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396B1 - 운동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운동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396B1
KR101160396B1 KR1020097024116A KR20097024116A KR101160396B1 KR 101160396 B1 KR101160396 B1 KR 101160396B1 KR 1020097024116 A KR1020097024116 A KR 1020097024116A KR 20097024116 A KR20097024116 A KR 20097024116A KR 101160396 B1 KR101160396 B1 KR 101160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leg
exercise
swing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4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137A (ko
Inventor
다카히사 오자와
미노루 가와모토
유리츠구 도요미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05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6Platforms for rocking motion about a horizontal axis, e.g. axis through the middle of the platform; Balancing drums; Balancing board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0181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comprising additional means assisting the user to overcome part of the resisting force, i.e. assisted-active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8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 seat or torso support moving during the exercise, e.g. reformers
    • A63B22/0089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a seat or torso support moving during the exercise, e.g. reformers a counterforce being provided to the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1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elements, i.e. platforms, having a circulating, nutating or rotating movement, generated by oscillating movement of the user, e.g. platforms wobbling on a centrally arranged spherical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33With separate means driven by each limb, i.e. performing different movements
    • A63B23/03541Moving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for ankle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62Monitoring athletic performances, e.g. for determining the work of a user on an exercise apparatus, the completed jogging or cycling di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72Limiting the applied force, torque, movement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04Standing on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28Sitting on the buttocks
    • A63B2208/0233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 position, like on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42Lying down
    • A63B2208/0247Lying down with legs in a kneeled 90/90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85Hang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7Counting, e.g. counting periodical movements, revolutions or cycles, or including further data processing to determine distances or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1Force
    • A63B2220/52Weight, e.g. weight distribu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62Time or time measurement used for time reference, time stamp, master time or clock signa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6Adjustable dimensions automatically adjusted according to anthropometric data of the us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 Y10S482/901Exercise devices having computer circui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운동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시트부에 체중을 너무 가하고 있으면, 원하는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어 버리므로, 다리대(8L, 8R)에 소정의 하중(체중)이 가해진, 즉, 정확하게 밟아 운동이 성공하였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26)를 설치하였다. 제어 회로(51)는, 시트부를 요동하는 구동 장치(5)를 제어하는 것으로, 리미트 스위치(26)의 검출 결과로부터, 총 요동 회수에 대한 성공 회수 및 성공률을 구하여, 표시 패널(11)에 표시함과 더불어, 모터 제어 회로(52)를 통해 모터(148)의 회전 속도를 제어한다. 따라서, 장치측이 자동적으로 사용자의 숙달도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효과적으로 운동을 부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운동 보조 장치{EXERCISE ASSIST DEVICE}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시트부에 허리를 댄 상태로, 상기 시트부를 요동함으로써, 다리대에 올려져 있는 사용자의 다리부에 체중이 변화하여 가해지도록 해서, 운동을 부여하는 운동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시트부에 허리를 댄 상태로, 상기 시트부를 요동함으로써, 사용자의 다리부에 체중이 변화하여 가해지도록 해서, 몸체 및 하지에 운동을 부여하도록 한 운동 보조 장치를 제안하였다(특허 문헌 1). 이 운동 보조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당뇨병 환자 등의 무릎통을 앓고 있는 사용자라도, 대퇴부의 근육의 수축을 수반하는 운동을 가능하게 하여, 상기 근육의 수축에 수반되는 당 대사에 의해, 생활 습관병 등의 개선에 도움이 되도록 되어 있다. 또, 다리와 허리가 쇠약해진 사용자에서는, 근력 업에 도움이 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시트부에 체중을 너무 가하거나 하여, 다리부에 상반신이 잘 올려져 있지 않으면, 상기 다리부에 체중이 가해지지 않아, 원하는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규정된 시간 운동을 행해도, 기대하는 만큼의 효과를 얻을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2005-58733호 공보
본 발명은, 효과적으로 운동을 부여할 수 있는 운동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시트부에 허리부를 댄 상태로, 요동 수단이 상기 시트부를 요동함으로써, 다리대에 올려져 있는 사용자의 다리부에 체중이 변화하여 가해지도록 해서, 사용자에게 운동을 부여하는 운동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리대에 미리 정하는 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진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미리 정하는 요동 회수에 대해, 검출 수단으로 사용자가 다리부에 상기 미리 정하는 값 이상의 체중을 가한 것이 검출된 회수의 비율, 또는 미리 정하는 시간 내에서, 상기 검출 수단으로 사용자가 다리부에 상기 미리 정하는 값 이상의 체중을 가한 것이 검출된 시간의 비율에 따라, 상기 요동 수단에 의한 시트부의 요동의 양태를 변화시키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운동 보조 장치는, 사용자가 시트부에 허리부를 댄 상태로, 요동 수단이 상기 시트부를 요동함으로써, 다리대에 올려져 있는 사용자의 다리부에 체중이 변화하여 가해지도록 해서, 사용자에게 운동을 부여한다. 상기 시트부의 요동 중에, 사용자가 시트부에 체중을 너무 가하고 있으면, 원하는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어 버린다. 그래서, 상기 다리대에 미리 정하는 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진, 즉 운동이 성공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설치하였다. 그리고, 제어 수단은, 상기 요동 수단에 의한 시트부의 요동을 제어할 때에,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로부터, 즉, 미리 정하는 요동 회수에 대해, 상기 검출 수단으로 사용자가 다리부에 상기 미리 정하는 값 이상의 체중을 가한 것이 검출된 회수의 비율, 또는 미리 정하는 시간 내에서, 상기 검출 수단으로 사용자가 다리부에 상기 미리 정하는 값 이상의 체중을 가한 것이 검출된 시간의 비율을, 즉 성공률로서 산출하여, 그 성공률에 따라 상기 요동 수단에 의한 시트부의 요동의 양태를 변화시킨다.
