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0933B1 - 차량용 열음향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열음향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0933B1
KR101150933B1 KR1020050077666A KR20050077666A KR101150933B1 KR 101150933 B1 KR101150933 B1 KR 101150933B1 KR 1020050077666 A KR1020050077666 A KR 1020050077666A KR 20050077666 A KR20050077666 A KR 20050077666A KR 101150933 B1 KR101150933 B1 KR 101150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wave
resonance tube
passage
air
st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7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3272A (ko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77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0933B1/ko
Publication of KR200700232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32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0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0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5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the input of sound, e.g. by using a voice synthesiz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2001/0015Temperature reg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명관내에 설치된 스택의 적어도 어느 일단부에 열전달 매체의 일단부를 접촉되게 설치함과 아울러 열전달 매체의 타단부를 공명관의 통로내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공명관의 통로를 공조덕트로 연통되게 연결하여 차량에 적용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차량의 냉난방 실현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열음향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차량, 공조, 방열, 흡열

Description

차량용 열음향 공조장치{A heat-acoustic an air conditioner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음향 공조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조장치의 단면도로, 공명관의 내부에 스택 및 열교환 매체의 구성이 나타나도록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의 절단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공명관을 절단하여 스택 및 열교환 매체의 구성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음향 공조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공조장치의 단면도로, 공명관의 내부에 스택 및 열교환 매체의 구성이 나타나도록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4에서의 절단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공명관을 절단하여 스택 및 열교환 매체의 구성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음향 공조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공조장치의 단면도로, 공명관의 내부에 스택 및 제1 열교환 매체의 구성이 나타나도록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7에서의 절단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공명관을 절단하여 스택 및 제2 열교환 매체의 구성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7에서의 절단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공명관을 절단하여 스택 및 제2 열교환 매체의 구성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서 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원리를 설명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200 : 공명관
110,210 : 공조덕트
130, 230 : 스택
150,250 : 열교환 매체
120,220 : 음파 발생수단
본 발명은 차량용 열음향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명관내에 설치된 스택의 적어도 어느 일단부에 열전달 매체의 일단부를 접촉되게 설치함과 아울러 열전달 매체의 타단부를 공명관의 통로내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공명관의 통로를 공조덕트로 연통되게 연결하여 차량에 적용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차량의 냉난방 실현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열음향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각방식에는 증기 압축기, 전자 냉동식, 증기 분사식, 볼텍스 튜브(vortex tube)식 등이 있으며, 이러한 냉각방식중에서도 자동차용 에어컨 시스템에서 채용하고 있는 냉각방식은 프레온을 냉매로 사용하는 증기 압축식이다.
즉, 자동차용 에어컨 시스템은 엔진의 회전력으로 압축ㆍ순환되는 냉매의 잠열을 이용하는 것으로서, 크게 증발기,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의 4가지 주요 부품으로 구성되며, 이들 구성부품에서 냉각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자동차용 에어컨 시스템이 가동되면, 가스 상태의 냉매가 증발기에서 압축기로 흡입ㆍ압축된 후, 고온ㆍ고압의 가스 상태로 응축기로 보내지고, 이 응축기에서 강제 냉각된 냉매는 팽창밸브를 지나면서 저온ㆍ저압의 습증기상태로 팽창된 후 다시 증발기로 보내져 저온ㆍ저압의 가스 상태로 전환된다.
여기서, 증발기를 지나는 냉매는 기화시 그 주변을 지나는 공기의 열을 빼앗게 되는 바, 이때 냉각된 공기는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면서 냉방이 이루어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동차용 에어컨 시스템의 냉각방식은 냉매로 (프레온)염화불화탄소(CFC)를 사용하고 있는 바, 이 염화불화탄소는 외부 배출시 지구의 오존층을 파괴하고, 지구의 온난화를 촉진하는 등 심각한 환경문제를 일으키고 있어 그 대체 냉매 또는 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상기한 증기 압축식 냉각방식에는 복잡한 기계구조의 채용으로 고장 발생이 잦고, 특히 냉매를 흡입ㆍ압축하는 압축기가 구동시 큰 동력을 필요로함은 물론 큰 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제까지는 종래 기술의 차동차용 에어컨 시스템의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하였는 바, 차량에는 냉방 장치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차량 실내의 공기조화를 구현하기 위해 엔진을 냉각시키는 냉각수를 히터코어를 경유시켜, 이 히터코어의 주변을 통과하는 공기를 데운후, 데워진 공기를 차량 실내로 토출시킴으로써 차량의 난방이 이루어도록 하는 난방장치가 있다.
