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1945B1 - 엘보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용접 장치 - Google Patents

엘보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용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1945B1
KR101161945B1 KR1020100024856A KR20100024856A KR101161945B1 KR 101161945 B1 KR101161945 B1 KR 101161945B1 KR 1020100024856 A KR1020100024856 A KR 1020100024856A KR 20100024856 A KR20100024856 A KR 20100024856A KR 101161945 B1 KR101161945 B1 KR 101161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bow
jig
welding
support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4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5620A (ko
Inventor
안영희
왕한우
Original Assignee
왕한우
안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왕한우, 안영희 filed Critical 왕한우
Priority to KR1020100024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1945B1/ko
Publication of KR201101056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56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8/00Welding or cutting not covered by any of the preceding groups, e.g. electrolytic welding
    • B23K28/02Combined welding or cutting procedure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26Controlling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 and the gas tor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8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23K9/324Devices for supplying or evacuating a shielding or a welding powder, e.g. a magnetic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 분야에 사용되는 엘보 지그 및 복합 용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보 지그는, 엘보의 좌우 양측면에서 각각 밀착하는 한 쌍의 엘보 밀착판; 엘보 밀착판 사이에서 좌우로 연장되며, 엘보의 상부 중심 부분에서 밀착하는 상부 중심 밀착봉; 및 엘보 밀착판 사이에서 좌우로 연장되며, 엘보의 하부 전측과 후측 각각에서 밀착하는 한 쌍의 하부 전후 밀착봉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보 지그 및 복합 용접 장치는 엘보를 용접기에 최대한 노출시키며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고, 엘보의 용접 부분을 용접기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용접 장치는 용접 공정을 간단히 하고 용접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용접을 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엘보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용접 장치{elbow jig and complex welding apparatus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용접 분야에 사용되는 엘보 지그 및 복합 용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외 조선 산업 및 플랜트 산업이 초고속으로 성장함에 따라, 이러한 산업 분야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용접재 및 용접 장비들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즉, 조선 산업 및 플랜트 분야에 사용되는 파이프 등이 점차적으로 대형화되며 복잡하게 구성되고 있는 실정이어서, 용접 장비들 또한 단순 용접기에서 벗어나 점차 대형화되고 자동화된 장치로 변모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대소형의 각종 파이프 간에, 그리고 파이프와 연결되는 엘보(elbow), 노즐(nozzle) 등을 용접하기 위한 용접기들은 대형 부품으로 구성되며, 각 구성 부품의 동작이 자동으로 제어되도록 제조되고 있다. 또한, 각종 파이프, 엘보, 노즐 등을 지지하고 고정하는 한편, 원하는 부분을 용이하게 용접하기 위해 파이프 지그(jig), 엘보 지그, 노즐 지그 또한 대형으로 제조되며, 용접물의 위치 및 각도 변경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제조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용접기 및 지그들은 각각이 개별 장치로 제조되어 있기 때문에, 용접물의 크기, 형상 및 위치에 맞추어 사용자가 직접 각 개별 장치를 조합 배치해야 되며, 용접 공정이 서로 다른 부위 또는 서로 다른 종류의 여러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각 공정에 따른 장치로 용접물을 계속해서 이동시켜야 한다. 이에 따라 공정이 복잡해지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사용자의 많은 수고와 불편함을 느끼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종래에 용접기와 지그를 일체로 형성하는 용접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들 장치들은 단순히 용접기와 지그를 일체를 형성한 정도로서 일부 용접물의 일정 부위에만 제한적으로 용접할 수 있어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개별 장치는 용접 분야에 사용하기 위해 일반화된 장치들로서 특수한 형상, 위치에 대해 용접하는 경우 각 개별 장치들의 조합에 의해 용접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특수한 형상, 위치에 대한 용접 장치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 역시 제한적인 용도로만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용접물 중 엘보는 그 형상이 “ㄱ" 또는 “U”와 같이, 중간 부분이 절곡 또는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용접시 엘보를 엘보 지그로부터 노출시키며 단단하게 고정하기가 쉽지 않고, 엘보의 용접 부분을 용접기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없으며, 용접 위치 및 용접 각도의 변경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와 같이 엘보 지그를 용접기와 일체로 형성하는 데에도 많은 문제가 따른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엘보를 용접기에 최대한 노출시키며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엘보 지그 및 복합 용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엘보의 용접 부분을 용접기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용접 위치 및 용접 각도의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엘보 지그 및 복합 용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용접 공정을 간단히 하고 용접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복합 용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용접을 행할 수 있도록 활용도가 높은 복합 용접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에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보 지그는, 엘보의 좌우 양측면에서 각각 밀착하는 한 쌍의 엘보 밀착판; 엘보 밀착판 사이에서 좌우로 연장되며, 엘보의 상부 중심 부분에서 밀착하는 상부 중심 밀착봉; 및 엘보 밀착판 사이에서 좌우로 연장되며, 엘보의 하부 전측과 후측 각각에서 밀착하는 한 쌍의 하부 전후 밀착봉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좌우 측면에서 본 