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452B1 - 발수원단 및 상기 발수원단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발수원단 및 상기 발수원단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452B1
KR101333452B1 KR1020120052872A KR20120052872A KR101333452B1 KR 101333452 B1 KR101333452 B1 KR 101333452B1 KR 1020120052872 A KR1020120052872 A KR 1020120052872A KR 20120052872 A KR20120052872 A KR 20120052872A KR 101333452 B1 KR101333452 B1 KR 101333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yarn
water repellent
repelle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은효
Original Assignee
조은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은효 filed Critical 조은효
Priority to KR1020120052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4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4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1/00Successive treatments of textile materials by liquids, gases or vapou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수원단 및 상기 발수원단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작방법은, 천연섬유가 포함되어 있는 원사(原絲)를 발수액에 침지시켜 원사의 조직내에 발수액을 침투시킴과 아울러 원사의 표면에 발수액이 코팅되도록 하는 원사발수액침지단계와; 상기 원사발수액침지단계를 마친 원사를 탈수 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원사에 열을 가하여 발수액을 원사에 고착시키는 원사열세팅단계와; 상기 원사열세팅단계를 마친 원사를 제직하여 원단을 제작하는 제직단계와; 상기 제직단계를 통해 만들어진 원단을 염색하는 원단염색단계와; 상기 원단염색단계를 마친 원단을 수세하여 유연처리하는 유연처리단계와; 상기 유연처리단계가 완료된 원단을 건조시킨 후 폭방향으로 펼쳐 가열하는 텐타(tenter)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방법으로 제작된 본 발명의 발수원단은, 원단을 구성하는 원사의 조직 내에 발수액이 아예 침투됨은 물론 더 나아가 상기 원사가 발수액에 완전히 코팅되어 있으므로, 통기성 발수능력이 매우 뛰어나고 오래간다.

Description

발수원단 및 상기 발수원단 제작방법{Water repellent fabric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Water repellent fabric}
본 발명은 발수원단 및 상기 발수원단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천연섬유에는, 합성섬유에 비해 강도가 강하고 튼튼하며, 반복세탁에 대한 내구성이 뛰어난 종류가 제법 많다. 더우기 천연섬유는 합성섬유에 비해 흡수성과 보온성과 감촉이 뛰어나 위생적이고 착용감이 좋다는 장점이 있어 원단으로 제직(製織)되어 옷감 등으로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천연섬유가 상기한 많은 장점을 가지기는 하지만 물을 쉽게 흡수하는 친수성이 있기 때문에, 가령 천연섬유로 이루어진 원단은 습기를 쉽게 머금어 수축된다는 불편이 있다. 따라서 천연섬유 원단으로 만들어진 의류의 경우, 이를테면 장마철에 습기에 의해 수축되거나, 비오는 날 빗물에 쉽게 젖어 착용감을 급격히 저하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원단에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여러 기술이 제안된 바 있으나, 제안된 종래 기술은 원단의 표면에 코팅액을 단지 코팅하는 등의 것으로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발수성능이 급격히 저하 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원단을 구성하는 원사의 조직 내에 발수액이 아예 침투됨은 물론 더 나아가 상기 원사가 발수액에 완전히 코팅되어 있으므로, 통기성 발수능력이 매우 뛰어나고 오래가는 발수원단 및 상기 발수원단 제작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수원단 제작방법은, 천연섬유가 포함되어 있는 원사(原絲)를 발수액에 침지시켜 원사의 조직내에 발수액을 침투시킴과 아울러 