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7048B1 -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7048B1
KR101147048B1 KR1020100035064A KR20100035064A KR101147048B1 KR 101147048 B1 KR101147048 B1 KR 101147048B1 KR 1020100035064 A KR1020100035064 A KR 1020100035064A KR 20100035064 A KR20100035064 A KR 20100035064A KR 101147048 B1 KR101147048 B1 KR 101147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her liquor
high purity
aging
gel alumina
impurit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5639A (ko
Inventor
허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치엠알(Hmr)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치엠알(Hmr)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치엠알(Hmr)
Priority to KR1020100035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048B1/ko
Publication of KR20110115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7/00Compounds of aluminium
    • C01F7/02Aluminium oxide; Aluminium hydroxide; Aluminates
    • C01F7/46Purification of aluminium oxide, aluminium hydroxide or alumi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FCOMPOUNDS OF THE METALS BERYLLIUM, MAGNESIUM, ALUMINIUM, CALCIUM, STRONTIUM, BARIUM, RADIUM, THORIUM, OR OF THE RARE-EARTH METALS
    • C01F7/00Compounds of aluminium
    • C01F7/02Aluminium oxide; Aluminium hydroxide; Aluminates
    • C01F7/021After-treatment of oxides or hyd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80Compositional pur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mpounds Of Alkaline-Earth Elements, Aluminum Or Rare-Earth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순도 겔알루미나(Pseudo-boehimite)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반수산화알루미늄을 산에 용해시킨 후 숙성시키고. 상기 숙성된 모액에 불순물 제거제를 이용하여 숙성된 모액에 존재하는 불순물을 흡착?제거한 후, 모액을 중화하여 숙성시키고, 여과 및 세척?건조시킴으로써, 기존의 방법인 알루미늄알콕사이드를 이용하는 제조방법보다 경제적이면서 효율이 높고 품질이 우수한 고순도 겔알루미나를 취득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high purity gel-alumina}
본 발명은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일반수산화알루미늄을 묽은황산 용액에 용해시켜 용해된 액을 숙성시킨 후 소량의 흡착제를 사용하여 숙성된 용액 속의 불순물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순도가 높은 겔알루미나를 제조함으로써, 종래의 제조방법인 고가의 알루미늄알콕사이드를 가수분해하는 방법보다 까다로운 공정으로 인한 상용화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적인 정제공정을 포함함으로써 저비용의 친환경적이면서도 고순도의 겔알루미나를 제조할 수 있는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겔알루미나는 가성소다 15~25% 용액에 일반수산화알루미늄을 용해시켜 소듐알루미네이트(Sodium aluminate)를 만든 후 염산알루미늄으로 중화시켜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은 제조방법으로 상기 겔알루미나를 제조하는 것은 조작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순도가 낮으며, 약산성에서 풀어지는 성질을 갖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일반수산화알루미늄을 묽은황상 용액을 이용하여 용해시킨 후, 그 용해된 액을 숙성(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중, "숙성"이라 함은 용해된 상태에서 입자를 키우는 것을 말함)시켜 