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2060B1 - 건식 가열에 의한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 - Google Patents

건식 가열에 의한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2060B1
KR101162060B1 KR1020087016839A KR20087016839A KR101162060B1 KR 101162060 B1 KR101162060 B1 KR 101162060B1 KR 1020087016839 A KR1020087016839 A KR 1020087016839A KR 20087016839 A KR20087016839 A KR 20087016839A KR 101162060 B1 KR101162060 B1 KR 1011620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ological product
virus
glass transition
inactivation
virus inactiv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6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93098A (ko
Inventor
애니 바르다트
Original Assignee
라보라토이레 프란카이스 듀 프락티온네멘트 에트 데스 바이오테크놀로지스 소시에테 애너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보라토이레 프란카이스 듀 프락티온네멘트 에트 데스 바이오테크놀로지스 소시에테 애너님 filed Critical 라보라토이레 프란카이스 듀 프락티온네멘트 에트 데스 바이오테크놀로지스 소시에테 애너님
Publication of KR20080093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93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4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005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 A61L2/0011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for pharmaceuticals, biologicals or living parts using physical methods
    • A61L2/0023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4Antihaemorrhagics; Procoagulants; Haemostatic agents; Antifibrinolytic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 Immobilizing And Processing Of Enzymes And Microorganism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 전이 온도에 따라 건조된 생물학적 샘플 내에 존재하거나, 또는 존재할 수 있는 바이러스의 건식 가열에 의한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이러스 불활성화, 건식 가열, 유리 전이 온도

Description

건식 가열에 의한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THE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VIRAL INACTIVATION BY DRY HEATING}
본 발명은 건식 가열에 의한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이러스 감염의 위험은 임의의 고형 생물학적 재료에 존재하며, 이러한 고형 생물학적 재료 또는 그로부터 유래한 제품, 또는 그러한 재료를 사용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품은 치료적 목적 또는 예방적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을 이용하여 바이러스를 불활성화시켜야 한다.
치료적 영역 및 예방적 영역에서, 생물학적 소스로부터 유래하거나, 또는 그들의 제조 과정에서 생물학적 소스에 의해 감염되는 것으로 생각되는 활성 물질이 사용된다.
이들 활성 물질은 지질 또는 탄수화물 기에 의해 치환될 수도 있는 단백질, 펩티드, 폴리펩티드, 항체, 핵산, DNA, RNA, 다당류, 박테리아, 바이러스 입자 또는 기타일 수 있다.
이들이 유래하거나 제조 과정에서 이들을 오염시킬 것으로 생각되는 생물학적 소스는 인간 또는 동물 조직, 혈액, 혈장, 뼈, 임의의 식물 조직, 임의의 미생물, 세포 배양 배지, 바이러스 배양 배지, 박테리아 배양 배지, 효모 배양 배지, 곰팡이 배양 배지 또는 진균류 배양 배지일 수 있다.
따라서, 바이러스 감소 또는 불활성화 단계는 이러한 생물학적 소스로부터 생성된 활성 물질의 추출 단계에 일반적으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 '생물학적 생성물'이라는 용어는, 생물학적 소스로부터 생성된 활성 물질, 및 상기 활성 물질의 제조 과정으로부터 유래하는 다른 화합물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생성물을 의미한다.
화학 제품 및/또는 열을 이용하는 처리에 기초한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은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이들 방법 중 대다수의 방법은 바이러스 불활성화의 효능이 매우 중요한 혈액 수혈 분야에서 유래한 것인데, 그 이유는 어떤 시도가 공여체로부터 얻은 생성물 유래의 가능한 오염을 제거하여야만 하기 때문이다.
가열은 HIV를 불활성화시키기 위해 추천되는 방법인데, 그 이유는 이의 바이러스 기원은 특히 혈액 및 혈장, 및 혈액 유도된 생성물 및 혈장 유도된 생성물인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건식 가열, 즉 건조 생성물을 온도 T에서 t 시간 동안 가열하는 방법이 추천되는데, 예를 들어 액체 형태로 가열되지 않은 응집 인자의 동결건조 농축물(lyophilised 또는 freeze-dried concentrates)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간 혈장으로부터 추출된 혈액 응고 인자 VIII는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동결건조된 상태로 60℃에서 72-96 시간 동안 가열하여 혈우병을 안전하게 치료하기 위해 의도된 생물학적 활성 물질을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건식 가열에 의한 바이러스 불활성화의 일관되지 않은 감소로 인해 이러한 방법은 더 사용할 수 없게 되었는데, 그 이유는 바이러스 불활성화에도 불구하고 HIV 감염에 의한 수회의 혈우병 감염 케이스가 보고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 생성물을 소위 '혹독한(severe)' 가열 조건, 즉 건조 상태로 80℃에서 72 시간 동안 가열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어서, 이러한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은 HIV에 대해서는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이러한 방식으로 처리한 혈액 응고 인자 VIII에 얻은 임상 결과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L. Winkelman et al., Severe Heat Treatment of Lyophilised Coagulation Factors Curr. Stud. Hematol. Blood Transfus. [1989] 56: 55-69).