엘보 밀착판의 형상은, 상부가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하부가 직사각 형상의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예각의 부채꼴 형상을 이루며, 상부 중심 밀착봉은 엘보 밀착판 상부에 형성된 장공형 홀을 따라 상하방으로 이동되어 엘보에 밀착하고, 한 쌍의 하부 전후 밀착봉은 엘보 밀착판 하부의 부채꼴 양변 각각을 따라 상하방으로 이동되어 엘보에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엘보 지그는, 최하부에 형성되며 상단에 형성되는 엘보 지그 지지판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엘보 지그 지지대와, 엘보 지그 지지대의 엘보 지그 지지판 상에서 이송안내 스크류바 및 이송 핸들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엘보 지그 이송판과, 엘보 지그 이송판 상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엘보 밀착판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하는 한 쌍의 엘보 밀착판 지지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용접 장치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지지대; 하부 지지대 상에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 이동 지지대; 상하 이동 지지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접기 지지 몸체; 용접기 지지 몸체에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용접기; 와이어 용접기의 상방에서 용접기 지지 몸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립 용접기; 상하 이동 지지대의 전방에서 하부 지지대 상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파이프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파이프 지그; 파이프 지그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하부 지지대에 설치되며, 상단에 형성되는 지그 고정판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그 지지대; 지그 지지대의 지그 고정판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며, 노즐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노즐 지그; 및 지그 지지대의 지그 고정판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며, 엘보를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되, 엘보의 좌우 양측면에서 각각의 엘보 밀착판을 밀착시킨 후 엘보 밀착판 사이에서 좌우로 연장되는 상부 중심 밀착봉 및 한 쌍의 하부 전후 밀착봉을 엘보의 상하부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엘보 지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엘보 지그의 좌우 측면에서 본 엘보 밀착판의 형상은, 상부가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하부가 직사각 형상의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예각의 부채꼴 형상을 이루며, 상부 중심 밀착봉은 엘보 밀착판 상부에 형성된 장공형 홀을 따라 상하방으로 이동되어 엘보에 밀착하고, 한 쌍의 하부 전후 밀착봉은 엘보 밀착판 하부의 부채꼴 양변 각각을 따라 상하방으로 이동되어 엘보에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용접 장치의 엘보 지그는, 지그 지지대의 지그 고정판과 체결되는 엘보 지그 지지판과, 엘보 지그 지지판 상에서 이송안내 스크류바 및 이송 핸들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엘보 지그 이송판과, 엘보 지그 이송판 상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엘보 밀착판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하는 한 쌍의 엘보 밀착판 지지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 용접기의 전단에는 와이어 용접 토치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 용접기 및 스트립 용접기 각각의 후단에는 용접재를 적재하고 전방으로 이송하는 용접재 적재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용접 장치는, 상하 이동 지지대의 후방에 설치되는 용접플럭스 출입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용접플럭스 출입 수단은, 외부로부터 용접 플럭스를 흡입하는 용접플럭스 흡입구와, 흡입된 용접 플럭스를 저장하는 용접플럭스 저장구와, 저장된 용접플럭스를 하방으로 자동 이송하는 용접플럭스 이동 탱크와, 용접플럭스 이동 탱크의 하단에 형성된 용접플럭스 출구와, 용접플럭스 출구의 하방에서 용접플럭스 흡입 블로어(blower), 공기 출구 및 용접플럭스 반송관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용접플럭스를 용접플럭스 저장구로 반송하는 용접플럭스 반송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 용접 장치는 각각의 이동과 회전을 하기 위한 이동 수단 및 회전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서 모터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엘보 지그 및 복합 용접 장치는 엘보를 용접기에 최대한 노출시키며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엘보 지그 및 복합 용접 장치는 엘보의 용접 부분을 용접기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용접 위치 및 용접 각도의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용접 장치는 용접 공정을 간단히 하고 용접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용접 장치는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용접을 행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보 지그를 우측면에서 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보 지그에 엘보를 고정하고 우측면에서 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보 지그에 엘보를 고정하고 전면에서 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용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하 이동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기 지지 몸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용접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용접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 지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플럭스 출입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를 포함한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보 지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보 지그를 우측면에서 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보 지그에 엘보를 고정하고 우측면에서 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보 지그에 엘보를 고정하고 전면에서 본 형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는 도 1의 화살표 A가 위치하는 쪽(도 1의 좌측)을 엘보 지그의 전방으로 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모든 타 방향을 지칭하는 기준으로 삼도록 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보 지그의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보는 방향에 따라 일부 생략됨을 미리 언급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보 지그(100)는 엘보 지그 지지대(110), 엘보 지그 이송판(120), 엘보 밀착판 지지대(130), 엘보 밀착판(140), 상부 중심 밀착봉(150) 및 하부 전후 밀착봉(160)을 포함한다.