불순물들을 활성화시킨 후 펄프 재질의 흡착제를 이용하여 용해된 액에 존재하는 불순물을 흡착시킨 후 여과하여 용해된 액을 효과적으로 정제하고, 그 정제된 액을 중화하여 고순도 겔알루미나를 제조함으로써, 저비용, 고수율의 안정적인 방법으로 고순도 겔알루미나를 양산할 수 있는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일반수산화알루미늄을 용해한 후 숙성시키는 모액 준비단계와, 상기 모액 준비단계 후, 펄프를 첨가하여 준비된 모액으로부터 불순물을 흡착시키는 정제단계와, 상기 정제단계 후, 순도가 높은 겔 알루미나를 취득하는 취득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취득단계는, 불순물이 제거된 모액에 에탄올을 이용하여 석출시킨 후, 석출된 물질을 중화 및 숙성시킨 다음 여과 및 세척?건조시켜 고순도 겔알루미나를 취득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상기 모액 준비단계는, 묽은황산 용액과 일반수산화알루미늄을 용해조에 넣어 상기 일반수산화알루미늄을 용해시켜 모액을 만드는 용해공정과, 상기 용해공정을 통해 용해된 모액의 온도를 소정의 숙성시간 동안 천천히 내리면서 불순물을 숙성시키는 숙성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묽은황산 용액과 일반수산화알루미늄을 용해조에 넣어 상기 일반수산화알루미늄을 용해시켜 모액을 만드는 용해공정과, 상기 용해공정을 통해 용해된 모액의 온도를 소정의 숙성시간 동안 천천히 내리면서 불순물을 숙성시키는 숙성공정과, 상기 숙성공정을 거쳐 숙성된 모액에 펄프 재질의 흡착제를 첨가 분산시켜 모액 중의 불순물을 상기 흡착제에 흡착시키는 정제공정과, 상기 정제공정이 완료된 후 불순물을 흡착시킨 상기 펄프를 분리함과 아울러, 모액을 여과한 후 석출조로 보내는 제1여과공정과, 상기 제1여과공정 후 상기 석출조의 모액으로부터 에탄올을 이용하여 정제된 고형물을 석출하는 석출공정과, 상기 석출공정 후 석출된 석출물을 함유한 모액을 여과하여 여액은 에탄올을 회수하기 위해 증류조로 이송 후 증류하여 공정여액과 에탄올을 분리하여 재순환 시키는 증류공정과, 상기 석출공정에서 석출된 고형물을 중화조에서 약알카리로 중화시키는 겔을 만드는 중화공정과, 상기 중화공정에 의한 고형물의 중화 후 소정 온도까지 승온시킨 후 숙성시키는 겔숙성공정과, 상기 겔숙성공정에 의한 숙성 후 여과하여 고형물을 세척하는 제2여과공정과, 상기 제2여과공정에 의하여 세척된 고형물을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한 후 고순도 겔알루미나를 취득하는 건조공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용해공정은, 용해된 모액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80℃ 내지 100℃에서 2시간 이상 숙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숙성공정은, 그 숙성시간을 1시간 이상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제공정은,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공정액 1L/g 이상의 펄프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석출공정은, 상기 에탄올을 공정모액의 3% 내지 30%(V/V)까지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화공정은, 상기 석출공정에서 석출된 고형물을 중화하기 위해, 약알카리인
Figure 112010024216943-pat00001
,
Figure 112010024216943-pat00002
용액을 이용하여 PH4 내지 PH8로 중화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겔숙성공정은, 상기 중화공정을 통해 중화된 고형물을 묽은 산에 풀리는 겔알루미나의 제조를 위해 온도를 40℃ 내지 65℃에서 4시간 이상 유지하여 숙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공정은, 상기 겔숙성공정에서 숙성된 겔알루미나를 여과하고, 그 여과된 고순도 겔알루미나를 제거하기 위해 80℃ 내지 110℃에서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은, 펄프와 같은 흡착제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흡착시킴으로써 친환경적으로 고순도 겔알루미나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은, 비교적 제법이 용이한 약알카리 중화공정을 통해 석출물을 중화시키는 외에, 다양한 공정에 수반되는 중요한 조건을 제시함은 물론, 알루미늄알콕사이드를 이용하는 제조방법과 같은 조작이 어렵고 비용이 많은 공정을 대체함으로써, 순도가 높은 겔알루미나를 저비용으로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의 순차적 제조 공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의 순차적 제조 공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은, 황산알미늄 용액을 숙성시킨 후 불순물흡착제를 사용하여 상기 황산알미늄 용액 속에 