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9876B1 -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 - Google Patents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9876B1
KR101149876B1 KR1020100037273A KR20100037273A KR101149876B1 KR 101149876 B1 KR101149876 B1 KR 101149876B1 KR 1020100037273 A KR1020100037273 A KR 1020100037273A KR 20100037273 A KR20100037273 A KR 20100037273A KR 101149876 B1 KR101149876 B1 KR 101149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assembly
rice
lower cov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7824A (ko
Inventor
장진형
Original Assignee
장진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진형 filed Critical 장진형
Priority to KR1020100037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9876B1/ko
Publication of KR20110117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7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9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9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견고하게 조립되고 분리가 방지되며 유동이 최소화되도록, 논둑의 상부 및 측면을 감싸고 논둑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논둑에 고정 지지되는 하부덮개와, 논둑의 상부 및 측면을 감싸고 논둑을 따라 연이어 설치되며 하부덮개의 상부에 양쪽 끝부분이 위치하는 상부덮개를 포함하고, 상부덮개의 양쪽 끝부분에는 한쌍의 조립돌기를 더 형성하고, 하부덮개의 양쪽 끝부분에는 조립돌기가 조립되는 한쌍의 조립구멍을 더 형성하는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 {Prefabricated Cover for Formation of Levee}
본 발명은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신규로 논둑을 만들거나 기존에 만들어진 논둑의 보수나 보강 등을 행할 때 간편하게 설치가능하고 견고하게 조립되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도록 구성한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논둑은 흙을 쌓아올려 형성하며, 이웃하는 양쪽 논의 경계를 이루면서 사람이나 가축, 경운기나 트랙터 등의 기계가 이동하는 통로(길)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논둑의 경우 과거에는 주로 흙으로만 형성하거나 흙으로 형성한 후 비닐 등을 덮어씌우므로, 폭우가 내리거나 홍수가 발생하는 경우 쉽게 물에 휩쓸려 소실될 우려가 많고, 얼음이 녹는 해빙기에도 쉽게 무너져 내리는 경우가 많으며, 경운기나 트랙터가 지나가거나 바퀴가 접촉하는 경우 논둑이 부분적으로 망가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수시로 논둑을 보수하는 작업을 행하여야 하므로, 논둑을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며, 일꾼이 부족한 현실에서는 더욱 어려움을 증폭시키게 된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합성수지나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논둑을 덮을 수 있도록 제조된 논둑 덮개가 많이 제안되고 있다.
일예로 종래 논둑 덮개는 여러개의 단위덮개를 논둑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이어 설치하게 되며 서로 이웃하는 단위블록을 조립식으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조립식 논둑 덮개는 조립구조가 견고하지 못하므로 쉽게 분리되거나 상하 또는 좌우 등으로 유동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으므로, 보다 견고한 조립구조를 갖춘 논둑 덮개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논둑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하부덮개 및 이러한 하부덮개를 매개로 연결 설치되는 상부덮개가 견고한 구조로 조립되므로 쉽게 분리되지 않고 좌우 및 상하 유동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한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는 논둑의 상부 및 측면을 감싸고 논둑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논둑에 고정 지지되는 하부덮개와, 상기 논둑의 상부 및 측면을 감싸고 논둑을 따라 연이어 설치되며 상기 하부덮개의 상부에 양쪽 끝부분이 위치하는 상부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상부덮개의 양쪽 끝부분에는 한쌍의 조립돌기가 더 형성되고, 하부덮개의 양쪽 끝부분에는 상기 조립돌기가 조립되는 한쌍의 조립구멍이 더 형성된다.