원사의 표면에 발수액이 코팅되도록 하는 원사발수액침지단계와; 상기 원사발수액침지단계를 마친 원사를 탈수 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원사에 열을 가하여 발수액을 원사에 고착시키는 원사열세팅단계와; 상기 원사열세팅단계를 마친 원사를 제직하여 원단을 제작하는 제직단계와; 상기 제직단계를 통해 만들어진 원단을 염색하는 원단염색단계와; 상기 원단염색단계를 마친 원단을 수세하여 유연처리하는 유연처리단계와; 상기 유연처리단계가 완료된 원단을 건조시킨 후 폭방향으로 펼쳐 가열하는 텐타(tenter)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원단염색단계와 유연처리단계의 사이에 행해지는 단계로서, 상기 원단염색단계를 마친 원단을 발수액에 침지시켜 원단을 구성하는 원사에 발수액을 코팅하는 원단발수액침지단계와; 상기 원단발수액침지단계를 완료한 원단을 건조시킨 후 가열하여 상기 발수액이 원사에 고착되게 하는 원단열세팅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수원단 제작방법은, 천연섬유가 포함되어 있는 원사를 발수액에 침지시켜 원사의 조직내에 발수액을 침투시킴과 아울러 원사의 표면에 발수액이 코팅되도록 하는 원사발수액침지단계와; 상기 원사발수액침지단계를 마친 원사를 탈수 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원사에 열을 가하여 발수액을 원사에 고착시키는 원사열세팅단계와; 상기 원사열세팅단계를 통해 열세팅이 완료된 원사를 염색하는 원사염색단계와; 상기 원사염색단계를 마친 원사를 건조한 후 제직하여 원단을 제작하는 제직단계와; 상기 제직단계를 통해 만들어진 원단을, 폭방향으로 펼쳐 가열하는 텐타(tenter)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직단계와 텐타단계의 사이에 행해지는 단계로서, 상기 제직단계를 통해 만들어진 원단을 발수액에 침지시켜 원단을 구성하는 원사에 발수액을 코팅하는 원단발수액침지단계와; 상기 원단발수액침지단계를 마친 원단을 건조 시킨 후 가열하여 상기 발수액이 원사에 고착되게 하는 원단열세팅단계와; 상기 원단열세팅단계를 수행한 원단을 수세하여 유연처리하는 유연처리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수원단 제작방법은, 천연섬유가 포함되어 있는 원단을 발수액에 침지시켜, 원단을 구성하는 원사의 조직 내부에 발수액을 침투시킴과 아울러 원사의 표면에 발수액이 코팅되도록 하는 원단발수액1차침지단계와; 상기 원단발수액1차침지단계를 마친 원단을 건조 후 가열하여 상기 발수액이 원사에 고착되도록 하는 1차열세팅단계와; 상기 1차열세팅단계가 완료된 원단을 염색하는 염색단계와; 상기 염색단계를 마친 원단을 건조 후 발수액에 다시 침지시켜, 원사에 발수액을 코팅하는 원단발수액2차침지단계와; 상기 원단발수액2차침지단계를 마친 원단을 건조시킨 후 가열하여, 발수액을 원사에 고착시키는 2차열세팅단계와; 상기 2차열세팅단계가 완료된 후 원단을 수세하여 유연처리하는 유연처리단계와; 상기 유연처리단계를 마친 원단을 폭방향으로 펼쳐 가열하는 텐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수원단은, 천연섬유가 포함되어 있는 원사(原絲)를 발수액에 침지시켜 원사의 조직내에 발수액을 침투시킴과 아울러 원사의 표면에 발수액이 코팅되도록 하는 원사발수액침지단계와; 상기 원사발수액침지단계를 마친 원사를 탈수 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원사에 열을 가하여 발수액을 원사에 고착시키는 원사열세팅단계와; 상기 원사열세팅단계를 마친 원사를 제직하여 원단을 제작하는 제직단계와; 상기 제직단계를 통해 만들어진 원단을 염색하는 원단염색단계와; 상기 원단염색단계를 마친 원단을 수세하여 유연처리하는 유연처리단계와; 상기 유연처리단계가 완료된 원단을 건조시킨 후 폭방향으로 펼쳐 가열하는 텐타(tenter)단계와; 상기 원단염색단계와 유연처리단계의 사이에 행해지는 단계로서, 상기 원단염색단계를 마친 원단을 발수액에 침지시켜 원단을 구성하는 원사에 발수액을 코팅하는 원단발수액침지단계와; 상기 원단발수액침지단계를 완료한 원단을 건조시킨 후 가열하여 상기 발수액이 원사에 고착되게 하는 원단열세팅단계가 더 포함된 방법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수원단은, 천연섬유가 포함되어 있는 원사를 발수액에 침지시켜 원사의 조직내에 발수액을 침투시킴과 아울러 원사의 표면에 발수액이 코팅되도록 하는 원사발수액침지단계와; 상기 원사발수액침지단계를 마친 원사를 탈수 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원사에 열을 가하여 발수액을 원사에 고착시키는 원사열세팅단계와; 상기 원사열세팅단계를 통해 열세팅이 완료된 원사를 염색하는 원사염색단계와; 상기 원사염색단계를 마친 원사를 건조한 후 제직하여 원단을 제작하는 제직단계와; 상기 제직단계를 통해 만들어진 원단을, 폭방향으로 펼쳐 가열하는 텐타(tenter)단계와; 상기 제직단계와 텐타단계의 사이에 행해지는 단계로서, 상기 제직단계를 통해 만들어진 원단을 발수액에 침지시켜 원단을 