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307B1 - 방충(防蟲)성을 가지는 기능성 담요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충(防蟲)성을 가지는 기능성 담요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307B1
KR101144307B1 KR1020110047212A KR20110047212A KR101144307B1 KR 101144307 B1 KR101144307 B1 KR 101144307B1 KR 1020110047212 A KR1020110047212 A KR 1020110047212A KR 20110047212 A KR20110047212 A KR 20110047212A KR 101144307 B1 KR101144307 B1 KR 101144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ete delete
insect repellent
washing step
polyest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7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양
박종관
김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우성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우성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우성업
Priority to KR1020110047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3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 A47G9/0223Blan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1/00Teasing, napping or otherwise roughening or raising pile of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2009/001Anti-allergen; Anti-mi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충성을 가지는 기능성 담요에 관한 것으로, 폴리에스터(Polyester) 섬유로 제조되는 방충성을 가지는 기능성 담요에 있어서, 폴리에스터 원단을 90 내지 180℃에서 1회 내지 10회로 폴리싱 공정을 수행하고, 1 내지 5회 기모 공정을 반복하여 전처리하는 전처리 공정단계, 폴리에스터 나염 염료, 증점제, 계면활성제를 서로 혼합하여 폴리에스터 섬유에 임의의 컬러를 인쇄하는 나염 공정단계, 상기 나염 공정된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를 폴리우레탄(Polyurethane)수지 0.1 내지 10.0중량%, 지방산유연제 0.1 내지 10.0중량%, 침투제 0.05 내지 0.15중량%, 방충제 0.1 내지 10.0중량%, 나머지는 물과 혼합된 혼합물로 망글배스(Bath)에서 패딩(Padding)하고 망글롤러를 통과(Pick up)시킨 후 상기 망글롤러를 통과한 섬유를 에어펌프를 통해 습윤을 제거한 후 다시 상기 혼합물을 이용하여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에 스프레이 분사시키고 스팀 건조를 이용하여 120 내지 180℃로 건조하는 방충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방충 처리된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를 폴리싱 공정과 기모 공정, 해모공정을 각각 수행하되, 상기 폴리싱 공정은 90 내지 180℃에서 1 내지 10회로 수행하고, 상기 기모 공정은 1 내지 10회로 수행하며, 상기 해모 공정은 1 내지 5회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나염 공정단계는 인날공정을 수행한 후 건조단계, 고착처리단계, 일반물로 세척하는 수세단계, 탕세단계, 환원세정단계, 탕세단계, 중화처리단계, 수세단계, 탈수단계 순으로 각각 진행하고, 상기 수세단계는 40 내지 60℃, 탕세단계는 40 내지 60℃, 환원세정은 70 내지 90℃로 1 내지 5분간 실시하며, 상기 환원세정 후에는 상기 탕세단계 60 내지 90℃, 시트리산(Citric acid) 2%를 이용한 중화처리, 수세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충(防蟲)성을 가지는 기능성 담요 제조방법{Functional blanket for with mothproof of manufacture method}
