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3913B1 -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 - Google Patents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3913B1
KR101153913B1 KR1020090086357A KR20090086357A KR101153913B1 KR 101153913 B1 KR101153913 B1 KR 101153913B1 KR 1020090086357 A KR1020090086357 A KR 1020090086357A KR 20090086357 A KR20090086357 A KR 20090086357A KR 101153913 B1 KR101153913 B1 KR 101153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ad
connection
ground
rotary
ro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6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8768A (ko
Inventor
김재훈
Original Assignee
김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훈 filed Critical 김재훈
Priority to KR1020090086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3913B1/ko
Publication of KR20110028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8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4Road crossings on different levels; Interconnections between roads on different leve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06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characterised by the road surface marking material, e.g. comprising additives for improving friction or reflectivity; Methods of forming, installing or applying markings in, on or to road surfaces
    • E01F9/512Preformed road surface markings, e.g. of sheet material; Methods of applying preformed mark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은: 상호 교차되도록 형성된 제1,2지상차로와, 제1,2지상차로의 교차부위의 지하에 형성되는 로터리도로와, 제1지상차로 중 일부차선으로부터 로터리도로로 연결되는 제1연결도로와, 제2지상차로 중 일부차선으로부터 로터리도로로 연결되는 제2연결도로를 포함하고, 제1연결도로와 제2연결도로는 각각 로터리도로로 연결되는 입구부와 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하교차로, 로터리도로, 연결도로, 주차장

Description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ROAD FOR MITIGATION TO TRAFFIC CONGESTION}
본 발명은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차되는 도로의 지하에 좌회전과 유턴이 가능한 로터리도로를 형성하여 지상차로에서는 직진과 우회전만 이루어짐으로 원활한 교통흐름을 제공하는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소통이 많은 교차로에서는 교통신호대기로 인해 차량의 흐름이 단절되고 있다.
이에 따라, 주행속도는 저하되고 교통체증이 빈번하게 유발되므로 막대한 교통혼잡비용이 발생되어 경제적인 손실이 초래됨은 물론 신호대기 중의 공회전으로 배출되는 배기가스로 인한 대기오염과 에너지 소비가 매우 심각한 실정이다.
종래의 교차로(10)의 경우에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방향에 동시신호 및 4색등화의 신호체계(20)를 운영하여 차량(30)을 통행시키고 있다.
이처럼 기존 신호는 한 차선에서 신호를 기다릴 경우 4단계의 신호가 바뀌어 야 자신의 차량이 통과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차량의 통행이 많은 곳에서는 차량의 정체가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방책으로 지하도로나 고가도로 등을 이용한 입체 교차로가 적용되고 있으나, 종래의 입체 교차로의 경우에는 모든 방향의 좌회전을 허용하면서 교차로 내에서 모든 방향으로 보행자가 통행할 수 있도록 횡단보도를 설치시 4현시 신호일 수 밖에 없어 차량의 진행이 원활하지 못하고, 이로 인한 주행속도의 저하 및 교통체증의 문제가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교통신호체계를 2현지시로 단순화하여 지하 교차로에서의 차량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며, 신호대기시간을 감소시켜 교통처리 용량을 크게 증가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지하 교차로를 통해 지하주차장과 연결하여 도심지의 주차공간을 확보하며, 잉여공간에 상가를 형성하여 지역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은: 상호 교차되도록 형성된 제1,2지상차로와, 제1,2지상차로의 교차부위의 지하에 형성되는 로터리도로와, 제1지상차로 중 일부차선으로부터 로터리도로로 연결되는 제1연결도로와, 제2지상차로 중 일부차선으로부터 로터리도로로 연결되는 제2연결도로를 포함하고, 제1연결도로와 제2연결도로는 각각 로터리도로로 연결되는 입구부와 출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로터리도로와 제1,2연결도로의 지하에는 다층으로 이루어져 각층은 주차장연결도로에 의해 연결되는 주차장이 