구성하는 원사에 발수액을 코팅하는 원단발수액침지단계와; 상기 원단발수액침지단계를 마친 원단을 건조 시킨 후 가열하여 상기 발수액이 원사에 고착되게 하는 원단열세팅단계와; 상기 원단열세팅단계를 수행한 원단을 수세하여 유연처리하는 유연처리단계가 더 포함된 방법을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수원단은, 천연섬유가 포함되어 있는 원단을 발수액에 침지시켜, 원단을 구성하는 원사의 조직 내부에 발수액을 침투시킴과 아울러 원사의 표면에 발수액이 코팅되도록 하는 원단발수액1차침지단계와; 상기 원단발수액1차침지단계를 마친 원단을 건조 후 가열하여 상기 발수액이 원사에 고착되도록 하는 1차열세팅단계와; 상기 1차열세팅단계가 완료된 원단을 염색하는 염색단계와; 상기 염색단계를 마친 원단을 건조 후 발수액에 다시 침지시켜, 원사에 발수액을 코팅하는 원단발수액2차침지단계와; 상기 원단발수액2차침지단계를 마친 원단을 건조시킨 후 가열하여, 발수액을 원사에 고착시키는 2차열세팅단계와; 상기 2차열세팅단계가 완료된 후 원단을 수세하여 유연처리하는 유연처리단계와; 상기 유연처리단계를 마친 원단을 폭방향으로 펼쳐 가열하는 텐타단계를 포함하여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발수원단은, 원단을 구성하는 원사의 조직 내에 발수액이 아예 침투됨은 물론 더 나아가 상기 원사가 발수액에 완전히 코팅되어 있으므로, 통기성 발수능력이 매우 뛰어나고 오래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발수원단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발수원단 제작방법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발수원단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발수원단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발수원단 제작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라 제작된 발수원단의 조직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발수원단은, 천연섬유 또는 천연섬유가 포함되어 있는 혼방섬유로 이루어진 원사를 경사 및 위사로 하여 직조(織造)한 것으로서, 제 1 실시예와 제 3실시예는 상기 원사를 원사 상태로 발수처리 한 후 이를 제직(製織)한 것이고, 제 2실시예 및 제 4실시예는 원단으로 제직한 후에 발수처리를 한 번 더 수행한 것이다. 또한 제 5실시예는 제직이 완료된 상태로, 발수처리를 몇 회에 걸쳐 반복한 것이다.
상기 공정을 통해 발수액은 원사의 조직 내부로 침투함은 물론 원사 표면에 코팅되어 매우 견고한 발수능력을 발휘한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발수 원단은, 경사와 위사로 제직(製織)(weaving)된 것으로서, 편성(編成)(편직, knitting)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발수원단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발수원단 제작방법은, 원사발수액침지단계(100)를 포함한다. 상기 원사발수액침지단계(100)는 미리 만들어진 원사(도 6의 17)를 발수액의 내부에 침지시켜, 발수액이 원사의 내부 조직에 침투하게 함은 물론 원사의 표면을 감싸 코팅하게 하는 과정이다.
상기 원사는 발수원단(도 6의 11)을 구성하는 경사(13)(經絲)와 위사(15)(緯絲)로서, 위에 설명한 바와같이, 천연섬유로 만들어진 것이거나, 천연섬유가 포함된 것이다.
상기 발수액의 농도는 원사의 종류나 굵기에 따라 달라진다. 또한 상기 원사의 발수액내 침지시간은 대략 30분 내지 2시간 정도이다, 하지만 상기 침지시간은 발수액의 농도나 첨가 촉매제 등의 부가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원사발수액침지단계(100)에 이어서 탈수단계(102)가 수행된다. 상기 탈수단계(102)는 발수액을 머금은 원사를 발수액으로부터 꺼내어 탈수장치(미도시)에 넣고, 발수액에 코팅되고 남은 잉여 발수액을 탈락시키는 과정이다.
상기 탈수단계(102)가 완료되었다면 불완전건조단계(104)나 건조단계(106)를 수행한다. 불완전건조단계(104)를 할지 건조단계(106)를 이어갈지는 원사의 발수된 정도와 주문자의 요구조건 등에 따라 결정된다. 즉, 경우에 따라, 탈수단계(102) 후 불완전건조단계(104)를 거쳐 원사발수액침지단계(100)를 반복할 수 도 있고, 곧바로 건조단계(106)로 넘어갈 수 도 있는 것다.
상기 불완전건조단계(104)는 원사발수액침지단계(100)를 반복하기 위한 과정이다. 즉 원사발수액침지단계(100)를 2회 이상 다수 회 반복하기 위해서는 탈수단계(102) 후에 불완전건조단계(104)를 수행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탈수단계(102) 후 (어떠한 이유로) 원사발수액침지단계(100)를 다시 진행 하고자 할 경우, 원사를 불완전하게 건조하여 원사발수액침지단계(100)를 반복하는 것이다.