본 발명은 방충(防蟲)성을 가지는 기능성 담요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폴리에스터(Polyester)나 아크릴(Acryl) 담요에 방충성을 부가하여 인체에 유해한 진드기, 좀벌레 등의 해충 방지의 효과를 가지는 위생 담요를 제공할 수 있는 기능성 담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담요는 아크릴과 폴리에스터를 주원료로 하여 제조되고, 보온성이 크고 부드러운 촉감으로 인해 다양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담요는 아크릴과 폴리에스터를 혼합 또는 단독 적용하여 담요천을 짜는 제직공정, 제직된 담요천에 색상으로 그림을 그리는 나염공정, 나염이 완료된 담요천을 건조시켜 염료를 착색시키는 착색공정, 유연제를 첨가하여 착색이 완료된 담요천을 부드럽게 해주고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척공정, 세척이 완료된 담요천을 건조시키는 건조공정, 건조공정을 거친 담요천의 양면으로 칼라를 뽑아 양면에 나염한 효과를 내는 마감공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산업이 발달하고 생활이 윤택해지면서 인간의 의식주에도 많은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기본적이고 단순한 기능에서 벗어나 실용적이고 복합적인 기능들이 추가되면서 각양각색의 환경 친화적인 소재들이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웰빙한 삶을 추구하기 위하여 담요와 같은 침구품에도 사용함에 있어 보다 편안하고 건강적으로 유익하여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담요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였다.
한편, 담요로 제작되는 폴리에스테르나 아크릴과 같은 섬유에는 다양한 해충들이 존재할 수 있다. 특히, 여름철에 습기가 많이 발생할 경우 빠르게 번식하여 섬유속에 존재하는데, 이러한 해충들은 인체에 매우 유해하여 질병을 유발시킬 수 있으며, 특히 어린아이나 노약자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다.
따라서, 우리 생활의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는 담요에 해충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성 담요 개발이 필요하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 또는 아크릴로 제작되는 담요에 방충성을 부가하여 해충을 번식을 방지하여 보다 편리하게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성 담요를 제공하고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방충제 처리 과정에서 동일한 픽업과 균일한 픽업을 위하여 새로운 공정을 제공하여 방충 기능 저하를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방충성 담요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폴리에스터(Polyester) 섬유로 제조되는 방충성을 가지는 기능성 담요에 있어서, 폴리에스터 원단을 90 내지 180℃에서 1회 내지 10회로 폴리싱 공정을 수행하고, 1 내지 5회 기모 공정을 반복하여 전처리하는 전처리 공정단계, 폴리에스터 나염 염료, 증점제, 계면활성제를 서로 혼합하여 폴리에스터 섬유에 임의의 컬러를 인쇄하는 나염 공정단계, 상기 나염 공정된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를 폴리우레탄(Polyurethane)수지 0.1 내지 