영역을 갖는 적외선 센서로 이루어진 것으로, 사용자가 변기 시트 장치(1)에 접근함으로써 사용자의 존재를 검출하여 사람 감지 신호를 출력한다.
사람 감지 센서(16a, 16b)는 제어 회로(4b)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 회로(4b)는 사람 감지 센서(16a)로부터의 사람 감지 신호의 유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변기 시트(5)에 둔부를 얹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또한 사람 감지 센서(16b)로부터의 사람 감지 신호의 유무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변기 시트 장치(1)를 사용하고자 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변기 시트(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덮개(10)를 사용 위치에 회동하여 둔부를 얹는 것이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 시트(5)를 구성하는 변기 시트 본체(7)는 상부 부재(5a)와 하부 부재(5b)로 이루어지고, 합성 수지를 재료로 하여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합성 수지는 예를 들어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 합성 수지) 또는 PP(폴리프로필렌) 등 여러 가지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변기 시트(5)는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할되는 구성이면 좋고 그 분할수나 형상, 또는 재료에 대해 적절하게 변경해도 좋다. 또한, 변기 시트(5)의 전체 형상도 도시한 약 「O」자 형상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U」자 형상으로 형성하는 등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변기 시트(5)의 중공 내부에서 상부 부재(5a)의 이면에는 변기 시트(5)의 중앙 개구부(5c)(도 2, 도 4 참조)의 외주를 감도록 유도 가열 코일(8)이 환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유도 가열 코일(8)은 리츠와이어(Litz wire) 등 손실이 적은 구리선으로 구성된다. 케이스(3)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인버터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인버터는 제어 회로(4b)의 지령에 기초하여 유도 가열 코일(8)에 교류 전류를 공급한다.
변기 시트(5)의 사용자의 둔부가 얹히는 부분[변기 시트 본체(7)의 착좌부(17)] 표면에는 중앙 개구부(5c)를 둘러싸도록 금속 박막(9)이 환형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박막(9)은 상층의 제 1 층(18a)과 하층의 제 2 층(18b)으로 이루어지고, 제 1 층(18a)은 자성을 갖는 재료인 니켈 박막, 제 2 층(18b)은 열전도성 및 도전율이 높은 구리 박막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 2 층(18b)의 구리 박막에는 접지선(19)이 접속되어 있다.
금속 박막(9)의 표면에는 보호층(20)을 형성하고 있다. 보호층(20)은 전기 저항이 높은 절연 재료, 예를 들어 아크릴계 또는 멜라민계 등의 합성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변기 시트(5)의 표면에 형성하는 금속 박막(9) 및 보호층(20)의 형성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금속 박막(9)에서 제 2 층(18b)의 구리 박막은 합성 수지제의 상부 부재(5a)의 표면에 무전해 구리 도금에 의해 형성하고, 그 후 상기 제 2 층(18b)의 표면에 제 1 층(18a)의 니켈 박막을 전해 니켈 도금에 의해 형성한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막두께가 수 ㎛~수십 ㎛의 금속 박막(9)이 형성된다.
다음에 보호층(20)에 대해서는 수계 도료 중에 피처리물인 금속 박막(9)을 설치한 변기 시트 본체(7)를 침지하고, 피처리물을 음극(-)으로 하고 양극(+)을 수계 도료로 하며, 이 사이에 직류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써 전기적인 힘에 의해 수계 도료의 미립자가 피처리물에 끌어 당겨져 피처리물의 표면에 도료의 막을 전착 형성하고, 그 후 소성 처리를 실시하여 도료의 막을 경화시켜 보호층(20)을 형성한다. 이 형성 방법에서는 보호층(20)의 막 두께는 수십 ㎛ 정도가 된다.
또한, 보호층(20)에 대해서는 자외선 경화형 도료를 금속 박막(9)을 설치한 변기 시트 본체(7)에 도포하고, 이 자외선 경화형 도료에 자외선을 조사하고 경화시켜 금속 박막(9)의 표면에 정착시키는 방법도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한 보호 층(20)의 막두께는 수 ㎛정도이다. 이 방법으로 형성되는 보호층(20)은 투명막이므로 초벌 도포이고 디자인용 칼라 도장(아크릴계 락카 등)도 필요해지는 경우가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변기 시트 장치(1)의 동작 및 작용에 대해서 상술한다.
사람 감지 센서(16b)는 사용자를 검출하면 사람 감지 신호를 제어 회로(4b)로 출력한다. 제어 회로(4b)는 상기 사람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인버터에 의해 유도 가열 코일(8)에 교류 전류를 예를 들어 5초간 공급하고, 후술한 바와 같이 하여 변기 시트(5)를 약 34℃~40℃ 정도까지 승온시킨다. 이 5초간이라는 것은 사람 감지 센서(16b)가 사용자를 검출하고 나서 상기 사용자가 변기 시트(5)에 앉기 까지의 시간을 상정(想定)하고 있다.
