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7650B1 -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7650B1
KR101157650B1 KR1020090106905A KR20090106905A KR101157650B1 KR 101157650 B1 KR101157650 B1 KR 101157650B1 KR 1020090106905 A KR1020090106905 A KR 1020090106905A KR 20090106905 A KR20090106905 A KR 20090106905A KR 101157650 B1 KR101157650 B1 KR 101157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door
door
unit
encoder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6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0073A (ko
Inventor
손동원
Original Assignee
엘레코리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레코리아(주) filed Critical 엘레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090106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7650B1/ko
Publication of KR20110050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0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7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7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 B66B13/146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method or algorithm for controll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006Monitoring devices or performance analysers
    • B66B5/0018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 B66B5/0031Devices monitoring the operating condition of the elevator system for safety rea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도어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엘리베이터 구동을 위한 소정의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엔코더와, 상기 센서부의 도어감지신호 또는 상기 엔코더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엘리베이터 도어를 저속안전모드/정상속도모드로 선택하여 운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엔코더와 근접센서를 모두 사용하여 위치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엔코더(또는 근접센서) 불량시 근접센서(또는 엔코더)를 이용하여 정상속도로 엘리베이터 도어를 계속해서 작동시킬 수 있고, 엘리베이터 도어의 고장 발생시 저속안전모드로 엘리베이터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어 과속 발생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어 고장 복구시까지 엘리베이터를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엘리베이터의 도어에서 발생되는 사고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Figure R1020090106905
엘리베이터 도어, 근접센서, 엔코더, 제어부, 저속안전모드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Elevator door control system and the method}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위치 제어를 위해 근접센서와 엔코더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근접센서 또는 엔코더의 불량으로 인해 발생되는 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고층 건물 등에서 승객의 수직 방향으로의 이동을 위하여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장치는 그 내부에 승객이 탑승한 상태에서 건물 내부의 수직 방향을 따라 형성된 승강로를 매개로 이동하면서 탑승객을 선택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엘리베이터 케이지와, 소정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와, 권상기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승객의 호출입력 버튼 조작에 따른 해당 위치로 이동시키는 기계이송부와, 상기 기계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원활하고 안정적으로 운행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제어반을 포 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승강장 또는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탑승한 승객으로부터 호출입력 버튼이나 목적층 입력버튼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상기 엘리베이터 제어반에서 상기 입력신호를 분석한 후 기계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를 해당 층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해당 층에 도착한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정지한 후에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제어하여 선택적으로 도어가 개폐되도록 함으로써 승객은 해당 층에서 엘리베이터 케이지에 승차 또는 하차를 수행하면서 건물 내에서 해당 층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를 제어하는데 있어서, 보다 안정되고 정확한 운전을 위하여 도어 인버터에서 엔코더의 신호 상태를 감지한 후에 그 신호에 따라 도어의 위치 제어 및 전동기의 벡터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엔코더의 신호 정보가 도어를 제어하는 중요한 요소가 되므로 만약 엔코더 고장시 도어 인버터에서 전동기의 회전 상태를 확인할 수가 없어 벡터 제어가 불가능하게 되고, 아울러 도어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어 엘리베이터 케이지가 정상적인 동작을 하지 못하고 임의적으로 정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케이지의 임의적인 정지에 따라 그 내부 탑승객은 상기 엘리베이터 케이지 내에 갇히게 되고, 엘리베이터의 문제 조치 이전까지는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의 사용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승객의 불안감이 가중되고, 엘리베이터 장치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는 엔코더를 사용하지 않고 기계적인 캠스위치(또는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도어의 크기에 따라 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는데, 위치검출용 캠스위치가 불량일 경우에 도어의 이상속도 발생으로 탑승객이 다치는 현상이 발생되며 복구에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엔코더와 근접센서를 모두 사용하여 위치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엔코더 불량시 근접센서를 이용하여 