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6138B1 - 계량기의 커버나 단자함 체결볼트 봉인장치 - Google Patents

계량기의 커버나 단자함 체결볼트 봉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6138B1
KR101156138B1 KR1020100048627A KR20100048627A KR101156138B1 KR 101156138 B1 KR101156138 B1 KR 101156138B1 KR 1020100048627 A KR1020100048627 A KR 1020100048627A KR 20100048627 A KR20100048627 A KR 20100048627A KR 101156138 B1 KR101156138 B1 KR 101156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ter
bolt
lock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9156A (ko
Inventor
김암규
Original Assignee
김진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설 filed Critical 김진설
Priority to KR1020100048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6138B1/ko
Publication of KR20110129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9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6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6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3/00Specially shaped nuts or heads of bolts or screws for rotations by a to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봉인와이어와 봉인전용 볼트가 필요 없이 일반 체결 볼트를 이용하면서 해체를 방지하여 계량기를 개방하여 불법 조작을 예방할 수 있는 계량기의 커버나 단자함 체결볼트 봉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종의 계량기 계수기를 조작하지 못하게 보호하기 위한 커버를 체결하는 체결볼트가 최소한 2개에서 4개가 체결이 되는데, 여기에서 2개 내지 1개의 볼트에 봉인전용 볼트를 체결하는데, 봉인전용 볼트가 아닌 동일한 체결볼트를 봉인캡에 관통시켜서 체결한 후, 봉인캡에 봉인로크를 나선체결하여 봉인볼트의 노출을 방지하고 해체 불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봉인와이어 체결용 봉인전용 볼트가 요구되지 않고 일반적인 체결 볼트로 이용하면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해체 불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계량기의 커버나 단자함 체결볼트 봉인장치{The seal device for the meter and terminal cover of meter}
본 발명은 계량기의 커버나 단자함 체결볼트 봉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별도의 봉인와이어와 봉인전용볼트가 필요 없이 일반 체결 볼트를 이용하면서 해체를 방지하여 계량기를 개방하여 불법 조작을 예방할 수 있는 계량기의 봉인장치 및 계량기 단자함의 봉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내외의 전기, 가스, 주유기 등의 계량기 내부에는 사용량을 적산하는 장치들이 내재하고 내재된 적산 카운터를 보호하기 위해 커버를 조립하는데 이때 계량기 커버는 기밀 등을 유지하기 위해 2개 내지 4개 또는 다수개의 체결볼트를 체결하면서 이 체결볼트 중에서 2개 내지 1개에 대해 일반 체결볼트가 아닌 봉인전용볼트를 사용해서 체결 및 봉인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계량기의 봉인구조는 불법적으로 봉인을 쉽게 훼손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한 점과, 최초 봉인 및 일정 주기별로 성능시험을 거친 후 재봉인하기 위한 작업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점을 모두 감안하여야 하는데, 지금까지 시행되고 있는 봉인구조는 봉인전용 볼트 및 봉인와이어 또는 철편 및 봉인 납을 사용하여 봉인했었기 때문에 소요자재가 많은 문제점과 봉인작업에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상의 단점 및 특히 봉인 납은 유해 중금속으로 국제적으로도 규제를 하고 있으며, 국내도 환경부에서 이의 사용을 금하는 것으로 이의 개선이 시급한 과제였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봉인와이어 체결용 봉인전용볼트가 요구되지 않고 일반적인 체결볼트를 봉인볼트로 이용하면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해체 불가능하도록 하는 계량기의 커버나 단자함 체결볼트 봉인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봉인캡과 봉인로크가 나선체결 되면서 탄성 레치단이 걸림레치단에 걸림작동되어 역회전이 되지 않게 됨으로써 봉인로크의 해체가 불가능하여 봉인볼트를 해체하지 못하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국가검증기관의 