이에 의해, 장치측이 자동적으로 사용자의 숙달도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효과적으로 운동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사용자가 시트부에 허리부를 댄 상태로, 요동 수단이 상기 시트부를 요동함으로써, 다리대에 올려져 있는 사용자의 다리부에 체중이 변화하여 가해지도록 해서, 사용자에게 운동을 부여하는 운동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리대에 미리 정하는 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진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를 적산하여, 적산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운동 보조 장치는, 사용자가 시트부에 허리부를 댄 상태로, 요동 수단이 상기 시트부를 요동함으로써, 다리대에 올려져 있는 사용자의 다리부에 체중이 변화하여 가해지도록 해서, 사용자에게 운동을 부여한다. 상기 시트부의 요동 중에, 사용자가 시트부에 체중을 너무 가하고 있으면, 원하는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어 버린다. 그래서, 상기 다리대에 미리 정하는 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진, 즉 운동이 성공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설치하였다. 그리고, 표시 수단은,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를 적산한 운동량을 표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예상한 대로, 혹은 목표대로의 운동량이 얻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인식할 수 있으며, 체중을 가하는 방법을 바꾸는 등, 잘 실릴 수 있도록 연구하거나, 요동의 속도나 스트로크를 크게 하여 운동량을 늘리거나 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운동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상기 운동 보조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횡단면도로, 시트부가 중앙에 있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 2B는, 상기 운동 보조 장치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횡단면도로, 시트부가 앞쪽으로 요동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도 2A의 상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운동 보조 장치에 있어서, 요동을 발생하는 구동 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구동 장치를 조립한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운동 보조 장치의 다리대의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다리대의 종단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운동 보조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9는, 제어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다른 형태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종래 기술의 운동 보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A는 그 운동 보조 장치(1)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횡단면도로, 시트부가 중앙에 있는 상태의 도면이고, 도 2B는 동일 횡단면도로, 시트부가 앞쪽으로 요동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도 2A의 상면도이다.
이 운동 보조 장치(1)는, 대략적으로, 사용자(2)가 허리부(3)를 대는 시트부(4)에, 상기 시트부(4)를 요동시키는 구동 장치(5)와, 상기 구동 장치(5) 및 거기에 탑재되는 시트부(4)를 지지하여 상기 시트부(4)의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다리부(6)와, 사용자(2)의 다리부(7)의 접지면이 되고, 그 중량을 지탱하는 좌우의 다리대(8)와, 상반신(9)을 지탱하는 핸들(10)과, 조작 패널(11)과, 상기 핸들(10) 및 조작 패널(11)을 지지하는 지주(支柱)(12)와, 상기 다리부(6), 다리대(8) 및 지주(12)가 부착되는 기대(基臺)(13)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구동 장치(5)가 시트부(4)를 요동함으로써, 사용자(2)의 다리부(7)에 체중이 변화하여 가해져, 사용자(2)에게 운동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시트부(4)는, 사용자(2)의 엉덩이부를 받치는 받침부(4a)와, 대퇴부가 빠지도록 형성된 좌우 앞쪽의 절결부(4b)와, 허리부를 배면으로부터 받치는 돌기부(4c)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절결부(4b)는, 사용자(2)의 무릎 각도(θ)가 운동 효과가 높은 각도인 140°가 되도록, 연직선으로부터 상기 140°(수평면에 대해 50°앞쪽으로 기울어짐)만큼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 장치(5)는, 승강 베이스(124) 상에 탑재되고, 그 승강 베이스(124)는 상기 다리부(6)의 지주(125) 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그 슬라이딩에 의해, 상기 시트부(4)의 마루면 및 상기 다리대(8)로부터의 높이가 변화 가능함과 더불어, 상기 지주(125)가 뒤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상기 다리대(8)로부터의 수평 거리도 맞추어 변화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기대(13)에는, 승강 기구(127)의 하단(127a)이 부착되고, 상단(127b)이 승강 베이스(124)의 대좌(臺座)(124a)의 이면으로부터 부착됨과 더불어, 상기 승강 베이스(124)의 외주면에 설치된 안내 롤러(124b)가 상기 지주(125) 내에 형성된 안내 궤조(125a) 상을 주행하고, 상기 승강 기구(127)가, 신장됨으로써 상기 시트부(4)의 마루면 및 다리대(8)로부터의 높이가 높고, 또한 다리대(8)로부터의 수평 거리가 커지며, 축소함으로써 상기 높이가 낮고, 또한 상기 수평 거리가 작아진다.
상기 승강 기구(127)는, 한 쌍의 기둥편(127c)과, 그들 사이에 수납되는 작동편(127d)과, 기둥편(127c)의 상부에 부착되는 기어 박스(127e)와, 상기 기어 박스(127e)를 구동하는 모터(127f)와, 높이 검지 유닛(127g)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둥편(127c)의 하단(127a)이 상기 기대(13)에 부착되고, 상단에는 상기 기어 박스(127e)가 부착된다. 상기 작동편(127d)은, 볼나사 등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 단(127b)이 승강 베이스(124)의 대좌(124a)의 부착편(124x)(후술의 도 5 참조)에 부착되고, 그것보다 아래쪽의 부분이 상기 기어 박스(127e) 내를 통과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볼나사에는 기어 박스(127e) 내의 도시 생략의 치차의 내주면에 형성된 내부 나사가 맞물리고, 그 치차가 모터(127f)의 출력축에 고착된 웜 기어로 구동됨으로써, 상기 작동편(127d)이 기둥편(127c) 사이로부터 신장/축소하여, 시트부(4)의 승강이 가능해진다.
상기 높이 검지 유닛(127g)은, 연결편(127h)에 의해 작동편(127d)에 연결된 슬릿판(127i)의 변위를 센서(127j)로 판독함으로써, 상기 시트부(4)의 높이를 검지한다.
상기 승강 베이스(124)의 대좌(124a)에는, 승강 커버(128)가 부착되고, 상기 승강 기구(127)가 신장되어도, 승강 베이스(124)가 지주(125)로부터 노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으며, 또 상기 대좌(124a)에는, 기구부 커버(129)가 부착됨으로써 상기 구동 장치(5)가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승강 베이스(124)의 대좌(124a) 상에는, 본체측 회로 기판(110)이 탑재되어 있고, 지주(125) 내에서 기대(13) 상에는, 중량물의 전원 트랜스(132) 등이 수납되어 있다.
도 4는 상기 구동 장치(5)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그 구동 장치(5)를 조립한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5에서는,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 일부의 부품을 생략하거나 하고 있다. 이 구동 장치(5)에서는, 상기 승강 베이스(124)의 대좌(124a)는, 상기 승강 기구(127)에 의한 변위 이외에서는 움직이지 않으며, 요동의 기대가 된다.