존재하는 불순물을 흡착시켜 상기 황산알미늄 용액을 정제하고, 불순물이 흡착된 소량의 펄프 재질의 흡착제를 제거한 후, 정제된 상기 황산알미늄 용액은 에탄올로 석출을 시킨 후 여과한 다음, 여과된 석출물을 약산으로 중화시킨 후 가열하여 다시 숙성시킨 후 여과/건조하여 고순도의 겔알루미나를 취득하는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순도 수산화알루미늄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황산알미늄 용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10%의 황산 용액(묽은황산 용액)과 일반수산화알루미늄을 용해조에 넣은 후 100℃로 1시간 동안 가열하여 상기 일반수산화알루미늄을 용해시켜 모액을 만든 후 1시간에 걸쳐 상기 모액의 온도를 천천히 내리면서 불순물을 숙성시키는 모액 준비단계(S100)와, 상기 모액 준비단계(S100) 후, 펄프를 첨가하여 준비된 모액으로부터 불순물을 흡착시키는 정제단계(S200)와, 상기 정제단계(S200) 후, 순도가 높은 겔알루미나를 취득하는 취득단계(S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취득단계(S300)는, 불순물이 제거된 모액에 에탄올을 이용하여 석출시킨 후, 석출된 물질을 중화 및 숙성시킨 다음 여과 및 세척?건조시켜 고순도 겔알루미나를 취득하는 단계이다.
또한, 상기 정제단계(S200)는, 종래 모액속의 불순물을 종자와 함께 공침시키는 공침 방법 대신 펄프와 같은 흡착제를 이용하여 불순물을 흡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액 준비단계(S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10%의 황산 용액과 일반수산화알루미늄을 용해시켜 모액을 만드는 용해공정(S110)과, 상기 용해공정(S110)을 통해 용해된 모액의 온도를 소정의 숙성시간 동안 천천히 내리면서 불순물을 숙성시키는 숙성공정(S1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에 있어서, 가장 큰 특징은 상기 취득단계(S300) 중 석출된 물질을 중화시키는 것에 있다고 할 것이나, 그 외의 세분화된 공정들도 순도가 높은 겔알루미나를 제조함에 있어서 중요한 조건들을 가지고 있는 바, 상술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주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따른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보다 정밀한 조건들 하에서 상술한 실시예보다 상세하게 세분화된 공정을 거쳐 최종적인 겔알루미나를 취득할 수 있게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는,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황산알미늄 용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10%의 상기 황산 용액과 일반수산화알루미늄을 용해조에 넣어 100℃로 1시간 가열하여 일반수산화알루미늄을 용해시켜 모액을 만드는 용해공정(S110)과, 상기 용해공정(S110) 후 1시간에 걸쳐 모액의 온도를 천천히 내려 불순물을 숙성시키는 숙성공정(S120)과, 상기 숙성공정(S120)을 거쳐 숙성된 모액에 펄프 재질의 흡착제를 첨가 분산시켜 모액 중의 불순물을 상기 흡착제에 흡착시키는 정제공정(S210)과, 상기 정제공정(S210)이 완료된 후 불순물을 흡착시킨 상기 펄프를 분리함과 아울러, 모액을 여과한 후 석출조로 보내는 제1여과공정(S310)과, 상기 제1여과공정(S310) 후 상기 석출조의 모액으로부터 에탄올을 이용하여 정제된 고형물을 석출하는 석출공정(S320)과, 상기 석출공정(S320) 후 석출된 석출물을 함유한 모액을 여과하여 여액은 에탄올을 회수하기 위해 증류조로 이송하여 증류한 후 공정여액과 에탄올을 분리하여 재순환시키는 증류공정(S330)과, 상기 석출공정(S320)에서 석출된 고형물을 중화조에서 약알카리로 중화시키는 겔을 만드는 중화공정(S340)과, 상기 중화공정(S340)에 의한 고형물의 중화 후 소정 온도까지 승온시킨 후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 고형물을 세척하는 제2여과공정(S350)과, 상기 제2여과공정(S350)에 의하여 세척된 고형물을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공정(S360)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1여과공정(S310)은, 불순물을 흡착시킨 상기 펄프를 세척 후 재활용폐기물로 활용하는 불순물흡착제 제거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탄올을 넣어 고형물을 석출시키는 상기 석출공정(S320)이 완료되면, 상기 증류공정(S330) 전에 상기 석출된 액을 고형물과 분리시키기 위해 여과하는 정제 여과공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제 여과공정에서 나오는 여액과 상기 석출공정(S320)에서 나오는 여액은 혼합된 후 글라스증류기에 넣고 가열하여 에탄올은 회수함과 아울러 나머지 여액은 공정여액으로 리싸이클(Recycle) 시킨다.
