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511B1 - 장기 보존 곡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 저온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장기 보존 곡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 저온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511B1
KR101160511B1 KR1020100010264A KR20100010264A KR101160511B1 KR 101160511 B1 KR101160511 B1 KR 101160511B1 KR 1020100010264 A KR1020100010264 A KR 1020100010264A KR 20100010264 A KR20100010264 A KR 20100010264A KR 101160511 B1 KR101160511 B1 KR 101160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cuum
sterilization
circumference
glass bottl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90472A (ko
Inventor
박준명
Original Assignee
박준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준명 filed Critical 박준명
Priority to KR1020100010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511B1/ko
Publication of KR20110090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1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without precipitation
    • C12H1/16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without precipitation by physical means, e.g. ir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1/00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 C12H1/12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without precipitation
    • C12H1/16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without precipitation by physical means, e.g. irradiation
    • C12H1/18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without precipitation by physical means, e.g. irradiation by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Toxic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Distillation Of Fermentation Liquor, Processing Of Alcohols, Vinegar And Beer (AREA)
  • Food Preservation Except Freezing, Refrigeration, And Dr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숙취물질이 제거되는 동시에 가열취가 없는 곡주를 제조하여 장기간 보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주를 균질기에서 공급하여 처리하는 균질화 공정; 500~700㎜Hg의 진공이 걸린 살균 탱크에서 상기 균질화된 원주를 교반하면서 55℃가 될 때까지 가열하여 발생되는 증기를 냉각함으로써 숙취 물질을 포집하는 1차 살균 공정; 1차 살균 공정에 의해 숙취물질이 제거된 원주를 유리병에 충진하고 180℃이상의 고온 스팀을 헤드 스페이스에 분사하여 유리병 내부에 600~650㎜Hg의 고진공이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뚜껑을 닫아 밀폐시키는 캐핑(capping)공정; 상기 유리병을 70~75℃의 물에 10~30분간 침수시키는 2차 살균 공정;을 포함하는 장기 보존 곡주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되어진다.

Description

장기 보존 곡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 저온 살균장치{omitted}
본 발명은 곡주의 원주(原酒)를 진공상태에서 저온으로 1,2차 살균함으로써 고온 살균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열취로 인한 문제를 일소하고 1차 살균 공정에서 숙취물질이 제거되도록 한 장기 보존 곡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 저온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곡주중 대표적인 막걸리의 원료가 되는 쌀에는 탄수화물,단백질,지방 등 인체에 유익한 3대 영양소가 함유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막걸리는 누룩효모균에 의해 유통과정에서 발효가 진행되는 방식으로 용기에 포장되기 때문에 유통기간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막걸리를 장기간 보존하기 위해서 누룩효모균을 살균 처리한후 캔 용기에 포장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살균처리 온도가 높은 경우 열에 민감한 막걸리의 단밸질 성분이 열에 의해 변성을 일으켜 불쾌한 냄새(가열취)가 발생되고, 살균처리 온도가 낮은 경우 누룩효모균이 완전히 사멸되지 않아 쉽게 변질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자파 또는 초음파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방법으로는 살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워 장기 보관이 가능한 막걸리 제품이 공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서 근래에 인기를 끌고 있는 일본술(사께)도 곡주의 하나로 장기간 보관하게 되면 쌀에 함유된 지방분과 왁스류,지방유도체들이 술에 용해되어 있는 잔존 산소와 용기 포장시 헤드 스페이스(head space)에 존재하는 산소가 산패반응을 일으켜 풍미를 