엘보 지그 지지대(110)는 엘보 지그(100)의 최하부에 형성되어, 엘보 지그(100)의 다른 구성 요소가 형성되는 토대를 이룬다. 또한, 엘보 지그 지지대(110)는 상단에 형성되는 엘보 지그 지지판(111)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를 위해 도 1과 같이, 엘보 지그 지지판(111)과 체결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이송안내 스크류바(112)와, 전후 이송안내 스크류바(112)의 일단(도 1에서는 전단)에 체결되는 롤러(113)를 구비하고, 롤러(113)를 회전시킴으로써 롤러(113)의 회전에 연동하여 전후 이송안내 스크류바(112)가 회전하게 되고, 전후 이송안내 스크류바(112)의 회전에 연동하여 엘보 지그 지지판(111)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모터(114)를 더 구비하고 롤러(113)의 회전축을 모터(114)와 연결함으로써, 자동으로 엘보 지그 지지판(111)의 전후방 이동 동작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엘보 지그 지지판(111)과 체결되며 부채꼴 또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판(115)과, 회전판(115)의 호(弧) 부분에 체결되는 롤러(116)를 구비하고, 롤러(116)를 회전시킴으로써 롤러(116)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판(115)이 하방으로부터 전방으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판(115)의 회전에 연동하여 엘보 지그판(111)이 상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때, 모터(117)를 구비하고 롤러(116)의 회전축을 모터(117)에 연결함으로써, 자동으로 엘보 지그 지지판(111)의 회전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간단한 구성에 의해 엘보 지그 지지판(111)을 이동 또는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용접기에 대응하는 엘보(10)의 용접 부분을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용접 위치 및 용접 각도를 손쉽게 조절하고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엘보 지그 지지대(110)는 최하단에 바퀴(118)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엘보 지그(100)를 원하는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엘보 지그 이송판(120)은 엘보 지그 지지대(110)의 엘보 지그 지지판(111) 상에서 전후 이송안내 스크류바(121) 및 이송 핸들(122)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엘보 지그 이송판(120)의 전후 방향 이동 동작은 이송 핸들(122)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지며, 이는 엘보 지그 지지판(111)의 자동 동작과 함께 엘보(10)의 전후 방향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예를 들어, 큰 동작은 자동으로 하고 작은 동작은 수동으로 세밀하게 조절하는 등, 필요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 동작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엘보 밀착판 지지대(130)는 한 쌍의 좌우측 엘보 밀칙판 지지대(130a, 130b)로 형성되고, 엘보 지그 이송판(120) 상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엘보 밀착판(14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한다.
도 1의 화살표 A 방향에서 본 엘보 지그(100)를 나타낸 도 3을 참고하면, 우측에 위치하는 엘보 밀착판 지지대(130)가 우측 엘보 밀착판 지지대(130a)이고, 좌측에 위치하는 엘보 밀착판 지지대(130)가 좌측 엘보 밀착판 지지대(130b)이다.
또한, 엘보 밀착판 지지대(130a, 130b)는 하부에 좌우 이송안내 스크류바(131a, 131b)와, 이송 핸들(132a, 132b)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각각이 엘보 지그 이송판(120) 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좌우 방향 이동 동작으로 엘보(10)를 엘보 밀착판(140)을 엘보(10)에 밀착시킬 수 있고, 밀착 후 엘보(10)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엘보 밀착판 지지대(130a, 130b)는 상부에 좌우 이송안내 스크류바(133a, 133b)와, 이송 핸들(134a, 134b)을 구비하는 것에 의해, 엘보 밀착판(140)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체결한다. 상부에 형성되는 좌우 이송안내 스크류바(133a, 133b)와, 이송 핸들(134a, 134b)의 동작으로도 엘보(10)를 엘보 밀착판(140)을 엘보(10)에 밀착시킬 수 있고, 밀착 후 엘보(10)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하부 각각의 좌우 방향 이동 동작은 서로 보완적이며, 세밀한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하부 중 일방은 이송 핸들 대신에 모터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 자동으로 좌우 방향 이동 동작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엘보 밀착판 지지대(130a, 130b)는 상부의 좌우 이송안내 스크류바(133a, 133b)가 형성되는 축 상에 회전판(135a, 135b)과, 회전판(135a, 135b)과 체결되는 롤러(136a, 136b)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엘보 밀착판(140)을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한다. 이에 따라, 엘보(10)를 원하는 용접 각도로 손쉽게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롤러(136a, 136b)에는 모터 또는 회전 핸들(도시하지 않음)을 체결하는 것에 의해 회전 동작을 자동 또는 수동으로 행할 수 있다.