유도 가열 코일(8)에 20㎑~80㎑ 정도의 예를 들어 35㎑의 교류 전류를 흘리면, 유도 가열 코일(8)의 둘레에 방향 및 강도가 변화되는 자력선이 발생한다. 금속 박막(9)의 제 1 층(18a)의 니켈 박막은 상기 변화되는 자력선의 영향을 받고, 와전류가 자성을 갖는 니켈 박막에 흐른다. 니켈 박막에는 전기 저항이 있으므로, 니켈 박막에 전류가 흐르면 [전력]=[전류]2×[저항 성분]의 줄 열이 발생하여 니켈 박막이 유도 가열에 의해 가열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변기 시트 장치(1)는 변기 시트(5)의 착좌부(17)에 금속 박막(9)을 설치하고, 금속 박막(9)을 유도 가열하는 유도 가열 코일(8)을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발열체로서의 금속 박막(9)은 막두께가 얇으 므로, 금속 박막(9)의 열용량을 낮게 할 수 있고, 변기 시트(5)를 가열하는데에 필요한 에너지를 억제할 수 있어 에너지 절감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변기 시트(5)를 빠르게 소정 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변기 시트(5)에 앉기 전에 금속 박막(9)의 유도 가열을 마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에게 자력선에 의한 영향을 줄 가능성도 없다.
또한, 변기 시트 본체(7)는 합성 수지로 할 수 있다. 합성 수지는 열전도성이 낮으므로, 변기 시트(5) 사용시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유도 가열을 정지해도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일은 없고 에너지 절감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금속 박막(9)은 도금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 ㎛~수십 ㎛의 박막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열용량을 보다 낮게 억제할 수 있고, 변기 시트(5)를 가열하는데에 필요한 에너지를 더욱 억제할 수 있어 에너지 절감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 층(18a)의 형성에 있어서는 전해 니켈 도금의 제법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구리 박막을 전해 도금 전극의 음극(-)으로서 이용할 수 있고, 상기 구리의 표면에 니켈 박막을 용이하게 석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2 층(18b)의 형성에 있어, 무전해 구리 도금의 제법을 사용함으로써 통전에 관계없이 합성 수지제의 착좌부에 구리 박막을 석출할 수 있고, 합성 수지로 만들어진 변기 시트 본체(7)의 표면에 용이하게 구리 박막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금속 박막(9)의 제 1 층(18a)의 니켈은 강자성체이므로 효율 좋게 유도 가열되고, 용이하게 금속 박막(9)을 소정 온도까지 상승시킬 수 있어 에너지 절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금속 박막(9)에서 제 1 층(18a)의 니켈 박막으로부터 발열한 열이 제 2 층(18b)의 구리 박막에 전달된다. 제 2 층(18b)의 구리 박막은 제 1 층(18a)의 니켈 박막보다 열전도율이 높고, 온도가 균등해지도록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니켈 박막의 발열된 열이 금속 박막(9) 전체에 빠르게 전달되고, 변기 시트(5)의 착좌부(17)를 균등하게 승온시킬 수 있다.
제 2 층(18b)의 구리 박막에는 접지선(19)이 접속되어 있고 구리는 니켈보다도 도전율이 높으므로, 유도 가열 코일(8)의 피복 파손 등의 전기적 고장이 변기 시트(5) 내부에서 일어나도 누전된 전류를 접지선(19)에 흐르게 하기 쉬워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금속 박막(9)의 표면에는 전기 저항이 높은 절연재료의 보호층(20)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변기 시트(5)의 내부에서 누전 등의 전기적 고장이 일어나도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일이 없어 안전을 확보할 수 있으며, 또한 금속 박막(9)을 보호하여 변기 시트(5)의 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대해 주로 도 5,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변기 시트(5)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6은 도 5에서의 B-B선 확대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구성은 변기 시트(5)의 내부에 설치되는 유도 가열 코일(21)의 구성을 제외하고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유도 가열 코일(21)은 동일한 권회 방향의 소직경 유도 가열 코일(22)을 직렬로 복수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15개) 접속함으로써 구성된다. 유도 가열 코일(21)은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리츠 와이어 등 손실이 작은 구리선으로 구성된다.
변기 시트(5)의 중공 내부에서 상부 부재(5a)의 이면에, 변기 시트(5)의 중앙 개구부(5c)의 외주에 소직경 유도 가열 코일(22)을 등간격으로 배치하여 유도 가열 코일(21)을 구성 배치한다. 케이스(3)의 내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인버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인버터는 제어 회로(4b)의 지령에 기초하여 유도 가열 코일(21)에 교류 전류를 공급한다.
