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8363B1 - 터치패널 - Google Patents

터치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8363B1
KR101148363B1 KR1020100016461A KR20100016461A KR101148363B1 KR 101148363 B1 KR101148363 B1 KR 101148363B1 KR 1020100016461 A KR1020100016461 A KR 1020100016461A KR 20100016461 A KR20100016461 A KR 20100016461A KR 101148363 B1 KR101148363 B1 KR 101148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line
resistive film
transparent substrate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0616A (ko
Inventor
마코토 이와사키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100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8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8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제 1 기판(11)과,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 2 기판(12)과,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의 간극에 봉입된 절연성 액체(33)와, 상기 절연성 액체가 봉입된 영역에서의 상기 제 1 기판 위에, 미리 정한 높이로 돌출하고또한 미리 정한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라인형상 접점(15)과, 적어도 상기 라인형상 접점의 배치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 2 기판 위에 형성된 저항막(14)을 구비한 터치패널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터치패널{TOUCH PANEL}
이 발명은 저항막형의 터치패널에 관한 것이다.
저항막형의 터치패널은 제 1 저항막이 형성된 제 1 기판과 제 2 저항막이 형성된 제 2 기판이, 상기 제 1 저항막과 제 2 저항막이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저항막형의 터치패널에서는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쪽의 기판이 압압(押壓)에 의해 터치된 위치를 중심으로 휨 변형하고,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의 제 1 저항막과 제 2 저항막이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저항막과 제 2 저항막이 접촉한 위치를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위치로서 검출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저항막형의 터치패널에 있어서는,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의 사이에 복수의 스페이서를 설치함으로써, 터치입력이 실행되지 않을 때에 제 1 저항막과 제 2 저항막이 접촉하는 일이 없도록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의 사이에 간극을 설치하고 있다(일본국 특개소61-45519호 공보)..
그러나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이 불필요하게 접촉하지 않도록 제 1 기판과 제 2 기판의 간극을 두껍게 설정하면, 제 1 저항막과 제 2 저항막을 접촉시킬 때에 기판의 휨 변형이 커지도록 기판을 터치할 필요가 있다.
이로 인해, 액정표시패널 등의 표시패널의 화상표시면 위에 상기 종래의 저항막형 터치패널을 배치한 터치패널 부착 표시장치에서는, 표시패널로부터의 출사광은 저항막형 터치패널의 휨 변형한 부분에 있어서 크게 굴절하고, 그 부분의 화상이 일그러져 보여 버린다.
그래서, 이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었을 때에, 이 터치된 부분을 통과하는 광의 광로변화를 작게 할 수 있는 저항막형의 터치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터치패널은,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의 간극에 봉입된 절연성 액체와, 상기 절연성 액체가 봉입된 영역에서의 상기 제 1 기판 위에, 미리 정한 높이로 돌출하고 또한 미리 정한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라인형상 접점과, 적어도 상기 라인형상 접점의 배치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 2 기판 위에 형성된 저항막과, 상기 라인형상 접점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하도록 상기 제 1 기판 위에 형성된 스페이서와, 상기 라인형상 접점에 대응하는 영역이 노출하고 또한 상기 스페이서의 선단이 맞닿도록 상기 저항막 위에 절연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스페이서 받이부를 구비하고,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 받이부는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 발명의 터치패널의 다른 형태의 하나는,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의 간극에 봉입된 절연성의 액체와,
상기 절연성의 액체가 봉입된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기판 위에, 미리 정한 높이로 돌출하도록 또한 미리 정한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라인형상 접점과,
상기 제 2 기판 위에, 미리 정한 높이로 돌출하도록 또한 연장 방향이 상기 라인형상 접점의 연장 방향에 교차하도록 형성된 라인형상 접점받이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었을 때에, 이 터치된 부분을 통과하는 광의 광로변화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1은 터치패널 부착 표시장치의 측면도.
도 2는 제 1 실시예의 터치패널의 평면도.
도 3은 제 1 실시예의 터치패널에 있어서의 제 3 투명기판 측의 평면 구성도.
도 4는 제 1 실시예의 터치패널에 있어서의 제 4 투명기판 측의 평면 구성도.
도 5는 제 1 실시예의 터치패널의 복수의 라인형상접점과 복수의 스페이서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제 1 실시예의 터치패널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Ⅶ-Ⅶ선을 따르는 확대 단면도.
도 8은 도 7의 Ⅷ-Ⅷ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9는 도 6에 대응하는 부분의 터치입력시의 단면도.
도 10은 도 7에 대응하는 부분의 터치입력시의 단면도.
도 11은 터치패널구동회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제 2 실시예의 터치패널의 일부분의 단면도.
도 13은 제 3 실시예의 터치패널의 일부분의 단면도.
도 14는 제 4 실시예의 터치패널의 일부분의 단면도.
도 15는 제 5 실시예의 터치패널에 있어서의 제 4 투명기판 측의 평면 구성도.
도 16은 제 5 실시예의 터치패널에 있어서의, 복수의 라인형상접점과 복수의 라인형상접점받이와 복수의 스페이서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제 5 실시예의 터치패널의 일부분의 확대 단면도.
도 18은 도 17의 XⅧ-XⅧ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1에 터치패널 부착 표시장치를 나타낸다. 이 표시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1)과, 이 표시패널(1)의 화상표시면 위에 배치된 저항막형의 터치패널 (1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표시패널(1)은, 예를 들면 백 라이트로부터 조사된 광의 투과 광량을 표시화소마다 제어해서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이다. 액정표시패널은 제 1 투명기판(2)과 제 2 투명기판(3)이 미리 정한 간극을 설치해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1 투명기판(2)과 제 2 투명기판(3)은, 둘레가장자리부에 있어서 프레임형상의 밀봉재(4)를 통하여 접합되어 있다. 그리고 밀봉재(4)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액정이 봉입됨으로써, 제 1 투명기판(2)과 제 2 투명기판(3) 사이의 간극에 액정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투명기판(2) 또는 제 2 투명기판(3)에는 표시화소마다 액정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투명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 액정표시패널은 제 1 투명기판(2)과 제 2 투명기판(3)을 끼우도록 배치된 제 1 편광판 (5)과 제 2 편광판(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액정표시패널에 있어서 액정층은 네마틱 액정이 TN배향, STN배향, 비트위스트의 호모지니어스배향, 수직배향, 또는, 벤드배향하는 것의 어느 하나라도 좋으며, 또, 강유전성 또는 반강유전성의 액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도 좋다.
또, 액정표시패널에 있어서의 투과광량은 액정층에 대해서 종전계가 발생하도록 전극을 형성하고, 이 종전계에 의해서 액정분자의 배향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으며, 액정층에 대해서 횡전계가 발생하도록 전극을 형성하고, 이 횡전계에 의해서 액정분자의 배향방향을 변화시킴으로써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상기 표시패널(1)은 액정표시패널에 한정하지 않고, 유기EL(일렉트로루미네선스)표시패널 등의 발광형 표시패널이라도 좋다.
상기 터치패널(10)은 상기 액정표시패널(1)에 대해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때, 터치패널(10)은 상기 액정표시패널(1)의 제 1 편광판(5)에 대해서, 투명한 점착재 또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접착층(7)에 의해 첩부(貼付)되어 있다.
( 실시예 1)
이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터치패널(10)은 도 2~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투명기판(11)과 제 4 투명기판(12)이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제 3 투명기판(11)이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는 쪽의 기판이 되도록, 제 4 투명기판(12)이 액정표시패널(1)에 첩부되어 있다.