그러나, 종래 차량 실내의 난방을 위해 별도의 히터코어를 제작, 설치하여야 하는 등 제작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공명관내에 설치된 스택의 적어도 어느 일단부에 열전달 매체의 일단부를 접촉되게 설치함과 아울러 열전달 매체의 타단부를 공명관의 통로내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공명관의 통로를 공조덕트로 연통되게 연결하여 차량에 적용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차량의 냉난방 실현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열음향 공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열음향 조장치는, 중앙에 전후측을 관통하는 통로가 형성되도록 중공의 환상의 관로를 가지고, 상기 관로의 중심을 이은 원의 원주 길이가 음파의 파장의 정수배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로내에 상기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공명관과; 공기가 유입됨과 아울러 단부가 상기 공명관의 전방측에 상기 통로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입 덕트와, 단부가 상기 공명관의 후방측에 상기 통로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덕트로 이루어진 공조덕트와; 상기 공명관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1 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음파 발생기와, 상기 제1 음파 발생기로부터 상기관로를 따라 음파의
Figure 112005046601602-pat00001
파장의 홀수배의 거리가 이격된 곳에 제2 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음파 발생기를 가지는 음파 발생수단과; 복수개의 평판이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층 배치되어 상기 공명관의 관로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택과; 제1, 제2 음파 발생기를 제어하는 음파 발생 제어수단과; 일단이 공명관의 스택의 단부중 고온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공명관을 관통하여 상기 통로내에 위치하는 열전달 매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열음향 공조장치는, 중앙에 전후측을 관통하는 통로가 형성되도록 중공의 환상의 관로를 가지고, 상기 관로의 중심을 이은 원의 원주 길이가 음파의 파장의 정수배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로내에 상기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공명관과; 공기가 유입됨과 아울러 단부가 상기 공명관의 전방측에 상기 통로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입덕트와, 단부가 상기 공명관의 후방측에 상기 통로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덕트로 이루어진 공조덕트와; 상기 공명관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1 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음파 발생기와, 상기 제1 음파 발생기로부 터 상기관로를 따라 음파의
Figure 112005046601602-pat00002
파장의 홀수배의 거리가 이격된 곳에 제2 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음파 발생기를 가지는 음파 발생수단과; 복수개의 평판이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층 배치되어 상기 공명관의 관로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택과; 제1, 제2 음파 발생기를 제어하는 음파 발생 제어수단과; 일단이 공명관의 스택의 단부중 저온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공명관을 관통하여 상기 통로내에 위치하는 열전달 매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열음향 공조장치는, 중앙에 전후측을 관통하는 통로가 형성되도록 중공의 환상의 관로를 가지고, 상기 관로의 중심을 이은 원의 원주 길이가 음파의 파장의 정수배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로내에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한쌍의 제1ㆍ제2 공명관과;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덕트와, 상기 유입덕트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ㆍ제2 공명관의 전방부측 통로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소정 길이의 전방측 제1ㆍ제2 분기덕트와, 상기 제1ㆍ제2 공명관의 후방부측 통로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소정 길이의 후방측 제1ㆍ제2 분기덕트와, 상기 후방측 제1ㆍ제2 분기덕트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후방측 제1ㆍ제2 분기덕트를 통과한 공기를 합류시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덕트로 이루어진 공조덕트와; 상기 유입덕트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전방측 제1,제2 분기덕트로 선택적으로 이송되도록 하거나 전방측 제1, 제2 분기덕트로 분기되어 이송되도록 하는 온도조절도어와; 상기 공명관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1 음파를 발생 시키기 위한 제1 음파 발생기와, 상기 제1 음파 발생기로부터 상기관로를 따라 음파의
Figure 112005046601602-pat00003
파장의 홀수배의 거리가 이격된 곳에 제2 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음파 발생기를 가지는 음파 발생수단과; 복수개의 평판이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층 배치되어 상기 공명관의 관로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택과; 제1, 제2 음파 발생기를 제어하는 음파 발생 제어수단과; 일단이 제1 공명관의 스택의 단부중 고온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공명관을 관통하여 상기 통로내에 위치하는 제1 열전달 매체와; 일단이 제2 공명관의 스택의 단부중 저온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공명관을 관통하여 상기 통로내에 위치하는 제2 열전달 매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음향 공조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조장치의 단면도로, 공명관의 내부에 스택 및 열교환 매체의 구성이 나타나도록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의 절단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공명관을 절단하여 스택 및 열교환 매체의 구성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음향 공조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공조장치의 단면도로, 공명관의 내부에 스택 및 열교환 매체의 구성이 나타나도록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서의 절단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공명관을 절단하 여 스택 및 열교환 매체의 구성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열음향 공조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공조장치의 단면도로, 공명관의 내부에 스택 및 열교환 매체의 구성이 나타나도록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에서의 절단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공명관을 절단하여 스택 및 열교환 매체의 구성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0은 도 7에서의 절단 방향과 직각인 방향으로 공명관을 절단하여 스택 및 열교환 매체의 구성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서 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원리를 설명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통상적인 차량용 열음향 공조장치에서 히터코어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차량 실내의 난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명관(100)과, 공조덕트(110)와, 음파 발생수단(120)과, 스택(130)과, 음파 발생 제어수단(140)과, 열전달 매체(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공명관(100)은 중앙에 전후측을 관통하는 통로(101)가 형성되도록 중공의 환상의 관로(102)를 가지고, 상기 관로(102)의 중심을 이은 원의 원주 길이가원주 길이가 음파의 파장의 정수배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로(102)내에 상기 작동 유체가 봉입되어 구성된다.
