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831B1 -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 - Google Patents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831B1
KR101155831B1 KR1020100140575A KR20100140575A KR101155831B1 KR 101155831 B1 KR101155831 B1 KR 101155831B1 KR 1020100140575 A KR1020100140575 A KR 1020100140575A KR 20100140575 A KR20100140575 A KR 20100140575A KR 101155831 B1 KR101155831 B1 KR 1011558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guide
snap
module
teller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40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현
남영준
남한주
심정수
허성창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40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8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8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8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2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by contact with rotating friction members, e.g. rollers, brushes, or cylind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폐를 이송하기 위한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에 있어서, 일체형 몰드물로 형성되고, 지폐가 이송되는 면의 상측에 설치되어 반송로를 형성하며, 그 외주면에는 지폐의 이송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풀리를 구비하는 상부 가이드 부재;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의 풀리에 감겨지고,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는 벨트;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의 하부에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와는 소정의 간격으로 반송로를 형성하도록 상부 가이드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되, 그 하부에 설치되는 인접한 두 개의 지폐저장박스들 상부의 지폐입출금구들로 지폐를 가이드하기 위해 일체형 몰드물로 제작한 반송면들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가이드부재와 스냅결합에 의해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가이드 부재;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 상부의 가이드면에 상기 벨트와의 사이에 지폐를 협지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벨트와 대향되게 반송모듈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하부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합성수지 재질을 성형하여 일체로 제작되는 상부 가이드 부재의 하부에 다수의 스냅식 하부 가이드 부재가 결합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립 편의성 및 보수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금속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무게를 감소시켜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Sheet feed route module for A.T.M.}
본 발명은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재질을 성형하여 일체로 제작되는 상부 가이드 부재의 하부에 다수의 스냅식 하부 가이드 부재가 결합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립 편의성 및 보수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금속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무게를 감소시켜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에 관한 것이다.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상담업무를 제외한 대부분의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장치인 금융자동화기기에는 현금자동지급기(CDU;Cash Dispenser Unit)와 현금자동입출금기(BRM; Billing Recycling Machine)등이 있는데, 현금자동지급기는 금융업무전산화를 위한 초기 단계에서부터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현금만 자동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된 장치이고, 현금자동입출금기는 현금자동지급기능에 부가하여 입금기능도 구비된 장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금융자동화기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금융자동화기기에는, 고객이 입출금을 위하여 지폐를 투입하거나 수취하기 위한 입출금부(100), 상기 입출금부(100)를 통해 입출금되는 지폐가 이송되는 반송로(200), 상기 반송로(200)상에 설치되어 지폐의 이상유무를 감별하는 감별부(300), 상기 감별부(300)를 거친 후 입금된 지폐가 일시적으로 적재되는 일시저장부(400), 고객으로부터 입금된 지폐가 적재되고 적재된 지폐가 출금됨으로써 환류기능을 수행하는 지폐보관박스(700) 등이 구비된다.
