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5470B1 - 자동차용 암 레스트 도어트림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암 레스트 도어트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5470B1
KR101155470B1 KR1020090115039A KR20090115039A KR101155470B1 KR 101155470 B1 KR101155470 B1 KR 101155470B1 KR 1020090115039 A KR1020090115039 A KR 1020090115039A KR 20090115039 A KR20090115039 A KR 20090115039A KR 101155470 B1 KR101155470 B1 KR 1011554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door trim
hook
vehicle
armres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8298A (ko
Inventor
이홍기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5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5470B1/ko
Publication of KR20110058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5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54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60R13/0243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3Inner panel, e.g. characterised by carrying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9Side or rear panels
    • B60R2011/0021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5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 B60R2011/0063Connection with the vehicle part using adhesive means, e.g. hook and loop faste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암 레스트 도어트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후크에 노치부를 형성하고, 팔걸이 돌출부분과 결합되는 걸림부를 형성하여 차량충돌시 생긴 응력에 의해 상기 노치부에서 파단이 발생하고, 상기 걸림부에 의해 상기 팔걸이부가 회전하여 차량충돌시 탑승자에게 팔걸이 돌출부분이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트림에 관한 것이다.
도어트림, 후크

Description

자동차용 암 레스트 도어트림{Tray structure of arm rest of door trim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측면 충돌 시, 안전성이 향상된 도어트림에 관한 것으로, 도어트림의 슬라이딩 구조에 의해 탑승자에게 팔걸이부의 돌출부분이 노출되지 않는 도어트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안전도 시험 중 도어트림에 대한 시험은 인체의 복부 상해에 해당되는 시험으로서, 도어 트림의 자체 측면충돌시험에서 목표 흡수에너지 내에 반력이 적어도 2.0Kgf 이하여야 하고, 충돌 충격 후에도 파손된 부위에 샤프 에지가 없어야 한다.
자동차 측면충돌시험은 950kg의 이동 충돌 대차를 이용하여 자동차 측면 도어 측에 55km/h 속도 이상으로 충돌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차 시트에 마련된 인체모델(DUMMY)이 충돌 충격에 의한 반작용으로 도어트림(21)에 부딪치면서, 충격를 감지하는 센서가 내장된 인체모델 복부는 도어트림 팔걸이부(22)에 부딪친다.
이에 측면충돌 안전법규에서는 인체 모델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감지된 복부 상해치를 2.5kN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도어트림(21)은 인체 복부 상해 위험을 증가시키는 SHARP EDGE가 없어야 하며 이러한 규격에 미달될 경우 안전법규에 위배되며, 소비자의 자동차에 대한 신뢰도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도 2a 및 2b는 기존의 팔걸이부가 후크에 의해 도어트림에 장착된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어트림 팔걸이부(22)가 열융착이나 스크류에 의한 강제 조립방법이 아닌 후크(23)에 의한 방법으로 조립된 경우, 측면충돌시 팔걸이부의 후크(23)의 변형에 의해 팔걸이부(22)가 도어트림(21)에서 이탈되어 도어트림(21)의 팔걸이 주위부의 강성이 약화되어 변형에 의한 인체의 충돌에너지 흡수율이 증대된다. 