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78177A - 현금입출금기 - Google Patents

현금입출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78177A
KR20120078177A KR1020100140393A KR20100140393A KR20120078177A KR 20120078177 A KR20120078177 A KR 20120078177A KR 1020100140393 A KR1020100140393 A KR 1020100140393A KR 20100140393 A KR20100140393 A KR 20100140393A KR 20120078177 A KR20120078177 A KR 20120078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belt
upper guide
banknot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40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현
남영준
남한주
심정수
허성창
Original Assignee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40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78177A/ko
Publication of KR20120078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81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1Accessorie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금 또는 출금되는 지폐를 이송하기 위한 현금입출금기의 지폐반송모듈에 있어서,
이송되는 지폐의 상측에 설치되어 반송로를 형성하며, 그 외주면에는 지폐의 이송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풀리를 구비하는 상부 가이드 부재와;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의 풀리에 감겨지고,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는 벨트와;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의 하부에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와는 소정의 간격으로 반송로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하부 가이드 부재와;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 하부와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 상부가 지폐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호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 및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에 굴곡지게 형성된 가이드면과;
상기 벨트와의 사이에 지폐를 협지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벨트와 대향되게 반송모듈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 상부의 가이드면에 복수개 설치되는 하부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U자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U자형 홈에는 상기 풀리를 지지하는 지지축이 상하로 슬라이딩 왕복이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되며, 상기 지지축은 상기 지지축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벨트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상기 U자형 홈 내에 내삽된 압축 탄성부재에 의해 탄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반송모듈을 구비한 현금입출금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송모듈의 개폐 여부에 무관하게 벨트의 장력을 적절하게 유지시켜 반송모듈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풀리를 지지하는 지지축이 빠지는 위험을 방지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반송모듈이 장착되는 부분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도 항상 충분한 벨트의 장력을 확보할 수 있는, 오토텐셔너가 장착된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을 구비한 현금입출금기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현금입출금기{Automated Teller Machine}
본 발명은 현금입출금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송모듈의 개폐 여부에 무관하게 벨트의 장력을 적절하게 유지시켜 반송모듈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풀리를 지지하는 지지축이 빠지는 위험을 방지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반송모듈이 장착되는 부분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도 항상 충분한 벨트의 장력을 확보할 수 있는, 오토텐셔너가 장착된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을 구비한 현금입출금기에 관한 것이다.
금융서비스와 관련하여 신속하고 편리하게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상담업무를 제외한 대부분의 서비스를 무인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장치인 금융자동화기기에는 현금자동지급기(CDU;Cash Dispenser Unit)와 현금자동입출금기(BRM; Billing Recycling Machine)등이 있는데, 현금자동지급기는 금융업무전산화를 위한 초기 단계에서부터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현금만 자동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된 장치이고, 현금자동입출금기는 현금자동지급기능에 부가하여 입금기능도 구비된 장치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금융자동화기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금융자동화기기에는, 고객이 입출금을 위하여 지폐를 투입하거나 수취하기 위한 입출금부(100), 상기 입출금부(100)를 통해 입출금되는 지폐가 이송되는 반송로(200), 상기 반송로(200)상에 설치되어 지폐의 이상유무를 감별하는 감별부(300), 상기 감별부(300)를 거친 후 입금된 지폐가 일시적으로 적재되는 일시저장부(400), 고객으로부터 입금된 지폐가 적재되고 적재된 지폐가 출금됨으로써 환류기능을 수행하는 지폐보관박스(700) 등이 구비된다.
