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1507B1 - 세탁기, 부츠 정화용 보조 기구, 부츠 트레이 및 부츠 어태치먼트 - Google Patents

세탁기, 부츠 정화용 보조 기구, 부츠 트레이 및 부츠 어태치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1507B1
KR101161507B1 KR1020107014142A KR20107014142A KR101161507B1 KR 101161507 B1 KR101161507 B1 KR 101161507B1 KR 1020107014142 A KR1020107014142 A KR 1020107014142A KR 20107014142 A KR20107014142 A KR 20107014142A KR 101161507 B1 KR101161507 B1 KR 1011615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t
drum
opening
tubular body
cylindric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4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9887A (ko
Inventor
사또시 나까무라
마사히로 나이또
야스히로 마쯔사끼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89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9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5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5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3/00Cleaning footwear
    • A47L23/20Devices or implements for drying footwear, also with he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35/001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ozon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08Parti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화용 공기에 의해 부츠를 양호하게 정화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부츠 어태치먼트(30)에서는, 통 형상체(25)가 부츠(70) 내에 여유롭게 삽입되어 있고, 통 형상체(25)의 상단부(43)가 부츠(70)의 신발 입구(70B)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통 형상체(25)의 하부에 형성된 제2 하측 개구(34)가 부츠(70) 내부에 있어서의 발끝 부분(70C)을 향하고 있으며, 통 형상체(25)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하는 도중에는 제1 도중 개구(35) 및 제2 도중 개구(36)가 형성되어 있다. 부츠 어태치먼트(30)에서는 드럼(8) 내로 공급된 정화용 공기가 상단부(43)에 의해 통 형상체(25) 내로 원활하게 도입되어 통 형상체(25) 내를 하강한다. 그리고, 이 정화용 공기는, 제1 도중 개구(35) 및 제2 도중 개구(36) 및 제2 하측 개구(34)로부터 통 형상체(25) 외부에 이르러 부츠(70) 내부로 널리 퍼진다. 이에 의해, 정화용 공기에 의해 부츠(70) 내부가 정화된다.

Description

세탁기, 부츠 정화용 보조 기구, 부츠 트레이 및 부츠 어태치먼트{WASHING MACHINE, BOOT PURIFYING AID, BOOT TRAY AND BOOT ATTACHMENT}
본 발명은, 정화용 공기에 의해 부츠를 정화할 수 있는 세탁기, 및 정화용 공기에 의해 부츠를 정화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부츠 정화용 보조 기구, 부츠 트레이 및 부츠 어태치먼트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 내에 드럼을 갖고, 이 드럼에 세탁물을 수용하여 세탁을 행하는 세탁기가 공지된 사실이다. 또한, 오존을 포함하는 공기(정화용 공기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를 드럼 내로 공급하여, 정화용 공기에 의해 드럼 내의 세탁물의 제균 및 소취(통합하여 정화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를 행하는 세탁기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1에 기재된 세탁기에서는, 통상의 세탁 및 건조와는 독립된 처리로서, 정화용 공기에 의한 세탁물의 정화 운전(에어 워시 운전이라고 불린다)이 행해진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95896호 공보
에어 워시 운전에서는, 세탁기에 의해 통상 세탁되는 의류 외에, 구두나 봉제 인형 등도 정화할 수 있는데, 구두에 있어서는 비즈니스 슈즈나 샌들이나 스니커즈와 같은 비교적 높이가 낮은 것에 한하지 않고, 부츠와 같은 비교적 높이가 높은 것도 정화할 수 있으면 사용하기 편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배경 하에 이루어진 것으로, 정화용 공기에 의해 부츠를 양호하게 정화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정화용 공기에 의해 부츠를 양호하게 정화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부츠 정화용 보조 기구, 부츠 트레이 및 부츠 어태치먼트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세탁 수조와, 상기 세탁 수조 내에, 수평 방향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만큼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면에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출입구를 통하여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 가능한 드럼과,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있어서, 상기 내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고,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을 교반하기 위한 3개의 배플과, 세탁물을 정화하기 위한 정화용 공기를 상기 출입구로부터 상기 드럼 내로 공급하는 정화용 공기 공급 수단과, 1개의 상기 배플이 하한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당해 배플에 걸쳐지듯이 상기 드럼 내에 배치되고, 당해 배플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고, 부츠가 탑재되는 부츠 트레이와, 부츠에 삽입되는 한 쌍의 부츠 어태치먼트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부츠 어태치먼트는, 각각 부츠 내에 여유롭게 삽입되고, 상기 드럼 내로 공급된 정화용 공기가 상부로부터 내부로 들어가 하강하는 통 형상체와, 부츠의 신발 입구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통 형상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 내로 공급된 정화용 공기를 상기 통 형상체 내로 도입하는 도입부와, 부츠 내부에 있어서의 발끝 부분을 향하도록 상기 통 형상체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통 형상체 내의 정화용 공기를 상기 통 형상체 외부에 이르게 하는 하부 개구와, 상기 통 형상체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체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하는 도중에 형성되고, 상기 통 형상체 내의 정화용 공기를 상기 통 형상체 외부에 이르게 하는 도중 개구와, 상기 통 형상체 외부에 이르러 부츠 내부의 정화에 공급된 공기가 상기 통 형상체와 부츠의 내면 사이를 통과하여 부츠의 신발 입구를 향하여 상승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와, 상기 통 형상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부츠 어태치먼트를 일체화시키는 일체화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정화용 공기 공급 수단에 의해 상기 드럼 내에 정화용 공기를 소정 시간 공급하는 동작을 행함으로써, 부츠를 정화하는 정화 운전을 행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세탁 수조와, 상기 세탁 수조 내에,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 가능한 드럼과, 세탁물을 정화하기 위한 정화용 공기를 상기 드럼 내로 공급하는 정화용 공기 공급 수단과, 상기 드럼 내에 배치되고, 부츠가 탑재되는 부츠 트레이와, 부츠에 삽입되는 한 쌍의 부츠 어태치먼트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부츠 어태치먼트는, 각각 상기 드럼 내로 공급된 정화용 공기가 상부로부터 내부로 들어가 하강하는 통 형상체와, 상기 통 형상체 내의 정화용 공기를 상기 통 형상체 외부에 이르게 하는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개구는, 부츠 내부에 있어서의 발끝 부분을 향하도록 상기 통 형상체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개구는, 상기 통 형상체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체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하는 도중에 형성된 도중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도중 개구는, 상기 통 형상체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소정 범위에 형성된 다수의 작은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통 형상체의 외표면에는, 상기 통 형상체의 내측으로 오목해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중 개구는, 상기 오목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6에 기재된 세탁기이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드럼식 세탁기의 드럼 내에 수용되는 부츠 정화용의 보조 기구이며, 상기 드럼 내에 세트되어, 부츠를 탑재하기 위한 부츠 트레이와, 상기 부츠 트레이에 탑재하는 부츠 내에 삽입할 수 있는 통 형상체이며, 그 상단부에 드럼 내로 공급되는 정화용 공기를 내부로 도입하는 도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에 내부로 도입된 정화용 공기를 부츠 내의 발끝 방향으로 흘리기 위한 하부 전방측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그 측면에는 내부로 도입된 정화용 공기가 측방으로 흘러 나올 수 있는 다수의 작은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부츠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츠 정화용 보조 기구이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내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 세탁물을 교반하기 위한 3개의 배플을 갖는 회전 가능한 드럼과, 세탁물을 정화하기 위한 정화용 공기를 상기 드럼 내로 공급하는 정화용 공기 공급 수단을 구비한 세탁기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부츠 트레이이며, 1개의 상기 배플이 하한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당해 배플에 걸쳐지듯이 상기 드럼 내에 배치되고, 당해 배플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고, 부츠가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츠 트레이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부츠를 수납하는 부츠 수납고와, 부츠를 정화하기 위한 정화용 공기를 상기 부츠 수납고 내로 공급하는 정화용 공기 공급 수단을 구비한 부츠 수납 장치에서 사용되는 부츠 어태치먼트이며, 부츠 내에 삽입되고, 상기 부츠 수납고 내로 공급된 정화용 공기가 상부로부터 내부로 들어가 하강하는 통 형상체와, 상기 통 형상체 내의 정화용 공기를 상기 통 형상체 외부에 이르게 하는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츠 어태치먼트이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은, 부츠의 신발 입구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통 형상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부츠 수납고 내로 공급된 정화용 공기를 상기 통 형상체 내로 도입하는 도입부와, 상기 통 형상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부츠 어태치먼트를 일체화시키는 일체화 기구를 갖고, 상기 개구는, 부츠 내부에 있어서의 발끝 부분을 향하도록 상기 통 형상체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부츠 어태치먼트이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은, 부츠의 신발 입구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통 형상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부츠 수납고 내로 공급된 정화용 공기를 상기 통 형상체 내로 도입하는 도입부와, 상기 통 형상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부츠 어태치먼트를 일체화시키는 일체화 기구를 갖고, 상기 개구는, 상기 통 형상체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체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하는 도중에 형성된 도중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0에 기재된 부츠 어태치먼트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이 세탁기에서는, 3개의 배플 중 1개의 배플이 하한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당해 배플에 걸쳐지듯이 부츠 트레이가 드럼 내에 배치된다. 이때, 당해 배플을 부츠 트레이의 수용부에 수용시킴으로써 부츠 트레이가 드럼 내에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이 부츠 트레이에 부츠가 탑재되고, 부츠에는 한 쌍의 부츠 어태치먼트가 삽입된다. 여기서, 3개의 배플은 드럼의 내주면에 있어서 내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1개의 배플이 하한에 위치하면, 나머지 배플은 드럼 내에 있어서 부츠 트레이에 탑재된 부츠 및 부츠 어태치먼트의 상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이들의 나머지 배플이 부츠 및 부츠 어태치먼트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드럼 내에 있어서의 부츠 및 부츠 어태치먼트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각 부츠 어태치먼트에서는, 통 형상체가 부츠 내에 여유롭게 삽입되어 있고, 통 형상체의 상부에 설치된 도입부가 부츠의 신발 입구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통 형상체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개구가 부츠 내부에 있어서의 발끝 부분을 향하고 있으며, 통 형상체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하는 도중에는 도중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부츠 어태치먼트에서는, 정화용 공기 공급 수단에 의해 드럼 내로 공급된 정화용 공기가 도입부에 의해 통 형상체 내로 도입되어 통 형상체 내를 하강한다. 그리고, 이 정화용 공기는, 도중 개구 및 하부 개구로부터 통 형상체 외부에 이르러 부츠 내부로 널리 퍼진다. 이에 의해, 정화용 공기에 의해 부츠 내부가 정화된다.