상기 공조덕트(110)는 공기가 유입됨과 아울러 단부가 상기 공명관(100)의 전방측에 상기 통로(101)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입덕트(111)와, 단부가 상기 공명관(100)의 후방측에 상기 통로(101)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공기를 배출시 키는 배출덕트(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음파 발생수단(120)은 상기 공명관(100)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1 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음파 발생기(121)와, 상기 제1 음파 발생기(121)로부터 상기관로(120)를 따라 음파의
Figure 112005046601602-pat00004
파장의 홀수배의 거리가 이격된 곳에 제2 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음파 발생기(122)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제2 음파 발생기(121)(122)로는 스피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택(130)은 복수개의 평판(131)이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층 배치되어 상기 공명관(100)의 관로(102)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스택(130)은 본 발명에서 2개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하여 설치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상기 음파 발생 제어수단(140)은 상기 제1 음파와 제2 음파와의 위상차가 90도의 홀수배가 되도록 발생시키기 위해 제1, 제2 음파 발생기(121)(122)를 제어한다.
상기 열전달 매체(150)는 일단이 공명관(100)의 스택(130)의 단부중 고온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공명관(100)을 관통하여 상기 통로(101)내에 위치하여 주위로 열을 방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열전달 매체(150)를 설치할 때, 공명관(100)내에 채워진 작동 유체가 통로(101)로 유출되지 않도록 기밀성 있게 설치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열전달 매체(150)는 열을 전달하는 재질이면 무엇이든지 사용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진공 상태의 공간부를 가지도록 밀폐되고, 상기 공간부내에 작동 유체가 내장되는 편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튜브로 구성하였다.
상기 열전달 매체(150)내에 채워진 작동유체는 스택(130)의 고온측 단부에서 전달된 열원에 의해 가열된 후, 통로(101)내에 위치하는 열전달 매체(150)의 단부를 향해 이동하면서 증발하면서 통로(101)내로 열을 방출한 다음, 응축된 후, 다시 열전달 매체(150)의 내벽면을 타고 스택(130)의 고온측에 인접하는 열교환 매체(130)의 단부측으로 귀환하게 과정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스택(1300의 고온측 단부에서 발생된 열은 통로(101)에서 방열되어 통로(101)를 통과하는 공기를 고온으로 열교환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예를 들어 상기 음파 발생 제어수단(140)이 상기 제1 음파가 제2 음파보다 위상이 90도 빠르게 음파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경우는, 제1, 제2 음파 발생기(121)(122)로부터 발생된 음파는 공명관(100)내로 들어가서 양방향으로 진행된다. 공명관(100)내에서 전달되는 음파의 위상은 제1, 제2 음파 발생기(121)(122)의 배치 간격과 음파 위상차의 관계로부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음파 발생기(121)(122)로부터 발생되는 음파중 도면상의 좌측 방향으로 전달되는 음파(2L)(3L)은 동일한 위상이기 때문에 중합되어 증폭하게 된다.
반면에, 도면상의 우측 방향으로 전달되는 음파(2R)(3R)는 서로 위상차가 반 대이기 때문에 소멸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제2 음파 발생기(121)(122)로부터 발생된 음파는 도면상의 좌측으로 전달되는 음파만 남게 된다.
여기서, 제1, 제2 음파 발생기(121)(122)로부터 발생되어 소멸되지 않고 남는 음파의 진행 방향은 도 3에 도시된 공명관(100)에서 보면 실선 화살표 방향인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다.
마찬가지 원리로, 상기 음파 발생 제어수단(140)이 상기 제1 음파가 제2 음파보다 위상이 90도 느리게 음파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경우는, 상기 공명관(100)내에서 음파는 시계방향으로 진행된다.
일본국 특개2000-337724호에서와 같이 음파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열의 흐름이 발생되는 것이 알려져 있는 바, 상기와 같이, 제1, 제2 음파 발생기(121)(122)에서 발생되어 공명관(100)의 반시계 반향으로 전달되는 음파는 공명관(100)내에 설치된 스택(130)을 통과하면서 공명관(100)내에 채워진 작동 유체인 가스 덩어리에 의해 스택(130)을 이루는 평판(131) 사이의 간극에서 점선 화살표 방향, 즉 음파의 이동 반대 방향으로 열이 이동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택(130)의 a지점에서 열을 흡열하여 b지점에서 열을 방열하게 된다.
따라서, 스택(130)의 a지점은 저온측이 되고, b지점은 고온측이 되는 것이다.
음파가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경우는, 스택(130)의 a지점은 저온측이 되고, b지점은 저온측이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스택(130)의 단부중 고온측 단부에 열전달 매체(150)가 공명관(100)의 통로(101)내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통로(101)로내로 공기를 통과시키게 되면, 통로(101)를 통과하는 공기가 열전달 매체(150)에 의해 온기로 열교환되는 것이다.
