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985B1 - 차량의 다용도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다용도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985B1
KR101143985B1 KR1020090117677A KR20090117677A KR101143985B1 KR 101143985 B1 KR101143985 B1 KR 101143985B1 KR 1020090117677 A KR1020090117677 A KR 1020090117677A KR 20090117677 A KR20090117677 A KR 20090117677A KR 101143985 B1 KR101143985 B1 KR 101143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otating shaft
vehicle
net
trans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1132A (ko
Inventor
양재민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7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985B1/ko
Publication of KR20110061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1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3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under a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05Nets or elastic pockets tensioned against walls or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미관이 개선되고, 사용이 간단하며, 수납물 지지력이 개선된 차량의 다용도 수납장치가 소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다용도 수납장치는 리어시트(S) 하단에 형성되며 일면이 개방된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양 측벽에 양 끝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2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일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200)이 회전되는 경우 역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00); 상기 회전축(200)에 감길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200)의 외주면에 일측이 고정 결합된 네트부(400); 및 상기 네트부(400)의 타측에 결합된 고정부(500)를 포함한다.
차량, 수납, 네트, 구동부, 복원력, 회전, 격벽

Description

차량의 다용도 수납장치{A MULTIPURPOSE RECEIV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다용도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하우징에 인출입 가능하게 설치하여 미관이 개선되고, 작동 과정이 간단하며, 수납물 지지력이 향상된 차량의 다용도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러기지룸에는 수납물 고정을 위한 러기지 네트가 장착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러기지 네트(1)는 모서리부가 러기지룸(R)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있어서, 러기지 네트(1)를 들어올린 후에 수납물(L)을 밀어넣어 고정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일반적인 러기지 네트(1)는 미사용시에도 항상 그 외관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미관이 저하되고, 러기지 네트(1)를 들어올린 후 수납물(L)을 고정시키는 구조상 여성이나 노약자들이 사용하기 불편하여 그 활용도가 저하되는 것은 물론, 수납물(L)을 고정시키는 힘이 미약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 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수납 가능한 네트부를 설치하여 미관이 개선되고, 간단한 동작만으로도 사용가능하며, 수납물 지지력이 향상된 차량의 다용도 수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다용도 수납장치는 리어시트 하단에 형성되며 일면이 개방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 양 측벽에 양 끝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이 회전되는 경우 역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상기 회전축에 감길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에 일측이 고정 결합된 네트부; 및 상기 네트부의 타측에 결합된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 측벽에 일단이 고정되고, 상기 회전축에 타단이 고정된 태엽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면으로 완전히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부의 상단 및 하단에는 각각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외측에는 고정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네트부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수 개의 종격벽과 횡격벽에 의해 형성된 수 개의 격자형 메쉬를 포함한다.
상기 횡격벽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수 개의 횡슬릿과 이 횡슬릿 각각 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1테더를 포함하고, 상기 종격벽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수 개의 종슬릿과 이 종슬릿 각각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2테더를 포함하되 상기 종슬릿 사이에 형성된 간격이 상기 횡슬릿 사이에 형성된 간격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종격벽의 일단은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측에는 상기 네트부 수납시 상기 종격벽이 상기 제2테더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전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의 내측에는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힌지가 결합되고, 상기 종격벽의 일단은 상기 힌지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력전달수단은 상기 힌지의 타단과 제3테더를 매개로 연결된 링부와 이 링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구는 일단의 외주면이 상기 링부의 외주면에 접하고 타단의 외주면에는 슬라이더가 돌출 형성된 제1회전봉과, 이 제1회전봉이 회전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그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굴곡 형성된 제2회전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횡격벽이 걸려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일면에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구성으로 인해 네트부 미사용시 하우징 내부에 수납함으로써 차량의 미관이 향상된다. 또한, 고정부를 당겨 고정시킨 후 미사용시 고정을 해제시키기만 하면 네트부가 하우징에 스스로 수납되는 바, 그 작동 및 조 작 과정이 간단하고 효율적이어서 여성이나 노약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수납물을 고정시키는 지지력이 향상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다용도 수납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다용도 수납장치는 하우징(100), 네트부(400) 및 고정부(500)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차량의 리어시트(S) 하단에 형성된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일면이 개방되는 바, 개방된 일면으로 네트부(400)의 일단이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또한, 네트부(400)의 타단은 고정부(500)와 결합된다. 고정부(500)는 이탈방지턱(510)과 걸림돌기를 포함한다. 이탈방지턱(510)은 개방된 하우징(100)으로 고정부(500) 전체가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기능을 하며, 걸림돌기는 차량의 매트에 형성된 홀에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네트부(400)를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한 후에 매트에 형성된 홀에 걸림돌기를 걸면, 네트부(400)가 인출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다용도 수납장치는 회전축(200)과 구동부(300)를 포함한다.