엘보 밀착판(140)은 한 쌍의 좌우측 엘보 밀착판(140a, 140b)으로 형성되며, 각각이 엘보(10)의 좌우 양측면에서 각각 밀착하여 엘보(10)를 측면에서 고정시킨다. 이 밀착 동작은 엘보 밀착판 지지대(130a, 130b)의 하부 이송 핸들(132a, 132b) 또는 상부 이송 핸들(134a, 134b)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좌우 측면에서 본 각각의 엘보 밀착판(140a, 140b)의 형상은, 상부가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하부가 직사각 형상의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예각의 부채꼴 형상을 이룬다. 이와 같은 형상에 의해, 엘보(10)의 좌우 양측면을 용접기에 대응하여 최대한 노출시킬 수 있다. 즉, 엘보 밀착판(140a, 140b)은 엘보 밀착판 지지대(130a, 130b)와 연결되는 축을 중심으로 그 면적을 최소화하는 형상을 가지는 한편, 엘보(10)를 단단히 고정하기 위한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그 면적을 최소화하고 단단히 고정하기 위한 형상은 필요에 따라 변형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부의 직사각 형상과 하부의 부채꼴 형상은 밀착봉을 지지하고 이동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이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부 중심 밀착봉(150)은 좌우측 엘보 밀착판(140a, 140b) 사이에서 좌우로 연장되며, 엘보(10)의 상부 중심 부분에서 밀착하여 엘보(10)를 상부에서 고정시킨다. 이를 위해, 엘보 밀착판(140)의 직사각 형상의 상부에는 상하 방향의 장공형 홀(141)이 형성되며, 상부 중심 밀착봉(150)의 양단을 장공형 홀(141) 내에 밀착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바(142)가 형성된다. 상부 중심 밀착봉(150)은 양단이 각각 장공형 홀(141)에 삽입되고, 장공형 홀(141)을 따라 상하방으로 이동되며, 스크류바(142)에 의해 엘보(10)에 밀착한다. 한편, 도 1에서 상부 중심 밀착봉(150)은 두 개로 구비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하나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부 전후 밀착봉(160)은 좌우측 엘보 밀착판(140a, 140b) 사이에서 좌우로 연장되는 하부 전측 밀착봉(160a)과 하부 후측 밀착봉(160b)으로 구성되며, 각각이 엘보(10)의 하부 전측과 후측에서 밀착하여 엘보(10)를 하부에서 고정한다. 이를 위해, 엘보 밀착판(140)의 부채꼴 형상의 하부에는 양변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의 체결 홈(143)이 형성되며, 일단에 체결 돌기(도 1에서는 세 개로 구성)가 구비되며 타단에 밀착봉 삽입홀이 구비되는 밀착봉 이송구(144)가 형성된다. 하부 전측 밀착봉(160a)과 하부 후측 밀착봉(160b) 각각은, 밀착봉 이송구(144)의 밀착봉 삽입홀에 삽입되고 밀착봉 이송구(144)의 체결 돌기가 복수의 체결 홈(143) 중 일부와 맞물리는 것에 의해, 엘보 밀착판(140) 하부의 양변 가장자리에 체결된다. 또한, 밀착봉 이송구(144)를 이동시켜 맞물리는 체결 홈(143)을 달리하는 것에 의해, 하부 전측 밀착봉(160a)과 하부 후측 밀착봉(160b) 각각은 엘보 밀착판(140) 하부의 부채꼴 양변 각각을 따라 상하방으로 이동되어 엘보(10)에 밀착한다. 한편, 하부 전후 밀착봉(160)을 양변 가장자리에 체결시키며, 양변을 따라 이동시켜 엘보(10)에 밀착할 수 있으면, 체결 홈(143)과 밀착봉 이송구(144) 외에 다른 구성 요소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보 지그(100)는 엘보 밀착판(140), 상부 중심 밀착봉(150) 및 하부 전후 밀착봉(160)을 구비하여, 엘보(10)의 좌우 양측면과, 상부 중심과 하부 전측과 하부 후측을 잇는 삼각 지점에서 밀착함으로써, 엘보를 용접기에 최대한 노출시키며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보 지그(100)는 엘보 지그 지지대(110), 엘보 지그 이송판(120), 엘보 밀착판 지지대(130)을 구비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함으로써, 엘보의 용접 부분을 용접기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용접 위치 및 용접 각도의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보 지그(100)를 사용하면 엘보의 외면 또는 내면 용접, 엘보 육성 용접 등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용접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용접 장치를 우측면에서 본 형상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도 4의 화살표 B가 위치하는 쪽(도 4의 좌측)을 복합 용접 장치의 전방으로 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모든 타 방향을 지칭하는 기준으로 삼도록 한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하 이동 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상하 이동 지지대를 도 4의 화살표 C 방향, 즉 복합 용접 장치의 후측에서 본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기 지지 몸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용접기 지지 몸체를 도 4의 화살표 C 방향, 즉 복합 용접 장치의 후측에서 본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용접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의 와이어 용접헤드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용접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4의 스트립 용접헤드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노즐 지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지그 지지대에서 분리된 상태의 노즐 지그를 우측면과 상측면(도 9의 (a)에서 화살표 D방향)에서 본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플럭스 출입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용접 장치의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각 도면에서 일부 생략됨을 미리 언급한다.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용접 장치는 하부 지지대(400), 상하 이동 지지대(410), 용접기 지지 몸체(420), 와이어 용접기(430), 스트립 용접기(440), 파이프 지그(450), 지그 지지대(460), 노즐 지그(470), 엘보 지그(480) 및 용접플럭스 출입 수단(490)을 포함한다.