10.0중량%, 지방산유연제 0.1 내지 10.0중량%, 침투제 0.05 내지 0.15중량%, 방충제 0.1 내지 10.0중량%, 나머지는 물과 혼합된 혼합물로 망글배스(Bath)에서 패딩(Padding)하고 망글롤러를 통과(Pick up)시킨 후 상기 망글롤러를 통과한 섬유를 에어펌프를 통해 습윤을 제거한 후 다시 상기 혼합물을 이용하여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에 스프레이 분사시키고 스팀 건조를 이용하여 120 내지 180℃로 건조하는 방충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방충 처리된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를 폴리싱 공정과 기모 공정, 해모공정을 각각 수행하되, 상기 폴리싱 공정은 90 내지 180℃에서 1 내지 10회로 수행하고, 상기 기모 공정은 1 내지 10회로 수행하며, 상기 해모 공정은 1 내지 5회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나염 공정단계는 인날공정을 수행한 후 건조단계, 고착처리단계, 일반물로 세척하는 수세단계, 탕세단계, 환원세정단계, 탕세단계, 중화처리단계, 수세단계, 탈수단계 순으로 각각 진행하고, 상기 수세단계는 40 내지 60℃, 탕세단계는 40 내지 60℃, 환원세정은 70 내지 90℃로 1 내지 5분간 실시하며, 상기 환원세정 후에는 상기 탕세단계 60 내지 90℃, 시트리산(Citric acid) 2%를 이용한 중화처리, 수세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아크릴 섬유로 제조되는 방충성을 가지는 기능성 담요에 있어서, 염료, 복합호료, 계면활성제를 서로 혼합하여 상기 아크릴 섬유에 임의의 컬러를 인쇄하는 나염 공정단계, 상기 나염 공정된 상기 아크릴 섬유를 폴리우레탄(Polyurethane)수지 0.1 내지 10.0중량%, 지방산유연제 0.1 내지 10.0중량%, 침투제 0.05 내지 0.15중량%, 방충제 0.1 내지 10.0중량%, 나머지는 물과 혼합된 혼합물로 망글배스(Bath)에서 패딩(Padding)하고 망글롤러를 통과(Pick up)시킨 후 상기 망글롤러를 통과한 섬유를 에어펌프를 통해 습윤을 제거한 후 다시 상기 혼합물을 이용하여 상기 아크릴 섬유에 스프레이 분사시키고 스팀 건조를 이용하여 120 내지 180℃로 건조하는 방충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방충 처리된 상기 아크릴 섬유를 폴리싱 공정과 기모 공정, 해모공정을 각각 수행하되, 상기 폴리싱 공정은 90 내지 180℃에서 1 내지 10회로 수행하고, 상기 기모 공정은 1 내지 10회로 수행하며, 상기 해모 공정은 1 내지 5회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나염 공정단계는 인날공정을 수행한 후 건조단계, 고착처리단계, 물로 세척하는 수세단계, 탕세단계, 환원세정단계, 탕세단계, 중화처리단계, 수세단계, 탈수단계 순으로 각각 진행하고, 상기 수세단계는 40 내지 60℃, 탕세단계는 40 내지 60℃, 환원세정은 70 내지 90℃로 1 내지 5분간 실시하며, 상기 환원세정 후에는 상기 탕세단계 60 내지 90℃, 시트리산(Citric acid) 2%를 이용한 중화처리, 수세단계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방충성을 부가하여 좀벌레, 진드기, 바퀴벌레 등과 같은 해충의 번식을 차단함으로써 빈번한 세탁이나 자외선 건조 등과 같은 번거로움 없이 보다 편리하게 위생적으로 담요를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충제 처리공정은 에어펌프를 이용한 습윤 제거 공정과, 스프레이방식으로 재분사하여 방충제를 처리함으로써 동일한 픽업과 균일한 픽업을 유지할 수 있고, 내세탁성을 향상시켜 방충성을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충성을 가지는 기능성 담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충성을 가지는 기능성 담요는, 폴리에스터(Polyester) 섬유로 제조되는 방충성을 가지는 기능성 담요에 있어서, 폴리에스터 원단을 90 내지 180℃에서 1회 내지 10회로 폴리싱 공정을 수행하고, 1 내지 5회 기모 공정을 