제 3 투명기판(11)에 있어서의 제 4 투명기판(12)과의 대향면에는 각각이 소정의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라인형상으로 배치되고 또한 제 4 투명기판(12)을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라인형상볼록부(16)와, 복수의 라인형상볼록부(16)에 의해 발생한 단차가 제 1 저항막(13)의 표면에 유지되도록 또한 상기 복수의 라인형상볼록부(16)를 덮도록 형성된 1장막 형상의 제 1 저항막(1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 4 투명기판(12)에 있어서의 제 3 투명기판(11)과의 대향면에는 제 2 저항막(14)의 표면이 평탄하게 되도록 형성된 1장막 형상의 제 2 저항막(14)과, 각각이 라인형상볼록부(16)와 겹치는 위치를 피하도록 또한 제 3 투명기판(11)을 향해 돌출하도록 제 2 저항막(14) 위에 형성된 복수의 스페이서(17)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스페이서(17)는 각각 도트형상의 돌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스페이서(17)는 사용자에 의해 제 3 투명기판이 터치되어 있지 않을 때에 제 3 투명기판(11)과 제 4 투명기판 사이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며, 사용자에 의해 제 3 투명기판이 터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도 스페이서(17)의 선단이 제 3 투명기판(12)의 표면(제 1 저항막(13))에 접촉하는 높이로 절연성의 투명재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 라인형상볼록부(16)와 라인형상볼록부(16)에 겹쳐지는 영역에 있어서의 제 1 저항막(13)에 의해 라인형상접점(15)을 구성하고 있다. 이 라인형상접점(15)은 사용자에 의해 제 3 투명기판이 터치되었을 때에 제 3 투명기판(11)이 휨 변형함으로써, 제 2 저항막(14)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라인형상볼록부(16)는 사용자에 의해 제 3 투명기판이 터치되어 있지 않을 때에 라인형상접점 (15)이 제 2 저항막(14)에 대해서 비접촉이 되도록 복수의 스페이서(17)보다도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제 3 투명기판(11)은 평면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 0.2~0.3㎜ 두께의 수지필름 또는 유리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 제 4 투명기판(12)은 제 3 투명기판(11)보다도 넓은 면적을 가진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4 투명기판(12)의 일부의 영역이 장출부(張出部, 12a)로서 제 3 투명기판(11)의 한 변으로부터 장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4 투명기판(12)은 제 3 투명기판(11)의 두께보다도 두껍게 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0.5~1.1㎜ 두께의 유리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제 4 투명기판(12)에 소다유리판 등을 이용할 경우는, 제 4 투명기판 (12)에 대한 제 2 저항막(14)의 밀착성과 터치패널 내부의 오염방지를 목적으로 하여, 제 4 투명기판(12)에 있어서의 제 3 투명기판(11)과의 대향면 전체에 투명한 SiO2(이산화규소)막을 형성하고, 그 위에 상기 제 2 저항막(14)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 3 투명기판(11)에 소다유리판 등을 이용할 경우는, 제 3 투명기판(11)에 있어서의 제 4 투명기판(12)과의 대향면 전체에 투명한 SiO2막을 형성하고, 그 위에 상기 제 1 저항막(13)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터치패널(10)은 제 3 투명기판(11)과 제 4 투명기판(12)이 서로 겹쳐 있는 영역 중, 그 둘레가장자리부를 제외하는 직사각형 형상 영역을, 터치입력을 실행하기 위한 터치영역(34)으로 한 것이다.
제 3 투명기판(11)과 제 4 투명기판(12)은, 제 3 투명기판(11)과 제 4 투명기판(12)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둘레가장자리부에 상기 터치영역(34)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프레임형상의 밀봉재(29)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또한, 상세는 후술하는데, 프레임형상의 밀봉재(29)로 둘러싸인 영역에는 상온(25℃)에서 액체인 절연성 재료가 봉입되어 있다.
상기 제 1 저항막(13)과 제 2 저항막(14)은 각각, 상기 터치영역(34)보다도 큰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라인형상접점(15)은 상기 터치영역(34)에 대응하는 영역에, 예를 들면 상기 터치영역(34)의 장변(長邊)방향을 따르게 하여, 상기 터치영역(34)의 장변방향의 폭과 대략 같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라인형상접점(15)은 서로 인접하는 라인형상접점(15)이 평행이 되도록 복수 배치되어 있다. 즉, 복수의 라인형상볼록부(16)의 각각이, 서로 평행이 되도록 상기 터치영역(34)의 장변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복수의 라인형상볼록부 (16)는 투명재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라인형상볼록부(16)는 감광성 수지를 패터닝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3 투명기판(11) 위에 스핀코트에 의해 감광성 수지를 미리 정한 두께로 도포한다. 그리고 이 도포된 감광성 수지에 대해서, 차광영역이 복수의 라인형상볼록부(16)에 대응한 패턴으로 배치된 노광마스크를 이용하여 노광 처리한다. 그리고 이 노광 처리된 감광성 수지에 대해서 현상 처리함으로써, 균일한 높이의 복수의 라인형상볼록부(16)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감광성 수지는 노광 처리 후의 현상 처리에 있어서, 막의 표면측부터 차례로 현상되어 가기 때문에, 패턴의 에지(edge)부에서는 막 표면에 가까운 측일수록 장시간 현상액에 노출된다. 따라서, 복수의 라인형상볼록부(16)의 각각은, 라인형상볼록부(16)의 연장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형상(폭 방향의 단면형상)이 기부(基部)에서 정부(頂部)를 향해 폭이 작아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기부의 폭이 15~30㎛, 높이가 5~8㎛, 단면의 경사각이 40°~50°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제 1 저항막(13)과 제 2 저항막(14)은 각각, 플라스마CVD장치에 의해 0.05~0.20㎛의 막 두께로 성막된 ITO막 등의 투명도전막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라인형상접점(15)은 라인형상볼록부(16)와 라인형상볼록부 (16)에 겹쳐지는 영역에 있어서의 제 1 저항막(1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라인형상볼록부(16)의 경사각이 40°~50°가 되도록 라인형상볼록부(16)를 형성함으로써, 라인형상볼록부(16)에 대한 제 1 저항막(13)의 커버리지를 양호하게 하면서도, 라인형상접점(15)의 형상을 적도(適度)한 돌출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라인형상볼록부(16)의 경사각이 40°~50°인 경우에는 제 1 저항막(13)을 성막할 때에, 균일한 두께의 제 1 저항막(13)으로 라인형상볼록부 (16)를 덮도록 1장막 형상으로 형성하면서도, 또한, 라인형상접점(15)의 형상을 적도한 돌출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스페이서(17)는 터치영역(34)에 대응하는 영역에 있어서의 제 2 저항막(14) 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복수의 스페이서(17)는 라인형상접점(15) 또는 라인형상볼록부(16)와 겹치는 영역을 피하도록 하고, 투명한 절연재에 의해서 라인형상접점(15)의 높이보다도 미리 정한 높이만큼 높게 기둥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스페이서(17)는 평면형상이 원형인 기둥형상스페이서로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스페이서(17)는 복수의 라인형상볼록부(16)와 똑같이, 감광성 수지를 패터닝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2 저항막(14)이 성막된 제 3 투명기판(11) 위에 투명한 아크릴계의 감광성 수지를 스핀코트에 의해 미리 정한 두께로 도포한다. 이때의 감광성 수지의 도포 두께는 복수의 라인형상볼록부(16)를 형성할 때의 감광성 수지의 도포 두께보다도 두껍게 설정한다. 그리고 이 도포된 감광성 수지에 대해서, 차광영역이 복수의 스페이서(17)에 대응한 패턴으로 배치된 노광마스크를 이용하여 노광 처리한다. 그리고 이 노광 처리된 감광성 수지에 대해서 현상 처리함으로써, 균일한 높이의 복수의 스페이서(17)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스페이서(17)를 형성하기 위해 이용하는 감광성 수지에 있어서도 노광 처리 후의 현상 처리에 있어서, 막의 표면측부터 차례로 현상되어 가기 때문에 패턴의 에지부에서는 막 표면에 가까운 측일수록 장시간 현상액에 노출된다. 따라서, 복수의 스페이서(17)의 각각은, 단면형상이 기부에서 정부를 향해 폭이 작아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기부의 지름이 15~30㎛, 높이가 7~10㎛, 단면의 경사각이 40°~50°의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상기 각 라인형상접점(15) 및 각 기둥형상스페이서(17)는 상기 터치영역(34)에 대응하는 영역, 즉 상기 프레임형상의 밀봉재(29)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라인형상접점(15)이 연장하는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에 인접한 2개의 스페이서(17, 17) 사이에 1개 이상의 라인형상접점(15)이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기둥형상스페이서(17)는 미리 정한 방형(方形) 영역의 4개의 코너부의 각각에 1개씩 배치되어 있다. 상기 라인형상접점(15)은 적어도 상기 방형 영역 내에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라인형상접점(15)은 미리 정한 수의 라인형상접점(15)마다 1개의 라인형상접점(15)을 생략한 무접점 영역을 확보한 패턴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17)는 상기 라인형상접점(15)을 생략한 복수의 무접점 영역에 각각 대응시켜서, 상기 라인형상접점(15)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무접점 영역의 피치와 실질적으로 같은 피치로 나열하여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5와 같이, 상기 복수의 라인형상접점(15)은 라인형상접점(15)의 연장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에 0.05㎜, 0.1㎜, 0.2㎜의 어느 하나의 피치 (P1)로 배치되고, 상기 라인형상접점(15)을 생략한 복수의 무접점 영역에 각각 대응시켜서 설치된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17)는, 상기 라인형상접점(15)의 연장방향에 대해서 평행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각각 2㎜ 또는 4㎜의 피치(P2)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5~도 10에서는 편의상, 5개의 라인형상접점(15)마다 1 라인 분의 무접점 영역을 설치하고, 여기에 1열로 나열하는 스페이서(17)를 배치하고 있는데, 상기 복수의 라인형상접점(15)의 피치(P1)와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17)의 피치(P2)가 P1=0.05㎜, P2=2㎜인 경우는 38개의 라인형상접점(15)마다 1라인 분의 무접점 영역을 설치하며, 여기에 1열로 나열하는 스페이서(17)가 배치되게 된다. 또, P1=0.2㎜, P2=4㎜인 경우에는 18개의 라인형상접점(15)마다 1라인 분의 무접점 영역을 설치하고, 여기에 1열로 나열하는 스페이서(17)가 배치되게 된다.