하부 지지대(40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복합 용접 장치의 최하부에 형성되어, 복합 용접 장치의 다른 구성 요소가 형성되는 토대를 이룬다. 또한, 하부 지지대(400)는 하부에 바퀴(401)가 형성되어 복합 용접 장치를 이동 가능하게 하며, 전후 방향으로 복수의 지지바(402)가 형성되어 하부 지지대(400)를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한다.
상하 이동 지지대(4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부 지지대(400) 상에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하 이동 지지대(410)는 용접기 지지 몸체(420)를 지지하며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이드 기능을 하기 위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하 이동 지지대(410)는 전후 이송안내 스크류 레일(411)과, 전후 이송안내 스크류 레일(411)에 체결되는 롤러(412) 및 모터(413)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전후 이송안내 스크류 레일(411)에 체결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전후 이송 지지판(414) 상에 좌우 이송안내 스크류바(도시하지 않음), 이송 핸들(415) 및 좌우 이송 지지판(416)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좌우 이송 지지판(416)에는 상하 이동 지지대(410)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하 이동 지지대(410)의 상부에는 용접기 지지 몸체(420)를 지지하고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하 이동 지지대(410) 상부와 용접기 지지 몸체(420) 상부에 각각 형성되는 롤러(417a, 417b)와, 양 롤러(417a, 417b) 사이에 체결되는 체인(418)과, 롤러(417a)를 구동시키는 모터(419)를 구비한다.
용접기 지지 몸체(420)는 와이어 용접기(430)와 스트립 용접기(440)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롤러(417a, 417b), 체인(418) 및 모터(419)에 의해 상하 이동 지지대(410)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용접기 지지 몸체(420)에는, 용접기 지지 몸체(420)를 상하 이동 지지대(410)에 고정하고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롤러(421)가 상하 이동 지지대(410)를 사이에 두고 상하 전후에 각각 형성된다.
와이어 용접기(430)는 와이어 용접을 하기 위한 것으로, 전방의 지그들에 장착될 용접물을 용이하게 용접하기 위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상을 가지며, 용접기 지지 몸체(420)에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와이어 용접기(430)는, 와이어 용접기(430)에 밀착되는 롤러(422)와, 롤러(422)에 연결되는 모터(423)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상하 이송안내 스크류바(424)와, 모터(425)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하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스트립 용접기(440)와의 간격을 조절하고, 용접물의 용접 부위에 정확하고 용이하게 접근시킬 수 있다.
또한, 와이어 용접기(430)의 전단에는 와이어 용접 토치(431)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즉, 상하 이송안내 스크류바(432)와, 이송 핸들(433)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며, 와이어 용접 토치(431)에 체결된 회전판(434)과, 회전판(434)에 체결되는 회전 핸들(435)에 의해 회전 가능하다.
또한, 와이어 용접기(430)의 후단에는 와이어 용접재(43)를 적재하고 전방으로 이송하는 용접재 적재구(436)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와이어 용접을 빠른 속도로 번거로움 없이 할 수 있다.
스트립 용접기(440)는 스트립 용접을 하기 위한 것으로, 전방의 지그들에 장착될 용접물을 용이하게 용접하기 위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 형상을 가지며, 와이어 용접기(430)의 상방에서 용접기 지지 몸체(420)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스트립 용접기(440)는, 스트립 용접기(440)에 밀착되는 롤러(426)와, 롤러(426)에 연결되는 모터(427)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스트립 용접기(440)의 후단에는 스트립 용접재(44)를 적재하고 전방으로 이송하는 용접재 적재구(441)가 일체로 형성되며, 스트립 용접재(44)를 용접재 적재구(441)로부터 스트립 용접헤드(442)까지 안내하고 지지하는 상하측 한 쌍의 롤러(443)가 간격을 두고 형성됨으로써, 스트립 용접을 빠른 속도로 번거로움 없이 할 수 있다.
