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721Y1 - 봉인구조 - Google Patents
봉인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69721Y1 KR200369721Y1 KR20-2004-0027071U KR20040027071U KR200369721Y1 KR 200369721 Y1 KR200369721 Y1 KR 200369721Y1 KR 20040027071 U KR20040027071 U KR 20040027071U KR 200369721 Y1 KR200369721 Y1 KR 20036972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ling
- seal
- screw
- fixing
- fixing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24—Arrangements for avoiding or indicating fraudulent use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3—Forms or constructions of security se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봉인 구조에 관한 것으로, 봉인 대상물의 개폐 또는 분리 방지를 위해 봉인 대상물에 끼워 장착되는 봉인 대상 고정부재와, 상기 봉인 대상 고정부재에 결합 장착되고 또한 상기 고정부재와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힘이 인가되면 상기 봉인 대상 고정부재와의 결합부분을 제외한 일부분만이 파손되어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봉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일단 봉인 대상물에 설치하여 봉인을 한 다음에, 봉인을 해제하려면 봉인 대상물의 고정부재는 해제되지 않으면서 봉인부재의 일부만이 파손 분리되게 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봉인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를 들면 가정용 및 산업용 전기사용량을 계량하는 전력량계 등과 같이 전력량계 부설 후 지정된 사용자 이외의 사람이 전력량계를 조작하는 것을 금지하기 위한 봉인을 체결함에 있어 난연성의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봉인을 봉인나사에 끼운 후 단지 봉인의 회전만으로 아주 간단하고도 신속하게 봉인작업을 완료할 수 있도록 된 봉인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일반 가정이나 산업현장 등 전기가 공급되는 곳에서는 반드시 전력량계가 부설되며, 이러한 전력량계는 일반적으로 전원 공급측과 수용가의 부하측의 중간에 위치해 사용한 만큼의 전력량을 표시한다. 그 사용량은 수용가의 사용요금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므로 전력량계의 정밀도는 상당히 중요한 요소이다. 이러한 전력량계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정확한 전력량을 계량하기 위해서 부설 전에 정밀한 오차 조정과 국가시험기관의 검정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전력량계에는 2종류의 봉인이 필요한데, 그 첫째는 정확한 오차조정이 이루어진 후 적합한 정밀도를 보증하는 봉인으로 전력량계의 주 회로(main circuit)를 외부에서 손대지 못하도록 커버를 덮어씌운 다음에 베이스(11)와 커버(12) 사이에 국가검정기관의 봉인(16)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두번째로 하는 봉인은 이 계기의 사용자인 유틸리티 회사(예, 한국전력공사)가 전력량계를 수용가에 설치한 후에 출력 부하선(21)과 입력 전원선(20)을 연결한 다음에 도전(power thief)을 목적으로 하는 어떠한 외부 조작도 이루어지지 않게 하기 위하여 단자대(14)와 단자커버(15) 사이에 사용자 봉인(19)을 하게 된다.