상기 조립돌기는 상기 논둑의 상부를 감싸는 부분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돌기부와 상기 연장돌기부의 끝부분에서 양쪽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한쌍의 걸림돌기부가 대략 "T(티자)"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립구멍은 한쪽 부분으로 상기 조립돌기의 걸림돌기부가 상하방향으로 통과 가능하고 나머지 부분으로는 걸림돌기부의 통과가 방지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조립구멍은 상기 조립돌기의 걸림돌기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중앙에서 직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조립돌기의 연장돌기부가 내부에 조립된 상태에서 걸림돌기부가 하부쪽에 걸려서 상향 이동이 방지되게 형성하여 설치되는 수직부가 대략 "T(티자)"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하부덮개를 관통하고 상기 논둑에 박아서 하부덮개를 고정시키는 말뚝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말뚝은 납작하게 형성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 저면에서 막대형상으로 연장하여 형성되고 끝부분이 뾰족한 핀부로 구성하고, 하부덮개에는 상기 머리부가 삽입되도록 함몰된 홈부와 상기 홈부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핀부가 통과하는 관통구멍이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에 의하면, 하부덮개의 조립구멍과 상부덮개의 조립돌기를 이용하여 간편하고 견고하게 조립이 가능하므로 설치가 간편하고 용이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에 의하면, 조립돌기가 조립구멍에 조립됨에 따라 쉽게 분리되지 않고 상하 및 좌우 유동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조립구조가 견고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에 의하면, 말뚝을 이용하여 하부덮개를 고정하므로 논둑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립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정착돌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정착돌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조립구멍 및 조립돌기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조립구멍 및 조립돌기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립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의 제1실시예는 도 1~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논둑(2)의 상부 및 측면을 감싸고 논둑(2)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논둑(2)에 고정 지지되는 하부덮개(10)와, 상기 하부덮개(10)의 양쪽 끝부분에 각각 형성되는 한쌍의 조립구멍(20)과, 상기 논둑(10)의 상부 및 측면을 감싸고 논둑(2)을 따라 연이어 설치되며 상기 하부덮개(10) 위에 양쪽 끝부분이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상부덮개(30)와, 상기 상부덮개(30)의 양쪽 끝부분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조립구멍(20)에 조립되는 한쌍의 조립돌기(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덮개(10) 및 상부덮개(30)는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덮개(10) 및 상부덮개(30)의 내부에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강도를 높이기 위해 철근이나 철망을 매설하는 것도 가능하고, 일정 강도를 유지하면서 무게를 감소시키기 위해 합성수지망을 매설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부덮개(10) 및 상부덮개(30)는 대략 "ㄷ(디귿자)"형상의 단면을 갖는 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덮개(10)는 예를 들면, 상기 논둑(2)의 상부를 감싸고 지면에 평행하게 형성하여 설치되는 하부상판부(11)와, 상기 하부상판부(11)의 양측 모서리에서 일정 각도로 굽어져 형성되고 논둑(2)의 측면을 감싸는 하부측판부(12), (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측판부(12), (13)는 상기 하부상판부(11)의 일측 모서리에서 대략 직각으로 굽어져 형성되고 논둑(2)의 한쪽 측면을 감싸는 제1하부측판부(12)와, 상가 하부상판부(11)의 제1하부측판부(12) 반대쪽 모서리에서 경사지게 굽어져 형성되고 논둑(2)의 다른 한쪽 측면을 감싸는 제2하부측판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하부측판부(12)와 제2하부측판부(13)는 모두 직각으로 굽어져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모두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하부덮개(10)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제1하부측판부(12) 또는 제2하부측판부(13)가 없는 형상, 즉 대략 "ㄴ(니은자)"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하부덮개(10)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부상판부(11) 내면과 제1하부측판부(13) 내면 및 하부상판부(11) 내면과 제2하부측판부(13) 내면을 각각 연결하는 정착돌기(1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정착돌기(14)는 상기 하부덮개(10)의 강도 보강이 가능하고, 논둑(2)에 박혀서 하부덮개(10)의 정착성을 향상시켜 주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덮개(30)는 예를 들면, 상기 하부상판부(11)와 하부상판부(11) 사이 구간에 위치한 논둑(2)의 상부를 감싸고 지면에 평행하게 형성하여 설치되는 상부상판부(31)와, 상기 상부상판부(31)의 양즉 모서리에서 일정 각도로 굽어져 형성되고 상기 논둑(2)의 측면을 감싸는 상부측판부(32), (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덮개(30)에도 상기 정착돌기(14)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상판부(31)에는 콩이나 팥, 옥수수, 꽃 등의 식물을 심을 수 있도록 식재구멍(38)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부측판부(32), (33)는 상기 상부상판부(31)의 일측 모서리에서 대략 직각으로 굽어져 형성되고 논둑(2)의 한쪽 측면을 감싸는 제1상부측판부(32)와, 상가 상부상판부(31)의 제1상부측판부(32) 반대쪽 모서리에서 경사지게 굽어져 형성되고 논둑(2)의 다른 한쪽 측면을 감싸는 제2상부측판부(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상부측판부(32)와 제2상부측판부(33)는 모두 직각으로 굽어져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모두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상부덮개(30)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제1상부측판부(32) 또는 제2상부측판부(33)가 없는 형상, 즉 대략 "ㄴ"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상부덮개(30)는 상기 하부덮개(10)보다 대략 2~30배 정도 더 길게 형성되고 이웃하여 위치하는 상부덮개(30)와 하나의 하부덮개(10) 상부를 절반씩 감싸 덮는다.