도 2는 종래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종래의 반송모듈은 상부 가이드 부재(210)와 하부 가이드 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양자는 합성수지재질을 성형하여 제작되는 몰드물과 상기 몰드물을 양단에서 고정하는 금속 프레임이 결합된 형태로 제작되는바 무게의 증가로 제조비용이 높으며, 지폐의 잼 제거를 위하여 반송모듈을 개방할 때는 일체로 된 상부 가이드 부재(210)와 하부 가이드 부재(220)를 서로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합성수지 재질을 성형하여 일체로 제작되는 상부 가이드 부재의 하부에 다수의 스냅식 하부 가이드 부재가 결합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립 편의성 및 보수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금속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무게를 감소시켜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폐를 이송하기 위한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에 있어서,
일체형 몰드물로 형성되고, 지폐가 이송되는 면의 상측에 설치되어 반송로를 형성하며, 그 외주면에는 지폐의 이송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풀리를 구비하는 상부 가이드 부재;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의 풀리에 감겨지고,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는 벨트;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의 하부에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와는 소정의 간격으로 반송로를 형성하도록 상부 가이드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되, 그 하부에 설치되는 인접한 두 개의 지폐저장박스들 상부의 지폐입출금구들로 지폐를 가이드하기 위해 일체형 몰드물로 제작한 반송면들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가이드부재와 스냅결합에 의해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가이드 부재;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 상부의 가이드면에 상기 벨트와의 사이에 지폐를 협지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벨트와 대향되게 반송모듈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하부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합성수지 재질을 성형하여 일체로 제작되는 상부 가이드 부재의 하부에 다수의 스냅식 하부 가이드 부재가 결합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립 편의성 및 보수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금속 프레임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무게를 감소시켜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현금자동입출금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종래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의 측면 개략도,
도 5는 상부 가이드 부재와 하부 가이드 부재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하부 가이드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에서 벨트의 걸림 상태 및 반송로를 보여주는 측면개략도,
도 8은 상부 가이드 부재를 아래쪽에서 본 저면 사시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의 측면 개략도이며, 도 5는 상부 가이드 부재와 하부 가이드 부재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하부 가이드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은 상부에 형성되어 이송되는 지폐의 일면을 가이드하는 상부 가이드 부재(210)와,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폐의 타면을 가이드 하는 다수의 하부 가이드 부재(220)와, 상부 가이드 부재의 풀리(216)에 감겨지고,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는 벨트(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210) 하면의 형상과 하부 가이드 부재(220) 상면의 형상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양면 사이의 간격은 반송로갭을 형성함으로써 지폐가 상기 반송로갭을 통해 이송되는 것이며, 상기 반송로갭은 통상 2mm 정도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220)는 그 하부에 설치되는 인접한 두 개의 지폐저장박스들 상부의 지폐입출금구들로 지폐를 가이드하는 반송면들을 형성하도록 일체형 몰드물로 제작된 하부 가이드 부재들(220a, 220b, 220c)로 이루어진다.
도 5와 6을 참고하면,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들(220a, 220b, 220c)의 일측단에는 그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부 가이드 부재(210) 일측단에 형성된 가이드 스냅 삽입홈(211)내로 삽입되는 가이드 스냅부(221)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스냅부(221)의 상부에는 상부 가이드 부재(210)의 가이드 스냅 걸림부(212)가 삽입되어 결합 되는 가이드 스냅 걸림부 삽입홈(222)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들(220a, 220b, 220c)의 대향측단에는 그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부 가이드 부재(210) 대향측단에 형성된 가이드 스냅 삽입홈(213)내로 삽입되는 가이드 스냅부(223)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스냅부(223)의 상부에는 상부 가이드 부재(210)의 가이드 스냅 삽입홈(213)의 측단면에 걸려지는 가이드 스냅 걸림부(224)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210)의 일측단에는 가이드 스냅 삽입홈(211) 및 가이드 스냅 걸림부(212)가 형성되고, 대향측단에는 가이드 스냅 삽입홈(213)이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들(220a, 220b, 220c)의 가이드 스냅부(221)를 상기 가이드 스냅 삽입홈(211)으로 밀어 넣어 상기 가이드 스냅 걸림부(212)가 상기 가이드 스냅 걸림부 삽입홈(222)에 끼워지도록 한 후, 상기 가이드 스냅부(223)를 상기 가이드 스냅 삽입홈(213)으로 밀어 넣어 상기 가이드 스냅 걸림부(224)가 가이드 스냅 삽입홈(213)의 측단면에 걸려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들(220a, 220b, 220c)을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210)에 결합시킨다.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220)의 양측단에는 반송로갭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스토퍼(225)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210)의 양측단에는 상기 스토퍼(225)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토퍼 지지부(215)가 돌출형성되어,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들(220a, 220b, 220c)이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210)에 결합될때 상기 스토퍼(225)의 상면이 상기 스토퍼 지지부(215)의 하면과 맞닿게 됨으로써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들(220a, 220b, 220c)의 상면 위치가 규제되어 반송로갭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들(220a, 220b, 220c) 중 가운데 부분에 결합 되는 하부 가이드 부재(220b)는 동일한 형상으로 된 것이어서 반송모듈의 길이가 변하더라도 적절한 갯수의 하부 가이드 부재(220b)를 상부 가이드 부재(210)에 결합시킴으로써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210)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210)의 외주면에는 지폐의 이송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풀리(216)가 구비되고, 상기 풀리(216)에는 벨트(230)가 회전가능하게 감기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벨트(230)는 일반적인 평벨트에 비해 연신율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동력전달률이 좋은 타이밍벨트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로 설치되는 벨트(230)는 반송모듈의 길이방향 즉 지폐의 이송방향으로 적어도 두 줄로 배치되는 한편,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지폐의 이송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에서 벨트의 걸림 상태 및 반송로를 보여주는 측면개략도이고, 도 8은 상부 가이드 부재를 아래쪽에서 본 저면 사시도다.