상기 도 1도 참조하여, 이 대좌(124a) 상에 전후 한 쌍의 축 지지판(131, 132)이 세워져 설치되어 있고, 그 축 지지판(131, 132)의 베어링(131a, 132a)에 삽입 통과되는 핀(133, 134)에 의해 요동 기구(135)가 참조 부호 N으로 나타내는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해지며, 또한 그 요동 기구(135)에 의해 지지되는 전방 링크(136) 및 후방 링크(137)를 통해, 상기 시트부(4)를 탑재하는 대좌(140)가 참조 부호 X로 나타내는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해진다. 그리고, 그들 대좌(124a), 전방 링크(136), 대좌(140) 및 후방 링크(137)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구동부(138)가 수납되어 있다.
먼저, 앞쪽의 축 지지판(131)의 베어링(131a)에는, 핀(133)에 의해 전판(141)이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동일하게 뒤쪽의 축 지지판(132)의 베어링(132a)에는, 핀(134)에 의해 후판(142)이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들 판(141, 142)에는, 좌우 양측으로부터 측판(143, 144)이, 비스(145, 146)에 의해 나사 고정된다. 이렇게 해서, 가동 가대(架臺)가 되는 상기 요동 기구(135)의 하우징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양 측판(143, 144)에는, 비스(147)에 의해, 모터(148)가 나사 고정된다. 상기 모터(148)는 요동 기구(135) 내에 세로로 거치되고, 출력 회전축의 돌출 방향은 위쪽을 향하게 된다. 그 모터(148)의 출력 회전축에 고착된 스크류 치차(149)는, 제1 샤프트(150)에 설치된 제1 기어(151)에 맞물리고, 그 제1 샤프트(150)에 설치된 제2 기어(152)는, 제2 샤프트(153)에 설치된 기어(154)에 맞물려 있다. 모터(148)에는 또한, 인코더(50)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출력 회전축의 회 전을 검출한다. 상기 샤프트(150, 153)는, 상기 양 측판(143, 144)의 베어링(143a, 144a ; 143b, 144b)에 피벗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1 샤프트(150)의 양단부는, 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로 같은 위상이 되는 각도로, 편심 크랭크(155, 156)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상기 편심 크랭크(155, 156)에는, 각각 아암 링크(157, 158)의 일단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아암 링크(157, 158)의 타단은, 상기 전방 링크(136)의 상부측에서, 좌우에 설치되는 축 핀(159, 160)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방 링크(136)의 하부측에서, 좌우에 설치되는 축 핀(161, 162)은, 상기 양 측판(143, 144)의 앞쪽 하부측에 설치되는 베어링(143c, 144c)에 각각 축 부착되어 있다. 또, 상기 전방 링크(136)의 상부측에서 좌우에 설치되는 베어링(163, 164)은, 상기 대좌(140)의 전단측에서 좌우에 설치되는 베어링(165, 166)과, 샤프트(167)에 의해 축 부착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148)가 회전하면, 제1 샤프트(150)의 회전력이 편심 크랭크(155, 156) 및 아암 링크(157, 158)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되어, 대좌(140)가 상기 참조 부호 X로 나타내는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해진다.
이에 반해, 상기 제2 샤프트(153)의 한쪽의 단부에는, 편심하여 핀(153a)이 세워져 설치되어 있고, 이 핀(153a)에는 편심 로드(168)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이 편심 로드(168)의 타단은, 상기 대좌(124a)에 부착된 연결 금구(金具)(169)에 요동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핀(153a) 및 편심 로드(168)은, 도 4 및 도 5에서는, 요동 기구(135)의 좌측에 설치되어 있지만, 우측에 설치되어도 되고, 혹은 핀(153a)이 제2 샤프트(153)의 양단에서 서로 위상이 180°상이한 위치에 설치 되고, 요동 기구(135)의 양측에 설치되어도 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148)가 회전하면, 제2 샤프트(153)의 회전력이 핀(153a) 및 편심 로드(168)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되어, 대좌(140)를 탑재한 요동 기구(135)가, 참조 부호 N으로 나타내는 좌우 방향으로 요동한다.
또, 후방 링크(137)는, 상기 대좌(140)의 후부와 상기 양 측판(143, 144)의 하부 후단측을, 상기 대좌(140)가 상기 참조 부호 X로 나타내는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해지도록 지지한다. 이 때문에, 상기 대좌(140)의 후부 이면에는, U자 형상의 연결편(170)이 고착되어 있고, 그 연결편(170)의 양측의 수하부(171, 172)에 설치된 베어링(171a, 172a)과, 후방 링크(137)의 샤프트(173)의 상단에 부착된 U자 형상의 연결편(174)의 양측의 기립부(175, 176)에 설치된 베어링(175a, 176a)이, 핀(177)에 의해 축 부착된다. 또, 상기 양 측판(143, 144)의 하부 후단측에는, 각각 베어링(143d, 144d)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173)의 하단에 부착된 역U자 형상의 연결편(180)의 좌우 한 쌍의 부착편(181, 182)의 하단에 설치된 베어링(181a, 182a)과, 핀(183)에 의해 축 부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요동 기구(135)로, 기어(152, 154)의 기어비 및 편심 크랭크(155, 156)와 핀(153a)의 위상차를 설정함으로써, 시트부(4)에, V자형, W자형, 가로 여덟팔자형 등의 궤적으로 요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요동 기구(135)가, 도 2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앞쪽으로 요동하면, 시트부(4)는, 상기 돌기부(4c) 및 절결부(4b)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고, 받침부(4a)로 사용자(2)의 엉덩이·허리부를 앞쪽으로 밀어냄과 더불어, 대퇴부가 받침부(4a)에 하중을 가하기 어려 워지므로, 사용자(2)는, 다리대(8)로 버티게 된다. 이렇게 해서, 사용자에게 운동을 행하게 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다리대(8)의 일부를 절결하여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그 다리대(8)의 종단면도이다. 이 다리대(8)는, 대략적으로, 상기 기대(13) 상에 있어서, 사용자(2)의 신장에 맞추어 안내 궤조(20) 상을 슬라이딩 가능한 기대(21)와, 상기 기대(21) 내에 수납되는 승강 기구(22)와, 팬터그래프 형상으로 신축되는 상기 승강 기구(22)에 의해, 기대(21)와 평행하게 승강 변위되는 가대(23)와, 상기 가대(23) 상에 부착되는 다리 발판(24)과, 상기 가대(23)를 위쪽으로 탄성 가압하는 스프링(25)과, 상기 다리 발판(24) 상에 미리 정하는 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진 것을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26)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 기구(22)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적으로 コ자형으로 형성되고, 오목부가 상호 대향 배치되는 레버(27, 28)와, 상기 コ자의 상변 및 하변의 중점에서, 상기 레버(27, 28)를 상호 교차하는 각도를 변화 가능하게 연결하는 핀(29)과, 기대(21)에 세워져 설치되고, 한쪽 레버(28)의 유단(遊端)측을 받치는 한 쌍의 브래킷(30)과, 상기 브래킷(30)에 상기 레버(28)의 유단을 피벗 지지하는 핀(31)과, 가대(23)로부터 수하하여 형성되며, 상기 레버(28)의 기단측을 받치는 한 쌍의 브래킷(32)과, 상기 브래킷(32)에 상기 레버(28)의 기단을 피벗 지지하는 핀(33)과, 기대(21) 상을 슬라이딩하고, 다른 쪽의 레버(27)의 유단측을 받치는 한 쌍의 브래킷(34)을 갖는 슬라이딩 부재(35)와, 상기 브래킷(34)에 상기 레버(27)의 유단을 피벗 지지하는 핀(36)과, 가대(23)로부터 수하하여 형성되며, 상기 레버(27)의 기 단측을 받치는 한 쌍의 브래킷(37)과, 상기 브래킷(37)에 상기 레버(27)의 기단을 피벗 지지하는 핀(38)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25)은, 1 또는 복수(도 6 및 도 7의 예에서는 전후의 좌우에 1개씩 합계 4개) 설치되고, 복수 설치되는 경우에는, 그 복수의 합계로, 상기 미리 정하는 값의 하중에 대응한다. 스프링(25)은, 위쪽이 됨에 따라 소경으로 감겨지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기대(21)에 세워져 설치된 보스(39)와 가대(23)에 세워져 설치된 보스(40)의 사이에 끼워 넣어져, 위치 결정되어 있다.