법정강제인증제도에 의한 검증봉인을 제외한, 즉, 전력을 공급하는 공급자에 의해 관리되는 전력 계량기의 단자 커버나, 계량기 함 등에 공급자에 의해 설치된 봉인은 계량기를 교체해야 할 시에 설치된 봉인을 쉽게 제거할 수 있는 구조의 필요가 있어, 봉인캡에 파단홈을 형성시켜 계량기를 교체해야할 시에 관리자가 봉인을 쉽게 제거한 후, 계량기 교체를 한 후 재봉인을 용이하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가스, 전기, 주유기 등의 사용량을 기록하는 계량기의 봉인장치에 있어서, 볼트가 관통하도록 중앙에 관통홀이 관통되는 캡 형상이되, 내주 하부면을 따라 일측 방향으로 걸림되는 다수개의 걸림레치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레치기어의 후방측 즉, 내주 상부면에는 암나선을 형성하는 봉인캡을 구성하며, 봉인로크는 몸체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돌출되게 탄성레치단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레치단의 상부로 수나선을 형성하며,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회전 손잡이를 구성하며, 몸체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돌출되게 탄성레치단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레치단의 상부로 수나선을 형성하며,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 회전손잡이를 구성하고, 회전손잡이는 절단요부로 연결되어 봉인로크를 구성하여, 봉인볼트가 체결될 계량기에 봉인캡을 위치시키고, 상기 봉인캡의 관통홀을 통해 봉인볼트를 관통시켜서 계량기에 체결한 후, 상기 봉인로크를 봉인캡에 나선체결한 후 회전손잡이를 꺾어서 절단요부를 절단하여 봉인볼트를 해체하지 못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의 커버나 단자함 체결볼트 봉인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봉인와이어 체결용 봉인전용 볼트가 요구되지 않고 일반적인 볼트를 봉인볼트로 이용하면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해체 불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봉인캡과 봉인로크가 나선체결되면 탄성레치단이 걸림레치단에 걸림작동되어 역회전이 방지되게 됨으로써 봉인로크의 해체가 불가능하여 봉인볼트를 해체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봉인캡의 외주면에 대칭되게 양쪽에 파단홈을 형성시켜 계량기의 관리자나 점검자가 쉽게 봉인로크를 해체한 후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계량기의 단자커버 및 계량기 봉인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계량기의 커버나 단자함 체결볼트 봉인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량기의 커버나 단자함 체결볼트 봉인장치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계량기의 커버나 단자함 체결볼트 봉인장치의 봉인로크에서 손잡이를 제거한 상태의 단면도,
도 6의 도면 (a)는 봉인로크를 봉인캡에 나선 체결시 걸림레치기어의 경사면을 따라 탄성레치단이 접촉되며 회전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면 (b)는 나선 결합된 봉인로크를 봉인캡에 나선 풀림할 경우 걸림레치기어의 수직면에 탄성레치단이 걸림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7의 도면 (a)는 회전손잡이가 적용되지 않고 일자 형태의 공구 홈이 형성된 봉인로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 (b)는 회전손잡이가 적용되지 않고 십자 형태의 공구 홈이 형성된 봉인로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계량기의 커버나 단자함 체결볼트 봉인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계량기의 봉인장치 및 계량기 단자함의 봉인장치로 가스, 전기, 주유기 등의 사용량을 기록하는 계량기(3)의 봉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봉인볼트(21)가 관통되어 계량기(3)와 체결되는 봉인캡(20), 봉인캡(20)에 나선 체결되는 봉인로크(30)로 구성하여 봉인볼트(21)의 노출을 방지하고 해체 불가능하도록 한 봉인장치(10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봉인캡(20)은 봉인볼트(21)가 관통하도록 중앙에 관통홀(22)이 관통 형성된 캡 형상이다.
이러한, 상기 봉인캡(20)은 내주 하부면을 따라 일측 방향으로 걸림되는 다수개의 걸림레치기어(24)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걸림레치기어(24)는 일측 방향으로는 경사가 완만한 경사면(24a)을 형성하고, 타측 방향으로는 직각을 이루는 수직면(24b)을 이루도록 구성된다.(도 6 참조)
여기서 걸림레치기어(24)의 수직면(24b)의 높이는 탄성레치단(32)의 폭보다 높은 구조로 구비되는데 즉, 암나선(25)부와 공회전부(20a)를 제외한 봉인켑(20)의 내부 하부원주면 전체에 구비되는 구조이다.