반복하여 전처리하는 전처리 공정단계, 폴리에스터 나염 염료, 증점제, 계면활성제를 서로 혼합하여 폴리에스터 섬유에 임의의 컬러를 인쇄하는 나염 공정단계, 상기 나염 공정된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를 폴리우레탄(Polyurethane)수지 0.1 내지 10.0중량%, 지방산유연제 0.1 내지 10.0중량%, 침투제 0.05 내지 0.15중량%, 방충제 0.1 내지 10.0중량%, 나머지는 물과 혼합된 혼합물로 망글배스(Bath)에서 패딩(Padding)하고 망글롤러를 통과(Pick up)시킨 후 상기 망글롤러를 통과한 섬유를 에어펌프를 통해 습윤을 제거한 후 다시 상기 혼합물을 이용하여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에 스프레이 분사시키고 스팀 건조를 이용하여 120 내지 180℃로 건조하는 방충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방충 처리된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를 폴리싱 공정과 기모 공정, 해모공정을 각각 수행하되, 상기 폴리싱 공정은 90 내지 180℃에서 1 내지 10회로 수행하고, 상기 기모 공정은 1 내지 10회로 수행하며, 상기 해모 공정은 1 내지 5회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나염 공정단계는 인날공정을 수행한 후 건조단계, 고착처리단계, 일반물로 세척하는 수세단계, 탕세단계, 환원세정단계, 탕세단계, 중화처리단계, 수세단계, 탈수단계 순으로 각각 진행하고, 상기 수세단계는 40 내지 60℃, 탕세단계는 40 내지 60℃, 환원세정은 70 내지 90℃로 1 내지 5분간 실시하며, 상기 환원세정 후에는 상기 탕세단계 60 내지 90℃, 시트리산(Citric acid) 2%를 이용한 중화처리, 수세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아크릴 섬유로 제조되는 방충성을 가지는 기능성 담요에 있어서, 염료, 복합호료, 계면활성제를 서로 혼합하여 상기 아크릴 섬유에 임의의 컬러를 인쇄하는 나염 공정단계, 상기 나염 공정된 상기 아크릴 섬유를 폴리우레탄(Polyurethane)수지 0.1 내지 10.0중량%, 지방산유연제 0.1 내지 10.0중량%, 침투제 0.05 내지 0.15중량%, 방충제 0.1 내지 10.0중량%, 나머지는 물과 혼합된 혼합물로 망글배스(Bath)에서 패딩(Padding)하고 망글롤러를 통과(Pick up)시킨 후 상기 망글롤러를 통과한 섬유를 에어펌프를 통해 습윤을 제거한 후 다시 상기 혼합물을 이용하여 상기 아크릴 섬유에 스프레이 분사시키고 스팀 건조를 이용하여 120 내지 180℃로 건조하는 방충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방충 처리된 상기 아크릴 섬유를 폴리싱 공정과 기모 공정, 해모공정을 각각 수행하되, 상기 폴리싱 공정은 90 내지 180℃에서 1 내지 10회로 수행하고, 상기 기모 공정은 1 내지 10회로 수행하며, 상기 해모 공정은 1 내지 5회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나염 공정단계는 인날공정을 수행한 후 건조단계, 고착처리단계, 물로 세척하는 수세단계, 탕세단계, 환원세정단계, 탕세단계, 중화처리단계, 수세단계, 탈수단계 순으로 각각 진행하고, 상기 수세단계는 40 내지 60℃, 탕세단계는 40 내지 60℃, 환원세정은 70 내지 90℃로 1 내지 5분간 실시하며, 상기 환원세정 후에는 상기 탕세단계 60 내지 90℃, 시트리산(Citric acid) 2%를 이용한 중화처리, 수세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충성을 가지는 기능성 담요는, 폴리에스터(Polyster), 아크릴 섬유 또는 이들의 혼합으로 제조되는 담요에 방충성을 부가하여 집진드기, 좀벌레, 파리, 모기 등 다양한 해충의 번식을 방지하여 위생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담요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기술적 요지로 한다. 또한, 방충 처리에서 폴리우레탄수지와 혼합하여 처리함으로써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습윤제거를 통한 동일한 픽업(Pick up)과 스프레이 분사를 통한 균일한 픽업을 유지시키고 내세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폴리에스터 섬유로 제작되는 담요의 제조방법으로는 전처리 공정, 나염공정, 폴리싱 공정, 기모 공정, 해모 공정으로 크게 구성된다.