정상속도로 엘리베이터 도어를 계속해서 작동시킬 수 있고, 엔코더와 근접센서의 신호가 모두 불량일 경우에 저속안전모드로 엘리베이터 도어를 작동시키는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신호 불량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도어의 고장 발생시 저속안전모드로 엘리베이터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어 과속 발생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고장 복구시까지 엘리베이터를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엘리베이터의 도어에서 발생되는 사고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제 어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도어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엘리베이터 구동을 위한 소정의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엔코더와, 상기 센서부의 도어감지신호 또는 상기 엔코더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엘리베이터 도어를 저속안전모드/정상속도모드로 선택하여 운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의 전단에는 상기 센서부의 도어감지신호와 상기 엔코더의 출력신호 중 어느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제1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상기 모터부의 특성에 맞게 변경하여 공급하는 제2 비교기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모터부에 직류 전압을 인가시키는 인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코더의 출력신호를 분석하여 이상 발생시 상기 센서부의 도어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도어를 정상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코더의 출력신호 또는 상기 센서부의 도어감지신호를 통해 이상 신호 감지시 엘리베이터 도어를 저속안전모드로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닫힘종료를 감지하는 제1 근접센서, 닫힘감속을 감지하는 제2 근접센서, 열림감속을 감지하는 제3 근접센서, 열림종료를 감지하는 제4 근 접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방법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 명령이 입력되면, 엔코더의 출력신호 또는 도어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의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엔코더의 출력신호 또는 센서부의 감지신호가 정상인 경우에 정상속도모드로 엘리베이터 도어를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엔코더의 출력신호와 센서부의 감지신호가 비정상인 경우에 저속안전모드로 엘리베이터 도어를 구동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를 구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폭을 측정하는 제1 구간과,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완개/완폐 지점까지 가속 구간 동안 일정한 속도로 열림/닫힘 동작을 시작하는 제2 구간과,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완개/완폐 지점에서 일정 시간 동안 열림/담힘 상태를 유지하는 제3 구간과,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완폐/완개 지점까지 감속 구간 동안 일정한 속도로 닫힘/열림 동작을 시작하는 제4 구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속안전모드로 엘리베이터 도어를 구동시킬 경우에, 상기 가속 구간의 가속 기울기 또는 감속 구간의 감속 기울기 값을 변경하여 엘리베이터 도어를 저속으로 운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저속안전모드로 엘리베이터 도어를 구동시킬 경우에, 상기 제4 구간에는 T 시간 동안 제1 속도(SP1)로 감속을 진행시킨 후에 T+1(T>T+1) 시간 동안 제2 속도(SP2, 0<SP2<SP1)로 감속을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도어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엔코더와 근접센서를 모두 사용하여 위치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엔코더(또는 근접센서) 불량시 근접센서(또는 엔코더)를 이용하여 정상속도로 엘리베이터 도어를 계속해서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신호 불량으로 인해 엘리베이터 도어의 고장 발생시 저속안전모드로 엘리베이터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어 과속 발생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고장 복구시까지 엘리베이터를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해소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엘리베이터의 도어에서 발생되는 사고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시스템 자체에서 신속한 응급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어 응급조치용 비축자재를 축소하여 비축함으로써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가속 또는 감속의 안전성이 필요한 모터제어 방식에 적용되어 안전성에 대응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제어부와 인버터부를 통해 AC 모터와 DC 모터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어 노후된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에 안전과 신속한 효율성, 및 이용자의 편익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시스템은,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도어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10)와, 엘리베이터 구동을 위한 소정의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20)와, 상기 모터부(20)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엔코더(30)와, 상기 센서부(10)의 도어감지신호 또는 상기 엔코더(3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엘리베이터 도어를 저속안전모드/정상속도모드로 선택하여 운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0)와, 외부에서 DC 110V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40)의 구동 전압(DC 5V)으로 변환 출력하는 전원부(50)와, 상기 전원부(50)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상기 모터부(20)의 특성에 맞게 변경하여 공급하는 제2 비교기(51)와, 상기 제어부(4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모터부(20)에 직류 전압을 인가시키는 인버터부(60)로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40)는 16비트의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적용하고, 인버터부(60)의 구동소자를 FET나 TR을 대신해서 IPM(Intelligent Power Module)을 적용한다.