회전축(200)은 하우징(100) 내부의 양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회전축(200)의 외주면에는 네트부(400)의 일측이 결합된다. 네트부(400)가 하우징(100)에 인입된 상태에서는 네트부(400)가 회전축(200)에 감겨져 있고, 인출되 는 경우에는 회전축(200)으로부터 풀린다.
하우징(100)의 내부의 일 측벽에는 구동부(300)가 장착된다. 이러한 구동부(300)는 회전축(200)에 복원력을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사용자가 고정돌기(520,도 2참조)를 당겨 네트부(400)를 하우징(100)으로부터 인출할 수 있는 것은 회전축(200)이 회전되면서 네트부(400)가 회전축(200)으로부터 풀리기 때문이다. 이 때, 구동부(300)는 회전축(200)과 반대 방향으로 복원력을 축적하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네트부(400)를 사용한 후에 네트부(400)를 하우징(100)에 인입할 때에는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구동부(300)의 복원력에 의해서 네트부(400)는 자동적으로 하우징(100)의 내부로 인입된다.
이러한 구동부(300)는 복원력 축적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구성을 갖을 수 있는 바, 바람직하게는 태엽스프링(31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태엽스프링(310)을 하우징(100) 내부의 일 측벽에 고정한다. 태엽스프링(310)의 일단(외측 끝단)은 체결기구를 이용하여 하우징(100) 일 측벽에 고정하고, 타단(내측 끝단)은 회전축(200)에 체결기구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이 때, 회전축(200)의 일단은 태엽스프링(310)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장착한다. 따라서, 회전축(200)이 회전되는 경우, 원상태에 있던 태엽스프링(310)은 내측 끝단부터 회전축(200)에 감기면서 태엽스프링(310) 전체가 변형이 일어나게 되고, 이러한 변형은 복원력으로 축적되며, 후에 네트부(400)를 하우징(100)에 인입시키는 경우 이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부(400)는 일정한 높이(H)를 갖는 수 개의 종 격벽(410)과 횡격벽(420)에 의해 형성된 수 개의 격자형 메쉬(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격벽(410)과 횡격벽(420)은 일정한 높이(H)를 갖는 바, 수납물을 격자형 메쉬(M)에 끼우면 차량이 진동하는 경우라도 충분한 힘으로 수납물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네트부(400) 전체는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만들어진다. 따라서, 메쉬(M)의 크기보다 큰 수납물이라도 끼워넣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격벽(410)은 일정한 간격(B)을 두고 형성된 수 개의 종슬릿(412)의 상단을 제2테더(414)로 연결하여 형성하고, 횡격벽(420)은 일정한 간격(A)을 두고 형성된 수개의 횡슬릿(422)의 상단을 제1테더(424)를 연결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종슬릿(412)과 횡슬릿(422)은 각각의 종슬릿(412) 사이에 형성된 간격(B) 및 횡슬릿(422) 사이에 형성된 간격(A)이 교차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격벽(410)의 일단 즉, 고정부(500)의 내측에 결합되는 종슬릿(412)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회전력전달수단(도 6참조)에 의해 종격벽(410)의 일단은 회동한다. 즉, 종슬릿(412)들이 제2테더(414)로 모두 연결되어 있는 종격벽(410)은 시계 방향으로 90도 만큼 회전하게 된다. 사용자는 제1테더(424)와 제2테더(414)의 재질이 갖는 탄성력을 조절하거나, 두께 등을 조절함으로써 수납물을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힘을 얻을 수 있다.