상기 풀리(216) 및 벨트(230)들 사이의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210)의 중앙부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된 개구부(214)가 형성되어서 지폐 잼이 발생한 위치를 육안으로 파악하여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들(220a, 220b, 220c) 중에서 분리가 필요한 부분 만을 분리한 후 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개구부는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들(220a, 220b, 220c)의 중앙부에도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들(220a, 220b, 220c)은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들(220a, 220b, 220c)의 가이드면에는 벨트(230)와의 사이에 지폐를 협지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벨트(230)와 대향되게 반송모듈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하부롤러(226)가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하부롤러(226)는 지폐에 원활한 이송력을 부가할 수 있도록 이송되는 지폐의 폭보다 좁은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부롤러(226)는 별도의 동력이 공급되지 않고 상기 벨트(230)의 회전력에 의해 연동 회전하게 되는 아이들 롤러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210)와 하부 가이드 부재(220)는 그 사이로 이송되는 지폐가 가이드면 보다는 주로 벨트(230)와 하부롤러(226)에 의해 협지된 상태로 이송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들(220a, 220b, 220c)의 양측단 하부에는 가이드핀(227)이 형성되어, 본 발명의 반송모듈이 금융자동화기기에 설치되면 그 하부에 설치되는 지폐저장박스(700)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핀 삽입홈에 상기 가이드핀(227)이 끼워짐으로써 본 발명의 반송모듈과 지폐저장박스(700)의 상대적 위치가 일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210)의 일측단 상부에는 누름핀 브라켓(217) 및 누름핀(218)이 적절한 갯수로 설치되어 금융자동화기기에 설치될 때 상부로부터 눌려져서 본 발명의 반송모듈이 그 하부의 지폐저장박스(700)들로부터 분리되어 오작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0 : 입출금부 200 : 반송로
210 : 상부 가이드 부재
211, 213 : 가이드 스냅 삽입홈
212 : 상부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스냅 걸림부
214 : 개구부 215 : 스토퍼 지지부
216 : 풀리 217 : 누름핀 브라켓
218 : 누름핀 220 : 하부 가이드 부재
221, 223 : 가이드 스냅부
222 : 가이드 스냅 걸림부 삽입홈
224 : 하부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스냅 걸림부
225 : 스토퍼 226 : 하부롤러
227 : 가이드핀 230 : 벨트
300 : 감별부 400 : 일시저장부
700 : 지폐저장박스

Claims (8)

  1. 지폐를 이송하기 위한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에 있어서,
    일체형 몰드물로 형성되고, 지폐가 이송되는 면의 상측에 설치되어 반송로를 형성하며, 그 외주면에는 지폐의 이송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풀리를 구비하는 상부 가이드 부재;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의 풀리에 감겨지고,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는 벨트;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의 하부에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와는 소정의 간격으로 반송로를 형성하도록 상부 가이드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되, 그 하부에 설치되는 인접한 두 개의 지폐보관박스들 상부의 지폐입출금구들로 지폐를 가이드하기 위해 일체형 몰드물로 제작한 반송면들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상부가이드부재와 스냅결합에 의해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 가이드 부재;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 상부의 가이드면에 상기 벨트와의 사이에 지폐를 협지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벨트와 대향되게 반송모듈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복수 개의 하부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 벨트 및 하부롤러는 이송되는 지폐의 폭보다 좁은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의 일측단에는 가이드 스냅 삽입홈 및 가이드 스냅 걸림부가 형성되고, 대향측단에는 가이드 스냅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들의 일측단에는 그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가이드 스냅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스냅부의 상부에는 가이드 스냅 걸림부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들의 대향측단에는 그 상측으로 돌출된 가이드 스냅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스냅부의 상부에는 가이드 스냅 걸림부가 형성되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들의 가이드 스냅부를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의 상기 가이드 스냅 삽입홈으로 밀어 넣어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의 상기 가이드 스냅 걸림부가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들의 상기 가이드 스냅 걸림부 삽입홈에 끼워지도록 한 후,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들의 상기 가이드 스냅부를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의 상기 가이드 스냅 삽입홈으로 밀어 넣어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들의 상기 가이드 스냅 걸림부가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 스냅 삽입홈의 측단면에 걸려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들이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에 결합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들의 상면 위치를 규제하여 반송로 갭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의 양측단에는 스토퍼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의 양측단에는 상기 스토퍼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스토퍼 지지부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