또한, 용매와 세정제의 혼합물을 이용하는 정제된 단백질의 처리는 생물학적 소스로부터 유래한 단백질 외피로 덮여있는 바이러스(엔벨로프 바이러스)의 전염을 예방하는데 종종 사용된다(Piet et al., Transfusion [1990] 30: 592-98). 이러한 처리는 지질 외피를 보유하고 있는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효과적이지만, 그러한 구조를 갖지 않은 바이러스에 대해서는 효과가 현저히 떨어진다. 최근에는, 용매/세정제를 이용하여 처리한 생물학적 생성물의 이용을 통한 비-엔벨로프 바이러스의 전염을 이용하는 것이 보고되었다. 비-엔벨로프 RNA 바이러스인 A형 간염 바이러스는 용매/세정제로 처리된 인자 VII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전염된다(Purcell et al., Vox Sang [1994] 67: 2-7). 인자 VIII은 또한 비-엔벨로프 파르보바이러스 B19의 전염에 관련되어 있다(Lefrere et al. Lancet [1994] 343: 211-12).
정제된 단백질의 가열 처리는 비-엔벨로프 바이러스에 대한 바이러스 불활성화의 연장 스펙트럼을 위해 추천되는 방법이다. 그러나, 비-엔벨로프 바이러스의 열 불활성화는 일반적으로 엔벨로프 바이러스의 불활성화보다 더 어렵고, 만족스러 운 불활성화를 보장하기 위해 종종 더 긴 처리 및/또는 더 높은 온도를 필요로 한다. B19는 100℃에서 30분 동안 건식 가열한 인자 VIII을 통해 환자에 전염된다(Santagostino et al., Lancet [1994] 343:798).
따라서, 생물학적 생성물의 안정성을 보전하거나 증강시키기 위해 어떻게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을 개선할 것인가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많은 저자들은 건식 가열 바이러스 불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매개변수들을 관찰하려고 시도하였다. 그 목적은 어떤 처리가 처리하려는 고체 재료에 적합한지 여부, 즉 상기 방법이 상기 생성물의 만족스러운 안정성을 보존하면서 충분한 정도로 바이러스를 불활성화시키는지 여부를 예상하는 것이 가능한 물리화학적 매개변수를 결정하는 것이다. 더욱이, 이 매개변수가 바이러스 불활성화 또는 생성물 안정성을 촉진시키도록 조정될 수 있는지 여부는 매우 흥미로운 일이다.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에서 바이러스 감소 인자는 건식 가열에 의한 바이러스 불활성화가 감소되는 인자로서 정의되는데, 환언하면 불활성화 단계 이전에 건식 가열에 의한 바이러스 불활성화와 불활성화 단계 이후에 건식 가열에 의한 바이러스 불활성화의 비의 10을 밑으로 하는 로그로서 정의된다.
수분 함량은 생성물 100 g 당 물질의 중량으로서 정의된다. 그 이유는 전체 중량의 백분율로 표현되기 때문이다. 전통적인 측정 방법은 그의 중량이 일정하게 유지될 때까지 100℃ 이상의 온도에서 가열한 후 생성물의 중량 감소를 결정하는 것이다.
Wilkommen et al. (Paul Ehrlich Institute)는, 수분 함량이 낮은(<0.8%) 동결건조물의 경우, 80℃에서 72 시간 동안 가열에 의해 얻은 A형 간염 바이러스(HAV) 감소 인자는 0 내지 0.4 log10인 반면, 상대적으로 수분 함량이 높은(>0.8%) 동결건조물의 경우, 동일한 조건에서 얻은 A형 간염 바이러스 감소 인자는 4.3 log10 또는 그 이상임을 확인하였다.
Bunch et al. (Alpha Therapeutic Corporation)는 80℃에서 72 시간 동안 가열한 경우, 재조합 인자 VIII A형 간염 바이러스 감소 인자는 ≥6.9 log10임을 확인하였다.
