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0610B1 - 차량용 도어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0610B1
KR100560610B1 KR1020050005369A KR20050005369A KR100560610B1 KR 100560610 B1 KR100560610 B1 KR 100560610B1 KR 1020050005369 A KR1020050005369 A KR 1020050005369A KR 20050005369 A KR20050005369 A KR 20050005369A KR 100560610 B1 KR100560610 B1 KR 100560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de wall
door trim
armres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5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익근
이종걸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5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0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0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0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56Behaviour during impact
    • B60J5/0461Behaviour during impact characterised by a pre-defined mode of deformation or displacement in order to absorb imp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트림의 판면에 마련되며 일측이 개구된 통형상의 측벽과, 측벽의 개구영역을 폐쇄하며 탑승자의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팔거치부를 갖는 암레스트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팔거치부는, 측벽과 도어트림 사이에 마련되어, 측벽을 도어트림에 지지하는 심재와; 측벽의 개구영역을 폐쇄하도록 심재의 상부를 둘러싸고, 탑승자의 팔이 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팔거치부의 심재에는 도어트림의 판면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요철의 단면형상을 갖는 요철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차량의 측면 충돌로 인해 암레스트 파손시 날카로운 부분의 발생을 줄이며 탑승자의 복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차량의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DOOR F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요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팔거치부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용 도어 10 : 인너패널
20 : 도어트림 25 : 보스부
30 : 암레스트 31 : 측벽
33 : 지지부 35 : 팔거치부
37 : 심재 39 : 리브
41 : 요철부 45 : 커버
47 : 지지리브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측면 충돌시 탑승자의 복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도록 암레스트의 구조를 개선한 차 량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도어는 국내외 안전 법규로 규제하고 있는 차량 측면 충돌시 인체 모형의 상해 기준이 만족하는지 아닌 지를 안전검사를 실시한다.
차량 측면 충돌 시험은 950kgf의 이동 충돌 대차를 이용하여 완성차 차량 길이방향 중심선에 수직방향으로 운전석측의 인체 모델의 측면에 50km/h의 속도로 충돌시킨다. 이에, 차량에 앉은 인체 모델이 충돌에 의한 반작용으로 도어트림에 부딪치면서, 인체 모델의 복부는 도어트림의 암레스트에 부딪치게 된다.
이 때, 법규에서는 인체 모델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측정된 복부 상해치를 2.5kN 이하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도어트림과 암레스트는 파손시 인체에 상해를 줄 수 있는 날카로운 부분(sharp edge)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이에, 이러한 시험 규격에 미달될 경우, 안전법규에 위배되며, 소비자의 차량 구입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를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차량의 측면 충돌시 도어트림 및 암레스트가 쉽게 파손되는 구조로 설계하고, 파손시 날카로운 부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트림 소재의 물성치 중에 충격강도값을 보완하기 위해 탈크(talc)와 고무 성분을 첨가하여 제작하여 왔다. 반면에, 쉽게 파손되는 구조는 수직 정하중 시험에 견디지 못하고, 파손이나 영구변형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암레스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차량의 측면 충돌로 인해 암레스트의 파손시 날카로운 부분이 발생하지 않으며, 수직 정하중에 견딜 수 있는 차량용 도어를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측면 충돌로 인해 암레스트 파손시 날카로운 부분의 발생을 줄이며 탑승자의 복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차량의 안전도를 향상시키는 차량용 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어트림의 판면에 마련되며 일측이 개구된 통형상의 측벽과, 상기 측벽의 개구영역을 폐쇄하며 탑승자의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팔거치부를 갖는 암레스트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에 있어서, 상기 팔거치부는, 상기 측벽과 상기 도어트림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측벽을 상기 도어트림에 지지하는 심재와; 상기 측벽의 개구영역을 폐쇄하도록 상기 심재의 상부를 둘러싸고, 탑승자의 팔이 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팔거치부의 심재에는 상기 도어트림의 판면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요철의 단면형상을 갖는 요철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요철부는 연속적인 파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요부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팔거치부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도어(1)는 인너패널(10)과, 인너패널(10)에 결합되어 실내를 장식하는 도어트림(20)과, 도어트림(20)의 일측 판면에 마련되어 탑승 자의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암레스트(30)를 가진다.