전처리 공정은 폴리에스터 섬유로 직조된 담요원단에 전처리 공정 단계로 폴리싱 공정과 기모 공정을 진행한다. 폴리싱 공정은 90 ~ 180℃ 온도로 설정된 폴리싱 머신에 제직된 폴리에스터 원단을 투입하여 이 폴리싱 머신을 지나는 폴리에스터 원단의 원사에 함유된 기름성분을 제거하는 원사의 기름성분을 제거한다. 이러한 폴리싱 공정은 바람직하게 1 내지 10회 수행한다. 다음으로 폴리싱 공정 후에는 기모(napping) 공정을 거쳐 원하는 표면을 갖도록 기모 머신에 투입하여 원단 표면을 가공한다. 이때 기모 공정은 1~5회 실시한다.
이러한 폴리싱 공정과 기모 공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원하는 형태의 담요 원단을 우선적으로 제작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상기 폴리싱 공정과 기모 공정은 각각 2회씩 수행한다.
전처리된 폴리에스터 원단에 원하는 모양이나 문구, 컬러를 인쇄하기 위하여 나염 공정을 실시한다. 나염 공정은 인날 공정, 건조 공정, 고착 공정, 수세 공정, 탕세 공정, 환원세정 공정, 탕세 공정 ,중화처리 공정, 탈수 공정으로 진행한다.
먼저, 인쇄하고자 하는 색상을 가지는 염료, 증점제(알긴산 소오다),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인날 공정을 통해 원하는 형태로 인쇄한다. 그리고 인날 공정 후에는 인날 처리된 직물중량에 따라 120℃ ~ 160℃의 온도에서 180sec ~ 240sec의 시간으로 건조하는 건조 공정을 실시한다. 건조가 완료되면 인쇄된 염료를 고착시키기 위하여 고착 처리공정을 진행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염료는 안트라퀴논계 중 고일광, 고세탁이 우수한 염료만을 사용하였다. 상기 염료는 색상에 따라 0.001중량% 내지 7.0중량%, 증점제(알긴산 소오다)는 점도에 따라 1중량% 내지 15중량%, 계면활성제 0.5중량% 내지 5.0중량%를 나머지 중량%은 물로 혼합하여 100중량부에 대해 조성하였다.
상기 고착 처리공정은 건조된 직물에 100℃ ~ 105℃의 온도를 유지하는 고온의 증기를 분사하여 증열(steaming)함으로써 인쇄염료를 고착시키는데, 이때 175℃ 스티밍과 130℃ 스티밍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고착효율을 증진시킨다. 고착공정 후에는 40℃ ~ 50℃의 온수를 이용하여 증열 처리된 직물을 수세하여 직물에 잔존하는 화학물과 기타 불순물을 제거되도록 수세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날염 공정의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날염 후 40 내지 60℃에서 수세공정, 40 내지 60℃에서 탕세공정, 38°Be′NaOH 2㎖, Hydrosulfite 2g,Penta TK 2g를 혼합하여 70 내지 95℃에서 1 내지 5분간 환원세정하고, 다시 60 내지 90℃에서 탕세공정, 시트리산 2%를 혼합하여 중화처리한 후 수세와 탈수를 거쳐 날염된 섬유를 수세한다. 이는 다수의 반복 실험을 통해 최상의 견뢰도를 얻기 위해 미고착염료를 전량 탈락 시키고, 잔존하고 있는 불순물을 완전 제거하기 위한 반복 공정이다. 불순물 존재 시 방충제의 Pick up을 저하시키고, 품질저하가 올 수 있기 때문이다.