이 스프링(25)에 의해, 하중이 가해져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가대(23)는 위쪽으로 밀어 올려지고, 상기 가대(23)의 기대(21)로부터의 부상량(浮上量)을 규제하기 위해, 가대(23)측에는 핀(41)이 세워져 설치되며, 기대(21)에는 안내통(42)이 세워져 설치되고, 안내통(42)의 선단에 설치된 내향 플랜지(43)에, 상기 핀(41)의 선단에 설치된 외향 플랜지(44)가 걸림으로써, 상기 부상량이 규제되어 있다.
상기 다리 발판(24)은, 발바닥의 중심구를 받치는 오목부(45)와, 뒤꿈치를 받치는 1단 높은 단차부(46)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단차부(46)의 안쪽에는, 상기 가대(23)와의 사이에, 높이 맞춤의 스페이서(47)가 개재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다리 발판(24)의 어느 부위가 밟혀도, 상기 다리 발판(24)은 균등(대략 수평인 채)하게 가라앉도록 되어 있다. 좌우의 다리대(8)는, 상호 동일하게 구성되고, 이하의 설명에서, 그들을 구별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참조 부호 8L, 8R로 나타내며, 특별히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참조 부호 8만으로 나타낸다.
도 8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운동 보조 장치(1)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조작 패널(11)로부터의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본체측 회로 기판(110)의 제어 회로(51)는, 모터 제어 회로(52, 53)를 각각 통해, 직류 브러시리스 모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요동용의 모터(148) 및 직류 모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승강용의 모터(127f)를 구동한다. 상기 승강용의 모터(127f)에 의한 시트부(4)의 높이는 센서(127j)에 의해 검지되어 있고, 그 검지 결과는 상기 본체측 회로 기판(110)에 입력된다. 또, 모터(148)의 회전에 따른 상기 인코더(50)로부터의 펄스도, 제어 회로(51)에 입력된다.
마이크로 컴퓨터 및 그 주변 회로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제어 수단인 상기 제어 회로(51)는, 상기 인코더(50)로부터의 펄스수를 카운트(적산)함으로써, 운동 개시 시점으로부터의 누계의 회전수, 즉 요동 회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단위 시간당의 펄스수를 카운트(적산)함으로써, 요동 속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들 요동 회수는 상기 조작 패널(11)의 표시 영역 A1에 표시되고, 요동 속도 및 운동의 경과 시간은 표시 영역 A2에 표시된다.
그리고, 주목해야 할 것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의 다리대(8L, 8R)의 리미트 스위치(26)로부터의 출력도 이 제어 회로(51)에 입력되어 있고, 미리 정하는 값의 하중 이상에서 다리 발판(24)이 밟히는, 즉 운동이 성공하면, 상기 리미트 스위치(26)가 ON하여, 그 밟혀지고 있는 동안, 상기 제어 회로(51)는, 좌우의 다리대(8L, 8R)에 각각 대응한 표시 램프 A3, A4를 점등시키는 것이다(도 8에서는, 오른쪽 발에 실려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운동 개시 시점으로부터의 총 요 동 회수 및 ON한 누계 회수를 카운트(적산)하여, 상기 표시 영역 A1에, 각각 총 회수 및 스텝수로서 표시함과 더불어, 그 ON한 누계 회수의 총 요동 회수에 대한 비율, 즉 성공률도, 상기 표시 영역 A1에 표시한다. 상기 조작 패널(11)은, 터치 패널로 이루어지고, 그 표시 결과에 응답하여, 사용자(2)는, 예를 들면 참조 부호 B1로 나타내는 현재의 속도로부터, 참조 부호 B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참조 부호 B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느리게 하거나 하여, 상기 성공률이 높아지도록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자(2)가 시트부(4)에 체중을 너무 가하고 있으면, 원하는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이것은, 리미트 스위치(26)가 ON하지 않음으로써 판단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리미트 스위치(26)가 ON하는 회수의 비율이 큰 성공률이 높을수록, 다리부(7)에 체중을 가할 수 있으며, 잘 올려져 있는 것을 나타낸다. 반대로, 성공률이 낮아질수록, 다리부(7)에 체중을 가할 수 없으며, 따라서 잘 올려져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상기 미리 정하는 값의 하중은, 본 운동 보조 장치(1)의 주된 사용자가, 전술한 바와 같이 생활 습관병 환자나 고령자이므로, 예를 들면 성인에게 상정되는 최저체중인 40kg 중, 운동이 성공하고 있는(다리부(7)에 충분히 체중을 가할 수 있는) 레벨인, 예를 들면 40%인 16kg으로 설정된다.