상기 조립돌기(40)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T(티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조립돌기(40)는 상기 논둑(2)의 상부를 감싸는 부분인 상부상판부(22)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돌기부(41)와, 상기 연장돌기부(41)의 끝부분에서 양쪽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한쌍의 걸림돌기부(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조립구멍(20)은 한쪽 부분으로 상기 조립돌기(40)의 걸림돌기부(42)가 상하방향으로 통과 가능하게 형성하고 나머지 부분은 걸림돌기부(42)의 통과가 불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조립구멍(20)은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부덮개(10)의 하부상판부(11)를 대략 "T(티자)"형상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조립구멍(20)은 상기 조립돌기(40)의 걸림돌기부(42)와 대응하는 형성으로 형성되는 수평부(22)와, 상기 수평부(22)의 중앙에서 직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조립돌기(40)의 연장돌기부(41)가 내부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조립돌기(40)의 걸림돌기부(42)가 하부쪽에 걸려서 상향 이동이 방지되게 형성하여 설치되는 수직부(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에 있어서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상기 조립구멍(20)을 상기 상부덮개(30)에 형성하고, 상기 조립돌기(40)를 상기 하부덮개(10)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의 제2실시예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립구멍(23)이 상기 하부덮개(10)의 한쪽 끝부분 위치하는 "T(티자)"형상의 제1조립구멍(24)과, 상기 하부덮개(10)의 다른쪽 끝부분에 위치하고 대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조립구멍(2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제1조립구멍(24)은 상기 조립돌기(40)의 걸림돌기부(42)와 대응하는 형성으로 형성되는 수평부(25)와, 상기 수평부(25)의 중앙에서 직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조립돌기(40)의 연장돌기부(41)가 내부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조립돌기(40)의 걸림돌기부(42)가 하부쪽에 걸려서 상향 이동이 방지되게 형성하여 설치되는 수직부(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제2조립구멍(27)은 상기 하부덮개(10)의 끝부분 모서리에서 안쪽으로 연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조립돌기(40)의 연장돌기부(41)가 내부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조립돌기(40)의 걸림돌기부(42)가 하부쪽에 걸려서 상향 이동이 방지되게 형성하여 설치된다.
상기한 제2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의 제3실시예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립구멍(28)이 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삼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조립구멍(20)을 형성하면, 넓은 부분으로 조립돌기(40)의 걸림돌기부(42)가 통과하여 조립구멍(20)의 넓은 부분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좁은 부분으로 이동함에 따라 좁은 부분에서 걸림돌기부(42)의 상향 이동이 방지된다.