또, 제 4 투명기판(12)의 장출부(12a)에는 제 3 투명기판(11)에 설치된 제 1 저항막(13)의 한쪽의 방향, 예를 들면 상기 터치영역(34)의 장변방향(이하, X축방향이라 한다)의 양단과, 제 4 투명기판(12)에 설치된 제 2 저항막(14)의 상기 한쪽의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 즉 상기 터치영역(34)의 단변방향(이하, Y축방향이라 한다)의 양단을 각각 도 11에 나타낸 터치패널구동회로(36)에 접속하기 위한 복수, 예를 들면 4개의 구동회로접속단자(25a, 25b, 26a, 26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회로접속단자(25a, 25b, 26a, 26b)가 설치된 면과 동일면에는 제 1 저항막(13)의 X축방향의 양단의 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제 1 전극(23a, 23b)과, 제 2 저항막(14)의 Y축방향의 양단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복수의 제 2 전극(24a, 24b)과,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23a, 23b) 또는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24a, 24b)을 상기 장출부(12a)에 설치된 4개의 구동회로접속단자(25a, 25b, 26a, 26b)에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배선(27a, 27b, 28a, 28b)이 설치되어 있다.
또, 제 3 투명기판(11)에 설치된 제 1 저항막(13)은 상기 X축방향의 양단의 변부가 각각 상기 프레임형상의 밀봉재(29)에 의한 밀봉부에 위치하고, X축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Y축방향의 양단의 변부가 각각 상기 밀봉부보다도 안쪽에 위치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4 투명기판(12)에 설치된 제 2 저항막(14)은, 상기 X축방향의 양단의 변부가 각각 상기 밀봉부보다도 안쪽에 위치하고, 상기 Y축방향의 양단의 변부가 각각 상기 밀봉부의 근방 또는 상기 밀봉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저항막(13)의 X축방향의 양단의 변부에 각각 대향하는 복수의 제 1 전극(23a, 23b)은 상기 밀봉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저항막(14)의 Y축방향의 양단의 변부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제 2 전극(24a, 24b)은 상기 제 2 저항막(14)의 위에 적층되어 있다.
또한, 터치패널(10)은 상기 제 1 전극(23a, 23b)을 상기 제 1 저항막(13)의 X축방향의 일단의 변부와 타단의 변부에 각각 대향시켜서 1개씩 설치하고, 상기 제 2 전극(24a, 24b)을 상기 제 2 저항막(14)의 Y축방향의 일단의 변부와 타단의 변부에 각각 대향시켜서 1개씩 설치한 것이며, 상기 2개의 제 1 전극(23a, 23b)은 상기 제 1 저항막(13)의 X축방향의 양단의 변부의 대략 전체 길이에 각각 대향시켜서 연속한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2개의 제 2 전극(24a, 24b)은 상기 제 2 저항막 (14)의 Y축방향의 양단의 변부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속한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2개의 제 1 전극(23a, 23b)과 상기 2개의 제 2 전극(24a, 24b)은 상기 밀봉부에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된 복수(이 실시예에서는 4개)의 배선(27a, 27b, 28a, 28b)에 의해 상기 장출부(12a)에 설치된 4개의 구동회로접속단자(25a, 25b, 26a, 26b)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23a, 23b) 및 제 2 전극(24a, 24b)과, 상기 구동회로접속단자(25a, 25b, 26a, 26b)와, 상기 배선(27a, 27b, 28a, 28b)은 상기 반대측 기판(12) 위 또는 상기 제 2 저항막(14) 위에 몰리브덴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층과, 알루미늄계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층과, 몰리브덴으로 이루어지는 제 3 층을 적층해서 성막하고, 이 3층의 적층막을 패터닝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 3 투명기판(11)과 제 4 투명기판(12)은 제 1 저항막(13)과 제 2 저항막 (14)이 대향하도록, 또한 제 4 투명기판(12)에 설치된 복수의 스페이서(17)의 선단이 제 1 저항막(13)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프레임형상의 밀봉재(29)에 의해 접합되어 있다. 여기에서, 복수의 라인형상접점(15)의 정부(선단)와 상기 제 2 저항막(14)의 사이에는 상기 라인형상볼록부(16)의 높이와 기둥형상스페이서(17)의 높이의 차에 대응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라인형상볼록부(16)의 높이가 8㎛, 기둥형상스페이서(17)의 높이가 10㎛인 경우, 상기 복수의 라인형상접점(15)과 상기 제 2 저항막(14) 사이의 간극은 2㎛로 규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저항막(13)의 상기 X축방향의 양단의 변부와 상기 2개의 제 1 전극(23a, 23b)은 상기 밀봉재(29)에 의한 밀봉부에 있어서 도전성 부재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밀봉부는 상기 프레임형상의 밀봉재(29)와, 이 밀봉재(29) 속에 상기 제 1 저항막(13)의 X축방향의 양단의 변부와 상기 2개의 제 1 전극(23a, 23b)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도전성 부재로서 분산된 상기 한 쌍의 기판(11, 12) 사이의 간극에 대응하는 지름을 갖는 복수의 구(球) 형상의 도전성 입자(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밀봉재(29)는 제 3 투명기판(11)과 제 4 투명기판(12)의 어느 한쪽에, 장출부(12a)가 형성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가장자리부에 대응하는 변부를 부분적으로 결락시켜서 액체주입구(31)를 설치한 형상으로 인쇄된다. 그리고 제 3 투명기판(11)과 제 4 투명기판은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17)의 각각이 제 1 저항막(13)에 맞닿도록 붙여 합쳐지고, 그 상태에서 상기 밀봉재(29)가 경화됨으로써, 상기 밀봉재(29)를 통하여 접합된다. 그리고 이때, 제 3 투명기판(11)과 제 4 투명기판 사이의 간극이 복수의 스페이서(17)에 의해 규정된다.
또, 제 3 투명기판(11)에 설치된 제 1 저항막(13)의 X축방향의 양단의 변부와 제 4 투명기판(12)에 설치된 2개의 제 1 전극(23a, 23b)은 제 3 투명기판(11)과 제 4 투명기판(12)을 상기 밀봉재(29)를 통하여 접합할 때에, 상기 밀봉재(29) 속에 분산된 구 형상의 도전성 입자(30) 중의 상기 제 1 저항막(13)과 상기 제 1 전극 (23a, 23b)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상기 도전성 입자(30)에 의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제 3 투명기판(11)과 제 4 투명기판(12) 사이의 상기 밀봉재(29)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에는 진공주입법에 의해 절연성 액체(33)가 충전된다. 구체적으로는, 밀봉재(29)에 의해 붙여 합쳐진 상태의 제 3 투명기판(11)과 제 4 투명기판(12)을 밀폐된 챔버 내에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챔버 내를 진공상태로 해서 상기 액체주입구(31)를 상기 절연성 액체(33)가 채워진 욕(浴)에 담그고, 그 상태에서 챔버 내를 대기압으로 되돌린다. 그러면, 상기 액체주입구(31)로부터 제 3 투명기판 (11)과 제 4 투명기판(12) 사이의 간극에 상기 챔버 내와의 압력차에 의해서 또는, 모세관현상에 의해 상기 절연성 액체(33)가 충전된다. 상기 액체주입구(31)는 상기 절연성 액체(33)의 충전 후에 밀봉수지(32)에 의해서 밀봉된다. 이에 따라, 제 3 투명기판(11)과 제 4 투명기판(12) 사이의 간극에 충전된 절연성 액체(33)는 봉입 상태로 된다.