아울러, 상기 봉인캡(20)은 걸림레치기어(24)의 후방 측 즉, 내주 상부면에는 암나선(25)을 형성하고, 암나선(25)의 피치는 피치가 큰 구조로 구비된다.
즉 봉인캡(20)의 내부 전체적인 상세구조는 내주 하부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걸림래치기어(24)와 내주 상부면에 구비된 암나선(25)사이에는 봉인로크(30)의 상부에 구비된 수나선(33)의 높이만큼 일정한 공회전부(20a)를 형성하는데, 이는 봉인캡(20)에 봉인로크(30)를 나선 조립할 시에 나선에 의해 봉인로크(30)가 봉인캡(20)의 하부로 전진하게 되고, 봉인캡(20)의 나선이 끝나는 지점부터는 봉인로크(30)의 수나선(33)부가 상기 공회전부(20a)에 자리하게 되면서 더 이상 나선에 의해 봉인로크(30)는 봉인캡(20)의 하부로 전진을 하지 못하고 일 방향으로만 공회전이 되는 구조이다.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봉인캡(20)의 외주면에는 검증각인을 각인할 수 있는 검인면(26)을 일체로 구성할 수 있는데, 형태는 원형 형태나 사각형 형태 등으로 한방향 또는 대칭되게 양 방향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검인면(26)을 원형 형태로 구성한 것은 계량기(3)업체에서 계량기(3)를 생산한 후 판매전에 검증기관의 검증을 받아야 하는데, 검증을 관리하는 검증기관의 검증각인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국내는 지식경제부에 의해 법정강제인증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이 인증에서 인증마크(KC)는 압인에 의할 경우 한면에는 지름이 3mm, 5mm, 7mm, 10mm의 원형 내에 인증마크(KC)가 압인이 되어야 하며 다른 한면에는 계량기의 내구년한을 표기 하는 년 및 월이 압인이 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각인하기 위한 구조이고, 또 한편으로는 사각형 형태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한 것은 일련번호나 바코드 등을 각인 또는 레이져 마킹을 할 수 있도록 한 부분이다.
한편, 상기 봉인로크(30)는 몸체(31)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돌출되게 탄성레치단(32)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레치단(32)의 상부로 수나선(33)을 형성하고, 상기 몸체(31)의 상부면에는 상부면과 연결되는 회전손잡이(35)를 구성하는데,
여기서, 봉인로크(30)의 높이는 하단부의 탄성레치단(32)에서 상부의 수나선(33)까지의 높이가 봉인캡(20)의 내주 높이보다 낮은 구조이고, 또한 탄성레치단(32)의 높이는 수직면(24b)의 높이 보다 낮은 구조로 구비된다.
또한 수나선(33)의 피치는 암나선(25)과 동일한 피치의 구조로 구비되고 1회전만 회전시켜도 탄성레치단(32)의 전체 높이가 경사면(24a)을 타고 회전이 시작되는 피치구조이고 1.5회전 이상을 시키면 암나선(25)부가 공회전부(24b)에 도달하여 공회전을 하는 구조로 구비되며,
또한, 상기 상부면과 연결된 회전손잡이(35)는 상광하협구조로 구비하여 절단요부를 형성하여, 봉인이 완료된 후 손잡이를 꺾으면 절단요부가 쉽게 절단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절단을 하지 않아도 되는 구조로도 구성을 할 수 있게 구비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봉인로크(30)의 몸체(31) 상부면에는 일자 형태 또는 십자 형태의 공구홈(36)을 구성하면서 일자형은 깊이가 깊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십자 형태에서도 한쪽 일자는 깊게 구성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봉인로크(30)는 회전손잡이(35)를 구성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일자 형태 또는 십자 형태의 드라이버 공구를 이용하여 체결을 위해 구성한 것이다.