상기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의 제4실시예는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하부덮개(10)를 관통하여 논둑(2)에 박아서 상기 하부덮개(10)를 고정하는 말뚝(5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말뚝(50)은 납작한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머리부(51)와 상기 머리부(51) 저면에서 길게 원기둥막대형상으로 연장하여 형성되고 끝부분이 뾰족하게 형성되는 핀부(52)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덮개(10)에는 상기 머리부(51)가 삽입되도록 함몰된 홈부(16)와 상기 홈부(16)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말뚝(50)의 핀부(52)가 통과하는 관통구멍(17)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홈부(16)는 상기 말뚝(50)의 머리부(51)와 대응하는 형성으로 형성된다.
상기한 제4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 중 어느 하나의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의 설치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하부덮개(10)를 논둑(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한다.
상기 하부덮개(10)에는 경우에 따라 상기 말뚝(50)을 박아서 고정한다.
즉 상기 말뚝(50)의 핀부(52)가 상기 하부덮개(10)의 관통구멍(17)을 관통하여 논둑(2) 속에 박히도록 망치 등으로 말뚝(50)의 머리부(51)를 타격하여 머리부(51)가 홈부(16)에 위치하도록 박는다.
상기 하부덮개(10)가 논둑(2)에 정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덮개(30)의 양쪽 끝부분이 하부덮개(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부덮개(30)를 설치하며, 이 때 서로 이웃하는 한쌍의 상부덮개(30)는 하나의 하부덮개(10)를 대략 절반씩 감싸 덮도록 설치한다.
상기 상부덮개(30)를 설치할 때는 상기 조립돌기(40)와 조립구멍(30)을 조립한다.
즉 상기 조립돌기(40)의 연장걸림부(42)를 조립구멍(30)의 수평부(32)에 통과시킨 후 하부덮개(10)를 수직부(31) 끝부분으로 이동시켜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내에 속한다.
2:논둑 10:하부덮개
20:조립구멍 21:수직부
22:수평부 30:상부덮개
40:조립돌기 41:연장돌기부
42:걸림돌기부 50:말뚝
51:머리부 52:핀부

Claims (7)

  1. 논둑의 상부 및 측면을 감싸고 논둑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논둑에 고정 지지되는 하부덮개와, 상기 논둑의 상부 및 측면을 감싸고 논둑을 따라 연이어 설치되며 상기 하부덮개의 상부에 양쪽 끝부분이 위치하는 상부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덮개의 양쪽 끝부분에는 한쌍의 조립돌기를 더 형성하고,
    상기 하부덮개의 양쪽 끝부분에는 상기 조립돌기가 조립되는 한쌍의 조립구멍을 더 형성하고,
    상기 조립돌기는 상기 논둑의 상부를 감싸는 부분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연장돌기부와 상기 연장돌기부의 끝부분에서 양쪽으로 연장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한쌍의 걸림돌기부가 "T(티자)"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하고,
    상기 조립구멍은 한쪽 부분으로 상기 조립돌기의 걸림돌기부가 상하방향으로 통과 가능하고 나머지 부분으로 걸림돌기부의 통과가 방지되도록 형성하는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덮개를 관통하고 상기 논둑에 박아서 하부덮개를 고정시키는 말뚝을 더 포함하는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말뚝은 납작하게 형성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저면에서 막대형상으로 연장하여 형성되고 끝부분이 뾰족한 핀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덮개에는 상기 머리부가 삽입되도록 함몰된 홈부와 상기 홈부의 바닥면으로부터 하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핀부가 통과하는 관통구멍을 각각 더 형성하는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구멍은 상기 조립돌기의 걸림돌기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중앙에서 직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조립돌기의 연장돌기부가 내부에 조립된 상태에서 걸림돌기부가 하부쪽에 걸려서 상향 이동이 방지되게 형성하여 설치되는 수직부가 "T(티자)"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립구멍은 상기 하부덮개의 한쪽 끝부분에 위치하는 제1조립구멍과, 상기 하부덮개의 다른쪽 끝부분에 위치하는 제2조립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1조립구멍은 상기 조립돌기의 걸림돌기부가 상하로 