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9185Y1 - 접힘구조를 갖는 선반 - Google Patents
접힘구조를 갖는 선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29185Y1 KR200329185Y1 KR20-2003-0020957U KR20030020957U KR200329185Y1 KR 200329185 Y1 KR200329185 Y1 KR 200329185Y1 KR 20030020957 U KR20030020957 U KR 20030020957U KR 200329185 Y1 KR200329185 Y1 KR 20032918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elf
- wall
- bent
- handle
- operation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7—Cantilever shelv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47—Handl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Extensible Doors And Revolving Do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힘구조를 갖는 선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다중 절곡된 중간부에 다수개의 지지부재(31)가 설치되어 수납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32)의 저면에는 탄성을 갖는 다수개의 충격흡수부재(90)가 설치되며, 양단부가 굴곡되어 결합단(34)이 각각 형성되고, 양단 내측에는 한 쌍의 회전 방지부재(36,37)가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 결합단(24)이 벽체(10)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 브라켓(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납부재(30); 및 상기 수납부재(30)가 펼쳐질 때 자중에 의해 회전되어 그 중간부가 벽체(10)에 지지되도록 양측 회전단(42)이 설정 각도로 굴곡되어 수납부재(30)의 양측에 각각 힌지(50)로 결합되고, 중간부에는 마감재(70)를 구비하여 만곡지게 형성된 손잡이(60)가 설치되는 작동부재(40)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수납부(32)가 형성된 수납부재(30)가 자중에 의해 회전하는 작동부재(40)에 의해 수평상태로 펼쳐지거나 손잡이(60) 등에 의해 수직상태로 접혀질 수 있음으로써, 수납기능을 갖는 선반의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편리성이 제공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접을 수 있는 실용성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접힘구조를 갖는 선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체 또는 도어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필요시에는 펼쳐 사용하고 사용이 완료되면 접어 보관하도록 함으로써, 수납용 선반으로의 기능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고,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에 직각을 유지하여 고정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선반(2)는 망체 구조를 갖거나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판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선반(2)은 벽체(1)에 직각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있었기 때문에 선반의 용도로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도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여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욕실의 도어와 같은 유동적인 구조물, 또는 벽체에 설치되어 사용시에는 펼쳐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접을 수 있는 선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선반을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제 1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a,3b,3c는 도 2에 도시된 선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a,4b,4c는 본 고안에 의한 제 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4a는 사시도이고, 4b,4c는 작동상태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제 3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제 4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선반이 도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벽체 20 : 고정 브라켓
30 : 수납부재 31 : 지지부재
32 : 수납부 34 : 결합단
36,37 : 회전 방지부재 40 : 작동부재
42 : 회전단 50 : 힌지
60 : 손잡이 70 : 마감재
80 : 당김끈 90 : 충격흡수부재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중 절곡된 중간부에 다수개의 지지부재가 설치되어 수납부가 형성되고, 양단부가 굴곡되어 결합단이 각각 형성되며, 양단 내측에는 한 쌍의 회전 방지부재가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각 결합단이 벽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납부재; 및 상기 수납부재가 펼쳐질 때 자중에 의해 회전되어 그 중간부가 벽체에 지지되도록 양측 회전단이 설정 각도로 굴곡되어 수납부재의 양측에 각각 힌지로 결합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구조를 갖는 선반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고안은 다중 절곡된 중간부에 다수개의 지지부재가 설치되어 수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의 저면에는 탄성을 갖는 다수개의 충격흡수부재가 설치되며, 양단부가 굴곡되어 결합단이 각각 형성되고, 양단 내측에는 한 쌍의 회전 방지부재가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 결합단이 벽체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납부재; 및 상기 수납부재가 펼쳐질 때 자중에 의해 회전되어 그 중간부가 벽체에 지지되도록 양측 회전단이 설정 각도로 굴곡되어 수납부재의 양측에 각각 힌지로 결합되고, 중간부에는 마감재를 구비하여 만곡지게 형성된 손잡이가 설치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구조를 갖는 선반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각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3a,3b,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에 의한 선반은 물건이 수납되도록 형성되어 벽체(10) 또는 도어(12)에 설치되는 수납부재(30)와, 상기수납부재(30)에 자중에 의해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수납부재(30)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작동부재(40)로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의한 수납부재(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ㄷ"형상으로 형성된 주 지지체에 다수의 지지부재(31)가 결합되어 물건이 얹혀지거나 수납될 수 있는 수납부(32)를 형성한다. 상기 수납부(3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판재(도시되지 않음)로도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 지지체의 양 끝단이 각각 외측으로 굴곡되어 결합단(34)이 형성되고, 이러한 양측의 결합단(34)은 벽체(10)에 마주보게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 브라켓(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결합단(34)이 형성되는 양단의 내측에는 한 쌍의 회전 방지부재(36,37)가 설정된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31)에 근접한 회전 방지부재(36)는 주 지지체의 저면에 설치되고, 나머지 회전 방지부재(37)는 상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수납부재(30)의 저면에는 다수개의 충격흡수부재(9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충격흡수부재(90)는 코일스프링, 고무 등과 같이 자체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접혀질 때 하방으로 회전하는 수납부재(30)의 저면이 벽체(10)에 강하게 부딪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무재로 형성된 것을 설명한다.