한편으로, 상기 봉인캡(20)의 외주면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하는 브이형태의 직경감소홈(27)을 마주보게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직경감소홈(27)은 국가검증기관의 법정강제인증제도에 의한 검증봉인을 제외한 봉인에서 봉인장치(100)를 해체해야 할 경우를 대비한 것으로, 상기에서 언급한 일자 형태 또는 십자 형태의 깊이가 깊은 홈에 일자형의 드라이브 공구를 삽입하여 봉인캡(20)에 마주보게 구비되어 있는 직경감소홈(27)과 일자 형태가 가능한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봉인로크(30)를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삽입된 드라이브를 지렛대 작동원리로 가압하면 봉인캡(20)의 직경감소홈(27)이 파단이 되어 봉인볼트(21)를 해체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봉인로크(30)의 몸체(31)의 하부면에는 봉인볼트(21)의 머리가 삽입되는 삽입홈(31a)을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홈(31a)은 각 종의 계량기 체결에 사용되는 우산머리, 사각형, 오각형, 원형 등의 봉인볼트(21)의 머리 부분의 일부가 삽입되어 봉인장치(100)의 길이가 짧아 질 수 있도록 최소화를 위한 구성으로, 이는 각종의 계량기에 커버를 덮을 시에 공간의 확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봉인볼트(21)의 머리가 둥근 형태를 예로 들어 삽입홈(31a) 또한 둥근 형태로 예로써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봉인장치(100)는 계량기(3)의 단자함에 다수개의 단자들이 결합된 전방으로 보호커버(10)가 결합되어져 있는데, 봉인장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봉인볼트(21)를 관통홀(22)을 통해 계량기(3)의 단자함이나 계량기(3)에 체결한다.
이렇게, 체결된 봉인볼트(21)의 머리 부분은 봉인캡(20)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태로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봉인로크(30)에 회전손잡이(35)가 있는 것은 손으로 봉인캡(20)에 나선체결한 후, 회전손잡이(35)를 꺾으면 절단요부(34)가 절단되어 봉인볼트(21)를 해체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이나, 회전손잡이(35)를 꺾어서 절단하지 않아도 봉인로크(30)를 해체할 수 없는 동일한 봉인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구조이다.
한편으로 봉인로크(20)에 회전손잡이(35)가 없는 즉, 공구홈(36)을 구성한 것은 일자형태 또는 십자형태의 드라이브 공구를 사용하여 봉인캡(20)에 나선체결을 하면 된다.
즉, 상기 봉인로크(30)를 봉인캡(20)의 내부로 삽입하여 수나선(33)을 암나선(25)에 1회전 이상 나선 체결하면 나선 체결이 됨과 동시에 탄성레치단(32)이 걸림레치기어(24)의 경사면(24a)에 접촉하면서 나선에 의해 전진되면서 체결이 되고 회전 방향으로만 회전을 하게 되며, 봉인로크(30)를 계속해서 나선체결을 하게 되면 봉인캡(20)의 암나선(25)이 없는 부분 즉 공회전부(20a)에 도달되는데, 이때부터 봉인로크(30)는 봉인캡(20)에 완벽하게 조립이 된 상태로 일 방향으로만 공회전이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봉인캡(20)과 봉인로크(30)는 탄성레치단(32)이 걸림레치기어(24)의 수직면(24b)에 걸림작동되어 역회전이 되지 않게 된다.