종래의 봉인 구조를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전력량계를 수용가에 설치한 후에 출력 부하선(21)과 입력 전원선(20)을 연결한 다음에 봉인나사(17)를 이용하여 단자커버(15)를 단자대(terminal block)(14)에 고정시킨다. 그 다음에 봉인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는 봉인선(18)을 봉인나사(17) 및 단자커버(15)의 봉인 홀(22)에 관통시킨 후에 봉인납(19)의 구멍에 상호 교차되도록 관통시킨다. 그리고 봉인펀치(23)를 이용하여 봉인납(19)을 압착시켜 관계자 이외의 사람의 조작으로 인한 도전 등의 악용 및 감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종래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인납(19)을 통과한 봉인선(18)이, 봉인 나사(17)의 관통구 및 단자커버의 봉인홀(22)을 차례로 통과한 후에 다시 봉인납(19)의 반대편 관통구로 통과한 다음 봉인 펀치(23)로 봉인납(19)을 눌러 봉인의 해제가 불가능하도록 하였다. 즉, 봉인선(18) 및 봉인납(19)을 파손하지 않고는 봉인 나사(17)를 풀 수 없도록 하여 단자커버(15)를 분리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전력량계를 설치 및 결선시의 초기상태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만약 이 봉인선(18)이나 봉인납(19)이 파손된 경우에는 어떠한 조작이 있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종래의 납봉인의 경우 봉인선(18)을 봉인납(19)의 관통구 및 봉인나사(17)의 관통구와 단자카바 관통홀(22)의 좁은 구멍을 차례로 통과시킨 후 봉인 펀치(23)와 같은 부속자재로 봉인납(19)을 압착시킨 후에야 비로소 작업이 완료되므로 작업 시간이 길어질 뿐 아니라 작업 공정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종종 봉인납(19)의 압축상태가 약하게 이루어진 경우를 볼 수 있는데, 그러한 경우 약간의 힘만 가하여도 봉인선(18)이 봉인납(19)으로부터 쉽게 빠져 나와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일반적으로 전력량계는 높은 위치에 설치하고 계기함 내에 설치하게 되는데, 계기함 사이의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는 봉인작업이 곤란하여 생략하는 경우가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종래의 봉인은 납으로 되어 있어 인체에 해로움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본 고안은, 종래 봉인작업을 함에 있어서의 문제점인 봉인을 위해 별도의 압착기가 필요하고, 협소한 장소나 높게 설치된 전력량계에서 봉인선을 봉인납의 관통구 및 봉인나사의 관통구와 단자카바 관통홀의 좁은 구멍에 끼우기가 어려우며, 납으로 되어 있어 인체에 해로운 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일단 봉인 대상물에 설치하여 봉인을 한 다음에, 봉인을 해제하려면 봉인 대상물의 고정부재는 해제되지 않으면서 봉인부재의 일부만이 파손 분리되는 새로운 봉인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봉인구조의 일예로서 전력량계의 봉인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전력량계의 봉인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봉인구조의 일 실시예로서 전력량계의 봉인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봉인구조에 채용되는 봉인나사의 일 실시예에 대한 상세 평면도, 정면도 및 사시도,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봉인구조에 채용되는 봉인의 일 실시예에 대한 상세 평면도, 정면도 및 사시도,
도 6은 도 3에 도시한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의 봉인구조를 전력량계에 장착하여 봉인한 후 봉인의 역회전에 의하여 봉인 제거시의 상세 형상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베이스 12 : 커버
13 : LCD표시기 14 : 단자대
15 : 단자커버 16 : 국가검정봉인
17 : 봉인나사 18 : 봉인선
19 : (사용자)봉인(납) 20 : 입력전원선
21 : 출력부하선 22 : 단자커버 봉인홀
23 : 봉인펀치
31 : 베이스 32 : 커버
33 : LCD표시기 34 : 단자대
35 : 단자커버 36 : 국가 검정봉인
37 : 봉인나사 37A: 봉인나사몸체
37B: 봉인나사 나사부 37C: 봉인나사 상부면
37D: 봉인나사 드라이버 홈 38 : (사용자)봉인
39 : 입력전원선 40 : 출력부하선
41 : 봉인나사 나사산 42 : 톱니부
43 : 고정와샤부 44 : 봉인선 관통구
51 : 봉인몸체 52 : 톱니구조 지지대
53 : 봉인번호 54 : 회전 손잡이
55 : 봉인 나사산 56 : 톱니구조 고정돌기
57: 결합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봉인 대상물의 개폐 또는 분리 방지를 위해 봉인 대상물에 끼워 장착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결합 장착되고 상기 고정부재와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힘이 인가되면 상기 고정부재와의 결합부분을 제외한 일부분이 파손되어 분리되도록 구성된 봉인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는, 그 하부에는 상기 봉인 대상물에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되도록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체결시에 상기 봉인 대상물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와샤부와, 상기 와샤부 위에 형성된 톱니부와, 상기 봉인부재와 나사 결합하도록 상기 톱니부 위에 형성된 나사산을 포함하는 결합부가 상기 나사부와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봉인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부를 수용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봉인부재는, 그 하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부와의 결합시에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고 타측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된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부와의 나사 결합을 위해 형성된 나사산을 포함하고, 상기 봉인부재는 상기 타측방향으로 소정 크기 이상의 회전힘이 가해지면 상기 고정돌기가 형성된 하부와 다른 부분이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봉인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봉인부재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회전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의 상부면에는 상기 봉인 대상물과의 나사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드라이버가 접촉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봉인구조의 구성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전력량계는 베이스(31), 커버(32), 단자대(34), 단자커버(35)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본 고안은 단자대(34) 및 단자커버(35) 사이의 사용자 봉인(38)의 개선에 대해 설명하려 한다. 이하 봉인이라 함은 사용자 봉인(38)을 지칭한다.