손상하고 불쾌한 냄새를 일으키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유지방이 적은 특수품종의 쌀을 12분도까지 도정하여 사용하고 있다는 점은 쌀을 원료로 하는 곡주를 장기간 보관하는 기술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를 알려주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진공 상태에서 55℃까지 가열하는 1차 살균 공정을 거쳐 발효과정에서 발생된 저가알콜,알데히드류,휴젤유에 의한 숙취물질을 제거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진공 저온 살균 장치와 1차 살균 공정을 거쳐 숙취물질이 제거된 원주가 담긴 유리병을 70~75℃의 물에 20분간 침수 시키는 2차 살균 공정을 통해 가열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 장기 보존 곡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 저온 살균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원주를 균질기(homogrnizer)에서 공급하여 처리하는 균질화 공정; 500~700㎜Hg의 진공이 걸린 살균 탱크에서 상기 균질화된 원주를 교반하면서 55℃가 될 때까지 가열하여 발생되는 증기를 냉각함으로써 숙취 물질을 포집하는 1차 살균 공정; 1차 살균 공정에 의해 숙취물질이 제거된 원주를 유리병에 충진하고 180℃이상의 고온 스팀을 헤드 스페이스에 분사하여 유리병 내부에 600~650㎜Hg의 고진공이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뚜껑을 닫아 밀폐시키는 캐핑(capping)공정; 상기 유리병을 70~75℃의 물에 10~30분간 침수시키는 2차 살균 공정;을 포함하는 장기 보존 곡주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원주 공급라인과 배출라인이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내부에는 교반축이 설치된 살균탱크; 외부에서 상기 살균탱크의 내부까지 연결 설치된 고압 스팀 분출라인; 상기 살균탱크의 내부를 진공펌프에 연결 시키는 진공라인; 상기 진공라인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냉각수가 공급되는 냉각 자켓; 상기 냉각 자켓과 진공펌프 사이의 진공라인에 연결설치된 불순물 집유통;을 포함하는 진공 저온 살균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은 500~700㎜Hg의 진공하에서 55℃까지 가열하는 1차 살균 공정에서 숙취 물질이 제거된 원주를 유리병에 고진공 포장한후 70~75℃의 물에 10~30분간 침수시키는 2차 살균 공정을 거쳐 가열취가 발생될 염려가 없도록 함으로써 3년 이상 상온에서 보관하여도 곡주 본래의 풍미가 보존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곡주 제조 과정을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1차 살균 공정에 사용되는 살균 탱크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유리병을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2차 살균 장치를 보인 도면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공정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균질화 공정]
원주 탱크(60)로부터 원주를 균질기(70)에 펌핑하여 균질화 한다.
상기 균질화 공정은 원주에 함유된 지방분,왁스분,리피드(lipid)분을 작은 입자로 분쇄하여 침전 물입자들이 서로 응고 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작은 기름성분 분자들이 곡주의 침전성분들의 표면을 감싸서 계면성을 높여줌으로써 목넘김이 좋은 식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감압공정]
균질화된 원주를 살균탱크(10)에 펌핑하여 채우고, 밀폐된 살균탱크(10)에 500~700㎜Hg의 진공을 걸어준다.
[1차 살균공정]
진공상태로 감압된 살균 탱크(10)의 원주를 교반하면서 55℃가 될 때까지 가열하여 발생되는 증기를 냉각함으로써 숙취 물질을 포집한다.
도 2는 상기 감압공정과 1차 살균공정에 사용되는 살균장치를 보인 도면으로써, 이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12a)(13a)에 의해 개폐되는 원주 공급라인(12)과 배출라인(13)이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내부에는 교반축(14)이 설치된 살균탱크(10); 외부에서 상기 살균탱크(10)의 내부까지 연결 설치된 고압 스팀 분출라인(20); 상기 살균탱크(10)의 내부를 진공펌프(30)에 연결 시키는 진공라인(31); 상기 진공라인(31)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냉각수가 공급되는 냉각 자켓(40); 상기 냉각 자켓(40)과 진공펌프(30) 사이의 진공라인(31)에 연결설치된 불순물 집유통(50);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감압공정은 원주 공급라인(12)을 통해 살균탱크(10)에 원주를 펌핑하여 채우고 밸브(12a)(13a)를 닫아줌으로써 상기 살균탱크(10)가 밀폐되도록 한 상태에서 진공펌프(30)를 작동시켜 진공라인(31)을 통해 상기 살균탱크(10)의 내부에 500~700㎜Hg의 진공이 걸리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1차 살균 공정은 500~700㎜Hg의 진공이 걸린 상기 살균탱크(10)의 원주에 상기 고압 스팀 분사라인(20)을 통해 고온 고압의 스팀을 공급하여 원주의 온도가 55℃에 이를 때까지 가열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살균탱크(10)는 외부에 온수와 냉수가 선택적으로 공급되는 자켓(11)을 설치하여 살균 또는 냉각 공정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압 스팀 분출라인(20)은 고온 고압의 스팀이 공급되어 상기 살균탱크(10) 내부에 채워진 원주를 55℃까지 가열하여 살균하는 역활을 하는 것으로 균일한 가열을 위하여 다수의 분출공(22)이 형성된 원형의 링부(21)를 갖는다.
상기 살균탱크(10)에 500~700㎜Hg 진공이 걸어주는 감압공정은 원주를 55℃까지만 가열하여도 숙취물질을 포함된 증기가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공정이다.
