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070B1 -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070B1
KR101162070B1 KR1020117025040A KR20117025040A KR101162070B1 KR 101162070 B1 KR101162070 B1 KR 101162070B1 KR 1020117025040 A KR1020117025040 A KR 1020117025040A KR 20117025040 A KR20117025040 A KR 20117025040A KR 101162070 B1 KR101162070 B1 KR 101162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nozzle
hot rolled
rod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5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2614A (ko
Inventor
사토시 우에오카
히로카즈 스기하라
타카시 쿠로키
노부오 니시우라
츠토무 스기야마
Original Assignee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82837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16207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32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2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45/0233Spray nozzles, Nozzle headers; Spr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45/0218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for strips, sheets, or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는, 완(緩)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3)을 구비하는 완냉각 헤더(2)와, 급(急)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5)을 구비하는 급냉각 헤더(4)를 하나의 냉각 유닛(9)으로서 구성하고, 그 냉각 유닛(9)은 일체가 되어 상하로 승강하는 것이 가능한 승강 유닛(7)을 구비한다. 열연 강판(열연 강대나 후강판)의 상면 냉각에 있어서, 높은 냉각 속도와 낮은 냉각 속도를 양립하면서, 균일하게 그리고 안정되게 냉각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COOLING DEVICE FOR HOT ROLLED STEEL SHEET}
본 발명은, 열간 압연 라인에 있어서 피(被)압연재인 열연 강판(열연 강대(鋼帶;steel band) 또는 후강판)을 냉각할 때에 이용하는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연 강판(열연 강대나 후강판)은, 고온으로 가열한 슬래브를 목적의 사이즈가 되도록 압연하여 제조되는데, 그때에, 열간 압연의 도중이나 마무리 압연 후의 냉각 장치에서 냉각수에 의해 냉각된다. 여기에서 행하는 수냉(냉각수에 의한 냉각)의 목적은, 그것에 의해 주로 열연 강판의 석출물이나 변태 조직을 제어하여, 목적의 강도, 연성 등이 얻어지도록 재질을 조정하기 위해 행해지고 있다. 특히 냉각 종료 온도를 정밀도 좋게 제어하는 것은, 목적의 재질 특성을 불균일 없이 구비한 열연 강판을 제조하기 위해 가장 중요하다.
최근, 레어 메탈의 가격 급등에 의해, 합금 성분의 조정이 아닌 냉각에 의한 변태 조직 제어에 의해 기계 특성을 향상시키는 수법이 진전되고 있어, 상기의 수냉을 행하는 경우에 재질의 요구로부터 냉각 속도를 광범위로 제어하는 요구가 높다.
열연 강대 제조 라인에 있어서의 일반적인 냉각 장치의 런아웃 테이블(runout table)에서는, 상면은 파이프 라미나(laminar) 냉각, 하면은 스프레이 냉각과 같은 배치가 많으며, 냉각수량은 700~1000L/min?㎡ 정도이고, 판두께 3mm의 강대에서 70℃/s 정도의 냉각 속도가 얻어진다. 그러나, 이 냉각 장치에서는 비교적 판두께가 두꺼운 강대(조선용 고(高)장력재나 라인 파이프용 소재)의 대표적인 판두께인 25mm재(材)에서는 10℃/s 정도의 냉각 속도가 되어 버린다.
열연 강대 제조 라인에서는, 처리할 강대의 판두께가 1.2~25mm로 넓고, 그리고 가공성을 중시하는 소재나 인성(靭性)을 중시하는 소재 등이 있고, 판두께가 두꺼운 것만 냉각 속도를 빠르게 하고 싶다는 요구가 있다. 냉각 속도를 조정하는 방법으로서는, 냉각수량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열연 강대 제조 라인에서는, 특히 그 판두께에 의해 강대의 통판성(通板性)이 변화하기 때문에 곤란한 점이 생긴다. 즉, 자동차용 고장력재 등에서는 판두께가 1.2~3.0mm 정도의 두께의 강대가 많지만, 이 정도의 사이즈의 강대는 강성이 없고 그리고 통판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테이블 롤러 반송 중에 강대에 공기 저항에 의한 양력이나 냉각수에 의한 유체 저항이 발생하여 바운드하기 쉽고, 특히 1.2mm 정도의 극박(極薄) 사이즈에서는, 패스 라인으로부터 최대 1000mm 정도 바운드한다. 그 때문에, 박물(薄物)을 처리하는 경우는 패스 라인으로부터 1000mm 이상 먼 곳으로부터 비교적 적은 수량으로 냉각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런아웃 테이블에서는, 강대 상면의 냉각에, 먼 곳으로부터의 냉각이 가능한 파이프 라미나의 냉각 장치가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냉각 장치인 상면은 파이프 라미나 냉각, 하면은 스프레이 냉각으로 한 설비 구성으로 대(大)수량 냉각하는 경우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상면의 파이프 라미나의 냉각수량을 높여 가면, 파이프 내의 유속이 극단적으로 빨라지기 때문에, 냉각수의 분사가 연속적인 라미나류로부터 제트류로 천이해 버린다. 파이프 라미나는 노즐 지름 10~25mm 정도의 파이프를 강대 반송 라인으로부터 1000~1500mm 정도 떨어진 위치로부터 냉각수를 분사하지만, 제트화한 냉각수는 일부 액적화하여 냉각수의 연속성이 손상되고, 또한 일부 비산되어 버려 효율적인 냉각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열연 강대에서는 런아웃 테이블에서의 냉각으로 냉각 속도를 크게 변화시킬 수 없어, 종래는 기존의 냉각 속도에 맞도록 소재 성분을 조정하는 것이 주로 행해지고 있었다.
또한, 후강판에 대해서도, 제조 판두께 범위가 6~100mm로 매우 판두께 변화가 크기 때문에, 후물(厚物)일수록 냉각 속도가 낮아지는 점에서, 판두께가 두꺼운 것일수록 합금 원소의 양을 많게 하여 강도나 인성 등의 기계 특성을 만족시키고 있었다. 따라서, 이것도 열연 강대와 동일하게 판두께가 두꺼운 것으로 가능한 한 냉각 속도를 빠르게 하여, 판두께마다의 냉각 속도 변화가 작아지도록 하고 싶다는 요구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면, 두꺼운 사이즈의 강판의 냉각 속도를 확보하는 수단으로서, 특허문헌 1, 2에는, 기둥 형상 분류군(噴流群)에 의한 냉각 방법이 나타나 있어, 비교적 강판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냉각수를 분사하여 균일하게 냉각이 가능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는, 승강 기구를 구비하여 반송 방향으로 대향되게 배열된 슬릿 노즐 유닛으로부터 냉각수를 분사함과 함께, 별도로 설치한 라미나 노즐이나 스프레이 노즐도 사용함으로써, 광범위의 냉각 속도를 확보하면서 안정되게 냉각할 수 있도록 하려고 한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평10-263669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2-239623호 일본공개특허공보 소62-260022호
그러나, 특허문헌 1, 2에 기재된 기술의 문제점은, 통판성과 냉각 균일성의 양립을 도모하는 것이 곤란한 점에 있다. 즉, 기둥 형상 분류군을 이용하는 경우, 노즐 개수가 많기 때문에 비교적 구경이 작은 노즐(구경 φ3~10mm 정도의 노즐)로 하여, 전체의 유량을 삭감하는 방법이 취해지지만, 노즐 구경이 작아지기 때문에, 대수량 분사하는 경우 제트화되기 쉽다. 그 때문에 강판에 가까운 거리에 노즐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 한편, 이번에는 냉각수를 적게 하면, 냉각수가 낙하해 가는 도중에 표면 장력에 의해 파단되기 때문에, 액적이 되어 낙하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박물의 통판의 경우, 소(小)수량 그리고 먼 곳으로부터 분사가 필요하지만, 하나의 노즐의 유량을 적게 한 경우, 냉각수는 낙하 중에 표면 장력으로 파단되기 때문에, 온도 불균일이 발생할 위험이 있고, 또한 하나의 노즐의 수량을 많게 하여, 노즐의 분사 개수를 줄이는 경우는, 제트화에 의한 액적화 때문에 물의 비산이 커 효율적인 냉각을 할 수 없다. 그 때문에, 강판과 노즐의 거리를 먼 곳으로부터 근접시킬 필요가 있지만, 그 경우 1.2mm재와 같은 박물에서는 바운드의 문제에서 필요 이상으로 너무 근접시키면 통판이 곤란해진다. 이와 같이, 하나의 장치로 안정적으로 냉각하기 위해서는, 좁은 유량 범위를 선택하지 않을 수 없다.