이때, IPM 내부에는 6개의 EFT나 IGBT 등의 구동소자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모터부(20)는 입력전원에 따라 AC 모터(22)와 DC 모터(21)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먼저, 상기 센서부(10)는 닫힘종료를 감지하는 제1 근접센서(11), 닫힘감속을 감지하는 제2 근접센서(12), 열림감속을 감지하는 제3 근접센서(13), 열림종료를 감지하는 제4 근접센서(14)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40)의 전단에는 상기 센서부(10)의 도어감지신호와 상기 엔코더(30)의 출력신호 중 어느 신호가 상기 제어부(40)로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제1 비교기(41)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제1 비교기(41)에서 입력되는 신호에 맞추 어 엘리베이터 도어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엔코더(30)의 출력신호를 분석하여 엔코더(30)의 불량으로 초기 데이터 값에서 설정값 이상의 오차 발생시, 또는 엔코더(30)에서 발생되는 펄스가 비이상적으로 변하는 경우에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엔코더(30)의 출력신호를 배제시키고 상기 센서부(10)의 도어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도어를 정상 구동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센서부(10)의 도어감지신호를 통해 이상 신호를 감지한 경우에 시스템이 정상 복구될 때까지 엘리베이터 도어를 저속안전모드로 개폐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40)는 관리자가 교류 전원 입력시 현재 AC 모터(22)를 사용한다고 판단하고, 인버터부(60) 내부의 FET 또는 IGBT를 6개를 사용하여 AC 모터 제어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AC 모터(22)로 전달한다.
그런데, 상기 제어부(40)는 관리자가 직류 전원 입력시 현재 DC 모터(21)를 사용한다고 판단하고, 상기 인버터부(60) 내부의 FET 또는 IGBT 중에서 4개의 구동소자를 사용하여 DC 모터 제어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DC 모터(21)로 전달한다.
이때, DC 모터(21)는 모터아마츄어에 DMA1,DMA2가 입력되고, 계자에 DMF (+),NC(-)가 입력된다. 그리고, AC 모터(22)는 출력이 U,V,W의 3상 220[VAC]를 사용한다.
상기 인버터부(60)는 동일한 1개의 IPM을 사용하지만, 도 1에서는 AC 모터와 DC 모터에 적용되는 서로 다른 구동소자를 예시하기 위해 AC 모터에 적용되는 인버 터부와 DC 모터에 적용되는 인버터부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40)는 인버터 제어 방식을 통해 AC 모터를 제어하고, 여자 제어 방식을 통해 DC 모터를 제어하게 되고, 상기 센서부(10)와 엔코더(30)는 모터의 형태와 무관하게 AC 모터와 DC 모터에 동일하게 적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시 구간별 속도 변화가 도시된 그래프로서, (a)는 도어 열림 속도 변화 그래프이고, (b)는 도어 닫힘 속도변화 그래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방법은, 제어부(40)는 전원 공급시 엘리베이터 도어가 닫힘 상태임을 확인하고, 수동모드(또는 조정모드)에서 승객으로부터 호출입력 버튼이나 목적층 입력버튼이 조작되어 도어 개폐 명령이 입력되면 초기 운전을 시작한다.(S1~S4 단계)