변기 시트(5) 표면의 사용자의 둔부가 접촉되는 부분 변기 시트 본체(7)의 착좌부(17)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박막(9)이 설치되고,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금속 박막(9)은 유도 가열 코일(21)에 의해 유도 가열된다. 이에 의해, 변기 시트(5)는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소정 온도까지 상승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변기 시트 장치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소직경 유도 가열 코일(22)은 내측 개구부(23)를 포함하는 그 표면 전체가 금속 박막(9)으로 덮여져 있으므로, 소직경 유도 가열 코일(22)이 발생하는 자력선은 효율 좋게 금속 박막(9)을 관통하게 되고, 보다 효율적으로 유도 가열을 금속 박막(9)에 발생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용이하게 변기 시트(5)를 소정 온도까지 상승시킬 수 있고 한층 더 에너지 절감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하고 또한 도면에 기재한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와 같은 변형 또는 확장이 가능하다.
즉,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금속 박막(9)의 제 1 층(18a)에 니켈 박막을 사용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산화 크롬 등의 자성을 갖는 금속이면 좋다.
또한, 금속 박막(9)의 제 2 층(18b)에 구리 박막을 사용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금 등의 열전도성 및 도전율이 좋은 금속이면 좋다.
보호층(20)으로서 아크릴계 또는 멜라민계 등의 합성 수지 재료를 사용했지만 에폭시 수지 등의 절연성이 높은 합성 수지이어도 좋다.
또한, 제 1 층(18a)을 전해 니켈 도금에 의해 형성했지만, 무전해 니켈 도금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또한, 사람 감지 센서(16a, 16b)로서 적외선 센서를 사용했지만 초음파 반사형 센서이어도 좋다.
사람 감지 센서(16a)에 적외선 센서를 사용했지만 사용자가 변기 시트에 앉음으로써 온하는 기계적 스위치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유도 가열 코일(8, 21)은 변기 시트 본체(7)의 상부 부재(5a)의 이면에 설치되어 있는 예를 도시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덮개(10)측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변기 시트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방의 넓이에 따라서 사람 감지 센서(16b)의 검지 영역 및 유도 가열 코일(8,21)에 교류 전류를 공급하는 시간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3 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에 대해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렇게 하여, 금속 박막(31, 32)이 설치된 상부 부재(5a)를 피처리물로 하여 수계 도료 중에 침지하고, 또한 상기 피처리물을 음극(-), 수계 도료를 양극(+)으로 하고 이 사이에 직류 전류를 흘린다. 이에 의해, 수계 도료의 미립자가 피처리물에 끌어 당겨짐으로써 제 1 층(31a)의 상면에 도료의 막이 전착 형성된다. 그 후, 소성 처리를 실시하여 상기 막을 경화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수십 ㎛ 정도의 막두께가 되는 보호층(20)을 형성한다.
또한, 도 8은 표면측 금속 박막(31)의 상면측에만 보호층(20)을 형성한 상부 부재(5a)의 확대 단면도를 모식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 1 층(31a) 및 제 2 층(31b) 및 보호층(20)은 마스킹 등에 의해 변기 시트(5)[상부 부재(5a)]의 원하는 부위에 형성함으로써 각각의 형성 범위를 적절하게 변경해도 좋다.
또한, 보호층(20)의 형성 방법으로서 자외선 경화형 도료를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금속 박막(31, 32)이 설치된 상부 부재(5a)에 대해서 자외선 경화형 도료를 도포한 후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당해 자외선 경화형 도료를 경화시킴으로써, 제 1 층(31a)의 상면에 예를 들어 막두께를 수 ㎛ 정도로 하는 투명한 보호층(20)을 정착시킬 수 있다.
상기 보호층(20)에 있어서는 투명한 박막인 점에서, 디자인용 칼라 도장(아크릴계 락카 등)에 의한 초벌 도포를 적절하게 실시함으로써, 변기 시트(5)의 외관 디자인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부재(5a)의 기단부가 되는 피지지부측에는 그 이면측의 금속 박막(32)에, 금속박막(31, 32)을 전기적으로 접지하기 위한 접지선(19)(접지 수단)이 접속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부 부재(5a)를 좌우로 2분하는 중심선(L) 상에서 상부 부재(5a)의 폭방향[중심선(L) 방향]의 중앙부(P1)에 위치하고, 금속 박막(32)에 접지선(19)이 납땜되어 있다.
이 경우, 접지선(19)은 땜납 젖음성이 우수한 니켈 박막으로 이루어진 제 1 층(31a)측(이면측)으로부터 납땜됨으로써 양호한 접속 상태가 얻어지고 있다. 또한, 접지선(19)은 제 2 층(31b)에 대해서 접촉되어 전기적 도통 상태가 확보되도록 접속되어 있고, 상부 부재(5a)의 표리 양면에 걸쳐 충분한 접지 효과가 얻어지고 있다. 상기 접지선(19)은 변기 시트(5)의 후방으로부터 케이스(3)를 통하여 외부에 인출되고 있다.