또한, 주목해야 할 것은, 상기 제어 회로(51)는, 상기 성공률에 따라, 시트부(4)의 요동 양태를 변화시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모터 제어 회로(52)를 통해, 요동 수단인 구동 장치(5)의 모터(148)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는 것이며, 성 공률이 높고, 잘 올려져 있을수록, 요동의 속도를 빠르게 하여, 단위 시간당의 운동량을 증가시키고, 성공률이 낮아질수록, 요동의 속도를 느리게 하여 잘 올려질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소기의 운동량을 얻기 위해 운동 시간을 길게 한다.
도 9는, 상술한 제어 회로(5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단계 S1에서는, 상기 총 요동 회수, 스텝수 및 성공률을 구하고, 단계 S2에서 상기 표시 영역 A1에 표시한다. 단계 S3에서는, 조작 패널(11)의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조작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는 단계 S4로 이동한다. 단계 S4에서는, 성공률이 미리 정하는 레벨인지의 여부가 판단되고, 미리 정하는 레벨일 때에는 단계 S5 이후의 속도 상승 처리로 이동하고, 그렇지 않을 때에는 단계 S8 이후의 속도 저하 처리로 이동한다.
단계 S5에서는, 설정 속도가 이미 상한치에 도달하고 있지 않는지의 여부가 판단되며, 도달하고 있을 때에는 처리를 종료하고, 도달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단계 S6으로 이동한다. 단계 S6에서는, 전회의 속도 전환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며, 경과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처리를 종료하고, 경과하고 있을 때에는 단계 S7로 이동하며, 속도가 상기 조작 패널(11)로의 설정치 또는 현재의 속도보다 1단 높은 속도로 상승되어 처리를 종료한다.
동일하게, 단계 S8에서는, 설정 속도가 이미 하한치에 도달하고 있지 않는지의 여부가 판단되며, 도달하고 있을 때에는 처리를 종료하고, 도달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단계 S9로 이동한다. 단계 S9에서는, 전회의 속도 전환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단되며, 경과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처리를 종료하 고, 경과하고 있을 때에는 단계 S10으로 이동하며, 속도가 상기 조작 패널(11)로의 설정치 또는 현재의 속도보다 1단 낮은 속도로 저하되어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상기 단계 S3에서 조작 패널(11)의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는 단계 S11로 이동하고, 또한 그것이 상승 조작인지 저하 조작인지가 판단되어, 상승 조작일 때에는 상기 단계 S5로 이동하고, 저하 조작일 때에는 상기 단계 S8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성공률에 따라 제어 회로(51)가 시트부(4)의 요동의 속도를 변화함으로써, 상기 운동 보조 장치(1)측이, 자동적으로 사용자(2)의 숙달도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효과적으로 운동을 부여할 수 있다. 또, 상기 총 요동 회수, 스텝수(운동량)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2)는, 예상한 대로, 혹은 목표대로의 운동량이 얻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인식할 수 있으며, 체중을 가하는 방법을 바꾸는 등, 잘 올려질 수 있도록 연구하거나, 요동의 속도나 운동 시간을 크게 하여 운동량을 늘리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성공률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2)는, 상기 운동량뿐만 아니라, 현재 잘 올려져 있는지의 여부를 인식할 수 있어, 한층 효과적으로 운동을 부여할 수 있다.
상술한 구동 장치(5)는, 요동 속도를 변화 가능한 구성이었지만, 스트로크를 변화 가능한 구성이어도 되고, 혹은 양쪽을 변화 가능한 구성이어도 된다. 또, 제어 회로(51)가 누계 회수를 적산 카운트하는 것은, 운동 개시 시점으로부터 뿐만 아니라, 미리 정하는 시간마다 적절히 리셋하여, 그 미리 정하는 시간마다의 누계 회수를 적산하도록 해도 되고, 또 리미트 스위치(26)가 ON한 회수를 카운트하는 것이 아니라, ON한 시간을 카운트해도 되며, 그 경우, 경과 시간이나 단위 시간당으 로, 리미트 스위치(26)가 ON한 시간의 비율이 성공률이 된다.
[실시 형태 2]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의 다른 형태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1')의 전기적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 운동 보조 장치(1')는, 상술한 운동 보조 장치(1)와 유사하고,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여 나타내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주목해야 할 것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좌우의 다리대(8L', 8R')에는, 상기 리미트 스위치(26) 대신에, 하중 센서(6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리미트 스위치(26)에서는, ON/OFF로 검지할 뿐이고, 상기 미리 정하는 값 이상의 가중이 가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없는 것에 반해, 이 하중 센서(60)는, 슬라이드 저항이나 왜곡 게이지 등으로 이루어지고, 어느 정도의 체중이 가해지고 있는지를 검지할 수 있다.
한편, 조작 패널(11')에는, 상기 도 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표시 화면으로부터, 화면 전환으로, 운동 초기에는, 표시 영역 A5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체중 입력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본체측 회로 기판(110')의 제어 회로(51')는, 체중 입력 화면을 표시함과 더불어, 이 체중 입력 화면의 입력으로부터, 운동 효과의 판단 기준인 상기 체중의 40%의 값을, 사용자(2)에 따라 전환한다. 그 판단 기준과, 상기 하중 센서(60)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어 회로(51')는, 운동이 성공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표시 램프 A3, A4의 점등이나, 카운트 동작을 행한다. 또한, 체중 입력 화면은, 도 10과 같은 사용자(2)가 직접 체중을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측정 동작을 지시하는 화면으로 하여, 측정 동작이 지시되면, 사용 자(2)가 다리대(8L', 8R')에 모든 체중을 가한 상태로, 상기 하중 센서(60)에 의해 하중을 측정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운동 효과의 판단 기준인 상기 체중의 40%의 값을, 사용자(2)에 따라 전환할 수 있으며, 상기 40%의 판단 기준을 적절하게 변화할 수 있다.
또, 상기 본체측 회로 기판(110')에는, 소프트 프로그램(61)이 탑재되어 있다. 제어 회로(51')는, 이 소프트 프로그램(61)에 따라, 표시 패널(11')로의 표시에 응답한 발 디딤 동작을 행하게 하여, 민첩성 테스트 등을 행한다. 또한, 이 소프트 프로그램(61)에 따라, 제어 회로(51')는, 요동 속도를 변화시키거나, 성공률이 낮으면 격려하는 화면을 표시하는 등, 사용자(2)의 운동 의욕을 향상시키는 동작을 행한다.