상기 작동부재(40)는 상기 각 고정 브라켓(20)에 설치된 수납부재(30)가 수평상태로 펼쳐져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ㄷ"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양단이 설정된 각도로 굴곡되어 도 2에 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회전단(42)이 형성된다.
이러한 작동부재(40)의 각 회전단(42)은 힌지(50)에 의해 상기 결합단(34)이 형성된 주 지지체의 양측 내측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작동부재(40)는 자중에 의해 상기 힌지(50)를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지지부재(31)에 근접한 회전 방지부재(36)에 간섭되어 더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부재(40)의 회전이 정지될 때 상기 수납부재(3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40)는 수납부재(30)가 접혀 수직상태를 유지할 때 최초 회전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역회전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그러나, 그 역회전 현상은 내측(벽체(10)에 근접한 위치)에 위치하는 회전 방지부재(37)에 간섭되어 방지된다.
상기 각 회전 방지부재(35,37)를 본 실시예에서는 일체형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각각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수납부재(3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40)도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각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재(30)의 각 결합단(34)이 벽체(10)에 설치된 각 고정 브라켓(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작동부재(40)의 각 회전단(42)이 힌지(50)에 의해 수납부재(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는 상기 작동부재(40)의 무게 중심이 벽체(10)에 근접하고 회전 중심은 벽체(10)로부터 이격된 상태이고, 또한 도 3a를 기준으로 상부에 위치한 회전 방지부재(37)가 작동부재(40)의 회전을 방지하기 때문에 작동부재(40)는 회전되지 않고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작동부재(40)는 무게 중심이 벽체(10)에 근접하고 있고, 상기 각 결합단(34)에 근접한 회전 방지부재(37)에 지지되어 회전이 정지되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3a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수납부재(30)를 들어올리게 되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재(40)의 회전 중심점인 힌지(50)가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작동부재(40)는 힌지(50)를 중심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작동부재(40)가 들려지게(펼쳐지게)되면, 상기 작동부재(40)의 중간부가 벽체(10)에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단(42)이 힌지(50)측에 근접한 회전 방지부재(36)에 접촉되어 더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작동부재(40)의 중간부가 상기 벽체(10)에 지지되면 상기 수납부재(30)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상태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납부재(30)가 수평상태로 펼쳐지면 그 수납부(32)에 각종 물건을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수납부재(30)가 펼쳐진 상태에서 다시 접기 위해서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작동부재(40)의 회전단(32)을 들어 올린다. 즉, 상기 작동부재(40)를 상방(도 3c에 실선으로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작동부재(40)를 강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작동부재(40)의 지지력이 해제되므로 상기 수납부재(30)는 하방으로 회전하면서 접혀지게 된다. 이는 상기 수납부재(30)의 수평상태를 지지하고 있던 작동부재(40)가 지지력을 해제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이때, 상기 수납부재(30)의 저면에 설치된 충격흡수부재(90)는 그 저면이 벽체(10)에 부딪혀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키고, 소음을 억제하며,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수납부재(30)가 직하방을 향하도록 접혀진 상태에서 다시 펼치기 위해서는 상기 수납부재(30)를 상방으로 들어 올린다. 이러한 동작으로 상기 작동부재(40)는 다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벽체(10)에 지지되므로 수납부재(30)가 수평상태로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도 4a,4b,4c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에 도시된 제 2실시예에 의한 선반은 상기 작동부재(40)의 중간부 양측에 마감재(70)를 구비한 손잡이(60)가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손잡이(60)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만곡지게 형성되고, 끝단이 굴곡되어 손가락이 걸리도록 형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손잡이(60)는 수납부재(30)의 수평상태를 지지하고 있는 작동부재(40)를 강제로 회전시켜 그 지지력을 해제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재(40)가 벽체(10)에 지지되어 수납부재(30)의 펼쳐짐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60)를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상기 