그리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부재(5a)의 이면측의 금속 박막(32)에는 상기 이면측의 금속 박막(32)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소자(25)가 설치되어 있다. 온도 검출 소자(25)는 예를 들어 서미스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상 절연 재료(34)의 폭방향(도 7 중,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된 중앙 구멍(34a)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온도 검출 소자(25)는 금속 박막(32)과 유도 가열 코일(33) 사이 에서 상부 부재(5a)의 폭방향 중앙부에서, 금속 박막(32)에 직접 밀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온도 검출 소자(25)에 의해 상부 부재(5a)의 표면 온도가 정확하게 검출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9는 변기 시트 장치(1)의 제어계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고, 특히 유도 가열 코일(33)의 제어에 관한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제어 장치(4b)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주체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군(4a), 사람 감지 센서(16a, 16b), 온도 검출소자(25)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4b)는 입력된 각종의 신호나 미리 기억한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유도 가열 코일(33)을 구동 회로(27)를 통하여 제어한다. 이 경우, 유도 가열 코일(33)에는 케이스(3)의 내부에 설치된 인버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제어 장치(4b)의 지령에 기초하는 교류 전원이 공급된다.
제어 장치(4b)는 사람 감지 센서(16b)로부터의 검출 신호인 사람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변기 시트 장치(1)를 사용하고자 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또한 사람 감지 센서(16a)로부터의 사람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변기 시트(5)에 둔부를 얹었는지의 여부(착좌의 유무)를 판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 장치(4b)는 사람 감지 센서(16b)에 의해 사용자의 변기 시트 장치(1)의 사용을 미리 검출하고, 상기 인버터에 의해 유도 가열 코일(33)에 교류 전류를 공급하면, 니켈 박막이 비교적 저항율이 높은 점에서, 유도 가열 코일(33)에 대한 교류 전류의 공급으로 발생하는 자력선에 의해 금속 박막(31, 32)의 제 1 층(31a)에 와전류가 발생하고, 공급 시간에 대응한 열량으로 상부 부재(5a)를 유도 가열에 의해 34℃~40℃ 정도까지의 온도로 승온시킨다.
여기에서, 유도 가열 코일(33)은 상부 부재(5a)의 바로 근방에 배치되는 점에서, 그 표면측과 이면측의 금속 박막(31, 32)에 대한 양호한 가열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유도 가열 코일(33)과 이면측 금속 박막(32) 사이에 금속 박막(32)의 온도를 직접 검출하는 온도 검출 소자(25)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착좌부의 상부 부재(5a) 표층부의 정확한 온도 검출이 실시된다.
또한, 제어 장치(4b)는 온도 검출 소자(25)의 검출값에 기초하여 변기 시트(5)의 착좌부의 온도[즉 금속 박막(31, 32)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 범위가 되도록 유도 가열 코일(33)을 제어한다.
따라서, 유도 가열시, 온도 검출 소자(25)의 정확한 온도 검출에 기초하여 제어 장치(4b)에 의해 정확한 온도 제어가 가능해지므로, 착좌부의 표층부에서 원하는 온도가 얻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변기 시트 장치(1)는 변기 시트(5)의 착좌부인 상부 부재(5a)의 표면측과 이면측에 금속 박막(31, 32)을 설치하고, 금속 박막(31, 32)을 유도 가열하는 유도 가열 코일(33)을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착좌부의 이면측 금속 박막(32)에 대해서 온도 검출 소자(25)나 접지선(19) 등의 부재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착좌부의 표면(겉면)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사용자가 착좌부에 앉았을 때 위화감이 없는 변기 시트(5)의 구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발열체를 금속 박막(31, 32)으로 하고 막 형상으로 얇게 구성함으로써 그 열용량을 작게 할 수 있어, 착좌부를 가열하는 데에 필요한 에너지를 억제하여 에너지 절감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착좌부를 빠르게 소정 온도로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앉기전에 금속 박막(31)의 유도 가열을 마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자력선에 의한 건강 피해를 줄 가능성도 없다.
금속 박막(31, 32)을 착좌부인 상부 부재(5a)의 표리 양면에 걸쳐 연결되도록 형성했다. 이에 의하면, 표면측 금속 박막(31)과 이면측 금속 박막(32)에서 서로 열적, 또는 전기적인 접속 상태 등을 얻을 수 있어 착좌부의 온도 특성, 전기적 특성 등에 대해서 표면측과 이면측 사이에서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착좌부의 이면측에, 상기 이면측의 금속 박막(32)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소자(25)를 설치했다. 이에 의하면, 온도 검출 소자(25)를, 변기 시트(5)에 대해서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또한 사용자의 착좌시의 사용감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배치할 수 있고 또한 금속 박막(32)의 온도를 직접 검출할 수 있으며, 착좌부의 표층부에서의 정확한 온도 검출을 실시할 수 있다.