한편, 상기 중화공정(S340)은, 상기 고형물이 녹아 있는 중화조에 천천히 암모니아수로 PH=3~6까지 중화시켜 겔알루미나를 석출시킨 후, 온도를 50~60℃에서 약 5~8시간 숙성시킨 후 여과한 다음, 90~100℃로 건조시켜 약산성에 풀리는 특성을 가지는 고순도 겔알루미나를 만드는 과정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온도를 올릴 수 있는 글라스 재질로 만든 50L용량의 용해조에 소듐 알루미네이트(Sodium Aluminate) 공정모액을 제조하기 위해 10% 황산 용액(v/v) 30L를 만들어 넣고, 4.9kg정도의 일반수산화알루미늄을 첨가한 후, 수산화알루미늄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교반속도를 30RPM으로 교반하면서 온도를 95~100℃로 상승시킨다.(용해공정(S110))
다음으로, 상기 용해공정(S110)에 의하여 용해된 모액을 80~100℃에서 2시간 정도 유지시킨다.(숙성공정(S120) 여기서, 모액을 숙성시키기 위해서는 교반기를 정지시키거나 냉각을 위해 3RPM 정도의 속도로 천천히 교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1시간 이상에 걸쳐 모액온도를 50~60℃로 천천히 낮추어 모액을 숙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출원인은 상술한 대략의 조건 중 아래의 표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다양한 조건의 실험 결과 상기 숙성공정(S120)에서 숙성시간을 2시간 이상으로 하여야 가장 좋은 결과가 나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상기 숙성공정(S120)에서 2이상 이상 모액을 숙성할 경우 대표적인 불순물인 Fe는 6ppm, Ca는 3ppm 및 Na는 8ppm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숙성시간(분)
성분
30 60 120 180 240 300
Fe(ppm) 25 12 6 6 6 6
Ca(ppm) 6 4 3 3 3 3
Na(ppm) 12 10 8 8 8 7
공정모액의 숙성시간에 따른 고순도 겔알루미나의 불순물 함량
한편, 상기 숙성공정(S120)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공정모액에 함유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잘 숙성된 상기 공정모액에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리터당 제품 생산량이 가장 많은 동시에 불순물 제거율이 가장 높은 조건인 리터당 1g에 해당하는 흡착제인 펄프를 투입하고, 교반기 속도를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5RPM으로 올려 상기 펄프를 상기 공정모액에 분산시켜 20분간 불순물을 흡착시킨다.(정제공정(S210))
펄프사용량g/l 여과 후
공정모액 성분
0 0.2 0.4 0.6 0.8 1.0 1.5 2 3
Fe(ppm) 11 8 7 7 6 6 6 6 6
Ca(ppm) 5 4 4 4 4 3 3 3 3