상기 제어부(40)는 엔코더(30)의 출력신호 또는 센서부(10)의 도어감지신호가 제1 비교기(41)를 통해 어느 하나의 신호가 입력되면 엔코더(30)의 출력신호 또는 센서부(10)의 도어감지신호에 따라 운전모드를 판단하여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운전모드에 따라 인버터부(60)를 구동하게 되고, 상기 모터부(20)에 DC 전압을 인가시킨다.(S5~S8 단계)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0)는 전원 입력 후에 최초 열림 동작 실행시 엔코더(30)의 출력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센서부(10)를 이용한 운전모드로 인식하고 계속해서 상기 엔코더(30)의 출력신호가 입력되지 않더라도 상기 센서부(10)의 도어감지신호를 통해 정상속도모드로 엘리베이터 도어를 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40)는 엔코더(30)의 출력신호 또는 센서부(10)의 감지신호가 정상인 경우에 정상속도모드로 엘리베이터 도어를 구동시키지만, 상기 엔코더(30)의 출력신호와 센서부(10)의 감지신호가 모두 비정상인 경우에 저속안전모드로 엘리베이터 도어를 구동시키게 된다.(S9~S11 단계)
상기 제어부(40)는 엔코더(30)의 출력신호에 맞추어 운전시 엔코더(30)의 초기 설정시 입력값보다 10~15% 오차 발생시 엘리베이터 도어가 과속 운전 등의 이상 동작을 하게 되므로 정상 복구될때까지 저속안전모드로 도어를 구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10) 중에서 제2 근접센서(12) 또는 제3 근접센서(13)가 불량이 발생되거나 감지 능력이 상실되면 계속해서 감지 동작을 수행하거나, 감지 동작이 정지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도어가 고속으로 개폐되어 탑승객의 부상이 초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어부(40)는 저속안전모드로 도어를 구동시킨다.
상기 저속안전모드로 운행 이전에, 상기 제어부(40)는 신호 복구 동작을 수행하여 신호가 복구되면 정상속도모드로 운행하고, 신호가 복구되지 않으면 저속안전모드로 운행을 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제어부(40)는 신호 복구 동작을 3회 반복 수행한 결과, 신호가 복구되지 않으면 영구 고장으로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를 구간별 제어하게 되는데,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폭을 측정하는 제1 구간(T11, T21)과,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완개/완폐 지점까지 가속 구간 동안 일정한 속도로 열림/닫힘 동작을 시작하는 제2 구간(T12, T22)과,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완개/완폐 지점에서 일정 시간 동안 열림/담힘 상태를 유지하는 제3 구간(T13, T23)과,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완폐/완개 지점까지 감속 구간 동안 일정한 속도로 닫힘/열림 동작을 시작하는 제4 구간(T14, T24)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3에서 P-00은 도어폭 측정 속도, P-01은 열림 저속 속도(열림 감속 최저 속도), P-02는 열림 고속 속도(열림 고속 최고 속도), P-03은 열림 감속구간, P-04는 열림 정지력, P-05는 닫힘 저속 속도(닫힘 감속 최저 속도), P-06은 닫힘 고속 속도(닫힘 고속 최고 속도), P-07은 닫힘 감속 구간, P-08은 닫힘 정지력, P-09는 열림 가속 기울기, P-10은 닫힘 가속 기울기를 각각 나타낸다.
이때, P-03과 P-07에서는 감속 구간의 기울기 값을 높이면 감속 구간이 길어지고, P-09 및 P-10은 기울기 값을 높이면 천천히 가속하게 된다.
그리고, P-04는 제4 근접센서(14)에서 열림 종료가 감지된 후 속도이고, P-08은 제2 근접센서(12)에서 닫힘 감지가 감지된 후 속도를 각각 나타낸다.