한편, 특허문헌 3에 기재된 기술은, 냉각 속도가 상이한 헤더(header)를 복수 독립적으로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박물을 제조하는 경우는, 승강 기구에 의해 슬릿 노즐 유닛을 퇴피하고, 별도로 설치한 냉각 능력이 낮은 라미나 노즐이나 스프레이 노즐을 사용함으로써 대응이 가능하다. 또한, 후물(厚物)로 냉각 속도를 빠르게 할 필요가 있는 것은, 슬릿 노즐을 하강시켜, 냉각 능력이 높은 슬릿 노즐과 냉각 능력이 낮은 라미나 노즐 및 스프레이 노즐을 병용함으로써 어느 정도 대응 가능하다.
그러나, 특허문헌 3에 기재된 기술에서는, 후물로 냉각 속도를 안정적으로 빠르게 하기 위해서는, 강(强)냉각 가능한 슬릿 노즐 냉각으로 일단 표면 온도를 낮게 하고 나서 완(緩)냉각 가능한 라미나/스프레이 냉각을 행하지만, 이 냉각 시간을 어느 정도 길게 하여 완냉각 가능한 냉각 장치로 높은 냉각 속도를 얻기 위해서는, 슬릿 노즐의 설비 길이를 어느 정도 길게 할 필요가 있다. 한편, 한정된 스페이스 내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후방에 구비한 냉각 능력이 낮은 라미나 및 스프레이 노즐의 설비 길이를 짧게 할 필요가 있다. 열연 강대나 후강판의 냉각 장치의 설비 스페이스는, 제조 라인은 과거에 구축된 것이 많으며, 그 스페이스가 부족한 점이나, 신규로 건조한다고 해도, 설비 설치 면적이 넓어지기 때문에, 초기 투자 비용의 면에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열연 강판(열연 강대나 후강판)의 상면 냉각에 있어서, 높은 냉각 속도와 낮은 냉각 속도를 양립하면서, 균일하게 그리고 안정되게 냉각할 수 있는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의 특징을 갖는다.
[1] 열연 강판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장치에 있어서,
완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을 구비하는 헤더(header)와, 급(急)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을 구비하는 헤더를 하나의 냉각 유닛으로서 구성하고, 당해 냉각 유닛은 일체가 되어 상하로 승강하는 것이 가능한 승강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2]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완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에 대하여, 열연 강판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 및/또는 하류측에 급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3] 상기 승강 유닛의 승강 기능에 의해, 상기 완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을 사용하는 경우는, 열연 강판에서 당해 노즐의 선단(先端)까지의 거리가 1000mm 이상이 되도록 상기 냉각 유닛을 설정하고, 급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을 사용하는 경우는, 열연 강판에서 당해 노즐의 선단까지의 거리가 당해 노즐의 구경의 5~50배의 범위가 되도록 상기 냉각 유닛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4] 상기 냉각 유닛의 열연 강판의 반송 방향의 전후에는, 탈수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3]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5] 상기 탈수 장치가 탈수 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에 기재된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6] 상기 완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은, 열연 강판을 반송하는 테이블 롤러의 상방(上方)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7] 상기 완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은, 열연 강판을 반송하는 테이블 롤러간에 설치된 하면 냉각 노즐의 분사 위치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5]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8] 상기 냉각 유닛에, 상기 완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과 급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을 보호하기 위한 평면 형상의 프로텍터를 연결하고, 당해 프로텍터는 냉각수 통과용의 가이드구멍을 갖고, 그 가이드구멍을 통하여, 상기 완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 및 급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로부터 냉각수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7]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9] 상기 완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은, 노즐 구경이 10mm 이상, 노즐 출구 유속이 3m/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8]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10] 상기 급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은, 노즐 구경이 10mm 이하, 노즐 출구 유속이 7m/s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9]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11] 상기 완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은, 냉각하는 열연 강판의 폭방향으로 노즐 구경의 1.5배에서 5배의 간격으로 복수 나열되고, 이것을 1열의 냉각 노즐열로 한 경우에, 1개의 헤더 내에서 1~3열의 냉각 노즐열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0]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12] 상기 급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은, 냉각하는 열연 강판의 폭방향으로 노즐 구경의 3배에서 20배의 간격으로 복수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1] 중 어느 것에 기재된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13] 상기 열연 강판이 1~30mm의 판두께를 갖는 열연 강대인 상기 [1]에 기재된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14] 상기 열연 강판이 6~100mm의 판두께를 갖는 후강판인 상기 [1]에 기재된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본 발명에 의하면, 열연 강판(열연 강대나 후강판)의 상면 냉각에 있어서, 높은 냉각 속도와 낮은 냉각 속도를 양립하면서, 균일하게 그리고 안정되게 냉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연 강대의 마무리 압연 후의 냉각에 적용한 경우, 판두께가 2.0mm를 하회하여 통판성에 문제가 있는 소재도, 판두께가 두꺼운 소재도, 냉각 속도를 그다지 바꾸는 일 없이 안정되게 냉각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의 냉각 장치는, 냉각을 안정시키면서, 냉각수량이 넓은 범위에서 변경할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에, 판두께가 2.0mm를 하회하는 얇은 강대에서 문제가 되는 통판성도, 완냉각 노즐을 적용함으로써, 안정 통판이 가능해지고, 또한 판두께가 5mm를 초과하는 영역의 강대에서는, 종래의 설비의 수 배 높은 냉각 속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적은 합금 첨가로 고강도?고인성을 갖는 강판의 제조가 가능해졌다.
또한, 후강판의 냉각에 적용한 경우, 판두께가 상이해도 냉각 속도가 변화하기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 성분계의 강종(鋼種)으로 동일 특성을 낼 수 있어, 종래 강도나 인성 등을 특별한 원소를 부가하는 일 없이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한, 완냉각용의 헤더와 급냉각용의 헤더를 하나의 냉각 유닛으로서 일체화함으로써, 좁은 스페이스에서 냉각 장치의 설치가 가능해졌다. 이 결과, 특히 현재 있는 압연 설비에 있어서의 적은 빈 스페이스로의 도입이 가능해져, 고기능 상품의 제조가 가능해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하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급냉각하는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 완냉각하는 경우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탈수 롤의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완냉각 노즐의 낙하점에 대해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다른 예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열연 강대 제조 라인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냉각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냉각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후강판 제조 라인의 설명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냉각 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있어서의 냉각 장치의 설명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에서는, 열연 강대의 냉각 장치를 염두에 두고 서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열연 강대 상면의 냉각 장치의 기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냉각 장치는, 열연 강대를 반송하는 테이블 롤러(1)의 상면에 있고, 완냉각 헤더(2), 완냉각 노즐(3)을 중심으로 하여, 그 양 사이드에 급냉각 헤더(4), 급냉각 노즐(5)이 배치되어 있고, 이들을 한데 모아 하나의 냉각 유닛(9)으로 하여, 테이블 롤러(1)의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완냉각 노즐(3), 급냉각 노즐(5)의 선단부에는 노즐 보호를 위해 프로텍터(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당해 프로텍터(6)에는, 냉각수 통과용의 복수의 가이드구멍이 뚫려 형성되고, 완냉각 노즐(3) 및, 급냉각 노즐(5)은, 이 가이드구멍을 통하여 강대면에 냉각수를 분사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냉각 유닛(9)은, 승강 장치(승강 유닛)(7)가 부착되어 있고, 테이블 롤러(1)에 근접한 위치로부터 1000mm 이상 먼 곳까지 이동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프로텍터(6)와 냉각 유닛(9)은 연결되고 있고(구체적인 구조는 도시하지 않음), 승강 유닛(7)에 의해 일체가 되어 승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노즐의 배치에 대해서, 냉각 유닛(9)을 하방으로부터 본 것을 도 2에 나타낸다.