공정모액 속의 불순물 제거를 위한 흡착제 펄프량에 따른 공정모액의 영향(모액온도 100℃, 교반속도 5RPM. 교반시간 20분)
반응시간(분)
성분
0 5 10 15 20 25
Fe(ppm) 11 2 2 2 2 2
Ca(ppm) 5 1 1 1 1 1
흡착제 반응시간에 따른 함유된 불순물의 변화(온도 95℃, 펄프사용량 1g/l, 교반속도 5RPM)
다음으로, 상기 정제공정(S210) 후, 정제된 상기 공정모액 속에 함유된 불순물을 흡착시킨 펄프를 제거하기 위해 모액 1
Figure 112010024216943-pat00003
당 가로×세로 25cm×25cm 여과 면적의 Poly ethylene 재질의 여포를 부착한 필터 여과기(Filter press)를 이용하여 2기압 압력으로 여과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깨끗한 공정모액은 물이 포함된 중화조로 보내고, 불순물을 흡착시킨 펄프는 세척 후 재활용 폐기물로 처리한다.(제1여과공정(S310))
상기 제1여과공정(S310)에 의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정제된 공정모액은 온도 30℃로 유지시키고, 석출물이 부상할 수 있도록 석출조의 교반기 속도를 15RPM으로 증가시키고, 석출을 돕기 위해 에탄올을 모액 1L당 60cc를 넣어 표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30℃ 이하에서 30분에 걸쳐 천천히 황산알미늄을 석출시킨다.(석출공정(S320))
에탄올(cc)
성분
30 40 60 80 100 120
석출물에 함유된 Na(ppm) 8 8 11 15 19 22
석출물에 함유된 Fe(ppm) 5 6 6 10 14 20
공정모액 1L당 에탄올 사용량에 따른 석출물의 불순물 함량관계(석출시간 2시간)
상기 석출공정(S320)에서 석출되고 남은 여액은 증류조로 보내 가열하고(증류공정(S330)), 에탄올이 함유된 공정여액으로 분리시킨 후 석출물은 이하의 중화공정(S340)을 위해 중화조로 보내고, 에탄올이 함유된 공정여액은 에탄올과 공정여액으로 분리시키기 위해 콘덴서가 부착된 글라스 증류기로 이송시킨 후 가열하여 에탄올을 증류함으로써 에탄올은 저장하여 재사용하고, 공정여액은 상기 용해공정(S110)의 용해조에 넣어 공정모액을 만드는데 재사용한다.
다음으로, 상기 석출공정(S320) 후 여과된 석출물은 교반기와 부착된 상태의 100L 용기에 물 50L를 넣은 중화조로 이송한 후 30RPM으로 교반기를 돌리면서 약알카리 화합물을 넣어 PH4~8까지 중화시킨 후(중화공정(S340)), 온도를 50~60℃까지 상승시킨 다음 교반기를 정지시키고, 50~60℃에서 2~3시간 숙성시킨 후 여과하여(제2여과공정(S350)) 뜨거운 물로 세척하여 케이크에 존재하는 불순물을 제거
한 후 11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에서 약 24시간 건조시켜(건조공정(S360)) 품질이 우수한 약산에 풀리는 고순도 겔알루미나를 취득한다.
여기서, 상기 중화공정(S340)에서 투입되는 약알카리 화합물로는
Figure 112010024216943-pat00004
,
Figure 112010024216943-pat00005
용액이 이용될 수 있다.