우선 전력량계를 정상적으로 설치한 후에 출력 부하선(40)과 입력 전원선(39)을 결선하고 관계자 이외의 사람의 조작을 방지하기 위해 단자대(34)와 단자커버(35) 사이 양쪽 2개소에 봉인을 체결하게 되는데, 봉인이 이루어지는 구조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4는 봉인나사(37)의 상세도이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이 봉인나사 위에 부착되는 봉인(38)의 상세도이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사시도이다.
먼저, 도 4는 봉인 나사(37)의 상세도로서 종래의 봉인나사(7)와 다른 점은 봉인(38)의 나사산(55)과 맞물릴 수 있는 봉인나사의 나사산(41)과 톱니구조(42) 및 고정 와샤(4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점이다.
즉, 본 고안의 봉인나사(37)는 그 하부에는 전력량계의 단자대(34)와 단자커버(35)에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되도록 나사부(37B)가 형성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체결시에 상기 단자대(34)와 접촉하는 고정 와샤부(43)와, 상기 고정 와샤부(43) 위에 형성된 톱니부(42)와, 봉인(38)과 나사 결합하도록 상기 톱니부(42) 위에 형성된 나사산(4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면(37C)에는 전력량계의 단자대(34)와 단자커버(35)와의 나사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드라이버가 접촉되는 홈(37D)이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새로운 방식의 사용자 봉인(38)의 상세도로서 봉인몸체(51), 톱니구조 지지대(52), 봉인 번호(53), 봉인 회전 손잡이(54), 톱니구조 고정돌기(56) 및 봉인 나사산(55)으로 구성되어 있다. 순방향은 나사가 조여질 때까지 회전하며, 역방향 회전 시에는 톱니구조의 고정돌기(56)가 톱니부(42)에 걸려 회전하지 않도록 걸림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본 고안의 봉인(38)은 상기 봉인나사(37)의 상부에 형성된 톱니부(42), 나사산(41) 및 상부면(37C)을 수용하는 구조를 가지며, 그 하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봉인나사(37)의 상부와의 결합시에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고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된 톱니구조 고정돌기(56)와, 상기 봉인나사(37)의 상부에 형성된 나사산(41)과의 나사 결합을 위해 형성된 나사산(55)을 포함하고, 반시계방향으로 소정 크기 이상의 회전힘이 가해지면 상기 톱니구조 지지대(52)와 봉인몸체(51) 사이의 결합부가 파손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봉인(38)의 상부에는 상기 봉인(38)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회전 손잡이(54)가 형성되어있다. 여기서, 상기 봉인(38)은 난연성의 폴리카보네이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봉인(38)의 설치와 동작을 설명하면, 우선 전력량계를 전원 공급측과 수용가 부하측의 중간 지정된 장소에 결선 및 설치 후에 단자커버(35)를 덮고 봉인나사(37)를 체결한다. 체결된 봉인나사(37)위로 사용자 봉인(38)을 끼워 도 4의 봉인 나사의 나사산(41)과 톱니구조(43)가 도 5의 봉인의 나사산(55)과 톱니구조 고정돌기(56)에 걸려 고정되도록 봉인회전 손잡이(54)를 잡고 회전시켜 체결한다.