결국에는 공조덕트(110)를 구성하는 유입덕트(111)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면, 이 유입된 공기는 공명관(100)의 통로(101)를 통과하면서 열전달 매체(150)에 의해 온기로 열교환되어 배출덕트(112)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덕트(112)를 차량의 실내로 연장하여 설치하게 되면, 실내의 난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실내의 난방시에는 공조케이스내에 히터코어를 사용 않아도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 이루어진 공조장치는 차량 이외에 공조 분야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제까지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통상적인 차량용 공조장치에서 차량 실내의 냉방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명관(200)과, 공조덕트(210)와, 음파 발생수단(220)과, 스택(230)과, 음파 발생 제어수단(240) 과, 열전달 매체(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공명관(200)은, 중앙에 전후측을 관통하는 통로(201)가 형성되도록 중공의 환상의 관로(202)를 가지고, 상기 관로(202)의 중심을 이은 원의 원주 길이가원주 길이가 음파의 파장의 정수배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로(202)내에 상기 작동 유체가 봉입되어 구성된다.
상기 공조덕트(210)는, 공기가 유입됨과 아울러 단부가 상기 공명관(200)의 전방측에 상기 통로(201)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입덕트(211)와, 단부가 상기 공명관(200)의 후방측에 상기 통로(201)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덕트(2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음파 발생수단(220)은, 상기 공명관(200)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1 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음파 발생기(221)와, 상기 제1 음파 발생기(221)로부터 상기관로(220)를 따라 음파의
Figure 112005046601602-pat00005
파장의 홀수배의 거리가 이격된 곳에 제2 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음파 발생기(222)로 구성된다.
상기 스택(230)은, 복수개의 평판(231)이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층 배치되어 상기 공명관(200)의 관로(202)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음파 발생 제어수단(240)은, 상기 제1 음파와 제2 음파와의 위상차가 90도의 홀수배가 되도록 발생시키기 위해 제1, 제2 음파 발생기(221)(222)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열전달 매체(250)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공명관(200)의 스택(230)의 단부중 저온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공명관(200)을 관통하여 상기 통로(201)내에 위치하여 주위의 열을 흡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열전달 매체(250)를 설치할때, 공명관(100)내에 채워진 작동 유체가 통로(201)로 유출되지 않도록 기밀성 있게 설치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열전달 매체(250)는 열을 전달하는 재질이면 무엇이든지 사용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진공 상태의 공간부를 가지도록 밀폐되고, 상기 공간부내에 작동 유체가 내장되는 편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튜브로 구성하였다.
상기 열전달 매체(250)내에 채워진 작동유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공명관(200)내의 통로(201)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는 스택(230)의 저온측 단부의 온도보다 낮기 때문에 열전달 매체(250)내에 채워진 작동유체는 상기 통로(201)를 통과하는 공기의 열원에 의해 가열된 후, 스택(230)의 저온측 단부에 인접한 열전달 매체(250)의 단부를 향해 이동하면서 증발하면서 스택(230)의 저온측 단부로 열을 방출한 다음, 응축된 후, 다시 열교환 매체(250)의 내벽면을 타고 통로(201)내에 위치한 열전달 매체(250)의 단부측으로 귀환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공명관(200)의 통로(201)를 통과하여 배출덕트(21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유입덕트(211)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보다 낮은 냉기 상태가 되도록 열교환시켜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한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 음과 같다.
먼저, 예를들어 상기 음파 발생 제어수단(240)이 상기 제1 음파가 제2 음파보다 위상이 90도 빠르게 음파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경우는, 상기 제1, 제2 음파 발생기(221)(222)로부터 발생된 음파는 공명관(200)내로 들어가서 양방향으로 진행된다. 공명관(200)내에서 전달되는 음파의 위상은 제1, 제2 음파 발생기(221)(222)의 배치 간격과 음파 위상차의 관계로부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음파 발생기(221)(222)로부터 발생되는 음파중 도면상의 좌측 방향으로 전달되는 음파(2L)(3L)는 동일한 위상이기 때문에 중합되어 증폭하게 된다.
반면에, 도면상의 우측 방향으로 전달되는 음파(2R)(3R)는 서로 위상차가 반대이기 때문에 소멸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제2 음파 발생기(221)(222)로부터 발생된 음파는 도면상의 좌측으로 전달되는 음파만 남게 된다.
여기서, 제1, 제2 음파 발생기(221)(222)로부터 발생되어 소멸되지 않고 남는 음파의 진행 방향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선 화살표 방향인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다.
일본국 특개2000-337724호에서와 같이 음파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열의 흐름이 발생되는 것이 알려져 있는 바, 상기와 같이, 제1, 제2 음파 발생기(221)(222)에서 발생되어 공명관(200)의 반시계 반향으로 전달되는 음파는 공명관(200)내에 설치된 스택(230)을 통과하면서 공명관(200)내에 채워진 작동 유체인 가스 덩어리에 의해 스택(230)을 이루는 평판(231) 사이의 간극에서 점선 화살표 방 향, 즉 음파의 이동 반대 방향으로 열이 이동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택(230)의 a지점에서 열을 흡열하여 b지점에서 열을 방열하게 된다.
따라서, 스택(130)의 a지점은 저온측이 되고, b지점은 고온측이 되는 것이다.