문헌[Roberts PL et al., Biologicals [2000] Sept; 28(3): 185-8 Comparison of the Inactivation of Canine and Bovine Parvovirus by Freeze-Drying and Dry-Heat Treatment in Two High-Purity Factor VIII Concentrates]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인자 VIII 농축물의 2개의 동결건조된 배합물을 80℃에서 72 시간 동안 가열하는 경우, 2개의 파르보바이러스(소 및 개)의 불활성화를 통해 생물학적 생성물의 제제화의 영향 및 바이러스의 내성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Hart HF et al. (Vox Sang [1994] 67(4): 345-50 Effect of Terminal (Dry) Heat Treatment on Non-Enveloped Viruses in Coagulation Factor Concentrates)는 80℃에서 24 시간 동안 또는 90℃에서 2 시간 동안 가열한 인자 VIII 동결건조물에서 동일한 A형 간염 바이러스 감소 인자를 얻었다.
Tomokiyo et al. (Vox Sang [2003] Jan; 84(1): 54-64 Large-Scale Production and Properties of Human Plasma-Derived Activated Factor VII Concentrate)는 인자 VIIa의 동결건조물 내에서 다른 바이러스, 즉 CMV(사이토메갈로바이러스), HIV(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 BVDV(소 바이러스성 설사 바이러스 폴리오바이러스), PPV(돼지 파르보바이러스)의 불활성화를 통해 동결건조물 내의 바이러스 불활성화가 65℃에서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수분 함량이 <1.7%인 생성물을 65℃에서 96 시간 동안 가열하면 PPV를 제외한 모든 바이러스의 경우 >4 log10의 바이러스 감소 인자를 확인하였다.
유럽 특허 출원 EP 0 844 005호에는 80℃에서 72-77 시간 동안의 건식 가열 방법을 통해 바이러스 불활성화의 효능에서 결정적인 요소는 처리하려는 건조된 생물학적 생성물의 잔류 수분 함량이라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테스트한 바이러스는 HAV, 돼지 파르보바이러스 및 슈도라비에스 바이러스였다.
상기 발명자들은 이 방법을 이용하여 ≥4 log10의 바이러스 감소 인자에 다다르기 위해서는 잔류 수분이 0.8% 또는 그 이상이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0.8%의 잔류 수분에서는, 평균 바이러스 감소 인자는 0.12 log10이었다.
기술적 과제
상기한 매우 단편적인 결과에 비추어 보면, 처리하려는 생물학적 생성물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건식 가열에 기초한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을 위한 특징적인 작동 변수를 신뢰할 수 있게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매개변수는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처리하려는 생성물의 수분 함량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하는 점에서는 여러 저자들 간에 어느 정도 공통적인 견해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물론 어떤 저자들은 만족스러운 바이러스 불활성화를 얻기 위한 한계 값으로서 잔류 수분 함량을 고려하는 것에 대해 동의하고 있지 않다. 실제로, 불완전한 불활성화를 초래하기 위해 이러한 값의 단지 10분의 몇 만큼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종종 충분하다.
그러나, 어떤 저자들이 주장하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본 출원인은 바이러스 불활성화는 잔류 수분이 거의 없는 동결건조물 내에서 수행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수분 함량이 0.1%인 인간 피브리노겐의 동결 건조된 제제를 77℃에서 72 시간 동안 건식 가열하였다. A형 간염 바이러스(HAV), 인간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소 바이러스 설사 바이러스(BVDV) 및 돼지 파르보바이러스(PPV)에 대해 얻어진 감소 인자를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표 1]
바이러스 감소 인자
HAV 4.10±0.30
3.75±0.26
HIV 4.53±0.36
4.62±0.30
4.88±0.28
BVDV 5.96±0.40
5.21±0.38
PPV 2.97±0.43
2.88±0.37
이들 여러 가지 관찰들이 산발적인 것은 다음과 같은 한가지 결론을 도출해 낼 수 있다는 의미이다: 처리하려는 생성물의 잔류 수분은 건식 가열에 의한 바이러스 불활성화의 결과를 위해 결정적인 인자는 아니지만, 결정적인 인자가 의존하 는 중요한 인자라는 것이다.
따라서, 문제는 만족스러운 바이러스 불활성화와 만족스럽지 못한 바이러스 불활성화를 구분하는 한계 값을 제공할 수 있는, 측정가능하면서 다원적인 물리화학적 매개변수를 확인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자들은 측정 가능한 물리화학적 매개변수가 처리하려는 생물학적 생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라는 놀라운 사실을 발견하였다.
유리 전이는 이차 전이, 즉 잠열이 아니라 열 용량의 변화와 관련된 열적 전이이다. 이는 결정화가 예방될 정도로 충분히 빠르게 충분히 낮은 온도로 냉각되고, 따라서 유리 또는 비정질 중합체, 또는 경질의 부서지기 쉬운 상태로부터 연질의 가요성 상태로 전이되는 결정질 중합체의 비정질 부분을 형성하는 과냉각된 액체의 특성이다.
유리 전이 온도 또는 Tg는 유리 전이가 일어나는 온도이다.