온도 검출 소자(25)를 금속 박막(31, 32)과 유도 가열 코일(33) 사이에 배치했다. 이에 의해, 착좌부의 표리의 금속 박막(31, 32)은 모두 양호한 가열 효과가 얻어진다.
엄밀하게는 금속 박막(31, 32)에서의 유도 가열 코일(33) 근처의 부분이 다른 부분에 비해 온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면 착좌 부에서 온도가 높아지는 부분을 정밀도 좋게 온도 검출할 수 있다.
금속 박막(31, 32)을 전기적으로 접지하기 위한 접지 수단으로서 접지선(19)을 구비하고, 착좌부의 이면측에서 상기 이면측의 금속 박막(32)에 접지선(19)을 접속했다. 이에 의하면, 접지선(19)을 변기 시트(5)에 대해서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또한 사용자의 착좌시의 사용감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변기 시트(5)에서의 감전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금속 박막(31, 32)에 있어서는 두께가 얇고 특히 제 1 층(31a)에 있어서는 유도 가열에 제공되는 저항체를 이루는 것이다. 이 점, 본 실시예에서는 착좌부를 좌우로 2분하는 중심선(L)상에서 금속 박막(32)에 접지선(19)을 접속했으므로, 금속 박막(32)에서의 접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에 의하면 금속 박막(32)으로부터 접지선(19)으로 충분한 접지 전류를 흐르게 할 수 있는 전기적으로 균형을 이룬 접지선(19)의 접속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가령 시간 경과에 따른 열화 등에 의해 유도 가열 코일(33)의 피복 파손 등의 전기적 고장이 변기 시트(5) 내부에서 일어나도 누전된 전류를 접지선(24)에 흐르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지선(19)을 착좌부에서의 기단부측의 폭방향 중앙부(P1)에 접속했지만, 선단부(전방부)측의 폭방향 중앙부(P2)(도 2 참조)에 접속해도 좋다.
변기 시트(5)는 그 후부를 기단부로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접지선(19)은 착좌부에서의 상기 기단부측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의하면 변기 시트(5)에서 의 접지선(19)의 길이(배선 길이)를 가급적 짧게 할 수 있고 또한 접지선(19)을 변기 시트(5)의 기단부측으로부터 인출하여 낭비없는 배선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접지선(19)은 젖음성이 우수한 니켈 박막으로 이루어진 제 1 층(31a)측(이면측)으로부터 납땜되어 있으므로, 금속 박막(32)에 대한 양호한 접속 상태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접지선(19)은 비교적 도전율이 높은 구리 박막으로 이루어진 제 2 층(31b)에 대해서 전기적 도통 상태가 확보되도록 접속되어 있으므로, 착좌부의 표리에서 충분한 접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금속 박막(31)의 표면에 전기 저항이 높은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 보호층(20)을 형성했으므로, 가령 누전된 경우에도 전류를 접지선(19)에 흐르게 하기 쉽고 또한 사용자에게 전달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착좌부의 이면측의 금속 박막(32)과 유도 가열 코일(33) 사이에 시트 형상 절연 재료(34)를 배치했다. 이에 의하면, 시트 형상 절연 재료(34)에 의해 금속 박막(32)과 유도 가열 코일(33) 사이에서 전기적 절연 상태를 얻을 수 있고, 변기 시트(5)에서의 감전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시트 형상 절연 재료(34)를 사용했으므로 금속 박막(32)과 유도 가열 코일(33) 사이를 절연하면서, 금속 박막(31, 32)에 대해서 유도 가열 코일(33)을 근접 배치하여 가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변기 시트(5)는 적어도 2개의 분할체로 이루어지고 이들 분할체 중 하나를 상기 착좌부[상부 부재(5a)]로서 구성했다. 이에 의하면 변기 시트(5)에서 착좌부만 구별하여 금속 박막(31, 32)을 성막할 수 있고 또한 금속 박막(31, 32)의 형성을 착좌부의 표리에 동시에 또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착좌부를 포함하는 변기 시트(5)를 단열재의 합성 수지 재료로 구성했으므로 변기 시트(5)의 열전도성을 낮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변기 시트(5) 사용시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유도 가열을 정지해도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일이 없고 에너지 절감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금속 박막(31, 32)의 제 1 층(31a)은 강자성체인 니켈로 구성했으므로 효율적인 유도 가열이 가능해지고, 금속 박막(31, 32)을 소정 온도까지 단시간에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금속 박막(31, 32)에서 제 1 층(31a)의 니켈 박막에서 발생한 열이 열전도율이 높은 제 2 층(31b)의 구리 박막에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2층 구조를 이룸으로써 금속 박막(31, 32)의 온도가 균등해지도록 전체에 빠르게 전달할 수 있고 또한 변기 시트(5)의 착좌부를 균등하게 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 검출 소자(25)를 착좌부의 이면측에 설치해도 착좌부의 상면측과 동등한 온도 검출을 실시할 수 있다.