음파가 반대방향으로 진행하는 경우는, 스택(130)의 a지점은 저온측이 되고, b지점은 저온측이 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스택(230)의 단부측중 저온측 단부에 열교환 매체(250)가 공명관(200)의 통로(210)내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통로(201)로 공기를 통과시키게 되면, 통로(201)를 통과하는 공기가 열교환 매체(250)에 의해 냉기로 열교환되는 것이다.
결국에는 공조덕트(220)를 구성하는 유입덕트(221)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면, 이 유입된 공기는 공명관(200)의 통로(201)를 통과하면서 열교환 매체(250)에 의해 냉기로 열교환되어 배출 덕트(222)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덕트(222)를 차량의 실내로 연장하게 되면, 실내의 냉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적어도 냉방시에는 환경 문제를 야기하는 냉매의 일종인 염화불화탄소(CFC)를 전혀 사용않음과 아울러 냉동사이클을 이루기 위해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이제까지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통상적인 차량용 공조장치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차량 실내의 냉난방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ㆍ제2 공명관(100)(200)과, 공조덕트(110)와, 온도조절도어(300)와, 음파 발생수단(120)(220)과, 스택(130)과, 음파 발생 제어수단(140)(240)과, 다수의 제1 열교환 매체(150)와, 다수의 제2 열교환 매체(2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ㆍ제2 공명관(100)(200)은, 중앙에 전후측을 관통하는 통로(101)(201)가 형성되도록 중공의 환상의 관로(102)(202)를 가지고, 상기 관로(102)(202)의 중심을 이은 원의 원주 길이가 음파의 파장의 정수배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로(102)(202)내에 작동 유체가 봉입되어 구성된다.
상기 공조덕트(110)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덕트(111)와, 상기 유입덕트(111)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ㆍ제2 공명관(100)(200)의 전방부측에 통로(101)(201)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소정 길이의 전방측 제1ㆍ제2 분기덕트(113)(114)와, 상기 제1ㆍ제2 공명관(100)(200)의 후방부측에 통로(101)(201)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소정 길이의 후방측 제1ㆍ제2 분기덕트(115)(116)와, 상기 후방측 제1ㆍ제2 분기덕트(115)(116)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후방측 제1ㆍ제2 분기덕트(115)(116)를 통과한 공기를 합류시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덕트(1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온도조절도어(300)는, 상기 유입덕트(111)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전방 측 제1,제2 분기덕트(113)(114)로 선택적으로 이송되도록 하거나 전방측 제1, 제2 분기덕트(113)(114)로 분기되어 이송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온도조절도어(3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위치에 따라 난방 모드와 냉방 모드와 믹싱 모드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즉, 온도조절도어(300)의 위치를 300a의 위치로 하게 되면, 유입덕트(111)를 통과한 공기가 제2 분기덕트(114)로 유동되어, 냉방모드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온도조절도어(300)의 위치를 300c의 위치로 하게 되면, 유입덕트(111)를 통과한 공기가 제1 분기덕트(113)로 유동되어, 난방모드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온도조절도어(300)의 위치를 300b의 위치로 하게 되면, 유입덕트(111)를 통과한 공기가 제1,2 분기덕트(113)(114)로 분기 유동되어, 믹싱모드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음파 발생수단(120)(220)은 상기 제1,제2 공명관(100)(200)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1 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음파 발생기(121)(221)와, 상기 제1 음파 발생기(121)(221)로부터 상기관로(102)(202)를 따라 음파의
Figure 112005046601602-pat00006
파장의 홀수배의 거리가 이격된 곳에 제2 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음파 발생기(122)(222)로 구성된다.
상기 스택(130)은, 복수개의 평판(131)(231)이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층 배치되어 상기 제1, 제2 공명관(100)(200)의 관로(102)(202)내에 설치 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음파 발생 제어수단(140)(240)은 상기 제1 음파와 제2 음파의 위상차가 90도의 홀수배가 되도록 발생시키기 위해 제1, 제2 음파 발생기(121,221),(122,222)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열교환 매체(150)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제1 공명관(100)의 스택(130)의 단부중 고온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1 공명관(100)을 관통하여 상기 통로(101)내에 위치하여 주위로 열을 방열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열교환 매체(150)를 설치할때, 공명관(100)내에 채워진 작동 유체가 통로(101)로 유출되지 않도록 기밀성 있게 설치하여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제1 열교환 매체(150)는 열을 전달하는 재질이면 무엇이든지 사용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진공 상태의 공간부를 가지도록 밀폐되고, 상기 공간부내에 작동 유체가 내장되는 편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튜브로 구성하였다.
상기 제1 열교환 매체(150)내에 채워진 작동유체는 스택(130)의 고온측 단부에서 전달된 열원에 의해 가열된 후, 통로(101)내에 위치하는 열교환 매체(150)의 단부를 향해 이동하면서 증발하면서 통로(101)내로 열을 방출한 다음, 응축된 후, 다시 제1 열교환 매체(150)의 내벽면을 타고 스택(130)의 고온측에 인접하는 제1 열교환 매체(150)의 단부측으로 귀환하게 과정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스택(1300의 고온측 단부에서 발생된 열은 통로(101)에서 방열되어 통로(101)를 통과하는 공기를 고온으로 열교환시킨다.