완냉각 노즐(3) 및 급냉각 노즐(5)은, 봉 형상 냉각수를 분사할 수 있는 노즐(봉 형상 냉각수 노즐)로 한다.
봉 형상 냉각수란, 원형 형상(타원이나 다각의 형상도 포함함)의 노즐 분출구로부터 분사되는 냉각수를 가리키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봉 형상 냉각수는, 스프레이 형상의 분류가 아니라, 막 형상의 라미나 플로우가 아니라, 노즐 분출구로부터 강대에 충돌할 때까지의 수류(水流)의 단면(斷面)이 거의 원형으로 유지되어, 연속성으로 직진성이 있는 수류의 냉각수를 말한다.
완냉각 노즐(3)은 비교적 큰 구경을 갖고, 강대의 폭방향으로 나열하여 배치되고, 급냉각 노즐(5)은 비교적 작은 구경을 갖고, 강대의 폭방향 및 반송 방향으로 복수 나열되어, 군분류를 형성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단순히 폭방향은 강대의 폭방향을 의미하고, 단순히 반송 방향은 강대의 반송 방향을 의미한다.
강대의 냉각 속도는, 냉각수량에 비례하고, 판두께에 반비례한다. 냉각되는 강대는, 예를 들면 일반적인 열연 강대의 최소 판두께 1.0~1.2mm재에서 최대 판두께 25~30mm재까지 변화하지만, 동일 냉각수량으로 냉각하면 냉각 속도는 20~30배 정도 변화한다. 그 때문에, 판두께가 두꺼운 것일수록 냉각 속도가 늦어져, 베이나이트나 마르텐사이트 등의 담금질 조직의 활용이 어렵기 때문에, 냉각 속도를 높게 하고 싶은 요구가 잠재적으로 있다. 따라서, 비교적 판두께가 두꺼운 것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 유닛(9)을 승강 장치(7)에 의해 강대(10)에 근접시킨 상태에서, 냉각수를 급냉각 헤더(4)에 급수하여, 급냉각 노즐(5)로부터 분사한다.
또한, 판두께가 얇은 것은 적은 냉각수량이라도 어느 정도의 냉각 속도의 확보가 가능하지만, 강대의 통판성이 과제가 되는 경우가 많다. 판두께가 1.0~1.2mm 정도의 강대를 냉각하면서 통판하는 경우, 강대에 발생하는 양력으로 플라잉 하거나, 냉각수 중을 통과할 때에 발생하는 유체 저항에 의해 강대가 감속되어, 루프가 발생하거나 하는 등 과제가 많다. 그 때문에, 플라잉 대책으로서 노즐을 테이블 롤러(1)보다도 먼 곳으로부터 분사하고, 그리고 유체 저항에 의한 강대의 감속을 피하기 위해, 저압력으로 그리고 소수량으로 냉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냉각 유닛(9)을 승강 장치(7)에 의해 박물의 통판에 있어서의 강대가 바운드해도 완냉각 노즐(3)에 충돌하지 않는 패스 라인으로부터 1000mm 이상 상승시킨 상태에서, 냉각수를 완냉각 헤더(2)에 급수하여, 완냉각 노즐(3)로부터 냉각수를 분사한다.
또한, 완냉각 노즐(3) 및 급냉각 노즐(5)은 분사 냉각수의 액적화를 저감시키기 위해, 각각의 노즐 구경에 대하여 5배 이상의 길이를 갖는 구조로 한다.
한편,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강대(10)에 냉각 유닛(9)을 근접시키는 경우, 강대(10)의 휨 등에 의해 노즐을 파손할 위험성이 있기 때문에, 완냉각 노즐(3) 및 급냉각 노즐(5)의 노즐 유출구의 수평면 위치는 거의 동일하게 하고, 그 위치에 프로텍터(6)를 설치한다.
또한, 완냉각 노즐(3) 및 급냉각 노즐(5)의 선단은, 프로텍터(6)의 가이드구멍 내에 위치해도 좋고, 가이드구멍의 바로 위에 위치해도 좋다.
이와 같이, 완냉각 헤더(2)(완냉각 노즐(3))와 급냉각 헤더(4)(급냉각 노즐(5))를 일체화하여, 하나의 냉각 유닛(9)으로서 설비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설비에 있어서 좁은 스페이스에서 급냉각과 완냉각의 냉각 속도 전환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급냉각 노즐(5)의 구성이지만, 급냉각 노즐(5)은 대수량 분사하기 때문에 강판 상에 물이 고이기 쉬워, 수랭 중에 증기막이 발생하여, 냉각 능력이 낮아질 위험성이 있다. 그 때문에, 노즐 구경이 작은 것을 다수 배치하고 그리고, 노즐 분사 유속을 빠르게 하여 증기막을 찢어낼 필요가 있다. 소경(小經) 노즐을 선택하는 것은, 투입량을 늘리지 않고 노즐 분사 유속을 높이는 목적이 있으며, 온도 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해, 폭방향/반송 방향으로 복수 배치하여, 군분류를 형성한다.
노즐 구경은 10mm 이하로 하고, 폭방향의 온도 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해, 폭방향으로는 노즐 구경의 3~20배의 피치로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송 방향에 관해서는, 강대(10)를 반송하면서 냉각하기 때문에, 부착 피치가 온도 균일성에 주는 영향은 적어, 자유롭게 배치해도 상관없다.
노즐 출구 유속은 7m/s 이상으로 함으로써, 열연 강대나 후강판의 일반적인 판온도인 900℃ 이하의 영역에서 안정되게 증기막을 찢어낼 수 있다. 또한, 급냉각 노즐(5)은 가능한 한 노즐 지름이 작은 것을 채용하는 편이 동일한 투입 유량이라도 노즐 출구 유속을 빠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지만, 노즐 구경이 작을수록 냉각수에 섞이는 먼지에 의한 막힘의 리스크가 높아진다. 실용상은 노즐 구경을 3.0mm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즐 출구 유속이 45m/s를 초과하면 주위의 공기와의 속도 차이로부터 전단력이 커져, 봉 형상 냉각수가 액적화된다. 이 결과, 충돌력이 저하되어 증기막을 찢어낼 능력이 저하된다. 그 때문에, 노즐 출구 유속을 45m/s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급냉각 노즐(5)에서 강판(10)까지의 거리는 가까울수록 좋지만, 노즐 구경의 5배보다도 가까이 근접시키면 강대 통과 스페이스가 극단적으로 좁아지기 때문에, 프로텍터(6)를 설치하고 있었다고 해도 냉각 유닛(9)의 파손의 위험이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노즐 구경의 50배를 초과한 먼 곳으로부터 분사하면, 이번에는 소경 노즐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급냉각 노즐(5)로부터 분사한 냉각수가 액적이 되기 쉬워져, 효율적인 냉각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급냉각 노즐(5)에서 강판(10)까지의 거리는 노즐 구경의 5~50배가 적합하다.