상기 절연성 액체(33)는 제 3 투명기판(11)에 있어서의 광의 굴절률과의 차 및 제 4 투명기판(12)에 있어서의 광의 굴절률과의 차가 함께 0.1 이하가 되도록 굴절률이 설정된 투명한 액체이다. 예를 들면, 제 3 투명기판(11)과 제 4 투명기판(12)이 함께 굴절률이 1.5의 유리판인 경우, 상기 절연성 액체(33)는 약 1.4~1.6 범위의 굴절률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절연성 액체(33)의 굴절률은 제 3 투명기판(11)의 굴절률이나 제 4 투명기판(12)의 굴절률에 의해 가까운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절연성 액체(33)는 상온에서 광학적으로 등방성인 재료이면 좋고, 예를 들면, 5℃ 이상인 온도에 있어서 아이소트로픽상(相)을 나타내는 액정(N-I점이 5℃ 미만인 네마틱액정)이라도 좋다. 이와 같은 특성의 재료로서는 구체적으로는, 2~3개의 시클로헥산 또는 벤젠환과, 그 양단에 알킬기를 가진 것이 있다.
상기 터치패널(10)은 사용자에 의해 터치입력될 때에,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터치패널(10)의 표면이 제 3 투명기판(11) 측에서 터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터치됨으로써 제 3 투명기판(11)에 압압력이 가해지면, 제 3 투명기판 (11)의 터치된 부분 중, 스페이서(17)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서는 제 4 투명기판(12) 측을 향해 제 3 투명기판(11)이 휨 변형한다. 그리고 이 휨 변형한 영역에 위치하는 라인형상접점(15)의 정부가 국부적으로 제 2 저항막(14)에 접촉하고, 이 접촉위치에서 상기 제 1 저항막(13)과 상기 제 2 저항막(14)이 도통한다.
이 터치패널(10)에서는 라인형상접점(15)과 제 2 저항막(14) 사이의 갭(Δd, 도 7 참조)은, 제 1 저항막(14)의 두께가 균일하게 성막되어 있기 때문에, 라인형상볼록부(16)의 높이와 스페이서(17)의 높이의 차에 대응한다.
그로 인해, 이 터치패널(10)에 따르면, 제 3 투명기판(11)과 제 4 투명기판(12) 사이의 간극에 절연성 액체(33)를 충전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상기 간극을 어느 정도 두껍게 형성하면서도, 터치함으로써 상기 제 1 저항막(13)과 제 2 저항막(14)을 도통시키는데에 필요한 제 3 투명기판(11)의 휨 변형량을 상기 간극에 대응하는 휨 변형량보다도 충분히 작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라인형상볼록부(16)의 높이가 3.5㎛, 스페이서(17)의 높이가 4.0㎛인 경우, 제 3 투명기판(11)과 제 4 투명기판(12) 사이의 간극을 적어도 4.0㎛ 확보하면서 라인형상접점(15)과 상기 제 2 저항막(14) 사이의 갭(Δd)을 4.0㎛보다도 충분히 작은 0.5㎛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 3 투명기판(11)과 제 4 투명기판(12) 사이의 간극이 0.5㎛ 분만큼 얇아지도록 제 3 투명기판(11)을 휨 변형시키면 제 1 저항막(13)과 제 2 저항막(14)을 충분히 도통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터치패널(10)에 따르면, 터치에 의해 휨 변형한 부분에 있어서의 투과광의 광로변화를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낸 터치패널 부착 표시장치에서는 표시패널(1)에 표시되는 화상을 터치패널(11)을 개재시켜서 사용자에게 관찰시켜도, 사용자는 터치패널(10)로의 터치조작시에 화상의 일그러짐을 거의 느끼는 일없이 표시패널(1)에 표시되는 화상을 관찰할 수 있다.
또, 상기 터치패널(10)은 상기 제 1 저항막(13)과 제 2 저항막(14)을 도통시키는데에 필요한 제 3 투명기판(11)의 휨 변형량이 작기 때문에, 터치입력을 약간의 압압력으로 실행할 수 있으며, 따라서, 가벼운 터치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널(10)은 제 3 투명기판(11)과 제 4 투명기판(12) 사이의 간극에 절연성 액체(33)를 봉입하고 있기 때문에, 제 3 투명기판(11)과 제 4 투명기판(12) 사이의 간극을 공기층으로 하고 있는 경우에 비해, 이 터치패널(10)을 투과하는 광의 계면에 있어서의 반사나 굴절을 작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표시패널(1)의 표시화상을 충분한 밝기로 관찰시킬 수 있다.
즉, 제 3 투명기판(11)과 제 4 투명기판(12)의 각각의 굴절률은 약 1.5, 상기 절연성 액체(33)의 굴절률은 약 1.4~1.6의 범위, 상기 제 1 저항막(13) 및 제 2 저항막(14)으로서의 ITO막의 굴절률은 약 1.8이기 때문에, 상기 터치패널(10)에 한쪽의 방향, 예를 들면 제 4 투명기판(12) 측으로부터 입사한 광은 제 4 투명기판 (12)과 제 2 저항막(14)의 계면에서 터치패널(10)의 법선방향에 대한 각도가 커지는 방향으로 굴절하고, 상기 제 2 저항막(14)과 절연성 액체(33) 층의 계면에서 상기 법선방향에 대한 각도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굴절하며, 또한, 상기 절연성 액체 (33)의 층과 제 1 저항막(13)의 계면에서 상기 법선방향에 대한 각도가 커지는 방향으로 굴절하고, 상기 제 1 저항막(13)과 제 3 투명기판(11)에서 상기 법선방향에 대한 각도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굴절한다.
여기에서, 제 1 저항막(13)은 막 두께가 0.05~0.20㎛의 매우 얇은 막이기 때문에, 제 4 투명기판(12)과 제 2 저항막(14)의 계면에 있어서의 광의 입사위치와 제 2 저항막(14)과 절연성 액체(33) 층의 계면에 있어서의 광의 출사위치 사이의 차이는 무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저항막(14)은 막 두께가 0.05~0.20㎛의 매우 얇은 막이기 때문에, 절연성 액체(33)의 층과 제 1 저항막(13)의 계면에 있어서의 광의 입사위치와 제 1 저항막(13)과 제 3 투명기판(11)의 계면에 있어서의 광의 출사위치 사이의 차이는 무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패널(10)에 대한 광의 입사위치와 출사위치의 차이는 실질적으로 제 3 투명기판(11)이나 제 4 투명기판(12)과 절연성 액체(33)의 굴절률의 차에 대응하고, 그 굴절률 차가 0.1 이하이면, 제 3 투명기판(11)이나 제 4 투명기판(12)과 절연성 액체(33) 층의 외관상의 계면에서의 굴절을 효과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성 액체(33)로서는 비점이 100℃ 이상의 유기 또는 무기의 절연성의 액상물질, 구체적으로는, 부탄올, 톨루엔, 크실렌, 이소부틸알코올, 이소펜틸알코올, 초산이소부틸, 초산부틸, 테트라클로르에틸렌,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부틸케톤, 에틸렌글리콜모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테레빈오일 등의 유기의 액상물질, 또는 실리콘오일 등의 무기의 액상물질을 이용할 수 있다.
어느 것으로 해도 상기 절연성 액체(33)는 상온에서 광학적으로 등방성인 재료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5℃ 미만의 온도에 있어서 액정상을 나타내고, 5℃ 이상의 온도에 있어서 아이소트로픽상을 나타내는 재료를 이용하면, 액정표시패널에 액정을 주입하기 위한 장치와 동일한 장치를 이용해서 절연성 액체(33)를 충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절연성 액체(33)의 층을 상온에서 광학적으로 등방성으로 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제 3 투명기판(11)은 유리판에 한정하지 않고 수지필름이라도 좋다. 단, 그 경우는 제 3 투명기판(11)과 제 4 투명기판(12) 사이에서 굴절률이 다른데, 제 3 투명기판(11)과 제 4 투명기판(12)의 적어도 한쪽과 상기 절연성 액체(33)의 광의 굴절률의 차가 0.1 이하이면, 외관상의 계면에서의 광의 굴절을 비교적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패널(10)은 상기 제 1 저항막(13)에 설치되고, 제 3 투명기판(11) 측으로부터의 터치에 의한 휨 변형에 의해서 상기 제 2 저항막(14)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접점이 한쪽의 방향을 따르는 라인형상접점으로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개로 독립해서 돌출하는 돌기형상으로 형성된 도트형상접점에 비해 내가중성(耐加重性)을 높게 할 수 있다. 즉, 터치패널(10)은 터치입력의 반복이나, 세게 내리치는 바와 같은 강한 터치입력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인형상접점(15)은 그 형상이 철조(凸條, 볼록하고 길고 가는)형상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라인형상접점(15)을 구성하는 라인형상볼록부(16)를 줄무늬형상의 심플한 패턴의 노광마스크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실시예의 터치패널(10)은 상기 도트형상접점을 복수 미리 정한 피치로 배열시킨 터치패널에 비해 생산성의 면에서도 유리하다.