그리고, 통 형상체 외부에 이르러 부츠 내부의 정화에 공급된 공기는, 정화용 공기(예를 들어 오존)에 비하여 가벼워, 안내부에 의해 통 형상체와 부츠의 내면 사이를 통과하여 부츠의 신발 입구를 향하여 상승하도록 안내되므로, 부츠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된다. 이에 의해, 새로운 정화용 공기를 통 형상체 내로 원활하게 도입할 수 있다.
또한, 통 형상체의 상부에 설치된 일체화 기구에 의해, 부츠에 삽입된 한 쌍의 부츠 어태치먼트를 일체화시키면, 이들의 부츠 어태치먼트가 서로 지지하므로, 부츠 내부의 정화 중에 있어서, 이들의 부츠 어태치먼트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이들의 결과, 이 세탁기에서는, 정화용 공기에 의해 부츠를 양호하게 정화할 수 있다. 특히, 하부 개구로부터 통 형상체 외부에 이른 정화용 공기는, 부츠 내부에 있어서의 발끝 부분을 향하므로, 정화용 공기에 의해 발끝 부분을 양호하게 정화할 수 있다. 또한, 도중 개구로부터 통 형상체 외부에 이른 정화용 공기는, 부츠 내부에 있어서, 통 형상체의 상부부터 하부까지의 사이에 상당하는 부분을 향하므로, 정화용 공기에 의해 이 부분을 양호하게 정화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제어 수단에 의해, 드럼 내에 정화용 공기를 소정 시간 공급하는 정화 운전이 실행되므로, 부츠를 양호하게 정화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이 세탁기에서는, 부츠 트레이가 드럼 내에 배치되고, 이 부츠 트레이에 부츠가 탑재되고, 부츠에는 한 쌍의 부츠 어태치먼트가 삽입된다. 각 부츠 어태치먼트에서는, 정화용 공기 공급 수단에 의해 드럼 내로 공급된 정화용 공기가 통 형상체 내로 들어가 통 형상체 내를 하강한다. 그리고, 이 정화용 공기는, 개구로부터 통 형상체 외부에 이르러 부츠 내부로 널리 퍼진다. 이와 같이, 이 세탁기에서는, 정화용 공기에 의해 부츠를 양호하게 정화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개구는, 부츠 내부에 있어서의 발끝 부분을 향하도록 통 형상체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개구를 포함한다. 그로 인해, 하부 개구로부터 통 형상체 외부에 이른 정화용 공기는, 부츠 내부에 있어서의 발끝 부분을 향하므로, 정화용 공기에 의해 발끝 부분을 양호하게 정화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개구는, 통 형상체에 있어서, 통 형상체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하는 도중에 형성된 도중 개구를 포함한다. 그로 인해, 도중 개구로부터 통 형상체 외부에 이른 정화용 공기는, 부츠 내부에 있어서, 통 형상체의 상부부터 하부까지의 사이에 상당하는 부분을 향하므로, 정화용 공기에 의해 이 부분을 양호하게 정화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도중 개구는, 통 형상체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소정 범위에 형성된 다수의 작은 구멍을 포함하므로, 통 형상체 내의 정화용 공기를, 이들의 작은 구멍을 통하여, 통 형상체 외부에 원활하게 이르게 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도중 개구는, 통 형상체의 내측으로 오목해지도록 통 형상체의 외표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부츠의 내면이 통 형상체의 외표면에 접촉해도 부츠의 내면에 의해 도중 개구가 막히지는 않는다. 그로 인해, 통 형상체 내의 정화용 공기를, 도중 개구를 통하여 통 형상체 외부에 원활하게 이르게 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이 부츠 정화용 보조 기구에서는, 부츠 트레이가 드럼 내에 세트되고, 이 부츠 트레이에 부츠가 탑재되고, 부츠 내에는 부츠 어태치먼트가 삽입된다. 부츠 어태치먼트에서는, 그 상단부로 도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에 하부 전방측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그 측면에는 다수의 작은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부츠 어태치먼트에서는, 드럼 내로 공급된 정화용 공기가 도입구로부터 내부로 도입된다. 이 정화용 공기는, 하부 전방측 개구로부터 부츠 내의 발끝 방향으로 흐르므로, 부츠 내의 발끝 부분을 양호하게 정화할 수 있다. 또한, 이 정화용 공기는, 다수의 작은 관통 구멍으로부터 부츠 어태치먼트의 측방으로 흘러 나오므로, 부츠 내부에 있어서 부츠 어태치먼트의 측방에 상당하는 부분을 양호하게 정화할 수 있다.
즉, 이러한 부츠 정화용 보조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정화용 공기에 의해 부츠를 양호하게 정화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세탁기에서는, 3개의 배플 중 1개의 배플이 하한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당해 배플에 걸쳐지듯이 부츠 트레이가 드럼 내에 배치된다. 이때, 당해 배플을 부츠 트레이의 수용부에 수용시킴으로써 부츠 트레이가 드럼 내에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이 부츠 트레이에 부츠가 탑재된다.
여기서, 3개의 배플은, 드럼의 내주면에 있어서 내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1개의 배플이 하한에 위치하면, 나머지 배플은 드럼 내에 있어서 부츠 트레이에 탑재된 부츠의 상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이들의 나머지 배플이 부츠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드럼 내에 있어서의 부츠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정화용 공기를 드럼 내의 부츠에 효과적으로 끼얹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부츠 트레이를 사용함으로써, 정화용 공기에 의해 부츠를 양호하게 정화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이 부츠 수납 장치에서는 부츠 수납고에 부츠가 수납되고, 부츠 어태치먼트의 통 형상체가 부츠 내에 삽입되어 있고, 정화용 공기 공급 수단에 의해 부츠 수납고 내로 공급된 정화용 공기가 통 형상체 내로 들어가 통 형상체 내를 하강한다. 그리고, 이 정화용 공기는, 개구로부터 통 형상체 외부에 이르러 부츠 내부로 널리 퍼진다.
즉, 이러한 부츠 어태치먼트를 사용함으로써, 정화용 공기에 의해 부츠를 양호하게 정화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부츠 어태치먼트에서는, 통 형상체의 상부에 설치된 도입부가 부츠의 신발 입구로부터 노출되어 있으므로, 정화용 공기 공급 수단에 의해 부츠 수납고 내로 공급된 정화용 공기가 도입부에 의해 통 형상체 내로 원활하게 도입된다.
또한, 통 형상체의 상부에 설치된 일체화 기구에 의해, 부츠에 삽입된 한 쌍의 부츠 어태치먼트를 일체화시키면, 이들의 부츠 어태치먼트가 서로 지지하므로, 부츠 내부의 정화 중에 있어서, 이들의 부츠 어태치먼트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개구는, 부츠 내부에 있어서의 발끝 부분을 향하도록 통 형상체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개구를 포함한다. 그로 인해, 하부 개구로부터 통 형상체 외부에 이른 정화용 공기는, 부츠 내부에 있어서의 발끝 부분을 향하므로, 정화용 공기에 의해 발끝 부분을 양호하게 정화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부츠 어태치먼트에서는, 통 형상체의 상부에 설치된 도입부가 부츠의 신발 입구로부터 노출되어 있으므로, 정화용 공기 공급 수단에 의해 부츠 수납고 내로 공급된 정화용 공기가 도입부에 의해 통 형상체 내로 원활하게 도입된다.
또한, 통 형상체의 상부에 설치된 일체화 기구에 의해, 부츠에 삽입된 한 쌍의 부츠 어태치먼트를 일체화시키면, 이들의 부츠 어태치먼트가 서로 지지하므로, 부츠 내부의 정화 중에 있어서, 이들의 부츠 어태치먼트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개구는, 통 형상체에 있어서, 통 형상체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하는 도중에 형성된 도중 개구를 포함한다. 그로 인해, 도중 개구로부터 통 형상체 외부에 이른 정화용 공기는, 부츠 내부에 있어서, 통 형상체의 상부부터 하부까지의 사이에 상당하는 부분을 향하므로, 정화용 공기에 의해 이 부분을 양호하게 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세탁기(1)의 우측 단면도이다.