중합체가 유리 전이 온도 이하의 온도로 냉각되는 경우, 유리와 같이 경질이며 부서지기 쉬운 상태가 되는데, 이를 유리질 상태라 칭한다.
탄성 고무, 예를 들어 폴리이소프렌 및 폴리이소부틸렌은 그들의 유리 전이 온도 이상에서 사용된다. 즉, 이들은 고무질이고, 연질이며, 가요성인 상태에서 사용된다.
상기 유리 전이 온도가 특정 매개변수 세트에 의존한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사실이다. 중합체의 경우, 유리 전이 온도는 그들의 분자량, 사슬의 화학 구조, 및 포함되는 가소화제의 양에 따라 달라진다.
가소화제는 염과 같은 소분자인데, 이들은 중합체 분자 사이에 삽입되어 중합체 분자들이 서로 미끄러지는데 조력함으로써 그들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가소제의 첨가로 유리 전이 온도를 낮출 수 있다.
대조적으로, 고분자량 분자는 그들 중에서 중합체 분자의 이동을 차단하고, 따라서 유리 전이 온도를 상승시킨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유리 전이 온도는 폰 빌레브란트 인자(von Willebrand Factor; vWF)의 주어진 동결 건조물의 수분 함량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동결 건조물의 유리 전이 온도와 그의 잔류 수분과의 관계는 도 1에 그래프로 나타냈다.
따라서, 생물학적 생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는 활성 물질의 특성 및 부형제의 특성, 예를 들어 가소제의 존부, 결정질 또는 비정질 형태, 부형제의 분자량, 및 생물학적 생성물의 잔류 수분에 따라 달라진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건조된 생물학적 생성물 내에 존재하거나 또는 존재할 수 있는 바이러스의 건식 가열에 의한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에 관한 것인데, 본 발명의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은 하기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상기 처리하려는 건조된 생물학적 생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측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에서 측정한 바와 같은 유리 전이 온도(Tg)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인 건식 가열 온도(T)에서 상기 단계 (a) 유래의 처리하려는 건조된 생물학적 생성물을 가열하는 단계.
건조된 생성물은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친숙한 방법, 예를 들어 동결건조법, 진공 건조법, 예비증발법 또는 분무법을 이용하여 건조한 생성물이다.
구체적으로, 건조된 생성물은 동결 건조된 생성물, 즉 일차 냉동되고, 그의 수분 함량 중 적어도 일부는 진공 하에서 후속 승화된 생성물이다.
실제로, 본 발명자들은 바이러스 감소 인자 및 바이러스 불활성화의 동역학 둘 다는 가열 온도가 Tg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인 경우 증가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따라서, 유리 전이 온도 값을 아는 것은 , 불황성화 공정이 만족스러울 것인지,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과정을 적절히 조절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예상을 가능하게 한다.
건조된 생물학적 생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의 측정은 이러한 생성물의 샘플을 -50℃와 +100℃ 사이의 온도에서 점진적으로 그리고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상승시키고, 유리 전이를 포함하는 그의 상태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건조된 생물학적 생성물의 온도기록도 및 놀랍게도 그의 유리 전이 온도가 얻어진다.
유리 전이 온도의 측정은 가열에 기초한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 분야의 일반적인 지식을 이용하여 수행하였으며,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T ≥ Tg라는 요구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 Tg가 온도 T ≥ Tg를 선택하기 위해 관련된 바이러스에 대해 만족스러운지 여부; 또는
- Tg가 요구되는 바이러스 불활성화 및 생성물의 안정성 둘 다를 만족시키는 것을 담보하기 위해 T를 선택할 수 있도록 조정되어야 하는지 여부
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Tg는 T, 예를 들어 Tg ≤ T에서 소정의 바이러스의 불활성화를 위해, 그리고 예를 들어 생성물의 안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너무 낮은 것을 알고 있는 경우,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Tg를 증가시켜 T를 바이러스를 불활성화시키고, 그리고 T와 Tg 사이의 차이를 생성물의 분해를 야기시키도록 그렇게 크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공지된 온도 범위 내로 설정할 것이다.
한편,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Tg는 T ≥ Tg를 위해, 그리고 생성물을 안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너무 크다는 것을 알고 있는 경우, T를 선택하기 이전에 Tg를 낮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물학적 생성물을 위한 건식 가열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은 비-엔벨로프 바이러스의 경우에 특히 적합하다.
이 방법은 건조된 생물학적 생성물로서 1종 이상의 혈액-혈장 추출된 단백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처리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 태양에서, 건식 가열 온도 T는 비-엔벨로프 바이러스의 불활성화가 가능하도록 선택된다.