이때 봉인로크(30)는 봉인캡(20)의 상부 원주면의 내부 안쪽으로 들어간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또 다른 한편으로의 작용은,
계량기(3)에 봉인켑(20)을 체결한 후, 봉인로크(30)를 나선 조립할 시에;
작업자의 실수로 봉인로크(30)의 수나사(33)부가 봉인켑(20)의 공회전부(20a)에 도달하기 전에 회전손잡이(35)가 부러지거나 하여도 봉인로크(30)를 1회전만 회전시켰다면 동일한 봉인효과를 가질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 것으로,
즉, 봉인켑(20)에 봉인로크(30)를 나선조립하기 위해 봉인로크(30)가 봉인켑(20)에 완벽하게 삽입되어 회전을 위하여 준비된 상태가 되면 봉인로크(30)의 하단면은 공회전부(21a)의 중간에 위치하게 되어있어, 회전손잡이(35)가 2/3 회전이 되기 시작하면 탄성레치단(32)의 높이 1/2정도가 걸림레치기어(24)의 경사면을 타고 회전하게 되고, 계속해서 회전되어 1회전이 되면 탄성레치단(32)의 전체 높이가 탄성레치기어(24)의 수직면(24b)에 완벽하게 걸림작동을 할 수 있는 상태로 조립이 되어서 봉인로크(30)의 수나사(33)부가 공회전부(22a)까지 도달하지 못한 상태에서도 봉인캡(20)과 봉인로크(30)의 상부는 나선에 의해 서로 물려 있고, 하부는 탄성레치단(32)이 걸림레치기어(24)의 수직면(24b)에 걸림작동되어 역회전이 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도 봉인로크(30)는 봉인캡(20)의 상부 원주면의 내부 안쪽으로 들어간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상기 봉인장치(100)를 파손하지 않고는 봉인볼트(21)를 해체하지 못함으로써 계량기(3)의 자체 몸체나 계량기(3)를 감싸고 있는 커버를 해체 및 분해 할 수 없도록 하여 계량기 조작 등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관리를 위해 직경감소홈(27)이 구비된 봉인을 설치한 경우에는,
봉인볼트(21)을 해체해야 할 시에는 봉인로크(30)에 회전손잡이(35)를 제거한 경우에는 봉인캡(20)의 내부로 드라이브 등의 공구로 삽입하여 일측 방향으로 강한 충격을 가하면 봉인캡(20)의 직경감소홈(27)이 파괴되어 해체가 되는 것이다.
반면, 상기 봉인로크(30)에 일자 형태 또는 십자 형태의 공구홈(36)이 형성된 경우에는 일자 형태의 드라이버 공구를 공구홈(36)에 삽입한 후 지렛대 작동 원리로 가압하면 봉인캡(20)의 직경감소홈(27)이 파단 되어 해체를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3 : 계량기 20 : 봉인캡
21 : 봉인볼트 22 : 관통홀
22a: 공회전부 24 : 걸림레치기어
24a : 경사면 24b : 수직면
25 : 암나선 26 : 검인면
27 : 직경감소홈 30 : 봉인로크
31 : 몸체 32 : 탄성레치단
33 : 수나선 34 : 절단요부
35 : 회전손잡이 36 : 공구홈
100 : 봉인장치

Claims (2)

  1. 가스, 전기, 주유기 등의 사용량을 적산하는 계량기(3)의 봉인장치에 있어서,
    봉인볼트(21)가 관통하도록 중앙에 관통홀(22)이 관통되는 캡 형상이되, 내주하부면을 따라 일측 방향으로 걸림되는 다수개의 걸림레치기어(24)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레치기어(24)의 후방측 즉, 내주 상부면에는 암나선(25)을 형성하는 봉인캡(20)을 구성하며,
    몸체(31)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일 방향으로 돌출되게 탄성레치단(32)을 형성하고, 상기 탄성레치단(32)의 상부로 수나선(33)을 형성하며, 상기 몸체(31)의 상부면에 회전손잡이(35)를 구성하고, 회전손잡이(35)는 절단요부(34)로 연결되어 봉인로크(30)를 구성하여,
    봉인볼트(21)가 체결될 계량기(3)에 봉인캡(20)을 위치시키고, 상기 봉인캡(20)의 관통홀(22)을 통해 봉인볼트(21)를 관통시켜서 계량기(3)에 체결한 후, 상기 봉인로크(30)를 봉인캡(20)에 나선체결한 후 회전손잡이(35)를 꺾어서 절단요부(34)를 절단하여 봉인볼트(21)를 해체하지 못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의 커버나 단자함 체결볼트 봉인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봉인캡(20)의 상부 외주면에는 검증각인을 할 수 있는 검인면(26)을 일체로 구성하며,
    상기 봉인캡(20)의 외주면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하는 브이형태의 직경감소홈(27)을 마주보게 구성하고,
    상기 봉인로크(30)의 몸체(31) 상부면에는 일자 형태 또는 십자 형태의 공구홈(36)을 구성하며,
    상기 봉인로크(30)의 몸체(31)의 하부면에는 봉인볼트(21)의 머리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홈(31a)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량기의 커버나 단자함 체결볼트 봉인장치.