종류
성분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고순도 겔알루미나 종래의 고순도 겔알루미나 종래 일반화수산화알루미늄
Figure 112010024216943-pat00006
>99.99 >99.99 >99.7
Na ppm >15 >15 >200
Fe ppm >10 >10 >100
Si ppm >2 >10
Ti ppm >3 >5 >40
Mg ppm >2 >5 >30
Ca ppm >2 >5 >30
소성감량 % 25 25
Surface Area(
Figure 112010024216943-pat00007
/g)
<250 <250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한 고순도 겔알루미나와 종래 고순도 겔알루미나와의 비교
이상, 본 발명에 따른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또는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S100: 모액 준비단계 S110: 용해공정
S120: 숙성공정 S200: 정제단계
S210: 정제공정 S300: 취득단계
S310: 제1여과공정 S320: 석출공정
S330: 증류공정 S340: 중화공정
S350: 제2여과공정 S360: 건조공정
S370: 취득공정

Claims (10)

  1. 일반수산화알루미늄을 용해한 후 숙성시키는 모액 준비단계와;
    상기 모액 준비단계 후, 펄프를 첨가하여 준비된 모액으로부터 불순물을 흡착시키는 정제단계와;
    상기 정제단계 후, 순도가 높은 겔 알루미나를 취득하는 취득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취득단계는, 불순물이 제거된 모액에 에탄올을 이용하여 석출시킨 후, 석출된 물질을 중화 및 숙성시킨 다음 여과 및 세척?건조시켜 고순도 겔알루미나를 취득하는 단계인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액 준비단계는,
    묽은황산 용액과 일반수산화알루미늄을 용해조에 넣어 온도를 상승시킨 후 상기 일반수산화알루미늄을 용해시켜 모액을 만드는 용해공정과;
    상기 용해공정을 통해 용해된 모액의 온도를 소정의 숙성시간 동안 천천히 내리면서 불순물을 숙성시키는 숙성공정을 포함하는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
  3. 묽은황산 용액과 일반수산화알루미늄을 용해조에 넣어 온도를 상승시킨 후 상기 일반수산화알루미늄을 용해시켜 모액을 만드는 용해공정과;
    상기 용해공정을 통해 용해된 모액의 온도를 소정의 숙성시간 동안 천천히 내리면서 불순물을 숙성시키는 숙성공정과;
    상기 숙성공정을 거쳐 숙성된 모액에 펄프 재질의 흡착제를 첨가 분산시켜 모액 중의 불순물을 상기 흡착제에 흡착시키는 정제공정과;
    상기 정제공정이 완료된 후 불순물을 흡착시킨 상기 펄프를 분리함과 아울러, 모액을 여과한 후 석출조로 보내는 제1여과공정과;
    상기 제1여과공정 후 상기 석출조의 모액으로부터 에탄올을 이용하여 정제된 고형물을 석출하는 석출공정과;
    상기 석출공정 후 석출된 석출물을 함유한 모액을 여과하여 여액은 에탄올을 회수하기 위해 증류조로 이송 후 증류하여 공정여액과 에탄올을 분리하여 재순환 시키는 증류공정과;
    상기 석출공정에서 석출된 고형물을 중화조에서 약알카리로 중화시키는 겔을 만드는 중화공정과;
    상기 중화공정에 의한 고형물의 중화 후 소정 온도까지 승온시킨 후 숙성시키는 겔숙성공정과;
    상기 겔숙성공정에 의한 숙성 후 여과하여 고형물을 세척하는 제2여과공정과;
    상기 제2여과공정에 의하여 세척된 고형물을 건조시켜 수분을 제거한 후 고순도 겔알루미나를 취득하는 건조공정을 포함하는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용해공정은,
    용해된 모액의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80℃ 내지 100℃에서 2시간 이상 숙성시키는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숙성공정은,
    그 숙성시간을 1시간 이상 유지하는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정제공정은,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 공정액 1L/g 이상의 펄프를 사용하는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석출공정은,
    상기 에탄올을 공정모액의 3% 내지 30%(V/V)까지 사용하는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중화공정은,
    상기 석출공정에서 석출된 고형물을 중화하기 위해, 약알카리인
    Figure 112011073621599-pat00008
    ,
    Figure 112011073621599-pat00009
    중 어느 하나의 용액을 이용하여 PH4 내지 PH8로 중화시키는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겔숙성공정은,
    상기 중화공정을 통해 중화된 고형물을 묽은 산에 풀리는 겔알루미나의 제조를 위해 온도를 40℃ 내지 65℃에서 4시간 이상 유지하여 숙성시키는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