바람직한 방식에서, 유리 전이 온도는 생물학적 생성물에 고분자량 부형제를 첨가하거나, 또는 생물학적 생성물의 수분을 감소시킴으로써 증가되며; 별법으로, 유리 전이 온도는 염 또는 저분자량 부형제를 생물학적 생성물에 첨가하거나, 또는 생물학적 생성물의 수분을 증가시킴으로써 낮출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리 전이 온도는 시차 주사 열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상 변화는 고려한 온도 범위 내에서 변화가 일어나지않는 불활성 생성물에 대해 측정되는 바와 같이, 칼로리 용량의 변화로서 정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가열 온도 T는 만족스러운 생성물 안정성을 보전하기 위해 Tg 내지 Tg + 20℃ 사이에 포함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 범위 내에서, T는 Tg와 T(최대 Tg + 20℃) 사이의 차이를 증가시킴으로써 바이러스 감소 인자 및 바이러스 불활성화 동력학을 촉진시키거나, 또는 T는 Tg와 T 사이의 차이를 감소시킴으로써 생성물의 안정성을 촉진시키도록 선택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방식에서, 건식 가열 온도 T는 바이러스 감소 인자 ≥ 3 log10, 바람직하게는 4 log10을 얻도록 선택된다.
특정 실시 태양에서, 최종 단계에서는, 건조되고 처리된 생물학적 생성물에서 바이러스 불활성화 효능을 측정하고, 상기 효능이 불충분한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가열 온도 T와 유리 전이 온도 Tg 사이의 차이를 증가시킨 후 건조된 생물학적 생성물의 바이러스 불활성화를 계속 수행한다.
다른 특정 실시 태양에서, 최종 단계에서는, 건조되고 처리된 생물학적 생성물의 안정성을 평가하고, 상기 안정성이 불충분한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가열 온도 T와 유리 전이 온도 Tg 사이의 차이를 감소시킨 후 건조된 생물학적 생성물의 바이러스 불활성화를 계속 수행한다.
도 1은 Tg (유리 전이 온도)와 RM (잔류 수분)의 관계를 나타낸다.
도 2는 Tg에 따른, 62℃에서 건식 가열 후 PR772 잔류 인자를 나타낸다.
도 3은 Tg에 따른, 80℃에서 건식 가열 후 PR772 잔류 인자를 나타낸다.
도 4는 Tg에 따른, 80℃에서 건식 가열 후 PPV 잔류 인자를 나타낸다.
도 5는 T = Tg = 80℃에서 PPV, HAV, BVDV, PR772, Phi174 감소 인자를 나타낸다.
도 6은 T = Tg = 62℃에서 PPV, HAV, BVDV, PR772, Phi174 감소 인자를 나타낸다.
실시예 1: 건식 가열에 의한, 동결건조물내 박테리오파지 PR772의 불활성화
동결건조물의 물리적 특성을 개질하여 유리 전이 온도(Tg)를 조정하였다.
유리 전이 온도는 시차 주사 열분석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차 주사 열분석기의 온도는 인듐(Tm 156.6℃) 및 n-옥타데칸(Tm 28.2℃)을 이용하여 보정하였다. 샘플은 20℃/분의 변화율로 -50℃로부터 130℃까지 처리하였다. 액체 질소를 사용하여 실온 이하의 온도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유리 전이 온도는 명백한 특정 가열에서 흡열 변화의 중점으로서 취하였다. 측정은 2회 수행하였으며, 평균값을 Tg로 하였다.
가열은 Tg 보다 더 낮은 온도(즉, 고체의 유리질 상태에서) 또는 Tg 보다 20℃ 이상의 온도(즉, 점탄성[고무질] 상태)에서 수행하였다.
모든 동결건조물은 함수량이 1% 미만이었다.
함수량은 물과 요오드의 반응에 기초하는,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칼-피셔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생성물 A의 제제화(pH 7.0±0.5)
- 글리신 7.5 g/l
- 라이신 HCl 5.5 g/l
- CaCl2 0.15 g/l
- 만니톨 40 g/l
- 수크로즈 50 g/l
- FVIII 100 IU/ml
생성물 A의 Tg는 62℃였다.
생성물 B는 생성물 A와 동일한 조성이었으나, NaCl이 첨가되었다. 이는 Tg를 약 40℃로 감소시켰다(RM은 동일하였다).
C는 동결 건조된 vWF 농축물이었고, D는 동결 건조된 인간 피브리노겐이었다.
생성물 C의 제제화(pH 7.0±0.5)
- 시트르산 삼나트륨 10 mM
- CaCl2 1 mM
- 글리신 5 g/l
- 아르기닌 HCl 40 g/l
- 알부민 10 g/l
- vWF 100 IU/ml
생성물 D의 제제화 (6.8<Ph<7.2)
- 피브리노겐 11 내지 20 g/l
- 아르기닌 히드로클로라이드 40 g/l
- 이소류신 10 g/l
- 글리신 2 g/l
- 라이신 모노히드로클로라이드 2 g/l
- 시트르산 삼나트륨?2H20 2.5 g/l
생성물 C와 D 각각의 Tg는 80℃ 및 90℃였다.