(제 4 실시 형태)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제 3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10은 도 7 상당도이고 제 3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였다.
본 실시 형태의 이면측 금속 박막(28)은 제 3 실시 형태의 이면측 금속 박막(32)과 이하의 점에서 상위하다. 즉, 이면측 금속 박막(28)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부재(5a)의 이면측 전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온도 검출 소자(25)에 대응하는 부분에만 형성된 온도 검출용 박막(28a)과, 접지선(19)에 접속되고 또한 접지에 필요한 부위에만 형성된 접지용 박막(28b)을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상부 부재(5a)에 금속 박막(31, 28)을 성막할 때 상부 부재(5a)의 이면측에 마스킹 등을 실시함으로써, 상부 부재(5a) 이면측의 일방의 측벽부(5e)(도 10 중, 좌측벽부)의 일부분에 온도 검출용 박막(28a)이 형성되고 또한 타방의 측벽부(5f)의 일부분에 접지용 박막(28b)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박막(28a, 28b)은 모두 표면측 금속 박막(31)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금속 박막(31, 28) 사이에서 상호 열적, 또는 전기적 접속 상태가 얻어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온도 검출 소자(25)는 상부 부재(5a)의 측벽부(5e)에서 온도 검출용 박막(28a)의 온도를 직접 검출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접지선(19)은 상부 부재(5a)의 측벽부(5f)에서 접지용 박막(28b)을 접속부로 하여 납땜되어 있다.
상부 부재(5a)의 상벽부[평탄부(5g)]에는 이면측 금속 박막(28)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유도 가열 코일(33)이 평탄부(5g)를 따르도록 배치되고, 또한 시트 형상 절연 재료(34)를 통하지 않고 접착제에 의해 직접 고정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이면측의 온도 검출용 박막(28a), 접지용 박막(28b)은 상부 부재(5a)에서의 유도 가열 코일(33)을 향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 온도 검출 또는 접지에 필요한 범위에서 유도 가열 코일(33)에 대하여 접촉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 상부 부재(5a)에 대하여 유도 가열 코일(33)을 일체로 몰드함으로써 고정해도 좋다.
상기 구성에서 금속 박막(31, 28)은 제 3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유도 가열 코일(33)에 의해 유도 가열된다. 이 경우, 금속 박막(31, 28)은 전술한 바와 같이 막두께가 얇을 뿐만 아니라, 온도 검출용 박막(28a), 접지용 박막(28b)이 온도 검출용 또는 접지용으로서 상부 부재(5a)의 이면측에 국부적?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에 지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금속 박막(31), 이면측 금속 박막(28)의 열용량이 보다 저감화되어 있는 점에서, 변기 시트(5)의 상부 부재(5a)를 한층 더 짧은 시간에 승온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착좌부의 상부 부재(5a)의 이면측 금속 박막(28)은 온도 검출 소자(25)에 대응하는 부분에만 형성된 온도 검출용 박막(28a)을 갖고 있다.
따라서, 착좌부의 표리면에 금속 박막(31, 28)을 설치한 구성에 있어, 착좌부의 표층부에서의 정확한 온도 검출을 가능하게 하면서도 발열체의 열용량을 한층 더 작게 할 수 있어 에너지 절감화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착좌부의 이면측 금속 박막(28)은 접지선(19)에 접속되고 또한 접지에 필요한 부위에만 형성된 접지용 박막(28b)을 갖는다.
이 때문에, 착좌부의 표리면에 금속 박막(31, 28)을 설치한 구성에 있어, 변기 시트(5)에서의 감전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발열체의 열용량을 가급적 작게 할 수 있고 에너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착좌부의 이면측 금속 박막(28)을 유도 가열 코일(33)을 향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 형성했으므로, 이면측 금속 박막(28)의 열용량을 억제할 수 있고 또한 금속 박막(32)과 유도 가열 코일(33) 사이에서의 절연 부재를 불필요한 것으로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절연성을 갖는 합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착좌부에 유도 가열 코일(33)을 몰드하는 등하여 시트 형상 절연 재료(34)를 생략할 수 있고, 구성의 간단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5 실시 형태)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이고, 제 3 실시 형태와 다른 부분을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11은 도 7 상당도이고 제 3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변기 시트(29)는 제 3 실시 형태의 변기 시트(5)와 이하의 점에서 상위하다. 즉, 변기 시트(29)는 상면측이 개방되고 또한 유도 가열 코일(33)을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30)를 구비한 하부 부재(분할체)(29b)와, 수용 오목부(30)를 덮는 덮개 형상의 상부 부재(분할체)(29a)로 이루어진 분할형을 취하고 있다.