하지만, 이탈된 팔걸이부(22)의 날카로운 돌출부분(24)이 승객을 향함으로써 인체 상해위험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후크에 노치부를 형성하고, 반대편 돌출부분이 걸림부에 의해 회전하도록 하여 측면 차량 충돌시 탑승자에게 팔걸이 돌출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도어트림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팔걸이부를 포함하는 도어트림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부 일측에 하방으로 형성되며, 응력이 가해지면 파단이 발생하는 노치부가 형성된 후크와; 상기 노치부에서 파단된 후크의 일단이 가이드 되어 상기 팔걸이부의 일측이 상승하여 이탈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슬라이딩부; 및 상기 팔걸이부의 일측이 이탈될 시, 상기 팔걸이부 타측의 이탈을 방지하여 상기 팔걸이부의 돌출부분을 회전 중심으로 상기 팔걸이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팔걸이부 타측의 단면이 '⊃' 형상을 갖도록 상기 돌출부분과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돌출부분은 상기 팔걸이부의 회전 시, 탑승자의 인체에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측면충돌시 2차 충격에 의해 인체 복부가 부딪치는 도어트림 팔걸이부가 복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팔걸이부의 돌출부분이 인체에 노출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어 탑승자의 안전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후크에 의해 조립되는 팔걸이부를 포함하는 도어트림에 있어서, 상기 후크에 노치부를 형성하고, 팔걸이부의 돌출부분과 결합되는 걸림부를 형성하여 차량충돌시 생긴 응력에 의해 상기 노치부에서 파단이 발생하고, 상기 걸림부에 의해 상기 팔걸이부가 회전하여 차량충돌시 탑승자에게 팔걸이 돌출부분이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트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노치부에서 파단된 팔걸이부가 분리되도록 유도하는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동차 측면충돌 시험시 인체 복부 상해치를 최저로 하고 팔걸이부 이탈시 인체에 미치는 팔걸이 돌출부분의 노출을 방지하는 도어트림 및 팔걸이부 구조로서 충돌시 팔걸이부의 돌출부분이 인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주된 특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을 나타내는 것으로, 노치부(35)가 형성된 후크(33)에 의해 팔걸이부(32)가 도어트림에 결합되고, 걸림부(37)가 형성되어 있어, 측면 충돌시 팔걸이 돌출부분(34)이 탑승자에게 노출되지 않는 구조를 가진다.
차량충돌에 의한 1차 충돌 후 탑승자의 2차 충돌시 탑승자의 복부가 팔걸이부(32)에 충돌되어 팔걸이부(32)에 힘이 가해져 팔걸이부(32)의 후크(33)에 응력이 발생하기 시작한다. 이때, 후크(33)에 파단유도를 위하여 노치구조(35)를 적용하여 노치부(35)에 응력이 집중됨으로써 노치부(35)에서 파단이 이루어진다.
상기 노치부(35)는 팔걸이부의 조립역할을 위한 후크의 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PP의 연성재질을 적용할 경우 후크 두께의 1/4이하의 깊이를 가지며, 팔걸이부 강성증대를 위하여 ABS의 취성재질을 적용할 경우 후크 두께의 1/5이하의 깊이를 적용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후크(33)의 파단이 이루어진 팔걸이부(32)는 탑승자 방향의 팔걸이 돌출부분(34)의 걸림부(37)에 의해 회전의 중심이 되어, 도어트림의 슬라이딩부(36)에 의해 팔걸이부(32)의 이탈이 유도됨으로 탑승자에게 팔걸이부 돌출부분(34)이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도어트림의 슬라이딩부(36)는 충격에 의한 팔걸이부(32) 후크(33) 노치부(35)의 꺽임력을 초과하지 않고 팔걸이부 회전시 상관부와의 마찰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약 45도의 경사도를 갖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노치부에서 파단된 후크의 일단이 가이드 되어 상승함으로써, 팔걸이부의 회전저항력이 최소가 되도록 팔걸이부를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걸림부(37)는 기존에는 도 2b에 나와 있듯이, 종래에 후크 형상으로 되어 있어 충격시 팔걸이부 전체가 화살표 방향으로 도어트림에서 분리되어 돌출부(34)가 탑승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개선시킨 부분으로, 팔걸이부 조립시에는 팔걸이부의 도어트림과의 상하 및 측면 규제 역할을 하며, 충돌시에는 도어트림의 상하 이탈방향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규제할 뿐 아니라, 팔걸이부 후크의 파단후에는 팔걸이부의 회전중심 역할을 하여 도 4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단면이 '⊃' 형상을 갖도록 상기 돌출부분과 결합되어 상기 팔걸이부의 일단이 도어트림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여 탑승자 방향으로 팔걸이부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도어트림 구조에 따르면, 차량 측면 충돌시 2차 충격에 의해 인체 복부가 부딪치는 도어트림 팔걸이부(32)가 복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팔걸이부의 돌출부분(34)이 인체에 노출되지 않는 구조를 통하여 탑승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킨다.
도 1은 기존 차량 도어트림 및 도어트림 팔걸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a 및 2b는 기존의 팔걸이부가 후크에 의해 도어트림에 장착된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트림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Claims (2)