날염 공정 완료 후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방충성을 부가하기 위하여 방충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예로 본 발명에서는 방충성을 부가하기 위한 가공제로 다양한 가공제가 사용될 수 있다. 일예로 모기나 파리의 경우는 DEET(N,N-diethyl-m-toluamide)를 집진드기, 좀벌레의 경우는 함염소 유기화합물이나 무기 플루오르 화합물을 주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주식회사 디와이씨(DYC)의 제품명 PENTA PSA, PENTA CBL, PENTA CBL-3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요 기술적 요지에 따라 상기 방충 처리공정은 폴리우레탄(Polyurethane)수지를 적용하여 처리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우레탄수지는 MEK, Aceton, 1,4-DMF. Toluene등 BTX계 유기용제, Formalin등이 전혀 포함하지 않는 환경친화성 원료로만 사용하였다. 앞서 언급한 방충제 0.1 에서 10중량%와 폴리우레탄 수지를 혼합한 혼합물과 폴리에스터 섬유를 망글배스(Bath)에서 패딩(Padding) 후 픽업을 위하여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를 망글롤러로 통과시킨다. 방충 처리를 위한 혼합액의 상세한 조성은 혼합액 100중량부에 대해 폴리우레탄(Polyurethane)수지 0.1 내지 10.0중량%, 지방산유연제 0.1 내지 10.0중량%, 침투제 0.05 내지 0.15중량%, 방충제 0.1 내지 10.0중량%, 나머지 물과 혼합하여 조성한다.
상기 망글롤러에서 통과된 후에는 섬유에 에어펌프를 통해 표면에 고압흡습함으로써 습윤을 제거하여 동일한 픽업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습윤제거 후에는 다시 방충제를 스프레이 분사방식으로 표면에 분사하여 균일성을 확보시키고 스팀 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함으로써 방충처리를 실시한다.
다시 설명하자면, 본 발명에서는 에어범프를 통해 고압 분사하여 섬유 표면의 습윤을 제거하고, 스프레이 분사법을 통해 재분사함으로써 방충성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고, 우레탄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3차원 망사구조에 의한 고착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방충 처리가 완료된 원단에 대하여 마지막으로 폴리싱 공정, 기모 공정, 해모 공정을 각각 수행한다. 상기 전처리 공정에와 마찬가지로 폴리싱 공정은 90 ~ 180℃에서 1 ~ 10회 수행하며, 기모 공정은 1 ~ 10회, 해모 공정은 1 ~ 5회 실시한 후 다시 폴리싱 1 ~ 5회, 기모 공정 1 ~ 5회 두 번, 폴리싱 공정 90 ~ 180℃로 1 ~ 10회 진행하여 담요를 제조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방충성을 가지는 담요 제조에 있어, 폴리에스터외에 아크릴 섬유의 제조공정은 날염 공정, 방충 처리 공정, 폴리싱 공정, 기모 공정, 해모 공정으로 크게 구성된다. 여기서, 아크릴 섬유의 일예로는 아크릴로니트릴(Acrylonitrile :AN)을 중합하여 방사, 후처리 공정을 거쳐 아크릴 토우 섬유(Acrylic Tow Fiber)나 아크릴 스테이플 섬유(Acrylic Staple Fiber)상태로 생산되는 울(wool)타입의 섬유가 될 수 있다.
준비된 아크릴 섬유 원단으로 날염 공정을 실시한다. 날염 공정으로는 염료, 복합호료,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인날한다. 아크릴 섬유에는 폴리에스터와 다르게 아조염료를 사용하며, 그 조성비는 염료 0.001 내지 7.0중량%, 증점제(복합호료) 1 내지 10중량%, 계면활성제 0.5 내지 5.0중량%를 나머지 물과 혼합하여 아크릴 섬유를 인날한다.
인날 공정 후에는 수세 공정과 탕세 공정, 탈수 공정을 순차적으로 진행하는데, 바람직하게 탕세공정은 반복 3회를 실시한다. 더욱 바람직한 예로는 40 내지 60℃에서 수세 공정, 40 내지 60℃에서 반복 탕세 공정 및 탈수공정을 차례대로 실시한다.
날염 공정 후에는 방충 처리를 진행하며, 이 공정도 마찬가지로 폴리에스터 섬유 공정과 동일하다. 마지막으로 폴리싱 공졍, 기모 공정, 해모 공정도 폴리에스터 섬유 공정과 동일하게 진행하여 최종품을 완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충성을 가지는 기능성 담요를 아래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해 날염성, 방충제 동일성, 균일성, 온도유지율을 실시하였다.