또, 상기 실시예의 터치패널(10)은 라인형상볼록부(16)를 덮도록 투명한 제 1 저항막(13)을 설치함으로써 라인형상접점(15)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라인형상볼록부(16)를 도전성 재료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라인형상볼록부(16)를 투명하게 형성하는 경우라도 풍부한 재료 중에서 적절한 재료를 선택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의 터치패널(10)에서는 제 4 투명기판(12) 측에 스페이서 (17)를 형성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는데, 스페이서(17)는 제 3 투명기판(11) 측에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상기 터치패널(10)은 제 3 투명기판(11)이 터치됨으로써 제 3 투명기판(11)이 제 4 투명기판(12)을 향해 휨 변형하고, 이 휨 변형한 부분의 라인형상접점(15)이 제 2 저항막(14)에 접촉하며, 이 접촉위치에서 상기 제 1 저항막(13)과 상기 제 2 저항막(14)이 도통한다. 따라서, 도 11에 나타낸 터치패널구동회로(36)에 의해 상기 제 1 저항막(13)의 X축방향의 양단 사이와 상기 제 2 저항막(14)의 Y축방향의 양단 사이에 일정값의 전압을 교호로 인가하고, 상기 제 1 저항막(13)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제 2 저항막(14)의 일단의 전압값과 상기 제 2 저항막(14)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상기 제 1 저항막(13)의 일단의 전압값을 측정함으로써, 이들의 전압값에 의거하여 터치점의 X축방향과 Y축방향의 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터치패널구동회로(36)는,
상기 제 1 저항막(13)의 X축방향의 양단 사이와, 상기 제 2 저항막(14)의 Y축방향의 양단 사이에 일정값의 전압을 교호로 인가하기 위한 전압인가회로(37)와,
상기 제 1 저항막(13)이 제 3 투명기판(11)의 휨 변형한 부분의 라인형상접점(15)을 통하여 상기 제 2 저항막(14)과 도통했을 때에, 상기 전압인가회로(37) 위의 미리 정한 점과 상기 제 1 저항막(13)의 X축방향의 일단 또는 상기 제 2 저항막(14)의 Y축방향의 일단의 사이에 발생하는 전압을 측정하는 전압측정계(45)와,
이 전압측정계(45)의 측정값에 의거하여 터치점의 좌표를 검출하는 좌표검출수단(5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압인가회로(37)는,
정전압전원(38)과,
상기 제 1 저항막(13)의 X축방향의 일단과 상기 제 2 저항막(14)의 Y축방향의 일단에 각각 접속된 제 1 저항막 접속배선(39, 40)을 통하여, 상기 제 1 저항막 (13)의 X축방향의 일단과 상기 제 2 저항막(14)의 Y축방향의 일단에 상기 정전압전원(38)의 한쪽 극(도면에서는 -극)의 전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 1 접속변환스위치(41)와,
상기 제 1 저항막(13)의 X축방향의 타단과 상기 제 2 저항막(14)의 Y축방향의 타단에 각각 접속된 제 2 저항막 접속배선(42, 43)을 통하여, 상기 제 1 저항막 (13)의 X축방향의 타단과 상기 제 2 저항막(14)의 Y축방향의 타단에 상기 정전압전원(38)의 다른 쪽 극(도면에서는 +극)의 전압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 2 접속변환스위치(44)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 11에 나타낸 정전압전원(38)은 직류전원인데, 이 정전압전원(38)은 교번(交番)하는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이라도 좋다.
또, 상기 전압측정계(45)는,
상기 제 1 저항막(13)의 X축방향의 일단과 상기 제 2 저항막(14)의 Y축방향의 일단에 각각 접속된 제 3 저항막 접속배선(46, 47)을 통하여, 상기 제 1 저항막 (13)의 X축방향의 일단과 상기 제 2 저항막(14)의 Y축방향의 일단의 전압을 전압측정수단(49)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 3 접속변환스위치(48)와,
상기 정전압전원(38)의 한쪽 극(도면에서는 -극)과 상기 제 3 접속변환스위치(48)의 사이에 개재된 전압측정수단(49)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압인가회로(37)는,
도시하지 않는 제어수단에 의해,
미리 설정된 주기, 예를 들면 0.1초 주기로 상기 제 1과 제 2 접속변환스위치(41, 44)를,
상기 제 1 저항막(13)의 X축방향의 양단을 상기 정전압전원(38)에 접속하는 측(도 11의 상태)과, 상기 제 2 저항막(14)의 Y축방향의 양단을 상기 정전압전원(38)에 접속하는 측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상기 제 1 저항막(13)의 X축방향의 양단 사이와 상기 제 2 저항막(14)의 Y축방향의 양단 사이에 상기 정전압전원(38)의 일정값의 전압을 교호로 인가한다.
또, 상기 좌표검출수단(50)은 상기 도시하지 않는 제어수단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제 1 저항막(13)의 X축방향의 양단 사이에 상기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상기 전압측정수단(49)의 측정값에 의거하여 상기 터치점의 X축방향의 좌표(이하, X좌표라 한다)를 검출하며, 상기 제 2 저항막(14)의 Y축방향의 양단 사이에 상기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상기 전압측정수단(49)의 측정값에 의거하여 상기 터치점의 Y축방향의 좌표(이하, Y좌표라 한다)를 검출한다.
상기 전압측정수단(49)의 측정값에 의거하는 상기 터치점의 X, Y좌표의 검출은 다음과 같은 연산에 의해 실행한다.
상기 정전압전원(38)의 전압값을 V0, 상기 제 1 저항막(13)의 X축방향의 일단의 X좌표값을 0, 상기 제 1 저항막(13)의 X축방향의 타단의 X좌표값을 1, 상기 터치점의 X좌표를 x, 상기 제 1 저항막(13)의 X축방향의 양단 사이의 저항값을 rx, 상기 전압측정수단(49)의 내부 저항값을 R로 하면, 상기 제 1 저항막(13)의 X축방향의 양단 사이에 상기 전압 V0를 인가했을 때의 상기 전압측정수단(49)의 측정 전압값 V(x)는,
rx?R이기 때문에,
V(x)=V0(1-x)로 나타낼 수 있다.