도 2는 에어 워시 운전에 있어서의 제어에 관한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부츠 어태치먼트(30)를 정면 우측 상단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부츠 트레이(31)를 정면 우측 상단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부츠 어태치먼트(30)의 좌측면도이며, 도 5의 (b)는 부츠 어태치먼트(30)의 정면도이며, 도 5의 (c)는 부츠 어태치먼트(30)의 우측면도이며, 도 5의 (d)는 부츠 어태치먼트(30)의 배면도이며, 도 5의 (e)는 부츠 어태치먼트(30)의 평면도이며, 도 5의 (f)는 부츠 어태치먼트(30)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부츠 어태치먼트(30)의 후방측 부품(41)에 연결 기구(48)를 설치하는 모습을 배면 우측 상단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의 (a)는 연결 기구(48)를 정면 좌측 상단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7의 (b)는 연결 기구(48)의 저면도이며, 도 7의 (c)는 연결 기구(48)를 정면 우측 하단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부츠 어태치먼트(30)를 배면 우측 상단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부츠 어태치먼트(30)가 삽입된 한 쌍의 부츠(70)가 부츠 트레이(31)에 탑재된 상태를 정면 우측 상단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부츠 어태치먼트(30)가 삽입된 한 쌍의 부츠(70)가 탑재된 부츠 트레이(31)를 수용한 상태에 있는 드럼(8)의 우측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 화살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B-B 화살표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세탁기(1)(부츠 수납 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 기능 외에 건조 기능도 갖는 세탁 건조기나, 건조 기능만을 갖는 건조기에도 적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세탁기(1)의 우측 단면도이다. 또한, 방향에 대하여 언급하는 경우에는, 도시한 방향 화살표를 참조한다(그 외의 도면에 있어서도 마찬가지). 여기서, 전방측과 정면측은 동일하고, 후방측과 배면측은 동일하고, 좌우 방향과 폭 방향은 동일하다.
1. 세탁기의 전체 구성
도 1을 참조하면, 세탁기(1)는 그 외부 케이스를 구성하는 약간 세로로 긴 직육면체 형상의 하우징(2)을 갖는다. 하우징(2)의 내부에는, 세탁물을 수용하는 세탁조(3)가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2)의 정면(전방면) 대략 중앙에는, 원형 형상의 개구(4)가 형성되고, 또한 개구(4)를 개폐 가능한 도어(5)가 구비되어 있다. 도어(5)는 주 표면이 예를 들어 투명한 강화 유리나 투명한 수지로 구성된 대략 원추 사다리꼴이다.
하우징(2)의 정면 상부(도어(5)의 상방)에는, 조작?표시부(6)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표시부(6)에는 복수의 조작 키(도시하지 않음) 및 표시기(도시하지 않음)가 배열되어 있으며, 조작 키(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함으로써 세탁기(1)의 운전을 제어할 수 있고, 표시기(도시하지 않음)에는 세탁기(1)의 운전 상황이 표시된다.
세탁조(3)는 대략 원통 형상의 내주면을 갖는 외조(7)(세탁 수조)와, 외조(7) 내에 설치된 원통 형상의 드럼(8)(부츠 수납고)을 포함하고 있다. 드럼(8)의 원 중심을 이루는 회전축(9)은, 수평 방향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만큼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드럼(8)은, 외조(7) 내에 있어서 회전축(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회전축(9)은, 수평 방향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전방측 상방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외조(7)의 배면에는 DD 모터(10)가 설치되어 있으며, DD 모터(10)의 출력 축(11)이 드럼(8)의 후방벽의 원 중심 부분(회전축(9)이 통과하는 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DD 모터(10)가 구동됨으로써 외조(7) 내에서 드럼(8)이 회전된다. 즉, 이 세탁기(1)는 드럼식 세탁기이다.
드럼(8)의 원주벽에는 다수의 관통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의 관통 구멍을 통하여 드럼(8) 내부와 외조(7) 내부는 연통되어 있다.
드럼(8)의 내주면에는, 3개의 배플(12)이 설치되어 있다. 3개의 배플(12)은, 드럼(8)의 내주면에 있어서, 그 내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배플(12)은, 회전축(9)을 따라 길며, 회전축(9)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배플(12)의 선단부(돌출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는 후방측으로 갈수록 드럼(8)의 둘레 방향으로 어긋나면서 회전축(9)에 접근하고 있다. 즉, 배플(12)의 선단부는, 전단부(12A)와 후단부(12B)가 둘레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가 다르고, 후단부(12B)에 있어서 회전축(9)측으로 가장 돌출되어 있다.
드럼(8)에 있어서, 회전축(9)이 연장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전방 단부면에는, 출입구(13)가 형성되어 있다. 출입구(13)는 하우징(2)의 개구(4)에 대향하고 있으며, 개구(4) 및 출입구(13)를 통하여 세탁물이 드럼(8) 내에 대하여 출납된다.
상술한 도어(5)는 개구(4)를 폐쇄했을 때에 출입구(13)를 막는다(출입구(13)에 뚜껑을 덮는다). 도어(5)는, 상술한 바와 같이 대략 원추 사다리꼴 형상이며, 도어(5)가 개구(4)를 폐쇄한 상태에 있어서, 도어(5)의 원추면(5A)은 개구(4)와 출입구(13)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원추면(5A)은 완전한 원추면일 필요는 없으며, 도중 부분이 계단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한편, 도어(5)는 개구(4)를 개방했을 때에 출입구(13)를 정면에 개방한다.
상기 세탁기(1)에서는, 세탁 운전, 헹구기 운전 및 건조 운전이 실시된다.
세탁 운전에서는, 외조(7)에 세제를 포함한 물(세제물이라고 한다)이 저류된다. 외조(7)에 저류된 세제물은 드럼(8) 내에 도달하여 드럼(8)에 수용된 세탁물의 오염을 분해한다. 세탁 운전에서는, 드럼(8)이 회전하여, 회전하는 배플(12)에 의해 드럼(8) 내의 세탁물이 들어 올려져 자연 낙하한다는, 소위 드럼식 세탁이 행해진다. 여기서, 배플(12)은 세탁물을 교반하고 있다.
헹구기 운전에서는, 드럼(8) 내의 세탁물에 세제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물이 끼얹어져 세탁물로부터 세제 성분이나 오염 성분이 제거된다. 또한, 세제 성분 및 오염 성분이 제거된 세탁물에 유연제를 포함한 물이 끼얹어져도 좋다. 또한, 헹구기를 촉진시키기 위해, 드럼(8)이 회전하여 배플(12)에 의해 세탁물이 교반되어도 좋다.
건조 운전에 대하여, 하우징(2)에 있어서 세탁조(3)의 상측에는 히터(14) 및 송풍기(1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에는 히터(14) 및 송풍기(15)로부터 개구(4)의 상단부와 출입구(13)의 상단부 사이로 연장되는 공기 유로(16)가 형성되어 있다.
건조 운전에서는, 히터(14)에 의해 가열된 공기(가열 공기라고 한다)가 송풍기(15)에 의해 공기 유로(16)로 토출된다. 공기 유로(16)로 토출된 가열 공기는, 개구(4)의 상단부와 출입구(13)의 상단부 사이에 도달하고 나서, 도어(5)의 원추면(5A)에 부딪힘으로써 출입구(13)로 도입되어, 출입구(13)로부터 드럼(8) 내로 보내어진다(도시된 굵은 선 화살표 참조). 그리고, 드럼(8) 내로 보내어진 가열 공기가 세탁물 내의 수분을 기화시킴으로써, 세탁물의 건조가 행해진다. 또한, 건조를 촉진하기 위해 드럼(8)이 회전하여, 배플(12)에 의해 세탁물이 교반되어도 좋다.
2. 오존 공급 장치
이 세탁기(1)에는 송풍기(15)의 근방(즉 세탁조(3)의 상측)에 오존 발생 장치(17)가 구비되어 있다. 오존 발생 장치(17)는 후술하는 에어 워시 운전(정화 운전) 시에 오존을 발생시켜 드럼(8) 내의 세탁물을 제균?소취하는 에어 워시에 기여한다.