구 분

날염성
(염료탈락)
방충제1)

동일성

균일성

실시예1

불량

보통

양호

실시예2

매우양호

매우양호

매우양호

실시예3

매우양호

매우양호

매우양호

비교예4

불량

불량

불량

비교예5

매우양호

양호

양호
[실시예 1]
폴리에스터 원단을 폴리싱 공정과 기모 공정을 반복하여 전처리하는 전처리 공정을 실시하고, 염료, 증점제(알긴산 소오다), 계면활성제를 서로 혼합하여 담요에 임의의 컬러를 인쇄하고 고착처리후 수세, 탕세, 탈수를 각 1회씩 수행하여 나염 공정을 실시하며, 상기 나염 공정된 섬유를 폴리우레탄(Polyurethane)수지 0.1 내지 10.0중량%, 지방산유연제0.1 내지 10.0중량%, 침투제 0.05 내지 0.15 중량%, 방충제 0.1 내지 10.0중량% 물과 혼합하여 망글배스(Bath)에서 패딩(Padding)한 후 망글롤러를 통과(Pick up)시키고 에어펌프를 통해 습윤을 제거한 후 건조하여 방충 처리하고, 마지막으로 폴리싱 공정과 기모 공정, 해모공정을 각각 수행함.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되, 나염공정에서 상기 수세단계는 40 내지 60℃, 탕세단계는 40 내지 60℃, 환원세정은 70 내지 90℃로 1 내지 5분간 실시하며, 상기 환원세정 후에는 상기 탕세단계 60 내지 90℃, 시트리산(Citric acid) 2%를 이용한 중화처리, 수세단계로 각각 수행하고, 방충제처리에서 에어펌프를 통한 습윤 제거 후 혼합액을 다시 스프레이 방식으로 원단에 분사시킨 후 건조시킴.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되, 방충 처리에서 스팀 건조기를 이용하여 120 내지 180℃로 건조시킴.
[비교예 4]
폴리에스터 섬유 또는 아크릴 섬유에 상기 실시예 1와 동일하되, 방충제를 단독 사용하여 망글배스에서 패딩한 후 바로 텐타 건조시킴.
[비교예 5]
폴리에스터 섬유 또는 아크릴 섬유에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하되, 방충제와 기존의 고착제를 혼합하여, 망글배스에서 패딩한 후 바로 텐타 건조시킴.
1). 방충제의 동일성과 균일성 결과는 다음의 공식을 통해 Pick up율 변화로 확인하였다.
TW=(W-WO)/WO × 100
TW = Pick up율
WO = 섬유제품의 함수전 중량
W = 섬유제품을 물속에 담궜다가 망글에 짠 무게


구분

방충효과(초기)2 )

방충효과(세탁 3회)

방충효과(세탁 6회)

초기

감소율

초기

감소율

초기

감소율

실시예1

100%

97%

100%

89%

100%

87%

실시예2

100%

97%

100%

92%

100%

90%

실시예3

100%

97%

100%

96%

100%

95%

비교예4

100%

96%

100%

62%

100%

42%

비교예5

100%

95%

100%

69%

100%

57%
2). 방충효과는 프라스틱제 접시에 각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원단을 동일한 크기로 준비한 후 상기 프라스틱제 접시 주변에 약 30,000마리/g 농도의 2종의 집먼지진드기배지를 균일하게 펴놓고, 24시간 동안 방치한 다음 상기 프라스틱제 접시에 침입한 생존 진드기의 개체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방충효과를 테스트 하였다. 초기, 세탁 3회, 세탁 6회 후에 각각 동일하게 실험하여 감소 후의 집먼지 수를 측정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방충성을 담요에 부가함으로써 위생적인 담요관리를 달성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폴리에스터(Polyester) 섬유로 제조되는 방충성을 가지는 기능성 담요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에스터 원단을 90 내지 180℃에서 1회 내지 10회로 폴리싱 공정을 수행하고, 1 내지 5회 기모 공정을 반복하여 전처리하는 전처리 공정단계;
    폴리에스터 나염 염료, 증점제, 계면활성제를 서로 혼합하여 폴리에스터 섬유에 모양이나 문구, 임의의 컬러를 인쇄하는 나염 공정단계;
    상기 나염 공정된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를 폴리우레탄(Polyurethane)수지 0.1 내지 10.0중량%, 지방산유연제 0.1 내지 10.0중량%, 침투제 0.05 내지 0.15중량%, 방충제 0.1 내지 10.0중량%, 나머지는 물과 혼합된 혼합물로 망글배스(Bath)에서 패딩(Padding)하고 망글롤러를 통과(Pick up)시킨 후 상기 망글롤러를 통과한 섬유를 에어펌프를 통해 습윤을 제거한 후 다시 상기 혼합물을 이용하여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에 균일성 확보를 위해 스프레이 분사시키고 스팀 건조를 이용하여 120 내지 180℃로 건조하는 방충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방충 처리된 상기 폴리에스터 섬유를 폴리싱 공정과 기모 공정, 해모공정을 각각 수행하되, 상기 폴리싱 공정은 90 내지 180℃에서 1 내지 10회로 수행하고, 상기 기모 공정은 1 내지 10회로 수행하며, 상기 해모 공정은 1 내지 5회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나염 공정단계는 인날공정을 수행한 후 건조단계, 고착처리단계, 일반물로 세척하는 수세단계, 탕세단계, 환원세정단계, 탕세단계, 중화처리단계, 수세단계, 탈수단계 순으로 각각 진행하고,
    상기 수세단계는 40 내지 60℃, 탕세단계는 40 내지 60℃, 환원세정은 70 내지 90℃로 1 내지 5분간 실시하며, 상기 환원세정 후에는 상기 탕세단계 60 내지 90℃, 시트리산(Citric acid) 2%를 이용한 중화처리, 수세단계를 포함하는 방충성을 가지는 기능성 담요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10047212A 2011-05-19 2011-05-19 방충(防蟲)성을 가지는 기능성 담요 제조방법 KR101144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212A KR101144307B1 (ko) 2011-05-19 2011-05-19 방충(防蟲)성을 가지는 기능성 담요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7212A KR101144307B1 (ko) 2011-05-19 2011-05-19 방충(防蟲)성을 가지는 기능성 담요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4307B1 true KR101144307B1 (ko) 2012-05-11