수용 오목부(30)는 하부 부재(29b)의 상면부에서 도 11 중, 하측으로 움푹 들어가는 형상을 이루고, 변기 시트(29)의 전체 둘레에 걸쳐 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30)의 상측 가장자리부에는 변기 시트(29)의 내주측과 외주측에 계단형상의 받이부(30a)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하부 부재(29b)에는 상부 부재(29a)가 받이부(30a)에 끼워 맞추어진 상태로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부 부재(29a)는 평판 형상으로 평면에서 보아 환형상을 이루는 착좌부로서 구성되고, 그 상측으로부터 사용자의 둔부가 얹히게 되어 있다. 상부 부재(29a)는 표면(겉면) 전체에 금속 박막이 형성됨으로써, 그 표면(겉면)측 및 이면측의 양면에 걸쳐서 연결되는 금속 박막(31, 32)을 갖는다.
수용 오목부(30)는 상부 부재(29a)가 하부 부재(29b)에 조립됨으로써, 수밀한 밀폐 공간을 형성한다. 수용 오목부(30)에는 그 저부를 따르도록 하여 유도 가열 코일(33)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부재(29a)에는 금속 박막(32)과 유도 가열 코일(33) 사이에서 온도 검출 소자(25)가 금속 박막(32)에 직접 밀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좌변은 상면측이 개방되고 또한 유도 가열 코일(33)을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30)를 구비하고, 착좌부의 상부 부재(29a)는 수용 오목부(30)를 덮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변기 시트(29)에서 가열을 요하는 부분만, 즉 상면측의 평탄한 상부 부재(29a)만 착좌부로서 가열하면 충분하고, 금속 박막(31, 32)의 크기를 가급적 작게 하여 가열에 필요한 에너지를 극히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수용 오목부(30)는 상부 부재(29a)에 의해 덮여 밀폐 공간을 형성하는 점에서, 그 공간(공기층)에서 단열성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이면측 금속 박막(32)으로부터의 방열을 억제할 수 있고 가열 효율을 보다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하고 또한 도면에 기재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와 같은 변형 또는 확장이 가능하다.
제 4 실시 형태의 온도 검출용 박막(28a) 및 접지용 박막(28b)은 예를 들어 표면측 금속 박막(31)에 대해서 연결하지 않고 각각 독립하여 형성하는 등, 각각의 형성 위치나 크기 등도 적절하게 변경해도 좋다.
이 경우, 접지용 박막(28b)에 있어서는 표면측 금속 박막(31)에 대해서 전기적 접속 상태가 없어도, 예를 들어 상부 부재(5a) 이면측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됨으로써, 변기 시트(5)에서의 감전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금속 박막(31, 32), 이면측 금속 박막(28)의 제 1 층(31a)에 니켈 박막을 사용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제 1 층(31a)으로서 산화 크롬 등의 자성을 갖는 금속을 사용해도 좋고 철, 코발트, 또는 이들에 니켈을 포함한 합금을 사용하도록 해도 좋다.
금속 박막(31, 32), 이면측 금속 박막(28)의 제 2 층(31b)에 구리 박막을 사용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금 등의 열전도성 및 도전율이 좋은 금속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보호층(20)은 아크릴계 또는 멜라민계 등의 수지 재료를 사용했지 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에폭시 수지 등의 절연성이 높은 합성 수지이어도 좋다.
또한, 제 1 층(31a)을 전해 니켈 도금에 의해 형성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무전해 니켈 도금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변기 시트의 도 2에서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2는 변기 시트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서의 변기 시트 표면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변기 시트 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5는 제 2 실시 형태의 도 2 상당도,
도 6은 도 5에서의 B-B선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2 중, A-A선을 따른 변기 시트의 확대 단면도,
도 8은 변기 시트의 표리면의 적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모식도,
도 9는 변기 시트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 7 상당도,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형태를 도시한 도 7 상당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변기 시트 장치 2: 변기 5: 변기 시트
5a: 상부 부재 5b: 하부 부재 7: 변기 시트 본체
8, 21, 33: 유도 가열 코일 9, 31, 32: 금속 박막
17: 착좌부 18a, 31a: 제 1 층 18b, 31b: 제 2 층
19: 접지선 20: 보호층 25: 온도 검출 소자
30: 수납 오목부 34: 시트 형상 절연 재료

Claims (21)

  1. 변기 시트 본체의 착좌부에 설치된 금속 박막과, 상기 금속 박막을 유도 가열하는 유도 가열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금속 박막은 제 1 층과 제 2 층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금속 박막의 상기 제 1 층은 자성을 갖는 재료에 의해 구성되며,
    상기 금속 박막의 상기 제 2 층은 상기 제 1 층보다 열전도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박막은 상기 착좌부의 표면측 및 이면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박막은 상기 착좌부에서의 표리 양면에 걸쳐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시트 본체는 합성 수지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박막은 도금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층은 상기 제 1 층보다도 도전율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층은 니켈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제 2 층은 구리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층이 무전해 구리 도금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 1 층이 상기 제 2 층의 외부면에 전해 니켈 도금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박막의 외표면에 보호층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전기 저항이 높은 절연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부의 이면측에, 상기 이면측의 금속 박막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 검출 소자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 검출 소자는 상기 금속 박막과 상기 유도 가열 코일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부의 이면측의 금속 박막은 상기 온도 검출 소자에 대응하는 부분에만 형성된 온도 검출용 박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장치.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박막을 전기적으로 접지하기 위한 접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착좌부의 이면측에서, 상기 이면측의 금속 박막에 상기 접지 수단을 접 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부를 좌우로 2분하는 중심선상에 위치하는 부분에서, 상기 금속 박막에 상기 접지 수단을 접속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시트 본체는 그 후부를 기단부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착좌부의 이면측에서의 상기 접지 수단은 상기 변기 시트 본체 후부의 상기 기단부측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부의 이면측의 금속 박막은, 상기 접지 수단에 접속되고 또한 상기 접지에 필요한 부위에만 형성된 접지용 박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장치.