또한, 에어 워시란, 드럼(8) 내에 수용된 세탁물에 대하여, 오존(정화용 공기)을 포함하는 공기를 공급하여, 오존에 의해 세탁물에 부착된 잡균 등의 제균 및 소취를 행하는 처리이며, 상술한 세탁 운전, 헹구기 운전 및 건조 운전과는 다른 독립된 처리이다. 에어 워시에서는, 오존을 포함하는 공기(에어)에 의해, 세탁물이 마치 에어로 세탁되고, 제균?소취가 되는 것처럼 되기 때문에, 본원 출원인은, 오존을 사용하여 행하는 세탁물의 제균?소취를 에어 워시라고 칭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에어 워시 운전은 건조 운전과 함께 실행되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에어 워시 운전 시에는, 송풍기(15) 및 오존 발생 장치(17)가 작동한다. 오존 발생 장치(17)에 의해 발생된 오존이, 송풍기(15)에 의해 공기 유로(16)로 토출되어, 건조 운전 시에 있어서의 가열 공기와 마찬가지로, 공기 유로(16) 및 출입구(13)로부터 드럼(8) 내로 소정 시간 보내어진다. 이에 의해, 드럼(8) 내에 수용된 세탁물이 오존을 포함하는 공기에 의해 제균?소취(정화)된다. 또한, 세탁물의 정화를 촉진하기 위해, 드럼(8)이 회전하여 배플(12)에 의해 세탁물이 교반되어도 좋다. 그리고, 송풍기(15), 공기 유로(16) 및 오존 발생 장치(17)는 정화용 공기 공급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도 2는 에어 워시 운전에 있어서의 제어에 관한 전기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에어 워시 운전에서는 하우징(2) 내에 설치된 제어부(18)(제어 수단)에 의해, 송풍기(15) 및 오존 발생 장치(17)가 제어된다. 제어부(18)는 조작?표시부(6), 드럼(8)(DD 모터(10)), 송풍기(15) 및 오존 발생 장치(17) 각각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조작?표시부(6)에 있어서, 유저가 에어 워시 운전을 실행시키기 위한 조작 키(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면, 그 조작에 따라 제어부(18)는 송풍기(15) 및 오존 발생 장치(17)를 작동시켜 에어 워시 운전을 실행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제어부(18)는 드럼(8)을 회전시킨다(DD 모터(10)를 구동시킨다).
3. 부츠 어태치먼트 및 부츠 트레이
도 3은 부츠 어태치먼트(30)를 정면 우측 상단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부츠 트레이(31)를 정면 우측 상단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에 있어서, 도 5의 (a)는, 부츠 어태치먼트(30)의 좌측면도이며, 도 5의 (b)는 부츠 어태치먼트(30)의 정면도이며, 도 5의 (c)는 부츠 어태치먼트(30)의 우측면도이며, 도 5의 (d)는 부츠 어태치먼트(30)의 배면도이며, 도 5의 (e)는 부츠 어태치먼트(30)의 평면도이며, 도 5의 (f)는 부츠 어태치먼트(30)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부츠 어태치먼트(30)의 후방측 부품(41)에 연결 기구(48)를 설치하는 모습을 배면 우측 상단에서 본 사시도이다.
이 세탁기(1)에 있어서 에어 워시 운전으로 정화되는 세탁물에는, 통상 상정되는 의류 외에, 구두나 봉제 인형 등이 포함된다. 또한, 구두에 관하여, 이 세탁기(1)에서는, 비즈니스 슈즈나 샌들이나 스니커즈와 같은 비교적 높이가 낮은 것에 한하지 않고, 부츠와 같은 비교적 높이가 높은 것도 에어 워시 운전으로 정화할 수 있다.
세탁기(1)에서는, 부츠를 에어 워시 운전으로 정화하기 위한 부츠 정화용 보조 기구로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부츠 어태치먼트(30) 및 부츠 트레이(31)가 설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츠 어태치먼트(30)는 부츠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부츠 트레이(31)는 세탁기(1)의 드럼(8)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1) 부츠 어태치먼트
부츠 어태치먼트(30)는 1켤레의 부츠에 따라 1쌍 설치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츠 어태치먼트(30)는, 예를 들어 수지제이며, 세로로 긴 대략 중공 원통 형상의 통 형상체(25)를 갖고 있다.
통 형상체(25)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츠에 삽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통 형상체(25)의 몸통 둘레의 치수(굵기)는 일반적인 몸통 둘레를 갖는 부츠에 여유롭게 삽입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통 형상체(25)의 높이 치수(상하 방향 치수)는 일반적인 높이를 갖는 부츠에 통 형상체(25)를 삽입했을 때에, 통 형상체(25)의 상단부가 부츠의 신발 입구로부터 노출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통 형상체(25)는, 하방으로 갈수록 점차 가늘어지고, 하단부에 있어서 약간 굵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통 형상체(25)에는, 상측 개구(32)(도입구)와, 제1 하측 개구(33)(개구)와, 제2 하측 개구(34)(개구, 하부 개구 및 하부 전방측 개구)와, 제1 도중 개구(35)(개구 및 도중 개구)와, 개구 및 도중 개구로서의 제2 도중 개구(36)(도 6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 개구(32), 제1 하측 개구(33), 제2 하측 개구(34), 제1 도중 개구(35) 및 제2 도중 개구(36)는 통 형상체(25)의 내부(중공 부분)에 연통되어 있다.
상측 개구(32)는 통 형상체(25)의 상단부에 있어서, 상방에 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하측 개구(33)는 통 형상체(25)의 하단부에 있어서, 하방에 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하측 개구(34)는 통 형상체(25)의 전방측면(통 형상체(25)의 안내부로서의 외표면(25A)에 있어서의 전방측 부분)의 하단부에 있어서, 전방에 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도중 개구(35)는 통 형상체(25)의 전방측면에 있어서의, 상측 개구(32)와 제2 하측 개구(34) 사이의 상하 방향의 소정 범위에 있어서, 즉 통 형상체(25)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하는 도중에 있어서, 전방에 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도중 개구(35)는 다수의 작은 구멍(37)(작은 관통 구멍)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작은 구멍(37)이 1조가 되고, 이 조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1조의 작은 구멍(37)에 있어서의 각 작은 구멍(37)의 크기는 하방의 작은 구멍(37)으로 갈수록 커지고 있다.
제1 도중 개구(35)에 관하여, 통 형상체(25)의 전방측면에 있어서의, 상측 개구(32)와 제2 하측 개구(34) 사이에는 통 형상체(25)의 내측(후방측)으로 오목해지는 제1 오목부(38)(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오목부(38)는 상하 방향으로 길다. 제1 도중 개구(35)는 제1 오목부(38)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도중 개구(35)는 통 형상체(25)의 전방측면(외표면(25A))에 있어서, 제1 오목부(38) 이외의 부분에 비하여 한층 오목해진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제2 도중 개구(36)는, 도 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 형상체(25)의 후방측면(통 형상체(25)의 외표면(25A)에 있어서의 후방측 부분)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1 도중 개구(35)와 거의 동일한 영역에(도 5의 (b) 참조), 후방에 면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2 도중 개구(36)는 제1 도중 개구(35)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작은 구멍(37)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도중 개구(36)에 관하여, 통 형상체(25)의 후방측면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 제1 오목부(38)와 거의 동일한 영역에는 통 형상체(25)의 내측(전방측)으로 오목해지는 제2 오목부(39)(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오목부(39)는 제1 오목부(38)와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으로 길다. 제2 도중 개구(36)는 제2 오목부(39)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도중 개구(36)는 통 형상체(25)의 후방측면(외표면(25A))에 있어서, 제2 오목부(39) 이외의 부분에 비하여 한층 오목해진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통 형상체(25)는 전후 방향 대략 중앙 위치를 경계로 하여, 전방측 부품(40)과 후방측 부품(41)으로 전후로 분할 가능하다.
전방측 부품(40)은, 상하 방향으로 길며, 평면에서 보아 전방측으로 팽출되는 대략 원호 형상이다(도 5의 (e) 및 도 5의 (f) 참조). 전방측 부품(40)에, 상술한 제2 하측 개구(34), 제1 도중 개구(35) 및 제1 오목부(3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측 부품(40)의 상단부 가장자리가, 상측 개구(32)의 전방측 절반을 구획하고, 전방측 부품(40)의 하단부 가장자리가, 제1 하측 개구(33)의 전방측 절반을 구획한다. 전방측 부품(40)의 상단부 가장자리(상세하게는, 전방측 부품(40)의 상단부(42)의 상단부 가장자리)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상측으로 팽출되는 대략 원호 형상이며, 폭 방향으로부터 보면 비스듬하게 전방측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도 5의 (a) 및 도 5의 (c) 참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측 부품(41)은 상하 방향으로 길며, 평면에서 보아 후방측으로 팽출되는 대략 원호 형상이다(도 5의 (f) 참조). 후방측 부품(41)에, 상술한 제2 도중 개구(36) 및 제2 오목부(39)가 형성되어 있다(도 5의 (d) 참조). 또한, 후방측 부품(41)의 상단부 가장자리가 상측 개구(32)의 후방측의 절반을 구획하고, 후방측 부품(41)의 하단부 가장자리가 제1 하측 개구(33)의 후방측의 절반을 구획한다.
도 5의 (d)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측 부품(41)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는 오목 부분(41A)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 부분(41A)은, 후방측 부품(41)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편측의 단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3개, 즉 후방측 부품(41)의 폭 방향의 양단부에서 6개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 부분(41A)에는 관통 구멍(58)(도 6 참조)이 형성되어 있고, 나사(57)가 관통 구멍(58)에 후방측으로부터 통과되어, 전방측 부품(40)에 부착된다(도 5의 (c) 참조). 이에 의해, 전방측 부품(40)과 후방측 부품(41)이 일체화된다.
후방측 부품(41)의 상단부(43)(도입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측 부품(40)과 후방측 부품(41)이 일체화된 상태에 있어서, 전방측 부품(40)의 상단부(42)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있다(도 5의 (a), 도 5의 (b) 및 도 5의 (c)도 참조). 상단부(43)는 후방측 부품(41)에 있어서 상단부(43)보다 하측의 부분에 비하여 두껍다. 상단부(43)의 후방측면 주변은, 전체적으로 둥그스름하며(도 8 참조), 상단부(43)의 후방측면은 상측을 향하여 후방측으로 만곡되어 있다(도 5의 (a) 및 도 5의 (c) 참조). 상단부(43)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좌측 부분(44) 및 우측 부분(45)은 중공으로 되어 있다.