다음으로, 본 고안의 봉인구조로 봉인을 할 경우와 봉인을 해제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봉인을 할 경우
봉인나사의 톱니(43) 위로 봉인을 끼워 시계방향(순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봉인을 할 경우,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톱니구조 지지대(52)의 고정돌기(56)에 약간의 간격을 주어서 봉인나사(37)의 회전 시 탄력을 높여 별 무리 없이 순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2) 봉인을 해제할 경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만약 관계자가 부득이하게 봉인을 해제하여야 할 경우에는 봉인(38)을 역회전(반 시계방향)으로 일정한 힘 이상을 가하면 봉인나사(37)의 톱니구조(43)와 봉인(38)의 톱니구조 고정돌기(56)가 걸려 역 회전하지 않고 톱니구조의 지지대(52)로부터 봉인몸체(51)의 결합부(57)가 파괴되어 봉인(38)의 제거가 가능하다. 이렇게 봉인을 해제한 다음 봉인나사(37)를 풀고 필요한 작업을 할 수가 있다.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의 봉인구조를 전력량계의 단자대와 단자커버에 적용한 경우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음과 같이 다음과 같이 여러 다른 부분의 봉인에도 적용 가능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주 회로를 외부에서 손대지 못하도록 커버를 덮어씌운 다음에 베이스와 커버 사이의 봉인에도 적용하여도 된다. 또, 본 고안은 전력량계 자체의 봉인 뿐만 아니라 전력량계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계기함의 봉인에도 사용 가능하다. 종종 계기함 간의 간격이 너무 인접한 경우 봉인을 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되는데 이런 경우에 본 고안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전기 계량기만이 아닌 봉인을 필요로 하는 모든 계량기류에도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수도, 가스, 택시의 메타기 및 저울 등과 같은 계량기(meter)류의 봉인에도 본 고안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종래의 봉인작업과 같은 번거로움을 줄이고 회전체결식 봉인을 함으로써 아주 간단하게 봉인을 완료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키고, 높은 위치 및 협소 공간 등 어떤 경우에도 자유롭게 체결 및 제거가 가능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도모하며, 종래와 같이 봉인납을 압착해야 하는 봉인펀치 등의 부속장치가 전혀 필요가 없으며, 납 성분이 함유된 봉인납의 사용이 불필요하게 되어 인체에 친화적이며 유해물질 미사용으로 근무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잡한 계기함에서 무리하게 봉인선을 단자 커버 봉인홀에 삽입하여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예방이 가능하다. 그리고 고의적인 봉인 훼손 시 원상회복 및 눈가림식 처방이 불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Claims (6)
- 봉인 대상물의 개폐 또는 분리 방지를 위해 봉인 대상물에 끼워 장착되는 고정부재와,상기 고정부재에 결합 장착되고 상기 고정부재와의 결합을 해제하기 위한 힘이 인가되면 상기 고정부재와의 결합부분을 제외한 일부분이 파손되어 분리되도록 구성된 봉인부재를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구조.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고정부재는, 그 하부에는 상기 봉인 대상물에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되도록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고,그 상부에는 체결시에 상기 봉인 대상물의 상부면과 접촉하는 와샤부와, 상기 와샤부 위에 형성된 톱니부와, 상기 봉인부재와 나사 결합하도록 상기 톱니부 위에 형성된 나사산을 포함하는 결합부가 상기 나사부와는 일정 간격 이격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 구조.