본 발명의 운동 보조 장치(1, 1')는, 기대(13)에 세워져 설치된 신축 가능한 다리부(6)에 요동을 발생하는 구동 장치(5)를 탑재하고, 그 구동 장치(5) 상에 시트부(4)를 부착하고 있다. 이에 반해, 도 1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특허 문헌 1의 운동 보조 장치(71)에서는, 폴(72)의 선단에 시트부(73)를 부착하고, 그 폴(72)의 기단측을 구동 장치(74)에 의해 요동시키므로, 기단측에 큰 스트레스가 가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운동 보조 장치(1, 1') 쪽이, 소형의 부품을 사용하고, 또한 전력을 절약하여 구동할 수 있음과 더불어, 시트부(4)의 높이 조정도 용이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동 보조 장치는, 사용자가 시트부에 허리부를 댄 상태로, 요동 수단이 상기 시트부를 요동함으로써, 다리대에 올려져 있는 사용자의 다리부에 체중이 변화하여 가해지도록 해서, 사용자에게 운동을 부여하는 운동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리대에 미리 정하는 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진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미리 정하는 요동 회수에 대해, 검출 수단으로 사용자가 다리부에 상기 미리 정하는 값 이상의 체중을 가한 것이 검출된 회수의 비율, 또는 미리 정하는 시간 내에서, 검출 수단으로 사용자가 다리부에 상기 미리 정하는 값 이상의 체중을 가한 것이 검출된 시간의 비율에 따라, 상기 요동 수단에 의한 시트부의 요동의 양태를 변화시키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운동 보조 장치는, 사용자가 시트부에 허리부를 댄 상태로, 요동 수단이 상기 시트부를 요동함으로써, 다리대에 올려져 있는 사용자의 다리부에 체중이 변화하여 가해지도록 해서, 사용자에게 운동을 부여한다. 상기 시트부의 요동 중에, 사용자가 시트부에 체중을 너무 가하고 있으면, 원하는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어 버린다. 그래서, 상기 다리대에 미리 정하는 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진, 즉 운동이 성공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설치하였다. 그리고, 제어 수단은, 상기 요동 수단에 의한 시트부의 요동을 제어할 때에,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로부터, 즉, 미리 정하는 요동 회수에 대해, 상기 검출 수단으로 사용자가 다리부에 상기 미리 정하는 값 이상의 체중을 가한 것이 검출된 회수의 비율, 또는 미리 정하는 시간 내에서, 상기 검출 수단으로 사용자가 다리부에 상기 미리 정하는 값 이상의 체중을 가한 것이 검출된 시간의 비율을, 즉 성공률로서 산출하여, 그 성공률에 따라 상기 요동 수단에 의한 시트부의 요동의 양태를 변화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성공률이 높아질수록, 다리부에 체중을 가할 수 있고, 잘 실릴 수 있으며, 요동의 속도를 빠르게 하거나, 요동의 스트로크를 크게 하여 단위 시간당의 운동량을 늘리거나 한다. 반대로, 성공률이 낮아질수록, 다리부에 체중이 가해지지 않고, 따라서 잘 실릴 수 없으며, 요동의 속도를 느리게 하거나, 요동의 스트로크를 작게 하여, 잘 실릴 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소기의 운동량을 얻기 위해 운동 시간을 길게 하거나 한다.
이에 의해, 장치측이 자동적으로 사용자의 숙달도를 판단하여, 그에 따라 효과적으로 운동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운동 보조 장치는, 사용자가 시트부에 허리부를 댄 상태로, 요동 수단이 상기 시트부를 요동함으로써, 다리대에 올려져 있는 사용자의 다리부에 체중이 변화하여 가해지도록 해서, 사용자에게 운동을 부여하는 운동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리대에 미리 정하는 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진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를 적산하여, 적산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가 시트부에 허리부를 댄 상태로, 요동 수단이 상기 시트부를 요동함으로써, 다리대에 올려져 있는 사용자의 다리부에 체중이 변화하여 가해지도록 해서, 사용자에게 운동을 부여하는 운동 보조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가 시트부에 체중을 너무 가하고 있으면, 원하는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되어 버린다. 그래서, 상기 다리대에 미리 정하는 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진, 즉 운동이 성공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을 설치하고, 표시 수단이, 그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를 적산한 운동량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예상한 대로, 혹은 목표대로의 운동량이 얻어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인식할 수 있으며, 체중을 가하는 방법을 바꾸는 등, 잘 실릴 수 있도록 연구하거나, 요동의 속도나 스트로크를 크게 하여 운동량을 늘리거나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운동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운동 보조 장치에서는, 상기 표시 수단은, 미리 정하는 요동 회수에 대해, 상기 검출 수단으로 사용자가 다리부에 상기 미리 정하는 값 이상의 체중을 가한 것이 검출된 회수의 비율, 또는 미리 정하는 시간 내에서, 검출 수단으로 사용자가 다리부에 상기 미리 정하는 값 이상의 체중을 가한 것이 검출된 시간의 비율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 표시 수단은, 요동 회수 및 사용자가 다리부에 상기 미리 정하는 값 이상의 체중을 가한 것이 검출된 회수를 적산하여, 그들의 비율을 구함으로써, 성공률, 즉 사용자가 잘 올려져 있는지의 여부를 구할 수 있다. 동일하게, 미리 정하는 시간 및 사용자가 다리부에 상기 미리 정하는 값 이상의 체중을 가한 것이 검출된 시간을 적산하여, 그들의 비율을 구함으로써, 성공률을 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운동량뿐만 아니라, 현재 잘 올려져 있는지의 여부를 인식할 수 있어, 한층 효과적으로 운동을 부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운동 보조 장치에서는, 상기 검출 수단은, 하중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검출 수단으로서, 다리대에 미리 정하는 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진 것을 검출하기만 하는 구성이면, 예를 들면 성인에게 상정되는 최저 체중인 40kg 중, 예를 들면 40%인 16kg이 상기 다리대에 가해졌을 때, 이 운동 보조 장치로 운동 효과가 얻어지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고, 그 16kg이 가해졌는지의 여부는, 상기 다리대에 그 16kg의 하중에 견디는 스프링에, 검출 수단으로서 리미트 스위치 등의 ON/OFF로 검지하는 수단을 설치하기만 하면, 판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검출 수단으로서, 슬라이드 저항이나 왜곡 게이지와 같은 하중 센서를 이용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체중이 가해지고 있는지를 검지할 수 있으며, 운동 효과의 판단 기준인 상기 체중의 40%의 값을, 사용자에 따라 전환할 수 있다. 즉, 조작 패널에 체중을 설정하거나, 운동 전에 다리대에 모든 체중을 가한 상태로 하중을 측정하는 등으로 해서, 사용자마다의 체중의 데이터를 미리 입수해 두고, 그 데이터에 따라, 상기 40%의 판단 기준을 적절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운동 보조 장치는, 상기 다리대를 갖는 기대와, 상기 기대에 세워져 설치되고, 상기 시트부와 상기 다리대를 미리 정하는 간격으로 유지함과 더불어, 사용자의 신장에 맞추어 신축 변위할 수 있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부착되고, 상부에 상기 시트부가 부착되는 상기 요동 수단을 구비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전술한 사용자가 시트부에 허리부를 댄 상태로, 당해 시트부를 요동함으로써, 사용자의 다리부에 체중이 변화하여 가해지도록 해서, 사용자에게 운동을 부여하는 운동 보조 장치를 실현하는데 있어서, 상기 시트부를 폴 선단에 부착하고, 그 폴의 기단측을 요동하는 구성에 비해, 각 기구 부품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는 작고, 소형의 부품을 채용할 수 있음과 더불어, 신장에 맞춘 상기 시트부의 높이 조정이 용이하여, 한층 효과적으로 운동을 부여할 수 있어, 본 발명에 적합한 기구이다.