좌측 부분(44) 및 우측 부분(45) 각각의 폭 방향 외측면에는, 둥근 구멍(46)이 형성되어 있으며(도 5의 (a) 및 도 5의 (c) 참조), 좌측 부분(44) 및 우측 부분(45) 각각의 후방측면에는 직사각형 구멍(47)이 형성되어 있다(도 5의 (d) 및 도 6 참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 부분(45)의 둥근 구멍(46) 및 직사각형 구멍(47)은 우측 부분(45)의 내부(중공 부분)에 연통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좌측 부분(44)의 둥근 구멍(46) 및 직사각형 구멍(47)은 좌측 부분(44)의 내부(중공 부분)에 연통되어 있다.
우측 부분(45)의 내부에는, 우측 부분(45)의 전방측벽의 후방측면(45A)이 노출되어 있으며, 후방측면(45A)의 상하 방향 대략 중앙에는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리브(5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후방측면(45A)에 있어서, 리브(54)의 하방에는, 직사각형 구멍(47)을 향하여 후방측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의 보스(55)가 설치되어 있다. 보스(55)의 후단부면은, 직사각형 구멍(47)으로부터 후방측으로 노출되어 있으며, 보스(55)의 후단부면에는 나사 구멍(55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브(54) 및 보스(55)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좌측 부분(44)의 내부에도 설치되어 있다.
좌측 부분(44) 및 우측 부분(45) 각각의 내부에는, 연결 기구(48)가 설치된다.
(2) 연결 기구
도 7에 있어서, 도 7의 (a)는 연결 기구(48)를 정면 좌측 상단에서 본 사시도이며, 도 7의 (b)는 연결 기구(48)의 저면도이며, 도 7의 (c)는 연결 기구(48)를 정면 우측 하단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부츠 어태치먼트(30)를 배면 우측 상단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의 (a) 내지 도 7의 (c)를 참조하면, 연결 기구(48)는 좌측 부분(44) 및 우측 부분(45)에 따라 2개 설치되어 있다.
연결 기구(48)는 좌측 부분(44) 및 우측 부분(45) 각각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를 갖고 있다. 연결 기구(48)는 일체화 기구로서의 마그네트(49)와, 마그네트 홀더(50)와, 캡(51)을 포함하고 있다.
마그네트(49)는 원기둥 형상이며, 그 중심축이 폭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마그네트 홀더(50)는 폭 방향에서 보아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볼록 형상이며(도 7의 (a) 참조), 제1부(52)와 제2부(53)를 일체적으로 갖고 있다.
제1부(52)는 직사각형 구멍(47)(도 6 참조)을 정확히 막을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상하 방향으로 긴 블록 형상이다. 제1부(52)의 하단부에는 제1부(52)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52A)이 형성되어 있다. 제1부(52)의 후방측면 주변은, 상단부(43)의 후방측면과 마찬가지로, 둥그스름해져 있다(도 6 및 도 8 참조).
제2부(53)는 폭 방향에 있어서 얇은 판상이며, 제1부(52)의 전방측면에 있어서 관통 구멍(52A)보다 상측의 부분으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부(53)의 전단부는, 만곡 형상으로 모따기되어 있다.
캡(51)은 폭 방향에 있어서 얇으며, 폭 방향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의 판상이다(도 7의 (c) 참조). 캡(51)의 폭 방향 내측의 면(도 7의 (b)에서는 좌측면)에는 함몰 부분(51A)이 형성되어 있다(도 7의 (b) 참조). 캡(51)의 폭 방향 외측의 면(도 7의 (b)에서는 우측면)에 있어서 함몰 부분(51A)에 상당하는 부분은 함몰 부분(51A)에 따라 폭 방향 외측으로 팽출되어 있어, 팽출 부분(51B)으로 된다. 팽출 부분(51B)은, 폭 방향 외측에서 보아 상술한 후방측 부품(41)의 좌측 부분(44) 및 우측 부분(45)의 둥근 구멍(46)(도 5의 (a), 도 5의 (c) 및 도 6 참조)과 거의 동일한 크기의 원 형상이다. 캡(51)의 전단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약간 간격을 두고 서로 대향하면서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한 쌍의 돌기(51C)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도 7의 (a) 및 도 7의 (c) 참조).
여기서, 마그네트 홀더(50)의 제2부(53)의 폭 방향 외측의 면(도 7의 (b)에서는 우측면)의 전단부에는 마그네트(49)의 폭 방향 내측의 단부(도 7의 (b)에서는 좌측단부)가 분리 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마그네트(49)의 폭 방향 외측의 단부(도 7의 (b)에서는 우측단부)가 캡(51)의 함몰 부분(51A)에 매립되어 있다(도 7의 (b) 참조). 그로 인해, 연결 기구(48)에서는 마그네트(49), 마그네트 홀더(50) 및 캡(51)이 일체화되어 있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후방측 부품(41)의 우측 부분(45)의 내부에 연결 기구(48)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수순을 설명한다. 또한, 좌측 부분(44)의 내부에 연결 기구(48)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수순은, 우측 부분(45)의 내부에 연결 기구(48)를 수용하여 고정하는 수순과 동일하다.
우선, 캡(51)의 전단부(돌기(51C))가 연결 기구(48)의 전단부에 위치하고, 또한 캡(51)의 팽출 부분(51B)이 연결 기구(48)에 있어서 폭 방향 외측(도 6에서는 좌측)에 위치하도록 연결 기구(48)를 우측 부분(45)의 직사각형 구멍(47)의 후방에 유지시킨다. 그리고, 연결 기구(48)를 전방측(도시 파선 화살표 참조)으로 이동시켜 직사각형 구멍(47)으로부터 우측 부분(45)의 내부에 삽입한다. 그리고, 캡(51)에 있어서의 한 쌍의 돌기(51C)가 우측 부분(45) 내의 리브(54)를 협지하고, 리브(54)의 후단부가 한 쌍의 돌기(51C) 사이에 있어서의 캡(51)의 전단부 가장자리에 접촉되면, 연결 기구(48)의 이동이 정지되어 연결 기구(48)가 우측 부분(45)의 내부에 수용된다(도 8 참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기구(48)가 우측 부분(45)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는 캡(51)의 팽출 부분(51B)이 우측 부분(45)의 둥근 구멍(46)에 간극없이 삽입되어, 이 둥근 구멍(46)으로부터 폭 방향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마그네트 홀더(50)의 제1부(52)가 직사각형 구멍(47)(도 6 참조)을 후방측으로부터 간극없이 막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제1부(52)의 후방측면은, 우측 부분(45)의 후방측면에 있어서의 직사각형 구멍(47)의 주위 부분에 대하여 원활하게 연속되어 있다. 또한, 제1부(52)의 관통 구멍(52A)과, 직사각형 구멍(47)으로부터 후방측으로 노출된 보스(55)의 후단부면의 나사 구멍(55A)이 전후 방향에 대향하고 있다(도 6 참조). 그로 인해, 나사(56)를 관통 구멍(52A)에 통과시켜 나사 구멍(55A)에 부착함으로써 제1부(52)가 보스(55)에 연결된다. 즉, 연결 기구(48)가 우측 부분(45)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우측 부분(45)(후방측 부품(41))에 고정된다. 또한, 좌우의 연결 기구(48)에 있어서, 캡(51)은 좌측 부분(44) 및 우측 부분(45)(즉 후방측 부품(41))과 일체화되어 있어도 된다. 그 경우, 좌측 부분(44) 및 우측 부분(45)에는, 상술한 둥근 구멍(46)이 형성되지 않는다.
(3) 부츠 트레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츠 트레이(31)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의 접시 형상이다. 즉, 부츠 트레이(31)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 판상의 저벽(60)과, 저벽(60)의 모든 외주연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여 저벽(60)의 상측면을 전후좌우 방향으로부터 둘러싸는 울타리 벽(61)을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부츠 트레이(31)의 후단부에 있어서의 울타리 벽(61)의 폭 방향 중앙 부분은, 전방측으로 오목해져 있어, 오목 부분(62)으로 된다. 그리고, 저벽(60)에 있어서, 평면에서 보아 대략 중앙으로부터 오목 부분(62)까지의 부분이, 상측으로 팽출되어 있어, 팽출 부분(63)으로 된다. 팽출 부분(63)은 오목 부분(62)에 접근함에 따라(즉, 후방측으로 갈수록), 서서히 폭이 넓어지고, 또한 서서히 상측으로 팽출되어 있다. 저벽(60)의 상측면은, 팽출 부분(63)에 의해 좌측 영역(60A)과 우측 영역(60B)으로 좌우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저벽(60)의 하측면에 있어서 팽출 부분(63)과 일치하는 부분에는 팽출 부분(63)에 대응하여 상측으로 오목해지는 함몰 부분(60C)(수용부)이 형성되어 있다.
(4) 부츠의 에어 워시 운전
도 9는, 부츠 어태치먼트(30)가 삽입된 한 쌍의 부츠(70)가 부츠 트레이(31)에 탑재된 상태를 정면 우측 상단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은 부츠 어태치먼트(30)가 삽입된 한 쌍의 부츠(70)가 탑재된 부츠 트레이(31)를 수용한 상태에 있는 드럼(8)의 우측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A-A 화살표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B-B 화살표의 단면도이다.
