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3757B1 - 시트트랙 - Google Patents

시트트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3757B1
KR101143757B1 KR1020100053213A KR20100053213A KR101143757B1 KR 101143757 B1 KR101143757 B1 KR 101143757B1 KR 1020100053213 A KR1020100053213 A KR 1020100053213A KR 20100053213 A KR20100053213 A KR 20100053213A KR 101143757 B1 KR101143757 B1 KR 101143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upper rail
seat track
locking pin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3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3689A (ko
Inventor
백홍전
오범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스템
Priority to KR1020100053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3757B1/ko
Publication of KR20110133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3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31Movement of the latch
    • B60N2/0862Movement of the latch sliding
    • B60N2/0868Movement of the latch sliding in a transversal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60N2/0702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 B60N2/0705Slide construction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omega-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with pin alignment systems, e.g. with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locking pins always aligned w.r.t. at least one of a plurality of pin-receiv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12Location of the latch
    • B60N2/0818Location of the latch inside the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60N2/0812Location of the latch
    • B60N2/0825Location of the latch outside the ra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트랙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면에 복수의 핀홀이 형성된 어퍼레일과; 상기 어퍼레일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어퍼레일과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핀홀에 대면하는 로킹홀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된 캐치 벽부를 일측면에 갖는 로어레일과; 상기 어퍼레일의 타측면으로부터 관통하여 횡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핀홀을 통해 돌출되며, 상기 캐치 벽부의 로킹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로어레일에 대한 상기 어퍼레일의 슬라이드 운동을 차단하는 복수의 로킹핀;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레일에 고정되고, 상기 로킹핀이 관통하는 복수의 가이드 홀이 형성된 가이드 벽부를 갖는 가이드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외부로부터의 강한 충격으로 인해 로어레일에 대한 어퍼레일의 로킹이 해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트트랙{SEAT TRACK}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트랙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어퍼레일과 로어레일 간 로킹핀에 의한 로킹 및 언로킹이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는 차량용 시트트랙에 관한 것이다.
로킹핀에 의한 로킹 및 언로킹 구조를 갖는 종래의 시트트랙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발명된 특허등록 제512889호 "차량용 시이트 이송트랙의 로킹장치"(등록일: 2005.08.30)에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에 의하면, 어퍼레일(upper rail)에 횡방향으로 관통 결합되는 복수의 로킹핀(locking pin)이 로어레일(lower rail)에 삽입되는 형태로 상하 레일 간 로킹이 이루어지는 구조가 개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로킹핀에 의한 로킹 구조에서는, 외부로부터의 강한 충격으로 인해 상기 로어레일에 삽입되어 있던 로킹핀이 빠지는 현상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어퍼레일의 로킹이 해제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의 강한 충격으로 인해 로어레일에 대한 어퍼레일의 로킹이 해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시트트랙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시트트랙에 있어서, 일측면에 복수의 핀홀이 형성된 어퍼레일과; 상기 어퍼레일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어퍼레일과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핀홀에 대면하는 로킹홀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된 캐치 벽부를 일측면에 갖는 로어레일과; 상기 어퍼레일의 타측면으로부터 관통하여 횡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핀홀을 통해 돌출되며, 상기 캐치 벽부의 로킹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로어레일에 대한 상기 어퍼레일의 슬라이드 운동을 차단하는 복수의 