  1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부의 이면측의 금속 박막은 상기 유도 가열 코일을 향하는 부분 이외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장치.
  1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부의 이면측의 금속 박막과 상기 유도 가열 코일 사이에 절연 재료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장치.
  2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시트 본체는 적어도 2개의 분할체로 이루어지고, 이들 분할체 중 하나를 상기 착좌부로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 시트 본체는 상면측이 개방되고 또한 상기 유도 가열 코일을 수용하는 수용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착좌부는 상기 수용 오목부를 덮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 시트 장치.
KR1020090113166A 2008-11-25 2009-11-23 변기 시트 장치 KR1011628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299426A JP5159578B2 (ja) 2008-11-25 2008-11-25 便座装置
JPJP-P-2008-299426 2008-11-25
JPJP-P-2009-125252 2009-05-25
JP2009125252A JP5426233B2 (ja) 2009-05-25 2009-05-25 便座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9700A KR20100059700A (ko) 2010-06-04
KR101162829B1 true KR101162829B1 (ko) 2012-07-05

Family

ID=42360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166A KR101162829B1 (ko) 2008-11-25 2009-11-23 변기 시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62829B1 (ko)
CN (1) CN1017319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265Y1 (ko) * 2010-08-24 2013-02-08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이중 히터를 갖는 좌변기 시트
JP5724510B2 (ja) * 2011-03-28 2015-05-27 Toto株式会社 暖房便座装置
CN106725063A (zh) * 2017-03-03 2017-05-31 王志 一种马桶座圈及马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9694A (ja) 1998-04-16 1999-11-02 Hitachi Chem Co Ltd 暖房便座
JP2000023880A (ja) 1998-07-13 2000-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暖房便座
JP2005110838A (ja) 2003-10-06 2005-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暖房便座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96629B2 (ja) * 1997-03-24 2007-03-22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便座用着座検出装置
DE10254622A1 (de) * 2002-11-22 2004-09-02 Hueck Folien Gesellschaft M.B.H. Hochbelastbar, beständige, flexible Folie
CN201033054Y (zh) * 2007-06-06 2008-03-12 太原普利豪科技有限公司 座便垫圈电加热坐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9694A (ja) 1998-04-16 1999-11-02 Hitachi Chem Co Ltd 暖房便座
JP2000023880A (ja) 1998-07-13 2000-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暖房便座
JP2005110838A (ja) 2003-10-06 2005-04-2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暖房便座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31989B (zh) 2011-11-16
KR20100059700A (ko) 2010-06-04
CN101731989A (zh) 2010-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6500B2 (ja) 便座装置
KR101162829B1 (ko) 변기 시트 장치
JP5159578B2 (ja) 便座装置
JP6344641B2 (ja) 暖房便座装置
JP5426233B2 (ja) 便座装置
JP5045171B2 (ja) 電気炊飯器
JP2003310485A (ja) 便座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JP2009050436A (ja) 便座装置
JP4180217B2 (ja) パネルヒータ及びパネルヒータの制御方法
JP2011212087A (ja) 暖房便座装置
JP2016030186A (ja) 便器装置
JP5641212B2 (ja) 暖房便座装置
JP4821695B2 (ja) 便座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衛生洗浄装置
JP2006087939A (ja) 便座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JP2009291461A (ja) 暖房便座装置
JP2006055666A (ja) 便座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JP5849416B2 (ja) 暖房便座装置
JP6249856B2 (ja) 炊飯器
KR20080100724A (ko) 필름보일러를 구비한 좌변기 및 그 제조방법
JP2006055665A (ja) 便座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JP4513300B2 (ja) 暖房便座
JP5691126B2 (ja) 便座装置
JPH11299694A (ja) 暖房便座
JP5541515B2 (ja) 暖房便座装置
KR20150128093A (ko) 탄소발열체를 갖는 변기 시트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