상기 제2 열교환 매체(250)는 다수개로 이루어지며, 일단이 제2 공명관(200) 의 스택(130)의 단부중 저온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공명관(200)을 관통하여 상기 통로(201)내에 위치하여 주위의 열을 흡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2 열교환 매체(250)를 설치할때, 공명관(100)내에 채워진 작동 유체가 통로(201)로 유출되지 않도록 기밀성 있게 설치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제2 열교환 매체(250)는 열을 전달하는 재질이면 무엇이든지 사용 가능하나,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진공 상태의 공간부를 가지도록 밀폐되고, 상기 공간부내에 작동 유체가 내장되는 편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튜브로 구성하였다.
상기 제2 열교환 매체(250)내에 채워진 작동유체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공명관(200)내의 통로(201)를 통과하는 공기의 온도는 스택(230)의 저온측 단부의 온도보다 낮기 때문에 제2 열교환 매체(250)내에 채워진 작동유체는 상기 통로(201)를 통과하는 공기의 열원에 의해 가열된 후, 스택(230)의 저온측 단부에 인접한 제2 열교환 매체(250)의 단부를 향해 이동하면서 증발하면서 스택(230)의 저온측 단부로 열을 방출한 다음, 응축된 후, 다시 제2 열교환 매체(250)의 내벽면을 타고 통로(201)내에 위치한 제2 열교환 매체(250)의 단부측으로 귀환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공명관(200)의 통로(201)를 통과하여 배출덕트(21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를 유입덕트(211)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보다 낮은 냉기 상태가 되도록 열교환시켜 주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한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예를들어 상기 음파 발생 제어수단(140)(240)이 상기 제1 음파가 제2 음파보다 위상이 90도 빠르게 음파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경우는, 제1, 제2 음파 발생기(121)(122)로부터 발생된 음파는 공명관(100)내로 들어가서 양방향으로 진행된다. 공명관(100)내에서 전달되는 음파의 위상은 제1, 제2 음파 발생기(121)(122)의 배치 간격과 음파 위상차의 관계로부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제2 음파 발생기(121)(122)로부터 발생되는 음파중 도면상의 좌측 방향으로 전달되는 음파(2L)(3L)은 동일한 위상이기 때문에 중합되어 증폭하게 된다.
반면에, 도면상의 우측 방향으로 전달되는 음파(2R)(3R)는 서로 위상차가 반대이기 때문에 소멸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제2 음파 발생기(121)(122)로부터 발생된 음파는 도면상의 좌측으로 전달되는 음파만 남게 된다.
여기서, 제1, 제2 음파 발생기(121)(122)로부터 발생되어 소멸되지 않고 남는 음파의 진행 방향은 도 9 및 10에 도시된 공명관(100)에서 보면 실선 화살표 방향인 반시계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다.
일본국 특개2000-337724호에서와 같이 음파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열의 흐름이 발생되는 것이 알려져 있는 바, 상기와 같이, 제1, 제2 음파 발생기(121,221)(122,222)에서 발생되어 공명관(100)(200)의 반시계 반향으로 전달되는 음파는 공명관(100)(200)내에 설치된 스택(130)(230)을 통과하면서 공명관(100)(200)내에 채워진 작동 유체인 가스 덩어리에 의해 스택(230)을 이루는 평판(131)(231) 사이의 간극에서 점선 화살표 방향, 즉 음파의 이동 반대 방향으로 열 이 이동된다.
즉, 스택(130)의 a지점에서 열을 흡열하여 b지점에서 열을 방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는 스택(130)의 단부측 고온측 단부에 제1 열교환 매체(150)가 공명관(100)의 통로(101)내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통로(101)로내로 공기를 통과시키게 되면, 통로(101)를 통과하는 공기가 제1 열교환매체(150)에 의해 온기로 열교환되는 것이다.
결국에는 공조덕트(110)를 구성하는 유입덕트(111)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면, 이 유입된 공기는 공명관(100)의 통로(101)를 통과하면서 제1 열교환 매체(150)에 의해 온기로 열교환되어 배출덕트(112)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덕트(112)를 차량의 실내로 연장하여 설치하게 되면, 실내의 난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스택(230)의 단부측중 저온측 단부에 제2 열교환 매체(250)가 공명관(200)의 통로(210)내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통로(201)로 공기를 통과시키게 되면, 통로(201)를 통과하는 공기가 ㅈ제2 열교환 매체(250)에 의해 냉기로 열교환되는 것이다.