로킹핀;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레일에 고정되고, 상기 로킹핀이 관통하는 복수의 가이드 홀이 형성된 가이드 벽부를 갖는 가이드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트랙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벽부는, 내측에 상기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단이 상기 로킹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로킹핀은, 상기 가이드 홀을 관통하는 부위에 원주방향으로 그루브(groove)가 함입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로킹핀은 테이퍼부와 원기둥부로 구분되며, 상기 그루브는 상기 테이퍼부와 상기 원기둥부의 경계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복수의 로킹핀 중, 최후방의 로킹핀의 전방 단부는 나머지 로킹핀보다 미세 간격 더 돌출 형성되고, 모든 로킹핀은 상기 어퍼레일의 타측면 외측으로 각각 환형의 돌출걸림부가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시트트랙은, 상기 어퍼레일의 타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로킹핀을 후퇴시켜 상기 로어레일에 대한 상기 어퍼레일의 슬라이드 운동을 차단 해제하는 언로킹 레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언로킹 레버는 모든 로킹핀의 돌출걸림부를 가압하여 상기 로킹핀을 후퇴시키기 위한 복수의 언로킹 클로(unlocking claw)와, 상기 최후방의 로킹핀의 돌출걸림부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언로킹 레버의 회동을 구속하는 트리거 클로(trigger claw)를 일체로서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언로킹 클로는 각 해당 돌출걸림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트리거 클로는 상기 최후방의 로킹핀의 해당 돌출걸림부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로어레일의 로킹홀은 상기 로어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일부 구간에 한하여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트랙에 의하면, 어퍼레일에 수용되어 고정되는 가이드 브래킷의 가이드 홀을 통해 복수의 로킹핀을 지지하는 구조를 취함으로써, 외부로부터의 강한 충격 시 상기 로킹핀이 로어레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상기 가이드 브래킷에 의해 변형되도록 하여 그대로 로어레일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어퍼레일이 로어레일에 대해 로킹 해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트랙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시트트랙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시트트랙의 횡단면도,
도 4는 도 1의 시트트랙의 주요부에 대한 평단면도,
도 5는 도 4의 주요부에 대하여 외부충격 시의 변형된 모습을 도시한 부분확대도,
도 6a 및 도 6b는 도 1의 시트트랙의 주요부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작동 전 평단면도 및 횡단면도,
도 7a 및 도 7b는 도 1의 시트트랙의 주요부가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작동 후 평단면도 및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트랙(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측에 설치되는 어퍼레일(upper rail, 110)과, 차체 측에 설치되어 상기 어퍼레일(110)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로어레일(lower rail, 120), 상기 어퍼레일(110)의 우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로어레일(120)에 대한 어퍼레일(110)의 로킹/로킹해제를 담당하는 로커어셈블리(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로커어셈블리(13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의 로킹핀(131)이 구비되어 어퍼레일(110)의 우측면에 형성된 수용홀(111)에 삽입 지지되며, 이들 로킹핀(131)은 어퍼레일(110)의 좌측면에 형성된 4개의 핀홀(도면 미도시, 도 의 참조)을 통해 로어레일(120)의 로킹홀(locking hole, 121)에 삽입됨으로써 로어레일(120)에 대한 어퍼레일(110)의 로킹을 달성한다.
로킹핀(131)은 스프링(132)에 의해 상기 로킹 상태를 유지하도록 가압되며, 언로킹 레버(133)의 회동 조작에 의해 후퇴 슬라이드 되면서 상기 로킹이 해제되는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언로킹 레버(133)는 축공(133a)를 통해 회전축(134)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134)은 브래킷(135)의 축공(135a)에 삽입된다.
그리고, 브래킷(135)은 결합핀(136)에 의해 어퍼레일(110)의 우측면에 고정된다.
로킹핀(131)은 그 좌측 절반 정도가 어퍼레일(110)의 내부에 수용되며, 그 우측 절반 정도는 단부를 통해 스프링(132)이 삽입되어 브래킷(135) 측 홀(135a)에 삽입 지지된다.
한편, 로킹핀(131)의 언로킹 조작을 위해, 언로킹 레버(133)는 3개의 언로킹 클로(unlocking claw, 133b)가 4개의 로킹핀(131)의 사이사이마다 돌출걸림부(131a)의 (좌측) 전방에 삽입 개재된다.
이에 의해, 언로킹 레버(133)의 반시계 방향 회동 시 상기한 언로킹 클로(133b)가 4개의 로킹핀(131)의 각 돌출걸림부(131a)를 동시에 우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로킹핀(131)을 우측으로 후퇴시킨다.
한편, 어퍼레일(110)과 로어레일(120)이 결합하여 형성하는 내측의 수용공간에는 가이드 브래킷(140)이 수용된다.
가이드 브래킷(140)은 상단의 수평면에 형성된 결합홀(140a)을 통해 어퍼레일(110)에 결합핀(141)으로 결합 고정된다.
가이드 브래킷(140)의 수직면은 가이드 벽부(142)에 의해 형성되며, 이 가이드 벽부(142)에는 4개의 가이드 홀(142a)이 형성되어 이들을 통해 로킹핀(131)이 관통 결합된다(도 3 참조).
가이드 브래킷(1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S)에 역 'ㄱ'자 모양으로 삽입되어 어퍼레일(110)에 고정되며, 수직으로 연장된 가이드 벽부(142)의 가이드 홀(142a)을 통해 로킹핀(131)을 지지하는 구조이다.