도 2는 종래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이 금융자동화기기 내부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이 금융자동화기기 내부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된 상?하부 프레임(610, 620) 사이에 장착될 때, 상부프레임(610)이 하측으로 선회되면서 접촉베어링(211)과 맞닿아 상부 가이드 부재(210)를 눌러줌에 따라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210)에 감긴 벨트(230)가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210)에 밀착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종래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이 금융자동화기기로부터 탈착되면 상기 접촉베어링(211)을 누르던 힘이 해제되는 동시에 상기 벨트(230)와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210)의 밀착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즉, 상기 종래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이 금융자동화기기로부터 탈착되면 상기 벨트(230)의 장력이 해제됨에 따라 느슨해져서 잼을 유발한 지폐의 제거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반송모듈을 구비한 현금입출금기는 금융자동화기기에 반송모듈이 장착될 때 접촉베어링에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따라 벨트(230)의 장력이 변화하게 되는바, 장착되는 부분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으면 반송로(200)를 통해 이송되는 지폐에 가해지는 압력이 일정하지 않게 되고, 충분한 벨트(230)의 장력이 확보되지 않을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반송모듈의 개폐 여부에 무관하게 벨트의 장력을 적절하게 유지시켜 반송모듈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풀리를 지지하는 지지축이 빠지는 위험을 방지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반송모듈이 장착되는 부분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도 항상 충분한 벨트의 장력을 확보할 수 있는, 오토텐셔너가 장착된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을 구비한 현금입출금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입금 또는 출금되는 지폐를 이송하기 위한 현금입출금기의 지폐반송모듈에 있어서,
이송되는 지폐의 상측에 설치되어 반송로를 형성하며, 그 외주면에는 지폐의 이송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풀리를 구비하는 상부 가이드 부재와;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의 풀리에 감겨지고,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는 벨트와;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의 하부에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와는 소정의 간격으로 반송로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하부 가이드 부재와;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 하부와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 상부가 지폐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호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 및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에 굴곡지게 형성된 가이드면과;
상기 벨트와의 사이에 지폐를 협지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벨트와 대향되게 반송모듈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 상부의 가이드면에 복수개 설치되는 하부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U자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U자형 홈에는 상기 풀리를 지지하는 지지축이 상하로 슬라이딩 왕복이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되며, 상기 지지축은 상기 지지축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벨트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상기 U자형 홈 내에 내삽된 압축 탄성부재에 의해 탄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반송모듈을 구비한 현금입출금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풀리, 벨트 및 하부 롤러는 이송되는 지폐의 폭보다 좁은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 상부에는, 상기 풀리들의 사이에 적절한 개수로 설치되어 상기 벨트의 상면을 구름지지하면서 상기 벨트가 들뜨지 못하게 하측으로 눌러줌으로써 상기 지지축 및 지지축에 의해 지지되는 풀리들이 지나치게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하는 동시에 효율적으로 상기 벨트에 장력이 일정하게 가해지도록 하는 복수개의 상부 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반송모듈의 개폐 여부에 무관하게 벨트의 장력을 적절하게 유지시켜 반송모듈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풀리를 지지하는 지지축이 빠지는 위험을 방지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반송모듈이 장착되는 부분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도 항상 충분한 벨트의 장력을 확보할 수 있는, 오토텐셔너가 장착된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을 구비한 현금입출금기를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현금자동입출금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
도 2는 종래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종래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이 금융자동화기기 내부에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현금입출금기에 사용된 반송모듈의 사시도,
도 5의 (a), (b)는 상부 가이드 부재 상면에 설치되어 벨트에 일정한 장력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풀리 및 압축 탄성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의 (a), (b)는 상부 가이드 부재 상면 전단부에 설치되어 벨트에 일정한 장력을 발생시키는 풀리 및 압축 탄성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상부 가이드 부재를 아래쪽에서 본 저면 사시도,