또한, 급냉각 노즐(5)에 의한 대수량 냉각을 한 경우, 노즐(5)로부터 분사된 냉각수는 강대(10)에 충돌한 후 강대 반송 방향이나 폭방향으로 누설되어 간다. 특히 강대 반송 방향으로 냉각수가 누설된 경우, 강대 상면에 누설수가 올려진 채로 강대(10)가 반송되기 때문에, 올려진 물의 부분에서 국소적인 과냉각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냉각 유닛의 전후에는 탈수 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탈수 수단으로서는, 고압수에 의한 퍼지 등이 일반적인 방법으로, 이 수법이라도 상관없지만, 도 5와 같이, 냉각 유닛(9)의 전후에 탈수 롤(8)을 배치하는 것이 좋다. 탈수 롤(8)은 고체벽을 형성하여 탈수하기 때문에 확실성이 높고, 또한, 급냉각 헤더(4) 및 급냉각 노즐(5)/완냉각 헤더(2) 및 완냉각 노즐(3)로 이루어지는 냉각 유닛(9)을 복수 설치한 경우에, 냉각수를 주입한 유닛의 근방에서 확실하게 물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탈수 롤(8)을 배치한 경우, 탈수 롤(8)이나 완냉각 노즐(3) 설치부 근방에, 급냉각 노즐(5)로부터의 봉 형상 냉각수를 분사할 수 없기 때문에, 냉각 능력이 낮아지는 경향에 있다. 그래서, 도 6과 같이, 탈수 롤(8)이나 완냉각 노즐(3) 근방의 급냉각 노즐(5)을 경사시켜 냉각수를 분사하면 탈수 롤(8)간에 균등하게 봉 형상 냉각수가 충돌하여 높은 냉각 능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냉각수량으로서는, 하나의 냉각 유닛(9)이 냉각하는 면적에 대하여 단위 면적당 유량이 1000L/min?㎡ 이상으로 설계하도록 하면, 기존의 라미나 냉각에 대하여 3~5배의 냉각 속도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완냉각용 노즐(3)이지만, 앞서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강대(10)의 통판성에서 가능한 한 소(小)유량으로, 그리고 먼 곳으로부터 냉각수를 분사한다. 먼 곳으로부터 봉 형상 냉각수를 분사한 경우, 노즐 내의 유속이 극단적으로 느리면, 낙하 중에 표면 장력의 영향으로 냉각수가 파단되어 온도 불균일의 원인이 되고, 유속을 너무 빠르게 하면, 낙하 중에 제트화되어 일부 액적이 되어 냉각 효율이 낮아진다. 그 때문에, 노즐 출구 유속은 표면 장력에 의한 냉각수의 파단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0.4m/s 이상으로 하고, 제트화를 방지하는 관점에서 3.0m/s 이하로 하면, 1000mm 정도의 거리로부터 완냉각 노즐(3)에 의한 봉 형상 냉각수 분사가 제트화되지 않고 그리고 파단도 되지 않아 연속류 상태에서 강대(10)에 냉각수를 충돌시킬 수 있다. 또한, 완냉각 노즐(3)의 구경은 클수록 냉각수의 파단이나 제트화되기 어려워지지만, 실용상은 노즐 구경을 10mm 이상 30mm 이하의 범위가 적합하다.
완냉각 노즐(3)의 폭방향의 부착 피치는, 완냉각 노즐(3)의 구경의 1.5배보다 좁으면, 노즐의 부착 오차 등에 의해 서로 이웃하는 노즐로부터 분사된 냉각수가 강대(10)에 도달하기 전에 합류되어 버려, 온도 불균일을 발생시키는 위험이 있고, 또한 노즐 구경의 20배 이상 간격을 두면, 앞서 급냉각 노즐(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폭방향의 온도 균일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완냉각 노즐(3)은 급냉각 노즐(5)과 같이 노즐군을 구성하지 않기 때문에, 노즐 피치는 급냉각 노즐(5)보다도 좁은 편이 좋다. 따라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완냉각 노즐(3)의 부착 피치는, 노즐 구경에 대하여, 5배 이하가 좋다. 또한, 냉각수량으로서는, 하나의 유닛이 냉각하는 면적에 대하여 단위 면적당 유량이 700~2000L/min?㎡로 설계하도록 하면 좋지만, 노즐 구경이나 노즐 피치, 노즐 출구 유속이 앞서 설명한 범위로 설계할 수 없는 경우는, 도 7과 같이, 완냉각 노즐(3)을 반송 방향으로 복수열 설치하면 좋다. 한편, 3열보다도 많이 설치하면, 급냉각 노즐(5)과 같이 군분류가 되어 버려 냉각수류가 많아진다. 이 상태에서는 박물 통판시의 유체 저항 증대로 이어져, 통판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하나의 냉각 유닛(9)에 대하여 완냉각 노즐(3)을 반송 방향으로 1~3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기존의 라미나 냉각과 거의 동등한 냉각 속도를 얻을 수 있다.
완냉각 노즐(3)은, 유체력에 의한 박물 강대의 통판성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을 들 수 있고, 이것에 대해서 설명하는 개략도를 도 8(a)에 나타낸다. 완냉각 노즐(3)로부터 분사한 냉각수를 테이블 롤러간에 낙하시킨 경우, 강대(10)가 유체력에 의해 휜다. 특히 판두께가 얇을수록 강성이 낮기 때문에 휨량이 많아진다. 강대(10)는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이 휨이 테이블 롤러(1)에 충돌하여 바운드를 발생시킨다. 그래서, 완냉각 노즐(3)로부터 분사시키는 냉각수는, 예를 들면 도 8(b)와 같이, 테이블 롤러(1) 상에 분사하거나, 혹은, 도 8(c)와 같이, 테이블 롤러(1)간에 하면 냉각 장치(11)를 설치하고, 완냉각 노즐(3)로부터 분사하는 냉각수와 동일한 운동량을 갖는 냉각수를 하면 냉각 장치(11)로부터 대향되게 분사하여 유체력을 밸런스시키면, 휨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냉각 유닛(9)의 구성으로서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냉각 헤더(4)를 반송 방향으로 2개로 나누어, 그 중앙부의 스페이스에 완냉각 헤더(2) 및 완냉각 노즐(3)을 배치하거나, 도 10(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냉각 헤더(4)의 상방에 완냉각 헤더(2)를 배치하고, 완냉각 노즐(3)을 헤어핀 형상으로 하여, 그 완냉각 노즐(3)에 대하여, 반송 방향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에 급냉각 노즐(5)을 배치하거나, 또한, 도 7을 이용하여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완냉각 노즐(3)을 반송 방향으로 2열 나열하는 경우는, 도 11과 같이, 급냉각 헤더(4)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헤어핀 형상으로 한 완냉각 노즐(3)을 배치하거나 하여, 테이블 롤러(1) 상에 냉각수를 낙하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12와 같이, 급냉각 헤더(4)를 반송 방향으로 2개로 나누어, 그 중앙부의 스페이스에 완냉각 헤더(2) 및 완냉각 노즐(3)을 배치하고, 테이블 롤러(1)간에 냉각수를 낙하시키고, 그리고 하면측에 배치한, 완냉각 노즐(3)과 동일 유체력을 갖는 냉각 장치(11)에 의해 대향 충돌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하면 냉각 장치(11)로서는, 스프레이 냉각 노즐이나 봉 형상 냉각수 노즐 등을 배치하면 좋다. 강대(10) 하면의 유체력은 강대(10) 상면과 밸런스시키는 것이 좋지만, 하면의 유체력을 너무 높게 하면, 강대(10)가 부상(浮上)해 버릴 위험성이 있고, 또한 하면의 유체력이 너무 적은 경우는, 완냉각 노즐(3)의 냉각수에 의한 휨이 커져, 바운드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특히, 강대(10)가 부상하면, 테이블 롤러(1)로부터의 구동력이 전해지지 않게 되어 문제가 된다. 그래서, 강대(10)의 자중(自重)과 완냉각 노즐(3)에 의한 유체력을 서로 더한 것에 대하여, 그보다도 적은 유체력을 갖는 하면 냉각 장치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또한,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열연 강대의 냉각 장치를 염두에 두고 서술했지만, 후강판의 냉각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하면 좋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로서, 본 발명의 냉각 장치를 열연 강대의 제조 라인에 적용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냉각 장치를 적용한 열연 강대 제조 라인의 설명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열연 강대 제조 라인에서는, 250mm의 두께를 갖는 슬래브가, 가열로(60)에 의해 1200℃까지 가열된 후에, 초벌 압연기군(61) 및 마무리 압연기군(62)에 의해 소정의 판두께까지 압연된 후, 본 발명의 냉각 장치(21) 및 기존의 냉각 장치(31)에 의해 냉각되어, 코일러(63)로 권취된다. 또한, 도 13 중의 65는 방사 온도계이다.