  5. 제 4항에 있어서,
    지폐 잼이 발생한 위치를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풀리 및 벨트들 사이의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의 중앙부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된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
  6. 제 4항에 있어서,
    지폐 잼이 발생한 위치를 육안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의 중앙부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형성된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들의 양측단 하부에는 가이드핀이 형성되어, 상기 반송모듈이 금융자동화기기에 설치될 때 그 하부에 설치되는 지폐저장박스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핀 삽입홈에 상기 반송모듈과 상기 지폐저장박스의 상대적 위치가 일치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의 일측단 상부에는 상기 반송모듈이 상기 금융자동화기기에 설치될 때 상부로부터 눌려져서 상기 반송모듈이 그 하부에 설치되는 상기 지폐저장박스들로부터 분리되어 오작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누름핀 브라켓 및 누름핀이 한 개 이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
KR1020100140575A 2010-12-31 2010-12-31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 KR1011558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575A KR101155831B1 (ko) 2010-12-31 2010-12-31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575A KR101155831B1 (ko) 2010-12-31 2010-12-31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5831B1 true KR101155831B1 (ko) 2012-06-12

Family

ID=46607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40575A KR101155831B1 (ko) 2010-12-31 2010-12-31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8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704B1 (ko) 2014-06-30 2016-04-26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패스 가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KR20190021073A (ko) * 2017-08-22 2019-03-05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 반송 모듈과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7128U (ko) * 2008-12-31 2010-07-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로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7128U (ko) * 2008-12-31 2010-07-08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로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1704B1 (ko) 2014-06-30 2016-04-26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패스 가이딩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금융 자동화 기기
KR20190021073A (ko) * 2017-08-22 2019-03-05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 반송 모듈과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KR102002948B1 (ko) 2017-08-22 2019-07-24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매체 반송 모듈과 이를 구비한 금융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6901B1 (ko) 입금 지폐 취급 기구
KR101155831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
KR20130139496A (ko) 지폐 반송방향 절환장치 및 이를 구비한 지폐입출금장치
KR100961578B1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매체 리젝트 방법
KR20120078770A (ko) 지폐저장장치
KR20090067357A (ko) 금융자동화기기
KR20100089944A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
KR200472152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로 구조
KR20130090970A (ko) 지폐처리장치
KR101396190B1 (ko) 스택가이드
CN202472795U (zh) 纸张类介质处理装置及其具有保护作用的存储板
JP2702632B2 (ja) 紙葉類処理機
KR101082511B1 (ko) 지폐입출금장치
JP5015565B2 (ja) 紙葉束搬送機構、及び還流式紙幣処理装置
JP5434482B2 (ja) 紙葉類処理装置
KR100990113B1 (ko) 지폐계수기의 지폐투입부
KR20120078177A (ko) 현금입출금기
JP6409525B2 (ja) 帯電防止機構及び媒体取引装置
KR101123340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077323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로모듈 탈착구조
KR10075079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로 구조
KR101427900B1 (ko) 종이매체 공급장치
CN210721629U (zh) 一种鼓式钞箱及金融自助终端
CN210534922U (zh) 一种介质循环系统及金融自助终端
JP5791464B2 (ja) 紙幣保留分離機構とこれを用いた還流式紙幣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