도 8은 하부 가이드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현금입출금기에 사용된 반송모듈에서 밸트의 걸림 상태 및 반송로를 보여주는 측면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현금입출금기에 사용된 반송모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현금입출금기에 사용된 반송모듈은 상부에 형성되어 이송되는 지폐의 일면을 가이드하는 상부 가이드 부재(210)와,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지폐의 타면을 가이드 하는 하부 가이드 부재(220)와, 상부 가이드 부재의 풀리(212)에 감겨지고,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는 벨트(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210) 하면의 형상과 하부 가이드 부재(220) 상면의 형상은 서로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양면 사이의 간격은 반송로갭을 형성함으로써 지폐가 상기 반송로갭을 통해 이송되는 것이며, 상기 반송로갭은 통상 2mm 정도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210)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210)의 외주면에는 지폐의 이송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의 풀리(212)가 구비되고, 상기 풀리(212)에는 벨트(230)가 회전가능하게 감기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벨트(230)는 일반적인 평벨트에 비해 연신율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동력전달률이 좋은 타이밍벨트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조로 설치되는 상기 벨트(230)는 반송모듈의 길이방향 즉 지폐의 이송방향으로 적어도 두 줄로 배치되는 한편,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지폐의 이송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5의 (a), (b)는 상부 가이드 부재 상면에 설치되어 벨트에 일정한 장력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풀리 및 압축 탄성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의 (a), (b)는 상부 가이드 부재 상면 전단부에 설치되어 벨트에 일정한 장력을 발생시키는 풀리 및 압축 탄성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상부 가이드 부재(210) 상면에는 상기 벨트(230)에 일정한 장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압축 탄성부재(214)에 의해 탄지되는 지지축에 의해 지지되는 복수개의 풀리(212)가 설치된다. 예컨대,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210)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U자형 홈(213)이 형성되고, 상기 U자형 홈(213)에는 상기 풀리(212)를 지지하는 지지축이 상하로 슬라이딩 왕복이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되며, 상기 지지축은 상기 지지축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벨트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상기 U자형 홈(213) 내에 내삽된 압축 탄성부재(214)에 의해 탄지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축 탄성부재(214)에 의해 탄지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지축 및 풀리(212)는, 상기 압축 탄성부재(214)에 의해 상측으로 밀어올려지는 힘과 풀리(212)의 상면에 감겨지는 벨트(230)의 장력의 합력에 의해 하측으로 눌려지는 힘이 서로 상쇄될 때 까지 상측으로 상승하게 되고, 벨트(230)의 장력의 합력에 의해 상기 U자형 홈(213)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지지축이 상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상기 U자형 홈(213) 대신에 장홀을 형성하고, 상기 장홀에는 상기 풀리(212)를 지지하는 지지축이 상하로 슬라이딩 왕복이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되며, 상기 장홀 내에 상기 지지축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벨트(230)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압축 탄성부재를 내삽하여 상기 지지축이 탄지결합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압축 탄성부재(213) 및 풀리(212)를 통하여 반송모듈의 개폐 여부에 무관하게 벨트(230)의 장력을 적절하게 유지시켜 반송모듈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상기 풀리(212)를 지지하는 지지축이 빠지는 위험을 방지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반송모듈이 장착되는 부분의 간격이 일정하지 않아도 항상 충분한 벨트(230)의 장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210)의 상부에는, 상기 풀리(212)들의 사이에 복수개의 상부 롤러(216)가 적절한 개수로 설치된다. 즉,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210)의 상부에 상기 복수개의 상부 롤러(216)를 고정시켜주는 복수개의 고정 브라켓(215)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개의 고정 브라켓(215)에 상기 복수개의 상부 롤러(216)를 지지하는 지지축이 끼워져서, 그 지지축에 베어링결합된 상부 롤러(216)들이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롤러(216)들은 상기 벨트(230)의 상면을 구름지지하면서 상기 벨트(230)가 들뜨지 못하게 하측으로 눌러줌으로써 상기 지지축 및 지지축에 의해 지지되는 풀리(212)들이 지나치게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하는 동시에 효율적으로 상기 벨트(230)에 장력이 일정하게 가해지도록 하게 된다.
도 7은 상부 가이드 부재를 아래쪽에서 본 저면 사시도이고, 도 8은 하부 가이드 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현금입출금기에 사용된 반송모듈에서 밸트의 걸림 상태 및 반송로를 보여주는 측면개략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220)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220) 상부의 가이드면에는 상기 벨트(230)와의 사이에 지폐를 협지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벨트(230)와 대향되게 반송모듈의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하부 롤러(222)가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하부 롤러(222)는 지폐에 원활한 이송력을 부가할 수 있도록 이송되는 지폐의 폭보다 좁은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부 롤러(222)는 별도의 동력이 공급되지 않고 상기 벨트(230)의 회전력에 의해 연동 회전하게 되는 아이들 롤러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210)와 하부 가이드 부재(220)는 그 사이로 이송되는 지폐가 가이드면 보다는 주로 벨트(230)와 하부 롤러(226)에 의해 협지된 상태로 이송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210)의 일측단 상부에는 누름핀 브라켓(217) 및 누름핀(218)이 적절한 갯수로 설치되어 금융자동화기기에 설치될 때 상부로부터 눌려져서 본 발명의 반송모듈이 그 하부의 지폐저장박스(700)들로부터 분리되어 오작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100 : 입출금부 200 : 반송로