상기 냉각 자켓(40)에는 냉각수가 공급되어 상기 살균탱크(10)로부터 발생되는 숙취물질을 포함한 증기를 액상상태로 냉각시킴으로써 이를 불순물 집유통(50)에 수거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서는 살균탱크(10)의 자켓(11)과 진공라인(31)의 냉각 자켓(40)을 이중 구조로 도시하였으나 자켓(11)(40)은 이중 구조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방식의 냉각수단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불순물 집유통(50)은 하부에 밸브(51)에 의해 개폐되는 드레인 라인(52)이 설치된다.
상기 살균탱크(10)가 감압공정에 의해 진공상태이기 때문에 원주를 55℃까지만 가열하는 것만으로 핫 휠링(hot filling) 효과에 의해 숙취물질을 포함한 증기가 살균탱크(10)로부터 발생된다. 상기 살균탱크(10)로부터 발생된 증기는 진공라인(31)의 냉각 자켓(40)에 의해 냉각되어 불순물 집유통(50)에 모이게 된다.
[캐핑(capping) 공정]
1차 살균공정을 거쳐 숙취물질이 제거된 원주를 유리병(80)에 충진하고 180℃이상의 고온 스팀을 헤드 스페이스(81)에 분사하여 600~650㎜Hg에 이르는 고진공 상태에서 뚜껑(82)을 닫아 밀폐시킨다.
상기 캐핑 공정은 곡주에 용존하는 산소를 제거하고 뚜껑을 닫는 과정에서 헤드 스페이스(81)에 남아 있는 공기를 제거하여 600~650㎜Hg의 고진공이 걸리는 상태로 유리병(80)이 밀폐 되도록 하기 위한 공정이다.
[2차 살균 공정]
이렇게 캐핑 공정을 거쳐 600~650㎜Hg에 이르는 고진공 상태의 유리병(80)을 70~75℃의 물에 10~30분간 침수 시킴으로써 2차 살균 처리 함으로써 곡주를 장기간 보존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2차 살균 공정에 사용되는 장치를 보인 실시예시도로써, 이것은 도시된 바와 같이 70~75℃의 물이 담긴 열수조(90)와, 캐핑된 유리병(80)이 상기 열수조(90)를 10~30분간 통과하도록 하는 컨베이어(91)로 구성됨으로써 원주가 고진공상태로 충진된 유리병(80)을 2차 살균 시킨다.
상기 유리병(80)은 일반적인 곡주 생산에서와 같이 냉각된후 라벨링 작업을 거치는 포장공정을 통해 완제품으로 유통된다.
본원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막걸리가 담긴 유리병을 3년동안 보관 하였다가 최근에 개봉해 본 결과 풍미가 그대로 보존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은 500~700㎜Hg의 진공하에서 55℃까지 가열하는 1차 살균 공정을 거쳐 숙취물질이 제거된 원주를 유리병에 고진공이 걸리도록 충진한후 2차 살균 함으로써 가열취가 없는 곡주를 얻고 이를 3년 이상 상온에서 장기간 보관하여도 곡주 본래의 풍미가 보존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살균탱크 14 : 교반축
20 : 고압 스팀 분사라인 30 : 진공펌프
31 : 진공라인 40 : 냉각 자켓
50 : 불순물 집유통 60 : 원주 탱크
70 : 균질기 80 : 유리병

Claims (4)

  1. 원주를 균질기에서 공급하여 처리하는 균질화 공정; 500~700㎜Hg의 진공이 걸린 살균 탱크에서 상기 균질화된 원주를 교반하면서 55℃가 될 때까지 가열하여 발생되는 증기를 냉각함으로써 숙취 물질을 포집하는 1차 살균 공정; 1차 살균 공정에 의해 숙취물질이 제거된 원주를 유리병에 충진하고 180℃이상의 고온 스팀을 헤드 스페이스에 분사하여 유리병 내부에 600~650㎜Hg의 고진공이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뚜껑을 닫아 밀폐시키는 캐핑(capping)공정; 상기 유리병을 70~75℃의 물에 10~30분간 침수시키는 2차 살균 공정;을 포함하는 장기 보존 곡주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1차 살균 공정에서 가열하는 과정이 원주에 고온 고압의 증기를 분출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기 보존 곡주의 제조방법.