상기 불완전건조단계(104)는 원사를 건조장치에 넣고 건조시키되, 완전하게 건조 시키는 것이 아니라, 원사의 내부에 습기가 얼마간 남아 있도록 건조하는 것이다. 불완전건조단계(104)의 탈수율은 대략 50% 내지 80% 정도로 맞춘다.
상기 원사에 대한 발수액의 침투 및 코팅이 충분하다면, 탈수단계(102)후 건조단계(106)를 진행한다. 상기 건조단계(106)는 건조장치를 이용하여 원사를 거의 완전히 건조하는 단계로서, 건조단계(106)를 마친 원사 조직 내부의 함습율은 불완전건조단계(104)보다 당연히 작다.
상기 건조단계(106)에 이어서 원사열세팅단계(108)가 수행된다.
상기 원사열세팅단계(108)는, 원사에 적용되어 있는 발수액을 원사에 고착시키는 과정으로서, 100℃ 내지 200℃의 온도 환경하에서 15분 내지 90분 정도로 진행한다. 이와같이 원사 및 발수액을 가열함에 따라 발수액이 원사의 조직 내부와 원사 표면에 완벽히 고착된다. 발수능력을 갖는 원사를 얻은 것이다.
이어지는 제직단계(110)는 열세팅이 완료된 원사를 경사와 위사로 하여 원단을 직조하는 과정이다. 상기 원단 제작과정 자체는 공지의 여러 방식을 취할 수 있다. 상기 제직단계(110)를 통해 만들어진 원단은 발수능력을 갖는 발수원단(도 6의 11)이다.
상기 제직단계(110)를 통해 발수원단(11)이 만들어졌다면, 제직과정시 붙은 각종 불순물을 제거하는 불순물제거단계(112)를 수행한다. 상기 불순물제거단계(112)로서 소핑(soaping)방식을 적용할 수 도 있다. 상기 소핑은 열비누액 처리로서, 원단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오일이나 왁스 또는 기타 오염물질을 제거하며 원단을 안정화 시킨다.
상기 불순물제거단계(112)가 완료된 후 원단염색단계(114)가 이어진다. 상기 원단염색단계(114)는 불순물의 제거가 완료되어 있는 발수원단(11)에 원하는 칼라나 종류의 염료를 염색하는 과정이다.
상기 원단염색단계(114)를 마친 후 유연처리단계(116)를 수행한다. 상기 유연처리단계(116)는 염색을 통해 뻣뻣해진 원단의 성질을 부드럽게 만들어주기 위한 것으로서, 염색을 마친 발수원단(11)을 섬유유연제가 투입되어 있는 물속에서 수세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유연처리단계(116)가 완료 된 후, 염색된 발수원단(11)을 탈수하는 탈수단계(118)를 진행한다. 상기 탈수단계(118)는 유연처리된 발수원단(11)으로부터 물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탈수단계(118)를 통해 물을 어느정도 제거했다면 건조단계(120)를 통해 발수원단(11)을 건조시킨다. 건조단계(120)를 위하여 스팀건조기 또는 열풍건조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건조방식은 여건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어서 텐타(tenter)단계(122)를 진행한다. 상기 텐타단계(122)는 텐타(tenter)장치를 이용하여, 발수원단(11)을 폭방향으로 팽팽하게 펼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이송시키며 가열하는 과정이다. 상기 텐타장치는 원단을 폭 방향으로 팽팽하게 편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이송시켜 말리는 기계이다.
상기 텐타단계(122)를 통해 제 1실시예에 따른 발수원단 제작 과정을 마무리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발수원단 제작방법을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과정을 의미한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발수원단 제작방법은, 원단에 강력한 발수능력을 부여하기 위하여, 원사상태에서 한 차례 발수처리하고, 원단상태에서 한 차례 더 발수처리 하는 특징을 갖는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발수원단 제작방법은, 상기 제 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원사발수액침지단계(100), 탈수단계(102), 불완전건조단계(104), 건조단계(106), 원사열세팅단계(108), 제직단계(110), 불순물제거단계(122), 원단염색단계(114)를 순차적으로 수행한 후 원단발수액침치단계(140)를 진행한다.
상기 원단발수액침지단계(140)는 염색을 마친 발수원단(11)을, 발수액 내에 침지시켜, 원단을 구성하는 원사의 표면에 발수액을 다시 한 번 코팅하는 과정이다. 상기 원단발수액침지단계(140)시 사용하는 발수액은 원사발수액침지단계(100) 때 사용한 발수액을 사용한다.