이어서, 부츠의 에어 워시 운전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츠 트레이(31)의 저벽(60)의 상측면에 1켤레의 부츠(70)를 탑재한다. 이때, 정면에서 보아 좌측의 부츠(70)는 저벽(60)의 상측면의 좌측 영역(60A)에 탑재되고, 정면에서 보아 우측의 부츠(70)는 저벽(60)의 상측면의 우측 영역(60B)에 탑재된다. 그리고, 한 쌍의 부츠 어태치먼트(30)(상세하게는 통 형상체(25)) 중 한 쪽의 부츠 어태치먼트(30)가 좌측의 부츠(70)에 삽입되고, 다른 쪽의 부츠 어태치먼트(30)가 우측의 부츠(70)에 삽입된다. 또한, 각 부츠 어태치먼트(30)는 좌우의 부츠(70)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 각 부츠(70)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 형상체(25)가 여유롭게 삽입되어 있다. 즉, 통 형상체(25)의 외표면(25A)(상세하게는, 통 형상체(25)의 상단부보다 하측의 부분)이 부츠(70)의 내주면(상세하게는 부츠(70)의 발뒤꿈치 부분(70A)보다 상측의 내주면)에 대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고 있다.
또한, 통 형상체(25)의 하단부가, 부츠(70)의 내부에 있어서의 발뒤꿈치 부분(70A)에 접촉되어 있으며, 통 형상체(25)는 부츠(70) 내에서 바로 선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통 형상체(25)의 상단부(전방측 부품(40)의 상단부(42) 및 후방측 부품(41)의 상단부(43))가 부츠(70)의 신발 입구(70B)로부터 상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여기서, 전방측 부품(40)의 상단부(42)는 후방측 부품(41)의 상단부(43)보다 전방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부츠(70)에 삽입된 통 형상체(25)에서는, 제1 하측 개구(33)가 부츠(70)의 내부에 있어서의 발뒤꿈치 부분(70A)에 상부로부터 대향하고, 제2 하측 개구(34)가 부츠(70)의 내부에 있어서의 발끝 부분(70C)을 향하고 있다. 또한, 제1 도중 개구(35)는 부츠(70)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전방측 부분에 면하고, 제2 도중 개구(36)는 부츠(70)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후방측 부분을 향하고 있다.
그리고, 좌우 각각의 부츠(70)에 부츠 어태치먼트(30)의 통 형상체(25)를 삽입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보아 좌측 부츠(70)에 삽입된 부츠 어태치먼트(30)에 있어서의 우측의 연결 기구(48)와, 정면에서 보아 우측의 부츠(70)에 삽입된 부츠 어태치먼트(30)에 있어서의 좌측의 연결 기구(48)가 폭 방향에 있어서 인접한다. 여기서, 각 연결 기구(48)에는 마그네트(49)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도 7의 (a) 내지 도 7의 (c) 참조), 좌측 부츠 어태치먼트(30)에 있어서의 우측의 연결 기구(48)와, 우측의 부츠 어태치먼트(30)에 있어서의 좌측의 연결 기구(48)가 각각의 마그네트(49)의 자력에 의해 서로 끌어 당겨진다. 이에 의해, 좌우 한 쌍의 부츠 어태치먼트(30)가 일체화된다. 그리고, 이렇게 일체화된 좌우의 부츠 어태치먼트(30)가 서로 지지함으로써 각각의 부츠 어태치먼트(30)의 통 형상체(25)가 부츠(70) 내에서 안정되게 바로 선다(도 12 참조).
그리고, 부츠 어태치먼트(30)(통 형상체(25))가 삽입된 부츠(70)가 탑재된 부츠 트레이(31)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기(1)의 드럼(8) 내에 수용(세트)한다. 여기서, 부츠 트레이(31)를 드럼(8) 내에 수용하기에 앞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8)을 손으로 움직이게 하거나 함으로써, 3개의 배플(12) 중 하나를 하한으로 이동시킨다. 3개의 배플(12)은, 상술한 바와 같이 드럼(8)의 내주면에 있어서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1개의 배플(12)을 하한으로 이동시키면, 드럼(8)의 내주면에 있어서 하한의 배플(12X)과 상하 방향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나머지 배플(12Y 및 12Z)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하한에 있는 배플(12X)에 상측으로부터 걸쳐지듯이 부츠 트레이(31)를 드럼(8) 내에 배치한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한에 있는 배플(12X)의 후단부(12B)(도 1 참조)가 부츠 트레이(31)의 함몰 부분(60C)에 끼워 맞추어져, 함몰 부분(60C)에 의해 수용된다. 이에 의해, 부츠 트레이(31)가 드럼(8) 내에서 위치 결정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1개의 배플(12X)을 하한으로 이동시키면, 드럼(8)의 내주면에 있어서 하한의 배플(12X)과 상하 방향에 대향하는 위치에 나머지 배플(12Y 및 12Z)이 존재하지 않는다(도 11 참조). 즉, 나머지 배플(12Y 및 12Z)은 드럼(8) 내에 있어서 부츠 트레이(31)에 탑재된 부츠(70) 및 부츠 어태치먼트(30)의 상단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의해, 이들의 나머지 배플(12Y 및 12Z)이 부츠(70) 및 부츠 어태치먼트(30)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드럼(8) 내에 있어서의 부츠(70) 및 부츠 어태치먼트(30)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부츠 어태치먼트(30)가 삽입된 부츠(70)가 탑재된 부츠 트레이(31)를 드럼(8) 내에 수용하고 나서, 도어(5)(도 1 참조)를 폐쇄하고, 에어 워시 운전을 실행한다. 이 경우, 드럼(8)이 회전하면 부츠 어태치먼트(30), 부츠 트레이(31) 및 부츠(70)가 드럼(8) 내에서 산란되어 버리므로, 상술한 제어부(18)(도 2 참조)는 드럼(8)을 회전시키지 않는다.
부츠의 에어 워시 운전은, 상술한 의류용의 통상의 에어 워시 운전보다 장시간(예를 들어 60분간) 실시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존을 포함한 공기(정화용 공기)가 공기 유로(16)로부터, 개구(4)의 상단부와 출입구(13)의 상단부 사이에 도달하여 도어(5)의 원추면(5A)에 부딪힘으로써 출입구(13)로 도입되어, 출입구(13)로부터 드럼(8) 내로 보내어진다(도시된 굵은 선 화살표 참조).
도 10을 참조하면, 드럼(8) 내로 보내어진 정화용 공기는, 드럼(8) 내를 후방측으로 흐른다(도시된 굵은 선 화살표 참조). 그리고, 이 정화용 공기는 부츠(70)의 신발 입구(70B)로부터 상측으로 밀려 나온 부츠 어태치먼트(30)의 통 형상체(25)의 상단부(전방측 부품(40)의 상단부(42) 및 후방측 부품(41)의 상단부(43))에 전방측으로부터 부딪힌다.
여기서, 전방측 부품(40)의 상단부(42)에 부딪힌 정화용 공기는, 도 12의 굵은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흐르는 방향이 하방으로 변경되어, 부츠(70)의 신발 입구(70B)를 향한다. 그리고, 이 정화용 공기는, 신발 입구(70B)를 경유한 후에, 통 형상체(25)와 부츠(70)의 내주면에 있어서의 전방측 부분 사이를 자중에 의해 하강하여 부츠(70)의 내부로 널리 퍼진다.
한편, 후방측 부품(41)의 상단부(43)에 부딪힌 정화용 공기는 도 12에 있어서 굵은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흐르는 방향이 하방으로 변경되어 상측 개구(32)를 향한다. 그리고, 이 정화용 공기는, 상측 개구(32)에 의해 통 형상체(25)의 내부로 도입되어 통 형상체(25)의 내부로 들어가(수용되어), 통 형상체(25)의 내부를 자중에 의해 하강한다. 이와 같이, 상단부(43)는 정화용 공기를 통 형상체(25) 내로 도입한다. 그리고, 통 형상체(25)의 내부를 하강하는 정화용 공기의 일부는 하강하는 도중에 있어서, 제1 도중 개구(35) 및 제2 도중 개구(36)의 작은 구멍(37)으로부터 통 형상체(25)의 외부로 흘러 나가, 통 형상체(25)의 전후측방(즉, 통 형상체(25)와 부츠(70)의 내주면 사이)에 이른다. 통 형상체(25)의 내부를 하강하여 제1 하측 개구(33)까지 도달한 정화용 공기는 제1 하측 개구(33)로부터 통 형상체(25)의 외부로 흘러 나가 부츠(70)의 내부에 있어서의 발뒤꿈치 부분(70A)에 이른다. 통 형상체(25)의 내부를 하강하여 제2 하측 개구(34)까지 도달한 정화용 공기는 제2 하측 개구(34)로부터 통 형상체(25)의 외부로 흘러 나가 부츠(70)의 내부에 있어서의 발끝 방향(발끝 부분(70C))으로 흐른다. 이와 같이, 통 형상체(25) 내의 정화용 공기는 부츠(70)의 내부로 널리 퍼진다.