벽체(10)에 접촉되어 수납부재(30)의 수평상태를 지지하고 있던 작동부재(40)가 상방으로 회전하면서 지지력을 해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납부재(30)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회전하여 접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평상태로 펼쳐진 수납부재(30)를 지지하는 작동부재(40)를 손잡이(60)로 조작하여 지지력을 해제시킬 수 있음으로써 사용이 간편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 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실시예에 의한 선반은 상기 작동부재(40)의 중간부에 당김끈(80)의 일단이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당김끈(80)은 합성수지, 직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이고, 타단에는 고리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당김끈(80)은 굽음이 자유롭기 때문에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실시예에 의한 선반은 상기 작동부재(40)의 일측면에 손잡이(60)가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제 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상기 손잡이(60)가 작동부재(40)의 일측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이러한 손잡이(60)의 끝단에 마감재(70)가 설치되므로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작동부재(40)를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작동부재(40)의 측면으로 돌출된 손잡이(60)를 상부로 올리는 동작만으로 상기 작동부재(40)는 상부로 회전하여 수납부재(30)를 지지하고 있던 지지력을 해제시키게 되어 수납부재(30)는 접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선반이 도 7에서와 같이 욕실의 도어(D)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욕실에 들어가서 샤워를 할 경우 벗은 옷을 상기 수납부재(30)의 수납부(32)에 보관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접혀진 수납부재(30)를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작동부재(40)가 자중에 의해 벽체(10) 측으로 회전하여 수납부재(30)를 수평상태로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펼쳐진 수납부재(30)에 의류와 같은 물건을 올려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어서, 수납부재(30)의 사용이 완료되면, 손잡이(60) 또는 당김끈(80) 등을 이용하여 작동부재(40)의 지지력을 해제시킨다. 따라서, 상기 수납부재(30)는 하방으로 회전하여 접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D)를 닫게 되면 도어(D)의 내측면 상단에 설치된 손잡이 보호부재(D-1)가 벽체(10)에 먼저 접촉되므로 수납부재(30)는 벽체(10)와 접촉되지 않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D)의 개폐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접힘구조를 갖는 선반은 수납부가 형성된 수납부재가 자중에 의해 회전하는 작동부재에 의해 수평상태로 펼쳐지거나 손잡이 등에 의해 수직상태로 접혀질 수 있음으로써, 수납기능을 갖는 선반의 기능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편리성이 제공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접을 수 있는 실용성이 제공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각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7)
- 다중 절곡된 중간부에 다수개의 지지부재(31)가 설치되어 수납부(32)가 형성되고, 양단부가 굴곡되어 결합단(34)이 각각 형성되며, 양단 내측에는 한 쌍의 회전 방지부재(36,37)가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설치되고, 상기 각 결합단(24)이 벽체(10)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 브라켓(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납부재(30); 및상기 수납부재(30)가 펼쳐질 때 자중에 의해 회전되어 그 중간부가 벽체(10)에 지지되도록 양측 회전단(42)이 설정 각도로 굴곡되어 수납부재(30)의 양측에 각각 힌지(50)로 결합되는 작동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구조를 갖는 선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32)의 저면에는 탄성을 갖는 다수개의 충격흡수부재(9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구조를 갖는 선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40)는 일단이 상기 작동부재(40)의 중간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벽체(10)에 근접한 회전 방지부재(37)의 외측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당김끈(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구조를 갖는 선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40)는 만곡지게 형성되고 작동부재(40)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부재(40)를 강제 회전시켜 접힘을 유도하기 위한 손잡이(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구조를 갖는 선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40)는 만곡지게 형성되고 작동부재(40)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부재(40)를 강제 회전시켜 접힘을 유도하기 위한 손잡이(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구조를 갖는 선반.