아울러 원단발수액침지단계(140)의 발수액 침지시간은, (원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대략 30분 내지 2시간 정도로 진행할 수 있다. 상기 발수액 침지시간도, 원단의 두께나 종류는 물론 발수액의 농도나 첨가 촉매제 등의 부가 여부에 따라 달라진다.
상기 원단발수액침지단계(140)가 완료되었다면 탈수단계(142)가 이어진다. 상기 탈수단계(142)는 원단에 코팅되지 않은 잉여 발수재를 탈락시키는 과정이다.
상기 탈수단계(142)를 통해 잉여 발수액이 어느 정도 탈락되었다면 불완전건조단계(144) 또는 건조단계(146)를 수행한다. 불완전건조단계(144)는 발수액에 2차 침지되었던 원단을 발수액에 다시 침지하기 위한 건조과정이고, 건조단계(146)는 원단열세팅단계(148)를 위한 전단계이다.
원사에 있어서의 불완전건조단계(104)와 건조단계(106)와 마찬가지로, 불완전건조단계(144)를 수행할지 건조단계(146)를 이어갈지는 필요에 따라 달라진다. 즉, 필요에 따라 상기 원단발수액침지단계(140)를 수 회 반복할 수 있으며, 그때 마다 불완전건조단계(144)가 선행된다. 경우에 따라 탈수단계(142) 후 건조단계(146)로 바로 이어질 수 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불완전건조단계(144)와 건조단계(146)는, 원사 상태에서 행해지는 불완전건조(104) 및 건조단계(106)와 동일한 방식으로 진행된다.
여하튼 상기 건조단계(146)가 완료되었다면 원단열세팅단계(148)가 이어진다. 상기 원단열세팅단계(148)는 원단발수액침지단계(140)를 통해 새로 코팅된 발수액을 원단에 고착시키는 과정이다. 원단열세팅단계(148)의 가열조건은 원사열세팅단계(108) 에서와 동일하다. 상기 원단열세팅단계(148)를 통해 원사에 발수액이 2중으로 코팅된 상태가 된다.
상기 원단열세팅단계(148)가 완료된 후, 상기한 유연처리단계(116)와, 탈수단계(118)와, 건조단계(120)와, 텐타단계(122)를 수행한 후 과정을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발수원단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블록도이다.
제 3실시예에 따른 발수원단 제작방법은, 제 1실시예의 제작방법과 유사하지만, 원사를 제직하기 전에 염색을 먼저 진행한다는 특지을 갖는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발수원단 제작방법은, 원사발수액침지단계(100), 탈수단계(102), 불완전건조단계(104), 건조단계(106), 원사열세팅단계(108)가 완료된 후 원사염색단계(124)를 수행함을 알 수 있다.
상기 원사염색단계(124)는, (상기 과정을 통해) 발수액이 고착되어 있는 원사를 염색하는 과정이다. 상기 염색에 사용되는 염료의 칼라나 종류가 경우에 따라 달라짐은 당연하다. 상기 원사염색단계(124)를 통해 칼라가 구현된 발수원사를 얻게 된다.
이어서 탈수단계(126)와 건조단계(128)를 통해 원사를 건조시킨 후 제직단계(130)를 준비한다. 상기 탈수단계(126)와 건조단계(128)는 도 1을 통해 설명한 탈수단계(118) 및 건조단계(120)와 동일한 과정이다.
상기 제직단계(130)는 염색이 완료된 발수성 원사를 경사 및 위사로 삼아 원단을 제작하는 단계이다. 이러한 제직단계(130)는 (염색된 것만 제외하면) 도 1에 설명한 제직단계(110)와 같은 방식이다.
상기 제직단계(130)를 통해 원단이 만들어진 후 불순물제거단계(132)를 수행한다. 상기 불순물제거단계(132)는 제직시 원단에 붙은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이다. 상기 불순물제거단계(132)는 도 1에 설명한 불순물제거단계(112)와 같은 단계이다.
상기 불순물제거단계(132)를 통해 원단의 불순물이 제거되었다면, 텐타단계(122)를 수행하여 발수원단(11)의 제작을 완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발수원단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제 4실시예에 따른 발수원단 제작방법은, 제 3실시예의 불순물제거단계(132)와 텐타단계(122) 사이에, 원단발수액침지단계(140)와, 탈수단계(142), 불완전건조단계(144), 건조단계(146), 원단열세팅단계(148), 유연처리단계(116), 탈수단계(118), 건조단계(120)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과정이다.
상기한 원단발수액침지단계(140)와, 탈수단계(142), 불완전건조단계(144), 건조단계(146), 원단열세팅단계(148), 유연처리단계(116), 탈수단계(118), 건조단계(120) 각각의 특징과 방식은 도 2를 통해 설명된 바와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발수원단 제작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발수원단 제작방법은, 직조된 원단을 정화처리하는 원단불순물제거단계(160)로 시작된다. 상기 원단불순물제거단계(160)는 원단에 붙어있는 각종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으로서 상기한 소핑공정을 통해 진행될 수 있다.