부츠(70)의 내부로 널리 퍼진 정화용 공기는, 부츠(70)의 내부를 정화한 후, 굵은 일점 쇄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통 형상체(25)와 부츠(70)의 내주면 사이를 통과하여 부츠(70)의 신발 입구(70B)를 향하여 상승하고, 신발 입구(70B)로부터 부츠(70)의 외부로 흘러 나온다. 이때, 통 형상체(25)의 외표면(25A)이 정화용 공기의 상승을 안내한다. 또한, 통 형상체(25)의 외표면(25A)에 정화용 공기의 상승을 가이드하기 위한 리브나 홈 등을 형성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이 부츠 어태치먼트(30)에서는, 드럼(8) 내로 공급된 정화용 공기가 상단부(43)에 의해 통 형상체(25) 내로 원활하게 도입되어 통 형상체(25) 내를 하강한다(굵은 실선 화살표 참조). 그리고, 이 정화용 공기는, 제1 도중 개구(35), 제2 도중 개구(36), 제1 하측 개구(33) 및 제2 하측 개구(34)로부터 통 형상체(25) 외부에 이르러 부츠(70) 내부로 널리 퍼진다(굵은 실선 화살표 참조). 이에 의해, 정화용 공기에 의해 부츠(70) 내부가 정화된다.
그리고, 통 형상체(25) 외부에 이르러 부츠(70) 내부의 정화에 공급된 공기(부츠(70) 내부의 정화에 수반하여 오존이 분해됨으로써 오존을 대부분 포함하지 않는 공기)는 오존(즉, 상측 개구(32)로부터 통 형상체(25) 내로 들어간 당초의 정화용 공기)에 비하여 가벼워, 통 형상체(25)의 외표면(25A)에 의해 통 형상체(25)와 부츠(70)의 내면 사이를 통과하여 부츠(70)의 신발 입구(70B)를 향하여 상승하도록 안내되므로, 부츠(70)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된다(굵은 일점 쇄선의 화살표 참조). 이에 의해, 부츠(70) 내에 있어서의 정화용 공기의 흐름이 부드러워지므로 새로운 정화용 공기를 통 형상체(25) 내로 원활하게 도입할 수 있다.
또한, 통 형상체(25)의 상부에 설치된 연결 기구(48)의 마그네트(49)(도 7의 (a) 내지 도 7의 (c) 및 도 8 참조)에 의해, 부츠(70)에 삽입된 한 쌍의 부츠 어태치먼트(30)를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화시키면, 이들의 부츠 어태치먼트(30)가 서로 지지한다. 그로 인해, 부츠(70) 내부의 정화 중에 있어서, 이들의 부츠 어태치먼트(30)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부츠 트레이(31)를 사용하여 배플(12Y 및 12Z)이 부츠(70) 및 부츠 어태치먼트(30)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도, 부츠(70) 및 부츠 어태치먼트(30)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도 11 참조). 그로 인해, 정화용 공기를 드럼(8) 내의 부츠(70)에 효과적으로 끼얹을 수 있다.
이들의 결과, 이 세탁기(1)에서는 이러한 부츠 어태치먼트(30) 및 부츠 트레이(31)를 사용함으로써, 정화용 공기에 의해 부츠(70)를 양호하게 정화할 수 있다.
특히,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측 개구(34)로부터 통 형상체(25) 외부에 이른 정화용 공기는, 부츠(70) 내부에 있어서의 발끝 부분(70C)을 향하므로, 정화용 공기에 의해 발끝 부분(70C)을 양호하게 정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도중 개구(35) 및 제2 도중 개구(36)로부터 통 형상체(25) 외부에 이른 정화용 공기는 부츠(70) 내부에 있어서, 통 형상체(25)의 상부부터 하부까지의 사이에 상당하는 부분(부츠 어태치먼트(30)의 전후 측방)을 향하므로, 정화용 공기에 의해 이 부분을 양호하게 정화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도중 개구(35) 및 제2 도중 개구(36)는 통 형상체(25)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소정 범위에 형성된 다수의 작은 구멍(37)을 포함하므로, 통 형상체(25) 내의 정화용 공기를, 이들의 작은 구멍(37)을 통하여 통 형상체(25) 외부로 원활하게 이르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도중 개구(35) 및 제2 도중 개구(36)(즉 작은 구멍(37))는, 통 형상체(25)의 내측으로 오목해지도록 통 형상체(25)의 외표면(25A)에 형성된 제1 오목부(38) 및 제2 오목부(39)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부츠(70)의 내면이 통 형상체(25)의 외표면(25A)에 접촉해도, 부츠(70)의 내면에 의해 제1 도중 개구(35) 및 제2 도중 개구(36)가 막히지는 않는다. 그로 인해, 통 형상체(25) 내의 정화용 공기를, 제1 도중 개구(35) 및 제2 도중 개구(36)를 통하여 통 형상체(25) 외부에 원활하게 이르게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도 2 참조)에 의해 이와 같이 드럼(8) 내에 정화용 공기를 소정 시간 공급하는 에어 워시 운전이 실행되므로 부츠(70)를 양호하게 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실시 형태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이렇게 부츠(70)를 에어 워시하는 구성은, 세탁기(1)에 부수되지 않는 독립 장치로서 존재해도 좋다. 즉, 세탁기(1)에 드럼(8), 송풍기(15), 공기 유로(16) 및 오존 발생 장치(17)(도 1 참조)만을 남긴 구성이, 부츠(70)를 정화하는 것을 주된 기능으로 하는 부츠 수납 장치로서 존재해도 좋다. 물론, 이 부츠 수납 장치에 있어서도, 상술한 세탁기(1)와 마찬가지로, 부츠 어태치먼트(30) 및 부츠 트레이(31)(도 3 및 도 4 참조)가 사용된다.
그리고, 부츠 어태치먼트(30)는 에어 워시 운전을 행하지 않을 때에도, 소위 슈즈 키퍼로서, 부츠(70)에 삽입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부츠(70)의 형태가 망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먼저 부츠 트레이(31)에 부츠(70)를 탑재하고 나서(도 9 참조), 부츠 트레이(31)를 드럼(8)에 수용했지만(도 10 및 도 11 참조), 미리 부츠 트레이(31)만을 드럼(8)에 수용하고 나서 부츠 어태치먼트(30)가 삽입된 부츠(70)를 드럼(8) 내의 부츠 트레이(31)에 탑재해도 상관없다.
또한, 부츠(70)의 높이가 낮으면, 부츠(70) 및 부츠 어태치먼트(30)의 상단부가, 상술한 배플(12Y) 및 배플(12Z)(도 11 참조)에 간섭하지 않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배플(12X)을 하한으로 이동시키지 않아도 좋다.
또한, 부츠 트레이(31)가 없어도 부츠(70)를 드럼(8) 내에 안정되게 세트할 수 있으면, 부츠 트레이(31)를 사용하지 않고 에어 워시 운전을 실시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에어 워시 운전으로 한 쌍의 부츠(70)를 정화했지만, 한쪽의 부츠(70)만을 정화해도 좋다.
1 : 세탁기
7 : 외조
8 : 드럼
9 : 회전축
12 : 배플
13 : 출입구
15 : 송풍기
16 : 공기 유로
17 : 오존 발생 장치
18 : 제어부
25 : 통 형상체
25A : 외표면
30 : 부츠 어태치먼트
31 : 부츠 트레이
32 : 상측 개구
33 : 제1 하측 개구
34 : 제2 하측 개구
35 : 제1 도중 개구
36 : 제2 도중 개구
37 : 작은 구멍
38 : 제1 오목부
39 : 제2 오목부
43 : 상단부
49 : 마그네트
60C : 함몰 부분
70 : 부츠
70B : 신발 입구
70C : 발끝 부분

Claims (12)

  1.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세탁 수조와,
    상기 세탁 수조 내에 수평 방향 또는 수평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만큼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면에 출입구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출입구를 통하여 내부에 세탁물을 수용 가능한 드럼과,
    상기 드럼의 내주면에 있어서, 상기 내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드럼 내의 세탁물을 교반하기 위한 복수의 배플과,
    상기 세탁 수조의 상측에 구비되고, 세탁물을 정화하기 위한 정화용 공기를 상기 출입구로부터 상기 드럼 내로 공급하는 정화용 공기 공급 수단과,
    1개의 상기 배플이 하한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당해 배플에 걸쳐지듯이 상기 드럼 내에 배치되고, 당해 배플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고, 부츠가 탑재되는 부츠 트레이와,
    부츠에 삽입되는 한 쌍의 부츠 어태치먼트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부츠 어태치먼트는, 각각
    부츠 내에 삽입되고, 상기 드럼 내로 공급된 정화용 공기가 상부로부터 내부로 들어가 하강하는 통 형상체와,
    부츠의 신발 입구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통 형상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드럼 내를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흐르는 정화용 공기가 부딪히는 상단부를 구비하고, 정화용 공기를 상기 통 형상체 내로 도입하는 개방형 도입부와,
    부츠 내부에 있어서의 발뒤꿈치 부분 및 발끝 부분을 향하도록 상기 통 형상체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통 형상체 내의 정화용 공기를 상기 통 형상체 외부에 이르게 하는 하부 개구와,
    상기 통 형상체의 전방 측면 및 후방 측면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체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하는 도중에 형성되고, 상기 통 형상체 내의 정화용 공기를 상기 통 형상체 외부에 이르게 하는 도중 개구와,
    상기 통 형상체 외부에 이르러 부츠 내부의 정화에 공급된 공기가 상기 통 형상체와 부츠의 내면 사이를 통과하여 부츠의 신발 입구를 향하여 상승하도록 안내하는 안내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정화용 공기 공급 수단에 의해 상기 드럼 내에 정화용 공기를 소정 시간 공급하는 동작을 행함으로써, 부츠를 정화하는 정화 운전을 행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중 개구는, 상기 통 형상체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소정 범위에 형성된 다수의 작은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체의 외표면에는 상기 통 형상체의 내측으로 오목해지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도중 개구는 상기 오목부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8. 드럼식 세탁기의 드럼 내에 수용되는 부츠 정화용의 보조 기구이며,
    상기 드럼 내에 세트되고, 부츠를 탑재하기 위한 부츠 트레이와,
    상기 부츠 트레이에 탑재하는 부츠 내에 삽입할 수 있는 통 형상체이며, 그 상단에 드럼 내를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흐르는 정화용 공기가 부딪치는 상단부를 구비하고, 정화용 공기를 내부로 도입하는 개방형 도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에 내부로 도입된 정화용 공기를 부츠 내의 발뒤꿈치 방향 및 발끝 방향으로 흘리기 위한 하부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전방 측면 및 후방 측면에는 내부로 도입된 정화용 공기가 전측방 및 후측방으로 흘러 나올 수 있는 다수의 작은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부츠 어태치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츠 정화용 보조 기구.