구비되고, 제1,2연결도로에는 주차장으로 연결되는 주차입출고도로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주차입출고 도로에는 상호 연결하는 보조유턴도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하주차장에는 지상으로 연결되는 엘레베이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2연결도로의 입구부와 출구부 바닥면에는 미끄럼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로터리도로와 제1,2연결도로의 바닥면에는 방향지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방향지시부는 로터리도로와 제1,2연결도로의 바닥면에 매설되는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디스플레이판 및 케이스의 상면을 커버하고, 내부에 디스플레이판이 투시되도록 하는 투명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은 종래 발명과 달리 좌회전과 유턴하는 차량의 흐름을 로터리도로를 통해 신호대기 없이 주행가능하게 하고, 지상차로의 교통신호체계를 2현지시로 단순화함으로써, 교통처리 용량을 크게 증가시켜 원활한 교통흐름을 제공하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로터리도로로 진입하기 위한 제1,2연결도로에 지하주차장과 연결되는 주차입출고도로를 형성하여 도심지의 주차공간을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잉여공간에 상가를 형성하여 지역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제1,2연결도로와 로터리도로의 바닥면에 방향지시부를 구비하여 차량의 주행방향을 안내함은 물론 각종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의 도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의 교통흐름을 보인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의 제1,2연결도로의 바닥면을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의 방향지시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100)은 크게, 제1,2지상차로(110,120), 로터리도로(130), 제1,2연결도로(140,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지상차로(110)와 제2지상차로(120)는 상호 교차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1,2지상차로(110,120)는 중앙에 각각 중앙선이 형성되고, 다수개의 차선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1지상차로(110)와 제2지상차로(120)의 교차부위에는 신호등이 구비되어 교대로 직진신호를 부여하여 통행 또는 정차시킨다.
제1지상차로(110)와 제2지상차로(120)의 교차부위의 지하에는 로터리도로(130)가 구비된다.
로터리도로(130)는 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2차선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연결도로(140)는 제1지상차(110)로 중 일부차선으로부터 로터리도로(130)로 연결되고, 제2연결도로(150)는 제2지상차(120)로 중 일부차선으로부터 로터리도로(130)로 연결된다.
즉, 제1,2연결도로(140,150)는 로터리도로(130)를 기준으로 각각 대칭되도록 한 쌍을 이루게 되며, 제1,2지상차로(110,120)의 교통흐름방향으로 각각 입구부(140a,150a)와 출구부(140b,150b)가 형성되는 것이다.
제1,2연결도로(140,150)는 입구부(140a,150a)에서 로터리도로(130)로 점진적인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연결되고, 로터리도로(130)에서 출구부(140b,150b)로 점진적인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2연결도로(140,150)의 입구부(140a,150a)와 출구부(140b,150b) 바닥면에는 미끄럼방지턱(155)이 형성된다.
미끄럼방지턱(155)은 바닥면에는 소정높이 돌출 또는 함몰되어 주행하는 차 량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과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연결도로(140,150)의 입구부(140a,150a)를 통해 진입한 차량은 로터리도로(130)를 통해 좌회전 또는 유턴하여 제1,2연결도로(140,150)의 출구부(140b,150b)를 통해 제1지상차로(110) 또는 제2지상차로(120)로 진입할 수 있으므로 신호대기 없이 교통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는 것이다.
제1,2지상차로(110,120)의 일부차선은 좌회전차선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터리도로(130)와 제1,2연결도로(140,150)의 지하에는 다층으로 이루어져 주차장연결도로(162)에 의해 연결되는 지하주차장(160)이 구비되고, 제1,2연결도로(140,150)에는 지하주차장(160)으로 연결되는 주차장입출고도로(170)가 연결된다.
그리고, 주차장입출고도로(170)에는 보조유턴도로(172)가 형성된다.
즉, 하부로 다층의 지하주차장(160)이 형성되어 도심지의 주차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각 층의 지하주차장(160)은 주차장연결도로(162)에 의해 이동 가능하다.
또한, 지하주차장(160)뿐만 아니라 상가를 형성하여 지역시장을 개선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상기 지하주차장(160)에는 지상으로 연결되는 엘레베이터(16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로터리도로(130)와 제1,2연결도로(140,150)의 바닥면에는 방향지시부(180)가 더 구비된다.