상기 원단불순물제거단계(160)가 완료된 후 탈수단계(162)와 건조단계(164)를 통해 원단을 건조시킨다.
상기 건조단계(164)가 완료된 후 원단발수액 1차침지단계(166)가 이어진다. 상기 원단발수액 1차침지단계(166)는 원단을, 준비되어 있는 발수액에 침지시켜, 발수액이, 원단을 구성하는 원사의 조직내부로 침투하게 함은 물론 원사의 표면에 코팅되도록 하는 과정이다.
상기 원단발수액 1차침지단계(166)를 마쳤다면 탈수단계(168)를 통해 잉여 발수액을 탈락시킨 후, 불완전건조단계(170)나 건조단계(172)를 수행한다. 상기 불완전건조단계(170)는 위에 설명한 바와같이 발수작업을 한 번 더 하기 위한 전단계이다. 상기와 같이 불완전건조단계(170)를 둠으로써 원단발수액 1차침지단계(166)를 여러 번 진행할 수 있다. 또한 건조단계(172)는 원단을 거의 완전히 건조하는 단계로서 원단발수액 1차침지단계(166)를 더 이상 할 필요가 없을 때 수행한다.
상기 불완전건조단계(170)와 건조단계(172)는 위에 설명한 불완전건조단계(144)와 건조단계(146)와 동일한 과정이다.
상기 건조단계(172)가 완료되었다면 1차열세팅단계(174)를 통해 발수액을 원단에 고착시킨다. 즉 원사에 일부가 스며있고 또한 원사에 코팅되어 있는 발수액을 원단과 함께 가열하여 발수액을 원단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1차열세팅단계(174)에 이어서 염색단계(176)가 이어진다. 상기 염색단계(176)는 1차열세팅을 통해 발수성이 부여된 원단에 염료를 가하여 원하는 칼라로 염색하는 과정이다.
상기 염색단계(176)를 마쳤다면, 탈수단계(178)와 건조단계(180)를 수행하여, 발수성 염색 원단을 건조시킨 후 원단발수액 2차침지단계(182)를 진행한다.
상기 원단발수액 2차침지단계(182)는, 염색되어 있는 원단의 표면에 발수액을 재차 코팅하는 단계로서, 상기한 원단발수액 1차침지단계(166)와 같은 방식으로 진행한다. 이와같이 염색층 표면에 발수액을 코팅함으로써 염색층이 공기와 차단되어 칼라의 선명성이 매우 길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원단발수액 2차침지단계(182)를 일단 마친 후 탈수단계(184)와 불완전건조단계(186)와 건조단계(188)가 수행된다. 상기 탈수단계(184)와 불완전건조단계(186)와 건조단계(188) 자체의 방식 및 처리 플로우는, 원단발수액 1차침지단계(166)시 행한 탈수단계(168), 불완전건조단계(170), 건조단계(172)의 경우와 동일하다.
여하튼 상기 원단발수액 2차침지단계(182)를 통한 발수액의 코팅이 충분히 이루어졌다면 건조단계(188)를 통해 원단을 건조시킨 후 2차열세팅단계(190)를 이어나간다.
상기 2차열세팅단계(190)는 원단발수액 2차침지단계(182)를 통해 발수액이 코팅된 원단을 가열하여, 상기 발수액이 원단의 표면에 완전히 고착되게 하는 과정이다.
상기 2차열세팅단계(190)를 마친 후 유연처리단계(116)와 탈수단계(118)와 건조단계(120)와 텐타단계(122)를 수행하고 모든 과정을 종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 예에 따라 제작된 발수원단(11)의 조직 구조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발수원단(11)을 구성하는 위사(16)와 경사(15)가 발수코팅층(19)에 의해 완전히 코팅되어 있다. 특히 상기 원사(17)와 원사의 사이에 통기공(2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통기공(21)은 물방울은 통과시키지 않고 습기만 통과시키는 사이즈의 구멍이다. 이러한 사이즈의 통기공(21)은 상기한 제직 과정시 얼마든지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발수원단 13:경사
15:위사 17:원사
19:발수코팅층 21:통기공

Claims (6)

  1. 삭제
  2. 천연섬유가 포함되어 있는 원사(原絲)를 발수액에 침지시켜 원사의 조직내에 발수액을 침투시킴과 아울러 원사의 표면에 발수액이 코팅되도록 하는 원사발수액침지단계와;
    상기 원사발수액침지단계를 마친 원사를 탈수 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원사에 열을 가하여 발수액을 원사에 고착시키는 원사열세팅단계와;
    상기 원사열세팅단계를 마친 원사를 제직하여 원단을 제작하는 제직단계와;
    상기 제직단계를 통해 만들어진 원단을 염색하는 원단염색단계와;
    상기 원단염색단계를 마친 원단을 수세하여 유연처리하는 유연처리단계와;
    상기 유연처리단계가 완료된 원단을 건조시킨 후 폭방향으로 펼쳐 가열하는 텐타(tenter)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원단염색단계와 유연처리단계의 사이에 행해지는 단계로서,
    상기 원단염색단계를 마친 원단을 발수액에 침지시켜 원단을 구성하는 원사에 발수액을 코팅하는 원단발수액침지단계와;
    상기 원단발수액침지단계를 완료한 원단을 건조시킨 후 가열하여 상기 발수액이 원사에 고착되게 하는 원단열세팅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원단 제작방법.