특히, 상기 저속안전모드로 엘리베이터 도어를 구동시킬 경우에, 상기 가속 구간의 가속 기울기 또는 감속 구간의 감속 기울기 값을 변경하여 엘리베이터 도어를 저속으로 운행시키게 되는데, 상기 제4 구간에서는 T 시간 동안 제1 속도(SP1)로 감속을 진행시킨 후에 T15 또는 T25 구간에서 T+1(T>T+1) 시간 동안 제2 속 도(SP2, 0<SP2<SP1)로 감속을 진행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10) 또는 엔코더(30)의 불량으로 비정상 신호가 발생하더라도 정상 복구될 때까지 엘리베이터 도어가 천천히 개폐됨으로써 탑승객이 다치는 현상이 사전에 방지될 수 있고, 엘리베이터를 사용 중지할 필요없이 저속으로 계속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40)는 관리자가 직류/교류 중 어떤 전원을 입력했는지에 따라 인버터부(60) 내의 구동소자를 다르게 적용하여 DC 모터(21) 또는 AC 모터(22)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터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즉, 관리자가 전원부(50)를 통해 교류 전원을 입력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40)는 인버터 제어 방식에 따라 상기 인버터부(60) 내의 6개의 구동소자를 모두 적용하여 AC 모터 제어 전압을 생성하여 AC 모터(22)에 전달한다.
그런데, 관리자가 전원부(50)를 통해 직류 전원을 입력한 경우에, 상기 제어부(40)는 여자 제어 방식에 따라 상기 인버터부(60) 내의 4개의 구동소자를 선택 적용하여 DC 모터 제어 전압을 생성하여 DC 모터(21)에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0)는 1개의 인버터부(60)를 통해 AC 모터(22)와 DC 모터(21)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노후된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에 있어 안전과 신속한 효율성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도어의 위치 제어를 위해 근접센서와 엔코더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근접센서 또는 엔코더의 불량으로 인해 발생되는 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고 시스템 자체에서 신속한 응급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어 응급조치용 비축자재를 축소하여 비축함으로써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가속 또는 감속의 안전성이 필요한 모터제어 방식에 적용되어 안전성에 대응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시스템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구동시 구간별 속도 변화가 도시된 그래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센서부 20 : 모터부
30 : 엔코더 41 : 제1 비교기
40 : 제어부 50 : 전원부
51 : 제2 비교기 60 : 인버터부

Claims (12)

  1.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도어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부와,
    엘리베이터 구동을 위한 소정의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의 회전 상태를 감지하는 엔코더와,
    상기 센서부의 도어감지신호 또는 상기 엔코더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엘리베이터 도어를 저속안전모드/정상속도모드로 선택하여 운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전단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부의 도어감지신호와 상기 엔코더의 출력신호 중 어느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판단하는 제1 비교기와,
    상기 엘리베이터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되는 전압을 상기 모터부의 특성에 맞게 변경하여 공급하는 제2 비교기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모터부에 직류 전압을 인가시키는 인버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엔코더의 출력신호를 분석하여 이상 발생시 상기 센서부의 도어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도어를 정상속도로 구동시키고, 상기 센서부의 도어감지신호를 통해 이상 신호 감지시 엘리베이터 도어를 저속안전모드로 개폐시키며,
    상기 센서부는 닫힘종료를 감지하는 제1 근접센서, 닫힘감속을 감지하는 제2 근접센서, 열림감속을 감지하는 제3 근접센서, 열림종료를 감지하는 제4 근접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부는 6개의 구동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부는 AC 모터와 DC 모터를 선택 사용 가능하되,
    상기 제어부는 직류 전원 입력시 4개의 구동소자를 통해 DC 모터 제어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DC 모터로 전달하고, 교류 전원 입력시 6개의 구동소자를 통해 AC 모터 제어 전압을 생성하여 상기 AC 모터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인버터 제어 방식을 통해 AC 모터를 제어하고, 여자 제어 방식을 통해 DC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시스템.