도 6을 참조로 종격벽(410)이 회전하는 과정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500)의 내측에는 힌지(530)가 결합된다. 이러한 힌지(530)는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한다. 또한, 종격벽(410)의 일단은 힌지(530)와 연결되어 힌지(530) 회동시 연동하여 회동한다. 즉, 회전력전달수단(600)에 의해 힌 지(530)에 회전력이 전달된 경우, 힌지(530)가 회동하게 되고, 수직 방향으로 서 있던 종격벽(410)도 회동하여 수평 방향으로 눕혀지게 된다. 고정부(500)의 내측에는 수 개의 힌지(53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각각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바, 수 개의 종격벽(410) 역시 이러한 힌지(530)에 결합된다. 또한, 모든 힌지(530)는 그 타단이 제3테더(612)로 연결되어 있는 바, 그 중 하나의 힌지(530)가 회동하는 경우 나머지 힌지(530)들 모두가 같은 방향으로 회전된다.
힌지(530)에 회동력을 제공하는 회전력전달수단(600)은 링부(610)와 회전구(620)를 포함한다. 회전구(620)는 링부(610)에 회전력을 제공하고, 링부(610)가 회전되는 경우 힌지(530)가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회전력 전달은 제3테더(612)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링부(610)와 힌지(530)의 타단은 제3테더(612)에 의해서 연결되어져 있기 때문에, 링부(610)가 회전하면서 제3테더(612)를 당기거나, 밀면 힌지(530)가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구(620)는 제1회전봉(622)과 제2회전봉(624)을 포함한다. 제1회전봉(622) 일단의 외주면은 링부(도 6참조)의 외주면에 접한다. 따라서, 제1회전봉(622)이 회전하는 경우 그 회전력은 링부에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력이 더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제1회전봉(622)의 외주면과 링부의 외주면에는 각각 맞물리는 돌기와 홈을 형성하여 치합시킬 수 있다. 제1회전봉(622)의 타단 외주면에는 슬라이더(622a)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더(622a)는 제2회전봉(624)의 외주면에 그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624a)을 타고 이동한다. 가이드홈(624a)은 제1회전봉(622)이 회전되면서 제2회전봉(624)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그 길이 방향으로 굴곡된 경로를 갖는다. 태엽스프링(도 3참조)의 복원력에 하우징(100) 방향으로 고정부(도 4참조) 및 네트부(도 4참조) 이동하는 경우, 제1회전봉(622)의 외주면에 형성된 슬라이더(622a)가 제2회전봉(624)에 형성된 가이드홈(624a)을 타고 회전 이동하기 때문에, 링부(도 6참조)와 힌지(도 6참조) 또한 회동 가능하게 되며 결국에는 종격벽(도 6참조) 역시 회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격벽이 회전되어 제1테더(424)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횡격벽(420)들은 하우징(100)으로 인입되는데, 하우징(100)의 개방된 일면에는 걸림턱(110)이 돌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횡격벽(420)은 회전되고, 회전된 상태에서 회전축(200)에 감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의 수납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의 다용도 수납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다용도 수납장치의 일요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의 다용도 수납장치의 네트부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의 다용도 수납장치의 네트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의 다용도 수납장치의 종격벽의 회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의 다용도 수납장치의 회전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차량의 다용도 수납장치의 네트부 인입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하우징 200: 회전축
300: 구동부 310: 태엽스프링
400: 네트부 410: 종격벽
412: 종슬릿 414: 제2테더
420: 횡격벽 422: 횡슬릿
424: 제1테더 500: 고정부
600: 회전력전달수단 610: 링부
620: 회전구 622: 제1회전봉
622a: 슬라이더 624: 제2회전봉
624a: 가이드홈

Claims (8)

  1. 리어시트(S) 하단에 형성되며 일면이 개방된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양 측벽에 양 끝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회전축(200);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 일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축(200)이 회전되는 경우 역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구동부(300);
    상기 회전축(200)에 감길 수 있도록 상기 회전축(200)의 외주면에 일측이 고정 결합된 네트부(400); 및