또, 상기 제 2 저항막(14)의 Y축방향의 일단의 Y좌표값을 0, 상기 제 2 저항막(14)의 Y축방향의 타단의 Y좌표값을 1, 상기 터치점의 Y좌표를 y, 상기 제 2 저항막(14)의 Y축방향의 양단 사이의 저항값을 ry로 하면, 상기 제 2 저항막(14)의 Y축방향의 양단 사이에 상기 전압 V0를 인가했을 때의 상기 전압측정수단(49)의 측정 전압값 V(y)는,
ry?R이기 때문에,
V(y)=V0(1-y)로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터치점의 X좌표(x)와 Y좌표(y)는,
x=1-V(x)/V0
y=1-V(y)/V0
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또, 상기 터치패널(10)은 상기 제 1 저항막(13)의 X축방향의 양단의 변부의 대략 전체 길이에 각각 대향시켜서 연속한 띠 형상으로 형성된 2개의 제 1 전극 (23a, 23b)을 설치하고, 상기 제 2 저항막(14)의 Y축방향의 양단의 변부에 상기 변부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연속한 띠 형상으로 형성된 2개의 제 2 전극(24a, 24b)을 설치하며, 이들의 제 1 전극(23a, 23b) 및 제 2 전극(24a, 24b)을 각각 배선(27a, 27b, 28a, 28b)에 의해 반대측 기판(12)의 장출부(12a)에 설치된 구동회로접속단자(25a, 25b, 26a, 26b)에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터치패널구동회로 (36)에 의해서 상기 제 1 저항막(13)의 X축방향의 양단 사이와 상기 제 2 저항막(14)의 Y축방향의 양단 사이에 교호로 인가되는 전압을 상기 제 1 저항막(13) 및 제 2 저항막(14)의 대략 전체 영역에 균등하게 작용시키고, 상기 터치점의 X좌표(x)와 Y좌표(y)를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도 1에 나타낸 터치패널 부착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에 복수의 키 패턴을 표시시키고, 상기 터치패널(10)의 상기 복수의 키 패턴에 대응한 부분을 선택적으로 터치하는 키보드적인 터치입력 외에, 예를 들면, 상기 표시패널(1)에 화상을 표시시키고, 상기 터치패널(10)의 임의의 점을 터치함으로써 상기 표시패널(1)에 터치점을 중심으로 한 확대화상을 표시시키거나, 상기 터치패널(10) 위에 있어서 터치점을 임의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표시패널(1)의 표시화상을 스크롤시키거나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전극(23a, 23b)과 제 2 전극(24a, 24b)을 각각 연속한 띠 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는데, 상기 제 1 전극(23a, 23b) 및 제 2 전극(24a, 24b)은 상기 제 1 저항막(13)의 X축방향의 양단의 변부의 대략 전체 길이 및 상기 제 2 저항막(14)의 Y축방향의 양단의 변부의 대략 전체 길이에 각각 대응시켜서 미리 정한 피치로 단속적으로 설치해도 좋으며, 그 경우도, 상기 제 1 저항막(13)의 X축방향의 양단 사이와 상기 제 2 저항막(14)의 Y축방향의 양단 사이에 교호로 인가되는 전압을 상기 제 1 저항막(13) 및 제 2 저항막(14)의 대략 전체 영역에 균등하게 작용시키고, 터치점의 X좌표(x)와 Y좌표(y)를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전극(23a, 23b) 및 제 2 전극(24a, 24b)을 상기 제 1 저항막(13)의 X축방향의 양단의 변부의 대략 전체 길이 및 상기 제 2 저항막(14)의 Y축방향의 양단의 변부의 대략 전체 길이에 각각 대응시켜서 단속적으로 설치할 경우는, 상기 제 1 저항막(13)의 X축방향의 일단의 변부에 대향하는 복수의 제 1 전극끼리와, 상기 제 1 저항막(13)의 X축방향의 타단의 변부에 대향하는 복수의 제 1 전극끼리와, 상기 제 2 저항막(14)의 Y축방향의 일단의 변부에 대향하는 복수의 제 2 전극끼리와, 상기 제 2 저항막(14)의 Y축방향의 타단의 변부에 대향하는 복수의 제 2 전극끼리를 각각 공통 접속하고, 상기 장출부(12a)에 설치된 복수의 구동회로접속단자(25a, 25b, 26a, 26b)에 복수의 배선(27a, 27b, 28a, 28b)을 통하여 접속하면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저항막(13)의 X축방향의 타단의 가장자리부와, 이들의 단부에 대향시켜서 설치된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23a, 23b)을 상기 밀봉재(29) 속에 분산된 구 형상의 도전성 입자(3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는데, 상기 제 1 저항막(13)의 X축방향의 타단의 변부와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23a, 23b)은 그 어느 한쪽의 위에, 상기 밀봉재(29)에 의한 밀봉부에 대응시켜서 기둥형상의 도전성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이 도전성 부재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해도 좋다.
( 실시예 2)
다음으로, 도 12에 나타낸 이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터치패널을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예에 대응하는 것에는 도면에 동일부호를 붙이고,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터치패널(10a)은 제 3 투명기판(11)과 제 4 투명기판(12) 중, 라인형상돌기(16)가 설치되는 측의 기판, 예를 들면, 제 3 투명기판(11)에,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복수의 스페이서(17)에 대신하여, 제 1 저항막(13)에 덮여진 투명한 기둥형상돌기(18)가 설치되고, 또한, 기둥형상돌기(18)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 2 저항막(14)이 부분적으로 제거되어 있는 것이다. 즉, 터치패널(10a)에서는 기둥형상돌기(18)와 기둥형상돌기(18)와 겹쳐지는 제 1 저항막(13)에 의해 스페이서 (17a)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스페이서(17a)가 제 4 투명기판(12) 측에 맞닿는 위치의 제 2 저항막(14)을 미리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두는 것으로, 스페이서 (17a)에 의해서 제 1 저항막(13)과 제 2 저항막(14)이 도통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제 2 저항막(14)이 제거되는 부분은 스페이서(17a) 선단의 면적보다도 큰 구멍(19)으로서 설치되고, 스페이서(17a)의 선단은 구멍(19) 내로 들어가도록 하여 제 4 투명기판(12)에 맞닿는다.
또한, 이 실시예의 터치패널(10a)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17a)와 상기 제 2 저항막(14)을 도통시키지 않기 위한 수단은 상기 구멍(19)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상기 제 2 저항막(14)의 복수의 스페이서(17a)와 대응하는 부분의 위에 각각 절연막을 설치하고, 이 절연막에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17a)를 맞닿게 해도 좋다.
( 실시예 3)
다음으로, 도 13에 나타낸 이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터치패널을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예에 대응하는 것에는 도면에 동일부호를 붙이고,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터치패널(10b)은 제 3 투명기판(11)에 복수의 라인형상접점(15)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라인형상볼록부(16)와, 복수의 스페이서(17a)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돌기(18)를 같은 높이로 형성하고, 이들의 라인형상볼록부(16) 및 돌기(18)를 덮도록 제 1 저항막(13)을 설치하고 있다. 즉, 라인형상접점(15)의 높이와 스페이서(17a)의 높이가 동일하게 되도록 라인형상볼록부(16)와 돌기(18)가 제 3 투명기판(11)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저항막(14) 위의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17a)에 대응하는 부분에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받이부(20)가 미리 정한 두께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17a)의 선단이 스페이서받이부 (20)에 맞닿게 된다.
이 실시예의 터치패널(10b)은 상기와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제품마다(터치패널마다)의 복수의 라인형상접점(15)과 제 2 저항막(14) 사이의 갭(Δd)의 편차를 작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실시예의 터치패널(10)은 복수의 스페이서(17)를 복수의 라인형상볼록부(16)의 높이보다도 높게 형성하고, 이들 높이의 차에 의해서 상기 복수의 라인형상접점(15)과 제 2 저항막(14) 사이의 갭(Δd)을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라인형상볼록부(16)의 높이의 제품 간 편차와, 상기 기둥형상스페이서(17, 17a)의 높이의 제품 간 편차의 양쪽이 상기 갭(Δd)에 영향을 준다.
그로 인해, 예를 들면 라인형상볼록부(16)가 설계값보다도 낮게 형성되고, 스페이서(17)가 설계값보다도 높게 형성된 제품은, 상기 갭(Δd)이 설계값보다도 크고, 제 3 투명기판(11)을 강한 터치력으로 크게 휨 변형시키지 않으면 안 되어 터치감이 무겁다.
또, 라인형상볼록부(16)가 설계값보다도 높게 형성되고, 스페이서(17)가 설계값보다도 낮게 형성된 제품은, 상기 갭(Δd)이 설계값보다도 작고, 터치감이 너무 가벼워서 제 3 투명기판(11)에 가볍게 접촉한 정도라도 라인형상접점(15)이 제 2 저항막(14)에 접촉해서 오입력을 발생하는 일이 있다.
그에 대해서, 상기 제 3 실시예의 터치패널(10b)은 복수의 라인형상접점 (15)과 복수의 스페이서(17a)를 같은 높이로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라인형상접점 (15)과 제 2 저항막(14) 사이의 갭(Δd)을 상기 스페이서받이부(20)의 두께에 대응한 높이로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갭(Δd)의 편차는 상기 스페이서받이부(20)의 두께의 편차에만 대응한다.
그리고 상기 스페이서받이부(20)는 상기 라인형상접점(15) 및 스페이서(17a)의 높이에 비해 훨씬 작은 두께로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스페이서받이부(20) 두께의 절댓값 적인 편차는 매우 작으며, 따라서, 제품마다의 상기 갭(Δd)의 편차가 작고, 따라서, 제품 간에 똑같은 터치감이 얻어진다.