도어트림(20)은 외부로부터의 충격력에 의해 파손시 날카로운 부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탈크(talc)와 고무 성분을 첨가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암레스트(30)는 일측이 개구된 통형상의 측벽(31)과, 측벽(31)의 개구영역을 폐쇄하며 탑승자의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팔거치부(35)를 가진다.
측벽(31)은 도어트림(20)의 일측 판면, 즉 탑승자의 복부를 향하는 판면에 배치된다. 측벽(31)의 상단부에는 도어트림(20)을 향해 절곡되어 개구를 형성하며, 후술할 커버(45)의 지지리브(47)를 지지하는 지지부(33)가 마련되어 있다.
팔거치부(35)는 측벽(31)을 도어트림(20)에 지지하는 심재(37)와, 심재(37)의 상부를 둘러싸며 탑승자의 팔이 거치되는 커버(45)를 가진다.
심재(37)는 측벽(31)과 도어트림(20) 사이에 개재되며, 일단부에는 도어트림(20)의 보스부(25)에 열융착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리브(39)가 마련되어 있다. 심재(37)는 커버(45)에 탑승자의 팔이 올려 놓여질 때 암레스트(30)가 수직 정하중에 견딜 수 있도록 보강하는 역할도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심재(37)에는 도어트림(20)의 판면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요철의 단면형상을 갖는 요철부(41)가 마련되어 있다. 요철부(41)는 차량의 측면 충돌로 인해 암레스트(30)가 파손되는 경우, 암레스트(30)가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변형이 이루어지는 순간부터 요철부(41)의 홈과 홈 사이의 경계 부위부터 변형이 이루어지기 시작하며, 이 변형은 점점 주름식으로 밀려들어가 탑승자에 상 해를 줄 수 있는 날카로운 부분(sharp edge)이 발생하지 않으며, 탑승자에 가해지는 충돌 충격은 운동에너지에서 충격흡수에너지로 바뀌게 되어, 충격흡수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단면형상의 요철부(41)가 개시되어 있지만, 요철부(41)는 사각단면형상 이외에 다양한 단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커버(45)는 심재(37)의 상부를 둘러싸며 측벽(31)의 개구영역을 폐쇄한다. 커버(45)의 일단부에는 측벽(31)의 지지부(33)에 지지되는 지지리브(47)가 마련되어 있으며, 지지리브(47)는 측벽(31)의 지지부(33)에 열융착방식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차량의 측면 충돌시 발생하는 충격력은 인너패널(10)을 거쳐 도어트림(20) 및 암레스트(30)로 전달된다.
차량이 측면으로부터 충돌되어 차체 변형으로 밀려오는 힘이 차량 내부의 탑승자에게 전달되는 과정에서 암레스트(30)의 심재(37)의 요철부(41)는 가속과 감속을 유도하는 형태로 파손이 진행된다.
이 때, 암레스트(30)가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의해 변형이 이루어지는 순간부터 요철부(41)의 홈과 홈 사이의 경계 부위부터 변형이 이루어지기 시작하며, 이 변형은 점점 주름지며 밀려들어가 탑승자에 상해를 줄 수 있는 날카로운 부분이 발생하지 않으며, 탑승자에 가해지는 충돌 충격은 운동에너지에서 충격흡수에너지로 바뀌게 되어, 충격흡수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차량의 측면 충돌로 인해 암레스트(30) 파손시 탑승자의 복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또한 차량의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암레스트의 팔거치부의 심재에 도어트림의 판면에 대해 가로방향 으로 요철의 단면형상을 갖는 요철부를 마련함으로써, 차량의 측면 충돌로 인해 암레스트 파손시 파손된 암레스트는 탑승자에 상해를 줄 수 있는 날카로운 부분을 발생하지 않게 되어, 탑승자의 복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며, 차량의 안전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연속적인 파형상을 이루는 요철부가 개시되어 있지만, 요철부는 불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암레스트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차량의 측면 충돌로 인해 암레스트 파손시 날카로운 부분의 발생을 줄이며 탑승자의 복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하고, 차량의 안전도를 향상시키는 차량용 도어가 제공된다.