이 실시예 1에서는, 본 발명의 냉각 장치(21)는,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급냉각 헤더(4)를 2개로 나누어, 그 사이에 완냉각 헤더(2), 완냉각 노즐(3)을 배치한 냉각 유닛(9)을 구비하고, 그리고 급냉각 헤더(4)의 강대 반송 방향 상류측/하류측에는, 냉각 유닛(9)과 연동하여 승강하는 탈수 롤(8)을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테이블 롤러(1)는, 부착 피치가 370mm로 직경이 320mm이기 때문에, 스페이스의 관점에서, 상면의 탈수 롤(8)을 포함하는 냉각 유닛(9)은, 3개의 테이블 롤러(1)에 대하여 하나의 냉각 유닛(9)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탈수 롤(8)은, 냉각 유닛(9)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테이블 롤러(1)에 대하여 쌍이 되는 배치로 하고, 완냉각 노즐(3)은, 테이블 롤러(1) 바로 위에 냉각수가 낙하하는 배치로 되어 있다.
또한, 급냉각 노즐(5)은, 구경 5mm로, 폭방향으로 50mm, 피치?반송 방향으로 70mm 피치로 군분류를 구성하도록 부착되고, 급냉각 노즐(5)로부터는 유속 12m/s로 분사한다. 이 경우의 냉각 유닛(9)에 있어서의 급냉각 노즐(5)의 수량 밀도는 4500L/min?㎡가 된다.
한편, 완냉각 노즐(3)은, 구경 20mm로, 폭방향으로 50mm 피치로 부착되고, 급냉각 헤더(4)의 사이에 1열 삽입되어 있고, 완냉각 노즐(3)로부터는, 유속 0.7m/s로 분사한다. 이 경우의 냉각 유닛(9)에 있어서의 완냉각 노즐(3)의 수량 밀도는 730L/min?㎡가 된다.
또한, 냉각 유닛(9)은, 테이블 롤러(1) 상에서 완냉각 노즐(3), 급냉각 노즐(5)의 선단까지의 거리가 1300mm가 되도록 배치되고, 승강 장치(7)에 의해 하강하여, 판두께에 따라서 자유로운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냉각 장치(21)에서는, 1대의 냉각 유닛(9)의 설비 길이는 테이블 롤러(1)의 2피치분(740mm)이고, 그 냉각 유닛(9)이 30대 배치되어 있다(전체 설비 길이는 22.2m). 냉각 유닛(9)의 하면에는, 하면 냉각 장치(11)가 부착되어 있어, 스프레이 분사 압력을 바꿈으로써, 수량 변경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각 장치(21)의 하류측에는, 파이프 라미나 노즐/스프레이 노즐로 구성되는 기존의 냉각 장치(31)가 설치되어 있다.
목표로 하는 냉각 정지 온도로 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냉각 장치(21)의 냉각 유닛(9) 및 기존의 냉각 장치(31)의 파이프 라미나 노즐/스프레이 노즐을 개별적으로 주입 온오프가 가능하게 하고, 계산기에 의해 적정한 온도가 되는 냉각 유닛 수와 통판 속도를 계산하여, 주입 온(on)으로 하는 냉각 유닛 등을 결정한다.
(본 발명예 1)
상기와 같은 열연 강대 제조 라인에 있어서, 본 발명예 1로서, 비교적 판두께가 얇은 판두께 1.6mm의 강대를 냉각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초벌 압연기군(61)에 의해 판두께 32mm까지 압연하고, 마무리 압연기군(62)에 의해 판두께 1.6mm까지 압연한 후, 본 발명의 냉각 장치(21)간을 강대 선단 속도 700mpm으로 통과시켜, 강대 선단이 코일러(63)에 휘감김과 동시에 10mpm/s로 강대를 가속시킨다.
그때에, 본 발명의 냉각 장치(21)는, 테이블 롤러(1)로부터 1300mm의 위치로 퇴피하고, 완냉각 노즐(3)로부터 냉각수를 주입하여, 640℃까지 냉각한다. 또한, 하면의 냉각 장치(11)는, 수량 밀도를 500L/min?㎡, 스프레이 분사 유속을 3m/s로 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 발명예 1에 있어서는, 강대가 통판 중에 바운드하는 일 없이, 그리고 목표의 권취 온도인 640℃에 대하여 ±20℃의 범위에서 전체 길이를 냉각할 수 있었다. 또한, 이때의 강대 중심부가 750℃로부터 650℃를 통과할 때의 냉각 속도는 140℃/s가 되었다.
(본 발명예 2)
본 발명예 2로서, 판두께 5.0mm로 비교적 판두께가 두꺼운 강대를 냉각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초벌 압연기군(61)에 의해 판두께 40mm까지 압연하고, 마무리 압연기군(62)에 의해 판두께 5.0mm까지 압연한 후, 본 발명의 냉각 장치(21)간을 강대 선단 속도 500mpm으로 통과시켜, 강대 선단이 코일러(63)에 휘감김과 동시에 2mpm/s로 강대를 가속시킨다.
그때에, 본 발명의 냉각 장치(21)는, 테이블 롤러(1)에서 급냉각 노즐(5) 선단까지의 거리를 30mm(즉, 노즐 선단에서 강대까지의 거리가 25mm)가 되도록 조정하고, 급냉각 노즐(5)로부터 냉각수를 주입하여 500℃까지 냉각한다. 또한, 하면의 냉각 장치(11)는, 수량 밀도를 4500L/min?㎡, 스프레이 분사 유속을 12m/s로 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 발명예 2에 있어서는, 목표의 권취 온도인 500℃에 대하여 ±25℃의 범위에서 전체 길이를 냉각할 수 있었다. 또한, 이때의 강대 중심부가 750℃로부터 650℃를 통과할 때의 냉각 속도는 200℃/s가 되었다. 이때의 강대를 조사한 결과, 강대의 조직은 전체적으로 베이나이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높은 강도와 인성을 갖고 있었다.
한편, 비교예 2로서, 완냉각 노즐(3)에서 상기의 사이즈의 강대를 냉각한 경우는, 냉각 속도가 40℃/s가 되고, 그때의 강대를 조사한 결과, 조직은 페라이트에 일부 펄라이트가 분산되어 있으며, 강도도 인성도 낮아졌다.
덧붙여서, 본 발명예 2에서 이용한 강대는 냉각 속도를 70℃/s 이상으로 함으로써, 풀베이나이트 조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한 성분계이며, 본 발명의 냉각 장치(21)의 급냉각 노즐(5)을 사용하지 않으면, 목적으로 한 기계 특성을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예 3)
본 발명예 3으로서, 판두께 25.0mm로 판두께가 두꺼운 강대를 냉각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초벌 압연기군(61)에 의해 판두께 80mm까지 압연하고, 마무리 압연기군(62)에 의해 판두께 25.0mm까지 압연한 후, 본 발명의 냉각 장치(21)간을 강대 선단 속도 150mpm으로 통과시켜, 일정 속도인 채로 코일러(63)로 권취한다.