또한, 상기 제 3 실시예의 터치패널(10b)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받이부(20)는 SiO2에 의해 형성해도, 감광성 수지에 의해 형성해도 좋은데, SiO2막은 스퍼터장치에 의해 고정밀도의 막 두께로 성막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스페이서받이부(20)를 SiO2에 의해 형성함으로써, 상기 스페이서받이부(20)의 두께의 오차, 즉 제품마다의 상기 갭(Δd)을 거의 없게 하고, 제품마다의 터치감의 편차를 더욱 효과적으로 적게 할 수 있다.
( 실시예 4)
다음으로, 도 14에 나타낸 이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터치패널을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제 3 실시예에 대응하는 것에는 도면에 동일부호를 붙이고,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터치패널(10c)은 제 3 투명기판(11)에 제 1 저항막(13)이 전체에 걸쳐서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제 4 투명기판(11)에 제 2 저항막(14)이 전체에 걸쳐서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저항막(13) 위에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라인형상볼록부가 라인형상접점(15a)으로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도트형상의 돌기가 스페이서(17b)로서 라인형상접점(15a)과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저항막(13) 위에는 스페이서(17b)와 대응하는 부분에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받이부(20)가 미리 정한 두께로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터치패널(10c)에 있어서, 라인형상접점(15a)과 스페이서(17b)는 상기 제 1 저항막(13)의 위에 ITO 등의 투명 도전재의 분말을 첨가한 투명한 수지, 또는 도전성 고분자(예를 들면, 폴리아세틸렌, 폴리파라페닐렌, 폴리아닐린, 폴리티오펜, 폴리파라페닐렌비닐렌 등) 등의 투명한 도전재료를 스핀코트에 의해 라인형상접점(15a) 및 기둥형상스페이서(17b)의 높이에 대응한 두께로 도포하고, 그 막을 패터닝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 실시예 5)
다음으로, 도 15~도 18에 나타낸 이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터치패널을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제 4 실시예에 대응하는 것에는 도면에 동일부호를 붙이고, 동일한 것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터치패널(10d)은 제 3 투명기판(11)에 복수의 라인형상접점(15)을 설치하고, 제 4 투명기판(11)에 복수의 라인형상접점(15)의 연장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라인형상접점받이(21)를 설치한 것이다. 또한, 라인형상접점받이(21)는 터치에 의해 제 3 투명기판(11)이 휨 변형했을 때에 라인형상접점(15)에 접촉하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라인형상접점(15)과 복수의 라인형상접점받이(21)는 각각,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복수의 라인형상접점(15) 높이의 약 1/2의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라인형상접점(15)은 상기 제 3 투명기판(11)에 복수의 라인형상볼록부(16)를 설치하고, 이들의 라인형상볼록부(16)를 덮어 제 1 저항막(13)을 설치함으로써, 이 제 1 저항막(13)의 상기 복수의 라인형상볼록부(16)를 덮는 부분에 의해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라인형상접점받이(21)는 상기 제 4 투명기판(12)에 복수의 라인형상볼록부(22)를 설치하고, 이들의 라인형상볼록부(22)를 덮어 제 2 저항막(14)을 설치함으로써, 이 제 2 저항막(14)의 상기 복수의 라인형상볼록부 (22)를 덮는 부분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저항막(13)과 제 2 저항막(14)의 어느 한쪽, 예를 들면 제 2 저항막(14)의 위에 상기 라인형상접점(15)의 높이와 상기 라인형상접점받이(21)의 높이의 합보다도 미리 정한 값만큼 큰 높이로 형성된 투명한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스페이서(17)를 설치하고, 이들의 스페이서(17)를 상기 제 1 저항막(13)에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라인형상접점(15)과 상기 제 2 저항막(14)의 상기 라인형상접점(15)과 접촉하는 부분 사이의 갭(Δd)을 미리 정한 높이로 규정하고 있다.
즉, 이 실시예의 터치패널(10d)은 라인형상접점(15)을 터치에 의한 제 3 투명기판(11)의 휨 변형에 의해서 라인형상접점받이(21)에 접촉시키고, 이 접촉위치에서 상기 제 1 저항막(13)과 상기 제 2 저항막(14)을 도통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 실시예의 터치패널(10d)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라인형상접점받이(21)는 상기 복수의 라인형상접점(15)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을 따른 철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복수의 라인형상접점받이(21)는 상기 복수의 라인형상접점(15)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철조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예의 터치패널(10d)은 라인형상접점(15)을 상기 제 3 투명기판(11)의 휨 변형에 의해서 라인형상접점받이(21)에 접촉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복수의 라인형상접점(15)과 복수의 라인형상접점받이(21)의 높이는 각각,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복수의 라인형상접점(15) 높이의 약 1/2의 높이로 좋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라인형상접점(15)을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라인형상볼록부(16)와 상기 복수의 라인형상접점받이(21)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라인형상볼록부(22)는 각각, 상기 제 3 투명기판(11) 및 제 4 투명기판(12)에 감광성 수지를 스핀코트에 의해 상기 라인형상볼록부(16, 22)의 높이에 대응한 두께로 도포하고, 그 수지막을 상기 복수의 라인형상볼록부(16, 22)의 평면형상 및 그 배치 피치에 대응한 패턴의 노광마스크를 이용해서 노광 처리한 후에 현상 처리함으로써 형성하는데, 그 경우, 상기 감광성 수지의 도포 두께는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라인형상볼록부(16)를 형성하기 위한 감광성 수지의 도포 두께의 약 1/2로 좋기 때문에, 고정밀도의 막 두께의 수지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 상기 수지막의 막 두께가 얇기 때문에, 그 노광 및 현상 처리에 의한 패터닝정도를 높게 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의 터치패널(10d)은 상기 복수의 라인형상접점(15) 및 복수의 라인형상접점받이(21)가 각각, 상기 제 1 실시예의 라인형상접점(15)보다도 낮은 높이의 철조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의 라인형상접점(15) 및 라인형상접점받이(21)의 내가중성을 제 1 실시예의 라인형상접점(15)보다도 더욱더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의 터치패널(10d)은 상기 복수의 라인형상접점받이(21)를 상기 복수의 라인형상접점(15)의 길이방향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철조형상으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제 3 투명기판(11)과 제 4 투명기판(12) 사이의 위치맞춤 정밀도에 오차가 있더라도, 제 3 투명기판(11)의 휨 변형에 의해서 라인형상접점(15)을 라인형상접점받이(21)에 확실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라인형상접점받이(21)는 상기 복수의 라인형상접점(15)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을 따른 철조형상으로 형성해도 좋은데, 그 경우는, 제 3 투명기판(11)과 제 4 투명기판(12) 사이의 위치맞춤 정밀도의 오차에 의해서 라인형상접점(15)과 라인형상접점받이(21)의 상대위치가 어긋나고, 상기 라인형상접점(15)이 라인형상접점받이(21)에 접촉하지 않게 되는 일이 있다.
그에 대해서, 상기 복수의 라인형상접점(15)의 길이방향과 상기 복수의 라인형상접점받이(21)의 길이방향이 교차하고 있으면, 제 3 투명기판(11)과 제 4 투명기판(12) 사이의 위치맞춤 정밀도에 오차가 있더라도, 상기 라인형상접점(15)이 라인형상접점받이(21)에 접촉하지 않게 되는 일은 없다.
또한, 이 제 5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저항막(13)과 제 2 저항막(14)의 어느 한쪽(도면에서는 제 2 저항막(14))의 위에 절연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스페이서(17)를 설치하고 있는데, 스페이서(17)는 상기 제 2~제 4 실시예의 어느 하나와 똑같이 형성해도 좋고, 또, 상기 복수의 라인형상접점(15)과 복수의 라인형상접점받이(21)는 상기 제 4 실시예와 똑같이, 상기 제 1 저항막(13) 또는 제 2 저항막 (14)의 위에 도전성의 라인형상볼록부를 설치해서 형성해도 좋다.
( 실시예 6)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제 3 투명기판(11)에 복수의 라인형상접점(15, 15a)을 설치하고 있는데, 상기 복수의 라인형상접점(15, 15a)은 제 4 투명기판 (12)에 설치해도 좋다.
또,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제 3 투명기판(11)과 제 4 투명기판(12) 사이의 간극을 기둥형상으로 형성된 스페이서(17, 17a, 17b)에 의해서 규정하고 있는데, 상기 간극은 복수의 구 형상의 스페이서에 의해서 규정해도 좋다.