  3. 삭제
  4. 천연섬유가 포함되어 있는 원사를 발수액에 침지시켜 원사의 조직내에 발수액을 침투시킴과 아울러 원사의 표면에 발수액이 코팅되도록 하는 원사발수액침지단계와;
    상기 원사발수액침지단계를 마친 원사를 탈수 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와;
    상기 건조단계를 통해 건조된 원사에 열을 가하여 발수액을 원사에 고착시키는 원사열세팅단계와;
    상기 원사열세팅단계를 통해 열세팅이 완료된 원사를 염색하는 원사염색단계와;
    상기 원사염색단계를 마친 원사를 건조한 후 제직하여 원단을 제작하는 제직단계와;
    상기 제직단계를 통해 만들어진 원단을, 폭방향으로 펼쳐 가열하는 텐타(tenter)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직단계와 텐타단계의 사이에 행해지는 단계로서,
    상기 제직단계를 통해 만들어진 원단을 발수액에 침지시켜 원단을 구성하는 원사에 발수액을 코팅하는 원단발수액침지단계와;
    상기 원단발수액침지단계를 마친 원단을 건조 시킨 후 가열하여 상기 발수액이 원사에 고착되게 하는 원단열세팅단계와;
    상기 원단열세팅단계를 수행한 원단을 수세하여 유연처리하는 유연처리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원단 제작방법.
  5. 천연섬유가 포함되어 있는 원단을 발수액에 침지시켜, 원단을 구성하는 원사의 조직 내부에 발수액을 침투시킴과 아울러 원사의 표면에 발수액이 코팅되도록 하는 원단발수액1차침지단계와;
    상기 원단발수액1차침지단계를 마친 원단을 건조 후 가열하여 상기 발수액이 원사에 고착되도록 하는 1차열세팅단계와;
    상기 1차열세팅단계가 완료된 원단을 염색하는 염색단계와;
    상기 염색단계를 마친 원단을 건조 후 발수액에 다시 침지시켜, 원사에 발수액을 코팅하는 원단발수액2차침지단계와;
    상기 원단발수액2차침지단계를 마친 원단을 건조시킨 후 가열하여, 발수액을 원사에 고착시키는 2차열세팅단계와;
    상기 2차열세팅단계가 완료된 후 원단을 수세하여 유연처리하는 유연처리단계와;
    상기 유연처리단계를 마친 원단을 폭방향으로 펼쳐 가열하는 텐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원단 제작방법.
  6. 청구항 제2항 또는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발수원단 제작방법을 통해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수원단.