또, 본 발명의 운동 보조 장치에서는, 상기 요동 수단은, 상기 지주의 상부와 시트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구동 장치로서 실현되고, 상기 지주의 상부에 설치되는 대좌에 대해 전후 방향의 축선 둘레로 요동이 자유로우며, 전후 방향의 요동을 발생하는 요동 기구와, 상기 요동 기구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방 링크 및 후방 링크와, 상기 전방 링크 및 후방 링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부를 지지하는 대좌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구동 장치에 의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요동을 발생하는 상기 요동 수단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운동 보조 장치에서는, 상기 요동 기구는, 상기 대좌 상에 세워져 설치되는 전후 한 쌍의 축 지지판과, 상기 축 지지판에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판과 후판 및 그들 전판 및 후판에 좌우 양측으로부터 고정되는 측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세로로 거치되는 모터와, 상기 양 측판에 피벗 지지되어, 상 기 모터로 구동되는 제1 및 제2 샤프트와, 상기 제1 샤프트의 양단부에 서로 같은 위상이 되는 각도로 각각 부착되는 편심 크랭크와, 상기 편심 크랭크에 일단이 부착되는 아암 링크와, 상기 제2 샤프트의 적어도 일단에 편심하여 세워져 설치되는 핀과 상기 대좌의 사이에 설치되는 편심 로드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방 링크는, 상기 전판의 하부측에서 전후로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됨과 함께 상기 아암 링크의 타단이 부착됨으로써 상기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해지며, 또한 상기 편심 로드의 구동에 의해 상기 요동 기구가 상기 좌우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모터가 구동하면, 제1 샤프트, 편심 크랭크, 아암 링크 및 전방 링크에 의해 시트부를 지지하는 대좌는 전후 방향으로 요동하고, 제2 샤프트 및 편심 로드에 의해 상기 시트부를 지지하는 대좌는 좌우 방향으로 요동한다. 이렇게 해서, 요동 기구로, 상기 시트부를 지지하는 대좌를 요동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사용자가 시트부에 허리부를 댄 상태로, 요동 수단이 상기 시트부를 요동함으로써, 다리대에 올려져 있는 사용자의 다리부에 체중이 변화하여 가해지도록 해서, 사용자에게 운동을 부여하는 운동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리대에 미리 정하는 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진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미리 정하는 요동 회수에 대해, 상기 검출 수단으로 사용자가 다리부에 상기 미리 정하는 값 이상의 체중을 가한 것이 검출된 회수의 비율, 또는 미리 정하는 시간 내에서, 상기 검출 수단으로 사용자가 다리부에 상기 미리 정하는 값 이상의 체중을 가한 것이 검출된 시간의 비율에 따라, 상기 요동 수단에 의한 시트부의 요동의 양태를 변화시키는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보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를 적산하여, 적산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보조 장치.
  3. 사용자가 시트부에 허리부를 댄 상태로, 요동 수단이 상기 시트부를 요동함으로써, 다리대에 올려져 있는 사용자의 다리부에 체중이 변화하여 가해지도록 해 서, 사용자에게 운동을 부여하는 운동 보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리대에 미리 정하는 값 이상의 하중이 가해진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를 적산하여, 적산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보조 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표시 수단은, 미리 정하는 요동 회수에 대해, 상기 검출 수단으로 사용자가 다리부에 상기 미리 정하는 값 이상의 체중을 가한 것이 검출된 회수의 비율, 또는 미리 정하는 시간 내에서, 검출 수단으로 사용자가 다리부에 상기 미리 정하는 값 이상의 체중을 가한 것이 검출된 시간의 비율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보조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은, 하중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보조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대를 갖는 기대(基臺)와,
    상기 기대에 세워져 설치되어, 상기 시트부와 상기 다리대를 미리 정하는 간격으로 유지함과 더불어, 사용자의 신장에 맞추어 신축 변위할 수 있는 지주(支柱)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부착되고, 상부에 상기 시트부가 부착되는 상기 요동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보조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요동 수단은, 상기 지주의 상부와 시트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구동 장치로서 실현되고,
    상기 지주의 상부에 설치되는 대좌(臺座)에 대해 전후 방향의 축선 둘레로 요동이 자유로우며, 전후 방향의 요동을 발생하는 요동 기구와,
    상기 요동 기구 상에서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방 링크 및 후방 링크와,
    상기 전방 링크 및 후방 링크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부를 지지하는 대좌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보조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요동 기구는,
    상기 대좌 상에 세워져 설치되는 전후 한 쌍의 축 지지판과,
    상기 축 지지판에 상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핀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판과 후판 및 그들 전판 및 후판에 좌우 양측으로부터 고정되는 측판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세로로 거치되는 모터와,
    상기 양 측판에 피벗 지지되어, 상기 모터로 구동되는 제1 및 제2 샤프트와,
    상기 제1 샤프트의 양단부에 서로 같은 위상이 되는 각도로 각각 부착되는 편심 크랭크와,
    상기 편심 크랭크에 일단이 부착되는 아암 링크와,
    상기 제2 샤프트의 적어도 일단에 편심하여 세워져 설치되는 핀과 상기 대좌의 사이에 설치되는 편심 로드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전방 링크는, 상기 전판의 하부측에서 전후로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아암 링크의 타단이 부착됨으로써 상기 전후 방향으로 요동 가능해지며, 또한 상기 편심 로드의 구동에 의해 상기 요동 기구가 상기 좌우 방향으로 요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동 보조 장치.