이때, 가이드 벽부(142)의 좌측면 상에는 내부에 상기 가이드 홀(142a)이 형성되는 돌출단(143)이 소정의 높이로 형성된다.
가이드 벽부(142)와 돌출단(143)의 형상은 도 4에 더욱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라, 로킹핀(131)은 이 가이드 벽부(142)의 가이드 홀(142a)을 통해 그 좌측의 어퍼레일(110) 측 핀홀(112) 및 로어레일(120) 측 로킹홀(121)에 삽입된다.
한편, 로킹핀(131)은 도 3 및 도 4의 로킹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강한 충격을 받을 경우, 스프링(132)의 탄성 지지력을 이겨내고 우측으로 후퇴 슬라이드 될 수도 있는 바, 이에 대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강한 외부의 충격 시 어퍼레일(110)과 일체로 결합된 가이드 브래킷(140)이 상기 어퍼레일(110)을 통해 전달받은 상기 강한 외부의 충격을 로킹핀(131)에 전달하여 이 로킹핀(131)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되도록 한다.
즉, 강한 외부 충격으로 인해 가이드 벽부(142)와 돌출단(143)은 로킹핀(131)에 도 5 에서 아래 방향으로 힘을 가암으로써 상기 로킹핀(131)은 같은 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휨 변형으로 인해 로킹핀(131)은 외부 충격에 의한 우측으로의 후퇴, 즉 언로킹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이 차단됨으로써, 로어레일(120)에 대한 어퍼레일(110)의 로킹 해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로킹핀(131) 측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좌측단의 테이퍼부(131c)와, 이에 이웃하는 원기둥부(131d)의 사이에 원주방향으로 그루브(groove, 131b)가 함입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루브(131b)는 로킹핀(131)이 가이드 홀(142a)을 관통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외부의 강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보다 원활하게 가이드 벽부(142)에 의한 변형(도 5 참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트랙(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커어셈블리(130) 측의 언로킹 레버(133)에 3개의 언로킹 클로(133b)와 함께 트리거 클로(trigger claw, 133c)가 일체로서 구비된다.
따라서, 언로킹 레버(133)의 회동 시에는 상기한 언로킹 클로(133b)와 트리거 클로(133c)가 모두 함께 일체로서 회동하는 관계에 있다.
언로킹 클로(133b)는 3개로 구비되어 4개의 로킹핀(131)의 사이마다 돌출걸림부(131a)의 전방(도면에서는 좌측)에 삽입 개재된다.
이에 반해, 트리거 클로(133c)는 최전방에 위치한 로킹핀(131-1)의 돌출걸림부(131a)의 후방(도면에서는 우측)에 위치된다(도 6a 참조).
이러한 트리거 클로(133c)는 어퍼레일(110)이 로어레일(120)의 최전방으로 슬라이드된 끝단에서부터 후진 슬라이드 되는 경우에 로킹홀(121)에 4개의 로킹핀(131)이 모두 동시에 삽입되도록 기능한다.
즉,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전방으로 슬라이드된 어퍼레일(110)이 후진 슬라이드되는 경우에 후방의 3개의 로킹핀(131-2)이 로어레일(110) 측 로킹홀(121)에 위치된 경우에도 그대로 전진하여 삽입되지 않고, 최전방의 로킹핀(131-1)이 후진하여 삽입되기 전까지는 도면에 도시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된다.
이러한 메카니즘을 설명하자면, 후방의 3개의 로킹핀(131-2)은 스프링(132)에 의해 가압되어 좌측으로 전진하면서 각 돌출걸림부(131a)를 통해 2개의 언로킹 클로(133b)를 좌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그런데, 이 2개의 언로킹 클로(133b)와 일체로 이루어진 트리거 클로(133c)는 최전방의 로킹핀(131-1)의 돌출걸림부(131a)에 걸려 좌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로 인해, 상기 가압되어 있는 2개의 언로킹 클로(133b) 또한 좌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고 후방의 3개의 로킹핀(131-2)의 각 돌출걸림부(131a)를 좌측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차단하므로, 결과적으로 이들 후방의 3개의 로킹핀(131-2) 또한 좌측으로 전진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의 3개의 로킹핀(131-2)보다 최전방의 로킹핀(131-1) 미세 간격 전방(좌측)으로 더 돌출되도록 하여, 최전방의 로킹핀(131-1)이 로어레일(120) 측 벽면에 접촉되었을 때 나머지 후방의 3개의 로킹핀(131-2)이 로어레일(120) 측 벽면에 접촉되지 못하도록 하여 이들로 인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도 6b는 상기 설명한 도 6a의 상태를 종단면으로 도시한 그림이다.