  10.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정은,
    상기 겔숙성공정에서 숙성된 겔알루미나를 여과하고, 그 여과된 고순도 겔알루미나를 제거하기 위해 80℃ 내지 110℃에서 건조를 수행하는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
KR1020100035064A 2010-04-16 2010-04-16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 KR1011470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064A KR101147048B1 (ko) 2010-04-16 2010-04-16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064A KR101147048B1 (ko) 2010-04-16 2010-04-16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639A KR20110115639A (ko) 2011-10-24
KR101147048B1 true KR101147048B1 (ko) 2012-05-17

Family

ID=45030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064A KR101147048B1 (ko) 2010-04-16 2010-04-16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70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702B1 (ko) * 2011-11-28 2014-03-13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고순도 수산화 알루미늄의 제조방법
CN104528788B (zh) * 2014-12-22 2016-12-07 中国神华能源股份有限公司 多孔氧化铝气凝胶的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1837A (ja) * 1992-12-25 1994-07-12 Sumitomo Chem Co Ltd 高耐熱性水酸化アルミニウムの製造方法
KR20000040938A (ko) * 1998-12-21 2000-07-15 이구택 카올리나이트로부터 고순도 감마알루미나 제조방법
KR20050086252A (ko) * 2004-02-25 2005-08-30 (주)마이크로케미칼 고백색 수산화알루미늄 제조 방법
KR20050094555A (ko) * 2004-03-23 2005-09-28 (주)마이크로케미칼 초미립 수산화알루미늄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91837A (ja) * 1992-12-25 1994-07-12 Sumitomo Chem Co Ltd 高耐熱性水酸化アルミニウムの製造方法
KR20000040938A (ko) * 1998-12-21 2000-07-15 이구택 카올리나이트로부터 고순도 감마알루미나 제조방법
KR20050086252A (ko) * 2004-02-25 2005-08-30 (주)마이크로케미칼 고백색 수산화알루미늄 제조 방법
KR20050094555A (ko) * 2004-03-23 2005-09-28 (주)마이크로케미칼 초미립 수산화알루미늄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639A (ko) 2011-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7047B1 (ko) 고순도 알루미나 제조방법
KR20180064707A (ko) 고순도 나노 알루미나의 제조방법
KR100996472B1 (ko) 고순도 수산화알루미늄 제조방법
KR101147048B1 (ko) 고순도 겔알루미나 제조방법
CN101851240B (zh) 一种更昔洛韦的精制工艺
CN102923722B (zh) 白炭黑的制备方法
CN104445290A (zh) 一种膜法制备高纯无水碳酸钠的方法
CN101838750A (zh) 一种仲钨酸铵结晶母液直接调酸闭路循环的方法
CN104045551B (zh) 一种不合格柠檬酸钠母液的回收方法
KR101166503B1 (ko) 고순도 수산화알루미늄 제조방법
CN115321593A (zh) 一种氯氧化锆的制备方法
KR101149984B1 (ko) 폐동에칭용액으로부터 고순도 및 저염소의 황산동5수화물을 제조하는 방법
KR20050094555A (ko) 초미립 수산화알루미늄 제조방법
CN1055286C (zh) 胱氨酸联产无盐复合氨基酸的制备方法
KR101073726B1 (ko) 전기투석 및 직접회수방법을 이용한 당화액으로부터의 경제적인 자일로스의 제조공정
CN110980805A (zh) 一种高纯氧氯化锆溶液生产工艺
KR20050086251A (ko) 고순도 수산화알루미늄 제조 방법
KR101810454B1 (ko) 고순도 알루미나의 제조방법
CN1470459A (zh) 三氧化二钒还原尾气粉尘处理方法
JP4635314B2 (ja) 硫酸ナトリウムの製造方法
CN1260129C (zh) 氧化铝生产中浮游物处理方法
JP4337267B2 (ja) 高白色水酸化アルミニウムの製造方法
CN113683501B (zh) 一种含醋酸钠、二甲基乙酰胺废液的高效分离及回收方法
CN101579101B (zh) 一种处理味精末次母液的方法
CN105601499A (zh) 一种含硫酸钠的醋酸钠溶液的分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