KR1020097024116A 2007-04-25 2007-04-25 운동 보조 장치 KR1011603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58925 WO2008136102A1 (ja) 2007-04-25 2007-04-25 運動補助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137A KR20100005137A (ko) 2010-01-13
KR101160396B1 true KR101160396B1 (ko) 2012-06-26

Family

ID=39943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4116A KR101160396B1 (ko) 2007-04-25 2007-04-25 운동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63887B2 (ko)
EP (1) EP2158892A4 (ko)
KR (1) KR101160396B1 (ko)
CN (1) CN101657174B (ko)
WO (1) WO20081361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64320A (ja) * 2007-04-23 2008-11-06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運動補助装置
JP5032883B2 (ja) * 2007-05-14 2012-09-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運動補助装置
US20100248922A1 (en) * 2007-10-31 2010-09-3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Exercise assisting apparatus
EP2226052A4 (en) * 2007-12-25 2014-01-15 Panasonic Corp TRAINING AUXILIARY UNIT
FR2939687B1 (fr) * 2008-12-11 2016-04-15 Marc Champsaur Procede de commande d'un appareil d'exercice musculaire et/ou articulaire et appareil d'exercice associe
ES2618856T3 (es) * 2011-10-25 2017-06-22 Albert Handtmann Maschinenfabrik Gmbh & Co. Kg Máquina alimentaria, especialmente una máquina para el procesamiento y la fabricación de embutido, y procedimiento para su operación
US9168418B2 (en) 2011-12-30 2015-10-27 Lawrence G. Adamchick Portable physical therapy/rehabilitation/exercise device, system and method
CN103537070B (zh) * 2013-11-06 2016-01-20 廖明忠 站立式平衡训练器及站立式平衡训练方法
CN104856834B (zh) * 2015-04-20 2017-02-01 芜湖天人智能机械有限公司 一种肢体协调运动康健椅工作位置的确定方法
CN105413114A (zh) * 2015-12-04 2016-03-23 王本 一种带计数器的健骑机
US10384092B1 (en) * 2016-05-07 2019-08-20 Gregory Karapetian Isometric exercise device
EP4108302A4 (en) * 2020-02-20 2023-08-23 Sharp Kabushiki Kaisha EXERCISE SYSTEM, EXERCISE DEVICE AND EXERCISE PROCEDUR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8733A (ja) 2003-05-21 2005-03-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運動補助装置
JP2006034640A (ja) 2004-07-27 2006-02-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運動補助装置
JP2006229170A (ja) 2005-02-21 2006-08-31 Kyocera Mita Corp 半導体装置
JP2007089652A (ja) 2005-09-27 2007-04-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運動補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4771A (en) * 1989-07-17 1991-10-08 Outer Sports, Inc. Computer-interactive game machine with swing-action
US5221242A (en) * 1991-07-03 1993-06-22 Weber James C Leg exercise device
JP2634536B2 (ja) 1992-06-11 1997-07-30 栄電子工業株式会社 ドライプロセスコーティング加工方法および加工装置
US5466389A (en) 1994-04-20 1995-11-14 J. T. Baker Inc. PH adjusted nonionic surfactant-containing alkaline cleaner composition for cleaning microelectronics substrates
EP0969901A1 (en) * 1997-03-12 2000-01-12 Neurocom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training programs
US6379285B1 (en) * 1997-04-26 2002-04-30 Joseph D. Maresh Exercise apparatus and methods involving a transformable seat
JP3666485B2 (ja) 2003-01-17 2005-06-29 松下電工株式会社 バランス訓練装置
WO2004110568A1 (ja) * 2003-05-21 2004-12-2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脚部トレーニング装置
JP2004344683A (ja) 2004-09-10 2004-12-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バランス訓練装置
JP5016203B2 (ja) * 2005-05-26 2012-09-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運動補助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8733A (ja) 2003-05-21 2005-03-10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運動補助装置
JP2006034640A (ja) 2004-07-27 2006-02-0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運動補助装置
JP2006229170A (ja) 2005-02-21 2006-08-31 Kyocera Mita Corp 半導体装置
JP2007089652A (ja) 2005-09-27 2007-04-1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運動補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93495A1 (en) 2010-04-15
WO2008136102A1 (ja) 2008-11-13
CN101657174A (zh) 2010-02-24
US7963887B2 (en) 2011-06-21
CN101657174B (zh) 2012-08-29
KR20100005137A (ko) 2010-01-13
EP2158892A4 (en) 2012-12-19
EP2158892A1 (en) 201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396B1 (ko) 운동 보조 장치
KR100791584B1 (ko) 운동 보조 장치
JP4736670B2 (ja) 運動補助装置
KR100661072B1 (ko) 다리 운동 장치
KR101172323B1 (ko) 운동 보조 장치
EP1666103B1 (en) Total body elliptical exercise equipment with upper body monitoring
JP2007089650A (ja) 運動補助装置
KR20100085139A (ko) 타동 운동 기기
WO2009081938A1 (ja) 運動補助装置
EP2153874A1 (en) Exercise assistance device
JP2005058733A (ja) 運動補助装置
JP4449896B2 (ja) 揺動型運動装置
JP2007117307A (ja) 運動補助装置
JP2007089651A (ja) 運動補助装置
JP4258464B2 (ja) 揺動型運動装置
TWI356719B (ko)
JP5059177B2 (ja) 運動補助装置
JP2007167292A (ja) 運動補助装置
KR102311716B1 (ko) 회전각도 가변형 재활운동기구
CN115364429A (zh) 一种可调行程椭圆机
WO2009122544A1 (ja) 運動補助装置
EP1961460A1 (en) Treadmill
JP2007167293A (ja) 運動補助装置用定規
JP2009219730A (ja) 受動運動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