그림에서, 최전방의 로킹핀(131-1)은 로어레일(120) 측 벽면에 접촉된 상태임에 반해, 나머지 후방의 3개의 로킹핀(131-2)은 로어레일(120)의 벽면에 미세 간격을 두고 비접촉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어퍼레일(120)이 후방(도 6a에서는 하방향)으로 조금 더 후진하여 최전방의 로킹핀(131-1)이 최전방의 로킹홀(121)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최전방의 로킹핀(131-1)이 전진하여 로킹홀(121)에 삽입되며, 이로 인해 트리거 클로(133c)에 대한 차단이 해제된다.
그 결과, 상기한 2개의 언로킹 클로(133b)는 후방 3개의 로킹핀(131-2)의 각 돌출걸림부(131a)에 의해 좌측으로 밀려 이동하게 되므로, 후방의 3개의 로킹핀(131-2)은 비로소 전진하여 로킹홀(121)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최전방의 로킹핀(131-1)과 트리거 클로(133c)에 의한 동시 로킹 구조는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어레일(120)의 로킹홀(121)이 길이방향으로 일부 구간에만 형성되는 경우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트리거 클로(133c)가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2개로 존재함은 시트레일이 시트 당 좌우 2개로 존재하는 경우에 반대측 레일(110, 120)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시트트랙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100: 시트트랙 110: 어퍼레일
111: 수용홀 112: 핀홀
120: 로어레일 121: 로킹홀
130: 로커어셈블리 131: 로킹핀
131a: 돌출걸림부 131b: 그루브
132: 스프링 133: 언로킹 레버
133b: 언로킹 클로 133c: 트리거 클로
140: 가이드 브래킷 142: 가이드 벽부
142a: 가이드 홀 143: 돌출단

Claims (7)

  1. 시트트랙에 있어서,
    일측면에 복수의 핀홀이 형성된 어퍼레일과;
    상기 어퍼레일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어퍼레일과의 사이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핀홀에 대면하는 로킹홀이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된 캐치 벽부를 일측면에 갖는 로어레일과;
    상기 어퍼레일의 타측면으로부터 관통하여 횡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핀홀을 통해 돌출되며, 상기 캐치 벽부의 로킹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로어레일에 대한 상기 어퍼레일의 슬라이드 운동을 차단하는 복수의 로킹핀; 및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레일에 고정되고, 상기 로킹핀이 관통하는 복수의 가이드 홀이 형성된 가이드 벽부를 갖는 가이드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로킹핀 중, 최전방의 로킹핀의 전방 단부는 나머지 로킹핀보다 미세 간격 더 돌출 형성되고, 모든 로킹핀은 상기 어퍼레일의 타측면 외측으로 각각 환형의 돌출걸림부가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시트트랙은, 상기 어퍼레일의 타측면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로킹핀을 후퇴시켜 상기 로어레일에 대한 상기 어퍼레일의 슬라이드 운동을 차단 해제하는 언로킹 레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언로킹 레버는, 모든 로킹핀의 돌출걸림부를 가압하여 상기 로킹핀을 후퇴시키기 위한 복수의 언로킹 클로(unlocking claw)와, 최후방 로킹핀의 돌출걸림부에 의해 차단되어 상기 언로킹 레버의 회동을 구속하는 트리거 클로(trigger claw)를 일체로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트랙.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벽부는, 내측에 상기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복수의 돌출단이 상기 로킹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트랙.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핀은, 상기 가이드 홀을 관통하는 부위에 원주방향으로 그루브(groove)가 함입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트랙.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핀은 테이퍼부와 원기둥부로 구분되며, 상기 그루브는 상기 테이퍼부와 상기 원기둥부의 경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트랙.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언로킹 클로는 각 해당 돌출걸림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트리거 클로는 상기 최전방의 로킹핀의 해당 돌출걸림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트랙.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레일의 로킹홀은 상기 로어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일부 구간에 한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트랙.