210 : 상부 가이드 부재 211 : 접촉베어링
212 : 풀리 213 : U자형 홈
214 : 압축 탄성부재 215 : 고정 브라켓
216 : 상부 롤러 217 : 누름핀 브라켓
218 : 누름핀 220 : 하부 가이드 부재
222 : 하부 롤러 230 : 벨트
300 : 감별부 400 : 일시저장부
610 : 상부 프레임 620 : 하부 프레임
700 : 지폐보관박스

Claims (4)

  1. 입금 또는 출금되는 지폐를 이송하기 위한 현금입출금기의 지폐반송모듈에 있어서,
    이송되는 지폐의 상측에 설치되어 반송로를 형성하며, 그 외주면에는 지폐의 이송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풀리를 구비하는 상부 가이드 부재와;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의 풀리에 감겨지고,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는 벨트와;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의 하부에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와는 소정의 간격으로 반송로를 형성하도록 설치되는 하부 가이드 부재와;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 하부와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 상부가 지폐의 이송방향을 따라 상호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 및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에 굴곡지게 형성된 가이드면과;
    상기 벨트와의 사이에 지폐를 협지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벨트와 대향되게 반송모듈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하부 가이드 부재 상부의 가이드면에 복수개 설치되는 하부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 상부에는 수직방향으로 복수개의 U자형 홈이 형성되고, 상기 U자형 홈에는 상기 풀리를 지지하는 지지축이 상하로 슬라이딩 왕복이동가능하게 끼움결합되며, 상기 지지축은 상기 지지축을 상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벨트에 장력을 발생시키는 상기 U자형 홈 내에 내삽된 압축 탄성부재에 의해 탄지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반송모듈을 구비한 현금입출금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풀리, 벨트 및 하부 롤러는 이송되는 지폐의 폭보다 좁은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반송모듈을 구비한 현금입출금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의 상부에는, 상기 풀리들의 사이에 적절한 개수로 설치되어 상기 벨트의 상면을 구름지지하면서 상기 벨트가 들뜨지 못하게 하측으로 눌러줌으로써 상기 지지축 및 지지축에 의해 지지되는 풀리들이 지나치게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하는 동시에 효율적으로 상기 벨트에 장력이 일정하게 가해지도록 하는 복수개의 상부 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반송모듈을 구비한 현금입출금기.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가이드 부재의 일측단 상부에는 누름핀 브라켓 및 누름핀이 적절한 갯수로 설치되어 상기 지폐 반송모듈이 금융자동화기기에 설치될 때 상부로부터 눌려져서 상기 반송모듈이 그 하부의 지폐저장박스들로부터 분리되어 오작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반송모듈을 구비한 현금입출금기.
KR1020100140393A 2010-12-31 2010-12-31 현금입출금기 KR201200781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393A KR20120078177A (ko) 2010-12-31 2010-12-31 현금입출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40393A KR20120078177A (ko) 2010-12-31 2010-12-31 현금입출금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8177A true KR20120078177A (ko) 2012-07-10

Family

ID=46711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40393A KR20120078177A (ko) 2010-12-31 2010-12-31 현금입출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781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35503A (ko) 지폐 입출금기
KR100961578B1 (ko) 금융자동화기기 및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매체 리젝트 방법
KR101508792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
KR200472152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로 구조
KR100754041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픽업롤러 설치구조
KR101155831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모듈
KR20120078177A (ko) 현금입출금기
KR101396190B1 (ko) 스택가이드
KR101178919B1 (ko) 매체 방출기용 카세트
KR200388998Y1 (ko) 출금부에서의 종이매체 홀딩구조
KR200411493Y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0961575B1 (ko) 종이매체 이송장치 및 이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JP2012174047A (ja) 紙幣処理装置
KR100752110B1 (ko) 반송롤러
KR101009109B1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075079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반송로 구조
KR101468290B1 (ko) 매체보관함, 매체처리장치 및 금융기기
KR102030518B1 (ko) 지폐류 입출금장치
KR20180111211A (ko) 갭롤러를 구비한 다권종 지폐카세트
KR20110124553A (ko) 수평 집적을 위한 승하강부재를 갖는 매체방출장치
KR20070119342A (ko) 잼 제거구조가 구비된 금융자동화기기
KR10112368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출금장치
KR101427900B1 (ko) 종이매체 공급장치
KR20090067356A (ko) 금융자동화기기
KR100990297B1 (ko) 지폐입출금부의 전면가이드판과 트랜스퍼플레이트의연계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