Family

ID=46271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7212A KR101144307B1 (ko) 2011-05-19 2011-05-19 방충(防蟲)성을 가지는 기능성 담요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3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069B1 (ko) * 2009-01-24 2009-10-27 김현희 폴리에스터 담요 제조방법
KR100933041B1 (ko) * 2007-10-15 2009-12-21 주식회사 태평양산업 방수투습 원단과 그 제조방법
KR20110001421A (ko) * 2009-06-30 2011-01-06 엄기영 다기능 복합캡슐이 함유된 직물원단 및 그 용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041B1 (ko) * 2007-10-15 2009-12-21 주식회사 태평양산업 방수투습 원단과 그 제조방법
KR100924069B1 (ko) * 2009-01-24 2009-10-27 김현희 폴리에스터 담요 제조방법
KR20110001421A (ko) * 2009-06-30 2011-01-06 엄기영 다기능 복합캡슐이 함유된 직물원단 및 그 용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1886B2 (ja) 種々の機能性加工を有する衣類
KR101469417B1 (ko) 인조모피 및 그 제조방법과 그 장치
KR101484893B1 (ko) 발수 기능을 갖는 편물용 원사의 제조방법
KR101278931B1 (ko) 음이온성을 갖는 기능성 담요 제조방법
CN108950807A (zh) 抗皱面料及其制备方法
CN108867038A (zh) 改性纤维面料的高效印染工艺
KR101278932B1 (ko) 소취 향균성을 갖는 기능성 담요 제조방법
JP5683847B2 (ja) 汗しみ抑制布帛の製造方法
KR101144307B1 (ko) 방충(防蟲)성을 가지는 기능성 담요 제조방법
KR101144300B1 (ko) 온감(溫感)성을 가지는 기능성 담요 제조방법
KR101333452B1 (ko) 발수원단 및 상기 발수원단 제작방법
KR101395670B1 (ko) 광물계 천연염료 염색장치 및 광물계 천연염료를 이용한 염색방법
TWI772427B (zh) 含纖維素撥水纖維之纖維集合體與其製造方法及纖維製品
KR101144304B1 (ko) 비타민을 함유한 기능성 담요 제조방법
KR20210007173A (ko) 물세탁이 가능한 양모직물을 포함하는 복합직물
KR100866241B1 (ko) 상이한 속성을 갖는 두 개의 면을 지닌 신속 건조 순면직물과 이의 제조방법
KR20090085244A (ko) 물세탁 가능한 실크 제조 방법
CN107130447B (zh) 采用活性染料染色大豆纤维的工艺
CN1332289A (zh) 生产耐收缩性及定形性好的可洗羊毛织品的方法及其织品
KR100565971B1 (ko) 구멍을 가진 직물의 제조방법
KR20210007174A (ko) 물세탁이 가능한 양모직물을 포함하는 복합직물을 이용하여 제작한 의류
CN113417092A (zh) 一种抗菌除螨防紫外线蚕丝面料的制备方法
JPH0551877A (ja) スエード調布帛の製造方法
JP2006118096A (ja) セルロース系繊維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43462B1 (ko) 티셔츠의 에리 형태안정화 가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