파이프 지그(450)는 상하 이동 지지대(410)의 전방에서 하부 지지대(410) 상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파이프(45)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한다. 구체적으로, 파이프 지그(450)는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형성된다. 각각의 파이프 지그(450a, 450b)의 하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바퀴(451)와, 파이프(45)를 지지하고 회전시키기 위한 좌우측 한 쌍의 롤러(452, 좌측 롤러 미도시)가 형성되며, 전방의 파이프 지그(450a)에는 파이프 고정구(453)가 형성되고, 후방의 파이프 지그(450b)에는 롤러(452)에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모터(454)가 형성된다.
지그 지지대(460)는 파이프 지그(450)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하부 지지대(410)에 설치되며(도 4에서는 전방에 설치), 상단에 형성되는 지그 고정판(461)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지그 지지대(460)는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엘보 지그 지지대(1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 형상, 구성요소 및 기능을 갖는 것으로, 엘보 지그 지지대(110)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술한 내용을 참고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한편, 지그 지지대(460)의 지그 고정판(461)은 상기의 엘보 지그 지지판(111)에 일부 대응하는 것으로, 엘보 지그(110)에서는 엘보 지그 지지판(111)이 일체의 단판으로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용접 장치에서는 지그 고정판(461)과, 지그 고정판(461)에 고정되는 노즐 지그 지지판(471) 또는 엘보 지그 지지판(481)으로 나누어 구성된다. 이는 지그 지지대(460)에 노즐 지그(470) 또는 엘보 지그(480)를 선택적으로 체결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지그 고정판(461)과 지그 지지판(471, 481)을 구비하는데 나아가 동일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하며, 지그 고정판(461)에는 체결 돌기(461a)를 형성하고 지그 지지판(471, 481)에는 각각 체결 홈(471a, 481a)을 형성하도록 한다.
노즐 지그(470)는 지그 지지대(460)의 지그 고정판(461)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며, 노즐(47)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 지그(470)는 척(chuck)이라고도 일컬어지며, 최하부에는 체결 홈(471a)이 구비되는 노즐 지그 지지판(471)이 형성되어 지그 고정판(461)의 체결 돌기(461a)에 선택적으로 체결된다. 또한, 노즐 지그(470)는 노즐(47)을 지지하고 회전시키는 회전판(472)이 형성되고, 회전판(472)의 하부에 회전판(472)에 연결되는 모터(473)와, 회전판(47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바퀴(474)가 형성되며, 회전판(472)의 상부에 노즐(47)을 고정하는 클로(475, claw)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노즐 지그(470)에 의해 노즐(47)의 외면 또는 내면 용접, 노즐 육성 용접 등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엘보 지그(480)는 최하부에는 체결 홈(481a)이 구비되는 엘보 지그 지지판(481)이 형성되어 지그 고정판(461)의 체결 돌기(461a)에 선택적으로 체결된다. 엘보 지그(480)는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엘보 지그(100)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 형상, 구성요소 및 기능을 가지므로, 엘보 지그 지지대(480)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설명한 엘보 지그(100)를 참고하기로 하고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용접 장치는 용접플럭스 출입 수단(490)을 더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용접플럭스 출입 수단(490)은 용접플럭스(welding flux)를 용이하게 공급하기 위해, 상하 이동 지지대(410)의 후방에서 용접플럭스 출입 수단 지지판(491) 상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을 참고하면, 용접플럭스 출입 수단(490)은 외부로부터 용접 플럭스를 흡입하는 용접플럭스 흡입구(492)와, 흡입된 용접 플럭스를 저장하는 용접플럭스 저장구(493)와, 저장된 용접플럭스를 하방으로 자동 이송하는 용접플럭스 이동 탱크(494)와, 용접플럭스 이동 탱크(494)의 하단에 형성된 용접플럭스 출구(495)와, 용접플럭스 출구(495)의 하방에서 용접플럭스를 용접플럭스 저장구(493)로 반송하는 용접플럭스 반송구(496)를 포함한다. 