그때에, 본 발명의 냉각 장치(21)는, 테이블 롤러(1)에서 급냉각 노즐(5) 선단까지의 거리를 275mm(즉, 노즐 선단에서 강대까지의 거리가 250mm)가 되도록 조정하고, 급냉각 노즐(5)로부터 냉각수를 주입하여 450℃까지 냉각한다. 또한, 하면의 냉각 장치(11)는, 수량 밀도를 8000L/min?㎡, 스프레이 분사 유속을 17m/s로 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 발명예 3에 있어서는, 목표의 권취 온도인 450℃에 대하여 ±15℃의 범위에서 전체 길이를 냉각할 수 있었다. 또한, 이때의 강대 중심부가 750℃로부터 650℃를 통과할 때의 냉각 속도는 40℃/s가 되었다. 이때의 강판을 조사한 결과, 강판의 조직은 전체적으로 베이나이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높은 강도와 인성을 갖고 있었다.
한편, 비교예 3으로서, 완냉각 노즐(3)에서 상기의 사이즈의 강대를 냉각한 경우는, 냉각 속도가 10℃/s가 되고, 그때의 강대를 조사한 결과, 조직은 페라이트에 일부 펄라이트가 분산되어 있으며, 강도도 인성도 낮아졌다.
즉, 본 발명예 3에서 이용한 강대는 냉각 속도를 25℃/s 이상으로 함으로써, 풀베이나이트 조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한 성분계이며, 본 발명의 냉각 장치(21)의 급냉각 노즐(5)을 사용하지 않으면, 목적으로 한 기계 특성을 얻을 수 없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2로서, 본 발명의 냉각 장치를 후강판의 제조 라인에 적용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냉각 장치를 적용한 후강판 제조 라인의 설명도이다.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후강판 제조 라인에서는, 250mm의 두께를 갖는 슬래브가, 가열로(70)에 의해 1200℃까지 가열된 후에, 초벌 압연기(71) 및 마무리 압연기(72)에 의해 소정의 판두께까지 리버스(reverse) 압연된 후, 본 발명의 냉각 장치(21)에 의해 냉각되고, 롤러 레벨러(73)로 교정된 후에 출하된다. 또한, 도 16 중의 65는 방사 온도계이다.
후강판은 열연 강대보다도 판두께가 전반적으로 두껍기 때문에, 통판성의 문제는 발생하기 어렵지만, 적용 판두께가 6~100mm로 판두께의 변화량이 많아, 종래는 냉각 속도가 늦어지는 판두께가 두꺼운 것일수록 베이나이트화되기 쉽도록 합금 원소를 첨가하기 때문에, 판두께가 두꺼울수록 합금 비용이 들었었다. 그래서, 가능한 한 판두께마다의 냉각 속도가 변하지 않도록 하여, 동일 성분계로 제조하는 것이 비용적으로 유리하다. 여기에서는, 냉각 속도 25℃/s 이상 그리고 500℃까지 냉각함으로써 강판의 조직을 풀베이나이트로 안정화하는 강종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 2에서는, 본 발명의 냉각 장치(21)는,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급냉각 헤더(4)를 2개로 나누어, 그 사이에 완냉각 헤더(2), 완냉각 노즐(3)을 배치한 냉각 유닛(9)을 구비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테이블 롤러(1)는, 부착 피치는 1000mm로 직경 450mm이기 때문에, 냉각 유닛(9)은, 테이블 롤러간 상방에 부착되어 있고, 완냉각 노즐(3)은 테이블 롤러간에 냉각수가 낙하하는 배치로 되어 있다.
또한, 급냉각 노즐(5)은, 구경 5mm로, 폭방향으로 50mm, 피치?반송 방향으로 70mm 피치로 군분류를 구성하도록 부착되고, 급냉각 노즐(5)로부터는 유속 7m/s로 분사한다. 이 경우의 냉각 유닛(9)에 있어서의 급냉각 노즐(5)의 수량 밀도는 3300L/min?㎡가 된다.
한편, 완냉각 노즐(3)은, 구경 20mm로, 폭방향으로 70mm 피치로 부착되고, 급냉각 헤더(4)의 사이에 1열 삽입되어 있고, 완냉각 노즐(3)로부터는, 유속 3.0m/s로 분사한다. 이 경우의 냉각 유닛(9)에 있어서의 완냉각 노즐(3)의 수량 밀도는 1600L/min?㎡가 된다.
또한, 냉각 유닛(9)은, 테이블 롤러(1) 상에서 완냉각 노즐(3), 급냉각 노즐(5)의 선단까지의 거리가 1000mm가 되도록 배치되고, 승강 장치(7)에 의해 하강하여, 판두께에 따라서 자유로운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냉각 장치(21)에서는, 1대의 냉각 유닛(9)의 설비 길이는 테이블 롤러(1)의 1개분(1000mm)이고, 그 냉각 유닛(9)이 15대 배치되어 있다(전체 설비 길이는 15m). 냉각 유닛(9)의 하면에는, 강판 진행 방향으로 3열의 스프레이 노즐(11)이 부착되어 있어, 개별의 주입의 온오프나 스프레이 분사 압력을 바꿈으로써, 수량 변경이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완냉각 노즐(3)과 하면의 강판 진행 방향 2열째의 스프레이 노즐은, 동일 위치에서 냉각수가 충돌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각 장치(21)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는 탈수 장치로서, 고압수를 분사 가능한 퍼지 유닛(74, 75)이 설치되어 있다.
목표로 하는 냉각 정지 온도로 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냉각 장치(21)의 냉각 유닛(9)을 개별적으로 주입 온오프가 가능하게 하고, 계산기에 의해 적정한 온도가 되는 냉각 유닛 수와 통판 속도를 계산하여, 주입 온으로 하는 냉각 유닛 등을 결정한다.
(본 발명예 4)
상기와 같은 후강판 제조 라인에 있어서, 본 발명예 4로서, 판두께 10mm의 후강판을 냉각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초벌 압연기(71)에 의해 판두께 30mm까지 압연하고, 마무리 압연기(72)에 의해 판두께 10mm까지 압연한 후, 본 발명의 냉각 장치(21)에 의해, 강판 속도 150 mpm으로 통판시키면서 냉각한다.
그때에, 본 발명의 냉각 장치(21)는, 테이블 롤러(1)로부터 1300mm의 위치로 퇴피하고, 완냉각 노즐(3)로부터 냉각수를 주입하여 500℃까지 냉각한다. 또한, 하면의 냉각 장치(11)는, 반송 방향에 대해서 3열 중, 상류측으로부터 2열째의 스프레이 노즐군에 있어서, 수량 밀도를 2000L/min?㎡, 스프레이 분사 유속을 10m/s로 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 발명예 4에 있어서는, 목표의 냉각 종료 온도인 500℃에 대하여 ±25℃의 범위에서 전체 길이를 냉각할 수 있었다. 또한, 이때의 강판 중심부가 750℃로부터 650℃를 통과할 때의 냉각 속도는 40℃/s가 되었다.
(본 발명예 5)
본 발명예 5로서, 판두께 25mm의 후강판을 냉각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초벌 압연기(71)에 의해 판두께 50mm까지 압연하고, 마무리 압연기(72)에 의해 판두께 25mm까지 압연한 후, 본 발명의 냉각 장치(21)에 의해, 강판 속도 80 mpm으로 통판시키면서 냉각한다.