박테리오파지 PR772에 대한 감소 인자는 62℃ 및 80℃에서 가열하는 동안 12 시간, 24 시간 및 72 시간에서 측정하였다.
건식 가열에 의한 바이러스 불활성화는 문헌[the Federal Gazette No. 84, May 4 1994, and in Schmidt, N.J. & Emmons, R.W. (1989) in Diagnostic Procedures for Viral, Rickettsial and Chlamydial Infection, 6th Edition.]에 기 재되어 있는 Spearman Kaerber 방정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감소 인자는 건식 가열 처리 이전에 ml 당 건식 가열에 의한 바이러스 불활성화와 건식 가열 처리 이후에 ml 당 건식 가열에 의한 바이러스 불활성화의 비율의 결과이다.
측정 결과는 도 2 및 도 3의 그래프에 나타냈다.
하기 사항을 확인할 수 있다:
- T = 80℃에서 가열하는 동안
1. Tg = 62℃ (T - Tg ≒ 20℃)의 생성물 A, 불활성화는 매우 신속했으며, 감소 인자는 24 시간 미만에서 4 log10에 이르렀다.
2. Tg = T의 생성물 C, 감소 인자는 72 시간 후에 4 log10에 이르렀다.
3.Tg = 90℃의 생성물 D, 감소 인자는 72 시간 후에 4 log10에 이르렀다.
- T = 62℃에서 가열하는 동안
1. Tg = T의 생성물 A, 감소 인자는 72 시간 후에 4 log10에 이르렀다.
2. Tg = 40℃ (T - Tg ≒ 20℃)의 생성물 B, 불활성화 역학은 매우 신속하였으며, 감소 인자는 24 시간 미만 내에 4 log10에 이르렀다.
실시예 2: 건식 가열에 의한, 동결건조물내 PPV의 불활성화
PPV 감소 인자는 Tg = 80℃ 또는 90℃의 동결 건조물을 80℃에서 가열하는 동안 12 시간, 24 시간 및 72 시간에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도 4에서 그래프로 나타냈다.
상기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T=80℃에서 가열하는 동안,
- Tg = T 인 경우, 감소 인자는 4 log10에 근접하였고,
- T < Tg 인 경우, 감소 인자는 2 log10으로 상대적으로 낮았다.
실시예 3: T = Tg에서 건식 가열에 의한, 동결건조물내 PPV, HAV, BVDV, PR772 및 Phi174의 불활성화
PPV, HAV, BVDV, PR772 및 박테리오파지 Phi174에 대한 감소 인자는 T = Tg = 80℃(Tg = 80℃인 동결건조물) 또는 T = Tg = 62℃ (Tg = 62℃인 동결건조물)에서 가열하는 동안 12 시간, 24 시간 및 72 시간에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도 5 및 도 6에서 그래프로 나타냈다.
상기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약 내성 바이러스, 즉 HAV, BVDV, Phi174의 경우, T = Tg로 가열하는 것은 24 시간이 경과하고 나서 바로 4 log10의 감소 인자에 이르기에 충분하였다.
대조적으로, 더 내성인 바이러스, 즉 PPV 및 PR772에서, 감소 인자가 4 log10으로 근접하기 위해서 가열 시간을 72 시간으로 연장하여야만 했다.
결과적으로, 이들 더 내성이 바이러스의 경우, 목적은 그들의 불활성화였기 때문에, 바이러스 감소 인자 및 바이러스 불활성화 속도는 가열 온도 T를 증가시키거나, 또는 생성물의 Tg를 감소시켜 T와 Tg 사이의 차이를 증가시킴으로써 증강시킬 수 있었다.
또한, 범위 T - Tg ≥ 20℃는 바이러스 불활성화 속도를 증가시키는 데 바람직할 것이거나, 또는 범위 T-Tg ≤ 20℃는 생성물 안정성을 증강시키는 데 바람직할 것이다.
실시예 4: vWF 동결건조물의 유리 전이 온도의 함수로서 vWF 동결건조물의 물리화학적 특징에 대한 80℃에서 72 시간 동안 가열의 효과
상이한 유리 전이 온도를 가진 3개의 vWF 동결건조물을 80℃에서 72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여러 가지 매개변수, 즉 동결건조물의 외관, 그의 용해 시간 및 생성된 용액의 외관을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표 2]
% RM 0.9 1.7 3.1
Tg (℃) 74 66 42
vWF: Rco (IU/ml) 140 120 105
동결건조물의 외관 정상 약간 오그라듬 매우 오그라듬
용해 시간 (s) 15 35 75
용액의 외관 투명함 투명함 투명함
상기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열 온도 T ≥ Tg 및 T-Tg ≤ 20℃는, 선택된 온도가 유리질 상태로부터 고무질 상태로의 상태 변화를 유도함에도 불구하고, 만족스러운 생성물 안정성을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또한, 가열 온도와 Tg 사이의 너무 중요한 차이, 본 실시예에서 38℃는 생성물 안정성을 위해 바람직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Tg에 더 가깝게 T를 선택하는 경우, 더 큰 생성물 안정성을 기대할 수 있었다.