    상기 네트부(400)의 타측에 결합된 고정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부(400)는 일정한 높이(H)를 갖는 수 개의 종격벽(410)과 횡격벽(420)에 의해 형성된 수 개의 격자형 메쉬(M)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횡격벽(420)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수 개의 횡슬릿(422)과 이 횡슬릿(422) 각각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1테더(424)를 포함하고, 상기 종격벽(410)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수 개의 종슬릿(412)과 이 종슬릿(412) 각각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2테더(414)를 포함하되 상기 종슬릿(412) 사이에 형성된 간격(B)이 상기 횡슬릿(422) 사이에 형성된 간격(A)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종격벽(410)의 일단은 상기 고정부(500)의 내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일측에는 상기 네트부(400) 수납시 상기 종격벽(410)이 상기 제2테더(414)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력전달수단(600)을 더 포함하는 차량의 다용도 수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500)의 내측에는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힌지(530)가 결합되고, 상기 종격벽(410)의 일단은 상기 힌지(530)와 연결되며, 상기 회전력전달수단(600)은 상기 힌지(530)의 타단과 제3테더(612)를 매개로 연결된 링부(610)와 이 링부(61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회전구(6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다용도 수납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회전구(620)는 일단의 외주면이 상기 링부(610)의 외주면에 접하고 타단의 외주면에는 슬라이더(622a)가 돌출 형성된 제1회전봉(622)과, 이 제1회전봉(622)이 회전되면서 삽입될 수 있도록 그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홈(624a)이 굴곡 형성된 제2회전봉(6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다용도 수납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개방된 일면에는 걸림턱(110)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횡격벽(420)의 횡슬릿(422)이 걸려 접혀지면서 회전축(200)에 말려지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다용도 수납장치.
KR1020090117677A 2009-12-01 2009-12-01 차량의 다용도 수납장치 KR101143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677A KR101143985B1 (ko) 2009-12-01 2009-12-01 차량의 다용도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677A KR101143985B1 (ko) 2009-12-01 2009-12-01 차량의 다용도 수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132A KR20110061132A (ko) 2011-06-09
KR101143985B1 true KR101143985B1 (ko) 2012-05-09

Family

ID=44395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677A KR101143985B1 (ko) 2009-12-01 2009-12-01 차량의 다용도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39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59230B2 (ja) * 2013-11-06 2017-07-05 林テレンプ株式会社 巻取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4471A (ja) * 1991-11-07 1993-05-21 Hino Motors Ltd 車両用トノカバー装置
KR0132477Y1 (ko) * 1996-08-24 1999-10-01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트렁크룸 적재물 고정장치
KR100845716B1 (ko) * 2007-06-25 2008-07-10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카고 스크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24471A (ja) * 1991-11-07 1993-05-21 Hino Motors Ltd 車両用トノカバー装置
KR0132477Y1 (ko) * 1996-08-24 1999-10-01 대우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트렁크룸 적재물 고정장치
KR100845716B1 (ko) * 2007-06-25 2008-07-10 한일이화주식회사 차량용 카고 스크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1132A (ko)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67381A (ja) 自動車に物品を積み込む装置
CN102858657A (zh) 具备塑料连卷袋的垃圾桶
US9706892B2 (en) Adhesive roller-type cleaning tool
US8312912B2 (en) Sunshade assembly having a clutch unit
KR101143985B1 (ko) 차량의 다용도 수납장치
JP4471096B2 (ja) 引出装置
CN209096798U (zh) 一种收合关节
JP2016049938A (ja) 車両用荷室構造
KR101479214B1 (ko) 매립형 휴지걸이
KR101170246B1 (ko) 이중 블라인드원단 개폐장치
JP3111531U (ja) 吊り具
KR200427481Y1 (ko) 롤브라인드의 권취장치
JP6266446B2 (ja) トノカバー装置
JP2007307939A (ja) サンバイザ
JP2005335655A (ja) 車両用トノカバー装置
CN217374331U (zh) 汽车后备箱网兜、车身及汽车
KR200329185Y1 (ko) 접힘구조를 갖는 선반
CN216783398U (zh) 储物隔挡装置及前机舱
CN212292249U (zh) 垃圾袋收纳装置
CN218618350U (zh) 可自动复位的带门垃圾桶
JPH0339058Y2 (ko)
KR200454023Y1 (ko) 세미나용 책상
JP3990211B2 (ja) 開閉式傘掛け装置
JPH0114530Y2 (ko)
KR101222630B1 (ko) 감김 속도 저감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방충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