결국에는 공조덕트(220)를 구성하는 유입덕트(221)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면, 이 유입된 공기는 공명관(200)의 통로(201)를 통과하면서 제2 열교환 매체(250)에 의해 냉기로 열교환되어 배출 덕트(222)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덕트(222)를 차량의 실내로 연장하게 되면, 실내의 냉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냉방시에는 환경 문제를 야기하는 냉매의 일종인 염화불화탄소(CFC)를 전혀 사용않음과 아울러 냉동사이클을 이루기 위해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난방시에는 히터코어를 전혀 사용않아도 되며, 냉난방시에는 냉매의 일종인 염화불화탄소(CFC)와 압축기 및 히터코어를 전혀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서, 차량 실내의 냉난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열전달 매체는 공명관내에 설치된 스택의 적어도 어느 일단부에 열전달 매체의 일단부를 접촉되게 설치함과 아울러 열전달 매체의 타단부를 공명관의 통로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과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열전달 매체의 타단부를 공명관의 통로내에 일정 길이 연장하여 위치하도록 하기 때문에 통로를 통과하는 공기와의 열교환이 매우 잘되어 차량 실내 공조에 필요한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열전달 매체는 도면상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공명관의 통로내에서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되지 않고 통로를 통과하는 공기와의 열교환이 더욱 잘되도록 서로 엇갈리게 배열되도록 구성할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제2, 제3 실시예에서 상기 열전달 매체 사이에 열전달핀(400)이 개재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그 개재 방법으로는 열전달핀(400)과 열전달 매체를 브레이징 접합하여 개재한다.
상기와 같이 열전달핀(400)을 개재함으로써, 열전달 매체에서 발생되는 고온 또는 저온의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공기와의 열교환 효율을 더욱 향상시 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열음향 공조장치는, 공명관내에 설치된 스택의 적어도 어느 일단부에 열전달 매체의 일단부를 접촉되게 설치함과 아울러 열전달 매체의 타단부를 공명관의 통로내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공명관의 통로를 공조덕트로 연통되게 연결하여 차량에 적용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차량의 냉난방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적어도 냉방시에는 환경 문제를 야기하는 냉매의 일종인 염화불화탄소(CFC)를 전혀 사용않음과 아울러 냉동사이클을 이루기 위해 냉매를 순환시키는 압축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적어도 난방시에는 히터코어를 전혀 사용않아도 되며, 냉난방시에는 냉매의 일종인 염화불화탄소(CFC)와 압축기 및 히터코어를 전혀 사용하지 않아도 됨으로서, 차량 실내의 냉난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중앙에 전후측을 관통하는 통로(101)가 형성되도록 중공의 환상의 관로(102)를 가지고, 상기 관로(102)의 중심을 이은 원의 원주 길이가 음파의 파장의 정수배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로(102)내에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공명관(100)과;
    공기가 유입됨과 아울러 단부가 상기 공명관(100)의 전방측에 상기 통로(101)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입덕트(111)와, 단부가 상기 공명관(100)의 후방측에 상기 통로(101)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덕트(112)로 이루어진 공조덕트(110)와;
    상기 공명관(100)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1 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음파 발생기(121)와, 상기 제1 음파 발생기(121)로부터 상기관로(102)를 따라 음파의
    Figure 112012032554219-pat00007
    파장의 홀수배의 거리가 이격된 곳에 제2 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음파 발생기(122)를 가지는 음파 발생수단(120)과;
    복수개의 평판(131)이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층 배치되어 상기 공명관(100)의 관로(102)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택(130)과;
    제1, 제2 음파 발생기(121)(122)를 제어하는 음파 발생 제어수단(140)과;
    일단이 공명관(100)의 스택(130)의 단부중 고온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공명관(100)을 관통하여 상기 통로(101)내에 위치하는 열전달매체(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음향 공조장치.
  2. 중앙에 전후측을 관통하는 통로(201)가 형성되도록 중공의 환상의 관로(202)를 가지고, 상기 관로(202)의 중심을 이은 원의 원주 길이가 음파의 파장의 정수배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로(202)내에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공명관(200)과;
    공기가 유입됨과 아울러 단부가 상기 공명관(200)의 전방측에 상기 통로(201)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입덕트(211)와, 단부가 상기 공명관(200)의 후방측에 상기 통로(201)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어 공기를 배출시키는 배출덕트(212)로 이루어진 공조덕트(210)와;
    상기 공명관(200)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1 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음파 발생기(221)와, 상기 제1 음파 발생기(221)로부터 상기관로(202)를 따라 음파의
    Figure 112012032554219-pat00008
    파장의 홀수배의 거리가 이격된 곳에 제2 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음파 발생기(222)를 가지는 음파 발생수단(220)과;
    복수개의 평판(231)이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층 배치되어 상기 공명관(200)의 관로(202)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택(230)과;
    상기 제1 음파와 제2 음파와의 위상이
    Figure 112012032554219-pat00009
    주기의 홀수배가 되도록 발생시키기 위해 제1, 제2 음파 발생기(221)(222)를 제어하는 음파 발생 제어수단(240)과;
    일단이 공명관(200)의 스택(230)의 단부중 저온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공명관(200)을 관통하여 상기 통로(201)내에 위치하는 열전달 매체(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음향 공조장치.