여기서, 용접플럭스 반송구(496)는 용접플럭스 흡입 블로어(496a, blower), 공기 출구(496b) 및 용접플럭스 반송관(496c)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용접 장치는,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용접을 행할 수 있어 용접 장치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나아가, 용접 공정을 간단히 하고 용접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용접의 편의를 제공하여 근골격 질환 등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용접 장치는 엘보, 노즐, 파이프 등의 용접물을 용접기에 최대한 노출시키며 단단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함으로써, 용접물의 용접 부분을 용접기에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고 용접 위치 및 용접 각도의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용접 장치를 사용하면 용접물의 외면 또는 내면 용접, 육성 용접 등을 정확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일부의 이동 수단 및 회전 수단으로서 모터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용접 장치는 필요에 따라, 상기의 모터 사용 부분 외에도 자동으로 구동하기 위한 이동 수단 및 회전 수단으로서 모터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모터와 상응하는 다른 이동 수단 및 회전 수단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B)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이는 일례로서 와이어 용접기와 스트립 용접기를 사용하고 있으나, 다른 용접기를 더 포함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엘보
43 : 와이어 용접재
44 : 스트립 용접재
45 : 파이프
47 : 노즐
100, 480 : 엘보 지그
110 : 엘보 지그 지지대
111, 481 : 엘보 지그 지지판
112, 121 : 전후 이송안내 스크류바
113, 116, 136a, 136b, 412, 417a, 417b, 421, 422, 426, 443, 452 : 롤러
114, 117, 413, 419, 423, 425, 427, 454, 473 : 모터
115, 135a, 135b, 434, 472 : 회전판
118, 401, 451, 474 : 바퀴
120 : 엘보 지그 이송판
122, 132a, 132b, 134a, 134b, 415, 433 : 이송 핸들
130, 130a, 130b : 엘보 밀착판 지지대
131a, 131b, 133a, 133b : 좌우 이송안내 스크류바
140, 140a, 140b : 엘보 밀착판
141 : 장공형 홀
142 : 스크류바
143, 471a, 481a : 체결 홈
144 : 밀찰봉 이송구
150 : 상부 중심 밀착봉
160, 160a, 160b : 하부 전후 밀착봉
400 : 하부 지지대
402 : 지지바
410 : 상하 이동 지지대
411 : 전후 이송안내 스크류 레일
414 : 전후 이송 지지판
416 : 좌우 이송 지지판
418 : 체인
420 : 용접기 몸체
424, 432 : 상하 이송안내 스크류바
430 : 와이어 용접기
431 : 와이어 용접 토치
436, 441 : 용접재 적재구
435 : 회전 핸들
440 : 스트립 용접기
442 : 스트립 용접헤드
450, 450a, 450b : 파이프 지그
453 : 파이프 고정구
460 : 지그 지지대
461 : 지그 고정판
461a : 체결 돌기
470 : 노즐 지그
471 : 노즐 지그 지지판
475 : 클로
490 : 용접플럭스 출입 수단
491 : 용접플럭스 출입 수단 지지판
492 : 용접플럭스 흡입구
493 : 용접플럭스 저장구
494 : 용접플럭스 이동 탱크
495 : 용접플럭스 출구
496 : 용접플럭스 반송구
496a : 용접플럭스 흡입 블로어
496b : 공기 출구
496c : 용접플럭스 반송관

Claims (11)

  1. 엘보의 좌우 양측면에서 각각 밀착하는 한 쌍의 엘보 밀착판;
    상기 엘보 밀착판 사이에서 좌우로 연장되며, 상기 엘보의 상부 중심 부분에서 밀착하는 상부 중심 밀착봉; 및
    상기 엘보 밀착판 사이에서 좌우로 연장되며, 상기 엘보의 하부 전측과 후측 각각에서 밀착하는 한 쌍의 하부 전후 밀착봉;
    을 포함하며,
    좌우 측면에서 본 상기 엘보 밀착판의 형상은, 상부가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하부가 상기 직사각 형상의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예각의 부채꼴 형상을 이루며,
    상기 상부 중심 밀착봉은 상기 엘보 밀착판 상부에 형성된 장공형 홀을 따라 상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엘보에 밀착하고, 상기 한 쌍의 하부 전후 밀착봉은 상기 엘보 밀착판 하부의 부채꼴 양변 각각을 따라 상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엘보에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 지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최하부에 형성되며, 상단에 형성되는 엘보 지그 지지판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엘보 지그 지지대와,
    상기 엘보 지그 지지대의 엘보 지그 지지판 상에서 이송안내 스크류바 및 이송 핸들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엘보 지그 이송판과,
    상기 엘보 지그 이송판 상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엘보 밀착판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하는 한 쌍의 엘보 밀착판 지지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 지그.