  9. 엘리베이터 도어의 개폐 명령이 입력되면, 엔코더의 출력신호 또는 도어개폐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부의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단계와,
    상기 엔코더의 출력신호 또는 센서부의 감지신호가 정상인 경우에 정상속도모드로 엘리베이터 도어를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엔코더의 출력신호가 비정상인 경우에 센서부의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정상속도모드로 엘리베이터 도어를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엔코더의 출력신호와 센서부의 감지신호가 모두 비정상인 경우에 저속안전모드로 엘리베이터 도어를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를 구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폭을 측정하는 제1 구간과,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완개/완폐 지점까지 가속 구간 동안 일정한 속도로 열림/닫힘 동작을 시작하는 제2 구간과,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완개/완폐 지점에서 일정 시간 동안 열림/담힘 상태를 유지하는 제3 구간과,
    상기 엘리베이터 도어의 완폐/완개 지점까지 감속 구간 동안 일정한 속도로 닫힘/열림 동작을 시작하는 제4 구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속안전모드로 엘리베이터 도어를 구동시킬 경우에, 상기 제4 구간에는 T 시간 동안 제1 속도(SP1)로 감속을 진행시킨 후에 T+1(T>T+1) 시간 동안 제2 속도(SP2, 0<SP2<SP1)로 감속을 진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방법.
  10. 삭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저속안전모드로 엘리베이터 도어를 구동시킬 경우에, 상기 가속 구간의 가속 기울기 또는 감속 구간의 감속 기울기 값을 변경하여 엘리베이터 도어를 저속으로 운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방법.
  12. 삭제
KR1020090106905A 2009-11-06 2009-11-06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157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905A KR101157650B1 (ko) 2009-11-06 2009-11-06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6905A KR101157650B1 (ko) 2009-11-06 2009-11-06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073A KR20110050073A (ko) 2011-05-13
KR101157650B1 true KR101157650B1 (ko) 2012-06-18

Family

ID=44360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6905A KR101157650B1 (ko) 2009-11-06 2009-11-06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76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5918A (ko) 2021-09-06 2023-03-14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734A (ja) * 1994-05-31 1995-12-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戸の制御装置
JPH10291755A (ja) * 1997-04-18 1998-11-04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ドア制御装置
KR100218409B1 (ko) * 1997-01-28 1999-09-01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53328B1 (ko) * 2004-07-16 2006-12-0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버터 제어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5734A (ja) * 1994-05-31 1995-12-05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戸の制御装置
KR100218409B1 (ko) * 1997-01-28 1999-09-01 이종수 엘리베이터의 도어 제어장치 및 방법
JPH10291755A (ja) * 1997-04-18 1998-11-04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ドア制御装置
KR100653328B1 (ko) * 2004-07-16 2006-12-0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버터 제어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 개폐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35918A (ko) 2021-09-06 2023-03-14 현대엘리베이터주식회사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0073A (ko) 201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90305A1 (en) Elevator device
JP2005351042A (ja) 開閉体制御装置
JP2009154988A (ja) エレベータの戸開走行防止システム
JP2004324052A (ja) 車両ドア制御装置
EP4001570A1 (en) Pinch detection based on motor current increase
EP1909303B1 (en) Robot control apparatus comprising a servo amplifier having an AC/DC converter
KR101157650B1 (ko) 엘리베이터 도어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8011838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7023242B (zh) 可开闭构件控制设备
JP2005194066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CN109209103B (zh) 用于车辆电动部件的防夹控制方法和控制器
US5869795A (en) Elevator floor arrival correction control
KR102299494B1 (ko) 차량의 윈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6027360B2 (ja) 出入口扉開閉装置
US11958508B2 (en) Control system and control device for electric railroad car end door
JP7107891B2 (ja) パワーウィンドウ装置初期化方法
JP2002003116A (ja) エレベーター扉の制御装置
KR20000013728A (ko)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고장 검출장치
KR102334685B1 (ko) 구출운전시 인버터 제어방법
JP3336702B2 (ja) エレベーター扉の開閉制御装置
JP2009120356A (ja) エレベータかご内乗車確認装置
JPH0192191A (ja) エレベータのドア制御装置
JPH08231152A (ja)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7276033B2 (ja) 車両用開閉体制御装置
JP6805597B2 (ja) 開閉部材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