방향지시부(180)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로터리도로(130)와 제1,2연결도로(140,150)의 바닥면에 매설되는 케이스(182)와, 케이스(182)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디스플레이판(184) 및 케이스(182)의 상면을 커버하고, 내부의 디스플레이판(184)이 투시되도록 하는 투명창(186)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판(184)에는 주행방향, 이정표 등 다양한 정보가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투명창(186)은 내부가 투시되도록 강화유리 또는 아크릴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제1지상차로(110)와 제2지상차로(120)는 직진 또는 우회전만이 가능하며, 제1지상차로(110)와 제2지상차(120)를 진행하는 차량은 2현시에 의해 진행되어 원활한 교통흐름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상차로(110)를 주행하는 차량이 제2지상차로(120)로 좌회전 할 경우에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좌회전 차선에 형성된 제1연결도로(140)의 입구부(140a)를 통해 지하에 형성된 로터리도로(130)로 진입한다.
로터리도로(130)는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연결도로(140)를 통해 진입한 차량은 로터리도로(130)를 따라 좌회전하여 제2연결도로(150)를 따라 제2연결도 로(150)의 출구부(150b)를 통해 제2지상차로(120)로 진입할 수 있다.
이때, 제2연결도로(150)를 따라 좌회전하지 않고 로터리도로(130)를 따라 유턴하여 제1지상차로(110)의 반대편 차선으로 진입할 수도 있다.
또한, 제2지상차로(120)를 주행하는 차량이 제1지상차로(110)로 좌회전 할 경우에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좌회전 차선에 형성된 제2연결도로(150)의 입구부(150a)를 통해 지하에 형성된 로터리도로(130)로 진입한다.
로터리도로(130)로 진입한 차량은 상기한 바와 같이 로터리도로(130)를 따라 좌회전하여 제1연결도로(140)를 따라 제1연결도로(140)의 출구부(140b)를 통해 제1지상차로(110)로 진입할 수 있으며, 유턴하여 제2지상차로(120)의 반대편 차선으로 진입할 수 있다.
이때, 제1연결도로(140)와 제2연결도로(150)에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미끄럼방지턱(155)이 형성되어 경사면에서 차량의 정차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좌회전 차량은 제1,2연결도로(140,150)를 통해 로터리도로(130)로 진입하여 정차없이 진행할 수 있으므로 제1,2지상차로(110,120)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원활한 교통흐름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2지상차로(110,120)에는 횡단보도가 형성되어 보행자의 신호대기 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제1,2연결도로(140,150)의 상부 지상에는 잉여공간(A)이 존재하게 되므로 화단 또는 공원 등으로 조성함으로써, 도심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로터리도로(130)와 제1,2연결도로(140,150)의 지하에는 지하주차장(160) 구비되고, 제1,2연결도로(140,150)에는 지하주차장(160)으로 진입할 수 있는 주차장입출고도로(170)가 형성되어 도심지의 주차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주차장입출고도로(170)에는 보조유턴도로(172)가 형성되어 다시 제1연결도로(140) 또는 제2연결도로(150)로 진입할 수 있다.
그리고, 지하주차장(160)은 다층으로 형성되고 각각의 층으로 주차장연결도로(162)를 통하여 이동 가능하므로, 용적률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지하주차장(160)에는 상가를 형성하여 지역시장을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엘레베이터(165)가 구비되어 지상에서 지하주차장(160)으로 또는 지하주차장(160)에서 지상으로의 이동할 수 있어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로터리도로(130)와 제1,2연결도로(140,150)의 바닥면에는 진행방향 및 이정표 등 다양한 정보를 구현할 수 있는 방향지시부(180)가 구비되어 운전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 교통흐름이 원활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상차로에서는 직진과 우회전만 가능하고, 좌회전과 유턴은 지하의 로터리도로를 통해 이루어짐으로 기존의 신호대기에 의한 정차를 줄여 교통체증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층으로 이루어진 지하주차장과 상가에 의해 주차문제를 해결함은 물론 지역시장의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교차로를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의 도로형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의 교통흐름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의 제1,2연결도로의 바닥면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의 방향지시부를 보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 110 :제1지상차로
120 : 제2지상차로 130 : 로터리도로
140 : 제1연결도로 140a, 150a : 입구부
150 : 제2연결도로 140b, 150b : 출구부
155 : 미끄럼방지턱 160 : 지하주차장
162 : 주차장연결도로 165 : 엘레베이터
170 : 주차장입출고도로 172 : 보조유턴도로