그때에, 본 발명의 냉각 장치(21)는, 테이블 롤러(1)에서 급냉각 노즐(5) 선단까지의 거리를 200mm(즉, 노즐 선단에서 강판까지의 거리가 175mm)가 되도록 조정하고, 급냉각 노즐(5)로부터 냉각수를 주입하여 500℃까지 냉각한다. 또한, 하면의 냉각 장치(11)는, 수량 밀도를 6000L/min?㎡, 스프레이 분사 유속을 12m/s로 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 발명예 5에 있어서는, 목표의 냉각 종료 온도인 500℃에 대하여 ±25℃의 범위에서 전체 길이를 냉각할 수 있었다. 또한, 이때의 강판 중심부가 750℃로부터 650℃를 통과할 때의 냉각 속도는 45℃/s가 되었다. 이때의 강판을 조사한 결과, 강판의 조직은 전체적으로 베이나이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높은 강도와 인성을 갖고 있었다.
한편, 비교예 5로서, 완냉각 노즐(3)에서 동일한 사이즈의 강판을 냉각한 경우는, 냉각 속도가 15℃/s가 되고, 이때의 강판을 조사한 결과, 조직은 페라이트에 일부 펄라이트가 분산되어 있으며, 강도도 인성도 낮아졌다.
즉, 이 성분계에서는, 본 발명의 냉각 장치(21)의 급냉각 노즐(5)을 사용하지 않으면, 목적으로 한 기계 특성을 얻을 수 없다.
이상과 같이, 후강판 등과 같이 판두께마다 냉각 속도를 일정화시키고 싶은 경우에는, 본 발명의 냉각 장치와 같이, 비교적 판두께가 얇은 것에는 완냉각 노즐(3)을, 판두께가 두꺼운 것에는 급냉각 노즐(5)을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유효한 것을 알 수 있다.
1 : 테이블 롤러
2 : 완냉각 헤더
3 : 완냉각 노즐(완냉각용 봉 형상 냉각수 노즐)
4 : 급냉각 헤더
5 : 급냉각 노즐(급냉각용 봉 형상 냉각수 노즐)
6 : 프로텍터
7 : 승강 장치(승강 유닛)
8 : 탈수 롤
9 : 냉각 유닛
10 : 열연 강대
11 : 하면 냉각 장치
12 : 후강판
21 : 본 발명의 냉각 장치(완냉각 노즐과 급냉각 노즐의 조합)
31 : 기존의 냉각 장치
60 : 가열로
61 : 초벌 압연기군
62 : 마무리 압연기군
63 : 코일러
65 : 방사 온도계
70 : 가열로
71 : 초벌 압연기
72 : 마무리 압연기
73 : 롤러 레벨러
74 : 냉각 장치 상류측의 고압수 퍼지
75 : 냉각 장치 하류측의 고압수 퍼지

Claims (14)

  1. 열연 강판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장치에 있어서,
    완(緩)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을 구비하는 헤더와, 급(急)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을 구비하는 헤더를 하나의 냉각 유닛으로서 구성하고, 당해 냉각 유닛은 일체가 되어 상하로 승강하는 것이 가능한 승강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은, 상기 완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에 대하여, 열연 강판의 반송 방향의 상류측, 또는 하류측, 또는 상류측 및 하류측에 급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유닛의 승강 기능에 의해, 상기 완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을 사용하는 경우는, 열연 강판에서 당해 노즐의 선단(先端)까지의 거리가 1000mm 이상이 되도록 상기 냉각 유닛을 설정하고, 급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을 사용하는 경우는, 열연 강판에서 당해 노즐의 선단까지의 거리가 당해 노즐의 구경의 5~50배의 범위가 되도록 상기 냉각 유닛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의 열연 강판의 반송 방향의 전후에는, 탈수 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탈수 장치가 탈수 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은, 열연 강판을 반송하는 테이블 롤러의 상방(上方)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은, 열연 강판을 반송하는 테이블 롤러간에 설치된 하면 냉각 노즐의 분사 위치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유닛에, 상기 완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과 급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을 보호하기 위한 평면 형상의 프로텍터를 연결하고, 당해 프로텍터는 냉각수 통과용의 가이드구멍을 갖고, 그 가이드구멍을 통하여, 상기 완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 및 급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로부터 냉각수가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은, 노즐 구경이 10mm 이상, 노즐 출구 유속이 3m/s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은, 노즐 구경이 10mm 이하, 노즐 출구 유속이 7m/s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은, 냉각하는 열연 강판의 폭방향으로 노즐 구경의 1.5배에서 5배의 간격으로 복수 나열되고, 이것을 1열의 냉각 노즐열로 한 경우에, 1개의 헤더 내에서 1~3열의 냉각 노즐열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냉각용의 봉 형상 냉각수 노즐은, 냉각하는 열연 강판의 폭방향으로 노즐 구경의 3배에서 20배의 간격으로 복수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13.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연 강판이 1~30mm의 판두께를 갖는 열연 강대인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1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연 강판이 6~100mm의 판두께를 갖는 후강판인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KR1020117025040A 2009-03-30 2010-03-25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KR101162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81608 2009-03-30
JP2009081608 2009-03-30
JPJP-P-2010-008683 2010-01-19
JP2010008683 2010-01-19
PCT/JP2010/055991 WO2010114083A1 (ja) 2009-03-30 2010-03-25 熱延鋼板の冷却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614A KR20110132614A (ko) 2011-12-08
KR101162070B1 true KR101162070B1 (ko) 2012-07-04

Family

ID=42828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5040A KR101162070B1 (ko) 2009-03-30 2010-03-25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931321B2 (ko)
EP (1) EP2415536B1 (ko)
JP (1) JP4678069B1 (ko)
KR (1) KR101162070B1 (ko)
CN (1) CN102378655B (ko)
TW (1) TWI460031B (ko)
WO (1) WO20101140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40941B2 (ja) * 2012-08-31 2016-06-29 Primetals Technologies Japan株式会社 熱延鋼板の製造設備
JP6006049B2 (ja) * 2012-08-31 2016-10-12 Primetals Technologies Japan株式会社 熱延鋼板の製造装置
CN102912097B (zh) * 2012-10-09 2013-12-11 范华平 一种轧钢淬火用环式穿水冷却设备
DE102012223848A1 (de) * 2012-12-19 2014-06-26 Sms Siemag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Kühlen von Walzgut
EP2792428A1 (de) 2013-04-15 2014-10-22 Siemens VAI Metals Technologies GmbH Kühleinrichtung mit breitenabhängiger Kühlwirkung
DE102013019698A1 (de) * 2013-05-03 2014-11-06 Sms Siemag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tallischen Bandes
CN103357676B (zh) * 2013-07-03 2015-09-30 首钢总公司 一种分段控制平整液喷射压力的系统及其方法
KR101486976B1 (ko) * 2013-10-24 2015-01-27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소재의 디스케일 장치
DE102014001146A1 (de) * 2014-01-31 2015-08-06 Loi Thermprocess Gmbh Einrichtung zum Abkühlen von platten- oder bahnförmigem Blech aus Metall und Verfahren zur Wärmebehandlung
EP2982453A1 (de) * 2014-08-06 2016-02-10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Einstellen eines gezielten Temperaturprofiles an Bandkopf und Bandfuß vor dem Querteilen eines Metallbands
JP6245766B2 (ja) * 2015-05-26 2017-12-13 Primetals Technologies Japan株式会社 熱延鋼板の冷却装置及びそのマスク部材位置調整方法
KR101616355B1 (ko) 2015-06-17 2016-04-28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냉각 장치 및 방법
KR102206830B1 (ko) 2015-08-31 2021-01-25 닛폰세이테츠 가부시키가이샤 강판
CN105087878A (zh) * 2015-09-18 2015-11-25 冯英育 真空热处理方法
CN105132855A (zh) * 2015-09-29 2015-12-09 武汉赛恩冶金技术开发有限公司 一种热轧螺纹钢轧后穿水控冷工艺生产在线表面防锈的新工艺
CN105200205B (zh) * 2015-10-16 2017-08-25 内蒙古包钢钢联股份有限公司 一种双相钢快冷装置及双相钢快冷后温度控制方法
JP6233613B2 (ja) * 2016-01-26 2017-11-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熱延鋼帯の製造設備列および熱延鋼帯の製造方法
JP6233614B2 (ja) * 2016-01-27 2017-11-22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熱延鋼帯の製造設備列および熱延鋼帯の製造方法