-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60)는 그 끝단에 설치되는 구형의 마감재(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구조를 갖는 선반.
- 다중 절곡된 중간부에 다수개의 지지부재(31)가 설치되어 수납부(32)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32)의 저면에는 탄성을 갖는 다수개의 충격흡수부재(90)가 설치되며, 양단부가 굴곡되어 결합단(34)이 각각 형성되고, 양단 내측에는 한 쌍의 회전 방지부재(36,37)가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설치되며, 상기 각 결합단(24)이 벽체(10)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고정 브라켓(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수납부재(30); 및상기 수납부재(30)가 펼쳐질 때 자중에 의해 회전되어 그 중간부가 벽체(10)에 지지되도록 양측 회전단(42)이 설정 각도로 굴곡되어 수납부재(30)의 양측에 각각 힌지(50)로 결합되고, 중간부에는 마감재(70)를 구비하여 만곡지게 형성된 손잡이(60)가 설치되는 작동부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힘구조를 갖는 선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0957U KR200329185Y1 (ko) | 2003-07-01 | 2003-07-01 | 접힘구조를 갖는 선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3-0020957U KR200329185Y1 (ko) | 2003-07-01 | 2003-07-01 | 접힘구조를 갖는 선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29185Y1 true KR200329185Y1 (ko) | 2003-10-08 |
Family
ID=49416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3-0020957U KR200329185Y1 (ko) | 2003-07-01 | 2003-07-01 | 접힘구조를 갖는 선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29185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90598A (ko) | 2015-01-22 | 2016-08-01 | 한양켐(주) | 접이식 a형 선반 |
-
2003
- 2003-07-01 KR KR20-2003-0020957U patent/KR20032918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90598A (ko) | 2015-01-22 | 2016-08-01 | 한양켐(주) | 접이식 a형 선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64735Y1 (ko) | 접철 구조를 갖는 선반 | |
KR200329185Y1 (ko) | 접힘구조를 갖는 선반 | |
KR101364794B1 (ko) | 공중화장실 도어용 선반장치 | |
KR20020029260A (ko) | 서랍식 세탁기 | |
KR20130011678A (ko) | 절첩식 식탁 | |
WO2020113691A1 (zh) | 一种可收折式衣篓及其收折方法 | |
JP4320765B2 (ja) | 収納式踏み台 | |
KR102650269B1 (ko) | 접혀짐이 가능한 욕조 | |
CN219699755U (zh) | 一种镜柜 | |
KR200390432Y1 (ko) | 접이식의자용 보조책상 브라켓트 | |
KR200296958Y1 (ko) | 화장대를 갖춘 코너장 | |
KR102582611B1 (ko) | 칫솔용 방수 거치대 | |
KR20150004071U (ko) | 빨래건조대 겸용 옷걸이대 | |
KR101143985B1 (ko) | 차량의 다용도 수납장치 | |
CN221690749U (zh) | 一种具有可调节卫浴镜的卫浴柜 | |
KR200349019Y1 (ko) | 가구내 회전수납형 침대의 댐퍼 결합구조 | |
CN221606762U (zh) | 折叠式垃圾袋挂钩 | |
JP6553797B1 (ja) | 清掃具用の清掃ヘッド、上記清掃ヘッドを備える清掃具、清掃シートの、上記清掃具への使用、及び上記清掃具用の清掃シート | |
JP2001000382A (ja) | 水切り棚 | |
KR101054867B1 (ko) | 추락을 방지하는 수납식 침대 | |
TWM607323U (zh) | 置物籃 | |
KR101221360B1 (ko) | 쏠림방지 빨래 건조대 | |
KR100389398B1 (ko) | 상자형 냉장고의 도어 댐핑구조 | |
KR20080047726A (ko) | 문 장착 접이식 짐 받침대 | |
KR200263389Y1 (ko) | 양변기의 커버 및 좌판 개폐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925 Year of fee payment: 10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