  4.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지지대;
    상기 하부 지지대 상에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하 이동 지지대;
    상기 상하 이동 지지대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용접기 지지 몸체;
    상기 용접기 지지 몸체에 전후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용접기;
    상기 와이어 용접기의 상방에서 상기 용접기 지지 몸체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립 용접기;
    상기 상하 이동 지지대의 전방에서 상기 하부 지지대 상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파이프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파이프 지그;
    상기 파이프 지그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상기 하부 지지대에 설치되며, 상단에 형성되는 지그 고정판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그 지지대;
    상기 지그 지지대의 지그 고정판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며, 노즐을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노즐 지그; 및
    상기 지그 지지대의 지그 고정판에 선택적으로 체결되며, 엘보를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되, 상기 엘보의 좌우 양측면에서 각각의 엘보 밀착판을 밀착시킨 후 상기 엘보 밀착판 사이에서 좌우로 연장되는 상부 중심 밀착봉 및 한 쌍의 하부 전후 밀착봉을 상기 엘보의 상하부에 밀착시켜 고정하는 엘보 지그;
    를 포함하는 복합 용접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엘보 지그의 좌우 측면에서 본 상기 엘보 밀착판의 형상은, 상부가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하부가 상기 직사각 형상의 상부로부터 연장되어 예각의 부채꼴 형상을 이루며,
    상기 상부 중심 밀착봉은 상기 엘보 밀착판 상부에 형성된 장공형 홀을 따라 상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엘보에 밀착하고, 상기 한 쌍의 하부 전후 밀착봉은 상기 엘보 밀착판 하부의 부채꼴 양변 각각을 따라 상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엘보에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접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엘보 지그는,
    상기 지그 지지대의 지그 고정판과 체결되는 엘보 지그 지지판과,
    상기 엘보 지그 지지판 상에서 이송안내 스크류바 및 이송 핸들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엘보 지그 이송판과,
    상기 엘보 지그 이송판 상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엘보 밀착판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전후방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하는 한 쌍의 엘보 밀착판 지지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접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용접기의 전단에는 와이어 용접 토치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접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용접기 및 상기 스트립 용접기 각각의 후단에는 용접재를 적재하고 전방으로 이송하는 용접재 적재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접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동 지지대의 후방에 설치되는 용접플럭스 출입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접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플럭스 출입 수단은,
    외부로부터 용접 플럭스를 흡입하는 용접플럭스 흡입구와,
    상기 흡입된 용접 플럭스를 저장하는 용접플럭스 저장구와,
    상기 저장된 용접플럭스를 하방으로 자동 이송하는 용접플럭스 이동 탱크와,
    상기 용접플럭스 이동 탱크의 하단에 형성된 용접플럭스 출구와,
    상기 용접플럭스 출구의 하방에서 용접플럭스 흡입 블로어(blower), 공기 출구 및 용접플럭스 반송관을 포함하여 형성되며 상기 용접플럭스를 상기 용접플럭스 저장구로 반송하는 용접플럭스 반송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접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이동과 회전을 하기 위한 이동 수단 및 회전 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수단으로서 모터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용접 장치.
KR1020100024856A 2010-03-19 2010-03-19 엘보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용접 장치 KR101161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856A KR101161945B1 (ko) 2010-03-19 2010-03-19 엘보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용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4856A KR101161945B1 (ko) 2010-03-19 2010-03-19 엘보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용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620A KR20110105620A (ko) 2011-09-27
KR101161945B1 true KR101161945B1 (ko) 2012-07-04

Family

ID=44955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4856A KR101161945B1 (ko) 2010-03-19 2010-03-19 엘보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용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19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722A (ko) * 2001-08-22 2003-03-04 이기영 도자기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2395B (zh) * 2012-05-24 2014-07-23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特殊角度弯头制作模具
CN106334897B (zh) * 2015-07-17 2019-09-20 河北汇中管道装备有限公司 板制弯头内外弧双面自动焊机
KR20210046406A (ko) *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용접용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7722A (ko) * 2001-08-22 2003-03-04 이기영 도자기 조리용기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5620A (ko) 2011-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1945B1 (ko) 엘보 지그 및 이를 포함하는 복합 용접 장치
KR101270030B1 (ko) 일체화된 통합제어 자동 용접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772727B1 (ko) 용접 대상물 지지장치
KR101233237B1 (ko) 파이프 자동용접장치
JP6723234B2 (ja) 部品供給用要具保持装置
CN207013883U (zh) 一种钢管螺旋焊缝焊接装置
CN105798493B (zh) 一种排种器腰带组件柔性焊接工作站
CN109623109A (zh) 一种螺旋焊管焊接装置及其使用方法
KR20140000575A (ko) 파이프 용접 장치
CN207119982U (zh) 家电产品底壳自动化生产设备
KR101171577B1 (ko) 파이프 용접 장치
JP2008285956A (ja) 運搬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折板屋根材の施工方法
CN107685192A (zh) 一种电子元件生产整机传动系统
CN115255702A (zh) 一种自动化焊接设备及其焊接工艺
KR200465353Y1 (ko) 용접위치가 변하지 않으면서 토오치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자동용접장치의 토오치뭉치
CN106670634B (zh) 一种金属材料的对接碰焊机
CN106735816B (zh) 一种可以导向自动给进的对接碰焊机
JP2008184317A (ja) 組付コンベヤ装置
KR200472547Y1 (ko) 레이지드 에지 자동용접장치
JP3605250B2 (ja) シーム溶接装置のハンドリング治具
JP2006256799A5 (ko)
JP4726945B2 (ja) ワーク位置決めシステムおよびワーク位置決め方法
KR101240432B1 (ko) 용접용 와이어 이송장치
CN207358381U (zh) 一种电子元件生产整机传动系统
CN111438428A (zh) 一种大直径钢管道快速组装焊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