  3. 중앙에 전후측을 관통하는 통로(101)(201)가 형성되도록 중공의 환상의 관로(102)(202)를 가지고, 상기 관로(102)(202)의 중심을 이은 원의 원주 길이가 음파의 파장의 정수배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로(102)(202)내에 작동 유체가 봉입되는 한쌍의 제1ㆍ제2 공명관(100)(200)과;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덕트(111)와, 상기 유입덕트(111)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ㆍ제2 공명관(100)(200)의 전방부측에 통로(101)(201)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소정 길이의 전방측 제1ㆍ제2 분기덕트(113)(114)와, 상기 제1ㆍ제2 공명관(100)(200)의 후방부측에 통로(101)(201)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는 소정 길이의 후방측 제1ㆍ제2 분기덕트(115)(116)와, 상기 후방측 제1ㆍ제2 분기덕트(115)(116)에 연장 형성되어 상기 후방측 제1ㆍ제2 분기덕트(115)(116)를 통과한 공기를 합류시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덕트(112)로 이루어진 공조덕트(110)와;
    상기 유입덕트(111)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전방측 제1,제2 분기덕트(113)(114)로 선택적으로 이송되도록 하거나 전방측 제1, 제2 분기덕트(113)(114)로 분기되어 이송되도록 하는 온도조절도어(300)와;
    상기 제1,제2 공명관(100)(200)의 외면에 배치되는 제1 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음파 발생기(121)(221)와, 상기 제1 음파 발생기(121)(221)로부터 상기관 로(102)(202)를 따라 음파의
    Figure 112005046601602-pat00010
    파장의 홀수배의 거리가 이격된 곳에 제2 음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음파 발생기(122)(222)를 가지는 음파 발생수단(120)(220)과;
    복수개의 평판(131)(231)이 원주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적층 배치되어 상기 제1, 제2 공명관(100)(200)의 관로(102)(202)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택(130)과;
    제1, 제2 음파 발생기(121,221),(122,222)를 제어하는 음파 발생 제어수단(140)(240)과;
    일단이 제1 공명관(100)의 스택(130)의 단부중 고온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1 공명관(100)을 관통하여 상기 통로(101)내에 위치하는 제1 열전달 매체(150)와;
    일단이 제2 공명관(200)의 스택(130)의 단부중 저온측에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공명관(200)을 관통하여 상기 통로(201)내에 위치하는 제2 열전달 매체(2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음향 공조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매체(150)(250)는 내부에 진공 상태의 공간부를 가지도록 밀폐되고, 상기 공간부내에 작동 유체가 내장되는 편평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음향 공조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매체 사이에는 열전달핀(400)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열음향 공조장치.
KR1020050077666A 2005-08-24 2005-08-24 차량용 열음향 공조장치 KR101150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666A KR101150933B1 (ko) 2005-08-24 2005-08-24 차량용 열음향 공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7666A KR101150933B1 (ko) 2005-08-24 2005-08-24 차량용 열음향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272A KR20070023272A (ko) 2007-02-28
KR101150933B1 true KR101150933B1 (ko) 2012-06-08

Family

ID=43654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7666A KR101150933B1 (ko) 2005-08-24 2005-08-24 차량용 열음향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09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4181B2 (en) 2012-09-19 2017-05-30 Etalim Inc. Thermoacoustic transducer apparatus including a transmission duct
CN104296416B (zh) * 2013-10-29 2016-07-27 程爱兰 回热电卡制冷装置
CN111332091A (zh) * 2020-03-07 2020-06-26 宣常松 一种自发电且防脱落的汽车空调管固定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2664A (ja) 2002-04-10 2005-07-28 ザ ペン ステイト リサーチ ファンデーション 熱音響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2664A (ja) 2002-04-10 2005-07-28 ザ ペン ステイト リサーチ ファンデーション 熱音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3272A (ko) 200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27051B2 (ja) インタークーラ及びco2冷媒車両用空調装置
JP2005308384A (ja) エジェクタサイクル
JP2004322914A (ja) 複合サイクル用熱交換器
JP2004184074A (ja) 蛇行管交叉流れ型熱交換器の構造
JP2011085025A (ja) 廃熱回生システム
KR101150933B1 (ko) 차량용 열음향 공조장치
JP4718716B2 (ja) ガスクーラ及び車載用空調装置
JP2007139288A (ja) 熱交換器および空気調和機
WO2018016318A1 (ja) 冷却装置、車両およびガスヒートポンプ空調機
JP2006097911A (ja) 熱交換器
JP5540816B2 (ja) 蒸発器ユニット
JP2024536336A (ja) 温度制御される空間を温度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08281338A (ja) エジェクタサイクル
JP4029748B2 (ja) スターリング冷凍機の冷熱移送装置
JP2002130963A (ja) インタークーラ及びco2冷媒車両用空調装置
JPH09126592A (ja) ヒートポンプ式冷凍サイクル用室外熱交換器
JP2004278948A (ja) カーエアコン用熱交換器
JP2013044239A (ja) 車両用排熱回収装置
KR100274262B1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JP3108050B2 (ja) 蓄冷式ク−ラ−
KR100331744B1 (ko) 자동차의좌석냉난방장치
KR20040002021A (ko) 열음향 효과를 이용한 자동차용 에어컨 시스템
JPH10281572A (ja) 2次冷媒式冷凍機
JP2000274875A (ja) 複合式冷房システム及び複合式冷房方法
JP2017020680A (ja) 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