Claims (15)

  1. 건조된 생물학적 생성물 내에 존재하거나 또는 존재할 수 있는 바이러스의 건식 가열에 의한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으로서,
    (a) 상기 처리하려는 건조된 생물학적 생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Tg)를 측정하는 단계; 및
    (b) 상기 단계 (a)에서 측정한 바와 같은 유리 전이 온도(Tg)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인 건식 가열 온도(T)에서 상기 단계 (a)의 처리하려는 건조된 생물학적 생성물을 가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생물학적 생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Tg)는 건식 가열 이전에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생물학적 생성물이 동결건조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된 생물학적 생성물이 혈장으로부터 추출된 1종 이상의 단백질을 함유하는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가열 온도(T)는 비-엔벨로프 바이러스(non-enveloped virus)의 불활성화가 가능하도록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전이 온도는 상기 생물학적 생성물에 고 분자량 부형제를 첨가하거나, 또는 상기 생물학적 생성물의 수분을 감소시킴으로써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전이 온도는 상기 생물학적 생성물에 염 또는 저 분자량 부형제를 첨가하거나, 또는 상기 생물학적 생성물의 수분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Tg는 시차 주사 열분석기(scanning differential thermoanalyser)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T는 Tg와 Tg+20℃ 사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가열 온도(T)는 바이러스 감소 인자 ≥3 log10를 얻기 위해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건식 가열 온도(T)는 바이러스 감소 인자 ≥4 log10를 얻기 위해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T는 Tg와 T(Tg + 20℃) 사이의 차이를 증가시킴으로써 바이러스 감소 인자 및 바이러스 불활성화 속도를 증강시키기 위해 선택하는 것인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T는 Tg와 T 사이의 차이를 증가시켜 생물학적 생성물 안정성을 촉진하도록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활성화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최종 단계에서, 상기 제10항의 방법으로 처리되고 건조된 생물학적 생성물 내에서 바이러스 불활성화의 효능을 측정하고, 상기 효능이 불충분한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 상기 가열 온도(T)와 상기 유리 전이 온도(Tg) 사이의 차이를 증가시킨 후, 제10항에 따라 건조된 생물학적 생성물의 바이러스 불활성화를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
  15. 제10항에 있어서, 최종 단계에서, 상기 제10항의 방법으로 처리되고 건조된 생물학적 생성물의 안정성을 평가하고, 상기 안정성이 불충분한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 상기 가열 온도(T)와 상기 유리 전이 온도(Tg) 사이의 차이를 증가시킨 후, 상기 제10항에 따라 건조된 생물학적 생성물의 바이러스 불활성화를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
KR1020087016839A 2005-12-19 2006-12-19 건식 가열에 의한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 KR1011620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512875 2005-12-19
FR0512875A FR2894830B1 (fr) 2005-12-19 2005-12-19 Procede d'inactivation virale par chauffage a sec selon la temperature de transition vitreuse
PCT/FR2006/002817 WO2007071845A2 (fr) 2005-12-19 2006-12-19 Procede d'inactivation virale par chauffage a sec selon la temperature de transition vitre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93098A KR20080093098A (ko) 2008-10-20
KR101162060B1 true KR101162060B1 (ko) 2012-07-03

Family

ID=36698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6839A KR101162060B1 (ko) 2005-12-19 2006-12-19 건식 가열에 의한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8252227B2 (ko)
EP (1) EP1981549B1 (ko)
JP (1) JP5085558B2 (ko)
KR (1) KR101162060B1 (ko)
CN (1) CN101355972B (ko)
AT (1) ATE431162T1 (ko)
AU (1) AU2006328804B2 (ko)
BR (1) BRPI0621074B1 (ko)
CA (1) CA2633338C (ko)
DE (1) DE602006006875D1 (ko)
DK (1) DK1981549T3 (ko)
ES (1) ES2327279T3 (ko)
FR (1) FR2894830B1 (ko)
IL (1) IL192194A (ko)
PL (1) PL1981549T3 (ko)
WO (1) WO2007071845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91781A1 (en) 2010-12-30 2013-08-30 Lab Francais Du Fractionnement Glycols as pathogen inactivating agents