180 : 방향지시부 182 : 케이스
184 : 디스플레이판 186 : 투명창

Claims (7)

  1. 상호 교차되도록 형성되고, 차량의 직진과 우회전만 가능한 제1,2지상차로;
    상기 제1,2지상차로의 교차부위의 지하에 형성되고, 차량의 좌회전과 유턴만 가능한 로터리도로;
    상기 제1지상차로 중 일부차선으로부터 상기 로터리도로로 연결되는 제1연결도로;
    상기 제2지상차로 중 일부차선으로부터 상기 로터리도로로 연결되는 제2연결도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도로와 상기 제2연결도로는 각각 상기 로터리도로로 연결되는 입구부와 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로터리도로와 상기 제1,2연결도로의 지하에는 다층으로 이루어져 주차장연결도로에 의해 연결되는 주차장이 구비되고;
    상기 제1,2연결도로에는 상기 주차장으로 연결되는 주차입출고 도로가 연결되며;
    상기 주차입출고 도로에는 상호 연결하는 보조유턴도로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주차장에는 지상으로 연결되는 엘레베이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연결도로의 입구부와 출구부 바닥면에는 미끄럼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리도로와 상기 제1,2연결도로의 바닥면에는 방향지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지시부는 상기 로터리도로와 상기 제1,2연결도로의 바닥면에 매설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디스플레이판; 및
    상기 케이스의 상면을 커버하고, 내부에 디스플레이판이 투시되도록 하는 투명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
KR1020090086357A 2009-09-14 2009-09-14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 KR101153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357A KR101153913B1 (ko) 2009-09-14 2009-09-14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6357A KR101153913B1 (ko) 2009-09-14 2009-09-14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768A KR20110028768A (ko) 2011-03-22
KR101153913B1 true KR101153913B1 (ko) 2012-06-07

Family

ID=43934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6357A KR101153913B1 (ko) 2009-09-14 2009-09-14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39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6535A (ko) 2021-11-24 2023-05-31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기술기반의 사거리 교통체증 예측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2187B1 (en) 1998-11-05 2001-11-06 Ignaz Walter Street tunnel arrangement accessible to vehicles in densely populated area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12187B1 (en) 1998-11-05 2001-11-06 Ignaz Walter Street tunnel arrangement accessible to vehicles in densely populated area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6535A (ko) 2021-11-24 2023-05-31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인공지능 기술기반의 사거리 교통체증 예측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8768A (ko) 2011-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37576A1 (en) Signal-free roadway interchange
JP6093871B2 (ja) 都市交差路構造
KR100996931B1 (ko) 교차로 시스템
JP4111384B2 (ja) 道路交差点構造
CN102322005A (zh) 立交桥
JPH04336102A (ja) 歩道と車道を上下に分離した交差点構造
KR101153913B1 (ko)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도로
KR101441661B1 (ko) 지상도로의 차선 감소가 없는 지하 유출입 시설
KR100512408B1 (ko) 교차로시스템
KR19980026688A (ko) 2현시 3지 교차로 및 신호제어방법
CN103266545A (zh) 闹市区交叉路口大交通量立体互通分流系统
CN103321116B (zh) 十字路口快慢分流交叉道路结构
KR20110116478A (ko) 신호등 없는 입체교차로의 구조
CN212294409U (zh) 用于城市高架桥下交叉路口的交通引导系统
CN104032635A (zh) 十字路口二层面全互通式立交桥
CN210262546U (zh) 一种多层式畅行交叉立交
CN211112965U (zh) 一种立体交通桥
KR20110098464A (ko) 복층형 입체복합도로의 3지 입체교차로
CN105002796A (zh) 十字路口无红灯单层立交桥
WO2003087476A1 (fr) Structure d&#39;autopont a voies en forme de demi-cercle
CN204982578U (zh) 一种十字路口无红灯单层立交桥
KR200410588Y1 (ko) 도심 교통체증 완화를 위한 입체 교차 장치
CN110804915A (zh) 一种无红绿灯的城市双层交通道路结构
CN203308139U (zh) 一种设置于十字路口的立体停车库
CN104195908B (zh) 组合结构式立交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