  1. 팔걸이부(32)를 포함하는 도어트림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부(32) 일측에 하방으로 형성되며, 응력이 가해지면 파단이 발생하는 노치부(35)가 형성된 후크(33);
    상기 노치부(35)에서 파단된 후크(33)의 일단이 가이드 되어 상기 팔걸이부(32)의 일측이 상승하여 이탈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된 슬라이딩부(36); 및
    상기 팔걸이부(32)의 일측이 이탈될 시, 상기 팔걸이부(32) 타측의 이탈을 방지하여 상기 팔걸이부(32)의 돌출부분(34)을 회전 중심으로 상기 팔걸이부(32)가 회전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팔걸이부(32) 타측의 단면이 '⊃' 형상을 갖도록 상기 돌출부분(34)과 결합되는 걸림부(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트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분(34)은 상기 팔걸이부(32)의 회전 시, 탑승자의 인체에 노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트림
KR1020090115039A 2009-11-26 2009-11-26 자동차용 암 레스트 도어트림 KR101155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039A KR101155470B1 (ko) 2009-11-26 2009-11-26 자동차용 암 레스트 도어트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039A KR101155470B1 (ko) 2009-11-26 2009-11-26 자동차용 암 레스트 도어트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298A KR20110058298A (ko) 2011-06-01
KR101155470B1 true KR101155470B1 (ko) 2012-06-15

Family

ID=44393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039A KR101155470B1 (ko) 2009-11-26 2009-11-26 자동차용 암 레스트 도어트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54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65547B2 (en) 2016-09-21 2018-09-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rmrest support bridge
JP6819345B2 (ja) * 2017-02-17 2021-01-27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内装材
KR20180130289A (ko) * 2017-05-29 2018-1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암레스트 조립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3291A (ja) * 2003-08-01 2005-03-03 Mazda Motor Corp 車両のアームレスト構造
JP2008087634A (ja) 2006-10-02 2008-04-17 Toyota Motor Corp 車両用側突乗員保護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3291A (ja) * 2003-08-01 2005-03-03 Mazda Motor Corp 車両のアームレスト構造
JP2008087634A (ja) 2006-10-02 2008-04-17 Toyota Motor Corp 車両用側突乗員保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298A (ko) 201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35463B1 (en) Middle side airbag confined between arm-rest and seat
JP5845055B2 (ja) スルーアンカ、スルーアンカの製造方法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JP4376743B2 (ja) 衝突物判別装置、保護装置
KR101155470B1 (ko) 자동차용 암 레스트 도어트림
JP2005263036A (ja) 歩行者保護装置
KR20180098342A (ko) 로터리 래치 및 보호 위치를 구비한 차량용 안전 장치
US6520568B2 (en) Arrangement for occupant protection in vehicles
JP4451258B2 (ja) 衝突物判別装置、保護装置
KR100560610B1 (ko) 차량용 도어
KR101372046B1 (ko) 차량의 무릎 상해 저감용 구조물
KR101704194B1 (ko) 타이어 이탈 유도용 크래쉬 멤버
JP5182256B2 (ja)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KR100537313B1 (ko) 자동차 무릎 보호 장치
JP7202542B2 (ja) 車両側部構造
JP4723986B2 (ja) バンパアブソーバー
WO2013165153A1 (ko) 차량좌석 안전벨트 시스템
JP2013067383A (ja) 車両用ニーエアバッグ装置
KR100949907B1 (ko) 커튼 에어백 장착용 브래킷
JP2012180029A (ja) 袖仕切り板の取り付け方法
WO2012026863A1 (en) A safety device
KR100368407B1 (ko) 자동차의 충격완충용 후드 로크장치
JP2955261B2 (ja) シートベルト吊持具
KR101360335B1 (ko) 차량의 어시스트핸들 설치용브래킷
US20050253408A1 (en) Seat component to prevent whiplash injury
JP2601700Y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