통과가능하게 형성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중앙에서 직각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조립돌기의 연장돌기부가 내부에 조립된 상태에서 걸림돌기부가 하부쪽에 걸려서 상향 이동이 방지되게 형성하여 설치되는 수직부가 "T(티자)"형상을 이루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2조립구멍은 상기 하부덮개의 끝부분 모서리에서 안쪽으로 연장하여 형성되고 상기 조립돌기의 연장돌기부가 내부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조립돌기의 걸림돌기부가 하부쪽에 걸려서 상향 이동이 방지되게 형성하여 설치되는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덮개 및 상부덮개는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덮개는 상기 논둑의 상부를 감싸고 상기 조립구멍이 양쪽 끝부분에 형성되는 하부상판부와, 상기 하부상판부의 일측 또는 양측 모서리에서 직각 또는 경사지게 굽어져 형성되고 논둑의 측면을 감싸는 하부측판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덮개는 상기 논둑의 상부를 감싸 상기 조립돌기의 연결돌기부가 직각으로 하향 연장되는 상부상판부와, 상기 상부상판부의 한쪽 또는 양쪽 모서에서 직각 또는 경사지게 굽어져 연장 형성되고 논둑의 측면을 감싸는 상부측판부를 포함하는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구멍은 상기 상부덮개에 형성하고,
    상기 조립돌기는 상기 하부덮개에 형성하는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
KR1020100037273A 2010-04-22 2010-04-22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 KR101149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273A KR101149876B1 (ko) 2010-04-22 2010-04-22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273A KR101149876B1 (ko) 2010-04-22 2010-04-22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824A KR20110117824A (ko) 2011-10-28
KR101149876B1 true KR101149876B1 (ko) 2012-05-24

Family

ID=45031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273A KR101149876B1 (ko) 2010-04-22 2010-04-22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98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8305A (zh) * 2014-06-20 2014-10-08 国家电网公司 一种地下预制沟道的法兰式防水连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882Y1 (ko) 1999-07-28 2000-02-15 이찬재 논두렁덮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3882Y1 (ko) 1999-07-28 2000-02-15 이찬재 논두렁덮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8305A (zh) * 2014-06-20 2014-10-08 国家电网公司 一种地下预制沟道的法兰式防水连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824A (ko) 201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658B1 (ko) 조립식 배수로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884877B1 (ko) 잔디보호용 매트
KR20110115049A (ko) 철망 지지 프레임 및 그를 이용한 철망 울타리
KR101149876B1 (ko) 논둑 조성용 조립식 덮개
CN108396752A (zh) 一种装配式边坡防护柔性网及其施工方法
JP4597594B2 (ja) 緑化屋根
KR200439588Y1 (ko) 하천 녹화용 조립식 블록
US10428551B1 (en) Fence trim guard
KR200476500Y1 (ko) 식생가능한 친환경 여울구조물
JP2007104940A (ja) 獣類の侵入防止方法及び緑化構造物
KR200463754Y1 (ko) 동식물 및 조류서식용 보강블록
KR101366837B1 (ko) 식생블럭 및 이를 이용한 옹벽구조물
JP2010255229A (ja) 斜面保護方法及び斜面保護構造体
KR20090111624A (ko) 철망 울타리 설치용 지지대
KR100703676B1 (ko) 계단식 사면 녹화 구조물
KR101926631B1 (ko) 철책용 식물 오름 방지 구조물
CN110485371A (zh) 一种柔性锚固框架及其生态护岸结构
JP5384390B2 (ja) 獣害防止フェンス
KR100545940B1 (ko) 도로 비탈면 블록 설치구조
JP5679570B2 (ja) 簡易法枠形成方法
KR100994578B1 (ko) 사방댐
JP7359389B2 (ja) 動物侵入防止シート
KR101824674B1 (ko) 하천 및 여울 사면의 세굴을 방지하는 미늘형 앵커판넬 및 u자형 샤클을 이용한 친환경 스톤네트
JP3151694U (ja) 犬走り構築ユニット
KR101258392B1 (ko) 가드레일에 설치되는 로드킬 방지용 펜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