- 제 2항에 있어서,상기 봉인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부를 수용하는 구조를 가지며,상기 봉인부재는, 그 하부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부와의결합시에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고 타측 방향으로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된 고정돌기와,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부와의 나사 결합을 위해 형성된 나사산을 포함하고,상기 봉인부재는 상기 타측 방향으로 소정 크기 이상의 회전힘이 가해지면 상기 고정돌기가 형성된 하부와 다른 부분이 분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구조.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봉인 대상물은, 전력량계, 수도계량기함, 가시 계량기함, 택시 메타기 및 저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구조.
- 제 3항에 있어서,상기 봉인부재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하부와 다른 부분 사이의 연결부에는 긴 구멍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타측방향으로 소정 크기 이상의 회전힘이 가해지면 상기 고정돌기가 형성된 하부와 다른 부분의 연결부가 파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구조.
- 제 5항에 있어서,상기 봉인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봉인부재의 회전을 용이하기 하기 위하여 회전 손잡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인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27071U KR200369721Y1 (ko) | 2004-09-21 | 2004-09-21 | 봉인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27071U KR200369721Y1 (ko) | 2004-09-21 | 2004-09-21 | 봉인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69721Y1 true KR200369721Y1 (ko) | 2004-12-08 |
Family
ID=49442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27071U KR200369721Y1 (ko) | 2004-09-21 | 2004-09-21 | 봉인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69721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859090A (zh) * | 2022-04-08 | 2022-08-05 | 江苏苏源杰瑞科技有限公司 | 一种电池可换式三相费控智能电能表 |
KR102610129B1 (ko) * | 2023-07-14 | 2023-12-07 | 권태관 | 무정전 적산 전력계 융합 단자대 |
-
2004
- 2004-09-21 KR KR20-2004-0027071U patent/KR20036972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859090A (zh) * | 2022-04-08 | 2022-08-05 | 江苏苏源杰瑞科技有限公司 | 一种电池可换式三相费控智能电能表 |
KR102610129B1 (ko) * | 2023-07-14 | 2023-12-07 | 권태관 | 무정전 적산 전력계 융합 단자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80103828A (ko) | 전자 악기용 페달을 페달 보드에 연결하는 커넥터 | |
BR112013025229B1 (pt) | medidor de fluxo | |
KR100681537B1 (ko) | 전력량계의 봉인구조 | |
ATE402418T1 (de) | Modulgehäuse für elektrisches instrument und montageelement hierfür | |
KR200369721Y1 (ko) | 봉인구조 | |
KR20120086543A (ko) | 단일 조임스크류를 갖는 접지용구 | |
KR101332361B1 (ko) | 계량기 나사 봉인구 | |
JP4707057B2 (ja) | 電力量計 | |
JP4929094B2 (ja) | 電力量計 | |
KR101156138B1 (ko) | 계량기의 커버나 단자함 체결볼트 봉인장치 | |
JP6560995B2 (ja) | 電力量計 | |
JP6840503B2 (ja) | 電子式電力量計を収容するための収容ケース及び収容ケースと電子式電力量計とを備える電子式電力量計ユニット | |
JP6880608B2 (ja) | スマートメータに用いられる封印取付具 | |
JP2007127588A (ja) | 計測器の封印構造 | |
JP4990610B2 (ja) | 誤接続防止・封印用装置及び電力量計 | |
JP7200626B2 (ja) | 電力量計及び固定具 | |
KR100943881B1 (ko) | 봉인 장치 및 봉인 장치의 덮개 | |
KR200453737Y1 (ko) | 전자식 전력량계 | |
JP6521502B2 (ja) | 電力量計 | |
CN219201737U (zh) | 带铅封防拆型多功能表 | |
KR200322678Y1 (ko) | 주택용 분전함의 분리형 단자 커버 | |
US10274128B2 (en) | Adapter assembly for mounting a display | |
JPH0511860B2 (ko) | ||
JP5084815B2 (ja) | 封印具 | |
JP7269779B2 (ja) | 電力量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G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1207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