Claims (2)

  1. 도어트림의 판면에 마련되며 일측이 개구된 통형상의 측벽과, 상기 측벽의 개구영역을 폐쇄하며 탑승자의 팔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팔거치부를 갖는 암레스트를 구비한 차량용 도어에 있어서,
    상기 팔거치부는,
    상기 측벽과 상기 도어트림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측벽을 상기 도어트림에 지지하는 심재와;
    상기 측벽의 개구영역을 폐쇄하도록 상기 심재의 상부를 둘러싸고, 탑승자의 팔이 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팔거치부의 심재에는 상기 도어트림의 판면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요철의 단면형상을 갖는 요철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부는 연속적인 파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KR1020050005369A 2005-01-20 2005-01-20 차량용 도어 KR100560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369A KR100560610B1 (ko) 2005-01-20 2005-01-20 차량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5369A KR100560610B1 (ko) 2005-01-20 2005-01-20 차량용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0610B1 true KR100560610B1 (ko) 2006-03-17

Family

ID=37179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5369A KR100560610B1 (ko) 2005-01-20 2005-01-20 차량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06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22903A (zh) * 2008-10-30 2010-06-0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内部装饰
KR200464066Y1 (ko) * 2010-09-14 2013-01-10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용 암레스트 조립구조
US10053027B2 (en) 2016-04-20 2018-08-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liding joint applique
US10179551B2 (en) 2016-04-20 2019-01-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liding joint appliqu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22903A (zh) * 2008-10-30 2010-06-09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内部装饰
KR200464066Y1 (ko) * 2010-09-14 2013-01-10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용 암레스트 조립구조
US10053027B2 (en) 2016-04-20 2018-08-2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liding joint applique
US10179551B2 (en) 2016-04-20 2019-01-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liding joint appliqu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755125A (en) Inflatable crash protector for vehicles
GB2312190A (en) Deformable motor vehicle exterior panel
JP2004203237A (ja) 乗員保護装置
KR200266242Y1 (ko) 자동차의 도어구조
KR100560610B1 (ko) 차량용 도어
JPH0632195A (ja) 自動車用ニープロテクタ装置
US20100045005A1 (en) Three door air bag chute
JP4978862B2 (ja) 自動車の衝撃吸収構造
KR100666775B1 (ko) 크래시 패드의 제조방법
JP4162958B2 (ja) 衝撃緩衝部材
JP2000025552A (ja) 衝撃保護装置
JPH061027U (ja)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KR101130513B1 (ko) 차량용 도어
JP4723986B2 (ja) バンパアブソーバー
KR100428122B1 (ko) 자동차의 충돌시험용 도어 구조
KR100398240B1 (ko) 자동차의 도어 구조
JP3881086B2 (ja) エネルギー吸収構造
KR100587407B1 (ko)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
KR200145817Y1 (ko) 자동차의 도어 보강구조
KR0116012Y1 (ko) 자동차용 도어 측면충격흡수장치
KR200155467Y1 (ko) 자동차용 도어의 패드 구조
JP2576031Y2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H0642922Y2 (ja) 自動車用計器盤
JP4585145B2 (ja) エアバッグドアの跳返り防止構造
KR101337804B1 (ko) 자동차용 에어백 브라켓의 충격 흡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