1: 표시패널
10, 10a, 10b, 10c, 10d: 터치패널
11: 제 3 투명기판
12: 제 4 투명기판
13: 제 1 저항막
14: 제 2 저항막
15, 15a: 라인형상접점
17, 17a, 17b: 스페이서
21: 라인형상접점받이
29: 밀봉재
33: 절연성 액체

Claims (20)

  1.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의 간극에 봉입된 절연성 액체와,
    상기 절연성 액체가 봉입된 영역에서의 상기 제 1 기판 위에 형성된 미리 정한 높이로 돌출하고 또한 미리 정한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는 라인형상 접점과,
    적어도 상기 라인형상 접점의 배치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 2 기판 위에 형성된 저항막과,
    상기 라인형상 접점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로 돌출하도록 상기 제 1 기판 위에 형성된 스페이서와,
    상기 라인형상 접점에 대응하는 영역이 노출하고 또한 상기 스페이서의 선단이 맞닿도록 상기 저항막 위에 절연성 재료에 의해 형성된 스페이서 받이부를 구비하고, 여기서,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스페이서 받이부는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형상 접점은 상기 터치패널의 장변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막은 ITO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5. 제 1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의 간극에 봉입된 절연성 액체와,
    상기 절연성 액체가 봉입된 영역에서의 상기 제 1 기판 위에 형성된 미리 정한 높이로 돌출하고 또한 미리 정한 방향으로 연장하고 있는 라인형상 접점과,
    적어도 상기 라인형상 접점의 배치위치에 대응하도록 상기 제 2 기판 위에 형성된 저항막과,
    상기 라인형상 접점보다도 높게 돌출하도록 상기 제 1 기판 위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구비하고, 여기서,
    상기 저항막은 상기 스페이서의 배치위치에 대응시켜서 상기 저항막이 제거된 구멍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스페이서의 선단이 상기 구멍부를 통해 상기 제 2 기판에 맞닿아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라인형상 접점은 상기 제 1 기판 위에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 수지부와, 상기 수지부를 덮도록 상기 제 1 기판 위에 형성된 저항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 위에 형성된 저항막과 상기 제 2 기판 위에 형성된 저항막이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좌표위치를 검출하는 검출회로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의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구비하고,
    상기 라인형상 접점의 연장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에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스페이서 사이에 상기 라인형상 접점이 적어도 1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라인형상 접점은 상기 제 1 기판 위에 돌기 형상으로 형성된 수지부와, 상기 수지부를 덮도록 상기 제 1 기판 위에 형성된 저항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 위에 형성된 저항막과 상기 제 2 기판 위에 형성된 저항막이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좌표위치를 검출하는 검출회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 위에 형막된 저항막을 구비하고,
    상기 스페이서 및 상기 라인형상 접점은 상기 제 1 기판 위에 형성된 저항막 위에 도전성 재료로 형성된 돌기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를 통하여 상기 제 1 기판 위에 형성된 저항막과 상기 제 2 기판 위에 형성된 저항막이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좌표위치를 검출하는 검출회로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은 프레임 형상의 밀봉재에 의해 접합되고,
    상기 절연성 액체는 상기 밀봉재로 둘러싸인 영역에 봉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성 액체는 5℃ 미만에서 액정으로 전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기판과 상기 제 2 기판은 프레임 형상의 밀봉재에 의해 접합되고,
    상기 밀봉재로 둘러싸인 영역에 상기 라인형상 접점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패널.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KR1020100016461A 2009-03-04 2010-02-24 터치패널 KR1011483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51026A JP2010205610A (ja) 2009-03-04 2009-03-04 タッチパネル
JPJP-P-2009-051026 2009-03-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616A KR20100100616A (ko) 2010-09-15
KR101148363B1 true KR101148363B1 (ko) 2012-05-23

Family

ID=42677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461A KR101148363B1 (ko) 2009-03-04 2010-02-24 터치패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225613A1 (ko)
JP (1) JP2010205610A (ko)
KR (1) KR101148363B1 (ko)
CN (1) CN101825793B (ko)
TW (1) TWI4844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20868B2 (ja) * 2008-07-31 2011-07-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JP2010205611A (ja) * 2009-03-04 2010-09-16 Casio Computer Co Ltd タッチパネル
KR101082162B1 (ko) * 2009-12-03 2011-11-0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JP5496851B2 (ja) * 2010-10-22 2014-05-2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パネル
KR101178914B1 (ko) * 2010-10-29 2012-09-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CN103123547A (zh) * 2011-11-16 2013-05-29 宸鸿科技(厦门)有限公司 光学面板的堆叠结构及其制造方法
WO2014010594A1 (ja) * 2012-07-11 2014-01-16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及び電子情報機器
ITMO20130067A1 (it) * 2013-03-15 2014-09-16 Claudio Lucchese Substrato per la realizzazione di una pavimentazione sensibile e un metodo di rilevamento e visualizzazione in continuo di carichi sul substrato
KR20150095449A (ko) * 2014-02-13 2015-08-21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센서 및 제조방법
JP2016012120A (ja) * 2014-06-05 2016-01-2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6493608B1 (ja) * 2018-07-10 2019-04-03 Smk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6812A (ja) * 1995-04-14 1996-11-01 Catalysts & Chem Ind Co Ltd 透明描画タブレット
JP2005533323A (ja) * 2002-07-17 2005-11-0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微細構造化導電層を有する抵抗タッチセンサ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07337B1 (en) * 1998-09-10 2003-01-14 Gunze Limited Touch panel
JP3352972B2 (ja) * 1999-03-30 2002-12-03 エスエムケイ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入力装置
EP1190374B1 (en) * 1999-06-17 2003-05-02 Nissha Printing Co., Ltd. High-reliability touch panel
JP2002041231A (ja) * 2000-05-17 2002-02-08 Hitachi Ltd 画面入力型表示装置
JP2002055346A (ja) * 2000-08-11 2002-02-20 Sony Corp 液晶配向膜の形成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2287902A (ja) * 2001-01-17 2002-10-04 Seiko Epson Corp タッチパネル及び電子機器
JP4518681B2 (ja) * 2001-02-02 2010-08-04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液体封入タッチパネル
US6965375B1 (en) * 2001-04-27 2005-11-15 Palm, Inc. Compact integrated touch panel display for a handheld device
JP3916161B2 (ja) * 2004-01-06 2007-05-16 日本アイ・ビー・エム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および液晶セル
JP4457699B2 (ja) * 2004-03-04 2010-04-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調光材料およびこれを用いた車両
JP4821290B2 (ja) * 2005-12-01 2011-11-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JP2007324097A (ja) * 2006-06-05 2007-12-13 Fujikura Ltd スイッ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135291A (ja) * 2006-11-28 2008-06-12 Fujitsu Component Ltd 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4809783B2 (ja) * 2007-01-26 2011-11-09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モジュール
JP2008305036A (ja) * 2007-06-06 2008-12-18 Hitachi Displays Ltd タッチパネル付表示装置
CN101241255B (zh) * 2008-03-18 2010-06-09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触控式面板与触控式装置
JP4720868B2 (ja) * 2008-07-31 2011-07-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JP2010205611A (ja) * 2009-03-04 2010-09-16 Casio Computer Co Ltd タッチパネ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6812A (ja) * 1995-04-14 1996-11-01 Catalysts & Chem Ind Co Ltd 透明描画タブレット
JP2005533323A (ja) * 2002-07-17 2005-11-0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微細構造化導電層を有する抵抗タッチセン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25793B (zh) 2012-06-27
TW201042527A (en) 2010-12-01
US20100225613A1 (en) 2010-09-09
CN101825793A (zh) 2010-09-08
TWI484400B (zh) 2015-05-11
JP2010205610A (ja) 2010-09-16
KR20100100616A (ko) 201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8363B1 (ko) 터치패널
KR101078569B1 (ko) 터치패널 및 전자기기
TWI427525B (zh) 觸控面板
US11347338B2 (en) Detec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with detection function
US8111246B2 (en) Touch panel integrated flat display device
KR101003498B1 (ko) 용량성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367135B1 (ko)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JP5413171B2 (ja) タッチパネル
JP5392301B2 (ja) タッチパネル
JP5169911B2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5218336B2 (ja) タッチパネルと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US20090284493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coordinate position detecting device
JP5445516B2 (ja) タッチパネル
KR20020032838A (ko) 터치 패널 입력 장치
KR100331751B1 (ko) 터치 패널
JP2012003722A (ja) タッチパネル及び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