CN109444209A (zh) * 2018-10-26 2019-03-08 北京食品科学研究院 一种测量蛋清粉玻璃化转变温度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48817C2 (de) * 1972-10-05 1981-09-24 Bayer Ag, 5090 Leverkusen Polycarbonatmischungen
US4456590B2 (en) * 1981-11-02 1989-05-30 Heat treatment of lyphilized blood clotting factor viii concentrate
GB9424732D0 (en) * 1994-12-08 1995-02-08 Common Services Agency Heat treated blood plasma proteins
US5837519A (en) * 1996-11-21 1998-11-17 Bayer Corporation Dry-heat viral inactivation under controlled moisture conditions
WO1999015638A1 (en) * 1997-09-23 1999-04-01 Ib2, L.L.C. Rapid thermal cycle processing methods and apparatus
CN1286725A (zh) * 1997-11-26 2001-03-07 环球保藏技术股份有限公司 敏感性生物样品的玻化保质法
DK1121015T4 (da) * 1998-10-14 2012-05-21 Katrina T Forest Fremgangsmåde til forglasning af et biologisk materiale
US6982172B2 (en) * 2000-01-04 2006-01-03 University Of Connecticut Oocyte vitrification technique
WO2005011740A1 (en) * 2003-08-05 2005-02-10 Fuji Photo Film B.V. Use of recombinant or synthetic gelatin-like proteins as stabiliser in lyophilize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atley, R.H.M., et al., Stabilisation and delivery of labile materials by amorphous carbohydrates and their derivatives, J.Mol.Cat.B:Enzymatic 7(1999), pp.11-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92194A (en) 2010-12-30
US20090297398A1 (en) 2009-12-03
DE602006006875D1 (de) 2009-06-25
DK1981549T3 (da) 2009-08-17
CN101355972B (zh) 2012-07-04
CA2633338C (en) 2012-02-28
ES2327279T3 (es) 2009-10-27
FR2894830B1 (fr) 2008-04-04
US8252227B2 (en) 2012-08-28
PL1981549T3 (pl) 2009-10-30
WO2007071845A3 (fr) 2007-08-16
KR20080093098A (ko) 2008-10-20
CN101355972A (zh) 2009-01-28
AU2006328804B2 (en) 2012-08-02
WO2007071845A2 (fr) 2007-06-28
BRPI0621074A2 (pt) 2011-11-29
IL192194A0 (en) 2009-02-11
JP5085558B2 (ja) 2012-11-28
FR2894830A1 (fr) 2007-06-22
EP1981549B1 (fr) 2009-05-13
CA2633338A1 (en) 2007-06-28
BRPI0621074B1 (pt) 2016-07-26
EP1981549A2 (fr) 2008-10-22
AU2006328804A1 (en) 2007-06-28
ATE431162T1 (de) 2009-05-15
JP2009519920A (ja) 2009-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03165A (en) Heat treatment of lyophilized plasma fractions
JP5719266B2 (ja) ウイルス不活性化熱処理へ供するための血漿タンパク質の寒冷沈降物を安定化する方法
JP4841018B2 (ja) 生物学的製品の最終滅菌法
JP2001521941A (ja) ウイルス汚染に対する安全性の高いフィブリンのり形成用成分をヒト血漿プールから製造する方法
KR101162060B1 (ko) 건식 가열에 의한 바이러스 불활성화 방법
JP2879427B2 (ja) ウイルスおよびバクテリア汚染物の熱的不活性化中の生物学的および製薬的生成物の安定化
WO1999010011A1 (en) Dried bi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preparations
EP1057490A2 (en) Use of tranexamic acid for the preparation of a human fibrinogen composition
SOUZANGARZADEH et al. Inactivation of poliovirus type-1 and HSV-1 in human coagulation factor VII concentrate by pasteurization
US4845074A (en) Heat treatment of Factor VIII
JP3005979B2 (ja) 蛋白質含有組成物
JPS6210019A (ja) 人血液凝固第9因子含有製剤の加熱処理方法
CZ20001909A3 (cs) Použití tranexamové kyseliny pro výrobu prostředku lidského fibrinogenu a lidský fíbrinogenový prostředek
IE55182B1 (en) Heat treatment of plasma
Zandieh et al. THE ROLE OF VARIOUS STABILIZERS IN THE ACQUISITION OF THERMO-TOLER ANCE IN FACTOR VIII ACTIVITY
MXPA00004085A (en) Use of tranexamic acid for the preparation of a human fibrinogen composition
AU8723198A (en) Dried biologically or therapeutically active preparations
PL162961B1 (pl) Sposób wytwarzania koncentratu IX czynnika krzepnięcia krwi
HU217083B (hu) Vírusinaktivált vérkészítmén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