KR1020100048627A 2010-05-25 2010-05-25 계량기의 커버나 단자함 체결볼트 봉인장치 KR101156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627A KR101156138B1 (ko) 2010-05-25 2010-05-25 계량기의 커버나 단자함 체결볼트 봉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627A KR101156138B1 (ko) 2010-05-25 2010-05-25 계량기의 커버나 단자함 체결볼트 봉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156A KR20110129156A (ko) 2011-12-01
KR101156138B1 true KR101156138B1 (ko) 2012-06-20

Family

ID=45498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627A KR101156138B1 (ko) 2010-05-25 2010-05-25 계량기의 커버나 단자함 체결볼트 봉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61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942B1 (ko) * 2013-08-14 2014-12-04 주식회사 델타 봉인몸체가 일체로 형성된 계량기커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74907A (zh) * 2011-11-07 2014-06-18 Delta株式会社 仪表盖或接线盒的连接螺栓用密封装置
KR102298149B1 (ko) * 2020-05-29 2021-09-07 한국전력공사 전력량계 보호장치
CN115932343B (zh) * 2023-03-09 2023-06-23 山东亿诺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户外电缆连接点的局放检测仪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815A (ko) * 1999-08-14 2001-03-05 최의규 체결용 봉인장치
KR200289701Y1 (ko) 2002-06-10 2002-09-19 이영근 볼트 풀림방지용 체결구
KR200293137Y1 (ko) 2002-07-11 2002-10-25 주식회사 삼우이엠씨 건물용 칸막이 패널의 지주구조
JP2006283889A (ja) 2005-03-31 2006-10-19 Daiwa House Ind Co Ltd ネジ締結部におけるロック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7815A (ko) * 1999-08-14 2001-03-05 최의규 체결용 봉인장치
KR200289701Y1 (ko) 2002-06-10 2002-09-19 이영근 볼트 풀림방지용 체결구
KR200293137Y1 (ko) 2002-07-11 2002-10-25 주식회사 삼우이엠씨 건물용 칸막이 패널의 지주구조
JP2006283889A (ja) 2005-03-31 2006-10-19 Daiwa House Ind Co Ltd ネジ締結部におけるロック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3942B1 (ko) * 2013-08-14 2014-12-04 주식회사 델타 봉인몸체가 일체로 형성된 계량기커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9156A (ko) 201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69824A1 (ko) 계량기의 커버나 단자함 체결볼트 봉인장치
KR101156138B1 (ko) 계량기의 커버나 단자함 체결볼트 봉인장치
KR101332361B1 (ko) 계량기 나사 봉인구
US5402958A (en) Tamper evident seal
US8960737B2 (en) Lock bolt
US20230251288A1 (en) Securing Apparatus and Method
JPH10290870A (ja) 遊技機の制御基板収納ボックスおよび該ボックスの封印部材
CN110645257B (zh) 防拆电子装置
EP3644068B1 (en) Meter casing with terminal cover locking mechanism
KR970027603A (ko) 도어 자물쇠용 원형의 보호 덮개 고정 장치
JP6289596B1 (ja) 遊技機
CN203271291U (zh) 一种具有防盗装置的锁头
CN107934185B (zh) 扭矩元件及盖总成
CA2647734C (en) Securing apparatus and method
JP4756507B2 (ja) 遊技機の制御基板収納ボックス
BR0002306B1 (pt) lacre para um indicador de rotações.
KR200369721Y1 (ko) 봉인구조
US9404944B2 (en) Package having opening detection
JP2011047805A (ja) 封印締結具
KR20090111108A (ko) 케이블 글랜드 조임용 지그
JP5110651B2 (ja) 制御装置、及び遊技機
JP5467284B2 (ja) 制御装置、及び遊技機
JP5413754B2 (ja) 制御装置、及び遊技機
JP2013204611A (ja) 部材の固定構造
JP5975537B2 (ja) 抜差し型ロックハンド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