  9. 내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된 세탁물을 교반하기 위한 복수의 배플을 갖는 회전 가능한 드럼과, 세탁 수조의 상측에 구비되고, 세탁물을 정화하기 위한 정화용 공기를 상기 드럼 내로 공급하는 정화용 공기 공급 수단을 구비한 세탁기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부츠 트레이이며,
    1개의 상기 배플이 하한에 위치하는 상태에 있어서 당해 배플에 걸쳐지듯이 상기 드럼 내에 배치되고, 당해 배플을 수용하는 수용부를 갖고, 부츠가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츠 트레이.
  10. 부츠를 수납하는 부츠 수납고와, 상기 부츠 수납고의 상측에 구비되고, 부츠를 정화하기 위한 정화용 공기를 상기 부츠 수납고 내로 공급하는 정화용 공기 공급 수단을 구비한 부츠 수납 장치에서 사용되는 부츠 어태치먼트이며,
    부츠 내에 삽입되고, 상기 부츠 수납고 내로 공급된 정화용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개방형 도입구를 상부에 갖고, 정화용 공기가 자중에 의해 상부로부터 내부로 들어가 하강하는 통 형상체와,
    상기 통 형상체 내의 정화용 공기를 상기 통 형상체 외부에 이르게 하는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츠 어태치먼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도입구는, 부츠의 신발 입구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통 형상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통 형상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부츠 어태치먼트를 일체화시키는 일체화 기구를 갖고,
    상기 개구는, 부츠 내부에 있어서의 발뒤꿈치 부분 및 발끝 부분을 향하도록 상기 통 형상체의 하부에 형성된 2개의 하부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츠 어태치먼트.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형 도입구는, 부츠의 신발 입구로부터 노출되도록 상기 통 형상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통 형상체의 상부에 설치되고, 한 쌍의 상기 부츠 어태치먼트를 일체화시키는 일체화 기구를 갖고,
    상기 개구는, 상기 통 형상체의 전방 측면 및 후방 측면에 있어서, 상기 통 형상체의 상부로부터 하부를 향하는 도중에 형성된 도중 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츠 어태치먼트.
KR1020107014142A 2007-12-26 2008-11-10 세탁기, 부츠 정화용 보조 기구, 부츠 트레이 및 부츠 어태치먼트 KR1011615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34933A JP5193589B2 (ja) 2007-12-26 2007-12-26 洗濯機、ブーツトレイおよびブーツアタッチメント
JPJP-P-2007-334933 2007-12-26
PCT/JP2008/070421 WO2009081666A1 (ja) 2007-12-26 2008-11-10 洗濯機、ブーツ浄化用補助具、ブーツトレイおよびブーツアタッチメン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9887A KR20100089887A (ko) 2010-08-12
KR101161507B1 true KR101161507B1 (ko) 2012-06-29

Family

ID=40800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4142A KR101161507B1 (ko) 2007-12-26 2008-11-10 세탁기, 부츠 정화용 보조 기구, 부츠 트레이 및 부츠 어태치먼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893530B2 (ko)
EP (1) EP2241664A4 (ko)
JP (1) JP5193589B2 (ko)
KR (1) KR101161507B1 (ko)
CN (1) CN101910498B (ko)
TW (1) TWI366615B (ko)
WO (1) WO20090816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49022B2 (ja) * 2009-10-09 2015-01-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除菌デバイスを備えた家庭用電気製品および除菌方法
CN112323338B (zh) * 2019-12-30 2022-03-29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6070A (ja) * 2003-08-26 2005-03-17 Mitsubishi Electric Corp 靴乾燥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これを備えた靴乾燥装置
JP2005152476A (ja) * 2003-11-27 2005-06-16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7195896A (ja) * 2006-01-30 2007-08-09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8526A (en) * 1961-10-11 1963-02-26 John S Caruso Disinfecting apparatus for shoes and the like
US4136464A (en) * 1977-10-12 1979-01-30 Alexander Hay Boot drying apparatus
FR2406790A1 (fr) * 1977-10-24 1979-05-18 Blanc Roger Appareil pour le sechage des chaussures
US5222308A (en) * 1992-06-29 1993-06-29 Calvin Barker Boot drying apparatus
US5365675A (en) * 1994-04-11 1994-11-22 Paul Anthony Palumbo Expandable strut for holding tennis shoes in a dryer
US5379525A (en) * 1994-04-28 1995-01-10 Raynor; George T. Drying stand for ski boots, gloves and the like
JPH10137007A (ja) 1996-11-13 1998-05-26 Sanyo Electric Co Ltd 充電式の靴脱臭器システム
US6385862B1 (en) * 2001-06-06 2002-05-14 Mayta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rying articles having internal cavities within a clothes dryer
US6732447B2 (en) * 2001-11-06 2004-05-11 Whirlpool Corporation Drying apparatus
US6604298B2 (en) * 2001-11-06 2003-08-12 Whirlpool Corporation Drying apparatus
US6766594B2 (en) * 2002-11-08 2004-07-27 Scientific Molding Corporation Dryer apparatus for boots and gloves
JP4615190B2 (ja) 2003-02-19 2011-01-19 カールテクノ株式会社 靴内浄化方法及び装置
US6845569B1 (en) * 2004-02-25 2005-01-25 Soo Kil Kim Shoe drying apparatus
US20070163097A1 (en) * 2005-12-30 2007-07-19 Metcalfe Ld Low absorbency pad system for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JP2007244658A (ja) * 2006-03-16 2007-09-27 Toshiba Corp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4637056B2 (ja) * 2006-05-25 2011-02-23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機
US8186075B2 (en) * 2006-05-31 2012-05-29 Joel Beckett Forced air flow electric shoe dryer
US8087184B2 (en) * 2006-07-28 2012-01-03 General Electric Company Clothes dryer with extendable rac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6070A (ja) * 2003-08-26 2005-03-17 Mitsubishi Electric Corp 靴乾燥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これを備えた靴乾燥装置
JP2005152476A (ja) * 2003-11-27 2005-06-16 Sanyo Electric Co Ltd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7195896A (ja) * 2006-01-30 2007-08-09 Sanyo Electric Co Ltd 洗濯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66615B (en) 2012-06-21
TW200932988A (en) 2009-08-01
JP2009153695A (ja) 2009-07-16
KR20100089887A (ko) 2010-08-12
CN101910498A (zh) 2010-12-08
US20100287997A1 (en) 2010-11-18
JP5193589B2 (ja) 2013-05-08
EP2241664A4 (en) 2011-04-13
WO2009081666A1 (ja) 2009-07-02
US8893530B2 (en) 2014-11-25
EP2241664A1 (en) 2010-10-20
CN101910498B (zh) 201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808B1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갖는 세탁기
KR101225163B1 (ko)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US9340919B2 (en) Detergent supply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KR101348719B1 (ko) 이물질 채집 장치
KR20080081741A (ko) 이물질 채집 장치 및 이의 청소방법
KR101268222B1 (ko) 세탁기
KR101161507B1 (ko) 세탁기, 부츠 정화용 보조 기구, 부츠 트레이 및 부츠 어태치먼트
EP3786336B1 (en) Detergent supply device
JP6378940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7391555B2 (ja) 衣類処理装置
JP7405658B2 (ja) 衣類処理装置
JP2020195578A (ja) 衣類処理装置
JP2003245498A (ja) 洗濯機
KR101479242B1 (ko) 세제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기
KR101239960B1 (ko) 세탁기
JP2005334118A (ja) 洗濯機
KR20060085978A (ko) 세탁기의 세제공급장치
JP2020089535A (ja) 洗濯機
WO2021129300A1 (zh) 洗衣机
JP7198117B2 (ja) 衣類処理装置
JP5449897B2 (ja) 洗濯機
KR101474433B1 (ko) 세탁기의 세제 공급 장치
KR101482116B1 (ko) 세탁물 처리기기
JP6271786B2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22167524A (ja) 衣類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