KR1020100053213A 2010-06-07 2010-06-07 시트트랙 KR101143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213A KR101143757B1 (ko) 2010-06-07 2010-06-07 시트트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3213A KR101143757B1 (ko) 2010-06-07 2010-06-07 시트트랙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689A KR20110133689A (ko) 2011-12-14
KR101143757B1 true KR101143757B1 (ko) 2012-05-14

Family

ID=45501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3213A KR101143757B1 (ko) 2010-06-07 2010-06-07 시트트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37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85524A (zh) * 2013-08-28 2014-06-25 广西柳工机械股份有限公司 滑动锁紧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12014000339B1 (pt) * 2011-08-26 2020-10-27 Magna Seating Inc combinação de um conjunto de trilhos de assento e um mecanismo de travamento para um conjunto de assento
CN207725260U (zh) * 2017-11-28 2018-08-14 延锋安道拓座椅有限公司 一种锁止装置
IT201800007333A1 (it) * 2018-07-19 2020-01-19 Dispositivo di scorrimento per un sedile di veicolo provvisto di un gruppo di rilascio migliorato
KR102076063B1 (ko) 2018-12-03 2020-02-11 주식회사 포스코 정량공급피더의 스팬 조정장치
FR3093036B1 (fr) 2019-02-26 2021-03-19 Faurecia Sieges Dautomobile Glissière renforcée pour siège
CN110654276A (zh) * 2019-10-31 2020-01-07 湖北航嘉麦格纳座椅系统有限公司 一种汽车座椅滑轨总成
CN113370854B (zh) * 2021-06-17 2023-03-21 盐城市盛世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安全性高的新型汽车滑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7539A (ja) 1999-12-28 2001-07-10 Delta Kogyo Co Ltd シートのスライドロック構造
KR20060029520A (ko) * 2004-10-02 2006-04-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 장치
JP2008120223A (ja) * 2006-11-10 2008-05-29 Namba Press Works Co Ltd 摺動して移動可能なレール同士のロック機構
KR101042306B1 (ko) 2008-09-10 2011-06-17 현대다이모스(주) 양 방향 락킹 타입 시트 트랙 락킹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7539A (ja) 1999-12-28 2001-07-10 Delta Kogyo Co Ltd シートのスライドロック構造
KR20060029520A (ko) * 2004-10-02 2006-04-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 슬라이드 장치
JP2008120223A (ja) * 2006-11-10 2008-05-29 Namba Press Works Co Ltd 摺動して移動可能なレール同士のロック機構
KR101042306B1 (ko) 2008-09-10 2011-06-17 현대다이모스(주) 양 방향 락킹 타입 시트 트랙 락킹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85524A (zh) * 2013-08-28 2014-06-25 广西柳工机械股份有限公司 滑动锁紧机构
CN103885524B (zh) * 2013-08-28 2016-03-30 广西柳工机械股份有限公司 滑动锁紧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3689A (ko) 201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757B1 (ko) 시트트랙
US10434902B2 (en) Seat track
US9481266B2 (en) Vehicle seat rail locking device
US7886403B2 (en) Self-propelled forward movement mechanism for a movable body
JP5034604B2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CN101722873B (zh) 座椅的滑动锁定装置
EP3153347A1 (en) Novel four-direction headrest
JP2013534193A5 (ko)
KR102182183B1 (ko) 개선된 잠금 배치가 제공된 차량 시트용 슬라이딩 장치
JP2013534193A (ja) 分離可能なアッパ及びロアレールを含む車両シート用長手方向調整デバイス
WO2017077960A1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4631327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6755420B2 (ja) 改善されたロック構成を装備する、車両シートのための摺動デバイス
EP2371618B1 (en) Seat slide locking apparatus
EP4018883A1 (en) Slide rail assembly
US9409509B2 (en) Device for securing stored materials in a storage space and securing element therefor
US20120273616A1 (en) System for fastening a seat, in particular for an aircraft, on said aircraft
CN105936307A (zh) 框架锁
JP7048453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8272312B2 (en) Breech for a repeating rifle and barrel for such a breech
JP4691342B2 (ja) シートトラックスライド装置におけるロック機構
JP4640954B2 (ja) 伸縮テーブル
CN104768799A (zh) 滑动导轨机构及车用座椅
KR20190065332A (ko) 서랍 메커니즘용 후퇴 장치
JP2008120223A (ja) 摺動して移動可能なレール同士のロック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6