KR1020120052872A 2012-05-18 2012-05-18 발수원단 및 상기 발수원단 제작방법 KR101333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872A KR101333452B1 (ko) 2012-05-18 2012-05-18 발수원단 및 상기 발수원단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872A KR101333452B1 (ko) 2012-05-18 2012-05-18 발수원단 및 상기 발수원단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3452B1 true KR101333452B1 (ko) 2013-11-26

Family

ID=49858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872A KR101333452B1 (ko) 2012-05-18 2012-05-18 발수원단 및 상기 발수원단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45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893B1 (ko) * 2014-09-02 2015-01-22 김은숙 발수 기능을 갖는 편물용 원사의 제조방법
KR101860441B1 (ko) 2016-02-01 2018-05-23 조은효 발수성 울원사, 울원단, 울제품 제작방법 및 발수성 울원사, 울원단, 울제품
WO2020130193A1 (ko) * 2018-12-20 2020-06-25 주식회사 쇼미미디어앤트레이딩 방수 원단 제조방법
KR102218527B1 (ko) * 2020-09-15 2021-02-22 염대성 피부자극이 없는 친환경 원단을 제조하는 스마트공장 시스템 및 그 친환경 원단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6968A (ja) * 1992-11-26 1994-06-14 Unitika Ltd カーペット用パイル糸の製造方法
KR100341929B1 (ko) 1999-07-07 2002-06-26 양재훈 연사실의 방수코팅방법
KR20100021803A (ko) * 2008-08-18 2010-02-26 주식회사 코오롱 방탄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방탄 제품
KR20110010213U (ko) * 2010-04-22 2011-10-28 주식회사 쌍방울트라이그룹 투습 발수 면 원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66968A (ja) * 1992-11-26 1994-06-14 Unitika Ltd カーペット用パイル糸の製造方法
KR100341929B1 (ko) 1999-07-07 2002-06-26 양재훈 연사실의 방수코팅방법
KR20100021803A (ko) * 2008-08-18 2010-02-26 주식회사 코오롱 방탄용 직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방탄 제품
KR20110010213U (ko) * 2010-04-22 2011-10-28 주식회사 쌍방울트라이그룹 투습 발수 면 원단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893B1 (ko) * 2014-09-02 2015-01-22 김은숙 발수 기능을 갖는 편물용 원사의 제조방법
WO2016036034A1 (ko) * 2014-09-02 2016-03-10 김은숙 발수 기능을 갖는 편물용 원사의 제조방법
CN106605021A (zh) * 2014-09-02 2017-04-26 金恩淑 制备具有斥水功能的针织纱线的方法
JP2017527713A (ja) * 2014-09-02 2017-09-21 スク キム・ウン 撥水機能を有する編物用原糸の製造方法
US20170275800A1 (en) * 2014-09-02 2017-09-28 Eun Sook Kim Method for preparing knitting yarn having water repellent function
US10407813B2 (en) 2014-09-02 2019-09-10 Eun Sook Kim Method for preparing knitting yarn having water repellent function
KR101860441B1 (ko) 2016-02-01 2018-05-23 조은효 발수성 울원사, 울원단, 울제품 제작방법 및 발수성 울원사, 울원단, 울제품
WO2020130193A1 (ko) * 2018-12-20 2020-06-25 주식회사 쇼미미디어앤트레이딩 방수 원단 제조방법
KR102218527B1 (ko) * 2020-09-15 2021-02-22 염대성 피부자극이 없는 친환경 원단을 제조하는 스마트공장 시스템 및 그 친환경 원단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1022B2 (en) Garment having various functional finishes
KR101333452B1 (ko) 발수원단 및 상기 발수원단 제작방법
KR101484893B1 (ko) 발수 기능을 갖는 편물용 원사의 제조방법
KR101165931B1 (ko) 발수성섬유제품 및 상기 발수성섬유제품의 제작방법
JP5449257B2 (ja) シルク繊維の加工方法
KR101175900B1 (ko) 발수성 청의류 및 상기 청의류 제작방법
CN109537309B (zh) 一种涤纶起毛针织物品种平幅连续染色方法
KR20200117252A (ko) 이염 방지 처리된 청바지의 제조방법
CN110678601B (zh) 包含纤维素防水纤维的纤维集合体和其制造方法及纤维制品
JP2012246580A5 (ko)
KR100290316B1 (ko) 황토및갯벌을이용한천연섬유직·편물의콜드패드염색방법
JP6191891B2 (ja) 撥水性編成原緞製作方法及び撥水性編成原緞
KR101083770B1 (ko) 물세탁이 가능한 실크직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물세탁이 가능한 실크직물
KR102477865B1 (ko) 친환경적인 직물의 염색방법
US8685115B2 (en) Dye method in application of the art of marbling to carpets
CN110055698B (zh) 一种防沾色商标织带的制作方法
KR20090085244A (ko) 물세탁 가능한 실크 제조 방법
KR20150114269A (ko) 안료 염색 방법
TW202348867A (zh) 布料暈染之加工方法
KR100741188B1 (ko) 데님을 편물 짜기 하는 방법
KR20210046142A (ko) 미세먼지 차단 방충망 제조방법
TH15474C3 (th) ผ้าที่ผลิตจากเส้นใยสังเคราะห์ที่สามารถส่งผ่านน้ำจากด้านหนึ่งไปยังอีกด้านหนึ่งได้ดี และกรรมวิธีในการผลิตผ้าดังกล่าว
JPH06330468A (ja) 布帛の撥水加工方法
TH15474A3 (th) ผ้าที่ผลิตจากเส้นใยสังเคราะห์ที่สามารถส่งผ่านน้ำจากด้านหนึ่งไปยังอีกด้านหนึ่งได้ดี และกรรมวิธีในการผลิตผ้าดังกล่าว
JPH03213565A (ja) 防縮性絹織物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