EP3251764B1 (de) * 2016-05-31 2019-07-03 Primetals Technologies Austria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abilisierung einer bewegung eines gewalzten metallischen bandes auf einem rollgang
JP6447836B2 (ja) * 2016-06-30 2019-01-0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熱延鋼帯の製造方法および熱延鋼帯の製造設備
CN105921535B (zh) * 2016-07-12 2017-09-15 北京科技大学 一种板带钢控制冷却超密集冷却器
CA2947367A1 (en) * 2016-11-03 2018-05-03 Shawcor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oling coated pipe
EP3705587A4 (en) * 2017-10-31 2020-11-25 JFE Steel Corporation PLANT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HICK STEEL SHEET
DE102017127470A1 (de) 2017-11-21 2019-05-23 Sms Group Gmbh Kühlbalken und Kühlprozess mit variabler Abkühlrate für Stahlbleche
CN111492071A (zh) * 2017-12-20 2020-08-04 杰富意钢铁株式会社 厚钢板的冷却装置及冷却方法以及厚钢板的制造设备及制造方法
KR102010088B1 (ko) * 2017-12-26 2019-08-12 주식회사 포스코 충돌방지장치
JP7017439B2 (ja) * 2018-03-07 2022-02-0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厚鋼板冷却方法
DE102018109579A1 (de) * 2018-04-20 2019-10-24 Schwartz Gmbh Temperiervorrichtung zur partiellen Kühlung eines Bauteils
KR102675218B1 (ko) * 2019-08-21 2024-06-13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후강판의 제조 설비 및 제조 방법
CN110899347B (zh) * 2019-11-22 2021-05-07 常州新武轨道交通新材料有限公司 一种热轧钢板的冷却装置
CN111850258A (zh) * 2020-06-20 2020-10-30 东风汽车底盘系统有限公司 一种导向臂淬火冷却系统
CN113172101A (zh) * 2021-04-29 2021-07-27 泉州市润协产品设计有限公司 一种低温韧性结构钢板制造用的快速冷却装置
EP4378603A1 (en) 2021-09-16 2024-06-05 JFE Steel Corporation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equipment for thick steel plat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015A (ja) 1984-06-22 1986-01-13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トリツプ冷却装置
JPH11181529A (ja) 1997-12-18 1999-07-06 Nippon Steel Corp 連続焼鈍炉の最終冷却帯における鋼板冷却方法及び装置
JP2002178004A (ja) 2000-12-15 2002-06-25 Nkk Corp 熱延鋼帯の熱間圧延設備および圧延方法
JP2004066308A (ja) 2002-08-08 2004-03-04 Jfe Steel Kk 熱延鋼帯の冷却装置および熱延鋼帯の製造方法ならびに熱延鋼帯製造ライン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09U (ko) 1980-05-30 1982-01-05
JPS58197226A (ja) 1982-05-13 1983-11-16 Mitsubishi Heavy Ind Ltd 鋼板冷却装置
JPS62260022A (ja) 1986-05-01 1987-11-1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鋼板の冷却装置
US5212975A (en) * 1991-05-13 1993-05-25 International Rolling Mill Consultan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rolling mill rolls and flat rolled products
JPH0570709A (ja) 1991-09-11 1993-03-23 Hitachi Chem Co Ltd 塩素化インジウムフタロシアニン、その製造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感光体
JPH0570709U (ja) * 1992-02-28 1993-09-24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熱間鋼板の冷却装置
JPH08132122A (ja) 1994-11-11 1996-05-28 Kawasaki Steel Corp 熱延ラインの水切り装置
JP3407589B2 (ja) 1997-03-25 2003-05-19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鋼材の冷却方法
DE60139179D1 (de) 2000-03-01 2009-08-20 Jfe Steel Corp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kühlen von warmgewalztem stahlband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3562423B2 (ja) 2000-03-01 2004-09-0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熱延鋼帯の冷却装置と、その冷却方法
JP3642031B2 (ja) 2001-02-15 2005-04-2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熱延鋼帯の冷却装置
EP1889671B1 (en) 2002-08-08 2010-03-10 JFE Steel Corporation Cooling apparatus for hot rolled steel strip, manufacturing method for hot rolled steel strip, and production line for hot rolled steel strip
EP1527829B1 (en) 2002-08-08 2008-10-22 JFE Steel Corporation Cooling device,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line for hot rolled steel band
JP4355280B2 (ja) * 2004-11-22 2009-10-2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冷間圧延における潤滑油供給方法
BRPI0621377B1 (pt) * 2006-03-03 2019-07-02 Jfe Steel Corporation Dispositivo de resfriamento de tira quente e método de resfriamento
JP4518116B2 (ja) * 2006-08-21 2010-08-0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熱延鋼帯の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JP4518117B2 (ja) * 2006-08-21 2010-08-0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熱延鋼帯の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JP4888124B2 (ja) * 2007-01-11 2012-02-2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材の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JP4905180B2 (ja) * 2007-02-28 2012-03-28 Jfeスチール株式会社 鋼材の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015A (ja) 1984-06-22 1986-01-13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トリツプ冷却装置
JPH11181529A (ja) 1997-12-18 1999-07-06 Nippon Steel Corp 連続焼鈍炉の最終冷却帯における鋼板冷却方法及び装置
JP2002178004A (ja) 2000-12-15 2002-06-25 Nkk Corp 熱延鋼帯の熱間圧延設備および圧延方法
JP2004066308A (ja) 2002-08-08 2004-03-04 Jfe Steel Kk 熱延鋼帯の冷却装置および熱延鋼帯の製造方法ならびに熱延鋼帯製造ラ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15536A4 (en) 2013-05-01
CN102378655A (zh) 2012-03-14
JP2011167759A (ja) 2011-09-01
US20120103052A1 (en) 2012-05-03
EP2415536A1 (en) 2012-02-08
US8931321B2 (en) 2015-01-13
JP4678069B1 (ja) 2011-04-27
TW201039936A (en) 2010-11-16
CN102378655B (zh) 2013-06-05
TWI460031B (zh) 2014-11-11
EP2415536B1 (en) 2015-03-11
WO2010114083A1 (ja) 2010-10-07
KR20110132614A (ko) 201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070B1 (ko)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JP4449991B2 (ja) 熱延鋼帯の冷却装置及び方法
US7523631B2 (en) Cooling device,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line for hot rolled steel band
KR101026972B1 (ko) 열연강대의 냉각 방법
KR100973692B1 (ko) 강판의 열간압연 설비 및 열간압연 방법
JP5573837B2 (ja) 熱延鋼板の冷却装置、冷却方法、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5825250B2 (ja) 熱延鋼帯の冷却方法および冷却装置
KR101335815B1 (ko)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KR20080108333A (ko) 열연강대의 냉각 장치 및 냉각 방법
JP3770216B2 (ja) 熱延鋼帯の冷却装置および熱延鋼帯の製造方法ならびに熱延鋼帯製造ライン
JP5673530B2 (ja) 熱延鋼板の冷却装置、冷却方法、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6569843B1 (ja) 厚鋼板の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ならびに厚鋼板の製造設備および製造方法
KR102372665B1 (ko) 열연 강판의 냉각 장치 및 열연 강판의 냉각 방법
JP2012091194A (ja) 熱鋼板の下面冷却方法及び装置
JP5663848B2 (ja) 熱延鋼板の冷却装置及びその動作制御方法
JP4720198B2 (ja) 厚鋼板の冷却装置および冷却方法
KR20190009368A (ko) 열연 강판의 냉각 방법 및 냉각 장치
JP5428452B2 (ja) 熱延鋼帯の下面冷却方法および下面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