  3. 밸브(12a)(13a)에 의해 개폐되는 원주 공급라인(12)과 배출라인(13)이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내부에는 교반축(14)이 설치된 살균탱크(10)를 갖는 장기 보존 곡주의 진공 저온 살균 장치에 있어서, 외부에서 상기 살균탱크(10)의 내부까지 연결되어 500~700㎜Hg의 진공상태에서 원주를 55℃까지 가열하는 고압 스팀 분출라인(20); 상기 살균탱크(10)의 내부를 진공펌프(30)에 연결 시키는 진공라인(31); 상기 진공라인(31)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냉각수가 공급되는 냉각 자켓(40); 상기 냉각 자켓(40)과 진공펌프(30) 사이의 진공라인(31)에 연결설치된 불순물 집유통(50);가 포함된 장기 보존 곡주의 진공 저온 살균 장치
  4. 삭제
KR1020100010264A 2010-02-04 2010-02-04 장기 보존 곡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 저온 살균장치 KR101160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264A KR101160511B1 (ko) 2010-02-04 2010-02-04 장기 보존 곡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 저온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264A KR101160511B1 (ko) 2010-02-04 2010-02-04 장기 보존 곡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 저온 살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472A KR20110090472A (ko) 2011-08-10
KR101160511B1 true KR101160511B1 (ko) 2012-06-28

Family

ID=44928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264A KR101160511B1 (ko) 2010-02-04 2010-02-04 장기 보존 곡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 저온 살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051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4640A (ja) * 1996-02-28 1997-09-02 Mitsubishi Heavy Ind Ltd 酒造用白米の加圧液化装置
KR20000000808A (ko) * 1998-06-03 2000-01-15 이동수 장기저장을 할 수 있는 탁,약주의 제조방법
KR100251117B1 (ko) * 1998-05-21 2000-04-15 최광자 탁주(濁酒)의 살균방법
KR100936994B1 (ko) * 2008-01-02 2010-01-18 주식회사 국순당 탁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4640A (ja) * 1996-02-28 1997-09-02 Mitsubishi Heavy Ind Ltd 酒造用白米の加圧液化装置
KR100251117B1 (ko) * 1998-05-21 2000-04-15 최광자 탁주(濁酒)의 살균방법
KR20000000808A (ko) * 1998-06-03 2000-01-15 이동수 장기저장을 할 수 있는 탁,약주의 제조방법
KR100936994B1 (ko) * 2008-01-02 2010-01-18 주식회사 국순당 탁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472A (ko)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5015A (en) Industrial apparatus for the aseptic packaging of perishables to extend shelf life without refrigeration
RU2009148779A (ru) Упакованные пищевые продукты
CN107495209A (zh) 一种新型糖水黄桃罐头的制备方法
US5614238A (en) Process for the natural aseptic packaging of juices for extending shelf life without refrigeration
CN107581463A (zh) 一种高密度二氧化碳‑闪蒸脱腥装置及脱腥方法
KR101160511B1 (ko) 장기 보존 곡주의 제조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진공 저온 살균장치
CN101331943A (zh) 一种冻干速食保健林蛙油的制作方法
US6120824A (en) Process for the natural aseptic packaging of fruit products and dairy products for extending shelf life without refrigeration
KR101734534B1 (ko) 원료의 영양분은 그대로 보존하고 유해균을 완전히 사멸하는 이유식의 살균 방법
JP4441859B2 (ja) 容器詰め飲料の製造方法
CN202153998U (zh) 食品加工用双层水浴灭菌罐
US2829058A (en) Preserving milk, neera, and like perishable liquids
JP2004269049A5 (ko)
MXPA03003615A (es) Aparato y metodo para el empaque aseptico de perecederos.
KR101622179B1 (ko) 발효주, 수소를 이용한 발효주의 후처리 방법 및 장치
JP2015147612A (ja) 容器詰め酸性飲料の製造方法
CN110463950A (zh) 一种用柑橘类水果制作膏体的方法
JP2001161333A (ja) 無菌充填食品の製造方法
RU2276499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асепт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скоропортящегося продукта без консервантов
RU2464918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компота из груш и айвы
KR101193371B1 (ko) 유풍미와 신선도를 향상시킨 우유의 제조방법
CA2427104C (en) Egg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of using same to extend the refrigerated shelf life of liquid egg products
RU2208565C1 (ru) Способ стерилизации молока в бутылках
JP2008043270A (ja) 殺菌処理済み煮豆食品包装体及び殺菌処理済み煮豆食品包装体の製造方法
JP2020068694A (ja) 高圧処理工程を備えている飲料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